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카지노딜러 감정노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특성과 직무특성 중심으로

        권경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The casino business is business to sell intangible product. Customers who visit casinos have no room in their mind as they want to win money desperately and casino dealers at the forefront of services provided are characteristics of job that they have to present games with the customers. For this reason, it can be said as each behavior and word of the casino dealers given to the customers make them sensitive, they experience the considerable expenditure of emotion due to emotional labor.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aims to understand affecting factors focused on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labor which is occurring while the casino dealers provide services to the customers at the forefront of services. The present study constructed sub-factors of each variable as predisposing factors of emotional labor focused on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The sub-factors of emotional labor were defined to be surface behavior, and inner behavior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set up with personality, achievement desires, and self-efficacy,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set up wi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informants and information receivers, job autonomy, and job responsibility. The period of empirical investigation from August 27, 2011 to September 12, 2011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casino dealers working for casinos only for foreigners in Busan. For research methods, we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a precedent study on emotional labor in the casino, and for the measuring scale developed in the precedent study ahead of hypothesis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through various evaluation methods including a factor analysis, Cronbach's a, item-whole correlation analysis etc.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models of research and hypotheses set up: Hypothesis 1: Individual characteristic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labor(suface acting/deep acting). 1-1: Individual personality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1-2: Individual achievement desires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1-3. Individual self-efficacy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1-4: Individual personality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deep acting). 1-5: Individual achievement desires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deep acting). 1-6. Individual self-efficacy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deep acting). Hypothesis 2: Job characteristic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labor(suface acting/deep acting). 2-1: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informants and information receivers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suface acting). 2-2. Job autonomy will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suface acting). 2-3. Job responsibility will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suface acting). 2-4: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informants and information receivers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deep acting). 2-5. Job autonomy will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deep acting). 2-6. Job responsibility will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deep acting). First, an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hypotheses indicates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in a 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owever, it indicates that personality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labor and that achievement desires have negative(-) effect on su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econd, an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emotional labor indicates that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informants and information receivers has an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that job autonomy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internalization behavior. And it indicates job responsibil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face acting and internalization behavior of emotional lab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some important indications to practice of casino businesses as well as research on emotional labor. First,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has meanings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discussions related to emotional labor in a situation lacking studies although emotions the casino dealers express to the customers are successful results and symbols of the casino and are a key to competitiveness. Second, the casino business should pay attention to developing internal systems to reduce emotional labor employees come to experience while they are working. Third,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higher quality services can be provided by selecting applicants giving aptitude tests or interviews to measure self-efficacy in the process of selecting casino dealers in the casino. Fourth, if systems are constructed to give maximum autonomy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accordance with office regulations of the casino dealers, it will lead to successful results of a business, and affect a corporate image as well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카지노산업은 여타 서비스산업의 상품과 마찬가지로 무형의 상품을 판매하는 산업이다. 카지노를 방문하는 고객들 돈을 따고자하는 마음에 정신적으로 여유가 없는 상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접점에 있는 카지노종사원들을 보게 된다. 그 중 카지 딜러는 고객들을 상대로 게임을 진행해야하는 업무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고객들에게 카지노딜러들의 행동 하나하나와 말 한마디가 예민하게 할 수 있기에 서비스 접점에 있는 카지노딜러들은 감정노동으로 인하여 감정소모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학계에서는 카지노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주로 경제적 측면이나 지역사회적인 측면에서만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카지노산업을 성과를 좌우하고 움직일 수 있는 것은 카지노에서 근무하고 있는 카지노 종사원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카지노 딜러가 서비스 접점에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 발생하는 감정노동에 개인특성과 직무특성 중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감정노동, 개인 특성, 직무 특성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둘째, 감정노동, 개인특성, 직무특성에 대한 속성 요인을 도출하고, 감정노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다. 셋째, 개인특성, 직무특성이 감정노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한다. 2. 연구의 범위 본 연구는 카지노 딜러의 감정노동의 선행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는 감정노동·개인특성·직무특성에 관한 서적·논문·관련 자료를 통하여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분석의 준거로 삼았으며, 이를 통하여 각 변수들의 구성요인을 설정하였다. 둘째, 실증연구는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요인을 바탕으로 작성한 설문지를 부산소재 외국인전용카지노에서 근무하는 카지노딜러를 대상으로 배포하여 자기기입법으로 응답하게 하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목적, 방법으로 구성하였으며,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감정노동, 개인특성, 직무특성, 카지노로 구성하였다. 제3장 연구설계에서는 연구의 모형, 가설설정, 제4장에서는 실증분석에서는 표본, 설문지 구성 및 측정척도, 신뢰도와 타당성분석, 예비분석, 제5장연구결과에서는 가설을 검정하였고 마지막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안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Ⅱ.이론적 배경 1.감정노동 감정노동(emtional labor)은 ‘업무상 요구되는 특정한 감정 상태를 연출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행하는 일체의 감정관리 활동’으로 정의 할 수 있다. 감정에 대한 개념을 노동의 유형으로 본격적으로 파악하기 시작한 Hochschild는 항공기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들이 직무를 수행할 때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감정을 의도적으로 표현하려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Hochschild(1983)는 감정노동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주장했다. 표면행위(Suface acting)는 종사원들에게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해야 될 때, 오직 행동 태도의 변화로, 조직에서 요구받는 느끼지 않는 감정의 수정을 말한다. 이러한 표면행위는 안면표정, 제스처, 음조 등으로 표현된다. 내면행위(Deep acting)란 자신이 표현하기를 원하는 감정을 실제로 느끼거나 경험하려고 하는 것을 말하며, 내부 감정에 초점을 두어 간접적으로 이미지 훈련을 통해 느끼고자 하는 감정을 유발 시키는 방식이다. 2.개인특성 융(Jung, 1963)은 중요한 결정이나 행동이 주체의 의견보다 객관적인 상황에 의해서 좌우될 때 외향적 태도라고 하고 이러한 외향적 태도가 습성화 되어 생활의 일정한 특징을 이루면 외향성이라고 하였다. 성취 욕구란 높은 성과를 얻기 위하여 조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고자 하는 욕구를 이야기 한다. 맥클러랜드(McCleelland, 1990)은 성취 욕구를 ‘우수한 표준에 대한 경쟁적으로 지향하는 행동’으로 정의하며 성취 욕구가 강한 사람은 목표 설정을 중요시하고 모험성을 중시해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며 자신의 일에 몰두하는 경향성을 띠게 된다고 하였다. 자기효능감이란 특정 행동을 수행하기 외해 필요로 하는 기술이나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과 아울러 적극적으로 그 행동을 추진해 나가려는 동기와 함께 결합된 개념이다. 즉, 자기효능감이 놓은 개인은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은 개인보다 과업에 대한 책임감이 높으며, 어렵고 도전적인 목표들을 설정하며 직면한 어려움들을 잘 차고 견디며 동기부여가 높아 열심히 일한다는 것이다 3.직무특성 자율성은 종업원이 수행하는 직무가 작업의 계획과 수행에 사용한 절차를 결정하는데 실질적으로 부여하는 자유, 독립성 및 재량권의 정도를 의미한다.피드백은 직무에 의해 요구되는 작업활동의 수행에 의해서 종업원의 성과의 유효성에 대해 직접적이고 명확한 정보를 개인적으로 획득하는 정도를 말한다. 직무를 수해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을 자신의 통제로 두는 정도를 의미하며, 직무에 대한 책임감을 높게 인식할수록 결과에 대한 책임으로 인하여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표현 규범을 따를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Ⅲ.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1.연구모형 본 연구는 카지노 딜러의 감정노동의 선행요인을 구명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림1-연구모형> 2.연구가설 가설 1: 개인의 특성은 감정노동(표면행위/내면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1-1: 개인의 성격은 감정노동(표면행위/내면행위)과 유의한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1-2: 개인의 성취욕구는 감정노동(표면행위/내면행위)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1-3. 개인의 자기효능감은 감정노동(표면행위/내면행위)과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직무특성은 감정노동(표면행위/내면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 다. 2-1: 환류성은 감정노동(표면행위/내면행위)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다. 2-2. 직무 자율성은 감정노동(표면행위/내면행위)과 유의한 부(-)의 영향 미칠 것이다. 2-3. 직무 책임감은 감정노동(표면행위/내면행위)과 유의한 부(-)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3.연구방법 실증조사의 조사기간은 2011년 8월 27일에서 2011년 9월 12일까지 부산소재 외국인 전용카지노에서 종사하는 카지노딜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카지노에서의 감정노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적 모델을 제안하고, 가설검정에 앞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측정척도를 요인분석, Cronbach's a, 항목-전체 상관분석 등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모델과 가설설정을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Ⅳ.연구결과 본 연구는 감정노동의 선행요인으로 개인특성과 직무특성을 중심으로 각 변수의 하위요인을 구성하였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을 표면행위, 내면행위로 하고 개인특성은 성격, 성취욕구, 자기효능감, 직무특성은 환류성, 직무자율성, 직무책임감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가설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개인특성과 감정노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격은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욕구는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환류성이 감정노동의 내면행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자율성은 내면화행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책임감은 감정노도의 표면행위, 내면화행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감정노동의 연구뿐만 아니라 카지노 기업의 실무에도 몇몇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카지노 딜러들이 고객에게 드러내는 감정이 카지노의 성과이자 얼굴로 중요한 하나의 경쟁요소가 되고 있음에도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감정노동과 관련된 논의를 진전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카지노업에서는 종사원이 업무 중에 겪게 되는 감정노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내부 시스템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카지노에서 카지노 딜러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는 인터뷰나 적성검사를 실시하여 자기효능감이 높은 지원자를 선발하여 보다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훈련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넷째, 카지노 딜러의 직무규정 한에서 최대한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부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이는 영업장의 성과로 바로 나타날 것이며, 기업이미지에도 영향을 주어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변수의 측정상의 문제로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감정노동 척도는 지극히 인간의 내면적인 상황들에 대한 질문이기 때문에 감정을 유형화라고 해석하는 방식에는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다는 점이다. 둘째, 응답자인 카지노 딜러가 설문의 응답에 있어서 본인 스스로의 생각과 태도가 아닌 카지노 딜러로서 바람직한 생각이나 태도를 대답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과 직무특성을 각각 3개의 하위변수로 연구하여 한계성을 드러냈다. 이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들을 가지고 연구를 하는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의 표본이 세계의 모든 카지노업에 종사하는 딜러들의 표본으로 하기에는 그 비율이 작아서 이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카지노에서 종사하는 딜러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려은(2010), 카지노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3업체(S사,P사,K사) 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용철(2009), 관광기업 종사원이 지각하는 심리적 주인의식의 선행요인결 과:조직특성과 직무특성을 중심으로 ,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박가영(2011), 공기업 직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옥분(2007), 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 및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효진(2002),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정은(2010), 카지노 딜러의 자기효능감이 감정조절과 서비스제공수준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임(2006), 직무특성, 개인특성 및 리더십유형의 상호작용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학위 이점태(2008), 감정노동 소진과정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경성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정(2007), 대졸예정자들의 개인적특성이 진로미결정 및 직업탐색행도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경영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영희(2008), 카지노 종원원의 조직 및 직무특성이 감정노동과 고객지향성 에 미치는 영향-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 천승형(2007), 공기업 신입직원의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 개인역량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항석,정무관(2008), Call Center 종사원의 감정노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홍유진(2010), 카지노 딜러의 직무특성이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 는 영향- 내,외국인 카지노 비교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경영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 beha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77, pp.191-215 Hochschild, A. R.(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ue. American Juranal of Sociology, 85(3), p.551-575. Hochschild, A. R.(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이정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문헌자료와 현행 실시되고 있는 각 대학교 및 대학의 요람을 참조하였다. 이러한 자료 조사를 통하여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이념과 교육목표 수행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교육의 이념, 학문으로서의 무용, 무용의 사회적 효용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무용교 육의 영역으로 전문 무용인 양성을 위한 무용교육과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무용교육, 비 전문인을 위한 무용교육으로 분류하여 서술하였다. 그리고 연구범위는 영남지역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현황 및 내용을, 각 대학교의 요람 중심으로 조사하여 무용학과의 유형분석, 무용학과의 교과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무용학과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 교육기관들 중 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4년제 대학 무용학과와 2년제로 구성되어있는 대학(구 전문대학)으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연구 되었다. 그리고 현재 영남지역의 대학(교)에서 실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을 99년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요람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대학(교)별 교과과정을 그 대상으로 선정하였음으로 대학(교)의 특성 및 장 ·단점 등은 고려하지 않고 조사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영남지역 무용학과의 현황 및 교과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①지역별 현황은 부산지역 무용(학)과가 개설된 대학교는 경성대학교, 동아대학교, 부산대학교, 신라대학교 이며 대학(구 전문대학)은 부산여자대학, 부산문화예술대학이 있다. 대구지역은 대학교만 개설되어 있으며 계명대학교, 효성가톨릭대학이다. 경남지역의 무용학과가 개설되어있는 대학교는 창원대학교, 경상대학교이며 경상대학교는 민속무용학과로 개설되어 있다. ②영남지역의 학교별 교과목 특성을 분석하면 표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상대학교 무용학과'의 <구비문예론>과 <전승공예>, <한국문화특수연구>를 들 수 있으며, '경성대학교 무용학과'는 <무용기능학>, <무용연출> 이 있다. '계명대학교 무용학과'는 <민속특기>로 각자가 민속을 익혀 사회에서 표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무용의상학>과 <무용영양학>을 개설하여 특이한 과목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동아대학교 무용학과'는 <무용 기록법>, <공연기획 및 제작>을 개설하고 있으며, '대구 효성가톨릭대학교 무용학과'는 심리학과목으로 <움직임과 인간심리>를 개설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무용학과'에서는 <무대구성 및 효과>에 많은 시간을 배정하고 있으며, '신라대학교 무용학과'는 <안무법>, <색체학>을 들 수 있다. '창원대학교 무용학과'는 <무대분장>, <공간형성법>이 다른 학교와 달리 개설되어있으며, '부산여자대학 무용과'는 학기를 마친 후 일선 현장에서 학점을 받아오는 <현장실습>과목이 있다. 이론과목에 비해 실기과목의 비중이 가장 큰 '부산 예술문화대학 무용과'에서는 <하 · 동계스포츠>와 <트레이닝실기>를 개설해 다른 학교와 다른 점을 볼 수 있다. ③영남지역 무용(학)과 교과목수 및 수업시간을 분석하면 그림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상대학교는 52개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시수로는 113시간을 강의한다. 경성대학교는 64과목에 199시수를 보이고 있으며, 계명대학교에서는 50과목과 127시간, 동아대학교는 39과목과 100시간, 대구효성 가톨릭대학교는 90과목과 182시간, 부산대학교는 112과목과 312시간, 신라대학교는 69과목과 134시간, 창원대학교는 54과목과 157시간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학(구 전문대학)인 부산여자대학은 44과목과 78시간, 예술문화대학은 47과목과 105시간을 강의하고 있다. 부산대학교가 112개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수업 시수는 312시간으로 영남지역 내에 가장 많은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수업 시수도 가장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동아대학교는 가장 적은 교과목과 수업 시수를 볼 수 있는데 교과목 39개와 수업 시수 100시간으로 부산여자대학(구 전문대학) 보다 적은 수치를 볼 수 있다. 그림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기와 이론 시수에서 많은 차이를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이론과목의 경우 학점당 수업시간이 동일 한것에 비해 실기과목의 경우 학점 당 2배 시수가 배점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학과목개설은 대학교 중 이론과목을 가장 많이 개설한 학교는 부산대학교로 37개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가정 적은 대학교는 경성대학교로 17개의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실기과목으로는 부산대학교가 75과목으로 이론과 같이 최고의 과목개설 수를 보이며, 17개 과목을 개설한 동아대학교가 가장 적은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대학(구 전문대학)의 경우 교과목 개설은 부산여자대학보다 예술문화대학이 3과목이 많으며 시수에 있어서도 예술문화대학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영남지역 무용(학)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동일한 교과목인데도 불구하고 각 학교마다 그 명칭이 달라 무용학과 교과목 통일의 개선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무용원론, 무용론, 무용개론 과목은 같은 교재로 수업함에 있어서도 교과목 명칭이 다르게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새롭게 변화될 교육정책, 즉 수강생들이 어느 학교에서든 교육받을 수 있는 학점인정제를 위해 같은 교과목인 경우 동일한 명칭으로 획일화되어 통일성 있게 교육되어야 한다. 둘째, 무용(학)과 교육목표적인 측면을 보면 각 대학 특성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지 않고 교육되는 경향이 있다. 즉, 경성대학교, 부산대학교는 예술대학, 경상대학교, 신라대학교, 대구 효성가톨릭대학교는 인문대학, 창원대학교는 자연과학대학, 계명대학교, 동아대학교는 체육대학으로 편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목은 전체대학(영남지역)이 동일하게 개설되어 교육되고 있다. 또한 무용치료, 무용행정, 무용심리 등 무용인접분야에 대한 교과목개설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졸업 후 진로를 위한 좁더 심도있는 교과목을 개설해야함은 현실적으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고, 교육기관 제도적 측면에서 대학교와 대학(구 전문대학)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 졸업기간의 구분이 아닌 대학교와 대학(구 전문대학)교과목을 특성화하여 전문인력 배출이 요구된다. 즉, 대학교와 대학(구 전문대학)은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여야 하며, 특히 대학(구 전문대학)에 대한 사회인식개선과 함께 대학교의 모방이나 축소된 기관이 되지 않도록 각 기관에 따른 무용교육이 적재적소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대학교의 교육기관은 무용학정립이라는 과제를 수렴하고 대학(구 전문대학) 교육기관은 어떤 분야에 대한 전문인을 양성한다는 과제를 수렴하여 두 기관의 교육이 조화를 이루어 사회진출 진로문제를 현실화하는 요구에 적응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literature and each of the general surveys of colleges. Based on such materials,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of dance education and reviewed the idea of college education, dance as a science and the social utility of dance in order to promote the educational idea of college's dance department and accomplish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department. Then the study classified aspects of dance education into three ones, or dance education for raising professional dancers, for raising dance instructors and for non-professional dancers, and described each. For the study, the curriculums and courses of dance departments of colleges located in Kyungsang province were investigated centering around the general survey of each college. Based on the investigation, dance departm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type and problems of their curriculums were pointed out to secure development of the departments ultimately.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dance departments of four years' universities and two years'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which were located in Kyungsang province. The curriculums as mentioned above were investigated centering around each of the general survey as published in 1999. The investigation put its focus as the courses with no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and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situation, courses and problems of dance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of the province were analyzed as follows. ① In Pusan, dance departments are established at Kyungsang, Dong-A, Pusan National and Shilla universities and Pusan Womens' and Pusan Culture and Arts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In Taegu, only universities such as Kyemyung and Hyosung Catholic have dance departments. In the south Kyungsang province, Changowon and Kyungsang universities open such departments. The latter has the department in the name of folk dance science. ② As can be seen in Table 12, courses of each of the dance departments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Dance department of Kyungsang university has courses of <Theory of Traditional Literal Arts>, <Folklore Fine Arts> and <Special Research on Korean Culture>. That of Kyungsang university has courses of <Science of Dance Function> and <Dance Performance>. In Kyemyung university, <Folklore Specialty> is established as one of the courses of dance department, whose purpose is to make each student learn their own folklore specialty and express it in soeiety. Among the courses, <Science of Dance Costume> and <Science of Dance Nutrition> can be considered as unique. Dance department of Dang-A university open courses of <Methods of Dance Record> and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and that of Hyosung Catholic university, the course of <Movement and Human Psychology>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subjects. In dance departme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course of <Stage Construction and Effects> is allowed much time. Shilla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operates courses such as <Choreography> and <Colors>. Differently with other similar institutions, Changwon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runs courses such as <Make up for Stage> and <A Method of Spatial Formation>. In Pusan Womens' college, the department of dance teaches the courses of <Field Practice> which requires students to take credits through field practices after semester. With its focus on practice not theory, dance department of Pusan Culture and Arts college have courses of <Summer and Winter Sports> and <Training Practice> opened, different with those of other colleges and universities. ③ The number of courses and instruction hours at dance departments of colleges an universities located in Kyungsang province are shown in figure 11. Kyungsang university allows 52 courses and 113 instruction hours for its dance department. Dance departments of Kyemyung, Dong-A, Hyosung Catholic, Pusan National, Shilla and Changwon universities employ 64 courses and 199 instruction hours, 50 and 127, 90 and 182, 112 and 312, 69 and 134, and 54 and 157, respectively. For college, dance department of Pusan Womens' runs 44 courses and 157 instruction hours while that. of Pusan Culture and Arts, 47 courses and 105 instruction hours. Pusan national university opens its dance department having 112 courses and 312 instruction hours both of which are more than in any othe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yungsang province. Dong-A university's dance department is operated with 39 courses and 100 instruction hours both of which are fewer than in any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Pusan Womens' college(former junior college). As can be seen in figure 11,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instruction hours between practice and theory courses. Theory courses are given instruction hours as equally assigned to each credit while practice courses are allowed such hours double of which is assigned to each credit. For subjects of da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opens 37 theoretical subjects, most in Kyungsang province and Kyungsung university, 17 as the least while the former runs 75 practical subjects as the most and Dong-A university, 17 as the least. In college(former junior college), Pusan Culture and Arts college has three more courses more instruction hours of dance education that Pusan womens'. Problems with dance education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Kyungsang province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are different in their name among colleges and universities despite they contain the same contents, indicating the need for unification among those subjects. For example, Principle of Dance. Theory of Dance and Introduction to Dance are different in their name, but instructed using the same materials. this problem could be solved when similar subjects are unified and instructed under the same name according to a new policy that adapts the credit recognition system under which students can learn at any college or university. Second, educational objectives of dance education are not se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Dance departments are established within college of arts in Kyungsung and Pusan national universities, within college of liberal arts in Kyungsang, Shilla and Huosung Catholic universities and within college of athletics in Dong-a university. Despite this situation, all of these departments(from all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yungsang province) instruct similar contents of subjects. Meanwhile, fields related to dance such as dance treatment, dance administration and dance psychology are needed to be open in the forms of subjects. And third, it is important to open subjects as more profound and helpful to the future course of students after graduation. For institutional aspects of authorities concerned, clear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make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ies and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focusing not on discriminating the time of gradu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ut on specializing subjects instructed at universities and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and raising specialists. Each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uild up its unique aspect of dance education. Social recognition about colleges(former junior colleges) should be improved to prevent them from just imitating universities, Dance education are needed to be carried out effectively according to each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colleges should employ tasks of establishing science of dance and raising specialists, respectively, adapting to the future course after advancement into society.

      • 최근 국내외 무용치료 현황 및 제도적 발전에 관한 연구

        이유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오늘날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알 수 없는 난치병에 걸려 현대의학의 보조 치료수단으로 혹은 바쁜 지친 생활에서의 활력소를 찾기 위하여 대체의학에 의존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현대인들의 심신장애의 치유, 질병치료의 한 방법으로 예술세라피는 정신과 신체의 통합적인 치료적 가치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예술치료의 한 분야인 무용치료에 관한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에 의해 점진적으로 관심이 배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체 의학적 측면에서도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그럼으로, 무용전공자는 예술 분야로서의 무용학은 물론 무용치료의 중요성을 깨닫고 원리를 이해하고 제도적 분석을 통해 무용치료의 현황연구에 더 깊은 관심이 필요하다. 무용치료는 표현과 의사소통의 무용 움직임 고유의 기능을 가지고 정신과 신체의 조화를 이루고 현대물질 사회의 병폐 속에서 심신의 안정과 정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자기 자신을 자유롭게 창조할 수 있고 그룹 내에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융합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치들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 무용치료 분야의 다양한 치료법들을 고찰하고 최근 무용치료 현황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무용치료의 이론적 배경으로 무용치료의 원리적 이해와 서구 고대·중세, 한국무속에서의 무용치료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최근 국내외 무용치료 현황과 제도적 발전현황을 고찰하였다. 최근 국내외 무용치료 현황 연구를 위해 먼저 무용치료의 효용성 및 대상, 무용치료사의 역할, 최근 한국과 외국의 무용치료 현황을 살펴봄으로서 최근 국내외 무용치료의 제도적 발전 현황을 연구하였다. 국내에서는 무용치료의 배경으로 무속신앙에서 유래되어 병굿을 통해 질병을 치유하고 예방하기 위한 굿의 유형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때 굿을 주도하는 사람을 무당이라고 하는데 무당의 권위는 신과 동격으로 믿어왔으며 무당은 춤과 노래에 능하였다. 외국의 경우 무용치료는 주요 선구자의 이론을 토대로 그 방법론에 따라 실기 지도되고 있다. 각 선구자들의 무용치료법에 관한 공통된 점을 다음과 같이 발견할 수 있다. 먼저 신체활동 단계에서는 신체를 지각하고 이완시키며, 각 부분에 힘을 길러주며 내담자의 신체상태를 인식한다. 점차적으로 동작을 이끌어내면서 동작을 다양화하여 발전시키기 위해 내담자의 상상력과 감정을 반영시키는 단계로 발전시킨다. 이때 내담자와 치료사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신체와 정신이 발전되면 내담자의 극적 연기나 복잡한 즉흥적인 움직임을 유도하여 내면의 감정까지 이끌어 낼 수 있다. 무용치료에서 이루어지는 인간 상호의 치료적인 관계의 경험은 내담자에게 자신감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올바른 사회로의 복귀에 큰 힘이 된다. 무용치료는 심신의 정화를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때, 무용치료사의 역할은 다른 치료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내담자에게 권위적, 지시적이여서는 안 되며 내담자를 우선 이해하고 사랑으로 내담자가 자연스럽게 무용을 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최근 무용치료의 제도적인 발전현황을 대학교 교육기관과 사회 단체 연구기관으로 분리하여 살펴보았다. 국내의 경우는 서울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세종대학교 사회교육원, 한국무용치료학회에서 지도자 양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의 무용치료는 한국인의 정서에 적합한 프로그램개발과 전문 치료사 양성교육 활성화가 요구된다. 무용치료는 의료기관에서 보조치료 수단의 한 분야인 대체의학으로 무용 전공인들의 점진적인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황이다. 반면, 외국의 경우 무용치료는 미국을 중심으로 유럽·아시아로 발전되어 왔다. 미국은 대학교·대학원에서 무용치료 교육이 적극적이고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은 후 연수과정을 통해 연구소, 사회복지 시설에서 치료사의 역할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무용치료는 현대를 살아가는 일반 성인, 청소년은 물론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여 가고 있다. 나아가 무용치료는 올바른 신체상과 자기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 창조적, 즉흥적인 움직임과 명상을 통해 내담자들에게 만족감과 심신의 정화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용치료는 이론과 시술의 변형된 토대위에서 체계적으로 학습되어져야 한다. 나아가 적극적 전문 치료사 양성과 교육기관의 제도적 양성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Today more and more people are depending on alternative medicine to treat diseases incurable with modern medicine or vitalize themselves who are busy and tired in daily life. As an alternative medicine, art therapy is a method of treating modern people's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and diseases. It is valuable as a therapy that seeks to treat both mind and body. Recently dance student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dance therapy as an art therapy. Dance therapy is also being intensively studied from the view of alternative medicine. Dance students need to realize and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principles of dance therapy, in addition to dance studies. They should have more interest in studying the current state of dance therapy. Based on characteristic functions of dance movement,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dance therapy helps accomplish harmony between mind and body and keep mental and physical stabilization and purification in modern material society. Dance therapy allows client to create themselves freely and get along with others through interactions within therapy group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se effects of dance therapy and review various techniques and current conditions of the therapy.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amine principles of dance therapy and developments of the therapy in the antique and medieval times of the West and in relation to Korean shamanism. Then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and direction of dance therapy in this nation. In detail, the study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and clients of dance therapy, roles of dance therapists and local and foreign cases of dance therapy. In this nation, dance therapy is rooted in shamanism, or gut that sought to cure and prevent diseases. Gut is led by a shaman, or mudang who has been considered similar in authority to god and good at dance and music. In foreign countries, dance therapy is being practically instructed with theories by its pioneers based. Dance therapies by those pioneers are in common with each other as follows. In the stage of physical activity, the recognition and relaxation of the body are attempted in order to know physical conditions of clients. Then movements by clients are induced and sought to be diversified and developed, reflecting clients' imagination and emotions, when clients and dance therapists interact with each other. Once they show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s, clients may be led to reveal their emotions through dramatic plays or impromptu performances. Therapeutic interactions during dance therapy greatly support clients to have confidence in making interpersonal relations and returning to society. Dance therapy aims at promoting health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mental and physical purification. In this case, dance therapists should not be authoritarian or instructive to clients. Their roles lie in understanding clients with love and guiding them into dance with no trouble. Recent institutional developments of dance therapy were investigated centering around colleges,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social group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his nation, currently, dance therapists are being trained and cultivated by Special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Social Education Institute of Sejong University and Korea Movement Therapy Association. Dance therapy in this nation should be supported by developing related programs fit for Korean people's sentiments and training qualified dance therapists. Dance therapy is now regarded by hospitals as a means of supplementary treatment, or alternative medicine to which dance students are paying more attention. While in regard to foreign nations, dance therapy actively began in U.S. and then extended to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In U.S., dance therapy education is positively provided at college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fter receiving relevant degrees at graduate schools and then training, U.S. dance students role as dance therapists of research institute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Today dance therapy is being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medicine for adults, adolescents and even disabled persons. Further, dance therapy gives clients opportunities of the right establishment of physical image and self-recognition and feelings of satisfaction and purification through creative, impromptu movements and meditation. Thus dance therapy should be educated in a systematic way with theories and applications based. Further, agencies that actively train qualified, skilled dance therapist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 대학도서관 이용자 교육 실태 분석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장익준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이 일정규모 이상 재학 중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이용자 교육 실태를 조사하며, 대학도서관들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이용자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더불어 국내 대학생 대상 이용자 교육 실시현황과 그 내용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특히, 외국인 유학생 이용자 교육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본 연구가 외국인 유학생의 원활한 도서관 이용과 다양한 정보 활용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의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설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2010년 9월 27일부터 10월 15일까지 1차로 외국인 유학생이 500명 이상 재학 중인 39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나 17개 대학도서관만이 응답하여 데이터로 분석을 하기에는 응답률이 낮았다. 2010년 11월 24일부터 26일까지 2차로 외국인 유학생이 1명이상 재학 중인 178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해당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자 교육 담당자 또는 관련 담당자의 E-Mail을 파악하여 메일을 발송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 대학도서관 중 홈페이지가 없거나 메일주소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와 메일의 변경, 휴면 등으로 인해 반송된 메일을 제외한 78개 대학도서관 중 32개 대학도서관만이 응답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도서관 이용자 교육을 실시하는 대학도서관은 96.88%인 31개교로 조사에 응답한 대학 중 1개교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대상으로는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 순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용자 교육에 대한 홍보는 홈페이지를 통한 공고가 25.96%로 가장 높았으며 학과별 공문 발송(19.23%)과 개인 또는 학과별 이메일 발송(18.27%)순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홍보 방법에 대한 조사에서는 개인 또는 학과별 이메일 발송(28.81%)이 가장 큰 효과를 보이며, 학과별 공문발송과 도서관 홈페이지 공고가 25.43%로 동일하게 다음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이용자 교육의 형태에 대한 조사에서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21.82%), 소집단(희망자) 교육(20%), 학과별 이용자 교육(16.36%) 순으로 교육이 실시되었고, 1회 교육 시간은 70.97%가 1시간미만이거나 1시간 이내로 진행되었다. 이용자 교육의 한 학기 총 시간에 대한 조사에서는 20시간 이상 실시하는 도서관이 61. 29%, 15시간~20시간미만과 10시간~15시간미만이 각각 9.68%이며, 5시간~10시간미만이 6.45%, 1시간~5시간미만도 12.90%인 것으로 나타나 수치적으로 볼 때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에서는 1개월에 약 2시간 정도의 시간을 이용자 교육에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에 활용하는 도구로는 도서관 Tour와 교육관련 인쇄물 배부가 각각 2 3.3%, 컴퓨터 실습(17.48%) 순으로 진행되었고, 교육의 장소는 45.46%가 도서관 내의 전용 교육실에서 교육을 하고 있었으며, 일반 강의실에서 교육을 하는 것도 27.27%나 되었다. 이용자 교육에 대한 사후 평가(설문지)는 51.61%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용자 교육을 전담하는 부서에 대해서는 84.38%가 있다고 하였고, 전담 부서명에 대해서는 상호대차 및 참고봉사(28.13%), 연속간행물실(21.87%), 열람과(21.87%), 전산관련(12.50%) 부서 순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 교육에 대한 예산은 65.62%가 배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이용자 교육의 전체 시간에 비해 예산상의 지원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이용자 교육에 대한 조사에 앞서 68.75%가 소속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을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 정보를 입수하는 경로로는 65.63%가 필요에 따라 사서가 개인적으로 조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 관련부서의 협조를 통해 정기적으로 현황을 제공 받는 곳은 12.50%에 불과하였다.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수에 대한 질문에서는 개인이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사하다보니 대학 알리미 정보에서 나타나는 대학의 전체 현황과 사서가 인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에는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자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조사에서는 43.75%가 실시한다고, 56.25%가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는 이용자 교육을 96.88%가 실시한다는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용자 교육 대상으로는 국내 대학생과 마찬가지로 학부생이 1순위였으며, 대학원생, 교환학생, 한국어 교육 수강자 순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용자 교육에 대한 홍보 역시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한 공고가 27.59%로 가장 높았으며 개인별 또는 학과별 이메일 발송과 학과별 공문 발송이 각각 24. 13%로 진행되어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할 때와 비슷한 방법으로 홍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의 형태에 대한 조사에서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33.33%), 소집단(희망자) 교육(19.44%), 학과 요청 시 수시교육(16.67%), 개별지도(13.89%) 등의 순으로 교육이 실시되었고, 1회 교육 시간은 85.72%가 1시간을 넘기지 않았다. 한 학기 이용자 교육시간은 1시간미만이 7.14%, 1시간~5시간미만이 57.14%, 5시간~10시간미만이 21.43%, 10시간~15시간미만이 14.29%로 나타나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별 이용자 교육 시간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외국인 유학생 이용자 교육에 활용하는 도구로는 강의(25.53%)가 가장 많았으며, 교육관련 인쇄물 배부(23.40%), 도서관 Tour(21.28%), 홈페이지 등 시청각 자료, 컴퓨터 실습(10.64%) 순으로 활용 되고 있었다. 이용자 교육 활용 도구에 사용한 언어에 대한 조사에서는 45.83%가 영어로 작성한다고 나타났으며, 중국어 29.17%, 일본어 8.33%순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어로 작성하는 것도 12. 50%로 나타났다. 이용자 교육에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질문에서는 영어로 진행 하는 곳이 44.45%, 한국어가 33.33%, 일본어가 11.11%로 나타났으며 중국어를 사용하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 이용자 교육에서 통역을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질문에서는 중국어가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외국인 유학생 이용자 교육에서 특히 통역을 사용하는 언어로 중국어가 높은 순위로 나타난 것은 외국인 유학생의 대부분이 중국에서 오는 학생들임을 감안한다면 당연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9)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은 55%가 도서관 내의 전용 교육실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며, 도서관 외의 장소(20%), 일반 강의실(25%)에서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과요청 시 수시로 이용자 교육을 진행한다는 이전 조사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에 대한 사후 평가(설문지)는 71. 43%가 하지 않는다고 확인되었지만, 가능한 사후평가를 실시하여 이용자 교육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10)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자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36.84%가 이용자 교육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요구나 관심이 적다고 하였으며, 31.58%는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사서의 관심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준비부족과 도서관 사정으로 인해 실시하지 않는다는 기타 의견도 31.58%가 되었다. 이 결과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요구나 관심보다도 사서가 먼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 이용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11)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을 전담하는 직원에 대한 질문에서는 75%가 없다고 하였고, 25%만이 전담 직원이 있다고 하였다. 전담 직원이 소속된 부서에 대한 조사에서는 28.57%가 각각 상호대차 및 참고봉사, 연속간행물실 소속이었고, 42.86%가 특정 부서에 소속된 직원보다는 언어적인 문제로 인해 필요에 따라 부서에 상관없이 직원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담 직원에 대한 훈련과정의 유무에 대해서는 75%가 훈련과정이나 교육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이용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96.88%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대부분 그 필요성은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 진행에 가장 필요한 요소에 대한 조사에서는 언어, 관련부서와의 협력, 도서관의 홍보, 사서들의 이해 등이 가장 많았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 활성화를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할 요소 또한 도서관에 대한 홍보, 언어능력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을 위해 사서에게 가장 필요한 요소에 대한 조사에서는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사서의 서비스 마인드가 언어능력보다 더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대학의 국제적 경쟁력과 정부의 세계화 정책 그리고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 우리나라에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학당국은 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에 앞서 그들에게 연구와 학습을 위한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선결되어야 할 과제이며, 대학도서관도 그에 따른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을 잘 이용한다는 것은 도서관의 물리적 위치를 알고 있다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히 1~2시간의 간단한 교육만으로는 습득할 수 있는 것이 결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소수의 대학도서관을 제외하고 대부분 대학도서관에서는 1시간 정도의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이나 도서관 견학, 특강 등이 외국인 유학생에게 제공하는 도서관 이용교육의 전부인 실정으로 과연 외국인 유학생이 도서관을 얼마나 잘 이용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과 대학도서관에서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이용자 교육 실태 현황을 조사하여,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을 외국인 유학생들에게도 폭 넓게 적용하고 도서관의 정보 이용에 편의를 제공하여 도서관과 정보 이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용자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도서관과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 관련 부서와의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다양한 이용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는 거의 조사대상의 절반이상이 이용자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큰 이유가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없다는 것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사서의 관심이 거의 없다고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 입장에서 외국인 유학생에게 이용자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것은 사서의 무관심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증가하는 외국인 유학생에 대해 유학생 관련 부서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외국인 유학생이 도서관의 자료와 시설뿐만 아니라 도서관에서 행해지는 모든 정보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이용자 교육의 다양화를 모색해야 해야 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도서관 이용 교육은 짧은 교육 시간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자정보 통신기술의 발달과 보급 및 인터넷과 웹을 통한 다양하고 질적으로 세련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이 증가하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단순하고 간단한 도서관 안내와 같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을 중심으로만 행해지고 있다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도서관에서는 도서관 시설과 함께 외국인 유학생이 도서관의 다양한 정보의 이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이용자 교육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종류, 형태 및 시설 등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에게도 다양하고 적합한 이용자 교육을 개발하고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에 있어 외국어에 대한 사서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 사서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어로 이용자 교육을 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개인에 따라 외국어 능력이 아주 뛰어나서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서들은 외국어에 대해 큰 부담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언어에 대한 문제로 외국인 유학생의 이용자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외국어에 대한 문제는 통역이라는 방법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사서가 외국어를 잘 해야만 할 필요성은 없을 것이다. 통역으로 인해 교육시간이 평소보다 길어질 수 있으나, 교육의 내용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강조하고, 이용교육의 형태를 다양하게 나누어 실시한다면 오히려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외국어에 대한 사서의 부담도 줄어들 것이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도서관 이용 안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양한 국적과 언어를 가진 외국인 유학생에게 맞추어 영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로 교육을 실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단 시간에 이루어지는 이용자 교육 또한 모두에게 만족을 줄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이용자 교육과 더불어 외국어로 된 온라인 이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배너, 도서관 안내문, 이용 안내 책자, 자료검색방법, 웹사이트 등을 준비하여 제공한다면 이용자 교육이후에도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이용자 교육은 반드시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최근 문헌정보학계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도서관의 정보욕구 충족이나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실시되고 있으나, 외국인 학생들의 정보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용자 교육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낯선 건물에 들어가면 느껴지는 어색함이 어느 한 지역, 한 건물이 아닌 유학을 온 다른 나라임을 감안한다면 외국인 유학생에게 대학도서관도 큰 위화감으로 다가올 것이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을 관리하는 부서의 협조를 통해 짧은 시간이라도 도서관을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 이를 통해 도서관이 유학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아울러 도서관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이용자 교육을 반드시 실시하여 유학생활에서 도서관이 꼭 필요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라는 것을 인식시켜 외국인유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관심도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 내의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업성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대학도서관은 이들을 도서관에 유도할 수 있는 차별화된 도서관 정보이용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하며, 도서관 이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용자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rolling in Korean Universities is increasing becaus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The amount of foreign students applying to study at Korean Universities is continually increasing. Although the quantity of foreign students is increasing, the majority of Korean Universities are not equipped to handle the increased populace. As a result, foreign students find it very difficult to find proper resources in University Libraries. This analysis is intended to discover how many Korean Universities are able to provide foreign students with adequate resources. I will then compare the foreign students’ resource analysis to the usage of domestic students. Through the complete analysis I will determine a solution for this paradigm. Korean University User Education provide information on resource usage for visitors and students. The majority of Korean Universities provide User Education for domestic students. Some Universities divide instructions betwee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 User Education usually take over 20 hours per semester, 61.29% of Korean Universities adhere to this statistic. 84.38% of Universities include instruction on the exclusive charge department. Instructions are generally held in lecture halls within the library. Special tools are used to reinforce the presentation. Contrastingly, 56.25% of Korean Universities do not provide resource instructions for foreign students. 68.75% of Korean Universities are aware of the foreign students’ present condition, but do not survey the foreign population to determine a solution. Sometimes, Korean Universities asked other exclusive charge departments on foreign student statistics. Only 43.75% of Korean Universities provide User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User Education usually last under 5 hours. This is drastically less than the domestic student instruction. Korean University librarians think that foreign students lack interest in using the resources in the libraries. As a result, they do not provide adequate assistance. A survey recently revealed that 96.88%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need to use university library resources. Librarians are prejudice against foreign students and find it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them. Foreign students need to use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this analysis, I propose an alternative solution for foreign student instructions. I want to find an effective method for foreign students to have access to university libraries. This analysis will provide a turning point in standard library practice. Librarians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for foreign students to use the library’s resources.

      • 효율적인 대학 실용영어회화 교육을 위한 학습자 요구 분석

        정선경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대학 영어회화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보다 실용적인 영어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성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가운데 실용영어회화 강좌를 수강중인 일부 학생들의 학습자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실용영어회화 강좌를 담당하는 일부 원어민 교수의 의견과 비교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통해 해당 강좌의 학습주체인 학습자와 교수들의 견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각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전공계열에 따라 그들의 요구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교수와 학생간의 인식에도 차이가 있었다. 본 설문의 결과를 통해 각 집단의 요구가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이를 향후 수업에 반영한다면 보다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대학 영어회화교육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대학교재 복제 경험과 소비윤리 및 소비자책임 의식이 대학교재 복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미란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re are many cases in Korea, copying books illegally. And it's increasing continuously every year. As a typical example, these occasions are hardened in the academic society in colleges. Though government policies like crackdown on illegal copy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are in effect to root out the illegal copy, there still are many occasions copying books illegally in the colleges. It indicates that college students have no negative cognition which means self-awareness or self-criticism, on copying books illegally. And in the light of these facts, we know it's a urgent need for college students to have a mature sense of consumers' perception. Therefore, this research 1)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illegal copy in colleges looking into the actual duplicates in colleges 2) and compared the consumers' ethics with the consumers' responsibility on the back of the copying experience of the college textbook 3) then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relative influence between the attitude towards copying textbooks and the experience of copying textbooks, and between consumers' ethics with consumers' responsibilit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a significant evidence of the copying experience of college textbooks, consumers' ethics and responsibility that effects on the attitude towards copying textbooks in the college. So, to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s illegal copy, it is the pressing priority that establishing sound sense of consumers' perception against the illegal consumption behavior like an infringement of copyright. In other words, the social programs and the educations are needed to make the consumers recognize the negative effects of illegal copies and to enhance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ethics of consumption. In this context, we have to include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ethic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onsumption in government, school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consumer. In addition to these, the strategies are needed as well, to notify the negative effects around the society results from the illegal copy. The college students need to know the meaning of copying books illegally and to know the social impact of it. A nationwide boycott movement against the illegal copy of the college textbook are to be started. And sustainable legal system will be needed like students' compensation or crack down on piracy in college towns. Finally, the consumers' ethics and the consumer's responsibility could be internalized to the consumers by consumer policies in businesses, governments and colleges. And the hardened problems about the illegal book copying in the college towns could be healed by recognizing the negative effects of the illegal copy. Furthermore, all these things would promote the sound consumer society and contribute to the high quality of life 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 現代 漢語의 音變現象 연구 : 輕聲과 兒化韻을 중심으로

        정원 慶星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23

        1. MOTIVE AND AIM OF STUDY Chinese being called the national language [國語] in Taiwan and Mandarin [普通話] in China proper is used the standard language by means of different pronouncing transcription respectively. Mandarin which is both the standard language of China and the common language of modern Chinese regards Peking sound as standard one and is standardized modern Chinese to the exclusion of native dialects in the Peking spoken language. In the Present state of things, although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changed Taiwanese pronunciation of the southern language family into Mandarin one in teaching modern Chinese language, they focused less on the neutral tone and the retroflex sound which are linguistically characteristic of Mandarin than on the four tones. Actually in the Chinese language, if both the sounds are not realized properly, they will not only sound awkward but cause misunderstandings. That's because they have an important need in teaching modern Chinese language.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ystematic analysis on the neutral tone and the retroflex sound in modern Chinese language and look into their trends. 2. SCOPE OF STUDY The sound change in modern Chinese includes the change of the phoneme and the four tones. The sound change in pronouncing continuously breaks down into three kinds: First is increasing sounds, deceasing sounds and successive sounds under the influence of the front and back as in a grammatical particle '아' and a retroflex sound. Second is a neutral sound. Third is the dissimilation of the neutral sound as In variant of the third tone and 一, 七, 八, 不.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neutral and retroflex sound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sound change in pronunciation in Mandarin, according to the present trend of teaching Mandarin. 3. CONCEPT10N OF THE NEUTRAL TONE The neutral tone is assumed to be occurred in the process of Chinese language being derived from an isolated language. It's not easy, however, to find its origin. The name and the notion of it were mentioned first by Cho Won Im[趙元任] about 70 years ago. To put it shortly, it is the sound change that a kind of words or syllables lose their four tones and are often reduced to schwa sound. It is represented by a symbol [·] or not. 4. CONCEPT10N OF THE RETROFLEX SOUND In the Chinese language, when the sound[兒] is in the coda position and combines with the other vowels, it changes tone quality of vowel in coda and becomes retroflex vowel. We call it retroflex sound. In the case of Mandarin, the sound 'er', retroflex seldom consists of its own syllable as in 兒, 而, 爾, 耳 and 二. Generally speaking, the origins of it are as follows. 1) 語根 + 兒 : 花兒, 鳥兒, 玩兒. 2) The variation of '裏' : 這裏·那裏 > 這兒·那兒. 3) The variation of '日' : 今日·明日 > 今兒·明兒. However, such abstract nouns as politics, economics and philosophy don'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roflex sound, according to the regulation [漢語倂音方案]. It is represented by a symbol 'r' behind the vowel. 5. CONCLUSION The neutral tone and the retroflex sound are widely used in Mandarin. Also they are regarded as highly important in Mandarin. With more analysis on them, they are induced as follows. 1) They have meaning distinguishing function. For example, the neutral tone makes a meaning difference between '東西 and 東西', '大意 and 大意', '買賣 and 買賣'. So does the retroflex as in '白麵(flour) and 白麵兒(heroin)', '一塊 and 一塊兒', '탄 and 탄아', '個 and 個兒'. 2) They have no meaning distinguishing function. For example, as in 西瓜, 委曲, 上面, 哥哥. And 村, 梗, 藥膏, 打嗚 are not used separately. In order to be independently used, they should be the retroflex sound such as 村兒, 梗兒, 藥膏兒, 打嗚兒. 3) They have no regular reading under the two permissible cicumstances. For example, the second syllable of 沙發, 乾粮 and 喜鵲 can be neutralized. In modern Chinese liguistics, the notion of the neutral tone occurred only 70 years ago. It has been 100 years since the system of the retroflex sound was established. From the growing process of them, they are characterized by dynamic phenomeno, not static ones. The latter similar to the former have word or meaning distinguishing function. However, because of its different way of reading, complicated structure and sound pitch, it's not easy to normalize it. On account of their complicated normalization, we should consider both the systematic study and the examplary vocabulary and us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