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 지도에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과학과의 방안 연구

        구선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요약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 지도에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과학과의 통합 방안 연구 구 선 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전공 (지도교수 황 연 주) 21세기를 흔히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공존하는 다원주의 시대라고 한다. 다원주의 시대에는 인간이 부딪치는 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하여 독특한 사고방식으로 해결하는 창의적이고 보다 다양한 능력과 개성을 지닌 인간상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주제인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통합교육은 이에 대한 하나의 교육적 대안이 될 것이다.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여러 교과에 상호 횡적으로 연계된 학습 주제를 통합하여 운영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전인적인 인간의 육성을 바탕으로 하는 통합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오늘날의 교육적 흐름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통합교육은 교과목들을 분리시키는 경계가 없어지면서 특히 인지적 사고력이 미분화된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절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적용하고 있는 통합교과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즐거운 생활󰡑은 미술, 음악, 체육이 통합된 교과이며, ‘슬기로운 생활󰡑은 사회와 과학이 통합된 교과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각 통합교과를 구성하고 있는 관련 교과간의 연계성이나 통합성이 비교적 부족하고 단지 주제만 같을 뿐 기존의 교과별 수업을 그대로 진행하고 있는 경향이 많다. 즐거운 생활의 지도에서도 단원별 주제를 중심으로 미술, 음악, 체육이 통합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지만, 각 교과별 수업이 따로 따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등과 같은 통합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을 실시할 수 있는 부분들도 많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통합교과 중심으로 통합교육이 실시되고 있을 뿐 다른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은 거의 실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미술과 과학 또는 미술과 국어 및 수학 등과의 통합적 접근은 거의 옳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학교교육에서 미흡하게 실시되고 있는 미술과 과학과의 통합교육을 프로젝트 접근을 통하여 실시해보고자 한다. 미술과 과학은 인류 역사를 통해 다양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해 왔다. 이 두 분야는 서로 대립되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상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미술사에서 인상주의는 스펙트럼의 과학을 예술에 끌어들여 팔레트에서 물감을 섞지 않고 밝은 색 조각들을 병치하여 어두워지지 않는 혼색을 고안해내기도 하였고, 오늘날 Computer Art, Video Art, Laser Art, Digital Art 등 현대 미술에서 테크놀로지의 사용은 미술과 과학의 통합적 현상들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과학 교과의 성격을 비교해 볼 때 미술과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사고 과정에 바탕을 둔 창의성 함양은 과학과에서도 󰡐단편적인 지식의 획득보다는 기본 개념의 통합적 이해의 토대 위에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Ⅳ, 2008: 171) 라고 밝히며 두 교과 모두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존중하며 교과에서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하여 일상생활의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는 것도 두 교과의 성격이 매우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과학의 상호 밀접성을 바탕으로 미술 활동과 매체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원리를 학생들이 스스로 발견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통합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우선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미술과 과학의 통합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통합 방안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과를 분석하여 미술영역만 추출하고 ‘슬기로운 생활’에서 과학영역만을 추출하여 통합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백일홍 꽃󰡑을 주제로 레지오 에밀리아(Reggio Emilia) 접근법을 그리고 ‘콩’을 주제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북 지역에 소재한 P초등학교 2학년 1개 반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장 실험 연구 기간은 2010년 4월에서 11월까지 8개월 간 이루어졌다. 개발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통합교육 방안에 대한 결과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은 작품 결과에 대한 교사의 관찰법과 수업 전후에 투입한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관찰법을 통하여서는 미술 표현력, 창의적인 태도 등을 알아보았으며, 설문지법을 통하여서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통합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선호도, 수업의 난이도, 미술활동에 대한 자신감, 흥미도, 협동하는 태도 등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해 수업을 한 결과 통합교과인 즐거운 생활에서 미술영역에 대한 선호도가 다소 증가되었고, 미술과 과학통합 수업에 대한 흥미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다 흥미를 느끼게 되었음을 뜻한다. 둘째,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해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의한 프로젝트 과정에서 학생들의 상호 작용이 증진되어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상징화 주기에 따라 학생의 지식의 구성이 확대되어 작품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미술활동이 보다 쉽다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세히 보고 그리는 활동에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이는 반복적인 관찰을 통해 보는 눈이 길러졌으며, 여러 번의 그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주변의 자연 환경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관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직접적인 현장 관찰 체험학습을 통하여 대상을 보다 객관적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증진되었다. 넷째, 미술과 과학의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수업을 한 결과 두 과목이 요구하는 학습목표를 서로 연계하여 과학의 개념 습득 및 미술의 시지각적 사고 및 표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하였다. ※ 본 논문은 2011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장자와 상담

        최준섭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Chuang-tzu and Counseling Choi Joon Sup Major i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Sung H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uang-tzu from a perspective of counseling and to get some practical counseling insight from Chuang-tzu philosophy. For this study, The key concepts of Chuang-tzu philosophy were proposed as five concepts, and the counseling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inherent in Chuang-tzu were extracted based on the concepts. Chuang-tzu's content can provide abundant creative ideas in line with counseling approach, because the key storytelling method of Chuang-tzu is fables which give the readers the freedom to interpret the stories in their own way. Various content were categorized, and the associations among them were determined and reinterpreted from a counseling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Chuang-tzu and counseling” could be determined more easily, by analyzing the key concepts of Chuang-tzu. The concepts include the philosophy of Way, Inaction, Nature, Sacrifice, Core Material, and Oblivion in terms of counseling psychological meanings. Second, the counselor Chuang-tzu can be found through Chuang-tzu’s interest and role in counseling scenes. They included valuing the changes in clients’ perceptions and ways of thinking, helping clients’ changes and proactive growth, and desiring for clients to gain absolute and spiritual freedom and lead a carefree wanderer’s life. Third, through reinterpretation of each chapter of Chuang-tzu’s writings, various counseling psychological meanings were discovered. To be specific, “Carefree Wandering” refers to the desired state the client aims to achieve through counseling; “Equality of Things” denotes that clients have the potential to grow on their own as well as that each of us is both counselor and client in our lives; and “Health Master” means that a healthy mind is the ultimate goal as well as the very goal of counseling. Additionally, other counseling psychological meanings can be found, including “Life as a Human” for the reason why counseling is needed, “Full Compliance with Virtue” for the counseling process to overcome one’s problem situation, “Grandmaster” for the character that a client should seek to emulate, and “Becoming a King” for becoming a person with ownership of life. Fourth, Chuang-tzu counseling can be characterized as 12 aspects, including counseling as change and growth, a counselor as a client, counseling of unity between one and object, counseling as adaptation and evolution, counseling as discovery, and counseling for self-purification. Fifth, the counseling components extracted from Chuang-tzu’s philosophy book showed links to area of modern counseling and real life. They include guidance, parent consultation, school counseling, career counseling, self-help, character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derstanding that Chuang-tzu was not only a philosopher, but an outstanding counselor. His writings provide counseling psychological meanings that are appropriate and required in the extremely stressful society like these days.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Chuang-tzu counseling and its actual applications in counseling practice. It emphasizes living a carefree wandering life by paying attention to internal health and mental discipline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s.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measures to effectively apply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components of Chuang-tzu counseling found in this study in real life. In addition to research on how to apply these to specific life situation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counseling programs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uang-tzu counseling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Keywords: Chuang-tzu the book, Chuang-tzu the counselor, Chuang-tzu and counseling, counseling psychological components found in Chuang-tzu the book.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5. 논 문 요 약 장자와 상담 Chuang-tzu and Counseling 최 준 섭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전공 (지도교수 : 박 성 희) 이 연구의 목적은 장자(莊子)의 철학과 그의 사상이 담겨 있는 책「장자」를 상담학적 의미로 재해석함으로써 장자 상담의 면모와 장자 상담의 다양한 특징을 밝혀 현대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장자 상담의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장자 철학의 중요 개념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책 「장자」에 내재된 상담적 특징과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책 「장자」의 주된 이야기 방법인 우화(寓話)는 그 특성상 읽는 사람들에게 제각각 나름대로의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는 자유로움을 가지고 있는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담학적 접근이라는 방향성만 유지한다면 무궁무진한 상담적 요소를 제공하는 충분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하여 기존의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료들을 같은 맥락이나 동일한 범주로 묶어 상담적 연관성을 밝히고 새롭게 재해석 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서 첫째, 장자 철학의 중요개념이라 할 수 있는 도(道), 무위(無爲), 자연(自然), 제물(祭物) 그리고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을 상담학적 의미로 분석하여 ‘장자와 상담’의 관계를 보다 쉽게 풀어낼 수 있었다. 둘째, 상담 장면에서 나타나는 장자의 관심과 역할을 통해 상담자로서 장자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는 청담자의 인식전환과 사유방식의 변화를 중시했다는 점, 청담자의 변화와 주체적인 성장에 조력했다는 점 그리고 청담자가 절대적, 정신적 자유를 얻어 소요유의 삶을 살기를 원했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책 「장자」의 내편(內篇)의 각 편(篇)명을 상담적 의미로 재해석한 결과 다양한 상담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좀 더 세부적으로는, 소요유(逍遙遊)는 상담을 통해 지향하는 청담자의 모습을 의미하고 있으며, 제물론(齊物論)은 청담자에게는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과 함께 우리 모두가 삶속에서 상담자이자 청담자임을 의미하고 있고, 양생주(養生主)는 마음의 양생이 곧 상담이 추구하는 목적이자 궁극적인 목표임을, 인간세(人間世)는 우리 모두에게 상담이 필요한 이유로, 덕충부(德充符)는 청담자가 자신의 문제 상황을 극복해나가는 하나의 상담과정으로서, 대종사(大宗師)는 상담자가 지향해야 하는 모습을, 응제왕(應製王)에서는 상담을 통해 청담자 자신이 삶의 주인으로 ‘응제왕’해야 한다 등의 다양한 상담적 의미들을 찾을 수 있었다. 넷째, 장자 상담의 특징으로 변화와 성장의 상담, 서로가 상담자이자 청담자인 상담, 물아일체의 상담, 치언의 상담, 발견의 상담, 자정을 위한 상담 등 총 12가지의 측면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다섯째, 장자(莊子)의 사상과 책 「장자」에서 추출한 상담적 요소를 가지고 현대 상담 및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찾을 수 있었는데, 이는 크게 생활지도, 부모 상담, 학급 상담, 진로 상담, 자기(自己) 상담법, 인성 교육과 다문화교육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인식의 전환을 통한 내면의 건강과 마음의 수양에 주의를 기울여 소요유(逍遙遊)의 삶을 살기를 강조한 장자를 통해 장자가 철학자뿐만 아니라 극도의 스트레스로 고통 받고 있는 현재의 시대상황에 적합하고 꼭 필요한 상담학적 의미를 제공해주는 뛰어난 상담자임을 알고, 장자 상담의 가능성을 찾아 실제 적용을 시도하는 상담학적 연구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한 장자 상담의 특징과 관련 요소들을 실제 생활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하다. 구체적인 생활 장면에서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를 비롯하여 장자 상담의 특징을 반영한 구체적인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한 연구도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책 장자, 상담자 장자, 장자와 상담, 책 장자에서 나타나는 상담학적 요소 ※ 본 논문은 2015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영재수업 활동 사례 분석

        우미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ABSTRACT An Analysis on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and activity cases for the gifted student class of the students selected by the examination of observation․recommendation Woo mi ran Major in Science Gifted Education Graduate School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ongwook Park, Ph. D The relation between the gifted student class program activity cases and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for the selected student by the examination of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for 9 students selected by the examination of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in institut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of CNUE was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depending on the description style and contents of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and 1 student was selected from each group for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 a1 who was described with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episode style in the letter of recommendation showed the aggressive task adher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tudent, a2 who was described with definitive․social characteristics in episode style attended at the class in active attitude, but the student solved the problem by the assistance of the colleagues or the teacher. The student, b1 who was listed superficially in the teacher's recommendation showed the excellent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 task adherence, experiment design ability and experiment manipulation ability. The student, b2 who was listed in superficially in the teacher's recommendation attended at the class in positive and upright attitude, but the task solving was lagged behind. The most of the students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in the definitive area on the letter of recommendation from the teacher attended at the class actively. The student a1 and b2 attended at the class actively always and the student b1 displayed the aggressive attitude in the favored contents of the class. There was a seasonal difference, for example, the student, a2 showed the most active attitude at the winter camp in 2010 at the occasion of selection for the science in-depth clas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the social area in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were appeared in variety depending on the ability of the student in the gifted student program performance course. The student, b1 who was approved for his ability by his friends in performing the gifted student program showed the same leadership in the school sites , but the student a2 and b2 who showed medium performance ability in the gifted student program attended at the class friendly in cooperative attitude. The student, a1 who showed the leadership of encouraging the confidence of the friends at the school life displayed the powerful rivalry mind while showing the cooperative attitude rather than the leadership. It is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description on the cognitive area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letter of recommendation to have the imaginative power for deciding the gifted student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diversified special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the club activities shall be expanded to display the specific examples in the schools at the front lin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2. 論 文 要 約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영재수업 활동 사례 분석 禹 美 蘭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科學英才敎育專攻 (指導敎授 朴 鍾 旭) 본 연구에서는 관찰․추천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영재수업프로그램 활동사례와 교사추천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C 교육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10년 관찰․추천전형으로 선발된 학생 9명의 교사추천서를 분석하였다. 교사추천서의 서술방식과 내용에 따라 학생들을 4그룹으로 분류하고, 분석대상으로 그룹별로 1명씩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추천서에 일화 형식으로 영재의 인지적 특징이 서술된 학생 a1은 영재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적극적인 과제집착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나타내었다. 일화 형식으로 영재의 정의적․사회적 특징이 주로 서술된 학생 a2는 적극적인 태도로 수업에 임하나 동료나 교사의 도움을 받아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교사추천서에 피상적으로 인지적 특성이 나열된 학생 b1은 과제집착력, 실험설계능력, 실험기구조작능력 등을 바탕으로 우수한 문제해결력을 보였다. 교사추천서에 피상적으로 정의적․사회적 특성이 나열된 학생 b2는 적극적이며 바른 태도로 수업에 임하나 과제해결이 미흡하였다. 교사추천서에 정의적 영역의 빈도수가 높은 학생들은 영재프로그램에서도 대부분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과제수행에 임했다. 학생 a1과 학생 b2는 늘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했고, 학생 b1은 좋아하는 수업내용에서만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학생 a2는 과학 심화반 선발이 있는 2010년 겨울캠프 때 가장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시기별로 차이가 있었다. 교사추천서의 사회적 영역에 대한 개인별 특성은 영재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학생의 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친구들에게 영재프로그램 수행 능력을 인정받은 학생 b1은 학교현장에서와 동일한 리더십을 나타내었고, 영재프로그램 수행능력이 보통인 학생 a2와 학생 b2는 협조적인 태도로 우호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교에서 친구들의 자신감을 북돋워주는 리더십을 나타내는 학생 a1은 리더십보다는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며 강한 승부욕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관찰․추천 영재선발에서 교사추천서가 영재판별의 예측력을 갖고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천학생에 대한 과학지식, 주도적 탐구능력 등 인지적 영역의 서술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사례가 나타날 수 있도록 일선 학교에서 동아리 활동 등의 다양한 특별활동이 확대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은 2012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 사회과 지역화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 및 실행 : 통합 청주시 지역을 사례로

        기성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은 학생들의 생활공간에 근거한 지역화 학습을 위하여 2014년에 새로 출범한 ‘통합 청주시’ 지역을 주제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 지역화 학습 현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주제 중심의 지역화 학습에 참여함으로써 평소 지역화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학생과 교사에게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의 정의와 사회과 지역화 학습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지역화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과정 재구성의 기초가 될 이론적 배경으로 프로젝트 수업의 개념, 특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화 학습에 프로젝트 수업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다양한 활동 중심의 통합 수업이 가능한 교육적 방안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화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설계하였다. 첫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각 단원 주제의 목표를 분석하였다. 둘째, 지역화 학습에 적합한 주제와 관련이 있는 사회 교과서와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거주하고 있는 ‘통합 청주시’ 지역과의 연관성 정도를 알아보았다. 셋째, 본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관심 수준과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원칙을 선정하였다. 다섯째, 설계의 기본 원칙에 따라 총 2개의 수업주제와 각 수업주제와 연결되는 8개의 활동주제를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활동주제 수업의 설계안을 작성하였다. 이에 따라 ‘통합 청주시’ 지역을 사례로 설계된 프로젝트 수업은 총 8개의 활동주제로 실시되었다. 여기에 수업장면을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통한 수업반성, 학생들에게 프로젝트 수업 전·후로 실시한 설문조사, 프로젝트 활동 결과물, 개별면담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 수업의 실행 결과를 얻었다. 첫째, ‘통합 청주시’를 주제로 실행한 프로젝트 수업 결과,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우리 지역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가 높아졌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 이후 학생들은 ‘통합 청주시’에 대해 새로 알게 되거나 이전보다 자세히 알게 된 내용들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 결과,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표현활동에 참여한 것이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젝트 수업 이전보다 ‘통합 청주시’ 지역에 대해 소개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학생들의 생활공간을 주제로 설계된 프로젝트 수업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활동이었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지역화 학습은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도나 애향심을 높여주는 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과정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표현활동이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 지역화 학습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통합 청주시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이 지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음악교육에서의 말리듬 활용방안 연구

        고정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요약 음악교육에서의 말리듬 활용방안 연구 고 정 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오르프 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연 경) 본 연구는 말리듬을 활용하여 음악수업을 전개하고자 할 때 해당 언어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적용한 말리듬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음악교육에 있어 말리듬의 활용을 강조한 오르프의 철학과 말리듬의 교육적 가치를 비롯하여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과 한국시의 운율 및 한국음악의 박자와 리듬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말리듬 활용의 예를 리듬학습 단계별로 다양한 언어적 소재를 사용하여 제시하고 이러한 말리듬이 음악영역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그동안 말리듬의 연구는 교과서의 제재곡에서 리듬을 분석하여 말리듬을 적용하거나 가창곡의 가사분석에 국한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어로 된 텍스트로부터 자연스럽게 말리듬을 경험함으로써 음악교육의 시작으로서 말리듬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각 활용예시는 단계마다 개별단어, 동시, 속담, 수수께끼, 놀이노래, 이야기 등 언어적 소재를 선정하여 말리듬을 결정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제시 및 각각의 언어적 소재를 말리듬에 활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언어학적 특징을 서술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각 활용예시에 적용한 한국어의 언어적 특징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으로 개별 음절마다 자유로운 리듬 부여가 가능하나 긴 박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는 해당음절 종성의 성격을 고려한다. 둘째, 말토막의 유형 중 머리형, 복합형은 못갖춘마디나 당김음 리듬패턴에 사용될 수 있고 쉼표에 의한 당김음은 꼬리형의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당김음은 모음의 장단보다 2음절 이하 초성의 마찰과 폐쇄 정도를 먼저 고려하고 못갖춘마디의 경우는 말토막의 강세 유형과 함께 통사구조의 변화 가능성도 함께 고려한다. 넷째, 강박에 조사, 어미 등을 탄력적으로 수용한다. 다섯째, 시를 말리듬에 활용할 경우에는 음보율과 음수율을 고려하되 서양음악의 구조와 형식과 일치될 수 있는지 고려하여 박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만, 음수율과 음보율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박자를 먼저 결정하고 낭송에 의해 분절되는 단위를 고려하여 마디를 나누고 박자에 맞게 리듬을 부여한다. 여섯째, 어문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기보다 현실발화를 먼저 고려한다. 언어를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는 리듬뿐 아니라 선율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한국어가 가진 특징과 음악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어의 리듬으로부터 리듬을 경험하고, 한국어의 억양으로부터 선율을 배움으로써 오르프 슐베르크를 아이디어 삼아 한국에 가장 적합한 슐베르크를 만들고 이와 관련된 이론과 지도체계가 완성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지길 기대한다. 주제어 : 언어리듬, 오르프 슐베르크, 음악교육, 말리듬, 리듬지도 ※ 본 논문은 2015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Approach Using Speech Rhythm in Music Instruction Jeongmi Ko Major in Orf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kyung Le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opose a method to apply speaking rhythm for music instruction while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language. To achieve this, Orff’s philosophy that emphasizes application of speech rhythm and the philosophy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speech rhythm, 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cadence of Korean prosody, and the meter and the rhythm of Korean music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examples of speech rhythm applications were proposed for each rhythm education step using various linguistic topics, and a speech rhythm teaching methodology idea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musical area was proposed. Speech rhythm research up to now analyzed the rhythm of musical text music pieces to apply music rhythm or was limited to the lyrical analysis of singing songs.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a method that applies speech rhythm to music from text that is in Korean for a natural approach to speech rhythm. In each step of the application examples, linguistics materials such as individual words, children’s poems, proverbs, riddles, play songs and tales etc. are chosen to decide the speech rhythm, and also present the linguistical characteristics tha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pplying these linguistics materials to present musical activity and for applying speech rhythm to each of the linguistic materials. Through literary research, the summary of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at are applied to each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assign any rhythm to each syllable, but in the case where the rhythm needs to be held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nal consonant of the syllabl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 out of the speech block types, the head type and the combination type can be used for incomplete bars and syncopation, and syncopation due to rest can use the tail type. Third, syncopation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riction and closure of the first vowel more than the length of the vowel, and first takes into consideration and friction and closure amount of the less than two syllable first syllables, and in the case of incomplete bar, the stress and the possibility of chance in the syntax structure of the speech block a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Fourth, postposition and end of words etc. are flexibly accepted for stress. Fifth, in the case that poetry is applied to speech rhythm, foot meter and syllabic meter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whether it can be matched with the structure and form of Western music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choose the meter. But in the case where the foot meter and syllabic meter are not consistent, the meter is chosen first and the units are divided by how they are separated during recital and the rhythm is assigned. Sixth, rather than apply strict grammatical rules, the realistic implementation is considered first. Language can be used in the application of music instruction not only as a rhythmic element but also as a melodical element. Through continuous in depth research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music, by experiencing rhythm from the rhythm of Korean language and by learning the melody from the inton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with inspiration from Orff Schulwerk, this research looks forward to the most appropriate Schulwerk for the Korean language and the foundation for the related theories and instruction system to be established. Keywords: speech rhythm, Orff Schulwerk, music instruction, language rhythm, rhythm instruc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5.

      • 웹기반 전자회로 시뮬레이션 사이버교육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보영 淸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첨단 지식 기반사회는 일상생활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여러 분야에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컴퓨터의 발달과 더불어 인터넷 교육에 관련된 사이버 학습이 범람하고 있으나, 공업적 실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기능을 습득하고, 산업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매체가 부족한 실정이다. 컴퓨터의 비약적인 발달과 함께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발달은 교육 방법에 커다란 변화를 주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부흥하면서 국가 사회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교육에서 컴퓨터의 활용은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와 웹의 다양한 정보 자원을 이용한 탐구학습, 사이버 학습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학습은 교실의 벽을 넘어 새롭고 다양한 흥미와 교육의 역동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러한 교육의 새로운 방향은 가상학교나 WBI와 같은 교육적 활용분야로 집중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멀티미디어의 활용은 문자, 그림, 소리, 애니메이션, 비디오 영상 등의 매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정보의 전달 방식을 다양화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회로 교과의 전자회로 설계 단원을 웹 기반 전자회로 시뮬레이션 사이버교육시스템으로 설계 · 구현하였다. 본 사이버교육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내용을 피드백 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과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활용하여 설계하였으며, 또한 문자, 소리, 애니메이션, 비디오 영상 등을 통한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발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적절히 구성하였다. 또한 전자회로 교과 이외에도 전기 전자 측정 및 전자회로 실습교과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갖도록 하였다. * 본 논문은 2004학년도 12월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논문임 In the society based on high advanced knowledge, computer is in use daily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et encourages people to increase an education of Internet in various fields. Even though the cyber learning related to Internet education overflows, the education media with learning of basic function needed to perform the industrial business efficiently is deficient in these days.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brings about the big change of education methods. To keep up with these current of the times and take the lead of country, the application of computer in education is an urgent problem. So new various kinds of learning like an investigation learning and a cyber learning shoul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ources of multimedia and web beyond the wall of classroom. Then they must provide the new various interest and dynamics of education. The new orientation of this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like cyber school or WBI. An application of multimedia in education, by using various media-letters, pictures, sounds, animations, videos, images and presenting various studying materials, learners can not only study actively and subjectively but promote the effect of learning, increasing the various way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So this paper plans and applies the web based on electronic circuit simulation cyber education to an electronic circuit design unit in technical high school. This web based cyber education system is designed to feed back substance of learners' study for object, using the function of hyper technical skills, and this system let learners use multimedia-the letters, pictures, sounds, animations, videos, & images for themselves and made them have a learning motive and promote reciprocal action. So this web based cyber education system was made so that learners could play a leading role in studying for themselves, and it could be widely used in education related to electronic circuit and electric electronic measurement, electronic circuit practice.

      • 신체운동지능을 활용한 독서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나은정 청주교육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 요약 신체운동지능을 활용한 독서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나은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지도교수 정 종 성) 이 연구는 특수학급에서 독서지도를 통하여 신체운동지능에 강점을 보이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단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청주 소재 B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된 네 명의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운동지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독서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독서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 두 차례 수정을 거쳐 수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수정에서 수업은 교사의 열정으로 학생들의 집중력과 호기심이 높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수업진행에서 교사의 열정이 지나쳐 쉬는 시간이 없이 블록 수업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주의집중이 저하되었고, 목표단어를 단조롭게 제시하여 학생들은 이야기 글에서 목표단어를 찾지 못해 우왕좌왕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 수업 중간에 휴식 시간을 확보한 결과 학생들이 읽기 활동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었고, 목표단어를 확대하고 가시도가 높은 색으로 제시하여 이야기 글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수신호를 도입함으로써 우왕좌왕 하는 학생들이 교사의 지시를 정확히 이해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수정은 독서프로그램이 7차시 이상 진행 되었을 때 이루어졌다. 수업은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신체활동에서 학생들이 지나친 경쟁심을 가져 서로 비난하고 실패에 대해 상심하였다. 또한, 7~8차시 수업에서 단어읽기 외에 다른 목적을 설정하고 지루한 도서를 선택함으로써 학생들이 집중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워 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체활동에 협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힘을 합쳤고, 적절한 도서 선정을 위해 독서량이 많은 저학년 학생에게 흥미있는 도서를 추천받아 목록을 변경함으로써 수업태도가 좋아졌다. 두 번의 수정을 통해 신체운동지능 활성화 독서프로그램이 다듬어지면서 학생들이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수업 전에는 독서알림판을 활발히 이용하여 제시된 낱말게임을 하고, 음성 스티커를 통해 학습할 도서를 미리 들어봄으로써 줄거리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수업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경험을 이야기하고 진지하게 질문하며 아이디어를 제시하였고, 능숙하게 목표단어를 찾아 녹음 포트폴리오를 만들며 학생이 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끌었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전․중․후에 단어읽기검사, 전․후에 독서태도검사, 매 회기 녹음 포트폴리오를 기록하여 성취도를 파악하였다. 검사 결과 지적장애 학생들의 단어 읽기 능력은 실행 전·중·후 11점부터 최고 30점까지 평균 18점의 향상 되었고, 독서 태도 검사 결과 신체운동지능 활성화 독서프로그램 전․후 8점부터 최고 32점까지 평균 17점의 향상을 보였으며 녹음 포트폴리오 결과 목표단어 50개 중 8개 부터 47개 까지의 단어를 읽을 수 있었다. 정현의 단어 읽기는 73.3, 86.6, 90점으로 발전하였고 독서 태도는 55점에서 68점으로 향상 되었으며, 발음이 좀 더 분명해졌고 수업 중 사용한 도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다. 유미의 단어 읽기는 26.6, 43.3, 56.6점으로 향상 되었고, 독서 태도는 67점에서 78점으로 향상되는 과정에서 단어 읽기와 암기력이 좋아져 추후 자음-모음 결합을 병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 기질적인 언어장애를 보이는 강산이는 단어 읽기 46.6, 66.6, 56.6점, 독서 태도 55, 68점으로 향상되었으며 발음 교정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 아니었음에도 스스로 천천히 한 글자씩 발음하는 방법을 습득하였다. 미정이는 단어읽기 13.3, 23.3, 30점, 독서 태도 44, 76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기존에는 그림카드만 읽을 수 있었으나, 독서프로그램 적용 후 처음으로 단어카드를 보고 읽게 되는 질적 변화를 이루었고, 소극적이며 말이 없던 태도에서 적극적으로 읽기 수업에 참여하고 의견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신체운동지능을 활용한 독서지도가 지적장애 학생들의 단어읽기 능력과 독서태도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대상과 학습자료의 정확한 이해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수업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 학생이 강점을 보이는 다중지능 영역을 파악하여 수업 활동에 활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주요어: 다중지능, 강점기반교육, 신체운동지능, 독서교육, 단어읽기, 지적장애 *본 논문은 2014년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美術館 活用 敎育 活動을 통한 初等學校 美術 鑑賞 指導에 관한 硏究

        사명숙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79

        미술 교육은 그 본질에 있어 인간 소외 현상을 완화시키고 심미적인 인간을 기르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아동들에게 예술성이 풍부해질 수 있는 미적 안목을 높여주고 미술관 활용 교육을 통해 미술 감상 교수·학습 내용을 지역 및 학교 실정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감상자가 스스로 예술의 세계로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수·학습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사례는 환경적 요인인 문화적·지리적 배경이 동일한 본교 제 6학년 1반 4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1999년 9월 1일부터 2000년 8월 31일까지 12개월간 현행 미술 교육과정의 미술 감상 교수·학습에 대한 미술관 활용 교육의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미술 감상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미술관 활용 교육은 미술관 체험 활동, Work-Sheet 자료와 미술관 웹사이트 정보 자료를 적용하였다. 초등학교에서의 미술관 활용 교육의 가능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초등미술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아동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 흥미도와 면담및 감상 기록을 통해 감상 능력의 향상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처리는 수집된 자료를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표준편차인 기술 통계와 t검증으로 초등학교에서의 미술관 활용 교육을 통한 감상 능력 향상과 지도 방법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미술관 활용 교육을 통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은 아동들의 감상력 증진은 물론 창의적인 표현 능력 신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되었다. 아동들에게 현장 학습의 장(場)으로 사회교육 기관과의 연계된 미술 감상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미적 안목과 미술품에 대한 감상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으며, 아동들이 충분히 감상할 수 있는 기회 제공으로 질 높은 미술 감상 교수·학습을 전개하는데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미술 감상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국어, 사회, 음악 등 다른 교과에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미술 문화의 특수성과 고유성을 이해하고 미술 작품의 시각적·미적 특질을 감수(感受)하고 나아가 작품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나름대로 해석하며 이에 대한 미적 판단력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상과 같은 결론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들에게 21세기에 대처하는 정보화 및 외국어 교육도 중요하지만 획일화된 교수·학습의 폐단인 의사 소통 기회 상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첨단 기기 활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전통적인 미술 감상 교수·학습 방법에서 탈피하여 보다 발전된 다양하고 창의적인 미술관 활용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일선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되어야 하겠다. 셋째, 바람직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을 위해 교사 스스로 미술관을 자주 찾아 감상하는 기회를 증진하여 감상 안목을 넓히려는 교사들의 관심있는 자세가 절실히 요구된다. 넷째, 미술 감상 교수·학습뿐만 아니라 국어, 사회, 음악, 등 타 교과에도 이러한 교육 방법을 실제로 적용하여 아동들이 폭 넓은 체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Art education is thought to be very valuable since it prevents alienation of human and cultivates esthetical person. This study has three purposes : one is to help learners to raise esthetic eye for art, which enriches artistic sense, the other is to aid teachers in the field to reorganize learning-teaching activities of art using education in museum considering conditions of region and school, and the third is to present teachers the efficient learning-teaching activities as models, which enable learners to be emerged into artistic world using museum. For this study, 42 subjects, who belong to the class 1 of grade 6 in this school were selected and all of them were placed under the same circumstances in culture and geography. The period of this study took 12 months from September 1, 1999 to August 31, 2000. This paper reviewed and analyzed the meaningfulness and teaching methods of art appreciation, about on learning-teaching in current art curriculum. And this paper used resources from field trips in museum, work sheet materials, and informations about museum web sites on internet. This study also contained data surveyed from the teachers who were majoring elementary art education as graduates i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to know the practicability of this study using education in museum. And this study included data on interests in learning, interviews and writings from students, before and after art appreci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technical statistics and (t) inspection showing average,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SPSS/PC+ program. Through these methods, the learning-teaching activities using museum yield various results. The following summarizes some of the important findings. It is found that art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education in museu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abilities in appreci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And this kind of learning-teaching activity is proved more effective when it is associated with public institutes, since it enables learners to have enough chances to appreciate works of art and it also gives learners opportunities to raise eye for art and ability of art appreciation. So it will be desirable that these learning-teaching activities using museum are applied to other subjects such as Korean, Social Study, Music, and so forth. In the previous section,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museum was identified as efficient devices since it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originality and specialty of art, to perceive visual and esthetic characteristics of works of art, to express meanings of works of art in their own words, and to raise artistic insight. Based on the conclusions above, several comments need to be further explored : First, Though it is necessary to teach children foreign language and technology, the program spearhead an apparatus using required since it solves children's problems loss of communication. Second, more creative educational programs using art museum should be developed and spread to teachers in the field through the forms more accessible. Third, it often visit to Museum also important for teachers themselves to try developing opportunity and train in field of art appreciation. Forth, Institutional plans should be discussed for applying this kind of method to other subjects such as Korean, Social Studies, Music, and so forth since this type of educational method using museum helps students to experience subjects di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