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상남도 소재 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학과의 운영실태와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진현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ir opinions on the educational affairs management and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songnam province in Korea. For solving the research problems as above, the method of questionnaires i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 dimensions: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derstanding the bachelor management, and understanding the degree and the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ions. Students in these questionnaires thought, in general, that the present teaching methods and direction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suitable for it as an organization which awards a master's degree. They also insiste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perform the role of the re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y indicat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he lack of full-time professors and the curriculum that too much focused on contents of each subjects as the three problem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n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thought many various subject matters should be developed and ,in turn, they could get more opportunities to choose their favorite subject matters. Specifically, on the subjects of students' major, they hoped their subject matters should be deepened and supplemented as following order; the subject pedagogy, law, sociology, and politics. On the educational affairs manage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night schooling system more than the seasonal schooling system. In night schooling, they preferred evening time during the weekday as their the teaching hours than afternoon of Saturday. And they have positive attitudes on the credit system, completed credits, the term of study. On the articles and summative tests for their degree, they hoped these articles or summative tests would be substituted as the credit of their major subject matters or any form as the study report, considering their circumstances and conveniences. I have some advic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rst,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of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students' needs.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be splitted as two ways; one for teachers in schools and another one for students who is not a teacher. Third, the condition for a degree should be managed flexibly, reflecting students' needs. Fourth, to make a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graduate students should join the class more actively.

      • 부산·경남 지역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1995-2004) 분석

        김상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Though we liv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era in the 21th century, it is difficult for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materials quickly and accurately in the plethora of a number of musical materials. So, it is necessary for us to require the necessity of the secondary documentaries urgently and to analyze according to master's thesis related to musical education as informational materials of the research for mu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helping for all people that have had interest in this field through the analysis of master's degree theses about musical education at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Kyungnam university, Gyeongsang university, Kosin university, Dong-A university, Pusan university, Changwon university and also is for the organized development of musical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organizationally. I have studied the 324 theses submitted from 1995 to 2004. In the introduction ( chapter 1 ) of the theses, I collected materials that researchers had analyzed the trend of the master's theses for musical education and compared each of them, which is on the purpose of leading to more scientifically analytical methods. In chapter 2, this is for investigation the history of educational purpose, the present condition of foundation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educational particularity. In chapter 3, I classified master's theses of musical education's thirteen fields and the others specifically and analyzed the trend of theses of musical educa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presenting domain- year analysis, school-domain analysis, school-year analysis as statistical results by each diagram. In the conclusion, this material is mentioned by result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n the future, when researchers go on trying to challenge with progressive and creative attitudes, our musical education can have a firm foundation.

      • 3D 모델링을 활용한 구축조각 교수·학습 방법 연구

        김동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미술교육의 방법에 변화를 꾀하며 미술과의 본질적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3D 모델링을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안하며 구축조각을 적합한 교수내용으로 선정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연구 목적 그리고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II장은 구축조각의 개념과 미술교육적 의의, 3D 모델링의 개념과 미술교육적 의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구축조각은 양감과 공간을 새로이 해석한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3D 모델링 활용 교육은 공간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에 동의하였다. 그리고 3D 모델링의 작동방식과 구축주의 작가들의 양감과 공간에 대한 해석 사이의 유사점을 근거로 3D 모델링을 활용한 구축조각 교수·학습의 당위성을 확보하였다. III장에서는 분석한 이론을 토대로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양감과 공간은 기존 미술교육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본질적인 내용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재구성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요소를 인지적으로 이해하는 학습이 이루어졌다. 학습자는 구축조각 작품 감상과 3D 모델링을 활용한 제작 활동을 통해 3차원에서의 양감과 공간 표현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삶 속에서 디지털 기반 시각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태도를 함양하게 되었다. 데이터의 형태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활동을 통해 디지털 매체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으며, 3D 모델링 기반 시각문화와 관련된 경험을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생활 속에서 그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협동하는 자세를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둠을 이루어 진행하는 활동 속에서 매체 활용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은 모둠 구성원들에게 기능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주며 협동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내용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한 데 의의가 있다. 이로써 미술과의 본질적인 개념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미래지향적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ntend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olution to instruct essential content with art in new and more effective ways, which pursues changeable way of art education on coming digital conversion age. It has become to select Constructivist Sculpture with suitable teaching content, suggesting '3D modeling' as a new Teaching -Learning method. The Chapter 1 suggests necessity, purpose, content and the method of the study. The Chapter 2 is based on the study of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analyses the concept of Constructivist Sculpture, 3D modeling and the importance of an art education. The Constructivist Sculpture has educational meaning, which could explain 'mass and space' revolutionary. 3D modeling application education agreed to previous studies that the education could increase spatial ability. Constructivist Sculpture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3D modeling gives appropriate prominence because of similarity between 3D modeling operation method and constructivists' interpretation on volume sense and space. The Chapter 3 suggests Teaching-Learning Program which could apply to the education field on high school based on analyzed theory. The Chapter could make possible and specific solution through curriculum reconstruction, verifying that volume sense and space are important and essential in accordance with original art education content. The first result on the school field shows Teaching and Learning type to understand formative element cognitively. Students could figure out three dimensional volume sense and space expression though Constructivist Sculpture artwork appreciation and production activity using 3D modeling. Secondly, students could individually improve an attitude of being interested in visual culture based on digital media in their lives. which could expect to develop digital media utilization ability by producing digital result and to focus on their digital lives with activities, sharing experiences relate to visual culture based on 3D modeling. Thirdly, researcher could realize that students could cooperate each other. The setting of the study was group activities. Through this activities students, who are remarkable on media utilization ability, made possible help on the functional aspects to the group and cooperated in their classes. The study has been significance to fi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n the changeable contemporary society and to suggest specific way to draw appropriate teaching content. Thus, it is certain that essential concept of art education could be future-oriented and effective.

      • 父母의 社會 階層에 따른 大學 序列 및 私敎育에 대한 學生의 意識 調査

        이상권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n how students perceived the university ranking and how much they depended on the privat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parents' social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Students whose parents belonged to the higher social class perceived the existence of the university ranking. They considered the conditions of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as following written in order;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the faculty of teaching staffs, the scores of the incoming students' SAT, the scale of the universities, and the type of establishment. The students from the higher class perceived that the graduates of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would have advantage of the ones of the low-prestigious universities in finding employment and getting promotion. So would the graduates of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ompared with the universities in provinces. The students of the higher social class perceived the place of being trained would be more important in success than their faculty. The students from the rich families were perceived to have more chance to enter the prestigious universities. Taking more private education would be conducive to the score of SAT and the GPA in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y belonged to social class, the more they took private education and the more they perceived the existence of university ranking.

      • 중학교 미술 교과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

        홍연수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산업화와 함께 시작된 대량생산 체제 안에서,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표준화된 디자인은 장애인과 고령자, 아이와 임산부 등의 사람들을 좌절시키고 소외시켰다. 이러한 디자인은 다양한 생활을 영위하는 개인의 삶의 형태를 외면하고 간과해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차별에 대응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포용하고 존중하는 디자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 평등과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은 미미하여 디자인 과정에 사용자를 참여시키지 않고 있다. 그로 인해 우리의 생활공간은 여전히 위험과 차별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부분의 시민들의 의식수준은 낮아 공존을 위한 의식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사회적 디자인으로 대표되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시민들의 공동체 의식 고양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더욱이 가치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앞으로 사회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교육 분야에서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추어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교육 내용이 문제 해결에만 집중되어 있어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문제의 탐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단순히 주변 환경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경험과 심리, 인간을 둘러싼 환경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분석하여 인간의 요구를 반영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이다. 따라서 문제 해결에만 집중하는 것은 디자인의 과정에 사용자를 참여시키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사용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시각에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탐색 활동을 경험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2장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등장 배경, 정의, 원리·원칙을 관련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사고와 함께 생활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잠재적인 불편함을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 및 배려 사항과 연결 지어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개정된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고, 학교의 여건에 맞도록 활용할 수 있는 3가지의 체계적인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포용할 수 있다. 둘째, 타인과 공감을 바탕으로 소통할 수 있다. 셋째, 자신도 공동체의 일원임을 알며, 사회문제에 대해서 도외시하지 않고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은 전 생애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감, 소통, 배려, 존중, 공동체 의식과 같은 인성 능력과 시민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생각과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공감할 수 있는 사용자 이해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학습자들에게 존중과 배려의 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mass production system that began with industrialization, the standardized design for ordinary adults frustrated and alienated people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children, and pregnant women. It can be seen that this design has ignored and overlooked the form of life of individuals living various lives. In response to this discrimination, the need for a design that embraces and respects individual individuality is emerging. However, companies' response to social equality and the social role of design is insignificant, and users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design process. As a result, our living space still has risks and discrimination, a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most citizens about this is low, so we need to change our consciousness for coexistence. Therefore, universal design, represented by social design, is important for enhancing citizens' sense of community, and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a lot to making teenagers who are in an important period of forming values sensitive to social problems and take the lead. Recently, universal design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is social tren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deep understanding of users and searching for problems are not sufficient a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are concentrated only on solving problems. Universal design does not simply mak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venient, but is a human-centered design that reflects human needs by closely observing and analyzing human experiences, psychology,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s. Therefore, focusing only on problem solving can be seen as not involving users in the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I propose a universal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at experiences various exploration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discover problems from the user's perspective based on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users'. Chapter 2 of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background, definition, an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long with related cases, link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s of various users with the thoughts necessary to practice universal design. In Chapter 3, art textbooks revised in 2015 were analyzed to understand how content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are presen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Chapter 4 presents the educational meaning of universal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so far, and designs three systematic universal design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be used to suit the school conditions. The educational meaning of universal design is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embrace the diversity of community members. Second, you can communicate with others based on empathy. Third, the learner himself knows that he or she is a member of the community, and can develop an attitude of acting with a sense of community without neglecting social issues. Universal desig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throughout life, and in order to cultivate personality skills and citizenship such as empathy, communication, consideration, respect,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 use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learners can more deeply sympathize with users' thoughts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form a value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learners, and I hope it will be helpful in universal design education that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도자벽화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구남예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가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며 살아가려면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의식을 갖추어야 한다. 시민의식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함께 학교 교육은 교육의 목표로서 공동체 의식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길러야 핵심역량의 하나로 ‘공동체 역량’을 제시하고 있으며,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동체 의식은 학교 교육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강조됨에 따라 미술교육이 학교 교육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 역시 변화하고 있다. 미술교육에서 학습자가 공동체의 가치를 주제로 인식하고 이를 미적으로 표현하는 경험을 한다면, 학습자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올바른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술 활동에 주목하였다. 도자벽화 제작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적인 공간에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공유하는 학교를 기반으로하여 도자벽화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상호작용하면서 올바른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하는 도자벽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도자벽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통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중학교 학생들에게 도자벽화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교사를 위한 도자벽화 제작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이 두 가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문헌조사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자벽화 제작 프로그램의 교육적 목적은 학생들이 상호소통능력과 공동체 의식을 기르고 생활 속에서 미적 요소를 체험하는 것이다. 나아가 교사와 학생이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학습자뿐만 아니라 교사 또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 1장에서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도자벽화 프로그램을 주제로 설정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공동체 의식 및 도자벽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실제적인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학교와 지역적 특징을 반영한 도자벽화의 설치 사례를 현장 조사하였다. 그리고 도자벽화 제작 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도자 조형물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앞의 3장에서의 조사와 분석을 활용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도자벽화 프로그램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발한 의사소통과 협력으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학교를 도자벽화의 제작과 감상의 장소로 활용한다. 셋째, 중학생들의 표현 능력을 고려하여 작품의 형태와 제작 기법을 계획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미술과 도자벽화의 이해’, ‘도자벽화 설치 장소와 환경의 맥락적 탐색’, ‘도자벽화 제작’, ‘설치와 감상’의 단계를 총 5차시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도자벽화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와 환경을 맥락적으로 탐색하는 가운데, 공공미술에 대해 학습자들이 충분히 이해하고 도자벽화 제작 활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학습 지도 과정을 조직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도자벽화 프로그램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적 체험을 주로 다루는 미술교육에서 도자벽화 수업은 공동의 공간에서 미적 활동을 하는 학습이 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이 직접 학교 환경을 아름답게 변화시킴으로써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학교 공동체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도자 조형 활동에 대한 인식의 폭을 확대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종류의 도예 활동으로 미적 표현을 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주변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깨닫게 될 것이다. 넷째, 학생들의 협동심을 자극하고 협력 활동을 통해 올바른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다. 다섯째, 기존에 소외되거나 방치된 장소와 공간이 작품 설치 및 전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자벽화를 활용한 구체적인 수업 프로그램안을 제안하고, 그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미술교육에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프로그램 개발 사례로서 도자벽화 제작 수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학교 공동체의 가치 있는 문화 형성을 위한 실천적 방법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t is required citizenship to cooperate with strangers and organize communities in diverse modern society. School Education, as a goal of education with social requirement of citizenship, focuses on developmen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National Education Process which was revised in 2015, it suggests ‘Community Capacity’, which is a core capacity for students and ‘Person who lives together and considers in sharing as a democratic citizen by communicating in the world and getting community consciousness’, which is a desirable human character. Likewise, it is certain that a variety of education ways should be built for community consciousness. Today, a role of Art Education to perform at school has become changed by emphasizing social function and role of Art. Learner could make sure their own identity and describe right community consciousness as a member of community if they would be aware of community value through Art Education and express art in aesthetic way. The researcher focuses on Art Group Activity that community members could solve their problems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To product Ceramic Mural is a solution of ways which community members could solve problem creatively wi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t public area. Thus, the researcher suggests ‘Teaching-Learning Program of Ceramic Mural’ that A learner products ceramic mural at their schools and interacts with school to make right community consciousness. The researcher has settled and started two kinds of study questions. “What is the right way to teach ceramic mural for middle school students?”, “How does manufacture program of ceramic mural for teachers make up?”, which is executed with documentary survey. Educational purpose of ceramic mural production program is that students could improve community consciousness, mutual communication skill and also experience aesthetic elements in their lives. The study goal could make teacher and learner participate program together, which is possible not only learner improves community consciousness but also teacher does. The ‘Chapter 1’ suggests study purpose and necessity of ceramic mural program to improve community consciousness. The ‘Chapter 2’ reviews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eramic mural before program development. The ‘Chapter 3’ analyzes middle school art textbook which contains Art Education Process which was revised in 2015 and the field of ceramics with materials of ceramic mural for practical program composition. The Chapter shows an example of setting ceramic mural with field survey research, which was reflected by character of school and local area and production process of ceramic sculpture in stage of production. The ‘Chapter 4’ suggests specific program which is able to utilize at the actual education field, using research and analysis from chapter 3. Education ways to teach ceramic mural program are as follows. Firstly, It makes possible to study with a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econdly, School could be utilized as place for production and appreciate of ceramic mural. Third, it needs to be planned form and production skills of art in consideration of expression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 ways make classes for five times, which was organized by ‘Comprehension of public art and ceramic mural’, ‘Contextual searching for installation site and environment of ceramic mural’, ‘Manufacture of ceramic mural’, ‘Installation and Appreciate’. Besides, It makes organize teaching guideline for student to understand public art and precede production activity of ceramic mural.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ceramic mural program which was deduced by study is as follow. First, regarding art education which mostly deals with aesthetics experiences, ceramic mural class could become influence on aesthetic activity at public area. Secondly, students could earn their fulfillment directly by changing school environment picturesque, which let participate and be interested in school picturesque continuously. Third, student could recognize extensively about ceramic craft art activity. They would realize possibility which could express art through a variety of ceramic activities and change surrounding environment. Fourth, Student could be influenced by teamwork and build right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local cooperative activities. Fifth, Isolated and neglected places in school have had value of art area for installation and exhibition. The study has purpose that suggests specific class programs using ceramic mural and searches educational applicability. The research would be a case of the systematic class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a community consciousness in case of school art education. Furthermore, it is certain that the research would be one of practical ways to develop worthy culture of school communities.

      •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한 민화 교수·학습 지도 방법 연구

        이영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 외국인 수가 222만 명을 넘어서며 우리 사회가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해 가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 상황 속에서 우리는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다른 문화를 존중하며 인정할 줄 아는 문화상대주의적 태도가 요구되어 진다. 나아가 다문화와 관련한 사회적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문화 이해 태도를 강조하고 있으며, 미술 교과에서도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교과 핵심역량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다문화 교육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에서 반영되어 학생들이 참여해 소통할 수 있는 활동은 그렇게 많지 않다. 이에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 증진과 더불어 타문화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존 다문화 교육에서 나아가 상호문화교육으로 확대하여 미술교육을 해석해볼 필요가 있다. 상호문화교육은 모든 인간이 존엄하고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는 토대에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그들의 사고방식, 가치관, 삶의 태도 등이 동등하게 존중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사고와 태도의 전환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여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교육이다. 시대적 요구에 따라 미술교육은 상호문화를 이해하는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편성하고 학생들이 이러한 교육을 통하여 나와 자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문화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없애야 한다. 나아가 서로의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할 줄 아는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해 민화를 활용한 미술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민화를 선택한 이유는 민화는 각 시대 서민, 평민들과 같이 일반 대중들이 그린 그림으로서 그림 속에 그 시대 사람들의 정서와 미의식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각 나라 민화 작품 감상을 통하여 미술 문화 이해 능력과 함께 문화상대주의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상호문화교육의 이론과 교육 방법을 살펴보고, 수업 적용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각 나라 민화 작품에 대한 문헌을 검토해 연구 방향을 정하고 실행연구를 실행하였다. 둘째, 실행연구 절차에 따라 미술 문화 이해 능력과 함께 문화상대주의적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민화 감상 수업지도안을 작성해 수업에 적용하여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수업 후 설문지 및 감상문, 학생들이 민화 수업을 통해 작성한 학습지와 결과물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한 결과물을 분석함으로써 본 수업이 학생들의 미술 문화 이해 능력 함양과 문화상대주의적 태도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을 통해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시아 민화를 비교하는 수업을 통해 한자문화권 안에서 생기는 보편적인 유사성과 함께 각 나라의 민화의 독창성을 알고, 각 나라 민화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문화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긍정적인 문화상대주의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둘째, 동아시아 민화 속 상징성을 학습하여 소재에 따라 민화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는 이미지에 담긴 상징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 신장과 함께 미술 문화 이해 능력도 향상될 수 있다. 우리가 그 나라의 언어는 잘 모르지만,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서 전달하는 메시지를 읽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학습자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작품 제작에 필요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며 자기 주도적 미술 표현활동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신장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수업 프로그램은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한 민화 감상 표현 수업을 통해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문화상대주의적 태도를 함양하고 나아가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recent statistical data, the number of migrants living in Korea has exceeded 2.22 million, and our society is rapidly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multicultural situation, we are required to have a culturally relativistic attitude that can remove prejudice against other cultures and respect and acknowledge other cultures. Furthermore, social interest in multiculturalism is steadily increasing, and it is being treated as important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an attitude to understand culture that reflects social changes, and art and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is a core competency in the art curriculum. However, despite the emphasi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ctual school settings, there are not many activitie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n and communicate as reflected in the class. Accordingly,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multicultural competency a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art education by expanding it to intercultural education beyond the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education seeks social cohesion through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idea that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way of thinking, values, and attitudes of life should be equally respected on the basis that all human beings are worthy of dignity and respec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art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time to understand mutual culture, and through this education, students should come out and understand their own culture to eliminate prejudices about other cultures. Furthermore, the class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people can have an attitude of acknowledging and respecting each other's cultures. This study proposes an a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folk painting based on mutual cultural education. The reason for choosing folk painting is that folk painting are paintings drawn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commoners and commoners of each era, and the paintings contain the emotions and aesthetic sense of the people of that er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students to develop cultural relativist attitudes as well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 culture through appreciation of folk painting of each country. To this end, first, the theory and teaching method of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method of class application was studied. Then,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folk painting of each country, research problems were determined and implement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Second, according to the practice research procedure, various data were collected by preparing a lesson plan for appreciation of folk painting to cultivate art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and cultural relativism attitud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mpressions after class, as well as worksheets and results written by students through folk painting classes. Finally, by analyzing the collected results, conclusions were drawn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is clas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rt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and cultural relativism attitude. The results drawn based on the contents collected through this clas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class comparing East Asian folk painting, it is possible to learn the originality of each country's folk painting along with the universal similarity that occurs with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folk painting.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 positive cultural relativistic attitude based on cultural homogeneity. Second, by learning the symbolism in East Asian folk painting, we can infer the message we want to convey through folk painting according to the subject matter. This can improve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symbols contained in the image, as well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 and culture. Although we do not know the language of the country well, we can read and interpret the message conveyed through visual images. Third, learners can make plans on their own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actively compose the knowledge required to produce works, and engage in self-directed art expression activities. Furthermore, the ability to be used in real life can be enhanced. As such, this class program drew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it could cultivate a cultural relativist attitude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further enhance the ability to understand art and culture through folk painting appreciation expression classes based on mutual cultural education.

      • 자율주행 코딩을 활용한 초등학교 인공지능 윤리교육 수업방안 연구 : 블렌디드 학습과 정의 추론을 중심으로

        송수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의 목적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도덕적 딜레마 토론을 활용하여 블렌디드 학습 상황 안에서 자율주행 코딩과 윤리교육을 융합할 수 있는 수업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인공지능이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에서 인공지능 윤리는 인공지능 기술의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기능한다. 각국의 인공지능 윤리교육 또한 같은 맥락으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인공지능 윤리교육 경우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존재한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상 초등학교급의 인공지능 윤리교육이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2022 개정교육과정상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구체적 방향 설정이 없다. 셋째,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융·복합적 교수설계가 없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제한점을 지닌 학교현장의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제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AI 융합교육의 맥락에서 블렌디드 학습 및 정의 추론을 기반으로하는 자율주행 코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 AI 융합교육의 맥락에서 블렌디드 학습 및 정의 추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코딩을 윤리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AI 융합교육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윤리교육은 향후 국가 교육과정과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현행자료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조사를 실시한 뒤 수업방안 연구를 위해 G시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질적 사례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하인츠 딜레마 토론의 경우 ‘관점채택의 확장’을 보였다.토론 초반 학생들의 행동근거는 대부분 처벌의 회피 혹은 개인의 이익에 있었다. 하지만 토론 후반에서 학생들은 사회 전체의 선을 위하여 사회의 구성원이 법을 지켜야한다며 개인주의로서의 도덕선택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트롤리 딜레마 토론의 경우도 개인의 이해관계에서 ‘사회규칙이나 생명’을 행동기준으로 선택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사회적 쟁점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에 관해 토론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지향해야 할 삶의 모습에 대하여 주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블렌디드 학습은 먼저 ‘온라인 학습과 코딩학습의 연계를 용이’하게 했다. 인공지능기술이해에 대한 수업시수의 절대적 부족을 온라인 학습을 통해 해결하였으며 블록코딩에 대한 학습공유를 통하여 학생들은 코딩학습을 더 수월하게 진행하였다. 또한 블렌디드 학습은 ‘자기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학습 내용에 대한 주도적인 이해가 수업에 대한 학생의 흥미 및 집중도를 높였으며 온라인 학습이 오프라인 학습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인공지능 윤리 수업은 ‘의도를 반영한 머신러닝과 코드들이 나타남’을 통해 효과성을 볼 수 있었다. 윤리매트릭스 활동을 통해 만든 새로운 딜레마로 자율주행기술을 코딩하여 산출물을 발표하는 것이 수업방안의 후반부 내용이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딜레마 상황 안에서 자동차를 의도를 가지고 움직여야 했다. 윤리와 융합하지 않은 단순 코딩수업의 경우와 다르게 융합수업에서 학생들은 피해야할 대상이 정해지자 코딩을 정확하고 자세하게 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피해자로 표현되는 오브젝트를 제거하는 것에 감정을 이입하였으며 대상을 최대한 보호해 다치지 않도록 코드를 작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의도를 반영하기 위한 코딩을 위하여 평소에 쓰지 않는 코드를 쓰거나 쓰던 코드라도 다른 의도를 반영한 조건 코드를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블렌디드 학습은 자기주도적 학습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블렌디드 학습의 특성상 학생의 수업 개별화가 가능했으며 수업시수에 쫓기지 않고 관심 주제에 대하여 심도깊은 고민이 가능했다. 또한 딜레마토론·윤리매트릭스 활동으로 수행되는 정의 추론 역시 학생들의 도덕적 추론 및 판단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소프트웨어 원리학습과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일원화가 이루어진 단적인 모습으로 윤리적 감수성이 인공지능 기술교육과 결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율주행 코딩을 활용한 윤리 수업방안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인공지능 윤리 이슈와 가이드라인,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교과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블렌디드 기반 인공지능 수업방안 개발기준을 선정하였고 차시별 학습주제, 활동내용, 수업형태를 정하였다. 도덕적 딜레마토론, 인공지능이해, 윤리 매트릭스, 코딩-산출물 발표로 활동을 크게 나누었다. 도덕적 딜레마 토론에서는 역할채택을 통해 인공지능 윤리기준에 대한 정당화 근거를 찾았다. 윤리매트릭스 활동은 문제해결 참여 과정에서 윤리적 알고리즘 기준에 대한 통찰력을 키울 수 있게 하였다. 코딩을 통한 산출물 발표는 수업 전반에 걸친 결과물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인공지능 이해도 및 활용능력, 윤리적 판단력을 판단할 수 있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점을 뛰어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인공지능의 기술적 이해 및 소프트웨어 원리학습과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이분법적 구분이 해결되지 않았다. 또 교과와의 융합·연계 활동에서도 수학, 과학 교과가 중심이 되어 인공지능 윤리를 통한 도덕발달을 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학교현장의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위한 몇 가지 과제를 설정해보고자 한다. 첫째, 인공지능 윤리를 인공지능 기술교과의 하위범주로 두지 않고 다양한 학교급과 교과에 융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학교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교사 역량 개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셋째, 인공지능의 이해 및 활용을 주제로 윤리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더 다양한 교수방법 및 학습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prepare a class plan that can fuse self-driving coding into ethics education in a blended learning situation by utilizing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of moral dilemma discussion on justice. In a society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AI) affects life as a whole, AI ethics functions as a safety device to prevent adverse functions of AI technology and its importance in education is also emphasized in many countries. In Korea,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AI ethics education. First, any element of AI ethics has not been reflected in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econd, there is no specific direction and specialized process for AI ethics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rd, no specific convergence and complex instructional design is considered in the application of AI ethics education to various fiel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I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es with such limitations,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achieve the suggested research purpose. First, why is self-driving cod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and justice reasoning necessary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AI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AI convergence education, what is the plan to use self-driving coding in ethics classes based on blended learning and justice reasoning? Third, how will AI ethics education be linked to 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in this study, by conducting an extensive literature survey on previous studies and current data,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12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city for class plan research. The main results of the qualitative case study condu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Heinz dilemma debate, there was an 'expansion of the point of view adoption'. At the beginning of the discussion, most of the students' behavioral grounds were in the avoidance of punishment or individual interests. However, in the latter part of the debate, students showed that members of society should obey the law for the good of society as a whole, going beyond moral choices as an individualism. In the case of the trolley dilemma debate, it wa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pattern of selecting 'social rules or life' as the standard of action in individual interests.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issues that can lead to social issues, students were able to think independently about the appearance of life they should pursue. Blended learning first made it 'easy to link online learning with coding learning'. The absolute lack of class hours on AI technology understanding was solved through online learning, and students proceeded coding learning more easily through learning sharing on block coding. In addition, blended learning was 'effective for self-directed learning'. A leading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increased students' interest and concentration in class, and online learning made offline learning more abundant. AI ethics classes were effective through 'machine learning and codes reflecting intention'. The content of the second half of the class plan was to present the output by coding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with a new dilemma created through ethical matrix activities. Students had to move their cars with intent within their dilemma situations. Unlike simple coding classes that did not converge with ethics, students tended to code accurately and in detail when the objects to be avoided were determined in the convergence class. Emotions were immersed in removing objects represented as victims, and code was written to protect the object as much as possible so that it was not hurt. For coding to reflect this intention, even though a code that is not normally used or was used, a conditional code that reflects other intentions was selec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this dissertation, I would make discussions and conclusions on research issues as follows. First, blended learning was effective in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blended learning, it was possible to individualize students' classes, and it was possible to think deeply about topics of interest without being chased by the number of classes. Furthermore, justice reasoning performed through dilemma discussion and ethical matrix activitie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moral reasoning and judgment ability. It can be seen that ethical sensitivity was combined with AI technology education in the form of unified software principle learning and AI ethics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develop an ethical class plan using autonomous driving coding, domestic and foreign AI ethical issues and guidelin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related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standards for developing blended-based AI teaching methods were selected, and learning topics, activity contents and class types were determined for each time. The activities were largely divided into moral dilemma discussions, AI understanding, ethical matrix, and coding-output presentations. In the moral dilemma debate, the justification for AI ethical standards was found through role adoption. Ethical matrix activities allowed insight into ethical algorithm standards to be develop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problem-solving. The presentation of outputs through coding was able to judge students' understanding of AI, ability to use it, and ethical judgment based on the results throughout the class. Thir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id not exceed the limitation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dichotomous distinction between technical understanding of AI and software principles learning and AI ethics education has not been resolved.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develop morality through AI ethics with informatics,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centered on convergence and linkage activities with subjects. In this situation, I would like to set up some tasks for AI ethics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so that AI ethics can be fused to various school levels and subjects without placing it as a subcategory of AI technology subjects. Second, opportunities for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AI ethics education can be conducted in the school fiel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integrate ethical aspects under the theme of understanding and using AI.

      •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김영주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the recent education field, it is not uncommon to meet students who cannot get along with their friends and concentrate even in class despite not having any special cognitive and physical disabilities. These students repeatedly experience failure in life and do not try to learn new things because of the bad experiences they had to feel. He also lost interest and fun in everyday life. In the educational field, failure is an unavoidable part, so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failure and find a way to deal with it positively. The current society we live in is constantly creating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the convergence of cutting-edge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situation, if you lose interest and fun in new things, it may become difficult to live as a member of society. To this end, we hope that we will develop a habit of thinking about various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by ourselves and thinking sequentially so that we can acquire positive emotions and confidence rather than negative emotions caused by failure. The habit of thinking sequentially is a part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also fits the purpose of software education. The purpose of Software is to nurture talents with creativity and convergence, and the core competency that these talents must have i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It is suggested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with Although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is being emphasized, teachers have difficulties and burdens even in the purpose and concept of software education to be newly learn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By having teachers who do not have a concept of programming and algorithms teach basic grammar and structure for programming, it only caused fear and negative perceptions about software education. Even in such a situation, learners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experienced positive emotional regulation such as the value, interest, and cooperation of software educati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Resilience refers to the “strength of the mind to overcome failure even after experiencing failure in extreme situations.” It is also the ability to regulate emotions. In software education, debugging is essential and experiences constant failure in this repeated process. By repeating the experience of not giving up in the debugging process and completing it to the end, you will be able to learn the positive effect of failure that failure is a process of correcting simple error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performance of software education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may vary depending on one's resilience, and tried to prove that if the software education method suitable for oneself is applied, not only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but also positive emotions can be improved. 최근 교육 현장에서는 인지적, 신체적으로 특별한 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수업 중에도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흔하게 만나 볼 수가 있다. 이러한 학생들은 생활에서 반복된 실패를 경험하고 그로 인해 느꼈던 감정들로 인해 새로운 학습을 도전하지 않으려고 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조차 흥미와 관심도 잃게 되었다. 교육 현장에서는 실패는 불가피한 부분이므로 실패의 부정적인 효과들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방식을 찾아 학생들에게 학습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현 사회는 첨단 정보 기술이 전반에 걸쳐 융합되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끊임없이 만들어 내고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것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잃고 살아간다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기가 힘들어질지도 모른다. 이를 위해 우리는 다양한 문제들을 스스로 혹은 같이 고민하고 순차적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 실패로 인한 부정적인 감정보다는 긍정적인 감정과 자신감을 얻었으면 한다. 순차적으로 생각하는 습관은 컴퓨팅 사고의 한 부분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적에도 부합된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적은 창의 · 융합의 가진 인재 양성이며 이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이 컴퓨팅 사고력이다. 컴퓨팅언어를 배우는 것은 코딩을 목적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 소통, 협동 능력을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으로 향상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은 부각 되어 가지만 컴퓨팅 사고력을 가르쳐야 하는 교사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목적과 개념의 이해조차 어려움과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에 대한 개념이 없는 교사들에게 프로그래밍의 기본 문법과 구조를 가르치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두려움과 부정적인 인식만을 불러일으켰다.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정서지능이 높은 학습자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가치와 흥미, 협력 등 긍정적 정서 조절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정서 조절 능력은 학업 성취 능력과 긴밀하게 연관되어있다. 회복탄력성은 ‘극한의 상황 속에서 실패를 경험하고도 그것을 이겨내려는 마음의 힘’을 일컫는다. 이것은 정서 조절 능력이기도 하다.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디버깅(오류를 수정해 나가는 과정)은 필수적이고 반복되는 이 과정에서 끊임없이 실패를 경험하게 된다. 디버깅 과정에서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완성해 나가는 경험을 반복함으로써 실패는 단순한 오류를 수정해 나가는 과정이라는 실패의 긍정적 효과를 학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이 회복탄력성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가설로 잡고 자신에게 맞는 소프트웨어 교육 방식이 적용된다면 컴퓨팅 사고력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긍정적인 정서)도 같이 향상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조은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 직업과 삶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첨단 과학 기술과 소프트웨어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정보과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강조하였다.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현실과 컴퓨팅 환경을 연결해 주기 때문에 실생활 문제해결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과 소프트웨어 역량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방과 후 코딩 수업을 신청한 3~4학년을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하여 코딩 수업을 한 A 초등학교와 EPL만을 이용해 코딩 수업을 한 B 초등학교를 비교하여,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코딩 수업의 양상과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처음 소프트웨어 교육을 접하는 초등 저학년도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엔트리와 회로에 대한 지식 없이도 쉽게 접할 수 있고 큰 부담이 가지 않는 피지컬 컴퓨팅 교구인 펀보드와 마이크로비트를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27차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후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연령을 고려한 피지컬 컴퓨팅 도구의 선정이 필요하고, 교육 환경과 경제적 상황에 맞게 제공될 때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학습자가 더 흥미로워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졌다.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학습자들이 양질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료가 많이 개발되어 보급된다면, 초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그러므로 피지컬 컴퓨팅 교구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의 개발과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est in advanced technology and software education to cope with future changes in occupation and life increased. In the 2015 revised information department curriculum,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were emphasized as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in software education.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connects reality to the computing environment so that it can be closer to solving real-life problems, and can be expected to improve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software capabilit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A elementary school which used physical computing, and B elementary school which used only EPL to code for 3rd to 4th-grade after-school coding classes, and studied the aspect of coding class using physical computing and its ability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The 27th class program was developed and provided with software education by applying Entry which can be easily programmed for the first time in elementary and lower grades and Funboard and Microbit, which are easy to access without knowledge of circuits. Through this,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ost-interview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physical computing tools should be selected considering the age of the learners and that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can be provided when provid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conomic circumstance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learners were more interested in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and tend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It was analyzed that software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f a program is developed so that learners can receive high-quality software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education, and many materials are developed and distribut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o improve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physical computing teaching materials and in-depth research are continuously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