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 7차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새로운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안

        김변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11

        As the world is turning to new millenium, the whole society in all aspects of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s standing in a great turning point. At present time there are so many things to be correct, but this study is going to focus on curriculums of 10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in comparison with the 7th educational course, investigating what kinds of problems they have and finding out solutions, so as to establish more improved model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s. As such the specialized graduate school which strengthens a profession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harge of the present office teacher's reeduc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at once, plays an very important role as endowment of master's degree in pedagogy inception process. It is very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because it is the origin of all music curriculum. In this study, laying stress on the present course of music education in the t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that is, Seoul National University, Yeonsei University, Ihwa women's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Kunkook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ngshin women's University, Sangmyung University, Kookmin University, the curriculum in music education major has been compared and investigated. And after that I came up with desirable curriculum, composed of understanding perspective and action perspective, in comparison with the 7th educational course. In the part of introduction, I suggested the necessity, goal, method, contents, scope and limitation of study. In main part, focusing on te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I examined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objective, purpose, goal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And I pointed out problems after I compared and investigated curriculums of music education major divided into necessary course, non-necessary course, and composite investigation. Finally, I suggested a right direction for music education curriculum to take. For a conclusion, summery of study and my opinion about the necessity or followed study are described. As the result,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curriculum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present national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such object of the graduate school as training of music teachers and reeducation of present office teachers, the curriculum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be reorganized in the close connection with the primary·secondary school. As the part which should be reformed first, I point out that courses for Korean national classical music has run short in comparison with west music. For the systematic and liberal education, the courses for Korean national classical music should be opened actively, an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elf should effort for the improvement and estimation on the course of study bias with balance. In this dissertation, because the research is conducted focused on te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we need to generalize this study after we investigate curriculums of more various university. As well as,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music education major with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nd with same course of foreign universities are needed. By the mediumism of such a research, to goals,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the good model of music education course and the well-balanced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will be reached. 오늘날 우리 사회는 세기적 전환점을 맞이하면서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부응하여 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여러 분야에서 전문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런 현 시점을 기준으로, 시정되어야 할 문제점 중에서도 지도적 자질을 갖춘 교육전문가의 육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교육대학원 중 서울 소재하는 10개의 음악교육전공의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을 교육부의 7차 음악 교육과정과 연계해서 비교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여 좀 더 발전적인 음악교육과정의 모형을 정립하고자 한다. 특수대학원에 속하는 교육대학원은 전문교육을 강화하는 전문대학원의 일종으로, 교육학 석사학위 취득과정으로서 현직 교원의 재교육 및 계속교육 기관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 음악교육을 이끌어 나가는데 큰 공헌을 하고 있는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은 모든 음악행위의 근본이 되며 밑바탕이 되는 것이 음악교육과정이라 생각되어,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의 10개 학교(개설연도 순) 즉,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상명대학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의 현행 음악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전공의 실태를 파악하여 비교하였다. 교과과정 비교에 있어서는 교과과목의 연구를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과 연계해서 바람직한 교과과정 방향을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의 2가지로 나누어서 제시해 보았다. 연구내용으로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방법, 내용, 범위와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본론에서는 제7차 음악교육과정에 관한 고찰을 한 후, 서울소재 10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비교 및 연구를 함으로써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이상과 같은 연구내용을 토대로 음악교육 교과과정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상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내용의 요약과 함께 후속연구의 필요성 등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현행 교과과정은 교육부의 현행 교육과정과 다소 거리감이 있어 보였다. 현직교사의 재교육 및 음악교사의 양성이라는 대학원의 취지를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깊은 연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을 재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개선되어져야 할 부분으로 각 학교마다 국악 관련 교과목이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체계적이고 폭 넓은 교육을 위해서는 국악영역 교과목의 개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대학원 스스로가 교과과정을 평가하고 개선의 노력을 함으로써 균형 있는 교과과정 편성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의 10개 학교에 한정되어 연구되었으므로, 앞으로는 서울 소재 학교 외에 다양한 대학교를 대상으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초·중·고등학교 음악교육 교과과정과 교육대학교 초등음악교육전공과 중등음악교육전공의 교과과정 비교 및 연구, 나아가 전문화된 외국 동일과정과의 비교 연구 등의 후속연구가 계속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보다 나은 교육대학원의 바람직한 교과과정의 정립과 균형 잡힌 음악교육의 발전을 기대해 본다.

      •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전공 교과과정 연구

        이은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95

        중국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것은 중국어 교육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나갈 양질의 교사를 확보하는데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이들의 재교육 기관이자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과과정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과과정으로서 지향해야 할 기본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교육과정 분석에 있어서는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9개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하였다. 중국어 교육학과의 교육목표를 살펴보았는데 각 교육대학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9개 대학원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표는 중국어 분야에 대한 연구 능력과 교과 교육능력을 가진 창조적인 교육전문가의 양성이었으며 이는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신규 교사 양성의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전제로 하고 학교별 중국어 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중국어 교육학과 중국어 내용학으로 분류하고,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과교육학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내용의 타당성을 위하여 설문조사의 방법을 체택하여 연구한 결과,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중국어 교육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대학원 수업의 질이 달라져야 한다. 둘째, 중국어 교육학과 중국어 내용학이 균형있게 다루어져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중등학교 중국어 교육내용과 보다 더 밀접하게 연계되어진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중국어 교육학을 전문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수(강사)진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공과목의 추가 개설 및 융통성 있는 행정운영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육과정에 있어서 한두 과목은 임용고사를 위한 과목이 개설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중국어교육전공을 설치한 9개 교육대학원에 한하여 실시되었다.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는 중국어교육전공을 설치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전체를 대상으로 보다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在提高汉语教育质量的关键便在于能否确保优秀老师的前提下,通过研究汉语老师再教育及培养机关的教育硏究所汉语教育系教学课程,不但提出了课程上的问题,而且摸索了汉语教育系的教程应该志向的远大方向。 主要以首尔所在的9所教育硏究所为主进行教育课程分析研究。虽然各所硏究所的教育目标有所不同,但9个硏究所共同提出的教育目标为培养拥有汉语研究能力和课程研究能力的创造性教育专家。在此可见,这里隐含着现任老师继续教育和新老师培养的两大意义。 以上述内容做为前提,将学校别汉语教育专业教程分类成汉语教育学与汉语内容学,且分析教育硏究所教程的核心的科目教育学,还为了内容的妥当性,采取问卷调查的方法进行研究。通过这些研究,得到的主要结论如下。 第一,教育硏究所教程必须转换为能培养备齐天资和能力的汉语教 育专家的方向。 第二,汉语教育学与汉语内容学应该要有均衡运作。 第三,需要与中高等学校汉语教育内容更密切连接的教程。 第四,需要能专门教汉语教育学的教授团。 第五,需要专业科目的追加开设及灵活的行政运营。 第六,希望在教育课程上,开设一或两个有关任用考试科目。 本研究只局限在首尔市内开设汉语教育专业的9个教育硏究所进行的。所以,希望在后续研究里可以以设置汉语教育系的我国教育硏究所全体为对象实现更包括而多方面的研究。 因本研究前所未有,未免不正之处,只望能起到抛砖引玉的作用。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문영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9695

        우리나라 大學院 敎育制度는 一般大學院이 53年부터, 特殊大學院이 60年代初부터 設立되어 오늘에 이르면서 敎育 內的 및 外的으로 많은 變遷과 發展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現 時點을 基準한다면 아직도 是正되어야 할 많은 問題點들이 內在해 있음을 直視한다. 本 硏究에서는 이러한 많은 問題點 중에서도 指導的 資質을 갖춘 敎育專門家의 育成을 目的으로 하고 있는 敎育大學院 音樂敎育에 있어서 時急하게 해결해야 할 많은 問題點들이 있어 差眼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모든 音樂行爲의 根本이 되며 밑바탕이 되는 것이 音樂敎育課程이라고 생각되어 그 問題點을 파악하고 새로운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을 試案 作成하기 위해서 現行 우리나라 敎育大學院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을 전부 收集해서 分析하고 美國의 석사과정 中 音樂敎育專攻을 開設하고 있는 유명대학원 7개교를 先定하여 比較 分析하였으며 또한 敎育大學院 在學生을 中心으로 그들의 意識構造 및 音樂敎育 課程에 關한 意見調査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問題點을 發見하게 되었다. 1. 現 敎育大學院에서 施行하고 있는 音樂敎育課程은 均衡性을 喪失한 一慣性이 없는 學科 設定으로 만들어져 있다. 특히 학교별로 開設 科目數 및 配當學點의 격차가 甚하게 나타났다. 2. 音樂敎育專攻인데도 敎育目的에 부적합한 學科目을 設定하고 있는 事例가 있다. 3. 사실상 選擇科目이 있으나 學生의 自由意志에 따른 學科選定을 하지 않고 학교당국의 一方的인 計劃에 의하여 敎育이 施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4. 美國에 比해 實技敎育이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으며 現場硏究(敎育實習)를 通한 실제적인 敎育活動은 전혀 經驗할 수 없다. 그러나 質問紙 調査에 依하면 대부분의 學生이 專攻 및 副專攻實技 敎育과 現場硏究의 重要性을 대단히 必要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위와 같은 理由에서 훌륭한 素養과 指導的 資質을 갖춘 音樂 敎育 專門人을 輩出하기란 어렵게 되어 있다. 이러한 結果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敎育大學院 音樂敎育專攻의 敎育課程은 師範大學과 상호 연계성을 찾아 效果的인 學習이 이루어져야 하고 2. 音樂敎育의 指導者로서 중요한 使命感과 矜持를 길러 주어야 하며 3. 美國의 敎育課程처럼 音樂敎育目標를 이룰 수 있는 體係的인 敎育이 이루어짐으로써 4. 맹목적으로 대학원 體制만을 따르려함으로 빚어지는 모순을 改善하여 音樂敎育의 特殊性이 反映된 새로운 敎育課程을 導入해야 한다.(本 硏究에서는 <表-28>에서 새로운 음악교육전공의 敎育課程 試案을 作成해 보았다.) 끝으로 本 硏究의 試案이 처음으로 試圖된 것임으로 앞으로 좀 더 具體的으로 硏究되어 보다 나은 우리나라 敎育大學院 音樂敎育의 發展을 期待해 본다. A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has been in our country from 1953. Especially,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960's and its many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 are had made of a course of study in intrinsic as well as in extrinsic educational program on graduate school. However, it contains many problems to reform on educational program at present. In my study, I propose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nalysis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my country in comparison with it of America to suggest many problems to be settled amicably in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addition to them, I investigate a consciousness and a view-point of graduate student of education on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According to the above investigation, I obtained the below results. 1. A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by effective study to find a functional connection with the college of education. 2. As a leader of music education, a graduate student should have a mission and a pride on the educational program. 3. A systematical education should be completely given to obtain a purpose of the music education like a curriculum of America. 4. A new curriculum to which a speciality of music education is given life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a contradiction which appears only to be followed a structure of the graduate school.

      •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배관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과 영어 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이 얼마나 연계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정한 연구대상은 2013학년도∼2015학년도 영어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다. 교육대학원의 선정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양성기관 평가 발표 자료에 공개된 A∼D 등급 교육대학원 중에 각 등급별로 2개씩 총 8개의 교육대학원을 선정하였다.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일반영어, 영문학 총 4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에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을 구하였다. 2013∼2015학년도 임용시험 문항의 영역별 평균 퍼센트 비율과 각 등급별 교육대학원 평균 퍼센트 비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교육대학원 전체 등급 평균 퍼센트 비율과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를 일표본 T검정을 통해서 살펴봄으로써 연계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 평균값은 다음과 같았다. 임용시험 출제문항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2.7%, 영어학 21.2%, 일반영어 22.1%, 영문학 14.1%였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5.6%, 영어학 21.1%, 일반영어 10.6%, 영문학 22.9%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B등급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의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C등급 교육대학원의 영문학 영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A∼D등급 교육대학원의 일반영어 영역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연계성을 위한 비율수정을 할 때 연계성이 있다고 검증된 영역을 참고하여 수정하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items from 2013 to 2015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four domains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general English and English literature to find each proportion of the domain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report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selected tw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rom each of the A,B,C and D rank. In other words, the total number of the selected graduate school is eight. The curricula were separated and analyzed in the same way above. Finally, this study compared the average of the percentages of each domain of the examinations items and the curricula respectively. The one-sample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y correlate with each other. This study brought out the following results. The proportions of the examination items are English pedagogy 42.7%, English linguistics 21.2%, general English 22.1%, English literature 14.1%. The proportions of the curricula are English pedagogy 45.6%, English linguistics 21.1%, general English 10.6%, English literature 22.9%. Comparing the figure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amination items and the curricula correlate well except for the domains of English education and general English of the B rank graduate school, the domain of English literature of the C rank graduate school, and the domain of general English of the A∼D rank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result, a concrete suggestion was made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The suggestion is that the proportions of the domains that were determined not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should be fixed. If they are fixed properly, the proportions can be determined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If the suggestion is accepted,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can be mo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 교육대학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백인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on how to improve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is going to train for teacher as in-service training center and re-educated center. This subjects were consist of teachers who are student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re graduated already. This study was made by random sampling of 98 schools which are Seoul and Metropolitan area and was consist of 160 school teacher who are stud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graduated. Among 143 questionnaires, 129 questionnaires without 14 dishonest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ool be used this study made by myself through precedent study which was related study in domestic about the realities of management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 analyzed the collected material using by SPSSWIN and I did test frequency, percentile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s;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studied to take new knowledge and since interesting for major field. They choose after consideration for honor and authority of professor. when taking lectures, they have choose the lectures in concern for their major field and interesting. When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said the difficult is insufficient time and information but most student have satisfaction for their study. They have unsatisfaction for environ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cause of insufficient book in library related major, facility equipment. They prefer a unit of subject to graduation test for a condition of graduation, want to be teach when four semester or three semester. They recognized the method of deciding teaching professor have to consider their decision sufficiently.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statement of research plan, so they want to communicate their thought through the way interview teaching professor and statement in the middle. They want to write dissertation with two way. One is the way present type, the other is replace the credit which have had. In the support of administration, they have low satisfaction, and said tuition fee is too expensive. In the course work period of evening time, they want four or five semester system. In the evaluation of learning, they want the way report or degree of participatio. In the level of content of curriculum, they evaluate that beyond normal then undergraduate. In the curriculum and management, they expect that the kind of subject and the category is going to extense. and although the content which learned in graduate school was a theory, that was very useful to teach student. In case of the type of teaching, the answer of student which a teaching is going to a lecture of professor himself and the answer of student which a teaching is going side by side a statement of student and a lecture of professor are similar. The best desirable teaching type was to go side by side a lecture of professor and statement of student and discussion. In case of lecture and teaching, the best opinion was the needs of sincerity attitude for teaching and preparation of professor. The satisfaction for lecture and teaching of present was no more then 11%. So being variety of the content of teaching and curriculum as to doing regularly function of reeducation and succession education, they expect to improve the management realiti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graduate student expect to be introduce about korea theory pattern then foreign country. Also they expect to be limit for student per a course of study. To improve this problem , I suggest this follows; First, It need formation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for asking of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Second, special study book must dispose in the library enough Third, the useful utility for the graduate school student of education have to be made and improve to use conveniently. Four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maintained comfortable continuously. Fifth, It was made to intensify for service quality of administration support and achieve appropriate time and effectively . Sixth, it need be reduce tuition fee and enlarge scholarship. Seventh, the teaching and semina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to take in focus of the problem in concern with school field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에 대한 계속교육.재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대해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들과 졸업생들의 의견을 파악하여 교육대학원 운영의 개선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수도권의 98개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160명을 임의 표집하여 회수된 응답지 143부중에서 누락반응이 많은 부실한 응답지 14부를 제외한 129부를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에 관한 국내 관련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르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인 교육대학원생들은 새로운 지식 습득 목적과 전공분야에 대한 관심 때문에 진학하고, 교수의 명성과 권위를 고려하여 교육대학원을 선택한다. 수강 신청 시 자신의 전공영역과 관심을 기준으로 수강 선택을 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에 재학하면서 시간과 정보의 부족이 어려움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육대학원생들이 진학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원의 도서관에 전공분야에 관련된 서적과, 편의시설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평가하여 교육대학원의 전반적인 교육환경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다. 졸업요건으로 종합시험 대신 교과목의 학점으로 대치하는 것을 선호하고, 4학기나 3학기에 논문을 지도 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위 논문 지도교수 결정방법으로 학생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계획서 발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그 형태로 지도교수와 면담하는 방법과 중간발표의 형태로 의견을 교환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학위논문 작성은 현행도로 작성하는 방법과 누적된 이수학점으로 대치하는 방법으로 나뉘어 나타났다. 행정지원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교육대학원의 등록금이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다. 야간제 수업연한으로는 4학기 제와 5학기 제를 선호한다. 학습평가 방법에 대해 보고서 평가나 수업 참여도 평가를 교육대학원의 학습방법으로 선호하고 있고, 학부와 비교한 교육과정의 내용수준은 보통이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그 운영에 대해 현재 소속된 교육대학원 교과과정과 운영에서 개설과목의 종류나 범위가 좀 더 확대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교육대학원에서 공부한 내용이 주로 이론적이지만 학생을 지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현 교육대학원 수업방식에 대해 교수강의 형태로 교육대학원 수업이 진행된다는 응답과 교수강의와 학생발표가 병행되어 수업이 진행된다는 응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수업형태로는 교수강의와 학생발표 그리고 토론학습이 병행된 수업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에 대해서 교수의 성의 있는 준비와 수업태세가 요구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현재의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에 대해 만족하는 응답자는 11%에 불과하였다. 강의 내용과 교과과정이 다양화되어 현직교원의 계속교육.재교육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운영실태가 개선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 외에 교육대학원생들은 교수나 강사의 수업내용이 외국 이론보다는 한국적 이론 모형을 강의내용에서 소개받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행정 지원의 강화와 한 강좌 당 수강인원이 제한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교육대학원생의 요구를 반영하는 교과과정의 편성과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도서관에 전공서적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생들을 위한 편의시설이 확보되고 이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대학원의 교육환경은 지속적으로 쾌적하게 유지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다섯째, 행정지원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적시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장학금 지급의 확대와 학비의 감면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육대학원 강의나 수업이 학교 현장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리더십 교육의 특성에 대한 비교분석

        한혜영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20세기 이후 본격적인 리더십 교육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현대 사회의 리더십 교육은 무한한 양적·질적 팽창을 가져왔다. 따라서 대학의 리더십 교육에 대한 본 연구는 향후 대학의 리더십 교육 발전 을 위해 필요한 연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리더십 교육 특성 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한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의 발전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학의 리더십 교육 특성을 비교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한국 대학의 비교 대상은 리더십 연구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 대학으 로 하였다. 리더십 교육의 특성을 살피기 위해 리더십 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 심으로 하여 미국과 한국 미국 대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의 리더십 교육은 자기이해, 봉사활동, 목표설 정, 시간관리 등의 셀프 리더십을 함양시키는 교육 내용의 공통적 특 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이점으로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은 교육 시간이 장기적인 반면 한국 대학은 1년 이내의 단기적 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과 미국 대학의 리더십 교육이 갖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리더십 교육의 목적은 대학의 철학 및 국가의 고등교육기관의 목적과 동일하며, 둘 째, 이론적 내용과 체험 교육을 병행하는 학습방법을 실시하며, 셋째, 자기 성찰에 관한 셀프 리더십의 함양과 대인관계에 필요한 의사소통, 갈등관리가 중요한 교육내용의 특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Leadership education of modern society has been brought infinite expansio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hile research on the real leadership education was started since the 20th century.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present study on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 university i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n university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grasp leadership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Korea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for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education being performed at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merican universities playing a leading role of leadership research were chosen as a comparative object of Korean universities so 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adership education of the universities.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education, common points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were analyzed by centering on the purpose and the content of the leadership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appeared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at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has common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education content for promoting self-leadership such as self understanding, service activity, target setting and time management, etc. However, the leadership education of American universities is a long- term educational program being progressed for a long time, whereas there was difference that it is a short-term education being performed within 1 year at the universities in Korea. Characteristics in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the purpose of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is the same as philosophy at a university or the purpose of high education institutes of the nation, and learning of theoretical content and experience education are combined in the learning method. It was shown that self-leadership about self-examination and communications & conflict management necessary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 content. Leadership theory study appeared in an education method of Korean universities, but it was difficult to find it in American universities.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a catalog and Web site of each university mainly. Accordingly, it has limitation that cannot avoid difference from an actual education plan. It is found that an education purpose is set to be related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right attitude according to demand of modern society, and education contents are composed by considering demand of an enterprise and students properly, and education operating institutions will be efficient to be operated by separate operating institutions. A completion system of the leadership education should have various learning systems through in-depth research, and it is deduced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about study-abroad students in universities in a globalization age is also characteristics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should have.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make efforts for having more systematic rank so that the leadership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has features as an education course.

      • 무용전공자의 교육대학원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지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대학원에서 체육교육을 전공하는 직전교사교육단계의 무용전공자의 교육대학원 입학과정, 생활 및 문화, 교생실습 그리고 교육과정에 관한 전반적인 경험 과정을 통해 그들이 겪는 삶을 교육 문화적 특성과 의미로 조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Clandinin & Connelly (2000) 의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e) 의 절차를 따랐다. 이 연구는 교육 현장의 이면에 잠재되어 있는 교육 수요자들의 심층적 체험양상에 대한 현상을 파악하고, 그러한 일련의 경험들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참여자는 체육교육전공 S대학원에 수학중인 무용전공자로 하였으며, 연구자를 포함하여 래포(rapport) 가 형성되어 있는 2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 및 수단은 다음과 같다. 2명의 참여자에 대하여 심층면담, 선행연구, 관련 문서 수집, 전자 우편, 전화, 그리고 문자 메시지가 사용되었으며, 이 자료를 연구노트에 기록하였다. 연구자 자신에 대하여는 보유하고 있던 일기장 및 낙서노트를 통하여 이루어 졌다. 자료 분석은 면담녹취 내용과 전화와 전자우편을 통해 현장 텍스트를 여러 번 반복해서 읽으면서 계속해서 나타나는 패턴, 줄거리(threads), 주제(research)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세 명의 무용전공자가 체육교육전공 대학원에서의 경험과 의미를 통해 파악한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설정의 문제점과 대안점 방향전환이 나타난다. 둘째, 자격증 취득으로 변질된 대학원 생활을 보여준다. 셋째, 교생실습과정의 이상과 현실을 경험한다. 넷째, 대학원 교육과정의 비판적 시각을 시사한다. 다섯째,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교육관 인식을 느꼈다. 위의 다섯 가지 논점을 통해 살펴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육 과정에서 무용전공생들의 적성과 진로 파악 보다는 기능중심 전문인력양성 교육을 우선시하는 교육과정의 변화와 무용전공 교육생들에게 가해지는 권위적 문화의식의 변화가 요구됨을 공감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 졸업 후 진로선택을 고민하는 무용전공자들이 경험하는 갈등과 어려움을 통해 대학교육과정에서 행해지는 무용학과의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밝혀준다는 측면에서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둘째, 교육 현장에서 이들이 마주하게 될 학생들과의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전교사교육 과정에서 실습프로그램이나 현직교사와의 만남의 시간을 도입해야 함을 동의하였다. 이와 같이 교생실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는 교사 자격으로 최소한 갖추어야 할 행정적 기술과 내적 동기, 학급경영, 생활지도, 학습지도 등 학습자를 이해하는 최적의 교육과정 및 환경을 만들어 최대한 많은 것을 경험 하는 교생실습이 될 수 있도록 확장된 인식을 가져다 준다는 의미에서 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셋째, 교생실습을 통해 필요한 상황에 맞게 스스로 교육활동을 생각하고 개선하는 연구자로서, 연구 대상자 들은 적극적인 자세로 배우고 취하는 변화의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체육교사 교육과정 및 교생실습을 보는 것은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다양한 자질을 확인함으로 교사에 대한 정체성을 깨닫고 새로운 교사관에 대한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연구자로서의 인식을 가져다 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과제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의 참여자를 세분화하여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세분화하여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의 문제를 세분화하여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 유아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프로젝트 학습경험 연구

        계희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Early childhood teachers get to face various situations unpredictable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ir knowledge gained through their training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e unpredictable field requires them to actively think and recompose/practice their knowledge to fit situations. Recently, various plans have been explored to support teachers’ education and looking into them, one can find that the education shifts from being teacher-centered to being learner-centered. However, few learner-centered studies have been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ose taking early childhood graduate school courses experience their learning through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meaning given by such experiences to grasp their values. Especially, to look into experiences of learning the project approach theory studied and directly experienced, which is on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pproach methods, data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personal interviews, personal reflective journals, activity reports and etc.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current writer, who fully participated in the courses. Early childhood education-major graduate school students’ experiences of the project approach were more concretely divid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lectures into entering the project approach, experiencing its initial stage, experiencing its developmental stage and experiencing its finalizing stage. As the entering phase introduced the project approach, participants got curious and began to have new understanding on it while they were worriedly expecting what would come out from the lectures. They had much trouble selecting research topics and making research network in the phase of experiencing its initial stage. They got perplexed with unexpected situations in relation to their exploration requiring concrete planning. In the phase of experiencing the project-developing stage, they experienced dynamic change in research topics during their preparatory session and felt joy in doing their explorations. In the phase of experiencing its finalizing stage, they felt accomplished and happy while feeling delight and sense of loss coming from the climax event. Later, they re-arranged the stages for exploration evaluation and picked up confidence for the following execution.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major graduate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the project approach was analyzed from the two aspects of ‘my’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In the aspect of ‘my’ learning activities, they got indulged in learning through purposeful practices in the process of tackling problems that originated from personal interest and wanted to share the joy of learning they’d had with others. Aware of themselves as doers of behavior and thinking, they were found to be able to focus on ‘my’ own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se learning experiences of theirs. In the aspect of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project theories and practices done at the same time helped them internalize the project and they learned possible changes in the project by experiencing actual cases. Besides, their direct experiences as learners evoked the desire to practice it in the actual field and it’s found that they can build these experiences into the foundation for their own teaching activities as ‘teachers.’ To sum up, the learner-centered teachers education has its meaning in that it not only helps teachers learn theoretical knowledge but also have reflective thinking through their experiences as doers of learning and form practical knowledge. Accordingly, it indicates the need for intensive discussion on the learner-centered teachers education as a way to educate pre-teachers or current ones. 유아교사는 교사교육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실제 교육현장에 실천하는 과정 중 예측 불가능한 다양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예측 불가능한 교육현장은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상황에 맞게 지식을 재구성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교사를 필요로 한다. 최근 교사교육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는데, 큰 흐름으로 살펴보면 교수자중심보다는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습자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들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이 학습자중심 교사교육을 통해 배워가는 학습경험과정과 그 학습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를 통해 그 가치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유아교육 접근법 중 하나인 프로젝트 접근법 이론을 학습하고 직접 실행해보는 학습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완전한 참여자로서 참여관찰, 개인면담 및 개인성찰일지, 활동 보고서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프로젝트 학습경험과정은 강의 흐름에 따라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학습경험 입문, 시작단계 학습경험, 전개단계 학습경험, 마무리단계 학습경험으로 분류하였다. 프로젝트 학습경험 입문 과정에서는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소개가 이루지면서 참여자들은 의문을 갖게 되고, 새로운 이해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프로젝트 강의에 대한 기대와 걱정의 모습을 나타냈다. 프로젝트 시작단계 학습경험 과정에서는 연구주제 선정과 연구주제망을 작성하며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탐구계획을 하며 예상치 못한 상황에 당혹감을 느끼며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프로젝트 전개단계 학습경험 과정에서는 탐구준비를 하는 중 역동적인 연구주제의 변화를 경험하며, 탐구 실행과정의 즐거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프로젝트 마무리단계 학습경험 과정에서는 탐구정리과정의 뿌듯함과 행복함을 느끼고, 절정행사를 진행하며 절정활동의 희열감과 상실감을 경험하였다. 이후에는 탐구평가를 위해 재정리를 하고 다음 실행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유아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프로젝트 학습경험과정의 의미는 ‘나’의 학습활동과 ‘교사’ 교수활동의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되었다. ‘나’의 학습활동 측면에서 보면 본인 관심으로 시작된 문제를 해결해가는 중 유목적적인 실행을 통해 학습에 몰입하였으며, 자신이 경험한 학습의 기쁨을 타인과 공유하고 싶어했다. 그리고 행위와 사고의 주체자로서 자신을 인식하며 이러한 학습경험을 토대로 ‘나’ 자신의 학습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수활동 측면에서 보면 프로젝트 이론과 실행이 동시적으로 진행되어 프로젝트를 내면화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실제 상황의 경험을 통해 프로젝트의 변형 가능성을 체득하게 되었다. 또한 학습자로서 직접적인 경험은 자신감 증진과 함께 교육현장 실행 의욕을 불러 일으켰고, 이러한 학습경험을 기초로 ‘교사’로서 자신의 교수활동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학습자중심 교사교육은 교사에게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의 주체로서의 경험 통해 반성적 사고를 하고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 혹은 현직교사를 교육하는 한 방안으로써 학습자중심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교육대학원생의 유아교육전공 교직과목의 중요도와 필요성 인식 연구

        김민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In teaching certificate courses in South Korea, importance is attach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completion of which is designated as a requirement. While every preservice teacher is required to complete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of the same composition, regardless of school level or major, its contents and composition are suitable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for this reason, discussions have been made about whether the current teaching profession subject plays a proper role in early childhood teaching certificate courses.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igh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th the teaching certificate cours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ere randomly sampled to conduct a surve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241 out of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were finally used to perfor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e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estima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and the mean was estimat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each subject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The answers to the open-ended questions concerning the reasons for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were categorized and class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differed by subjects: that is, the degree of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differed by subjects. Although the order in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not completely identical among the subjects, the order in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similar. Second, the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teaching profession subje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iled to come up to that of its importanc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were less likely to b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than its importance. Third,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as to the reasons for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ere largely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related to whether the subject addres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at a higher level for the subjects addres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s at a lower level for those not addressing it. In some cases, however, they focused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n‘education’or‘teachers’rather than on‘early childhood education.’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at a higher level for the subjects of education that addressed the content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of ‘education,’though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ason for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also related to the issue of overlapping of subjects. As for the fourteen teaching profession subjects,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was at a lower level for the subjects with overlapped contents among them and for those whose contents overlapped with major subjects. They were less likely to b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teaching profession subject than its importance in the area of practice. This is because mos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teaching career. Experienced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considered that experience at an actual field was important but not necessarily essential. 우리나라 교원양성과정은 교직과목의 이수를 필수요건으로 지정할 만큼 교직과목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학교급과 전공에 상관없이 모든 예비교사에게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교직과목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그 내용과 구성은 초·중등교육에 맞추어져 있어 현 교직과목이 유아교사 양성에 적절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교육대학원생의 교직과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인천·경기지역에서 교원양성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교육대학원 중 임의 추출한 8개 학교의 유아교육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300부의 설문지 중 241부를 최종자료로 하여 양적 자료 분석과 질적 자료 분석을 병행하였다. 교직과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평균값을 산출하여 과목별 중요도/필요성 인식의 정도와 중요도/필요성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교직과목에 대한 중요도/필요성 인식의 이유를 묻는 문항은 개방형 문항으로써 수집된 응답을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전공자는 교직과목의 중요도와 필요성을 과목별로 다르게 인식하였다. 즉,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교직과목별로 차이가 있었다. 과목별로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의 순위가 완벽히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중요도와 필요성에 대해 비슷한 순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요도 인식에 따른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육전공 교직과목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중요도 인식에 까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전공자는 교직과목이 중 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에 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낮았다. 셋째,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의 이유에 대한 응답은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먼저,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의 이유를 살펴보았을 때 가장 많은 수가 나온 응답은 그 과목의 구성이 유아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유아교육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과목은 중요도와 필요성을 높게 인식했으며, 관련 내용이 없는 과목은 중요도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하지만‘유아교육’이라는 것을 떠나‘교육’이나‘교사’자체에 초점을 두고 그 과목의 중요도와 필요성을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교육’이라는 거시적 관점 안에서 그 내용이 다뤄지는 교육학 과목은 그 내용이 유아교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과목임에도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 인식과 필요성 인식 이유는 과목의 중복성 문제에 관한 것이기도 했다. 열 네 개의 교직과목 안에서 서로 내용이 겹쳐지는 과목이거나, 전공과목의 내용과 중복되는 교직과목은 중요도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실습영역의 교직과목은 중요도 인식에 비해 필요성 인식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자 특성상 교사경력이 있는 자가 대부분이라는 점이 반영된 것이다. 경력이 있는 유아교육전공자는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지만, 꼭 필요하지는 않다고 인식하였다.

      • 비사범계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진학동기, 희망진로 및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연구 : 교직이수자와 교육대학원 재학생을 중심으로

        서민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 재학생의 진학동기와 희망진로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면서 중등음악예비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 전 영역을 교과과정 내에서 습득할 수 있는지 조사·분석해 관련 연구에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비사범계 교원양성기관 재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설문 구성은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진학동기·희망진로를 포함한 교원양성기관 인식도, 그리고 교수내용지식(PCK)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대상의 PCK는 비교적 평이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직이수자와 대학원생 집단 간의 차이는 미미하다. 또한 PCK 하위영역인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 학생지식, 교육과정지식, 환경상황지식 별 분석 결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학동기와 희망진로의 차이는 교직이수자와 교육대학원 재학생 간에 크게 비교되었다. 교사가 되기 위해 교직기관에 진학한 교직이수자는 38.5%, 교육대학원생은 83.8%로 두 배 가량 차이가 나타났다. 또 교원자격증 취득 후 희망진로가 교사인 교직이수자는 40%, 교육대학원생은 85%를 차지했다. 셋째, 비사범계 교원양성기관 재학생은 임용시험 준비와 진로 및 임용시험에 대한 정보제공을 기관에 원하는 것으로 답하였다. 이외에 교직이수자는 더 많은 수업시연의 기회를, 교육대학원생은 다양한 교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학교를 다니며 겪는 어려움에 대한 문항에 교직이수자는 전공수업과 교직수업의 병행, 교육대학원생은 임용시험 준비 병행이라고 답했다. 넷째, 연구대상의 진학동기와 희망진로는 PCK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대상이 교과과정 내에서 수강한 과목 수가 많을수록 PCK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과목과 전공과목은 PCK 하위영역 중에서 학생지식과 교육과정지식, 표현지식 영역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각 교원양성기관은 학생들의 진학동기, 희망진로와는 무관하게 예비교원이 PCK를 적절하게 습득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생의 선발에 최우선시 되는 성적 기준을 완화하면서, 교직 희망도와 소양이 높은 학생들이 진학할 수 있는 선발 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모든 계열의 예비교원과 현직교원을 아우를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 교원양성기관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rvice Music Teachers’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Desired-Career and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includ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at Graduate School and Undergraduate students of College of Music who take teaching profession cours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145 students in Pre-Service Music Teachers from College of Music and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The components of the survey were general characteristic of objects,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Desired-Career and PCK. The characteristics foun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PCK of entire objects represents nonsignificant difference. The difference of PCK of two groups, College of Music and Graduate School of Music Education was low.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7 Subareas of PCK(Instructional strategies knowledge, Knowledge of representation, Subject matter knowledge, Knowledge of evaluation, Knowledge of students, Curricular knowledge, Environmental contextual knowledge). Second, Differences in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nd Desired-Career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wants to be a teacher in College of Music group was 40%, but Graduate students’ percentage was 85%. Third,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are in affiliated with non-education-college want ‘Preparation of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Information about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rom their institution. Except for that, College students chose ‘More opportunities for simulated instruction’, however Graduate School students chose ‘Various co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felt difficult in studying both teaching profession courses in addition to Music Major Courses(College of Music students). The results also represented that the student felt difficult in ‘Preparing for teacher certification exam’ on top of ‘Attending many classes of teaching profession course’(Graduate School Students). Fourth,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nd Desired-Career had not an effect on PCK. Bu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CK and Number of taking classes. As a Study report, institutions are well functioning for developing students’ PCK as Per-Service Institution even if Motive in Majoring in Music Education and Desired-Career of students are not a teacher. According to study results above, recruiting system which is now based on a grade as a matter of the highest priority should be improved to select suitable students who really want to be a teacher. Furthermore research about whole Pre-Service Music Teacher both educational and non-educational students will go a long way toward to improvement of teachers’ training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