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 쇠퇴지 활성화 전략으로써 근대역사문화자원 활용방안 연구

        오종화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49

        Under the influence of rapid growth and deindustrialization, industrial complex is closed or transferred outside city area. In this process, industrial facilities’ lands have been abandoned spaces, and have acted major cause of decline of the city. Also, in Japanese colonial era’s modern buildings are shaded from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s humiliated history. Not receiving attention but as they are abandoned, it has affected a cause of decline of the city. The case of Anyang, it developed by opening the the Gyeongbu line, but after the year 1970, it slowly started to decrease while national policy changed. Anyang, which was located in manufacturing area, not only decline of physical deterioration, but also formation of new town in Pyeongchon, is placed in central urban area. So manufacturing area made a transfer since the land price become increasing. Since then, occurred vaccum spaces have been neglected and is causing community problem. The part of vaccum spaces in decaying area is utilized as resources in many foreign cities. Above all, urban generation that is grafting onto culture and arts and applying is the utmost methodology and has been gotten recognition. Recently in Korea, social interest of historic culture resources are mounting, so the movement which tries to utilize the urban regener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 are historic culture resources in place, and if we use them in purpose of city image identity establishment and regional economic vitalization, it can be fine resource. As architectural method, conversion would utilize. Therefore, on this research, as activation strategy of city decaying area, I considered application plan for historic culture resources by applying conversion construction conception. Through this idea, I could sort out category and characteristic expression, and proposed coexistence complex culture space of Anyang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of a successful foreign case which used urban regeneration. In the event of the plan for coexistence complex culture space of Anyang, it regards as meaningful that it suggests durable urban regeneration ways which would be able to increase city competitiveness. Those are things that consider economic growth of driving force such as industrial’s potential value, availability, and as reflect local culture, i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ast, through historical remain, it establishes identity of the city. On this wise, conversion architecture, which are made full use of historic cultural resources, anticipates that it will be able to utilize a data for strategy of urban regeneration. 급속한 경제성장과 탈산업화의 영향으로 공업단지의 폐쇄나 수도권 외각 지역으로의 이전 과정에서 발생한 산업시설 이전적지는 도시 내 방치된 공간으로 존재하며 도시 쇠퇴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 시대의 근대건축물들은 일제 수탈의 치욕의 역사라는 그늘에 가려 주목 받지 못하고 방치됨으로써 도시 쇠퇴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안양의 경우 경부선의 개통과 함께 공업도시로써 발전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 국가정책이 변화하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안양은 물리적 노후화에 따른 쇠퇴뿐만 아니라 평촌 신도시의 형성으로 인해 공업 지역이 위치하던 도시 외각 지역이 도시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공업지역들은 지가 상승으로 인해 이전하게 되었다. 이후 생겨난 유휴 산업부지는 방치되어 지역사회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쇠퇴한 도시 내 유휴공간은 세계 각 도시에서 지역재생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그 중 예술과 문화를 접목하여 활용하는 지역재생이 도시를 활성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근대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유휴공간 문제와 관련된 정책 및 사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도시 곳곳에 남아 있는 근대역사문화자원을 도시 이미지 정체성 확립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활용된다면 도시재생의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건축적 방법으로 컨버전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쇠퇴지 활성화 전략으로써 컨버전 건축 개념을 적용한 근대역사문화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컨버전 건축의 표현특성과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고, 도시재생으로 성공을 이룬 해외 사례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안양 공존 복합 문화공간을 제안하였다. 안양 공존 복합 문화공간 계획안의 경우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던 산업시설의 잠재적 가치와 활용성을 고려하고 지역 문화를 반영하여 지역 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역사유적을 통해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도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쇠퇴지 활성화 전략으로 근대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컨버전 건축은 향후 국내 도시재생 전략으로 활용 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 금융지원 관점에서 분석한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의 활용과 보존 : 최소아과의원과 행화탕 중심으로

        이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4367

        본 연구는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을 바라보는 전문가의 관점과 실제 소유자의 관점이 다르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고 있는 전문가 관점은 일반 부동산의 가치로 인식하는 소유자의 관점과 충돌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 충돌의 결과는 대부분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의 멸실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유자가 자발적으로 보존을 하도록 유도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을 소유자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멸실 하지 않고 보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먼저 전문가들이 보는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보존이 필요하다는 점과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어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재무성분석을 진행했다. 북촌의 최소아과의원과 아현동의 행화탕의 신축, 활용, 보존이라는 세 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활용이나 보존을 할 경우 적용되는 공공의 금융지원을 알아보고 지역의 상황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공공의 금융지원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적용방안을 제시했다. 세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대부분 근대시기의 처음을 개항기로 보고 있으나 끝시기는 전문가별로 다른 의견을 보여주고 있다. 근대의 범위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은 그 시기의 역사문화자원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성립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등록문화재 지정여부가 건축물 자체의 가치뿐만 아니라 소유자나 공공기관의 의지, 관리예산 등과 같은 외부 행정적 요소에 의해서도 결정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의 보존 필요성이 등록문화재의 지정기준과 별개로 인식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또한 지역의 정체성과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보존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로, 재무성분석 결과 금융지원은 지역의 용적률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촌의 최소아과의원의 경우 역사문화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역사문화미관지구 안에 있어 용적률 규제를 받고 있다. 그대로 남기고 활용을 할 경우 부수고 신축을 할 때 보다 사업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축의 경우가 수입이 더 많지만 활용의 경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금융지원의 효과가 커서 실제 수익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아현동의 행화탕은 도시환경정비사업 구역으로 높은 용적률이 적용된 지역으로, 신축이 활용을 했을 때보다 더 높은 사업성을 보이며 활용에 대한 금융지원의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지역별 특성에 따라 금융지원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지역별로 특화된 금융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역사문화자원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과 같이 낮은 용적률이 적용되는 지역의 경우 한옥이나 우수건축자산에 적용하는 금융지원을 통해 사업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비사업 대상지역의 경우 높은 용적률이 적용되기 때문에 기존의 금융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금융지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금융지원의 내용 확대, 세액공제(Tax Credit)와 같은 새로운 금융지원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가 아닌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을 대상으로 하여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근대시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통해 보존의 가능성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소유자가 자발적으로 보존이라는 선택을 하도록 하기 위한 공공의 지원제도를 살펴보고 지역의 상황 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금융지원 제도를 제안했다. 이를 기반으로 소유자가 바라보는 부동산 가치 측면에서 공공의 금융지원 제도를 활용하고, 신축보다 활용이나 보존을 하도록 소유자를 설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근대산업유산의 역사성 보존을 위한 문화적 도시재생 방안 연구 : 군산시 째보선창 일원을 중심으로

        오은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34351

        산업구조의 변화로 방치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활발하다. 근대산업유산을 통해 그동안 역사적 배경의 이유로 제대로 보지 못한 우리의 근대사를 알 수 있고, 새로운 문화 가치를 창출하여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근대산업은 지역산업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뚜렷한 지역성을 갖고 발전해왔다. 그러나 최근 유행처럼 번지는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우리가 오래 덮어둔 시간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채 단기간 사업 주도로 보여주기 식의 경관 조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역사적 장소가 지닌 지역의 역사와 문화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닌 이질적이고 매력적으로 보이는 관광자원 개발을 위한 도시재생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나라 근대산업유산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착취와 수탈의 어두운 흔적으로 인식되어 보존 가치와 활용의 문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은 가려졌던 역사의 의미를 밝히고 재생을 통한 보존 가치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역사성을 보존하고 그 의미와 시간을 보여줄 수 있는 문화적 재생을 위한 연구와 방안 제시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전북 군산시는 2000년 이후 내항 주변에 산재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을 위해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근대산업유산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하고 근대문화도시로서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여 쇠퇴한 원도심을 재생했다는 것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주로 건축학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근대산업유산의 역사성과 의미를 밝히기보다 물리적 재생에 중심을 두고 있다. 결국 드라마세트장처럼 짜인 경관 조성과 정량적 수치가 우선시되는 성과를 내기 위한 매력적인 역사자원을 선별하고 유행에 민감한 수요 공간 중심으로 역사적 장소가 채워지고 있다. 현재 군산시는 ‘째보선창’이라고 불리는 내항 주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진행 중이다. 째보선창은 지금은 내항의 항구기능 상실로 슬럼화 문제와 사회·문화적 접근이 약화하였지만, 과거 미곡 수탈의 전진기지이자 군산 최고의 민간인 포구로 성행하며 지역 경제의 중심 역할을 해 온 곳이다. 이곳은 그동안 착취와 수탈의 근대사에 초점을 맞추었던 군산시의 근대산업유산 활용이 나아가 차별과 억압 속에서도 삶을 이어온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줄 수 있고, 지역경제를 이끌어 온 근대산업이 지역의 특성과 어떤 관계로 발전해왔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도 역사적 장소의 의미와 이야기는 가려진 채 여전히 관광자원개발과 물리적 공간 자원의 활용에 치우친 계획이 추진 중이다. 본 논문은 군산시의 근대산업유산에 관한 의미와 스토리는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거나 기록으로 남겨져 있을 뿐 이를 적극적으로 역사적 장소의 재생으로 활용하지 못한 군산시의 도시재생 한계에 관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도시재생 대상지인 째보선창의 역사성 보존 가치를 토대로 째보선창의 근대산업유산이 가진 역사성을 보존하는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을 공간과 프로그램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독특한 건축물을 기반으로 한 공간 활용 위주의 지난 군산시 도시재생이 나아가 지역문화자원으로서 근대산업유산이 갖는 역사성을 보존하고 장소성을 고려한 장소의 재생으로 지속 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bandoned with the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is active. Modern history of Korea that could not have been seen properly so far for historical background reasons can be known through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nd new cultural values can be created, which in turn can revitalize the cities. Modern industry has developed with clear regional characteristics as much as it can be seen as regional industry. Howev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that have recently become an epidemic still remain as the seeming landscape creation project in many cases because such projects are l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out considering the times that we had overlooked. As a result, it was unavoidably criticized that it wa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r developing the tourism resources that were heterogeneous and looked attractive rather than a project to creat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at a historical site has in a regio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of Korea were mostly perceived as dark traces of exploitation and plunder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so preservation values and utilization of such heritages have not been dealt with properly so far. This is why suc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should start from revealing the meanings of the history that’d been hidden and understanding the preservation values through regeneration. Through this, the historicity of a region has to be preserved and researches for cultural regeneration that can create true values as cultural resources that can show the meaning and time should be conducted as well as provision of solutions. Gunsan city in Jeonbuk is carrying forward projects actively for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scattered around the inner harbor since 2000. Gunsan city is rated highly in that it has relatively good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terms of preservation state and regenerated the collapsed old downtown by establishing an urban image as a modern culture city. However, researches have been made largely from the architecture perspective and are focusing on physical regeneration instead of revealing the historicity and meaning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sultingly, filming site-like landscapes are being created, attractive historical resources for yielding good results prioritizing quantitative numerical values are being sorted, and historic sites are being filled with spaces for demand that are sensitive to fashion Gunsan city is now proceeding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round the inner harbor called as ‘Jjaeboseonchang.’ Jjaeboseonchang was an advanced base for exploitation of rice and grains and prevalent as Gunsan’s best private port and played a central role for the regional economy although it now had a slumism issue and its social and cultural approach weakened due to the loss of function as an inner harbor. The uti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Gunsan city that had focused on modern history of exploitation and plunder can show the life phases of then-people who had led a life u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how modern industries which had led the regional economy have developed in what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which historical meaning can be found. Nevertheless, the projects biased towards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physical space resources are still being promoted with the meaning of and stories about historic sites hidden.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urban regeneration of Gunsan city that could not make good use of the meaning of and stories about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Gunsan city as active regeneration of historic sites although such heritages are displayed in a museum or remained as record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looked at the alternatives for Jjaeboseonchang, one of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to go toward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eserving historicity based on the preservation values of historicity of Jjaeboseonchang, object area of urban regeneration from the space and program aspects. Through this, it tried to find ways so that the urban regeneration of Gunsan city having focused on space utilization based on unique architecture can be sustainable as regeneration of places preserving the historicity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s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nd considering placeness.

      •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연구 :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을 중심으로

        오정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19631

        In 2001,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troduced the Registration Cultural Heritage System to preserve and utilize endangered modern cultural heritage amid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is initiative has led to a growing interest in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recently, Incheon Metropolitan City has been pursuing initiatives to effectively conserve and utilize i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concept of people-centric museums, as defined in the new definitions of museums and New Museology presented at the 2022 ICOM World Museum Conference in Prague. The objective is to understand the connectivity between local communities and museums, seeking methods to appropriately preserve and utilize modern cultural heritage. Drawing from an analysis of the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at Incheon's Jung-gu Harbor and Gunsan's internal port, this research references improvement strategies for educational programs at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To provide specific proposals, the study analyzed and evaluated the educational programs conducted over five years at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main facility, the Korean Immigration History Museum, and the Incheon Urban History Museum. Based on this research, two main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First, it suggests operating museum educational programs during local festivals to facilitate mutual exchange opportunities where visitors can engage, acquire knowledge, reconstruct, and share experiences. This could lead to proper education on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activate local communities. Second, it advocates for active utilization of oral history and immigration narratives. Despite scholarly investigations since 2012 into Incheon's history and culture, their utilization remains inadequate, requiring proactive utilization. However, these proposals come with challenges that require simultaneous consideration. Firstly, designing effective festival booth operations to disseminate information to festival participants is crucial. Secondly, collaboration between museum curators and local communities is essential. Regarding the proposed utilization of oral and immigration history, forming rapport between researchers and storytellers is critical. Additionally, establishing objective criteria for research purposes and subjects is necessary, especially considering potential challenges in maintaining objectivity over time due to evolving storyteller generations. Hence, swift investigation and collection of their memories for future generations' utility are essential. Hoping for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to evolve into a communicative museum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se two proposals, the study also anticipates the creation of effective methods for utilizing modern cultural heritage. 2001년 문화재청은 지정제도의 한계와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한 근대문화유산을 보존 · 활용하기 위해 등록문화재제도를 도입하였다. 이 제도의 도입으로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최근 인천광역시는 근대문화유산을 효과적으로 보존 ·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2년 프라하에서 열린 ICOM 세계박물관대회에서 새롭게 정의된 박물관 정의와 신박물관학(New Museology)의 개념이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는 사람 중심 박물관에 주목하여, 지역 공동체와 박물관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근대문화유산을 올바르게 보존 ·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천광역시 중구 개항장과 군산 내항 내 근대문화유산 활용 사례를 분석을 통해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의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선 방안에 참고하였다. 개선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기 위해 인천광역시립박물관 본관과 한국이민사박물관, 인천도시역사관의 5년간 운영된 교육프로그램을 분석 및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지역 축제를 활용하여 상호 교류 가능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제안한다. 관람객이 프로그램을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을 얻고 재구성하며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올바른 근대문화유산 교육과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구술생애사 및 이민사를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은 2012년부터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학술조사하고 있지만, 활용 측면에서 미흡하다. 따라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두 가지 방안은 함께 고려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첫째, 지역 축제의 부스 운영을 통해 축제 참여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정보 전달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충분히 고려하여 구성해야한다. 둘째, 박물관 학예사와 지역 공동체 모두의 협력이 필요하다. 두 번 째로 제안된 구술생애사 및 이민사는 연구자와 구술자의 라포(rapport) 형성이 중요하다. 더불어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 구술자의 세대가 변화함에 따라 이야기의 객관성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그들의 기억을 빠르게 조사 · 수집하여, 미래 세대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두 가지 제안으로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의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지역 공동체와 소통하는 박물관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근대문화유산 활용의 효과적인 방안 또한 마련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