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 차이

        박태연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발달연령이 3세부터 6세에 해당하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에게 시각장면디스플레이(Visual Scene Displays, VSD)를 활용한 시각적 자극을 제시하고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색 선호도(선호색, 비선호색)를 파악하여 이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Visual Smoothness)과 시각적 주의집중력(Visual Attention)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와 덴버 발달 선별 검사-Ⅱ(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DDST-Ⅱ)를 통해 경증-중간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23명, 일반아동 28명을 대상자로 선별하고, 과제 실시의 적합성 및 소요시간, 반응 등을 파악하고 과제 수 조정을 위해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선 추적 장치(Eye-Tracker)를 사용해 10가지 색들 중 가장 많이 응시한 색을 선호색, 선호색을 제외한 9개의 색들 중 랜덤으로 제시된 색을 비선호색으로 판단하여 색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그리기 발달 순서(│, ─, ○, ◇)를 기초로 하였으며, 점이 이동하는 기준값에서 대상자들의 시선 위치 값을 뺀 오차값(mean squared error) 평균을 사용하여 시각적 매끄러움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시각적 주의집중력을 알아보기 위해 문제상황 그림을 제시하였으며, 문제영역이라고 판단한 관심 영역(Area of Interst, AOI)에 색 선호도에 따른 단서(무단서, 선호색 단서, 비선호색 단서)를 제시하고 AOI를 응시한 횟수를 도출해 시각적 주의집중력 정도를 알아보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일반적특성에 따른 색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남자 아동의 선호색은 노란색, 여자 아동은 빨간색이 가장 많았으며 일반 남자 아동은 빨간색, 여자 아동은 노란색이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발달연령에 따른 색 선호도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3세 이상 4세 미만은 빨간색, 4세 이상 5세 미만은 청록색, 5세 이상 6세 미만은 연두색이 가장 많았으며 일반아동은 3세 이상 4세 미만이 빨간색, 4세 이상 5세 미만은 연두색, 5세 이상 6세 미만은 노란색 순으로 가장 많은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색 선호도에 따른 시각적 매끄러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경우 수직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대부분 제시되는 색이 비선호색보다 선호색일 때 오차값 평균이 더 낮아 시각적으로 더 매끄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경우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5), 이는 일반아동은 색 선호도에 상관없이 과제 목표에 집중해서 바라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단서 종류(무단서, 비선호색 단서, 선호색 단서)에 따른 시각적 주의집중력 차이에 대해 알아본 결과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은 문제상황 과제(문제상황 1, 문제상황 2)에서 문제영역이라고 판단한 AOI에 제시하는 단서가 선호색일 때 응시 횟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나 선호색 단서를 주시할 때 시각적 주의집중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단서 종류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p<.05)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단서와 선호색 단서간(p=.024)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무단서와 비선호색 단서(p=.137)와 선호색 단서와 비선호색 단서간(p=.735)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시하고 색 선호도를 활용하여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을 알아보았을 때, 집중시키고자 하는 시각적 단서에 선호색을 사용한 경우 비선호색 보다 시각적 매끄러움과 주의집중력이 더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색 선호도를 활용해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 뿐만 아닌 일반아동, 노인 그 밖의 장애인의 색 선호도를 파악하고 시각적 자극 기반의 중재 및 환경 조성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력이 옹호간호에 미치는 영향

        김종심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력이 옹호간호에 미치는 영향 김 종 심 동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김희영)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및 공감능 력과 옹호간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와 J도의 정신의료기관의 정신과 병동에서 근무 하고 있는 정신과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7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8월 21일부터 9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인권감수성, 도 덕적 민감성, 공감능력, 옹호간호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정도는 전체 총합 75점 만점에 34.94±19.25점, 도덕적 민 감성은 평균 7점 만점에 4.90±0.51점, 공감능력은 4점 만점에 평균 2.31±0.38 점, 옹호간호는 5점 만점에 3.59±0.3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은 성별(t=3.48, p=.001), 최종학력 (F=6.05, p=.003), 자격사항(F=-2.61, p=.01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민감성은 연령(F=4.04, p=.008), 결혼상 태(t=2.82,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은 총 임상경력(F=3.34, p=.011), 정신 과 경력(F=2.55, p=.041), 인권교육 횟수(F=2.78, p=.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옹호간호는 연령(F=4.71, p=.003), 결혼상태 (t=2.24, p=.027), 최종학력(F=3.67, p=.027), 인권교육 경험(t=2.30, p=.023), 인권 교육 횟수(t=3.44,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대상자의 옹호간호는 인권감수성(r=.22, p=.003), 도덕적 민감성(r=.63, p<.001)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 옹호간호와 공감능력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08, p=.272)를 보이지 않았다. 7. 대상자의 옹호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단 계 모형에서 연령, 최종학력 석사과정 이상, 인권교육 횟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F=4.21, p<.001), 설명력은 14.0%로 나타났다. 2단 계 모형에서 인권감수성을 추가하였을 때 연령, 인권교육 횟수, 인권감수성 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F=4.40,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6.1%로 1단계에 비해 2.1% 증가하였다. 3단계 모형은 도덕적 민감성을 추 가하였을 때 연령, 인권교육 횟수,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F=14.97,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6.5%로 2단계에 비해 30.4%가 증가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덕적 민감성과 인권감수성이 옹호간호 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간호사의 옹호간 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덕적 민감성과 인권감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차별화 된 교육과 옹호간호 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주요어: 정신간호사, 인권감수성, 도덕적 민감성, 공감능력, 옹호간호

      • 건물지원 사업(보조금)을 통한 공장 유휴공간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오승아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건물지원사업(보조금)을 통한 공장 유휴공간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동신대학교 대학원 에너지공학과 (지도교수: 차 인 수) 2022년 4월부터 한국전력의 적자로 전기요금이 최대 41.6원/kWh 인상되었다. 한전 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정부에서는 51.6원/kWh당 이상 인상해야 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 인상으로 일반 및 산업용 전기를 사용하는 공장에서는 고정비 증가로 소비자 물가인상률은 전년 대비 2.3% 증가하는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요금인상을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하여 나주지역의 한 공장을 기준으로 정부 보조금 제도 중 건물지원 사업을 통해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할 때 경제성을 평가하고 지속해서 인상 중인 고정비용의 감소를 도모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태양광발전은 친환경 에너지로 에너지 비용 절감에 있어서 잠재력이 있는 사업이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하려면 초기 비용, 운영 및 유지관리비용 등 다양한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은 발전사업 초기 투자 수익률, 에너지 생산 및 고정비 감소,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투자 수익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제성 분석을 통해 공장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태양광발전 시스템 설치로 인한 장기적인 경제적 이득을 통한 사업의 추진 도모를 위한 선택을 명확하게 이해하여 건물 유휴공간을 통한 사업성과 경제적 가치에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패널식 옹벽의 선단 변위 제어 및 앵커체 정착 효율 개선을 위한 해석적 연구

        박필영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패널식 옹벽은 사면 보강 공법에 해당하며, 원지반의 교란을 최소화하면서 보강 할 수 있는 공법으로 일반 RC 옹벽과는 구조적 메카니즘이 다르다. 패널식 옹벽은 앵커, 지반볼트, 네일링 등의 지보재 보강을 통해 원지반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키고 프리캐스트 패널과 지보재를 체결하여 패널 자체의 중량을 중력체로 활용함으로써 옹벽 배면의 토압에 저항한다. 원지반의 교란을 최소화하면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연속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뒤틀림, 면외단차, 레벨단차 등으로 인한 단기적인 문제점과 국부적인 부등침하 및 패널의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보강력 저하뿐만 아니라 미관이 불량해지는 등의 장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기, 장기적인 문제점들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예기치 못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 요인으로 남아있게 된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위치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지반앵커에 편심이 발생되거나 패널과 정착부가 직각을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긴장력이 도입되어 패널의 변형을 유발시키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식 옹벽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고, 확보된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구조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그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패널식 옹벽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도출하고, 그 가운데 구조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인자들을 해석 변수화하였다. 패널식 옹벽의 구조효율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인자들 중 구조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패널 간 상대변위 제어를 위한 패널 간 앵커볼트 체결과 지반 앵커 정착부의 지압력 향상을 위한 요철형 지압 쐐기체를 제안하였다. 패널 간 앵커볼트로 체결된 패널식 옹벽은 일반 패널이 가지고 있지 못한 패널간 횡분배가 가능한 횡방향 강성을 갖게 된다. 앵커볼트 체결에 의해 확보된 횡강성은 패널 선단에 발생되는 변위를 일반패널 대비 54.3~99.1%까지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단 적층 시공되는 패널식 옹벽의 경우 적층으로 인하여 하단 패널에 작용하는 추가 하중에 대하여 패널 선단 변위를 최대 17%까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패널 간 앵커볼트 체결은 패널식 옹벽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패널식 옹벽에 사용되는 지반앵커의 앵커체 정착단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긴장력에 대해 보다 큰 정착력을 발휘하도록 요철형 지압 쐐기체를 제안하였다. 요철형 지압 쐐기체의 경우 기존의 설계식에는 포함되지 않은 ‘요철에 의한 전단저항력’ 항이 새롭게 추가되어, 요철이 없는 일반형에 비해 15~18%의 지압력이 추가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앵커체는 마찰손실이 고려된 상태에서도 실제 긴장력 대비 지압력 변환효율을 의미하는 AMA(Anchor Mechanical Advantage) 값이 0.88∼1.36의 범위로 나타나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철형 지압 쐐기체를 현장 여견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한 ‘AMA 산출도표’를 제시하였다. ‘AMA 산출도표’ 는 확장키의 경사와 확장키와 쐐기체 사이의 마찰계수에 따라 결정되는 긴장력 대비 지압력 변환 효율을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급여공정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종업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추이인나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급여공정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종업원몰입의 매개효과에 중심으로 추 이 인 나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지도교수 박 재 민) 경제 글로벌화와 지식경제 시대에 기업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우수한 인재의 확 보는 기업 간 경쟁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인적 자원의 우위는 기업이 경쟁 우위 를 구축하고 이를 유지하는 중요한 방식이 되었다. 급여공정성은 기업 발전과정의 핵심적 부분으로서 급여공정성은 특히 분배공정성은 종업원의 직무 열의와 몰입에 큰 영향을 미치며, 공평하고 공정하며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급여 분배를 실현하는 것은 오늘날의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중요하면서도 현실적인 과제다. 본 연구는 급여공정성이 종업원몰입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급여공정성이 실적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 틀이 부족한 결함을 효과적으로 보완한다. 이를 통해 연구 이론을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연구 차원도 충실하게 하여 현재 기업의 인적 자원 관리 이론을 확대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급여공정성을 바탕으로 종업원몰입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종업원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이 새로운 경제 형태에서 경쟁에서 우위를 점 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목적 중 하나이다. 현재 중국 기 업의 가장 두드러진 경영 문제는 자신의 특징과 결합한 전면적이고 전략적인 사고 계획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급여공정성을 통해 기업의 인적 자원 잠재력을 충분히 동원하고 기업의 급여 체계가 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추진하는 지속적인 동력이 되도록 하는 것도 본 논문의 중요한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분석과 실증적 분석,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결합하며, 비교 분석법과 귀납적 정리, 정성적, 정량적 분석 등 자주 사용하는 연구방법 외에 문헌 종합 방법, 설문 조사 방법과 통계 분석 방법 등을 활용하여 기업의 급여 관 리 이론, 인적 자원 관리 이론, 통계학 관련 이론 등을 종합하고 기업의 급여공정성 이 종업원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문헌 종합 서술법을 바탕으로 급여공정성, 종업원몰입, 직무수행 등 관련 이론을 분석하고 설 문조사 방법을 사용하며, SPSS25.0과 AMOS24.0 등 관련 통계 소프트웨어를 활용 하여 급여공정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본 연구는 주 로 다음과 같은 측면을 포함한다. 첫째, 급여공정성은 종업원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는 분배공정성은 종업원의 인지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절차공정성은 종업원의 감정적몰 입과 행동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 공정성은 종업원의 인지적몰 입, 감정적몰입과 행동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그룹참여모델을 바탕으로 급여공정성이 실현되는 경로와 결합하여 급여공정성을 분배공정성, 절차 공정성과 상호작용 공정성의 세 차원으로 구분한다. 종업원몰입의 표현 형식을 토 대로 종업원몰입을 인지적몰입, 감정적몰입과 행동적몰입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 한 후 급여공정성과 종업원몰입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검증한 결과 급여공정성의 세 가지 차원이 종업원몰입에 모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분 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은 모두 종업원에 대한 인지적몰입, 감정적 몰입과 행동적몰입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종업원몰입(인지적몰입, 감정적몰입, 행동적몰입 포함)은 직무수행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그룹참여모델에서 종업원의 강제적 행위와 자주적 행 위에 대한 분류를 바탕으로 이를 직무수행과 결합하여 종업원의 직무수행을 과업수 행과 관계수행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고 인지적몰입, 감정적몰입과 행동적몰입과 종 업원의 과업수행과 관계수행의 관련성을 연구한다. 연구 결과는 종업원몰입이 서로 다른 의미의 직무수행에 차별화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 즉 종업원의 인지적몰입, 감정적몰입, 행동적몰입은 모두 직무수행(과업수행과 관계수행 포함)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 즉, 종업원의 몰입도가 높을수록 직무수행이 향상된다. 셋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은 종업원의 과업수행과 관계수행에 대한 영향이 적 극적이지만 상호작용 공정성은 관계수행에 대해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 서 상호작용 공정성이 종업원 관계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가설은 성립되 지 않고 귀무가설은 기각된다. 따라서 설문조사 표본을 통해 기업에서의 상호작용 공정성은 관계수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모든 가설은 모 두 성립된다. 즉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종업원의 과업수행과 관계수행에 모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종업원몰입은 급여공정성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 본 연 구는 급여공정성, 종업원몰입, 직무수행의 차원 구분, 그리고 삼자의 상관관계 논리 에 대한 정리와 귀납을 바탕으로 종업원몰입이 급여공정성과 직무수행과 관련되어 전도 작용을 하는 관련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 검증을 실시한다. 조사 데이터 결과 는 종업원몰입이 급여의 절차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은 종업원 과업수행과 직무수 행에서 매개 역할을 함을 증명할 수 있다. 즉, 종업원몰입의 세 가지 차원은 모두 급여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의 세 가지 차원은 모두 직무 수행(과업수행과 관계수행) 간의 중간 효과를 입증하며 해당 가설이 성립함을 보여 준다. 주제어: 종업원몰입, 급여공정성, 직무수행

      •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지역내 정착의도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 연구

        노윤진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 지역 내 정착 의도 그리고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진로 장벽과 지역 내 정착 의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을 제외한 비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5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회수 및 결측치를 제외한 432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대학생이 지각되는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 지역 내 정착 의도, 삶의 만족 간 상관분석 결과,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 장벽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지역 내 정착 의도와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 장벽은 삶의 만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역 내 정착 의도는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지방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과 지역 내 정착 의도는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장벽은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진로 장벽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역 내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 그리고 지역 내 정착 의도가 지방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하였으며,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지방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지방대학생을 위한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주요어: 지방대학생, 삶의 만족, 사회적 지지, 진로 장벽, 지역 내 정착 의도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settle in the reg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40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local universities, excluding the metropolitan area. Data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432 subjects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intentionto settle in the region,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ocal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barrie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the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In addition, career barri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nd settlement intention in the region showed a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career barrier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barri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within the region did not appear.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social support, career barriers, and the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wer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local college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is provided basic data in seeking way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local college students, and was able to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in the counseling and education scene for local college students.

      • 중국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적응과 대처방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쑨원징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2023년 1월부터 2023년 3월까지 무선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중국의 지린성과 랴오닝성에 위치한 2개의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206명의 노인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면의 질,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 및 대처방식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요양시설의 노인들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요양시설의 노인들의 수면의 질과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 대처방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요양시설의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심리적 적응과 대처방식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조사하여 요양시설의 노인들의 수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 도구는 다음과 같다. 요양시설 노인의 일반 개인정보 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척도, 요양시설 노인의 심리적 적응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와 대처방식 척도의 총 5개의 척도가 사용되었다. EpiData 3.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였고,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은 빈도와 백분율(%)로 제시하였고, 요양시설 노인의 수면의 질, 심리적 적응, 사회적 지지 및 대처방식의 기초통계량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시했다. 연구 대상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요양시설 노인의 수면의 질을 일원 변량분석(ANOVA)을 사용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고 또한 LSD 방법을 사용하였다. Amos 26.0을 사용하여 요양시설 노인의 심리적 적응, 사회적 지지 및 대처방식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로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시설 노인들의 수면의 질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으며, 노인들이 수면 문제를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요양시설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 대처방식, 수면의 질과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적응과 대면적 대처방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회피적 대처방식, 굴복적 대처방식 및 수면의 질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심리적 적응은 대면적 대처방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회피적 대처방식, 굴복적 대처방식 및 수면의 질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대면적 대처방식은 수면의 질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회피적 대처방식, 굴복적 대처방식은 수면의 질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노인들의 사회적 인구 특성 중 교육 수준, 경제 상황, 만성 질환 개수, 입소 이유, 노인 간의 소통 빈도, 자녀 또는 가족과의 방문/전화 인사 빈도, 그리고 요양시설의 활동 참여 여부 등 7가지 요인에 따라 다양한 노인의 수면의 질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둘째,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들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 대처방식이 요양시설 노인들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요양시설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수면의 질에 대한 관계에서 심리적 적응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수면의 질에 대한 관계에서 대면적 대처방식과 회피적 대처방식이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심리적 적응과 수면의 질에 대한 관계에서 대면적 대처방식과 회피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요양시설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적응을 통해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쳐 순차적으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적응을 통해 회피적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쳐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즉, 심리적 적응, 대처방식, 회피적 대처방식은 요양시설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수면의 질 관계에서 순차적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요양시설 노인들의 건강 상태 등 다양한 배경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노인들의 사회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내적 및 외적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며 적극적인 대처 방법을 지닐 수 있도록 돕고,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증진시켜 건강하고 더 나은 수면의 질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성인과 노인에서 급성 외상성 경막하 혈종의 예후 비교: 후향적 조사연구

        이승우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o provide foundation information of nursing care provision to the proper age group by searching for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umatic Acute Subdural Hematoma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nd comparing prognosis within two groups; adult group and elderly group based on 65-year-old subjects. In this study, the test subjects were 239 patients(adult 104, the elder 135) diagnosed with traumatic subdural hematoma and treated at C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between January 2017 and March 2019. A retrospective medical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GCS and GOS scores at discharge, and pre-hospital and post-hospital status. The data is collected by Win SPSS 25.0 and analyzed using test,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surveyed were 50.90±11.86 years of age in the adult group and 75.04±6.1 years in the elderly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20.776, p=.041) between the adult and the elderly,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morbidities.(=20.776, p<.0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story of drinking(=20.117, p<.001) and of smoking(=22.485, p<.001)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atus between the two groups(=20.850, p<.001).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umatic occurrence(=20.029, p=.003); adults came in orders of 34.6% of falling down and 25.0% of slipping, and 39.3% of slipping and 17.8% of falling down in the elderly group. The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survey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GCS of 10.24±4.449 in the adult group and 11.44±3.674 in the elderly group(=-2.221, p=.02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pil reflection at admission(=8.037,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upil reflection during admission(=0.544, p=.46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3.299, p=.001) and Serum blood glucose(=-0.849, p=.040) between the two groups at admi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olic blood pressure(=-3.097, p=.002) between adult and elderly groups.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history of surgery(=10.159, p=.001) and complications(=6.450, p=.01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CS at discharge(t=-0.027, p=.978) and the GOS at discharge(t=0.173, p=.863) after comparing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eople surveyed. However, when examined in detai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CS, pupil reflection at admission, pupil reflection during admission, hematoma type, INR, hyperglycemia, blood pressure, and history of surgery. Through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both adult and elderly group with traumatic acute subdural hematoma after admission resulted in better prognosis after admission with higher GCS at admission. With the cases of existence of pupil reflection at admission, or without any change during admission, small size hematoma, low INR, normal range in blood sugar, maintaining high blood pressure, and patients without surgery showed good prognosis after admission in two groups: adult and elderly. Therefore, nurses need to provide care service to the subject group with traumatic acute subdural hematoma at the site of clinic in consideration of the study mentioned above. 본 연구는 만 65세를 기준으로 성인군과 노인군으로 나누어 외상성 급성 경막하 혈종의 일반적인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예후를 비교하여 연령대에 맞는 간호서비스제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는 C대학병원에 외상성 급성 경막하 혈종(Traumatic acute subdural hematoma)으로 진단 후 치료받은 239명(성인군: 104명, 노인군: 135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후향적 의무기록조사 연구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적 특성에 따른 퇴원 시 GCS, GOS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5.0을 이용 하였으며 test, t-test,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인군의 평균 연령 50.90±11.86세였고, 노인군의 평균 연령은 75.04±6.1세였다. 성인군과 노인군의 성별(=-4.186, p=.041)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동반질환 유무도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20.776, p<.001). 두 군 간의 음주력(=20.117, p<.001)과 흡연력(=22.485, p<.001)또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군 간의 직업의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20.850, p<.001). 두 군은 외상기전별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20.029, p=.003), 성인군은 떨어짐 34.6%이 가장 많았고, 노인군은 넘어짐 39.3%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은 입원 시 GCS는 성인군은 10.24±4.449점, 노인군은 11.44±3.674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2.221, p=.028). 입원 시 동공반사 유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8.037, p=.005), 입원 중 동공반사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0.544, p=.461). 입원 시 동맥혈검사에서는 두 군 간에 pH(=-3.299, p=.001)와 Serum blood glucose(=-0.849, p=.040)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인군과 노인군의 수축기 혈압(=-3.097, p=.002)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군 간의 수술력(=10.159, p=.001)과 합병증의 유무(=6.450, p=.011)도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임상 결과를 비교한 결과 성인군과 노인군의 퇴원 시 GCS(t=-0.027, p=.978), 퇴원 시 GOS(t=0.173, p=.863)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성인군과 노인군에서 입원 시 GCS, 입원 시 동공반사의 유무, 입원 중 동공반사의 변화, 혈종의 형태, INR, 고혈당, 혈압, 수술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성인군과 노인군의 외상성 급성 경막하 혈종의 퇴원 시 예후는 두 군 모두 입원 시 GCS가 높을수록 퇴원 시 예후가 좋았다. 입원 시 동공반사가 있는 경우와 입원 중 동공반사의 변화가 없는 경우, 혈종의 크기가 크지 않는 경우, INR은 낮은 경우, 혈당은 정상범위인 경우, 혈압은 높게 유지되는 경우, 수술은 하지 않는 경우에서 두 군 모두 퇴원 시 예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외상성 급성 경막하 혈종 대상자를 간호할 때 본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불안정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주희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전남 소재의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9.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독립 t-검정, 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Hayes(2013)의 Process macro의 Model 4번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애착,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인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활적응은 불안정애착 및 하위요인(불안애착, 회피애착)과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긍정심리자본 및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불안정애착 및 불안정애착의 하위요인들은 긍정심리자본 및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들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불안정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전 성, 학년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1학년이 다른 학년들보다 대학생활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불안정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는 불안정애착이 회피애착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고, 긍정심리자본에는 불안정애착보다 회피애착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를 종합해볼 때 불안정애착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 긍정심리자본이 이들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또한 불안정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안정적인 애착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안정적인 애착형성과 긍정심리자본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대학 볼링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에 따른 운동몰입, 회복탄력성, 번아웃의 관계 분석

        박승권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볼링선수의 운동스트레스에 따른 운동몰입, 회복탄력성, 번아웃의 영향 관계를 밝혀 대학 볼링선수의 운동수행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지도전략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경기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7월 전국에 소재한 대학에서 볼링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 응답자 300명 가운데 성실하지 못한 응답으로 연구목적과 부합되지 않은 21명의 응답 자료를 제외한 총 279(93.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볼링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운동몰입, 회복탄력성, 번아웃의 차이를 살펴보면, 먼저 성별에서는 운동스트레스의 지도스트레스, 여가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의 인내력, 통제성, 번아웃의 동료불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스트레스, 번아웃에서는 여자선수가 남자선수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에서는 남자선수가 여자선수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먼저 운동스트레스의 여가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가스트레스에서는 1, 2학년이 보편적으로 높게, 3, 4학년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진로스트레스에서는 2, 3, 4학년이 보편적으로 높게, 1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운동몰입의 인지몰입, 행위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지몰입에서는 3학년이 가장 높게, 2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행위몰입에서는 1학년이 가장 높게, 2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회복탄력성의 인내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4학년이 가장 높게, 2, 3학년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번아웃의 동료불화, 지도자불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동료불화에서는 2학년이 가장 높게, 1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지도자불화에서는 2, 4학년이 보편적으로 높게, 1, 3학년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선수경력에는 먼저 운동스트레스의 기능불만, 진로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운동스트레스에서는 5년 이상-7년 미만, 7년 이상-9년 미만이 보편적으로 높게, 5년 미만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진로스트레스에서는 5년 이상-7년 미만, 7년 이상-9년 미만, 9년 이상이 보편적으로 높게, 5년 미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운동몰입의 인지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7년 이상-9년 미만, 9년 이상이 보편적으로 높게, 5년 이상-7년 미만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회복탄력성의 인내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9년 이상이 보편적으로 높게, 5년 이상-7년 미만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훈련시간에는 먼저 운동스트레스의 기능불만, 진로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진로스트레스에서는 4시간 이상-5시간 미만이 보편적으로 높게, 3시간 이상-4시간 미만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회복탄력성의 통제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3시간 이상-4시간 미만, 5시간 이상이 보편적으로 높게, 3시간 미만이 보편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번아웃의 심신고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3시간 미만이 가장 높게, 3시간 이상-4시간 미만, 4시간 이상-5시간 미만, 5시간 이상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볼링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와 운동몰입의 관계에서는 운동스트레스의 기능불만, 여가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인지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스트레스의 지도스트레스, 기능불만, 여가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행위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볼링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는 운동스트레스의 지도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인내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스트레스의 모든 요인이 낙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스트레스의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통제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볼링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는 운동스트레스의 지도스트레스, 기능불만, 여가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심신고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스트레스의 기능불만, 여가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동료불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스트레스의 지도스트레스, 기능불만,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지도자불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스트레스의 기능불만, 여가스트레스, 진로스트레스 요인이 성취동기저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대학 볼링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몰입, 회복탄력성, 번아웃에 상호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대학운동부의 감독, 코치 및 지도자들은 대학 운동선수들의 우수한 선수로 성장시키기 위해 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선수들이 좋은 회복탄력성의 능력을 갖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