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성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류소형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validity of a college Student-Success Scale scale that evaluates the success general college students achieve in their college courses. Universit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urrent trends requiring changes in the education process and the lack of freshmen due to demographic cliffs. Therefore, many universities are proposing and promoting new goals and strategies for their development. One such effort, student success, is an important goal that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However, research on student success in Korea is lacking, and many universities are aiming for student success without a clear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sam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lay the foundation for student success research by developing a college Student-Success Scale reflecting the current realities. In this study, student success is defined for the student as 'set the goals you want during the university period, actively learning, nurturing various experiences and compet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eparing to live a targeted life through efforts to develop yourself'. To develop a measure of success for college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on the concept of student succes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before this study. Based on this, five factors for college student success were short-listed: 'Academic achievement', 'Various experiences', 'Career developmen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growth'. In Study 1,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success, literature search, and expert interviews based on the above five factors. However, during the expert interview process, 'citizenship' was mentioned as an important factor, so this factor was added, and the study finally comprised 6 factors.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se questions were verified and revised by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who were in charge of university innovation. Preliminary questions that went through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were finally reviewed by a psychology professor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in scale development research and guidance. Through this process, a questionnaire comprising the six factors namely ‘Academic achievement’ (26 questions), ‘Diverse experiences’ (27 questions), ‘Career development’ (25 questions), ‘Interpersonal competence’ (24 questions), ‘Self-growth’ (31 questions), and ‘Citizenship’ (12 questions), aggregating 145 questions was developed. In Study 2,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301 college students to analyze the factors for the preliminary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8 items underlying the 6 factors were extracted. The extracted items for each were as follows: ‘Academic achievement’ (10 items), ‘Various experiences’ (7 items), ‘Career development’ (8 items), ‘Interpersonal competence’ (8 items), ‘Self-development’ (9 items), and ‘Citizenship’ (6 items). In Study 3, a second survey was conducted on 609 college studen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extrac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The data of 609 peopl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G1, N=305) perform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other group (G2, N=304)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roup (G1) finally derived 26 items for the 6 factors. The derived factors and questions were ‘Setting a life goal (5 questions)’, ‘Career development (4 questions)’, ‘Initiative learning (5 questions)’,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5 questions)’, ‘Mature citizenship (3 questions)’ and ‘Self-growth (4 questions)’. To check the model fit of the derived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G2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fit criteria were satisfied. To verify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developed college Student-Success Sca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Thriving Quotient(TQ).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uccess Scale and TQ showed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the previous semester's grade point average, school adaptation, career decision,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evaluat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criteria valid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college student success scal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 success scale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 대학생이 대학과정에서 이루어 가야 할 대학생성공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대 흐름과 인구절벽에 따른 신입생 부족으로 대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많은 대학들이 대학 발전을 위한 새로운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고 추진하고 있다. 그러한 노력 중 하나로 학생성공은 대학의 발전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는 중요한 목표이다. 그러나 국내의 학생성공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편이며, 많은 대학에서 학생성공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정의 없이 학생성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대학생성공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대학생의 학생성공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학생성공이란 ‘대학 기간 동안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적극적으로 학습하며, 다양한 경험과 대인관계의 유능성을 기르고, 자신을 발전시키는 노력을 통해 목표한 삶을 살아가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대학생의 성공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 이전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개념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성공 요인을 ‘학업성취’, ‘다양한 경험’, ‘진로 발달’, ‘대인관계 유능성’, ‘자기 성장’ 5가지로 가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5가지로 가정된 요인을 기반으로 대학생성공 인식조사 연구, 문헌탐색,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전문가 인터뷰 과정에서 ‘시민의식’이 중요하게 언급되어 요인이 추가되었으며 최종적으로 6가지 요인으로 문항이 구성되었다. 1차로 개발된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혁신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수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문항의 내용을 검증받고 수정하였다.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거친 예비문항은 다년간 척도개발 연구와 지도 경험이 있는 심리학 교수에게 최종 검토를 받았다. 이 과정을 통해 학업성취(26문항), 다양한 경험(27문항), 진로 발달(25문항), 대인관계 유능성(24문항), 자기 성장(31문항), 시민의식(12문항)의 6요인, 145문항이 완성되었다. 연구 2에서는 예비문항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6개 요인의 48문항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문항은 학업성취(10문항), 다양한 경험(7문항), 진로 발달(8문항), 대인관계 유능성(8문항), 자기 성장(9문항), 시민의식(6문항)이다. 연구 3에서는 예비조사에서 추출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609명에게 2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609명의 자료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그룹(G1, N=305)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다른 그룹(G2, N=304)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그룹(G1)의 결과 최종적으로 6개 요인에 대해 26문항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요인과 문항은 ‘삶의 목표 설정(5문항)’, ‘진로개발(4문항)’, ‘주도적 학습(5문항)’, ‘대인관계 증진(5문항)’, ‘성숙한 시민의식(3문항)’, ‘자기성장(4문항)’이다. 도출된 요인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G2그룹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모형 적합도 기준이 충족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대학생성공 척도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Thriving Quotient(성장 지수)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성공 척도와 TQ는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이전학기 평점평균, 학교적응, 진로결정, 주관적 행복감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준거타당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성공 척도의 의의와 기존 연구에서 개발된 학생성공 관련 척도와의 차이점에 관해 논의 하였으며,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ADO를 이용한 가상대학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성오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기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21세기의 대학은 정보통신의 급격한 발전과 웹의 보편화로 인하여 원격교육 시스템은 시간과 공간의 벽을 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과 더불어 열린교육,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수요자 중심의 가상대학이 활발히 운영, 발전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열린교육 환경에서 경제적이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웹 기반의 교육응용 프로그램이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ADO를 이용하여 가상대학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특히 과거 시스템으로부터의 문제점을 분석, 보완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안정된 시스템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대규모 가상대학시스템으로부터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원격교육학습에 이르기까지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운영·관리·확장 등을 고려하여 Windows NT 기반에서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대학 기부금 모금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이한섭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부분의 국내 대학교들은 기부금 모금에 있어서 기부자의 저변이 취약하고 정기적 기부보다는 비정기적 1회성 기부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부자의 기부행위에 대한 시각 또한 기존의 순수한 이타행위로부터, 기부금의 대가로 대학으로부터 특권이나 이익 또는 명예를 얻는 교환행위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기부자가 대학으로부터 무엇을 원하고 대학은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대학 간 경쟁심화 상황에서의 기부금 모금전략의 수립에 있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기부금 모금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주제로 국외와 국내의 대학 기부금 모금 마케팅 사례분석을 토대로 대학의 효율적인 기부금 모금을 위한 마케팅전략을 연구하였다. 미국의 Harvard대학과 Yale대학은 기부금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학생등록금 수입을 상회하는 안정적인 수입구조를 가지며, 기부금 모금방법의 다양화, 각종 법적 절차 간소화와 면세혜택으로 자국의 기부문화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도권 지역 3개 대학을 중심으로 살펴 본 국내의 경우, 수입구조에서 학생등록금 수입 의존도가 크고, 기부금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기부액은 최상위 대학에 집중되고 있다. 이에 기부문화의 확대와 기부금액의 증가를 위한 구체적 마케팅 전략으로 첫째, 대학기부금 전담부서를 우선 마련하고 둘째, 기부자 시장을 세분화를 통해 각 세분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고 셋째, 지속적인 관계 마케팅을 통해 기부금 유치 활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대학은 기부자에게 기부에 대한 보상으로 이익, 명예, 또는 기타 다양한 특권을 제공하여 장기적 전략적 파트너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혜기관 또는 기부금 관리기관의 대외 신뢰도를 높이고, 기부자로 하여금 기부금의 사용용도 또는 수혜기관을 지정하게 하며, 기부금에 대한 경제적 혜택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마케팅 방법으로, 대학의 UIP(University Identity Program) 프로그램에 따른 대학 마스코트나 엠블렘을 기부금 모금 마케팅에 활용하는 방안이나 인터넷 기부금 모금 사이트를 만들어 학교홈페이지, 동문회 홈페이지 등과 연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기부금 모금 활동에 대한 더 높은 홍보 효과 뿐 만 아니라 기부금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여 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후원의 집 제도와 산학협력에의 기부금 유치 등을 통한 기부대상을 확대 하는 방법도 고려 해 볼 수 있다. 학교는 지역으로부터 받은 후원을 지역사회 지원 사업에 활용하는 선순환을 통해 이미지 재고는 물론 지역사회 마케팅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비영리기관의 기부금모금에 한정되어 있던 기부금 모금의 연구를 대학기관의 경우에 구체화하여 실질적 마케팅 방안을 제시한 것이 첫 번째 공헌점이다. 두 번째로 대학에서 진행하는 여러 분야의 마케팅에 기부금 마케팅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기부금 마케팅 방안을 연구하였다. 세 번째는, 대학의 기부금 모금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Most domestic universities have problems to raise money: The network for donation is weak and irregular donation takes bigger portion than regular one. Furthermore, donators’ perspectives about the action of contribution has been changing from charitable behavior to beneficial behavior which gain privilege, profit or honor as a cost of donation. According to this shifting, understanding what donators want and what universities can provide for them is the most considerable requisite to build up the strategy for fund-raising. Moreover, the study for structured fund-raising is required because of competition of universities. At this point, this research studied the marketing strategy for universities’ fund-raising by case studying about the marketing plan which i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Harvard and Yale have the stable income system which amount of fund-raising income is more than tuition income and they offer various opportunities - diversifying ways to contribute, simplifying legal processes, exempting from taxation- which causes the expansion of donation. In the case of three domestic universities which i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generally depend on the tuition but the amount contribution is absolutely tiny. Besides, most donations are centralized in higher universities. There are three marketing strategies for expanding donation or increasing the amount. First, set up the department which is in charge of fund-raising. Second, be aware of all specific characters in detail after specializing in the contribution market. Third, marketing with ongoing relationships activities should be deployed.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ies to keep systematic long-term the partnership with donators via providing benefit, honor or various privilege as compensation. Furthermore, universities need to increase the trust to the department and to let donators choose the use or the receivers. They also should search the way to strengthen up the financial benefit to contribution. The method to use mascots or emblems at fund-raising marketing is required. Otherwise the way to connect between fund-raising website and official school website or alumni website is recommended. It does not have only advertising effect on fund-raising activities, but also increasing the integrity and trusty about contribution. Further, the supporting organization in communities and the way to expand the people targets who receive via cooperating with companies. Universities can use it to reform their impression via positive circulation to apply the supporting from communities to communities. It also can be used as marketing in societies. The first contribution of his research is that it suggests universities the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which was limited for non-profit organization’s donation. Secondly, it studied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by applying contribution marketing to various marketing which progress in universities. Thirdly, it can be the opportunity which promotes researchers’ interest about fund-raising of universities.

      • 청년창업 및 일자리창출을 위한 철도역세권 공공기여부지 활용방안 연구 : 광운대 역세권을 중심으로

        서재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unemployment and decrease of employment rate of the young people have been deteriorated due to the poor job creation by ‘growth without employment’.Accordingly, economic growth and expansion of employment become a national task and the government seeks continual policy researches and plans to crate youth jobs by means of creative economy and by expanding youth start-up and to prepare virtuous circle of growth and employment. And, universities also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route by means of technical start-up. So, universities make an approach to utilize knowledge based on created knowledge and professional personnel in the university beyond the creation of knowledge itself. Thus, the needs and role of the university on technical start-up have attracted attention. 42% of the universities in Seoul City are located in Northeast of Seoul. Thus, compared with other sector, those areas have rich start-up resources in link with universities. However, as there is no start-up incubating center,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general youth start-up incubating center for the creation of youth job by means of the public contributed site obtained from the construction project of Kwangwoon- Seokgye New Economic Hub. This study is on the convergence function knowledge cluster orientation instead of single functioned start-up incubating center. The core of the creative utilization of railway station district public contribution site is not to introduce simple sporadic start-up incubating center, but to form converged collective cluster of ‘expanded start-up incubating function and facility’ and technology, knowledge, industry and culture together with the venture industry. Accordingly, it is close to ‘urban leading edge mini industrial complex’ where the urban leading edge industrial complex concept is condensed. Thus, it must be continually linked with public contribution site usage = start-up incubation + R&D function + connected manufacture function + other support and derivate use. In addition, it must be promoted by public leading project not by private leading project that seeks profit maximization. The public contribution site must be used for public nature and public interest. The core use of the site must be knowledge based service industry to supply hardware and software infrastructure and to seek growth which the private sector cannot promote. Together, the cooperative support of Seoul City is necessary for this ‘Bottom up way of plan.’ A planning and bottom up approach must be made by surveying,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Northeast region of Seoul in order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ity. And, in terms of reorganization of urban space structure, it needs cooperation with Seoul City government and local autonomy government. As the local growth opportunity and driving power for growth with the 3.5 million population of region, the regional unbalanced development in Seoul might deepen a new urban problem. In particular,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develop local tailored urban regeneration success case rather than general railway station district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utilizes university R&D capacity model by 40% of university condensed area with its potentiality in order to commercialize such capacity and to boost local economy by means of new employment. In addition, it creates value expansion urban regeneration model by utilizing the driving force of urban regeneration with its unique regional features and potentiality.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utilization plan of the public contribution site of the railway station district. ‘고용 없는 성장’ 지속에 따른 일자리 창출 부진으로 청년층의 실업 증가와 고용율 저하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성장과 고용확대가 국가적인 과제가 되었고 정부는 이를 반영하여 창조경제와 청년창업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활성화를 통해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책적인 연구와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기술창업을 통한 경제적 수익 및 일자리 창출의 통로구축의 가능성을 대학에서 인지하고 지식의 창출에 머물던 대학에 창출된 지식과 전문인력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의 활용형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창업에 대한 니즈와 역할이 주목받게 되었다. 따라서 서울의 동북권에 서울시 대학의 42%가 입지하고 있어 타 권역에 비교해 대학을 연계한 창업수요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창업지원쎈터가 없는 실정으로 광운.석계신경제거점 조성 사업에서 얻어지는 역세권 공공기여 부지를 활용을 통한 청년일자리창출을 위한 종합청년창업지원쎈터 건립에 따른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단일 기능의 창업지원센터가 아닌 융합기능의 지식형 클러스터 지향할 것이며 역세권 공공기여부지의 창조적 활용의 핵심은 단순히 점(點)적 창업지원센터도입이 아니라, ‘확장된 창업보육기능·시설’, 벤쳐기업과 함께 기술·지식·산업·문화가 융합된 집합적 클러스터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개념이 압축된 ‘도시첨단 미니 산단’의 개념에 가까운 공공기여부지 도입용도는 창업보육인큐베이션, 연구개발기능 및 연계제조기능과 기타 지원·파생용도로 지속적으로 연계되어야 된다고 판단하며, 아울러 수익성 극대화의 민간주도가 아닌 공공주도형 사업의 추진되어야 하고 공공기여부지는 말 그대로 공공성과 공익성을 기반으로 사업이 추진되어야하며 부지에 도입되는 핵심용도는 지식기반형 서비스업종으로 민간주체가 추진할 수 없는 분야로서 공공성을 중심으로 하드·소프트 인프라를 공급하고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사업추진이 필수적이라고 본다. 아울러 상향식 계획안에 대한 서울시의 협력적 지원 필요로 하고 서울시 동북권의 지역특성을 조사·분석·반영하여 계획을 수립하여 서울시 균형발전의 관점과 도시공간구조 재편의 관점에서 서울시와 기초자치구간의 협력이 필요로 하며 동북권의 350만 인구의 배후도시권 위상에 부합하는 지역 성장기회 및 동력 제공 필요성이강하게 대두 되는바 대도시권의 서울 내 지역불균형은 새로운 도시문제로 심화될 가능성을내재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별이 일반적 역세권 개발이 아닌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성공 사례로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다고 보며 서울시 대학의 40%가 밀집한 지역고유특성과 잠재력을 도시재생의 새로운 동력으로 활용하는 모델로 대학 연구개발 능력을 기업화하고 신규고용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가치확산형 도시재생모델의 가치와 함께 지역 고유특성과 잠재력을 도시재생의 원동력을 활용한, 진정한 내생적 도시재생 성공사례로 육성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고 본 연구를 통해 철도 역세권 공공기여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와 함께 제안을 하고자 한다.

      • 중국 대학개혁 정책 변동요인과 발전에 관한 연구 : “211공정”과 “985공정”을 중심으로

        홍원일 광운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신중국 수립 이후 중국의 대표적인 대학개혁 정책인 "211공정"과 "985공정" 의 형성요인과 정책변동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 역사적 신제도주의 학파인 Kraser의 단절적 균형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중국 대학개혁 정책이 90년대 들어와서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게 된 배경에 는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고 사상의 제약을 풀어, 경제발전을 본격적 으로 지원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양성이 국가적 차원에서 절실했기 때문이다. 신중국 수립 이후에 안정적인 상태로 진행되어온 중점대학 정책은 1992년에 시 장경제체제의 도입으로 결정적인 전환점(critical juncture)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중국 대학개혁에 대한 시동은 덩샤오핑의 등장과 함께 1980년대부터 본격 화 되었다. 공산주의 사상에 경도된 정치적, 계급적 이념대립을 탈피하고, 인민 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라면 과감한 개방과 외자유치를 통해 국부를 축적 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실용주의 노선을 뒷받침하기 위해 대학개혁을 통한 인재 양성의 길을 선택하였다. 1990년, 2000년대에도 정책의 경로의존성에 따라 중점대학 정책 기조를 유 지하면서도 대학개혁 있어 종전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는 정책 의 대변화가 있었다. 사회주의 체제라는 특정 틀 속에 가두어 사회 안정을 유 지하려는 끊임없는 국가의 개입과 국가의 국민에 대한 체제 순응 요구는 대외 개방을 통해 국부를 축적하여 국가 위상을 높이려는 조급함과는 정책상 배치되 며 정책수단 사이에 상반된 모순이 개혁의 흐름 속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정치흐름(political stream) 속에서 "211공정", "985공정" 대학개혁 정책 을 추진하면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중국 대학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중국정부와 대학의 노력은 중단된 적이 없었다.“211공정”이라는 대학개혁 정책은 종래 중국정부가 오랫동안 유지해왔던 중점대학 정책의 경로의존성을 탈피하여 목표와 내용, 방법 등의 면에서 질적 으로 다른 제도의 변화 또는 정책의 변동이라 볼 수 있다. 제1기 "211공정"을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중에 새로운 2000년, 21세기를 불과 2년 앞두고, 특히 세계경제체제로의 편입을 인정받게 되는 WTO 가입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중 국정부는 "211공정" 대학개혁 정책과는 차별화된 보다 집중된 투자를 통한 세계 일류대학 탄생을 21세기 초에 보기를 원했다. "211공정"에 참여하는 100여 개 대학도 많다고 하면서 각종 지원을 100여 개 대학에 분산시킬 것이 아니라 소 수 대학에만 집중 지원하여 이 중 몇 개 대학을 세계명문대학 대열에 조기에 진 입시키겠다는 인식을 정책문제(policy problem)로 간주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1998년 5월 4일 베이징대학 100주년 기념식에서 장쩌민 주석의 몇 개의 세 계 선진수준의 일류대학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연설은 "985공정"과 연계되는 새로운 정책의 창을 열게 한 계기가 되었다. 중국의 세계일류대학 육성 정책은 연구경쟁력 세계 2위, 칭화대학의 세계 10위권대 진입이라는 성과에서 보듯이 중국 대학을 짧은 기간 내에 세계가 주 목하는 수준으로 어느 정도 상승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지만, 세계일류대학 계 획이 성공하기에는 좀 더 많은 노력이 있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가 의도하는 정책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을지는 몰라도 정책 수혜를 받지 못하는 대학들은 정부 정책에 대한 반감을 보이지 않게 표출하였 고 대학개혁정책의 존폐 논쟁도 부각되었다. "211공정", "985공정" 대학 선정 과정의 불투명과 불공정, 경쟁시스템 부재, 대학 서열의 공고화와 영속화 이슈 는 수면 위로 서서히 올라오고 있다. 중국 대학의 교육개혁이 대학 자체의 필요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국가의 주 도하에 일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의 교육은 대학 고유의 특 성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 발전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의 대학 개혁은 대학 자체의 변화와 필요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국가의 일괄적인 주도하에 이루어졌 다. 따라서 각 대학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지키기가 어려웠다. 중점대학 중심의 발전 정책에 따라 일각에서는 기존의 중점대학과 일반대학의 구분이 "211공정" 과 "985공정"을 통해 그 격차가 더 심화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 중국정부는 정치적인 위기와 사회적 갈등에 부 딪혔을 때 교육에 대한 관리와 통제 방식으로 사회를 안정화 시키는 등 교육을 직접 활용해 왔다.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한 WTO 시대 교육개혁은 "통제 가능 한 조화"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논조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대혁명의 과오를 인정한 바탕위에서 대학발전을 선도해 온 중국정부가 여전히 인간의 사 상과 학술의 자유를 통제하면서 대학발전을 모색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모순이 아닐 수 없다. 1990년대부터 2015년 두 공정이 "쌍일류" 정책으로 통합하기까지 약 25년 간 중국 역사상 정부 차원에서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된 두 공정의 추진은 개혁 개방 정책으로 급속한 경제발전을 통한 국력(state capacities)의 뒷받침이 있었 기에 가능했다. 공산당 지도사상을 통한 정치적 제약과 한정된 자원을 집중과 선택이라는 제한된 정책수단을 사용하여 국가 주도적으로 정책을 추진하였다. 다수를 희생하여 일부 소수에게만 혜택을 부여하여 칭화대학 등 몇 개 대학은 미국 저명 대학 수준에 오를 정도가 되었다고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정책유산 (policy legacies)은 침묵한 다수가 정부 정책에 대해 불공정, 불투명, 신분의 고 착화, 학문의 자유 제한 등을 이유로 이의를 제기하면서 정책 불신을 낳고 있 는 것도 현실이 되었다. 21세기 중엽까지 세계일류대학 탄생을 통한 고등교육 강국이 되겠다는 외형적인 목표는 기회의 균등, 학문의 자유, 조화로운 사회라는 보편적 가치와 함께 할 때 의미가 있을 것이다. I have analyzed the policy formation and change on the Chines representative university reform policy, "211project" and "985proje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New China, by applying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and the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The reason why China's university reform policy began to change rapidly in the 1990s was because it was desperate at the national level to cultivate excellent talents who could fully support economic development by introducing a socialist market economy and resolving the constraints of though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hina, the policy focusing on major universities, which has been in a stable state, reached a critical junctur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arket economy system in 1992. China's de facto start-up for university reform has been ignited since the 1980s with the advent of Deng Xiaoping. He sought to break away from the political and class ideological confrontations that were swayed by communism. To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he chose the path to nurture talent through university reform to support the pragmatist line that it is the priority to accumulate wealth through bold openness and foreign capital attraction. In the 1990s and 2000s, there was a major change in policy approaching from a fundamentally different point of view in the course of university reform while maintaining the policy focusing on major universities in accordance with policy's path dependence. The constant intervention of the state to confine the entire Chinese people within a certain framework of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demand for conformity of the system to the people of the country is placed in a policy arrangement with the impatience to accumulate the wealth through the openness to increase the state of the nation. There have been conflicting contradictions between policy measures in the university reform process. In this political stream, the government aims to promote Chinese some universities to the world class through intensive investment while maintaining consistency of policy focusing on major universities through two university reform policies, "211 project", "985 project". The university's hard work never stopped with government. The “211 projet” university reform policy can be viewed as a qualitatively different system or policy change in terms of goals, contents, and methods, breaking away from the path dependence of the policy focusing on major universitie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d long maintained. In the midst of ambitious promotion of the first “211 project,”, when it was just two years ahead of the 21st century,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joining the WTO, which was recognized for its incorporation into the global economic system. The Chinse government wanted to see the birth of a world-class university in the early 21st century through a more focused investment differentiated from the "211project" policy. The Chinese government thought that more than 100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211project" are too many. Rather than distributing national financial support to those universities, it focused on only some universities, and recognized that they would enter some of the world's prestigious universities early as policy problems, and sought alternatives. On May 4, 1998, at the ceremony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Peking University, President Jiang Zemin's speech that our country should have several world-class universities in the world was reflected in “Education Promotion Action Plan for the 21st Century”(面向21 世纪教育振兴行动計劃), leading to the opportunity to open the window of the policy "985project". China's policy to foster world-class universities provided an opportunity to upgrade Chinese universities to a new level, as shown in the achievements of the world's second research competitiveness and Tsinghua University's top 10 range. However, it seems that it will still take more effort for the world-class university plan to succeed. Although the government's intended policy goal may be achieved to some extent, majority of universities that do not receive policy benefits have expressed disagreement with government policy, and the debate over the existence of university reform policy had also emerged. China's national status may increase every year in line with the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through the creation of world-class universities. However, the issues of opacity and injustice in the “211project” and “985project” university selection process, the lack of a competitive system, and the consolidation and permanence issues of the university are gradually rising above the surface. It is that the educational reform of Chinese universities is not undertaken by the university's own needs, but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tate. The education of a university must constantly change and develop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However, China's university reforms were made under the unilateral leadership of the state rather than by the changes and needs of the university itself.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each university. Some pointed out tha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olicy centered on major universities, the gap between the existing major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was widened through "211 Project" and "985Project".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has managed and controlled education and has used education directly when it faced a political crisis and social conflict. The educational reform of the WTO era to strengthen university competitiveness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ontrollable harmony." However, it is a contradiction in itself that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has been leading university development on the grounds of acknowledging the mistakes of the Cultural Revolution, still seeks university development while still controlling human ideology and academic freedom. It has become a reality that these policy legacies are causing policy mistrust as the silent majority oppose government policies for reasons such as unfairness, opacity, fixation of status, and restrictions on academic freedom. From the 1990s to 2015, the promotion of the two projects, the largest university reform policy at the government level in the history of China from about 25 years, was possible because the university reform policy was supported by state capacities through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government-led policy was pursued using limited policy measures such as concentration and selection of political constraints and limited resources through communist leadership ideology. Some universities, such as Tsinghua University, have been recognized to have reached the level of the prestigious U.S. universities by sacrificing the majority and offering benefits to only a few. It has become a reality that these policy legacies are causing policy mistrust as the silent majority opposes government policies for reasons such as unfairness, opacity, fixation of status, and restrictions on academic freedom. The external goal of becoming a higher education powerhouse through the birth of a world-class university until the middle of the 21st century will be meaningful when combined with the universal value of equal opportunity, academic freedom, and a harmonious society.

      • 한국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정서와 대학적응, 진로태도성숙의 차이 : VISA(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모형을 중심으로

        오보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x statuses (i.e., achievement, searching moratorium, moratorium, foreclosure, diffusion, and undifferentiation) of the Porfeli's (2011) Vocation Identity Status Assessment model.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individuals' career attitude maturity, self-esteem, depression, and adaptation in college. The total of 446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vocational identity status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six statuses based on the level of three factors; career exploration, commitment, and reconsideration. The feature of each vocation identity status was almost identical with the results of porfeli’s (2011) study. Second, gender and major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On the other hand, as the student's grade goes up (from freshmen to senior), the proportion of achievement and searching moratorium status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diffusion and moratorium statuses decreased, as student's grade goes up. Third,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That is, individuals with achievement and foreclosure statuses have higher scor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hereas individuals with moratorium and diffusion statuses have lower score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Fourth,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also related to their vocational identity status. That is, individuals with diffusion, undifferentiation, and moratorium statuses have higher scores on depression and lower scores on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with foreclosure and achievement status have lower scores on depression and higher scores on self-esteem. Individuals with achievement status had the higher scores on college adaptation, followed by searching moratorium, foreclosure. undifferentiation.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with moratorium and diffusion statuses were lower scores on college adaptation. Overall, this study indicated that achievement, foreclosure, andsearching moratorium were relatively mature statuses whereas those of moratorium, diffusion, undifferentiation were rather immature statuses in career develop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가 porfeli(2011)의 진로정체감 지위 평가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ment; VISA)모델에 의해 여섯 가지 지위인 성취, 탐 색유예, 유예, 유실, 혼미, 미분화로 분류되는지 확인하고, 각각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 라 진로태도성숙과 대학적응, 자존감,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MVS(My Vocational Situation)에 의한 진로정체감 수준이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라 다 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국내 대학생 44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 결과 VISA척도의 탐색, 관여, 관여의 재 고려 세 차원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정 체감 지위가 여섯 개 지위로 유의미하게 분류되었으며 각 진로정체감 지위는 Poefeli(2011)의 연구에서 나타난 진로정체감 지위와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성별과 전 공, 학년에 따른 진로정체감 지위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성별과 전공은 진로정체감 지위 분포와 관련이 없었으나 학년에 따른 진로정체감 지위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학년 이 올라감에 따라 혼미와 유예지위는 줄어들고 성취와 탐색유예 지위의 비율이 증가하였 다. 진로 정체감 지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으며 성취, 유실, 탐색유예, 미분화, 혼미, 유예의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진로태 도성숙의 하위 요인인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영역에서 지위 간에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적응 수준에서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취, 탐색 유예, 유실, 미분화, 유예, 혼미 순으로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자존감과 우울도 마찬가지 로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성취, 유실, 탐색유예, 혼미, 미분화, 유예 순 으로 낮아졌으며 우울 수준은 성취, 유실, 탐색유예, 혼미, 유예, 미분화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연구 결과는 성취와 유실, 탐색유예 지위는 진로발달 수준이 높은 지위이고, 유예와 혼미, 미분화 지위는 진로발달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는 것 을 암시한다. 또한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MVS의 진로정체감 수준을 검증한 결과, 유 실, 성취, 미분화, 탐색유예, 혼미, 유예 순으로 낮게 나타나 각각의 진로정체감 지위의 발달 수준이 연구의 다른 변인들에 의한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을 보였다.

      • 체육전공 대학생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과 실태 및 인식 조사

        윤원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특성상 일상생활, 생활체육, 학교수업, 운동실기, 미래의 지도자, 직업으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모두 상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처가 부족하거나 부재하다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위기가 되거나 문제가 된다. 그래서 사전에 예방하거나 올바르게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배경요인으로는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학년, 대학 소재지 이다. 학생들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과 응급처치법 교육 유·무, 응급처치법 내용, 응급처치법 교육과 필요성, 응급처치법 교육에 대한 요구도 등을 알아보고, 본 연구에서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지식수준, 실태, 인식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응급처치법 능력 향상을 도모 하고자 한다. 체육교사, 중·고등학생, 생활체육인, 농총지역주민, 산업근로자,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는 있었으나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에 한 하여 연구되어진 적이 없다. 본 연구대상자는 체육 관련학과 재학생들로 한정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전라, 부산 지역의 소재 대학 중 체육관련 학과가 있는 곳으로 선택적 표본 추출하여 665부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1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산출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 요인별, 교육 유·무 요인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전체 점 수에 대하여 학년별, 대학 소재지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교육 유·무, 학년별, 대학 소재지별로 응급처치법 실시를 위한 지식과 실기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Scheffe)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태 및 인식에 관한 빈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는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 응급처치법 교육내용과 응급처치법 교육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과 관련해 추가 또는 보완해야 할 사항에 대해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결과 응급처치법에 관한 전체 지식수준 평가 평균은 지식점수 100점 만점 환산점수 47.5점, 실기점수 45.4점, 총점수 46.4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지식점수가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4.6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실기점수에 대한 분석 결과도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0.2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점수에 대한 분석 결과도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2.4점 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교육받은 학생도 평균점수가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로 학년에 따라서 지식점수, 실기점수, 총점수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3학년이 점수가 높고 1학년, 2학년은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로 대학소재지에 따라서 지식점수, 실기점수, 총점수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서울, 경기, 인천지역이 점수가 높고 부산, 충청, 전라지역은 점수가 낮게 비교되었다.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의 실태를 보면 54.4%가 교육 을 받았고 45.6%가 교육을 받지 않았다. 조사대상 90.6% 응급처치법을 배울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처치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이유는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하다 44.2%, 나와 주변 사람들을 돕기 위해 필요하다 26.6%, 사고예방을 위해 필요하다 13.1%, 상식이니까 필요하다 7.5%, 필요를 느껴 본 적이 없다 6.2%, 취업에 도움이 되니까 필요하다 1.6%, 기타 0.8% 순으로 나타났다.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과 배우고 싶은 분야는 호흡·심장정지, 기도폐쇄, 골절, 탈구, 염좌, 강직, 갑작스런 질병(당뇨, 천식, 실신, 발작)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 유·무와 학년별 그리고 대학소재지별 응급처치법 지식수준, 실기수준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응급처치법 교육의 실태와 응급처치법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러므로 응급처치법에 대해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이 쉽게 접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형식적인 교육이 아니라 응급처치법의 필요성에 대한 동기부여와 지식, 실기능력수준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급처치법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knowledge for the First Aid and to examine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for it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65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and went to college in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Busan,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They responded to knowledge test for Frist Aid and questionnaire using the self-administered method. Collected data were comput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lso, it carried out t-test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depend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student grade and college lo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1)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was very low.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course for it were more higher in the First Aid's knowledge scor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student grade. 3-grade-students was more higher socre than other grade student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college location. Students who went to college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ere more higher score than that of Busan,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In terms of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the First Aid, 1)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educational course for the First Aid were 54.4% of participants. 2) Students who are going to take part in educational course for the First Aid were 90.6% of participants. 3) Interesting field that participants like to learn among contents of the First Aid was shown to be in order of 27.6% for CPR and choking the action essentials in case of the urgent situation, 27.0% for fracture, dislocation and distortion, 5.5% for the injury caused by heat and cold, 20.7% for the frequently-occurring disease and 6.4% for poisoning.

      •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 : 부적응적 완벽주의,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엄현정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인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82명이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DAPCS), 부적응적 완벽주의 척도(MPS), 경험적 회피 척도(AAQ-16), 심리적 부적응 척도(SCL-90-R)를 참여자들에게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SPSS 22.0을 이용한 기술 통계 산출, AMOS 22.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높이고, 발달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경험적 회피 수준을 증가시켰다. 둘째,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심리적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경험적 회피를 통해 심리적 부적응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통해 심리적 부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경험적 회피를 거친 이중매개 효과가 완전이중매개로 나타났다.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대학생 자녀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은 높아지고, 높은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경험적 회피 수준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경험적 회피 반응의 증가는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을 높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개인내적인 요인으로서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경험적 회피를 동시에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대학상담 장면에서의 상담개입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382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Psychological Control Scale(DAPC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AAQ-16, SCL-90. In analyzing data, this study employed statistical terms and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didn't effect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irectly. Second,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significantly affected on maladaptive perfectionism. Third, maladaptive perfectionism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experiential avoidanc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ourth, experiential avoidance significantly influence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ifth, the indirect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between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xperiential avoid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Seventh,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ere fully mediated by maladaptive perfectionism. Lastly,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all,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didn't effect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irectly. But it indirectly affected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rough the mediation variable such as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is study, there is significance in improvement of the structural relation that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maladjustment, considering both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as the individual difference factors.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ating role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are important in the relation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se results might provide basic directions for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counseling.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황동희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모형의 타당성 및 적합도를 바탕으로 매개효과와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기불일치에 정적상관을 보였고,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보였다. 자기불일치는 사회적 지지와 부적상관을 보였고,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는 자기효능감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기불일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통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불일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대학생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Discrepancy in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Hwang, Dong hee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Kwangwoon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and sequential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self-discrepanc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Korea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to test the mediation and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based on the validity and fit of the mode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discrepancy, negatively related to social support, and non-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fficacy. Self-discrepancy was negatively related to social support and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efficacy.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Seco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self-discrepancy and a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social support was a partial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discrepancy. Fourth, self-efficacy had a non-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erfectionism and self-discrepancy. Fift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ere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discrepancy.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Key word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discrepancy, social support, self-efficacy, college students

      • 대학생의 전공수업 몰입경험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신맹자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생의 전공수업 몰입경험과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진로태도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진로결정이 확실한 예체능과 의과대학생을 제외한 서울, 경기, 강원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재학생 512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전공수업 몰입경험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 와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과 회기분석을 실시했으며, 매개효과를 위해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배경에 따른 전공수업 몰입경험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 차이를 보면 먼저, 전공수업 몰입경험은 대학생의 배경요인 중에서 전공, 전공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1, p<.001) 차이를 보였다. 인문, 사회, 경상계열이 자연, 이공계열보다 전공수업 몰입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시간에 몰입경험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태도성숙도는 전공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01)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은 학년과 전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p<.01, p<.001)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전공수업 몰입경험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상관을 보이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수업 몰입경험 총점과 하위요인 모두에서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 결정 수준과 정적 상관을 갖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태도 성숙도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다른 변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량(56%)을 나타냈다. 셋째, 전공수업 몰입경험과 진로결정 수준과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이 완전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전공수업 몰입경험은 진로태도성숙과 진로결정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전공수업 몰입경험을 많이 할수록 진로태도가 성숙하고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상담을 할 때 개인의 몰입경험을 진로와 연결시켜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작은 몰입경험이라도 내담자가 인식하고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진로태도성숙의 발달을 높이며 진로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ajor class flow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ubjects of this paper were 512 students presently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excluding students of arts and physical studies or medicine whose career decision is comparatively firmer. As measuring tools, the major class flow experience scale,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and career decision scal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shown below. First,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major class flow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students, first, major class flow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 students (p<.01, p<.001). A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business, trade, & economics indicated more flow experience than those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y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ir class flow experience was greater. Next, career attitude maturity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001). And career deci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p<.01, p<.001). Second, it was found that major class flow exper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nd affected them significantly. And all the subfactors and total scores of major class flow exper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nd affected them significantly. Also, in the effect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n career decision, it showed relatively higher explanatory power (56%) than other variables. Third, in the correlations between major class flow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 career attitude maturity exhibited perfect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major class flow experienc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nd as students have more major class flow experience, their career attitude gets mature and career decision becomes firmer. This result can be helpfully used in enhancing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if each student is encouraged to connect his flow experience with his course during career counseling and the counselee gets aid to recognize and improve even a small flow experience he has in his dail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