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심 재생을 위한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 연구 : 동국대학교 필동 캠퍼스를 중심으로

        이욱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도심에 위치한 대학교가 지역사회 커뮤니티, 행정관청, 민간자본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여 캠퍼스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도심 재활성화의 거점으로 작용하는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에 관한 연구이다. 대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직주분리현상, 도시 외곽지역의 신 주거지 개발에 따른 도시인구의 유출, 도심지역의 높은 지가로 인한 일부 도심기능의 이유로 주거인구 공동화가 도시문제로 진행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거울 강남지역으로 충추관리기능의 계획적 이전과 고밀도 공동주택의 집중적인 개발·공급으로 구도심을 포함한 서울 강북지역의 업무와 인구 공동화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한 서울은 강남·북 지역의 불균형 성장은 강남지역으로의 도시기능 집중에 따라 토지의 비효율적 이용과 주거환경, 교육여건, 생활편의시설 등 시민 생활 여러 분야의 지역간 격차를 심화시켜 강북지역 시민의 상대적 소외감이 증대하고 결국 시민화합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지를 둔 31개 대학교를 검점으로 상대적 개발 소외지역을 활성화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강남·북 지역간 불균형 성장문제 해결을 제안한다. 대학교 캠퍼스는 젊고 활력 있는 인구와 다양한 교육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동반성장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기능재생이 가능함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은 서울 구도심에 위치하며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개발 소외지로 인한 도시문제가 상존하는 동국대학교 필동캠퍼스 주변지역에 캠퍼스 기숙시설을 연계시켜 지역사회와 캠퍼스의 동반성장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재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대학교 기숙시설은 캠퍼스 인구 일과 활동의 시작과 마무리를 제공하는 장소이며 일과이후 휴식과 학습, 문화 활동 등 자기계발 활동의 구심점으로 작용하는 공간이다. 즉 기숙시설 프로그램은 캠퍼스 인구 활동이 지속·고밀도로 일어나는 활동의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숙시설이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동의를 얻고 행정관청과 민간자본의 지원으로 낙후된 거중환경 지역에 개발되는 것은 캠퍼스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주변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며 젊고 활력 있는 인구를 지역사회에 확보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캠퍼스 지역의 기능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about propriety of university campus which makes be a base of downtown re-activation from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and improves campus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When metropolis grow up, slum become an urban problem because the phenomenon of occupation-residence separation, exodus of urban population from new residential area in outside of metropolis and the high price of land in downtown. Especially, after 1970s, moving main administration function to the south of Han River on purpose, development and supply of high-density apartment house make the north of Han River slum of business and population. Urban function concentration of the south of Han River makes disproportion growth of Seoul and deepens loc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According to this result, citizen live in the north of Han River increase a sense of alienation and finally it makes be a factor that disturb urban harmonization of Seoul. This research propose the solution of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south and north of Han river and slum from revitalization of development neglect area based on 31 universities campus located in the north of Han River. Because of influence of young and energetic people and various educa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in university,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restore of urban downtown function both university and local society. Especially, this thesis focus on re-activation method from connection old downtown with campus residence facility located in neighbor area of the Dongguk University Pildong campus which undergo urban problem from coexistence of slum and development neglect. Campus residential facility is an area offered to start and finish of campus life and acted to central space of rest and education, cultural activity and self-development for population of campus. So, we can think that residential facility program is a center area of campus activity with continuity and high density. Accordingly, development of this residential facility with agreement and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in falling behind area makes campus and downtown improve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campu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ighbor and gets an energetic and young popul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for restoration of area.

      • 중등학교 생물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교과과정의 관련성 분석

        나기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nd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s of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re based on the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refore the curriculums should consist of contents covering overall courses of study in secondary school, which would be fundamental for students to study i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This study is about whether the questions in current Teachers' Appointment correspond well to requirements in the curriculums. In this study, I used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address these questions as follow: First, I analyzed all the questions in biology Teachers' Appointment given last 5 years from 2003 to 2007. Second, I analyzed 6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are represented each province. Third, I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questions and curriculums and studied how to improve the teachers' appointment in the future. When the questions in biology were analyzed, the number of questions were not enough to cover all the contents suggested in the 7th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questions were not related to the modern environmental biology and biotechnology. In conclus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develop unique curriculum for biology major because it aims at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curriculums should be standardized to be connected with secondary school of biology. Teachers have great responsibility which they must develop future leaders who lead our society.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we select right people for the position.

      • 장편영화 <인 드림즈> 제작보고서 : 공동연출에 의한 기획 연구

        정이항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자는 2021년 3월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영화영상제작학과 영화기획 전공에 입학하여 영상대학원 워크샵(workshop)작품 <낯선 아버지와 아들> (연출 주완의, 2021), <인 드림즈> (연출 관동휘, 2021), <닿을 수 없는 거리> (연출 김정호, 2022)의 제작 및 메인 프로듀서로 참여 하였다. 해당 보고서는 OTT 장편영화 <인 드림즈>의 제작보고서이다. 영화는 고등학교 시절 사건으로 인해 트라우마가 있는 여자 주인공이 꿈속의 남자를 찾기 위해 몽신과 거래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 영화는 권동휘, 원필, 유우현, 황하민 등 4명의 감독이 공동연출하였다. 이는 영화 제작 과정에서는 보기 드문 것으로 본 연구자는 권동휘 감독 팀의 메인 프로듀서로 영화에 참여해 공동연출에 의한 기획 연구를 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회의 진보에 따라 합작과 효율은 현대 사회 업무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부가 되었다. 영화, 드라마, 연극 등 예술 분야에서는 창작자의 개인성과 독특성이 중요하더라도 제작환경이 급변하면서 시청률 위주의 편성시간 늘이기는 연출자의 노동량을 증가시켰고, 그 해소 방안으로 정착된 공동연출 시스템은 연출 업무의 분업화를 가져왔다. 공동연출 시스템의 등장은 영화와 텔레비전 발전의 필수 과정이다. 현재 한국 드라마 제작 과정에서 공동연출 시스템은 잘 발달해 활용되고 있다. 드라마 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해 효율성을 높였다. 반면 한국 영화 제작 과정에서는 과거에도 공동 연출한 작품이 적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어쩌다, 결혼>, <마스터 클래스의 산책>, <미싱타는 여자들>등. 다만 드라마에 비해 덜 발전적이고 활용도가 떨어진다. 드라마에 비해 영화 길이가 짧고 예술성이 높아 공동 감독의 작품에서 영화적 통일이 없고 감독 개인의 예술성을 부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동연출 시스템은 할리우드에서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다. 요즘 중국에서도 엄청 유행한다. 중국 영화시장의 큰 환경적 영향을 따라 프로젝트 추진의 효율성을 더욱 추구하려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영화들이 공동연출을 채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장기간의 불가역적 충격, 현금 흐름의 막힘 등의 문제가 겹치면서 시장에서의 공급 부족에 대한 갈등이 증폭됐고, 이에 따라 적지 않은 영화들이 왕성한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동안의 창작 주기를 단축하고 '시효성'을 더욱 중시해야 했다. 이런 상태가 단기적으로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영화 <인 드림즈>의 제작과정을 분석하여 공동연출 영화의 제작방법, 제작 특징과 제작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총결산하여 나중에 공동연출 영화의 발전에 참고가 되고자 하기로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progress of society, cooperation and efficiency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modern social work. In artistic fields such as film, drama, and play, although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of the creators are of great importance, the drastic change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has increased the complexity of time scheduling which mainly based on ratings. In order to lighten the burden of the director, the co-director system emerged and brought the function division of the directing. The emergence of the co-director system is a necessary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The co-director system has been well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Korean dramas. The production time has been shortened greatly and the efficiency has been improved. Although there used to be many co-directed Korean film works in the past,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o-director system in film production are less mature compared with dramas. The film needs to express higher artistry within less duration, which means in a co-director system, it is difficult to keep the unity of the film and experss director's personal artistry. In foreign film industry like China, with the influence of the general environment of the Chinese film market, in order to meet the desire to further pursue the efficiency of project promotion, the co-director mode has become a common approach. Specifically, with the superposition of the long-term irreversible impact and cash flow blockage caused by the new COVID-19, the contradiction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the market has intensified which makes many films had to shorten the production cycle in order to meet the market demand in higher efficiency. The feature film "In Dreams" was co-directed by four directors. In Korea, feature film directed by more than two directors are extremely rare. This production report is aiming to analyze the co-director production process of the OTT feature film "In Dreams". In this article, we first gave the definition the co-directing, and then we explored the development of the co-directing system,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co-director system, how is the co-directing work generally allocated for the shooting part, and finally analyzed several co-directing works in detail. In addition, the production process of "In Dreams" is divided into the planning stage, the pre-production stage, the production stage, the promotion and marketing stage. The process of each stage was analyzed from the co-director's producer's aspect, and the expects and results of each st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e gave a comprehensive summary of this article in conclusion part, review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sought answers to the questions raised in the introduction part.

      •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총체적 언어 기능 교육 방안 연구 : 역할극을 활용한 언어 기능 통합 교육을 중심으로

        문효빙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3, 4학년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총체적 언어 기능 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교육 방안에서 고급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용 중심 교수법 중인 내용 보호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진행하며, 수업 절차를 고려하여 내용 중심 모형 ‘Into-Through-Beyond’를 활용하였다. 수업은 학습 준비 단계, 학습 접촉 단계, 학습 확장 단계로 진행하고, 확장 단계에서는 역할극을 활용하여 내용을 심화시킬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총체적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뿐만 아니라 문화 내용 이해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以中國大學韓語系學習者爲對象的韓語教育目標是幫助學習者提高文化內容理解能力和整體語言能力。 , 但是 目前很少有研究關注以文化內容爲基礎的語言技能綜合教育。, , 目前 中國的韓語教育主要以傳統教學方式進行 導致很多學習者文化內涵不足, 。, , 以及整體語言能力有限 因此 大部分學習者畢業後 在韓國大學院學習或韓國公司工作時都會遇到困難。 , 爲了解決這些問題 本研究考慮到高級學習者的特性, ,, 選擇了內容中心教學法中的內容保護學習模型 同時也考慮到授課流程使用了內容中心授課模型‘Into-Through-Beyond’。 , 而且角色劇既可以融入內容又可以提高整體語言能力,因此在擴張階段( ) Beyond 活用了角色劇。 , 對此 本研究以在中國大學韓語系就讀的3 4 、 年級學習者爲對象,提出了活用內容中心教學法進行的整體語言技能教育方案。 首先闡述了中國大學韓語系的韓語教育現狀, 。 並找出了問題所在 教育課程過於重視基礎知識 不, 重視技能、態度, , 教學不涉及具體專業知識 難以提高學習者的整體語言能力 並, 。, 導致學習者文化內涵不足 爲了解決這些問題 本文提出了內容爲中心教學法 以, 。 及角色劇來進行教學 緊接著展開了總體語言技能教育方案中內容中心教學方法的位置、作用,闡述了內容中心教學方法中角色劇的作用及優點。 , 另外 還展示了適用內容中心教學法 角色劇 、 的整體語言技能教育模型 接下來,針對中國大學韓語系3 4 100 、 年級的 名學習者 進行 , 了“個人信息、語言技能綜合授課的認識 以內容 、 、 中心教學法爲基礎的語言技能綜合授課的需求 利用角色劇的語言技能綜合授課的需求”的問卷調查。 , 然後分析了中國目前使用的韓語教材 並闡述了教材的分析標準。教材分析標準分爲“ ” 學習目標、 、 學習內容 學習活動 三種。 從問卷調查結果來看, , 大部分學習者對目前綜合授課的滿意度不高 對以內容爲中心的教學方法 利、 用角色劇的整體語言技能授課非常感興趣。按照前面提出的分析標準來分析中國的教材韓語系使用的教材, , 並提出了教材所存在的問題 並推薦了高麗大學韓語教育中心文化出版的高級教材 很《 》 有趣的韓語5 4 。 , 其次 章是以 章和 章 2 3 中討論的內容爲基礎,總結了活用內容中心教學法的語言功能總體教育方案的原理 並, 。, 展示了最終模型 另外 設計了語言技能整體教育的教學大綱和具體的上課流程, 。 以及展示了授課所需要的資料工具和專家的評價 本研究的教學大綱是由韓國傳統文化和公司文化兩部分組成, , 期中考試前是以韓國傳統文化爲主期中考試後是以韓國公司文化爲基礎進行授課。 , 上課流程是由 階段 Into Through階段 階段 , , 。, Beyond Beyond 組成 而且 階段中會活用角色劇 另外 課上會活用視頻 活 、 、 PPT 動紙等學習資料工具。 接下來整理一下本研究所蘊涵的意義 第。 ,一 本研究是根據中國大學韓語系學習者們的要求來設計整體語言技能教育方案。這個整體方案可以提高學習者的語言技能整體能力。, 。, 因此 可以幫助培養出目前社會所需要的綜合性人才 第二 本研究是活用內容中心來豐富學習者的文化內涵。內容爲中心教學法是以活用內容來展開的教學法 以內容 。 , 。, 基礎進行教學的話 可以提高學習者的文化理解能力 第三本研究的教育方案中的文化擴張階段活用了角色劇 角色劇不 。 但可以加強學習者整體語言能力 而, 。, 且可以學習更多文化內容 另外 角色劇是模仿實際情況進行教學的, 。, 可以提高學習者在實際生活中應對各種狀況的能力 第四 本研究提出的整體語言技能授課指導案有助於學習者了解韓國傳統文化和韓國公司文化 以文化內容 。爲基礎進行授課的話, 。, 學習者可以更快地掌握相關文化 因此 對學習者畢業後進 修韓國大學院或就職韓國公司會有很大幫助。 但本研究雖有上述教育意義,但未能將本研究提出的整體語言技能教育方案在實際課堂進行教學, 。 難以驗證教學的實際性和效果 另外,本研究提出的課程所需的視頻資料可能會給教師帶來很大的負擔,而且存在很難在短時間內觀看視頻 寫、 劇本等侷限性。希望今後在利用內容中心教學法 角色劇 、 的整體語言技能方案中,能夠克服這種侷限, 。 。 爲提高學習者的整體語言能力和文化內容理解能力做出貢獻。

      • 동국대학교 경주병원과 포항병원에서 진단된 암등록환자의 특성과 직업 관련성

        배근량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23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경주병원과 포항병원에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2년간 암으로 진단 받아 보건복지부 한국중앙암등록본부에 보고하였던 경주병원 암환자 426명(남자 256명, 여자 170명)과 포항병원 암환자 196명(남자 112명, 여자 84명), 총 622명(남자 368명, 여자 254명)을 연구 대상으로 암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인체에 발암성이 확정된 물질에서 발생하는 암질환자를 선별하여 직업 관련성 암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암등록 조사보고서를 검토하여 대상자 선정을 한 후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사용물질 및 작업 공정의 발암 가능성에 따라 발암물질을 구분한 국제암연구기구(International Agency of Research on Cancer; IARC)의 분류에 근거하여 직업성 암으로 분류되는 폐암, 비강암, 방광암, 피부암, 백혈병, 간암 환자 중 40세 이상인 190명(남자 149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직업력과 흡연력, 음주력 기재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대상자의 직업력은 개별 전화 면접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암 환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는 61.6±14.6세이었고 여자는 59.7±16.2세이었다. 연령 분포는 남녀 모두 60대, 50대, 70대, 40대, 80대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암발생 부위에 따른 분포는 남자는 위암이 28.0%로 가장 많았고, 폐암 20.7%, 간암 13.9%, 방광암과 대장암 각각 6.3%의 순이었고, 여자는 위암이 26.0%로 가장 많았고 자궁경부암 11.8%, 대장암 10.2%, 간암 7.1%, 유방암 6.3%의 순이었다. 암 진단방법은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확진된 경우가 남자는 74.5%, 여자는 83.1%이었다. 직업성 암 조사 대상자에 대한 의무기록 검토에서 직업력은 의사 의무기록지에는 6.1%, 간호일지에는 35.2%에서 기술되어 있었다. 흡연력과 음주력은 폐암환자에서는 93.0%, 간암 환자에서는 85.5%, 방광암 환자에서는 76.2%에서 기록되어 있었다. 전화 면접 조사의 응답률은 직업성 암 조사 대상자 중 남자는 84.6%, 여자는 90.2%이었다. 이들의 직업 분포는 남자는 농업 54.0%, 사무직 19.0%, 상업 15.1%, 생산직 7.9%(9명), 노무직 4.0%(5명)이었고, 여자는 주부 70.3%, 농업 18.9%, 상업 10.8%이었다. 이들에 대하여 세밀하게 직업력을 분석한 결과, 발암물질에 폭로가 확실한 대상자는 없었다. 그러나 폐암환자 중에서 1명이 과거에 주물공장에서 10년간 근무하여 직업적으로 발암 물질에 폭로가 의심 되었다. 본 연구에서 직업성 암을 확진하지 못하였으나 의심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앞으로 직업성 암은 사회 문제화 될 가능성이 있으며, 암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개인의 생활 습관과 직업 관련성에 대한 의사의 관심이 필요하다.

      •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 대상 플립러닝의 적용을 중심으로

        당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韩国语教育主要是由听、说、读、写4个领域组成,其中写作是韩语学习者们感 到学习困难并想避开的领域。而且从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来看,目前还存在很多问题。比如说,写作不能像口语一样得到重视,写作练习的单一化。以韩语教材为例,韩语写作主要是给定主题,然后学生以围绕着这一主题进行写作。这样的写作是否能提高学生的学习积极性以及学习效果这件事上持怀疑的态度。如果不解决这样的问题,学生很难感到写作的乐趣,容易陷入恶循环。 尤其到了21世纪,学习韩语的学生越来越年轻化。对这些学生更容易对传统教育方式不满。随着时代的改变,教育也要改变。 网络漫画可以说是包括了韩国人生活方式、思考方式和价值观等内容语言文化集合体,超越时间和空间,是不论是谁都可以轻易接触到的文化。韩国语学习者不应该单纯地学习语言,也需要一起学习韩国的文化。因此,为了已经一定程度熟悉 了韩国语的中级学习者,使用网络漫画开发的课程不仅可以学习到韩语知识,还可以学习到韩国的日常文化。 因此,本论文利用了年轻的韩语学习者更容易接受的网络漫画,引进了“flipped learning”的教学模型,试图为中级韩语学习者开发更有趣、有效的写作教育方案。第一章主要包括研究目的、研究背景,以及本研究有关的先行研究。写作 是很多韩国语学者感到吃力的领域,但是写作同时又是表达人的感情和想法的重要手段。因此为了解决这个问题,本研究将利用有趣的网络漫画开发更能引起学习者兴趣的写作课程方案。 第二章主要是了解韩国语写作教育的特点和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再找出问题点。以此再引发出网络漫画的教育价值和投入flipped learing的必要性。 第三章主要是以西江大学、首尔大学、延世大学、中央大学、东国大学使用的教材为中心,分析利用网络漫画进行的韩语教育的现状和问题点, 同时也分析了韩语写作教育的现况和问题点。 第四章利用“flipped learing”的教育模型开发了利用网络漫画的韩语教育方案。首先探讨了适合韩语教育的网络漫画的基准、如何利用媒体等问题,以此为基础设计出了一套高效的写作教育方案。 第五章以上述研究为基础,展示了具体可以在课上实行的教案。第六章是结论,整理了本研究的核心内容后,表明研究了界限。 本研究虽然有着一定的界限,但是在利用网络漫画和flipped learning开发韩语写作方案这一点来看,存在着很大的创新性,是有价值的研究。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중급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상 매체는 웹툰, 멀티미디어 매체는 플립러닝을 선택해서 논의를 전개하겠다. 본 연구는 ‘쓰기’에 주목하는데, 유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쓰기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나 대학원에서는 쓰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중급 학습자가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인기가 높아지는 웹툰에 주목하여 쓰기 교육 방안을 만들기 때문에 유학생의 유학 생활 적응과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할 때 학업 적응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최근 5년간(1998-2002년)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서 분리된 각종 병원성 세균의 항생제 내성양상

        최우혁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Background: Because the main factor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bacterial resistance include the injudicious use of antibiotics,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use of antibiotics. During the past decades, the frequency and the spectrum of bacteria resistant to various antibiotics have increased in hospitals and the general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evailing patterns of resistant bacterial strains for the empirical sele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Method: Between 1998 and 2002, bacterial infections in Kyoung Ju Hospital of Dongguk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clinical isolates were characterized. Results: The isolation rates for methillin-resistant S. aureus strains have gradually increased over last 5 years. However, some gram-negative bacilli and gram-pasitive cocci revealed the steady or decreased level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during this period. When compared with the average rates of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btained from the nationwide surveillance in Korea, the clinical isolates from Kyoung Ju Hospital do not appear to possess the higher resistance rates. Conclusion: Since the year 2000, the resistance rates for most of the nosocomial infections have been relatively well controlled at Kyoung Ju Hospital mainly due to the strict isolation of ICU in addition to the intensive education and the preventive control of infections. In order to prevent or reduc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adequate use of antimicrobials needs to be considered. In addition, special attention must be paid to determine which kind of antibiotics to be used and when to use them in regard of controlling nosocomial infection.

      • 한국어 듣기 교재의 듣기 후 활동 유형 분석과 개작 연구 : 중국 4년제 대학교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왕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중 수교를 시작 이후, 양국의 교류는 경제는 물론 정치,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내 한국어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의 수요 급증으로 이어졌으며, 전문성을 갖춘 한국어 인재 양성을 위해 중국 대학교에서는 한국어 전공 과정을 개설하였다. 한국어학과가 급속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현재 중국 대학교에 사용된 한국어 교재는 대부분이 문법번역식 교수법 혹은 청각 구두식 교수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및 학습 과정에 적절하지 않은 교재가 많다.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에서는 듣기 수업을 교사 중심으로 실시하며, 교재에 의존하여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활동이 오디오, 비디오 등 기기를 이용하여 듣고 따라 읽기, 듣고 받아쓰기, 반복하여 듣기, 듣고 대답하기 등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보고 듣고 말한다는 의미의 '시청설(視聽說)'이라는 수업을 개설하여 말하기와 듣기 활동을 동시에 가르치는데 목적을 둔 과목이다. 다만, 실제 수업을 운영하는 중국 대학교 중 대부분이 이 수업에서 ‘말하기’에 중점을 두고 듣기의 중요성을 배제한다는 문제가 있다(李英天:2020). 이로 인해서 중국에서 듣기를 전문적으로 학습해야 할 학습자들은 듣기 교육의 부재에 시달리게 된다. 또한, 교사가 듣기 교재에 의존하여 듣기 전 활동 및 듣기 활동에만 중점을 두기 때문에 듣기 후 활동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듣기 교육의 이러한 문제점은 학습자의 흥미를 감소시키며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효율성도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듣기 수업은 존재하지만, 학습자들은 듣기 교육을 실제로는 받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전공자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다양한 교재를 개발하고 있지만, 한국 외의 국가에서는 과거부터 사용해오던 교재를 새롭게 개발하거나 변화를 주는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전부터 이어지는 교재와 교육방법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듣기 교육에 한계가 있다. 듣기는 의사소통에 가장 기본이 되는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 개선이 쓰기나 말하기 등에 비해 다소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의 듣기 교육의 문제를 개선하고, 효과적인 듣기 교육을 위해 기존 교재를 개작하여 학습자의 듣기교육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本研究旨在改善國內高校聽力教育過程中出現的問題,爲有效開展聽力教育,重點開展聽力活動,對現有教材進行改寫,從而提高學習者的聽力教育效率。中國大學使用的中國開發的聽力教材,很多情況下沒有反映教育方式或教育內容發生變化的時代變化。過去開發的教材在沒有修改或補充的情況下繼續使用。爲了掌握相關問題,通過改編現有教材,提高學習者的聽力,本研究選定了中國大學普遍使用的3種教材,掌握相關教材中出現的聽後活動類型,並對其進行改編。 之前對先行研究進行的結果顯示,大多數韓國語聽力教育方案都關注利用輔助教育手段的方案,很難找到集中開發及製作聽力教材的研究。在對韓國語聽力教材的先行研究中,雖然出現了聽力教材缺乏多樣性的問題,但存在聽力教材開發方案研究不活躍的侷限性。 對於韓國語聽力活動,大部分研究都關注聽力前活動,但存在不提及聽力後活動重要性的侷限性。因此,只對聽力後活動的類型研究、缺乏多樣性等提出了局限性,並沒有對此進行具體的方案研究。爲此,本研究擬對我國高校教材中出現的聽後活動類型進行考察,並進行改編研究。 爲此,第二章進行理論考察。爲了進行理論考察,將利用相關單行本、學位論文、學術論文、韓語教材、在線資料等進行研究。首先,爲了掌握中國大學的聽力教育現狀和特點,瞭解中國的聽力教育現狀和教材使用現狀。通過觀察中國大學聽力教育中出現的特徵,確認目前聽力教育中出現的問題。接下來,我們將對本研究擬作爲研究對象的過程中心聽力特點和聽力活動進行理論考察,尤其以聽力活動爲重點,把握理論概念。最後,對教材改寫方法和聽力教材構成的理論進行探討,本研究擬將教材改寫作爲結果,因此,提出教材改寫方法理論,爲中級學習者提供聽力教材構成模型。 第三章是關於研究方法的內容,首先整理問卷內容設計和教材分析標準。調查問卷內容設計是在對現有研究進行考察後,根據暴露的研究範圍設計適合本研究的調查問卷內容。問卷的構成由個人信息、韓語水平、韓語學習情況、韓語聽力教材使用情況、韓語聽力教材開發等構成,以在中國大學專攻韓語的1、2年級爲對象進行問卷調查。通過這些,將掌握學習者認知的聽力教材的問題及滿意度、必要性等。 接下來,組織教材選擇和分析標準進行教材分析。從目前我國高校常用的聽力教材中選取了3種,將對現有的前期研究進行綜述,得出教材分析的分析標準,對教材進行分析並提出共識。 第4章是研究結果,之前以第2章和第3章的內容爲基礎,提出了改寫的教材樣本,並提出了實際聽完後活動和指導案授課示例和評價方法。首先,聽力教材改編原理將通過3張問卷調查和教材分析結果及協議點得出,並以此提出最終改編模型。另外,將提出改編後的教材的聽後活動,並利用該聽後活動進行授課的教案。即,提出如何將其應用到課堂上的方案。另外,該聽力活動實際適用於中國大學時,將向教師出示必要的活動地或學習資料,以實際教育現場的韓國語專家爲對象,接受本研究設計的聽力活動及改寫的教材的可行性驗證。基於這些內容,第五章將總結提出本研究的結果,並將研究結果的啓示給出結果。通過這些,本研究提出了關注聽力活動的聽力教育方案,從這一點來看,具有意義,從再次強調多種活動,即練習部分的重要性來看,將具有意義。

      • 구출

        방원원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저는 무척 운이 좋은 편입니다. 중국 전역에서 한가구 정책을 추진하고 한 아이만을 키워야 하는 시대에서, 저는 다행히 가족에게 사랑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저와 달리 일부 여성들은 가정으로부터 버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에 와서 공부할 수 있게 해주고,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에 올 수 있도록 허락해준 가족 모두에게 감사드립니다. 여성의 문맹률이 남성을 훨씬 능가하는 지금, ‘구출’이라는 이름으로 졸업 작품을 내고 대학원 학위를 받을 수 있어 무척 기쁩니다. 이 작품의 완성은 교수님의 지도와 학과 선배님들의 도움 덕분에 가능했습니다. 그분들 덕에 비로소 중국 배경의 작품이 한국어로 잘 표현될 수 있었습니다. 이 작품에는 여성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저는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친부모에게 버림받은 여자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들은 아름답고 착해서 세상의 작은 따뜻함을 바라는 길을 힘겹게 나아갑니다. 그러나 저는 그들을 진정한 의미에서 구할 수 없었고, 그들에게 어둠에서 벗어나 멋진 삶을 사는 법을 가르쳐 줄 수 없습니다. 작품 속 경찰이 아무리 노력해도 유괴된 어린이 하나를 구하지 못한 것처럼, 나 역시 이 모든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침묵하는 것도 달갑지 않습니다. ‘구출’이라는 작품을 통해 중국 전역과 전 세계의 모든 여성들이 자신을 구출하는 길로 나아가길 바라며, 세상에 얽매이지 않고 용감하게 나 자신이 되고, 용감하게 자신을 사랑하기를 기원합니다. 我很幸运,在全中国推行一个家庭只养一个孩子的时代,在一个家庭只能有一个孩子的时候,作为一名女性依然得到了家人的爱。没有像一部分女性那样因为是女性遭到家庭的遗弃。在此感谢我的家人,同意我来到了韩国学习,并且按照自己的意愿就读了东国大学的研究生。在女性文盲率遠超男性的当下,用名为《救援》的毕业作品拿到了研究生学士学位。 这篇作品的完成,必须要感谢教授的指导和学科前辈们的帮助。才让这篇中国背景的作品用韩语得到了很好的呈现。 作品中涉及到了女性话题。我见过仅仅因为自己是女性就被亲身父母抛弃的女生。他们美丽善良,在乞求世界一点点温暖的道路上艰难前行。我无法从真正意义上去救他们,我也不知道如何教他们走出阴霾并且获得美好的生 活。就像作品中的警察无论怎样努力都没能救出被拐卖的儿童一样,現實中的我也只能看见这一切的发生。但也不甘愿为此沉默。 以《救援》这部作品,祝愿全中国以及全球所有女性都在通往救出自己的道路上,不被世间万物束缚,勇敢的做自己,勇敢的爱自己. I am very fortunate to be a woman in an era where only one child per family is implemented throughout China, and when there can only be one child in a family, as a woman, I still have the love of my family. Not like some women were abandoned by their families because they were women. I would like to thank my family for allowing me to come to South Korea to study and to study as a graduate student at Dongguk University according to my own wishes. At a time when the illiteracy rate of women is far higher than that of men, I used my graduation work titled "Rescue" to obtain a postgraduate bachelor's degree. The completion of this work must be thanked for the guidance of the professor and the help of the seniors of the discipline. That's why this Chinese background work is well presented in Korean. The content of this work involves the subject of women. I've seen girls who were dumped by their own parents because they were women. They are beautiful and kind, and they work hard on the road, begging for a little warmth from the world. I really can't save them, and I don't know how to teach them to come out of the darkness and live a better life. Just like the police in this work can't save the kidnapped child no matter how hard they try, in reality I can only watch this happen. But I don't want to be silent about it. With this work of rescue, I wish all women in China and all over the world to be on the road to rescue themselves, not be bound by all things in the world, be brave to be themselves, and love themselves bra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