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주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논문은 Lipschitz 조건에서 미분방정식의 유일한 해의 존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절에서는 Riemann-Stieltjes 적분에 관한 내용, 고정점 정리 그리고 관련된 개념들을 알아본다. 3절에서는 Lipschitz 조건에서 미분방정식의 유일한 해의 존재성을 다룬다. 특히 정리 3.1과 정리 3.2, 정리 3.3, 정리 3.4를 증명한다. 정리 3.1은 이 개집합이고 함수 은 Lipschitz 조건에서 연속이라고 하자. 는 에 포함되는 폐집합이라고 하고 에서 이고 라고 가정하자. 일 때, 에서 라고 정의하고 라고 정의하면 은 에서 이고 각 에 대하여 은 상에서 연속이고 수열 은 상에서 로 평등 수렴한다. 정리 3.2는 정리 3.1의 조건을 만족하면 미분방정식 은 상에서을 만족하는 유일한 해 을 갖는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 unique solution of a first order differential equation with the Lipschitz condition. In section 2, we study Riemann-Stieltjes integral and some properties, fixed-point theorem for contractions, and related topics. In section 3, we establish the existence a unique solution of a first order differential equation with the Lipschitz condition, particularly, Theorem 3.1, Theorem 3.2, Theorem 3.3 and Theorem 3.4. Theorem 3.1, let be open and let be continuous and satisfy the Lipschitz condition : for all points in . Let be a closed cell contained in and suppose that , where for . If , define for and, if , define for . Then for all and for each , is continuous on and the sequence converges uniformly on to a function . Theorem 3.2. let and be as in Theorem 3.1. Then the differential equation has exactly one solution on such that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인공 심장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RAS)이 항응고제인 와파린 사용기간 발생한 출혈에 미치는 유전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자는 인공 심장판막치환술 후 와파린 치료를 받고 INR 2.0-3.0을 유지한 환자들로 구성된 EAST (Ewha-Severance Treatment) 그룹에 등록된 환자들이다. REN, ACE, AGT, AGTR1 및 AGTR2, VKORC1, CYP2C9의 유전적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SNP들은 AGT (rs7536290, rs943580, rs7079, rs2478539, rs699, rs11122576, rs5051, rs5050, and rs5049), REN (rs2368564, rs6676458, rs1917539, rs41317140, and rs12750834), ACE (rs1800764, rs4329, rs4341, rs4343, rs4351, rs4353, rs4362, and rs4363), AGTR1 (rs6792788, rs416270, rs1979703, rs275651, rs2131127, rs931490, rs2640543, rs4681443, rs5182, and rs5186), AGTR2 (rs1914714, rs5950474, and rs1403543), VKORC1 (rs9934438), 그리고 CYP2C9 (rs1057910) 이었다. 유전적 다형성과 출혈 합병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단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인공 심장판막치환술을 시행 받은 후 와파린을 투여중인 142 명의 환자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으며 그 중 21 명이 출혈 부작용을 경험했다.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AGT rs5050의 G 대립 유전자는 CC 유전자형보다 출혈 위험이 약 4 배 (95 % CI 1.28-12.27) 높았다. ACE rs4341과 rs4353의 대립 형질은 각각 homozygotes를 갖는 것과 비교하여 치료 INR에서 4.6- (95 % CI 1.19-18.03) 및 10.8 배 (95 % CI 1.30-89.16) 높은 출혈 부작용 발생률을 보였다. 출혈 부작용을 예측하는 모델의 AUROC (receiver operating curve) 값 아래의 면적은 약 0.8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VKORC1, CYP2C9 뿐 아니라 RAS pathway의AGT와 ACE 유전적 다형성과 인공 심장판막을 가진 환자의 와파린 INR 2.0-3.0 유지 치료기간 중 발생한 출혈 부작용 위험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genetic effects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RAS) on warfarin-associated bleeding at therapeutic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s (INRs) among Korean patients with mechanical heart valve replacements. Methods: Study patients were enrolled from the Ewha-Severance Treatment (EAST) Group of Warfarin, which consisted of patients who received warfarin therapy after mechanical heart valve replacement. Patients who maintained therapeutic INRs were eligible for the study. Thirty sev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cluding AGT (rs7536290, rs943580, rs7079, rs2478539, rs699, rs11122576, rs5051, rs5050, and rs5049), REN (rs2368564, rs6676458, rs1917539, rs41317140, and rs12750834), ACE (rs1800764, rs4329, rs4341, rs4343, rs4351, rs4353, rs4362, and rs4363), AGTR1 (rs6792788, rs416270, rs1979703, rs275651, rs2131127, rs931490, rs2640543, rs4681443, rs5182, and rs5186), AGTR2 (rs1914714, rs5950474, and rs1403543), VKORC1 (rs9934438), and CYP2C9 (rs1057910) were investigat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and bleeding complications. Results: Out of 142 study patients, 21 experienced bleeding episodes. After adjusting covariates, G allele of rs5050 (T>G) was associated with 4-fold (95% CI 1.28-12.27) higher risk of bleeding than TT genotype. The G allele of rs4341 (G>C) and A allele of rs4353 (A>G) had 4.6- (95% CI 1.19-18.03) and 10.8-fold (95% CI 1.30-89.16) higher rates of bleeding complications at therapeutic INRs, compared with those having CC genotype and GG genotype, respectively.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urve (AUROC) value of the models predicting bleeding complications was approximately 0.8.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GT and ACE gene polymorphisms could affect bleeding complications during warfarin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chanical heart valves.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국문초록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지도교수: 신소영)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 재직의도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이들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9개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83명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07월 06일부터 07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183명이며, 평균연령은 41.66±12.29세로, 20∼29세가 25.7%(47명)로 가장 많았다. 성별은 여자가 96.2%(176명)로 많았으며, 배우자 유무에서 배우자가 있는 자는 55.2%(101명)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12.09±8.58년으로, 5년 미만이 24.6%(45명), 5∼10년 미만이 19.7%(36명), 10∼15년 미만이 16.4%(30명), 15∼20년 미만이 19.1%(35명), 20년 이상이 20.2%(37명)였다. 현 병원 근무경력은 평균 2.56±2.80년으로, 1년 미만이 31.7%(58명), 1∼3년 미만이 38.3%(70명), 3∼5년 미만이 14.8%(27명), 5∼10년 미만이 10.9%(20명), 10년 이상이 4.4%(8명)였다. 근무형태는 고정근무 42.1%(77명), 2교대 근무 19.7%(36명), 3교대 근무와 상근근무는 각각 19.1%(35명) 순으로 나타났다. 병상수는 100∼200병상 미만이 35.0%(64명), 300병상 이상이 34.4%(63명), 200∼300병상 미만이 25.1%(46명), 100병상 미만이 5.5%(10명)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대학교 졸업이 53.0%(97명)로 가장 많았으며, 3년제 졸업이 38.3%(70명), 대학원 이상이 8.7%(16명)였다. 월급여는 250만원 미만이 54.1%(99명)로 가장 많았으며, 250∼300만원 미만이 36.1%(66명), 300만원 이상이 9.8%(18명)였다. 2. 대상자의 역할갈등은 135점 만점에 88.91±10.27점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90점 만점에 62.57±8.15점이었고, 간호근무환경은 116점 만점에 79.99±9.03점이었다.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30점 만점에 20.54±4.27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의 차이는 성별(t=2.52, p=.012), 현 병원 근무경력(F=2.96, p=.021), 근무형태(F=4.99,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병상수(F=4.57, 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은 현 병원 근무경력(F=2.78, p=.028), 병상수(F=7.0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는 연령(F=2.71, p=.032), 배우자 유무(t=3.51, p=.001), 병상수(F=7.0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간호전문직관(r=.39, p<.001), 간호근무환경(r=.5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역할갈등(r=-.30,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간호전문직관(r=.48,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8.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상수(β=-.15, p=.026), 간호전문직관(β=.19, p=.007), 간호근무환경(β=.36, p<.001)으로 나타났다. 병상수,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의 재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4.0%였다(F=16.66, p<.001).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병상수,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적 차원에서 간호전문직관과 간호근무환경이 주요 영향 요인임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제어: 요양병원,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 재직의도 Abstract Influence of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by Joo Hee Kim (Advisor: Prof. So Young Shin,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egree of and relationships among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B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intention, it has a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for increasing their retention intention later. Method: Among the nurses working at 9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this descriptive study included 183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understating its purpose and metho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July 6th through July 31th,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é test for post-hoc analysis, Pearson's co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window 26.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total of 183 participants, their age varied in the range of 41.66±12.29, with the largest age group 20 to 29 (n=47) accounting for 25.7%. For gender, 96.2% (n=176) was female, and for marital status, 55.2% (n=101) was found to live with spouse. Total clinical experiences varied in 12.09±8.58 years, specifically under 5 years for 24.6% (n=45), 5 to 10 years for 19.7% (n=36), 10 to 15 years for 16.4% (n=30), 15 to 20 years for 19.1% (n=35), and over 20 years for 20.2% (n=37).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was in the range of 2.56±2.80 years, specifically under 1 year for 31.7% (n=58), 1 to 3 years for 38.3% (n=70), 3 to 5 years for 14.8% (n=27), 5 to 10 years for 10.9% (n=20), and over 10 years for 4.4% (n=8). By working type, the most was fixed work for 42.1% (n=77), followed by two shifts work for 19.7% (n=36), three shifts work and sprint work for 19.1% (n=35), respectively. For number of beds, the highest portion was 100 to 200 beds for 35.0% (n=64), followed by over 300 beds for 34.4% (n=63), 200 to 300 beds for 25.1% (n=46), and under 100 beds for 5.5% (n=10). For education level, bachelor was the most for 53.0% (n=97), followed by 3-year diploma for 38.3% (n=70), and master and over for 8.7% (n=16). For monthly income, the highest portion was under 2.5 million Korean won for 54.1% (n=99), 2.5 to 3 million Korean won for 36.1% (n=66), and over 3 million Korean won for 9.8% (n=18). 2. The mean score for role conflict of the subjects was 88.91±10.27 out of 135 points. The mean score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79.99±9.03 out of 90 points and the mean score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76.99±9.03 out of 116 points. The mean score for retention intention of the subjects was 20.54±4.27 out of 30 points. 3. Role conflic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gender(t=2.52, p=.012),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F=2.96, p=.021) and working type (F=4.99, p=.002). 4.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beds (F=4.57, p=.004). 5. Nursing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F=2.78, p=.028) and number of beds (F=7.06, p<.001). 6. Reten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2.71, p=.032), living with spouse (t=3.51, p=.001) and number of beds (F=7.06, p<.001). 7. Retention in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39,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51,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ole conflict (r=-.30, p<.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48, p<.001). 8.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intention of subjects were number of beds (β=.15 p<.026), nursing professionalism (β=.19, p<.007)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β=.36, p<.001). The explanatory of number of bed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retention intention was 34.0% (F=16.66,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number of bed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retention inten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rganizationally perceiv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as main influential factors and develop effective mediating programs to enhance retention intention of the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s: Long-term care; role; conflict; professionalism; workplace; retention
중학생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사례연구 :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중심으로
김주희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It is an important time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times of their youth to implement one’s self-identity and to build an optimistic self-esteem. However, up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f one is mentally or environmentally in a pessimistic environment, there is a need of an external program that aids in the youth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This study consists of the study of researching and creating a program for the youths to build up their self-esteem. What most directly influences the self-esteem during the times of the youth is family relationships. So focusing on ‘understanding oneself, family understanding and embracement’ and having the goal of having an optimistic self-esteem, up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Boal’s theater methods. It is to help to objectively see the youth’s ment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repression and that through assistance, one can improve one’s self-esteem. The objective is to see if the youths overall family respect for self-esteem will increase, by an education program regarding self- esteem that has expanded on Boal’s theater methods and if it would be a useful and to see if the youths overall family respect for self-esteem will increase. The program focuses on the youth’s special characteristics and self-esteem, expended on Boal’s methods academically, to see if the Boal’s theater methods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youth’s self-esteem and the relation and usefulness of the methods. Borrowing the steps to achieving the goal from the past programs that focused on the self-esteem, a frame was set and the active contents and steps of reaching the goal were regarding the program were based on Augusto Boal’s theater methods. The beginning step of the program is understanding oneself. The middle step is based on understanding oneself, understanding and embracing one’s family. The final step is embracing oneself and improving one’s family relationship and to optimistically put it into action. To realistically implement the program, before and after tests, before and after surveys, and observations were done on a class of an all-girls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There were 15 students and the test was done once a week for 90 minutes, 8 times. The results of the summary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using Boal’s theater methods to increase one’s self-esteem, upon the test results, most students had increased results than before. Second, after the survey of the program, they have said that by the program they have increased the level of embracement regarding themselves and their family. Third, upon the program that made to have insight upon oneself and family,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come to realize their change. Fourth, the overall process of Boal’s theater method, which is improvisational theater, images, and debates, have comforted the mental state of the young adults and thus, they were able to support each other, having a mind of oneness. Through this, they were able to objectively see their problems. Fifth,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in the program were able to see a difference from the past educational theater, having a new realization upon Boal’s theater method, being a new educational tool. By such short span of research, such results were seen. Although there was limitation on seeing the long span in seeing the change in life, but it was seen that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have such awareness regarding themselves. It was a time to have a new insight regarding the program of seeing Boal’s theater method being used to increase one’s self-esteem. This study reflects that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with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done, this program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중기 청소년에 해당하는 중학생은 자아를 확립해가는 시기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확립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발달 단계상 심리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근본적으로 부정적일 수밖에 없는 환경에 놓여있으므로 외부적으로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하는 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가장 근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인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자기이해와 수용, 가족이해와 수용’이 궁극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목표를 두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보알의 연극 메소드가 청소년들의 심리적, 환경적 문제와 억압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움으로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방법론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활용한 자아존중감 교육프로그램의 효용성과 프로그램을 통한 청소년의 총체적,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프로그램은 청소년기의 특성, 자아존중감, 보알 메소드에 대한 학문적 검토를 통해 청소년시기의 자아존중감 향상의 필요성과 보알의 연극 메소드의 방법론적 연계성과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기존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목표단계를 차용하여 틀거리를 만들고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으로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각 회기별 목표에 맞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초기 단계: 자기 이해-> 중기 단계: 자기 이해를 기반으로 한 가족 이해와 수용-> 종결 단계: 자기 수용 및 가족 관계 향상을 위한 긍정적 실천’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적 프로그램 적용은 서울 시내의 C여중 뮤지컬동아리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주1회 90분씩 총8차시로 진행되었으며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지를 활용한 사전·사후 검사, 사후 설문조사, 관찰일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도출해낸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활용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 대부분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둘째, 사후 설문지를 통해 프로그램 활동으로 인한 학생들의 자기, 가족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력의 상승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신과 가족과의 관계에 대한 통찰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한 프로그램이 학생들에게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넷째, 보알의 연극 메소드의 전반적 과정인 즉흥극-> 이미지-> 토론의 형식은 청소년들이 심리적인 위안을 받고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을 가지도록 하여 자신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대해 기존의 교육연극 프로그램과 차별화되어 새로운 면을 느낌으로 보알의 연극 메소드가 새로운 교육적 도구로 유용함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짧은 연구 기간의 제한으로 실질적인 삶의 변화가 바로 나타나기는 어려웠지만 단기간에 참여자들의 내면의 통찰이 일어나게 하고 프로그램에 대해 새롭고 뜻 깊은 시간이었음을 인식하게 함으로 보알의 연극 메소드를 활용한 자아존중감 교육프로그램이 추후에도 교육프로그램으로 연구되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표본조사(sample survey)는 전수조사(census)와 대비되는 방법으로서 전수조사에 비해 경제적이고 신속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 및 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21세기의 사회구조가 다양화 되어감에 따라 전체 또는 규모가 큰 지역에 대한 표본조사 뿐만 아니라 소규모 지역(small area)에 대한 표본조사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지역 추정에서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하는 통계적 방법을 고찰하고 실제자료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Sample survey is powerful tool for estimating unknown parameters in many scientific researches and it is more efficient and practically preferable to census. Recently, need of estimation for small areas is increasing so that many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small area estimation. This paper reviews application of linear mixed effects models to small area estimation and performs simulation studies with real data to show usefulness of linear mixed effects models.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reference to cultivate subjective happiness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through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by investigating effects of school sports club on low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ive happiness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For this purpose, 48 students from two classes in a 2nd grade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 24 student is an experimental group and 24 student is a controlled group. Morning class(20 minutes) and lunch break class(20 minutes) with school sports club were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morning class and lunch break class based on the school 's curriculum on the controlled group for 7 weeks. A pretest and posttest were carried out to assess subjective happiness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of the two groups, and an i-STATistics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n independent sample t-test(each group is a independent variable, elements of subjective happiness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are dependent variable) and an pared t-test(pretest is a independent variable and posttest is a dependent variable on experimental group).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ports club to the subjective happi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aspects of regulation of home environment, ego trait, ability(p<.05). On the contrary,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ports club to the adaptability to school life shows that a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the field of homeroom teacher, the experimental group has a significant result(p<.001). In the field of study and school rules, the experimental group has a mingingful result(p<.01). Also in the field of friends, the experimental group has a mingful result(p<.05).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school sports club has effective result to the subjective happiness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of low gra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school sports club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the adaptability of homeroom teacher. This results is judg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ies such as the opportunities of free communication with homeroom teacher and the reduce fear and suppression about homeroom teacher. That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ies make students have friendly feeling with homeroom teacher. Based on this study, the various school sports club programs which enables low gra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subjective happiness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are continuously being reached. 본 연구의 목적은 30차시동안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여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여, 학교 현장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육과 교육과정에 반영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2학년 7개의 학급 중에서 2개의 학급, 4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아침자습시간 20분과 점심시간 20분을 활용하여 30차시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교육과정에 맞게 아침자습활동과 점심시간 후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시간활용을 하도록 한 후, 연구대상자들의 주관적 행복감과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검사는 저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 사후점수 각각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과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대응표본 t-검증이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가는 주관적 행복감(가정환경, 자아특성,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대인관계는 통제집단 역시 유의한 변화가 일어남). 이는 사전점수에 대한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사후검사에 대한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p< .05).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가는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전점수에 대한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사후검사에 대한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p< .05).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주관적 행복감과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담임교사 적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 .001).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긍정적인 효과를 토대로 학교스포츠클럽이 저학년 학생들에게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목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에서 주관적 행복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각종 칸디다균종의 생체 외 Azole 항진균제 내성 획득에 관한 연구
배경: 칸디다의 azole 항진균제에 대한 신속 내성획득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최근 Candida glabrata에서 azole 항진균제의 사용과 연관하여 신속한 내성획득이 보고된 바 있는데, Candida albicans를 비롯하여 흔하게 분리되는 칸디다 균종에서는 거의 보고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다양한 칸디다 균종을 대상으로 생체 외에서 fluconazole에 노출시험을 실시하여 azole 항진균제에 대한 신속 내성획득능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법: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fluconazole 감수성인 칸디다 총 12종 48주 (C.albicans 3주, Candida parapsilosis 3주, Candida tropicalis 3주, C. glabrata 3주, Candida auris 15주, Candida pseudohaemulonii 9주, Candida haemulonii 3주, Candida catenulata 2주, Candida guilliermondii 2주, Candida rugosa 1주, Candida lusitaniae 2주 및 Candida fabianii 2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칸디다 균주는 fluconazole (16 및 32 ㎍/㎖)이 포함된 액체배지에 4일간 배양하였고, fluconazole과 voriconazole의 최소억제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칸디다 균주의 fluconazole MIC가 원 균주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경우 내성을 획득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내성을 획득한 균주는 획득한 내성의 안정성과 다약제 유출 펌프 2 억제제인 phenylalanine-arginine-β-naphthylamide (PAβN)를 사용하여 억제 유무를 알아보았다. 결과: Fluconazole이 포함된 배지에 배양을 하였을 때 칸디다 48주 중 32주 (67 %)에서는 MIC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거나 성장하지 않았으며, 16주 (33 %)에서는 2일 또는 4일 이내에 신속하게 fluconazole의 MIC가 3배 이상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생체 외 에서 fluconazole에 노출된 후 MIC가 증가한 균주를 균종별로 보면 C. auris 15주 중 9주, C. pseudohaemulonii 9주 중 1주, C.catenulata 2주 중 2주, C. guilliermondii 2주 중 2주, C. glabrata 3주 중 2주이었다. Azole 내성을 획득한 C. auris 9주를 대상으로fluconazole를 제거한 배지에 연속적 계대배양을 시행했을 때 1주를 제외하고는 fluconazole과 voriconazole MIC가 14일까지, 그리고 2주에서는 80일 이상 안정하게 증가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균주를 다약제 유출 펌프 억제제인 PAβN가 포함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9주 모두 luconazole MIC가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임상에서 분리한 C. auris, C. pseudohaemulonii C. catenulata, C. guilliermondii 등 다양한 칸디다 균종에서 fluconazole 노출 후 신속하게 내성을 획득할 수 있고, C. auris의 azole 획득 내성은 fluconazole 약제가 없는 상태에서도 장기간 지속할 수 있으며, 다약제 유출 펌프와 연관이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김주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신규교사가 교직문화에 새롭게 입문하면서 겪는 갈등의 양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갈등의 원인이며 동시에 해결의 주요소가 되는 교직문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규교사가 겪는 갈등 및 그 이면에 내재하는 교직문화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신규교사가 교직에 더 빠르게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직문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문헌 연구 및 면담의 방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정 2정에 해당하는, 상이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8명의 5년 미만의 신규교사를 면담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교사가 대면하는 갈등의 분야를 크게 행정 업무, 수업, 사람들과의 관계라는 3가지로 나누어 각 분야에서 겪은 어려운 점과 어려움을 느꼈던 일화 등을 중심으로 확장시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대상자들은 면담 과정 속에서 스스로의 교직 환경에 대해 규정짓기도 하고 일화 내에서 교직 환경에 대해 암시하기도 하였다.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을 덧붙여 살펴본 초임교사가 겪는 갈등의 양상과 그로 인해 알 수 있는 교직문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업과 관련해서 경험부족, 수업에 대한 다양한 시도, 이에 대한 동료교사의 시기, 질투어린 시선 등으로 부담감 혹은 허무감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수업 장학과 관련한 형식적이고 진부한 제도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며 그 과정에서 자책하기 또는 홀로서기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개인주의, 폐쇄주의, 형식주의와 같은 교직문화로 인해 수업전문성 신장이 더디게 이루어지는 현장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반면, 함께할 때 할 수 있는 성장에 대한 경험담을 들려준 신규의 경우, 교직문화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한 줄기 빛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업무와 관련해서는, 기피하는 업무에 대한 배치, 남자라는 이유로 더욱 가혹한 양의 업무 배치 및 업무를 배울 수 없는 환경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업무적 측면에서도 개인주의적인 분위기가 만연한 교직사회의 문화를 짐작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 편에서는 세대차이 및 관심사가 다른 동료교사들과 함께 일하는 환경, 다른 교사를 평가하고 남의 말을 하기 좋아하는 교직문화, 승진에 급급한 선배교사들이 있는 교직의 분위기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또한 관리자와는 업무상 대치, 신규교사를 존중해주지 않는 권위적인 교직문화의 환경, 관리자가 최고 권위자로서 비민주적으로 학교가 운영되는 교직의 환경에 대해 알 수 있었다. 한편, 학부모와 학생과의 어려움이 발생하였을 때는 대체로 동료교사에게 정서적으로 기대어 문제를 해결해가는 전반적인 교직의 문화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임교사가 겪는 갈등 양상은 대체로 신규교사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부족하고 한 명의 동등한 교사로 존중해주지 않는 교직사회, 신규교사에 대해 체계적인 지원이 미흡한 교직의 환경, 권위적이고 비민주적인 교직문화 및 형식적 틀에 얽매인 교직문화가 갈등의 주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로써 신규교사에 대해 동등한 위치의 교사로서 존중해주는 문화, 권위보다는 교사 개개인이 학교의 주체가 되는 민주적인 교사 문화, 학생과 수업이라는 큰 주제를 공통 관심사로 삼아 정서적 공동체 및 자발적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공동체 형성이 가능한 교직문화의 조성 및 신규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치료적 노래 부르기를 통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 명료도 향상 사례
김주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치료적 노래부르기를 적용한 음악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 명료도와 심리정서적 측면의 변화를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대학병원에서 두경부암 진단을 받고 관련 수술 및 화학방사선요법 등을 받았으며 추적관찰 기간이 최소 6개월 이상인 환자 총 3명으로 주 2회 30분씩 12회기 중재에 개별적으로 참여하였다. 본 중재 프로그램은 호흡근 이완을 위한 신체움직임, 조음기관의 운동범위 확장 및 성대이완을 위한 발성훈련, 리듬, 속도, 악센트를 적용한 치료적 노래부르기의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에 따른 대상자들의 말 명료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음성의 질, 길항반복운동속도(DDK), 모음공간면적(vowel space area, VSA) 변화 등의 음향학적 분석과 <산책>문단 읽기 과제 시의 청지각적 평가지표를 살펴보았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시의 관찰 및 사전ㆍ사후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심리정서적 변화를 관찰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근육의 섬유화로 인해 입벌림이 원활하지 않았던 대상자 A는 강박에 악센트를 주며 반복 노래하도록 유도하자 구강안면부의 움직임이 시각적으로 원활해지고 청지각적으로 비성이 감소해 말 명료도가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상자 B는 일상대화 시 구어호흡이 불안정했으며 낮은 음도로 목쉰소리와 기식성 음성을 산출했는데 악절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해 들숨구간에서 명확한 들숨 후 악센트를 주며 음성을 산출하도록 유도하자 음성의 질적 측면에 개선이 나타났다. 대상자 C는 프로그램 초반에는 음성 산출에 대한 부담감과 낮은 재활동기를 표현했으나 회기가 거듭될수록 음성언어 기능의 개선과 더불어 프로그램 내에서 부른 노래를 녹음해 소유하고자 하는 등 음성사용에 대한 정서적 고립감 및 위축감을 일정 수준 이상 해소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서 치료적 노래부르기를 적용한 음악프로그램이 두경부암 환자들의 음성 기능 및 잔존하는 조음기관 운동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추후 관련 연구를 통해 중재방안 및 영역의 확장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rough a music intervention program using therapeutic singing.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head and neck cancer a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medical procedures such as surgery and chemoradiotherapy were terminated. Three patients observed at least 6 months for their improvement were selected under the recommendation of hospital's specialists. They received an individual music therapy sessions and each session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Normal listeners who had no familiarity with the subjects and their problem wrote the transcripts of the recorded voices that the subjects read a standard Korean text <Walk>,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measures were derived from it. Acous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 measures of maximum phonation time(MPT), fundamental frequency, average intensity, jitter, shimmer, Noise to Harmonics Ratio(NHR), diadochokinesis(DDK) and the quadrangle vowel space area(tVSA). These cases have shown improved acoustic characteristics in all of the patients. This indicates that music therapy program using therapeutic singing was effective on speech intelligibility fo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