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帝下 基督敎 民族運動의 政治經濟思想 : 安昌浩·李承晩 계열을 중심으로

        장규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韓國 近代民族主義의 사상이론을 계통적으로 해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 한 축을 이루고 있었던 基督敎 民族主義를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대한제국 말기 新民會와 皇城基督敎靑年會를 거점으로 대두한 기독교 민족운동은 관서지방의 신흥상공인층과 신지식층, 기호지방의 신지식층과 개혁관료층을 주축으로 하는 基督敎 政治社會勢力化의 한 매듭이었다. 이 시기 기독교 민족운동 세력은 독립협회 이래 漸進的 文明開化論의 연장선상에서 宗敎·敎育·殖産運動을 전개하면서, 기독교를 통해 독립정신을 고취하고, 실력양성의 기반이 되는 근대적 시민의식과 지식을 습득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韓日合倂’과 일제의 무단통치는 근대시민의 육성을 통한 자유문명국가, 실력양성을 통한 근대 자본주의국가의 건설이라는 그들의 당초 구상을 뿌리채 흔들어 놓았다. 그러한 가운데 ‘105人事件’을 거치며 새로운 청년 학생세대들에 의해 武裝鬪爭論이 제기되었다. 더불어 일제 무단통치를 정당화하는 社會進化論的 强權主義에 대한 이론적 극복이 시도되었는데, 그것은 共和主義와 人道主義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이 때 인도주의와 民族自決主義는 기독교세력이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에 이르는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한편 워싱턴軍縮會議를 전기로 민족자결주의가 퇴조하고 부르주아민족운동 내부에 실력양성 노선이 전면화하는 가운데, 기독교 민족운동의 개량주의적 재편이 기독교 선교의 양대 거점인 평양과 서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안창호 계열의 平壤YMCA·修養同友會·基督信友會 등과 이승만 계열의 中央YMCA·興業俱樂部·積極信仰團으로 대표되는 기독교계 개량주의적 민족운동의 진영이 형성되었다. 3·1운동 이후 기독교세력은 平和的인 방법으로, 世界改造의 새로운 기운에 부응하는 正義와 人道의 실현으로서 한국의 독립을 전망하고, 그 방략으로 外交論과 實力養成論을 제기하였다. 한편 1920년대 중반 대두한 사회주의자들의 反宗敎運動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독교세력 내부에 민족문제인식, 사회인식상의 일정한 편차가 나타났다. 그것은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사상적 결합과 민중적 기독교를 모색하는 基督敎社會主義, 近代主義에 입각한 社會福音主義로 대별되었다. 신간회의 출범 이후 기독교계의 사회참여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예루살렘 국제선교대회를 거치며 맑스주의와 구별되는 기독교적 사회실천의 이론으로 ‘基督主義’가 등장하였다. 1929년 기독신우회의 ‘宣言’을 통해 공식 천명된 기독주의는 대공황기 반종교운동과 엇물리면서 反唯物論 이념투쟁으로 굴절되었는데, 그것은 이후 기독교계 내부에 冷戰意識이 자리잡는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다. 한편 실력양성론과 더불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을 특징짓는 또 다른 논리는 宗敎→敎育→實業→政治로 이어지는 漸進主義였다. 기독교세력은 근대 시민의식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종교·문화운동을 모든 운동의 근본운동으로 설정하고, 그에 기초하여 교육·경제적 실력양성과 정치적 방면의 민족적 합동을 이룸으로써 자주독립의 기초를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한 선상에서 그들이 설정한 새로운 독립국가의 모델은 국가를 개인의 단체적 결합으로 파악하고, 國家에 대한 市民社會의 가치우위를 내세우는 自由主義 國家였다. 그런데 일제 침략으로 시민사회의 자율성 확보가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그같은 국가론의 기조는 동요할 수밖에 없었다. 일제에 대한 非妥協의 원칙과 시민사회적 이해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구조가 바로 그것이었다. 이 때 갈등의 소지가 된 문화운동과 정치운동 사이의 긴장관계를 일체의 정치색을 배제한 人格修養이라는 논리로 끊어버린 李光洙의 「民族改造論」은 당시 일제의 민족분열정책으로 동요하던 기독교계 민족부르조아지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이에 대해 신간회운동기 趙炳玉, 朱耀翰의 修養同友會 改造運動과 안창호의 大公主義는 민족해방을 최우선의 과제로 부각시키고, 신자유주의 국가관을 수용하여 사회전체의 공익을 위한 ‘사회적 국가’의 개입을 정당화함으로써 시민사회의 사적 영역에 안주하려는 그같은 경향에 대응하려 한 경우였다. 이와 더불어 대공황기를 거치며 이승만 계열 일각에서는 申興雨와 그가 조직한 적극신앙단을 중심으로 파시즘을 수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의 민족경제건설 노선은 평양과 서울을 양대 거점으로 하여 전개된 자본주의 경제운동과 농촌운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曺晩植을 구심점으로 物産奬勵運動·企業設立運動·節制運動 등의 방면에 걸쳐 전개된 관서 기독교계의 자본주의 경제운동은 ‘庶民型’ 中小資本家의 이해를 대변하는 가운데, 국가권력과 구별되는 시민사회의 자율성 논리에 기초하여 생산·유통·소비에 걸친 自作自給과 內資蓄積을 통한 自立的 近代化를 추구하였다. 그리고 기호 기독교계의 實業敎育運動은 근면성 성실성 책임감과 독립자영의 능력을 갖춘 基督敎的 市民層, 自立的 中産層의 양성에 촛점을 맞추었다. 이 과정에서 이승만 계열의 인사들은 外資導入論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한편 기독교계의 농촌운동은 YMCA연합회 농촌부와 장로회총회 농촌부를 양대 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먼저 신홍우를 비롯한 이승만 계열 인사들에 의해 주도된 YMCA 農村事業은 産業化를 통한 농촌 과잉인구의 도시 흡수, 아일랜드를 모델로 한 유상매상·유상분배의 農地改革, 덴마크를 모델로 한 協同組合의 조직을 농촌재건의 밑그림으로 하는 近代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다음으로 안창호·조만식 계열에 의해 주도된 長老會 農村運動은 농촌의 경제적 파산과 문화적 낙오, 도덕적 타락을 한데 아울러 농촌피폐의 원인으로 파악하고, 교회를 중심으로 모범농촌을 건설함으로써 그같은 문제들을 풀어 나가려 한 福音主義的 農村運動이었다. 이와같이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은 개인의 自我革新 곧 近代 市民意識의 형성을 운동의 출발점으로 삼아, 이를 中産層의 육성과 中小資本 중심의 資本主義 近代化, 협동조합 등을 통한 自立的 小農體制의 확립으로 연결시키고, 나아가 시민사회의 輿論政治 원리에 입각한 민족적 대동단결과 자주독립을 전망하였던 민족개량주의운동이었다. 그러한 면에서 기독교 민족운동의 정치경제사상은 新興 中間階級의 이해를 대변하는, 自由主義 원리에 기초한 市民社會論的 民族主義였다. 그런데 이 시기 기독교세력은 양반 대지주 출신과 소빈농·노동자계급의 중간에서 市民革命論·絶對獨立論이 아닌 漸進的 文明開化論·民族改良主義 노선을 선택하면서 대지주·자본가와 계급적인 연합을 하였다. 그리고 反唯物論的 사상의식과 自由主義的 市民社會論의 이론적 정합성을 기초로 해방후 남한 자본주의국가의 체제이념과 자유민주주의 논리를 확립하는 데 열성적으로 참여하였다.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이 해방후 분단체제의 형성과 관련하여 갖는 역사적 함의는 바로 여기에서 찾아질 수 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christian nationalism on the basi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which we can systematically clarify the traditional ideas of modern nationalism of Korea. In the late Daehan Empire period,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hich was based on the Shinminhoe(New People's Society) and the Hwangseong(Seoul) YMCA, represented the politicalization and socialization of christian power. It prevailed into the independent middle class in Kwanseo(Northwest) area and into the reformist bureaucrats and the new educated class in Kiho(Central) area. In this period, the christian nationalists developed the new movement in religion and education, insisting on learning the modem citizenship & knowledge and on expanding the independent spirit through christianity. However, the forceful occupation and military rule of Japan made their early plans fruitless. Their plan was to establish a civilized nation and a modem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in Korea. Meanwhile, a group of new younger students introduced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105 In Sageon (Incident of 105 People). At the same time, it was tried to overcome the social-evolutionary authoritarianism theoretically, which resulted in acceptance of republicanism and humanism. The humanism and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had become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le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decayed and the idea of fostering real ability surged, the reorganization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olicy of gradual improvement developed in the two top christian centers of Seoul and Pyongyang.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christian nationalist camp along the line of gradual improvement formed, which included the groups following the lines of An Changho and Rhee Seungman respectively. After March lst Movement, christians anticipated the independence of Korea as a realization of justice and humanism and they raised diplomacy and fostering real ability as a strategy. In the middle of 1920s, there were two tendencies among christian nationalists in response to Anti-Religion Movement of socialists. They were christian socialism, which wa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hristianity and socialism, and social gospel, which was based on the modernism. After the appearance of Shinganhoe(National United Front), a new christianism was introduced as a christian practical morality, which was raised through Jerusalem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distinguishing itself from marxism. The christianism interacted with Anti-Religion Movement and developed into an ideological fighting against materialism. This event had become a case of settling down of the cold war mentality in christian society. Another logic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gradual progressivism, which panned to take the steps of religion, education, industry, and politics successively. All the christian groups set the movement of religion and culture as a base of all kinds of social movements. With this idea, they were willing to establish the base of the self-independence of Korea by fostering real ability in education and economy and by making a national union in political aspects. In this situation, their new model of independent state was based on liberalism, which regarded a nation as a union of people and gave priority to the civil society over nation. However, under the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impossible to protect the self-autonomy of civil society and as a result liberalism could not take root. It was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principle of uncompromiz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interest of civil society. In this social situation, Lee Kwangsu introduced his idea of remodelling a national movement, which represented for the position of christian national bourgeoisie. His opinion is that the tension between cultural movement and political movement can be solved by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without political color. Against this ideological tendency, Suyang Dongwoohoe(Mental Training Society) Reforming Movement under the leadership of Chu Yohan and Cho Byongok and Daegongism of An Changho were raised, which were based on the new liberalism. They hilighted national liberation as a primary task, and justifie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 social affairs for the public interest. Meanwhile, along the line of Rhee Seungman, the movement of accepting fascism appeared centering around the Jeokkeuk Shinangdan(Positive Faith Team) under the leadership of Cynn Heungwoo. We can examine the ideas of national economic construction through capitalistic economic movement and rural movement, which centered in two central cities, Seoul and Pyongyang. Economic movement of Kwanseo(Northwest) area christians spoke for the small and medium capitalists, was based on the self-regulation of civil society distinguished from the government power, and pursued the independent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self-sufficiency and the national capital accumulation. In addition, the vocational training movement of Kiho(Central) area christians focused on fostering christian civil class and independent middle class, who was qualified on diligence, sincerity, and spirit of independence. In this process, people following the line of Rhee Seungman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apital. The rural movement of christians expanded centering around the YMCA and the Presbyterian Church. First, the rural work of YMCA,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Rhee Seungman, was rural reconstruction movement based on the westernization theory. The idea centered on the creation of cooperatives following the model of Denmark, agricultural reforms based on the model of Ireland, and absorption of surplus agricultural population into cities through industrialization. Second, the rural movement of Presbyterian Church, which was led by the people in line of An Changho and Cho Mansik, was a movement based on the christianism. They recognized the causes of the rural problems as economic bankruptcy, cultural degradation, and moral depravity. And they were willing to build the model rural community centering around the church. Christian national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tarted as a policy gradual improvement, stress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self-reformation or creation of modem citizenship. It also pursued industrialization centering arou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around rural reconstruction based on independent small-farm system such as cooperative. It anticipated national union and liberation, too,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pubic opinion of civil society. In this respect, the political-economic idea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as a nationalism of civil society which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liberalism and tried to protect the interest of a new middle class. In this period, the groups of christian nationalists tried to associate with the landlords and the capitalists, not tenants and laborers. And it was supported by the political line of gradual progressivism, not of the civil revolution and an absolute liberat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y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e ideas of capitalism and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in South Korea. It is in this point that we can relate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christian national movement with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 1920-30년대 일제하 한국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선교적 만남

        구선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논문은 1920-30년 일제하 한국 사회에서 있었던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만남을 선교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통일시대를 여는 선교신학담론 형성의 가능성과 방향을 찾는 것에 있다. 한국교회 안에 통일운동과 관련된 여러 가지 주제들이 존재하지만, 사회·공산주의와 관련된 이야기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교회는 이러한 사상적·이론적·근본적인 문제를 다루지 못하며, 통일담론 형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교회 안에 뿌리 깊게 박힌 반공주의의 영향으로 보고, 반공주의가 정형화되기 이전인 사회주의와 기독교의 첫 번째 만남의 시기를 연구하였다. 3·1운동 이후 사회주의가 한국 사회에 들어오며, 기독교와 사회주의는 서로에 대한 다양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양자 간의 대결과 협력의 양상이 나타났다. 사회주의는 기독교에 대해 도전하였고, 기독교는 이 도전에 응답하였다. 기독교와 사회주의는 민족해방을 위해 서로 협력하기도 하였다. 1920-30년대 사회주의와 기독교의 만남은 오늘날 한반도의 화해와 평화 담론 형성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당시 한국사회의 신흥세력이었던 사회주의자들은 두 번의 반기독교 운동을 통해 기독교에 대해 도전하였다. 일제하 사회주의자들은 사상적 뿌리가 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영향을 받았지만, 공산사회 건설보다 일제에 대한 저항과 민족해방이라는 더 큰 목적을 두고 있었다. 이는 사회주의자들의 기독교에 대한 태도에 나타났다. 1925-26년 사회주의자들은 마르크스 이론의 영향을 받아 이데올로기적인 반기독교운동을 진행하였으나, 1927년 신간회를 중심으로 기독교와의 민족연합전선이 마련되며 멈추었다. 당시 한국 사회는 이데올로기와 종교보다 민족해방이 최우선 과제였던 것이다. 그러나 1931년 신간회가 해체되는 등 민족연합전선은 오래가지 못하였다. 이후 사회주의자들은 다시 미 제국주의와 일제에 순응하는 기독교에 대해 종교 박해 운동을 진행했다. 이는 사회주의가 본격적인 사상 투쟁에 들어감에 따라 레닌의 혁명사상에 영향을 받아 전투적인 성격을 보였다. 사회주의의 도전 앞에 기독교는 응답하였는데, 이들의 양상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1920년대의 선교적 응답의 주체는 YMCA 등 기독교 청년단체였다. 이들 안에는 수용과 비판의 다양한 이해가 공존하였고, 기독교 내부의 반성을 가져왔으며 그 결과 농촌운동을 중심으로 하는 적극적인 사회운동이 시작되었다. 사회주의를 수용하고자 했던 이들은 사회개조와 이상사회 건설에서 공통점을 찾았다. 그 결과 민족적 과제 앞에 사회주의와의 민족협동전선도 구축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30년 초반 사회주의자들의 전투적인 반기독교 운동이 일어남에 따라 그 양상도 변화하였다. 이 시기 사회주의에 대한 응답은 주로 교회의 목회자, 신학교 교수들의 몫이 되었다. 이들은 사회주의자들의 폭력적인 운동을 거부하고, 기독교만의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기독교 사회운동은 절제 운동, 여성 운동 등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되었지만, 사회주의에 대한 이해는 신론 등 신학적으로 반응하여 유물론적 무신론에 대한 강력한 비판으로 전개되었다. 1932년 조선기독교연합공의회는 사회신조를 발표하여 기독교 사회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찾으면서도 유물사상을 배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국 기독교 안에 반공 사상이 시작된 것이다. 일제하 한국 기독교는 사회주의와의 만남을 통해 민족운동 및 사회운동에 있어서 한국적 기독교로의 변화를 이루게 되었다. 이는 반공주의의 초석을 쌓게 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지만, 오늘날 한국기독교와 사회주의의 새로운 만남(encounter)의 이유와 가능성을 가르쳐 주는 것이었다. 기독교 유신론 대(對) 유물론적 무신론이라는 이론적 차원의 서구신학적인 논쟁이 아닌, 세계기독교 안 한국기독교만의 적극적인 타자와의 만남과 실천적(praxis) 차원에서의 대화가 필요하다. 1920년대 말 기독교인들과 사회주의자들이 민족해방을 위해 서로 협력하였던 것과 같이, 오늘날 한반도의 평화라는 목적 아래에서 기독교인들과 사회주의자들의 협력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통일시대를 여는 선교신학담론의 가능성을 선교적·실천적 만남에서 찾아야 함을 제시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encounter between Christianity and socialism in Korean societ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1920–30 to identify the prospect and direction of establishing a missiology that may contribute to the opening of the era of unification. Although there are many areas in the Korean Church discussing the unification movement, very few address socialism and communism. As most of its conversations have overlooked such an ideological, theoretical, and fundamental problem, the Korean Church is now experiencing significant difficulties in developing a constructive discourse on unification. This paper considers the absence of theological or missiological studies on socialism to be a product of anti-communism, deeply rooted in the Church. Therefore, with a literature review on relevant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Christian magazines and newspapers, this project highlights a period before anti-communism was formalized in the Church—when socialism and Christianity first encountered in Korea.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1919), when socialism was introduced to Korean society, Christianity and socialism attempted to comprehend each other on many grounds, which caused both conflicts and cooperation. Socialism challenged Christianity, and the Church responded to it. In the meantime, Christianity and socialism also allied with each other for national liberation. This complicated relationship of socialism and Christianity in the 1920s and 1930s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discourse on reconciliation and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oday. First, the socialists, an emerging force in Korean society, challenged Christianity through two anti-Christian movements. Although they adopted Marxist-Leninism as their ideological root, the socialists under Japanese rule were more oriented toward the resistance to imperialism and seeking independence than establishing a communist society, which was reflected in their attitude toward Christianity. In particular, the socialists who executed an ideological anti-Christian movement under Marx’s theory in 1925-26 ended their disapproving action toward the Church when a united front with Christianity, led by Singanhoe, was established in 1927. National liberation was the top priority in Korean society over issues of ideology or religion. However, when the front was dismantled, with the disbanding of the Singanhoe in 1931, the socialists again conducted a religious persecution campaign against Christianity, criticizing it for being conforming to American imperialism and Japanese rule. They also demonstrated a militant character as the socialism camp entered a full-scale ideological struggle, influenced by Lenin’s revolutionary theory until they were forced to end such anti-religious movements since their survival was threatened by the intensified su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ts in the early 1930s. Christianity responded to the challenges of socialism with different patterns in the 1920s and 1930s. The first major missional responders in the 1920s were Christian youth organizations, such as the YMCA. Various understandings of socialism, both acceptive and critical, coexisted within those groups, which produced meaningful self-reflective moments within Christianity and launched an active social movement focusing on enhancing lives in rural areas. Those who wanted to embrace socialism within the Church found their common ground with such ideology in their orientation toward social reform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an ideal society, which became a basis for establishing a national cooperative front with socialism. However, with the rise of the militant anti-Christian movement of socialists in the early 1930s, Christians’ responses had changed. During this second period, responses to socialism were led by pastors and seminary professors. They rejected the violent movement of socialists and developed their social activities divorced from the socialists. While their social actions expand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the temperance movement and the women’s movement, the understanding of socialism was committed to exclusive theological thoughts and developed into a strong critique of materialistic atheism. For example, the Korean National Christian Council (KNCC) announced their social creed in 1932 to identify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hristian social movement and reject the socialist ideology—the birth of anti-communism in Korean Christianity. The Church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as able to become a Koreanized Christianity, regarding nationalist and social movements, through its encounter with socialism. Although this resulted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anti-communism, it also presented the motivations and potential of a new constructive relationship with socialism today. In particular, the history confirmed the need for active encounters with others in the uniqu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dialogue on a praxis level, rather than a Westernized theological debate on the theoretical level of Christian theism versus materialistic atheism. As Christians and socialists in the late 1920s cooperated for liberation, a new partnership can proceed under the goal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 한국의 가족주의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 : -미누친(S. Minuchin)의 구조 가족치료이론과 융(C. G. Jung)의 콤플렉스이론을 중심으로-

        김현하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87

        Korean family members adhere to each other closely. They are extremely sensitive and susceptible to each other emotionally. In social science, this type of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is called Familism. Familism is pointed out as a cause of pathological phenomena of society in Korea. Christianity also views familism of Korea as a causal factor giving influence on the structural dysfunction of churches. However, there are a lack of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and a Christian counseling on how familism works in the Korean society and psychology of each individual and what kinds of effects it gives. Familism in Korea strengthens structural adverse effects on the family. Due to familism, the structure of the family in Korea is unable to adapt flexibly to changing situations of a surrounding area but hardens in and develops a false intimacy. Moreover, it creates an excessiv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and emphasizes a vertical relation. Furthermore, the more familism gets emphasized, the more a border line gets loosened and makes family members get stick to each other. It eventually hinders the autonomy of each individual. On a personal side, when I think in the point of complex theory of Carl Jung, familism forms personas in Koreans and worsens stress.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familism, ‘following decisions of a family’ is emphasized form childhood. The development of adaptability forms persona. In this process, one side of the personality an individual is repressed, and the creates shadows and complexes in an inner side. In the Christian views familism distorts the structure of church adversely. Moreover, it restricts an individual from encountering God. An individual who has been accustomed to familism defines an image of God based on rules he / she experienced in a family. This makes it difficult for Koreans to healthy relationships with God. Christian counseling that is designed to help an individual break out from familism shall approach from a big point of view, the liberation of a perfect man. The first step is to realize the dysfunctional structure individuals, families, and churches faces due to familism. Then recognizing they have distorted images of God and the kingdom of God. 한국의 가족은 가족 구성원이 밀착되어 있다. 밀착된 관계의 가족은 감정과 정서적으로 서로에 대해 지나치게 예민하고 민감하다. 사회과학에서는 이러한 한국 가족의 특징적인 성격을 가족주의라고 한다. 한국에서 가족주의는 사회의 병리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에서도 한국의 가족주의가 교회의 구조적 역기능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사회심리학 분야와 기독교 상담분야의 선행연구에서는 가족주의가 한국의 가족과 개인의 심리에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방법과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가족적인 측면에서 한국의 가족주의는 가족의 구조적 역기능을 강화시킨다. 구조 가족치료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가족주의로 인해 한국의 가족은 구조가 주변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하지 못하고 고착되어 가짜친밀성이 발달하게 한다. 또한 하위체계들 간에 과도한 위계가 존재하게 하여 수직적인 관계가 강조되도록 한다. 더불어 가족주의가 강조될수록 경계선이 산만해 지기 때문에 가족들이 밀착되어 개인의 자율성이 발휘될 수 없다. 개인적인 측면에서 융의 콤플렉스이론을 통해 볼 때 가족주의는 한국인의 페르소나를 발달시키고 콤플렉스를 강화한다. 한국은 가족주의의 영향으로 개인에게 가족의 뜻에 순응하는 것을 어린 시절부터 강력하게 요구한다. 순응의 발달은 페르소나를 발달시킨다. 이 과정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인격의 다른 부분들은 억눌러져 그림자와 콤플렉스를 형성하게 된다. 기독교적인 측면에서도 가족주의는 교회의 구조를 역기능적으로 왜곡시킨다. 또한 개인과 하나님의 만남을 제한한다. 가족주의에 익숙한 개인은 가족 안에서 경험된 규칙들에 미루어 하나님의 형상을 확정하기 때문에 하나님과 진실 되게 인격적인 만남을 추구하기 어렵다. 이러한 가족주의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기독교 상담은 전인해방이라는 큰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 첫걸음은 가족주의로 인해 개인과 가족 그리고 기독교 공동체가 처해있는 역기능적 구조와 콤플렉스를 자각하여 하나님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갖고 있음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할 수 있다.

      • 영지주의 문서의 기독론 연구

        김종우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255

        The early Christianity had a dispute with Gnosticism, which was considered as a heretical branch, in establishing theological ideas and doctrines in the first century. Gnosticism which existed together with Christianity had long been criticized by Christian thinkers and considered as paganism in the history of Christian Church. The Gnostic idea emphasizes gnosis and suggests that to know oneself is to know God. Based on dualism, in particular, it distinguishes high and noble God from low-grade God and suggests that the latter performed the Creation and that the world is evil. For Gnosticists, Jesus is not the Savior who condones human sins but just an apocalypticist who delivers God' words in pursuit of human beings' self-awakening. As Gnosticism had different ideas from Christianity, Gnostic texts were buried in the ground; the Nag Hammadi text discovered in 1945 is considered as another clue to today's understanding of Jesus Christ. As the four Gospels in the New Testament were accepted late in the second century, other Gospels were categorized into apocryphal Gospels. Among them, Gnostic Gospels as the Gnostic text called the Gospels include the Gospel of Thomas, the Gospel of Mary, the Gospel of Philip, the Gospel of Truth, and the Gospel to the Egyptians. These Gnostic Gospels are all called good news or the Gospel. Among them, the Gospel of Mary not belonging to the Nag Hammadi text was included since it was an importance Gnostic Gospel. While the four Gospels in the New Testament consist of Jesus's life and proclamation, the Gnostic Gospels are categorized into the Sayings Gospels to preserve the teachings and words of Jesus Christ alone. The Gnostic Gospel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text handed down from Thomas, the Sethian text handed down from Seth, the Valentinian text, and other Gospels. As a collection of Jesus's words, the Gospel of Thomas sees Jesus as a deliverer of gnosis or as emancipator from ignorance. The Gospel of Mary also sees Jesus as a mediator of a revelation. Its important objective most of all is to receive Jesus's teachings and experience His true existence. The special spiritual discipleship of Maria Magdalena is different from that found in the New Testament. The Gospel of Philip considered as the Valentinian text is based on Valentinian Christology. The Gospel of Philip describes Jesus as the Savior who is completely united with God through spiritual maturity. The Gospel of Truth called Valentine's sermon describes Jesus as a proclaimer of truth who will bring liberty to human beings. Finally, the Gospel to the Egyptians which belongs to the Sethian text based on Seth's transmission reduces Jesus's roles to see Him as a manifestation of the savior, Seth. It mainly describes the life of the savior, Seth, rather than Jesus Christ. Thus, the Gnostic Gospels describe Jesus as a teacher of spiritual knowledge and as the Savior as a mediator of a revelation. The Gnostic Gospels allow human beings to know their true self through Jesus Christ and reach spiritual maturity through knowledge to be united with God. The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hristianity which suggest true human salvation through the Crucifixion and belief in Jesus Christ. In the theological respect, therefore, Gnosticism focuses Jesus on Docetism while Christianity focuses Jesus on the dramatic Crucifixion. The Gnostic Docetism which separates body from soul to exclude physical distress makes the Crucifixion or the Resurrection meaningless. The Gnostic Christ is a wise, immortal, and spiritual being who takes a role in delivering gnosis. However, Theologia Crusis in Christianity recognizes both divinity and human nature of Jesus Christ and emphasizes that His death was expression of love for the world and salvational work for sinners. In particular, the Passion and the Crucifixion in Christianity are doctrines with no room for compromise and explain even more theological subjects: God planned to save human beings, loves them, and carried out the plan with incarnated Jesus Christ as the Savior. Moreover, the Christianity suggests holistic salvation of body and soul, not salvation of the soul through self-gnosis. Jesus's death and resurrection is a critical case which brought true freedom and holistic salvation to human beings. Therefore, Jesus became true Jesus Christ through the Resurrection after the Crucifixion and human beings should confess this with belief rather than have a simple knowledge.

      •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사상 연구

        정학진 한양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32253

        ABSTRACT A study on Christian thought in the Fictions of Kim Won- Il Chung, Hak Jin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of Kim Won- Il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Kim Won- Il, known as the leading author of division literature of the contemporary era, made his debut in 1966 when his 「1961. Algeria」 was selected by Daegu Daily Newspaper. He continued to present several short and medium-length stories until 1973 when began to spill out a number of series, including 「Soul of Darkness」, 『Sunset (1978)』, 『Winter Valley VOL 1. 2 (1987)』, 『House with Deep Garden (1988)』, and 『Celebration of Fire VOL 1-7 (1983-1997)』. He has earned the reputation as the best author of division literature of our time. No one would object to this reputation. Broadly discussing his latest Fictions, however, his Fictions since 1990 have been apart from the division literature. His latest Fictions not only explore the essential problems of humans, i.e. the memories of senior with past trauma and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 memories, but also depict the story of a grandson who traces the footsteps of history in search of his root, the potential essence and ideal forms deep in human introversion, and the universal image of humankind. Therefore, he should not simply be discussed within the category of ‘division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hi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n', especially ‘Christianity’, which is an important topic of his Fictions.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have analyzed him within the frame of division literature, as mentioned above, while other studies have discussed hi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for the disabled or existentialism. He was even studied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or eco-feminism. However, no study has approached his work from the religious perspective. Close to the 50th anniversary of his debut, this study would be rather significant. After the introduction, Chapter 2 analyzed all of Kim's Fictions in category. He has published 54 short stories, 15 medium-length stories, and 33 volumes of 16 full-length Fictions. These stories, when read carefull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a broad perspective. This study divided his Fictions not by time, but by type to analyze the stories into division stories, Christian stories, stories related to the disabled, and stories related to existentialism. The discussion also continued in reference to the six of his prose collections. Chapter 3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Why and for what does he write?” When Kim writes a story, he “writes what he must write, not what he wants to write”. This is a kind of obligation, or even a liability. He has spilled out himself through his Fictions as a pomegranate that unbearably overflows to break its chest into pieces. Many of his pieces have been written in atonement for his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His father was always someone to avoid for Kim. His father was a mysterious being like a ghost. His father appeared out of nowhere and disappeared before he knew it. His father was a 'scary and mysterious being' whom he could not boast to or talk about with his friends. He began writing for reconciliation with his father by exploring the memories of agony. His mother was harsh on Kim to be the head of the household due to the absence of his father. His antagonism and hatred toward his mother reached its limit, but Kim was an ethical gentleman and a Christian who could not hate his mother. Instead, he chose to take it out on the characters in the Fictions. These characters are mid-aged women like his mother. These women usually have negative images. In this respect, I discussed the mid-aged women who are the “substitute target”. Unlike how his mother wanted, however, “the eldest son in the place of father” became “the mother in the place of father”. While the father was absent and the mother lost her ability to ‘replace the father’, but there were other people to take the place of the mother: the sisters. Kim's Fictions always have the problem-solvers who help the weak with no 'ability to self-defense' because they are poor and lack education. I studied these sisters. Finally, Kim's literature has various communities. The Utopian communities that he actually dreamed of since younger are depicted to overcome the irrationality of reality. Most of them are Christian Utopias and I discussed how the Christian doctrines are reflected in his work. Chapter 3 was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im's literature, while Chapter 4 discusse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I focused on Kim's literature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What would religion mean to him? I focused on how religion affects him and how he unravels this in his stories. First, Kim's perspective toward Christianity is warm and healthy. It is not unconditionally critical or blindly revealed. He has the balance without leaning toward one side. The medium- and full-length stories were more related to Christianity than division. What does this tell us? This shows his subconscious and essential interests in Christianity. His Christianity is close to 'pluralism' beyond ‘conservatism’ or ‘fundamentalism of religion'. He is always tolerant and open to other religions. The religions coexist peacefully without conflicts in his stories. Also, his stories often depict unavoidable deaths and the religion that surpasses death at the vertex of binary opposition. Religion has greater power when the power and fear of death is greater. Belief often asks him the question of theodicy that “Can you confess the God of justice in the world of irrationality?” This is the question asked by those who have 'interpreted the Bible fro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in Christianity for the last 2,000 year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characters who value 'now, here (hic et nunc)' and shout out 'in front of God (Coram Deo) and with God (Cum Deo)' despite the absence of God. In sum,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hristian thought reflected in Kim's Fictions. Keywords: Kim Won- Il's latest Fictions, Christian Thought, Pluralism, Division Literature, Theodicy, Conservatism, Problem-solver, Atonement, Community, Religion and Literature, Fundamentalism 국 문 요 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적 시각으로 김원일 문학의 의의를 조명하는 데 있다. 우리시대 대표적인 분단문학 작가로 알려진 김원일은 1966년 대구매일신보에 「1961. 알제리아」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온 이래 여러 편의 중, 단편 소설을 발표하다가 1973년 「어둠의 혼」을 기점으로 『노을』(1978), 『겨울골짜기 상, 하』(1987), 『마당 깊은 집』(1988), 『불의 제전1-7권』(1983-1997) 등 굵직한 분단문학을 쏟아내며 이 시대 최고의 분단문학 작가라는 찬사를 듣는다. 이 평가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자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범박하게 그의 후기소설을 톺아보면 1990년 이후 작품들은 분단문학에서 많이 비껴간 것이다. 그의 작품세계는 후기로 넘어가면서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 예컨대 과거의 트라우마를 지닌 노인들이 겪는 기억과 그 기억을 재생하는 과정으로서의 글쓰기뿐만 아니라, 자신의 뿌리를 찾아 역사의 족적을 훑는 손자의 이야기라든지, 인간 내면 깊숙이에 잠재된 본질과 이상적인 형상, 그리고 보편적인 인간상의 구현 등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그를 단순히 ‘분단문학 작가’라는 범주로만 취급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그의 소설 중에서 중요한 주제인 ‘종교’, 그중에서도 특히 ‘기독교’라는 시각(perspective)을 가지고 그의 작품들을 분석했다. 그간 기존의 선행연구는 전술(前述)했듯 그를 분단문학이라는 틀 안에서 분석해온 연구들이 제일 많고, 장애인이나, 실존주의 문학, 가족주의 문학 등의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심지어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이나, 에코 페미니즘적인 입장에서 그의 작품을 연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종교적인 입장으로 접근한 경우는 전무하다. 데뷔 50년이 다 되어가는 이 시점에 이런 그의 연구는 그 자체만으로도 적잖은 의의를 가질 것이라 믿는다. 이같은 서론을 지나 2장에서는 김원일 소설을 총 망라하여 주제별로 분석했다. 그는 지금껏 54편의 단편과 15편의 중편, 그리고 장편 16편 33권을 출간했는데 이를 정치(精緻)하게 읽다보면 큰 틀에서 공통점이 나온다. 그의 소설을 시기적이 아닌, 주제별로 나누어 단편과 중편, 그리고 장편 소설에 나타나는 분단관련 소설과 기독교관련 소설, 그리고 장애인과 관련된 부분들과 실존주의와 연관된 소설 등으로 분석했다. 또한 소설 이외의 6편의 산문집을 참고로 하여 논의를 이어갔다. 3장에서는 김원일 문학이 지니고 있는 특징들을 연구했다. “그는 왜, 무엇 때문에 글을 쓰는가?” 김원일은 작품을 쓸 때, “쓰고 싶은 이야기를 쓰는 작가가 아니라 써야만 하는 이야기를 쓰는 작가”이다. 일종의 의무감(義務感) 같은 것인데, 이것을 더 깊게 밀고가면 채무감(債務感)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 더는 견딜 수 없는 생의 충일(充溢)로 자신의 가슴을 쪼개는 석류(石榴)처럼 그 또한 소설을 통해 자신을 쏟아 냈다. 그의 작품 중에는 아버지에 대한 ‘속죄의식’으로 쓴 작품이 많다. 그의 아버지는 김원일에게 언제나 기휘(忌諱)의 대상이었다. 신기하고도, 신비스러운 도깨비 같은 존재이다. 갑자기 왔다가 어느새 사라지는 그의 아버지는 동무들에게 자랑도, 발설해서도 안 되는 ‘무섭고도 신비한 존재’이다. 오랫동안 자신의 의식 속에만 묻어두었던 아픔을 그는 기억의 낟가리를 헤치며, 아버지와의 화해를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어머니는 가장이 부재한 상황에서 그 가장의 십자가를 떠안으라고 맏이인 김원일에게 모멸스럽게 대했다. 그 어머니에 대한 적개심과 증오감이 극에 달했지만 크리스천이자 평생 번듯하게 살아온 그는 어머니를 미워할 수 없어, 소설 속 다른 인물로 어머니를 대신해 분풀이할 대상을 설정한다. 어머니 또래의 중년여성들이다. 이 여성들은 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이 면에서 필자는 ‘대리 타킷’이 된 중년여성들을 논했다. 그러나 결국 어머니의 바람과는 달리, ‘장남의 아버지 대체’는 ‘어머니의 아버지 대체’가 되고 말았다. 아버지는 부재하고, ‘대리가장’으로서의 어머니가 그 기능을 상실한 자리에 어머니를 대신할 인물로 등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누이들이다. 유독 김원일 소설에는 가난하고, 배우지 못해서 ‘자기방어의 능력이 없는’ 나약한 사람들을 돕는, 즉 문제적 현실의 해결사들이 등장한다. 이 누이들에 대해 연구했다. 끝으로 김원일 문학에는 여러 가지 공동체가 등장한다. 부조리한 현실의 극복 차원에서 그가 실제로 젊었을 때부터 꿈꾸었던 유토피아적 공동체가 많이 나온다. 대부분 기독교적 유토피아인데 이런 생각이 그의 작품 속에 어떻게 녹아있는지를 연구했다. 3장이 김원일의 일반적인 문학적 특징이라면, 4장에서는 김원일의 특수한 문학적 특징, 이를테면 “기독교적 시각”에서 본 김원일의 문학에 관심을 두었다. 그에게 있어 종교란 무엇일까? 그리고 그 종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는 작품 속에서 이런 사실들을 어떻게 풀어내고 있는지 하는 것에 주목했다. 먼저, 기독교에 대한 김원일의 시각은 따뜻하고 건강하다. 무조건적으로 비판하지도 않고, 맹목적으로 경도(傾倒)되지도 않는다. 어느 한쪽으로 깊이 치우치지 않는 균형감이 있다. 단편을 제외한 중편과 장편에서는 분단관련 작품보다 기독교에 연관된 작품들이 많았다. 이것은 기독교에 대한 그의 무의식적이고, 본질적인 관심을 드러내 준다. 그의 기독교는 ‘근본주의’나 ‘신앙의 원리주의’를 넘어서는 ‘종교다원주의’에 가깝다. 타종교에 대해서 늘 너그럽고 화해적이다. 그의 작품 안에서 종교들은 서로 부딪치지 않고 평화롭게 공존한다. 또한 그의 작품에서는 불가항력적인 죽음이 자주 등장하고 그 삶과 죽음의 이항대립적 꼭지점에는 죽음을 초극하는 신앙이 등장한다. 죽음의 권세와 두려움이 클수록 신앙은 위대한 힘을 발한다. 김원일에게 신앙은 “부조리한 세상에서 정의로운 신을 고백할 수 있는가?” 하는 신정론의 문제를 종종 제기하는데 이것은 지난 2천 년간 기독교에서 ‘실존론적 성서해석’을 해왔던 사람들이 또한 제기해온 문제이다. 신의 부재(不在)의 상황에서도 ‘지금, 여기(hic et nunc)’를 중시하며 ‘신(神) 앞에서(Coram Deo), 신(神)과 함께(Cum Deo)’를 외치며 살아가는 등장인물들을 연구의 대상에서 빼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김원일 소설 속에 나타나있는 기독교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했다. 주제어 : 김원일 후기소설, 기독교사상, 종교다원주의, 분단문학, 신정론(神正論), 보수주의, 문제의 해결사, 속죄의식, 공동체사상, 종교와 문학, 근본주의

      • 한국 개신교 정치적 보수주의의 기원

        김대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53

        Most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s insisted politically conservative points of view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This study’s purpose is why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s the point of conservative view even though ‘protest’ means ‘resist against something’. In the early days of Korean mission by American missionaries in 19th century, American missionaries who are theologically fundamentalists came to Korean peninsula and spread the Christinity very aggressively. Among American protestant denominations, Presbyterian Churches of USA (PCUSA) was the most widely expanded and powerfully influenced to whole Korean peninsula from Pyongyang to Daegu. They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rategy of ‘Settler Colonialism’ with the concept of ‘Christian Zionism’. This strategy led to be a subordinate civil partner of its government and educated invited young people to be next native leader in the country so that the suzerain country’s influence lasts continually. Also anti-communism was good medium between its regimes and protestant Churches. Actually Christian right meaned the anti-communism politically so the protestant Churches became partner of the anti-communism government. This concept totally politically accorded with the principle of ‘One people’ (Ilmin Zuyi) of Syngman Rhee, the first 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And according the mission strategy of Nevius, Churches had to be independent financially from any other Churches and denominations on their own, so that there generated stressing the principle of Church. This concept also totally accorded with economic growth which is called “live better(jalsal ah bose)”. So Korean protestant most presbyterian Churches has been a lower ruling parter of Syngman Rhee government and Park Chung Hee government so that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met the expectations of external growth without protesting Caesarism and dictatorship in the era.

      • 여성PK(Pastor's Kids)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여성주의 상담적 접근

        강진화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36

        This dissertation has been initiated under the presumption that they may have characteristic peculiarity resulted from environmental factors starting from a concern about PK's (Pastor's Kids). However, the discussion came to be focused on the female PK's identification in the course of study; it was because they were much more oppressed in social environments than the male ones were and thus they had not a few difficulties in their finding of self identification. As it has been regarded in the second chapter, the general PK's are in peculiar surroundings as 'home of pastor'; thus their privacies are not protected; they should share their parents with the laymen; and they are exposed to a patterned expectation they got from others just because they are the children of the pastors: These are the ones that every one of those PK's should have. Knowing those environmental peculiarities, it was real troublesome thing to think on what effects such peculiarities would give to the formation of self identification in reality. Self identification, as mentioned in chapter 3, is a coherent recognition about oneself which is understood not only in himself but also in social relation. The recognition of oneself existing in himself is synthesized and accommodated as his own peculiar way in the process of being accepted in interaction with the external world, and comes to form an individualized shape. The self identification and self confidence become the source of driving force and power in the way of attaining tasks in life. In the analysis psychology of Jung, the individualization is said to be "a process that develops conscious, perfect and peculiar personality of an individual and enables him to have external relations successfully. However, the problem is that not a few PK's, especially the female on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finding their identification for the peculiarity of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study, it appears that the female PK's have the peculiarities of sense of persecution, dual behavior ways, great extent of dependency and rigid expressing ways by being thrown into peculiar environments of their being provided with too many standards in a sort of extended family of church members and being the object of the curiosity of the believers in the church. These respects can be seen affirmative ones according to the views, but seeing from the feministic counseling view,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y are showing weakness in forming their self identification steadfastly as they exceedingly adapt themselves to the system. Therefore, the researcher proposed CR(Consciousness-raising) group and tried to help to form the self identification. The researcher has found an approach of feministic counseling as the way of resolving the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oppression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roving their latent powers. It is because the feministic counseling understands that the causes of the problems are basically of the political and systematic ones and that the problems are not solved without solutions in the structural context. As far as the researcher is concerned, there seem to be few, if any, researches about the female PK's up to now inland. But a home of a pastor is a field of rest and replenishment of the pastor's spirit, soul and flesh. Accordingly, the health of the of the pastor's home, especially that of his children is so vital, needless to say. However, to our regret, it is true that the problematic things about the female PK's have been neglected by being veiled until the present. This dissertation presented a substitute proposal for their mental health, showing concerns about the female PK's, though feeble. It would be in need of the works of having the programs presented in this paper be enforced and the results be drawn out.

      • 카타르파 교리의 특징과 그 현실적 의미

        주나미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32236

        밀라노 칙령 이후 기간이 기독교화의 시대였다면, 12~13세기는 서구 기독교 사회가 종교적ㆍ사회적 재통합을 추구한 시대라 할 수 있다. 새 천년에 대한 기대감과 종교적 열정, 교권과 속권의 투쟁과 연합, 도시와 상업의 발달과 함께 복잡하고 다양해져가는 사회적 욕구 속에서 중세 가톨릭은 교회가 영적ㆍ현실적 지배세력으로 통합의 중심에 선 사회를 만들기 위해, 내적으로는 정화작업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재기독교화(re-Christianization)라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에 직면했다. 수도원 운동과 공의회를 통한 수많은 성직자와 교회 쇄신 시도들이 가톨릭의 내적 정화작업이었다면, 재기독교화는 외적 정화작업이자 이를 위한 세속 규율화였다. 또한 세례를 통해 표면적으로는 기독교 사회에 들어왔으나 실질적으로는 그렇지 않은 수많은 평신도들을 완전하게 기독교 사회 구성원으로 만들어 가톨릭의 지배를 공고히 한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가톨릭은 교황의 수위권 인정을 전제로 한 상부 두 위계인 교권과 속권의 제휴, 그리고 이 양자의 지배와 특권 등을 재확인하려 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과 정신까지 세세하게 규율할 정책들을 마련해 현실에 적용시켜 갔다. 이원론과 복음주의 특성을 함께 갖춘 카타르파 교리는 초대교회의 청빈함과 순수함을 찾는다는 점에서 가톨릭의 내적 정화작업과 일치하는 면이 있었으나, 재기독교화를 위한 가톨릭 정책과는 근본적으로 정반대 방향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나의 창조주가 천상과 지상 모든 것을 직접 창조해냈다는 가톨릭 교리와 달리, 카타르파는 이원론에 근거해 선과 악을 정신과 물질로 나누고, 자연과 인간의 육신을 악마의 작품이라 생각했다. 카타르파의 영적인 신은 <구약>의 신이 아니었으며, 가톨릭교회가 강조하는 맹세를 요구하지도 않았다. 또한 카타르파는 에덴동산의 사건을 신의 말씀을 거역한 불복종의 대가가 아닌 조물주의 계략으로 인한 육체적 타락이라고 여김으로써 가톨릭의 자유의지와 원죄를 부정했다. 신의 법을 어긴 것을 인간의 그릇된 선택으로 보고 죄의식을 상기시키는 가톨릭과 다르게 카타르파는 죄를 세속세계 자체로 보기 때문에 인간에게 책임을 지우지 않았다. 이러한 카타르파의 이원론적 사고는 가톨릭교회의 세속 참여가 정당한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일원론 교리를 통해 하느님과 사도들에서 교황으로 그리고 그 아래 사제로 이어지는 가톨릭의 중앙집권적 권력구조를 흔들었으며, 자유의지에 따른 불복종과 원죄, 선천적인 한계를 인간에 대한 외부통치 합리화로 보는 가톨릭의 정치적 논리를 위협했다. 더 나아가 카타르파는 예수의 육화와 부활 그리고 인간의 마지막 구원 또한 영적으로 해석했으며, 성육신에서 파생된 삼위일체 논리와 육체적 구원을 동반하는 종말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두려움과 영원한 육체적 삶에 대한 기대감으로 뒤섞인 가톨릭의 최후의 심판과는 달리 카타르파에게 마지막 날은 아예 오지 않거나 인간이 육신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환영할 만한 순간이었다. 또한 가톨릭에서는 한 번의 삶으로 천국과 지옥이 결정되지만 카타르파는 천상과 합일을 이루는 구원 전까지는 윤회라는 장치가 삶과 죽음 사이에서 세상 모든 것들을 순환시킨다고 믿었다. 이러한 카타르파 교리는 예수의 육화를 재현하고 세속 삶의 가치를 되새김으로써 교회의 세속참여와 규율 정책을 받아들이게 만드는 가톨릭의 구체적 실천들인 세례, 성체성사, 고해, 성인과 십자가 숭배, 연옥, 종말론에 대한 직접적인 거부로 이어졌다. 이는 세속에 대한 교회의 윤리적&#8228;경제적 지배 기제들을 무가치하게 만들고, 가톨릭을 중심으로 이루려는 중세 기독교 사회의 외적 내적 단일화 모두에 방해가 될 여지가 있었다. 인성이 배제된 천사 성모 마리아는 이원론, 영적인 육화와 함께 카타르파 교리를 움직이는 주요 축이었다. 따라서 이 역시 인성과 신성의 결합을 통해 가톨릭이 추구하려는 교권의 세속 권력화와 교권과 제권의 결합에 방해가 되었다. 또한 뱀과 조물주를 사탄으로, 선악과를 성행위로 묘사한 카타르파식「창세기」해석과 실제 출산을 하지 않은 성모 마리아는, 가톨릭이 옹호하는 출산과 결혼의 가치를 찾는 데도, 성과 결혼을 규제하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게다가 이브의 영이 남성과는 다른 형태의 육체에 갇히기 전에는 본래 아담과 같은 천상의 존재였다는 카타르파 교리 해석과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나 성사와 설교의 권한을 모두 갖는 여성사제의 존재는, 가톨릭이 그동안 펼쳐왔던 여성 배제 및 여성을 이용한 성 통제 정책과 맞지 않았으며 사회적 변화 속에서 나날이 높아져 가는 여성 신도들의 종교적 열정을 교회 밖으로 이탈시킬 우려가 있었다. 요컨대, 카타르파 교리는 12~13세기 재기독교화를 위해 가톨릭이 취했던 모든 외적 정책과 대립을 이루었다. 그리고 이러한 교리 갈등과 연결된 현실적 문제들은 알비 십자군, 이단 재판과 같은 카타르파 탄압사건이 발생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결국&#985170;초자연적인 투쟁에 대한 초기 기독교도들의 비전은 인간의 갈등을 표현하고 그것을 우주적 차원까지 끌어 올린다”라고 초기 기독교 역사를 평가한 종교 사학자 일레인 페이젤의 관점과,&#985170;교의(dogma)란 것은 어느 개인이 순수하게 이론화한 신앙 명제가 아니라 하나의 현실 표현”이라는 기독교 사상사가 폴 틸리히의 지적은 로마 교회의 재기독교화 정책이 불러일으킨 사회적 갈등 속에서 가톨릭과 충돌한 카타르파 교리에서 다시 한 번 확인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