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변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대상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통계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첫 게재된 199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390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 분석 준거에 따라 시계열 빈도분석과 연구결과 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대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성격 및 적응 연구 177편(45%)이며 성과연구가 108편(28%), 진로 및 적성연구 45편(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구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담 연구 영역 이 성격 및 적응 연구 등 특정 주제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대상이 없는 논문 4편을 제외한 386편 중 100편(2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어 중등 60편(15%), 고등 55편(14%), 성인 46편 (11%), 대학생 37편(9%) 순이다. 연구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단일 연구대상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전체 390편 중 370편(95%)이 양적연구로 확연히 집중된 반면 질적연구는 18편(4%), 혼합연구는 2편(1%)에 그쳤다. 양적연구는 매해 90%를 넘는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질적연구가 소폭 늘었지만 2018년 최대 5편이 게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예 선택되지 않거나 한 해 1~2편 정도만 게재됐다. 넷째, 통계방법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이 증설된 초반에는 프로그램 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t검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후 변인 간 상관 및 인과 관계를 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방법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4년 이후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다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성과 통계방법의 변화는 상담현장에서 실제 과제를 풀어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상담학은 실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므로 보다 더 확대된 시선의 창의적 연구 노력이 앞으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explore academic identity. To this end, we have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research topic trend of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trend of the thesis on the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4. How is the statistical method trend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0 paper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995 to August 2020, when a master's thesis on counseling psychology was first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177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45%) were studied, followed by 108 performance studies (28%), and 45 career and aptitude studies (12%). All other studies appear to be less than 10%, confirming that counseling research area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pics such as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Second, 100 (25%) out of 386 papers, excluding 4 papers without subject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llowed by 60 middle and high schools (15 percent), 55 high schools (14 percent), 46 adults (11 percent) and 37 college students (9 percent). Except for cases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ubject, the lea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unselors in a single subject. Third, 370 (95%) of the total 390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tudies, while only 18 (4%) were conducted on qualitative studies and 2 (1%) on mixed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has maintained a ratio of more than 90% every year,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2015, but only one or two were selected or published a year except for up to five in 2018.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an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re-post-t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e program effects. Since 2014, we have shown the flow of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usa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change.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changes in statistical methods are interpreted as researchers' efforts to solve real challenges at the counseling site. Since counseling is a practical study, we hope that creative research efforts with a wider perspectiv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제주 성인문해교육의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오영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문해’는 단순히 문자를 해득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소통을 의미한다. 고등교육을 받은 대다수는 대화에서 소통의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그러므로 비문해자의 고통을 이해하기 힘들다. 비문해자들은 타인과 협동하기를 꺼리며 학습하기를 피한다. 2001년 유엔총회에서 2003-2012년을 ‘유엔 문해 10년’으로 정하고 문해가 모든 어린이 · 청소년 · 성인의 기본 생활 기능을 익히는데 핵심요소이며, 기초교육은 21세기 효과적인 사회 · 경제 참여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라고 규정했다. 세계인권선언에 명시되어 있는 교육 받을 권리를 박탈당한 수억 명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속한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없으며, 결국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문해 능력이란 자아실현임과 동시에 사회 참여의 기본 수단이다. 문해 능력은 모든 교육의 기본이며 인간 생활의 초석으로 인간의 성장, 사회 경제 발전, 민주주의 가치 실현의 기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학교교육을 받지 못한 성인들에 대한 제주 성인문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해교육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문해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성인문해교육의 문헌 연구와 제주의 주요 3개 문해교육기관의 기관장과 직원들을 대상으로 면담과 설문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문해교육기관에서 문해교육을 받고 있는 성인문해학습자들은 적절한 학습교재의 개발과 교수-학습 방안, 반복학습의 기회 제공, 정규과목 수업 이외의 특별 · 체험 활동 제공 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요구 실현을 위해 문해교육기관 간의 정보교류 미흡, 홍보 부족으로 인한 문해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제도적 지원체계 미흡, 예비성인문해학습자들의 접근성 부족, 정부기관의 문해교육에 대한 관심 부족 등의 저해 요인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력인정제도를 시행하는 기관의 확대, 제주지역 문해교육기관 종사자들의 기량을 높이기 위한 제주특별자치도 평생교육진흥원의 평생교육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평생교육 기회 및 정보제공, 종사자 전문연수 등을 제주 전 지역의 문해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확대하고, 2015년 출범한 제주특별자치도 문해교육협의회의 제주도내 성인문해교육기관 네트워크 협력 추진이 제주 성인 문해교육에 촉진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행 · 재정적 지원을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Literacy means communication with others, not simply deciphering letters. The majority of highly educated persons may have no difficulty with communication in conversation. It is therefore hard for them to understand illiterates' distress. Illiterates are reluctant to cooperate with others and try to avoid learning. The UN general meeting in 2001 designated the decade of 2003-2012 as the UN Literacy Decade and has defined that literacy is a key element in learning the fundamental living functions for all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and that basic educ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effective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in the 21st century. Hundreds of millions of people deprived of the right to education, as specifi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canno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ety and may ultimately fail to decide on their fate for themselves. Literacy is a fundamental means for self-realiz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t is not only the basis for every type of education but also the foundation for human growth,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realization of democratic values as the cornerstone for human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in Jeju who had failed to receive regular school education and to develop a plan for activating literacy education so that learners could be given effective literacy education.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concerning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in South Korea was performed and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directors and employees of three principal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in Jeju. The dat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dult learners receiving literacy education at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for adults required development of good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plans and wanted to be given chances for repetitive learning and special and experiential activities other than the classes for regular subjects. To meet these requirement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bstacles, including poor information exchange among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poor awareness of literacy education due to limited publicity, poor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poor accessibility of adult literacy learners-to-be, and limited interest of government agencies in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ursue systematic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o that expanding the institutions with the elementary education recognition system, building a system of cooperation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Institute to improve the ability of employees at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in Jeju, providing information and chances for lifelong education, expanding special training for employees to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out Jeju, and pursuing networking of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for adults in Jeju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Literacy Education Association can serve to facilitate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 제주어 교육을 위한 제주전래동요와 제주어창작국악동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초등학교 3~4학년 중심으로

        진성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제주어’는 제주 지역 전역에서 쓰는 제주인의 언어로 제주 사람의 삶과 문화가 응축되어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특히,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의 고유한 형태를 간직하고 있어 옛 국어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꼽히기도 한다. 하 지만, 오랜 시간 동안 제주어를 대신하여 표준어가 널리 쓰이면서 일상생활에서 제주어를 모르더라도 큰 지장이 없게 되어 60대 이상의 할아버지, 할머니를 제외 하곤 제주어를 사용하는 세대가 점점 줄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제주어’는 2010년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의 언어’ 5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되기도 했다. 이는 세대 간 소통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고, 제 주인의 삶이 응축된 문화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주사회에서는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다양한 노력 들이 요구되고 있다. 도내 예술인들이 제주어를 창작 활동에 활용하여 제주어 노 래 작곡, 제주어 시집과 동화책 발간 등 적극적인 노력들을 하고 있고,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주체로 중요하게 다뤄지는 교육기관은 ‘제주어 말하기 대회’와 ‘제주어 노래 대회’ 등을 개최하며 고군분투하고 있으나, 제주어교육과 관련된 연구물은 다른 연구물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며 이러한 노력들이 아이들의 입에서 자연스럽 게 제주어가 구사될 수 있도록 하는 데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고 있다. 프랑스와 미국, 중국 등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교육과정에 지역어를 포함한다 는 내용과 소수민족의 지역어 사용 등에 대해 규정한 법을 제정하여 지역어 보존 에 앞장서고 있고, 제주특별자치도 또한 제주어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여 다방면 에서 제주어 보존과 활용을 위해 애쓰고 있다. 언어가 사라진다는 것은 단순하게 언어유산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물이 생태계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나름대로 생활방식을 가 진 공동체 문화의 일부분을 잃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주어 보존은 제주인들 의 삶과 문화, 역사를 지켜내는 일이자 제주인의 정체성을 지키는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랫동안 제주 지역에서 전승되어져 온 제주전래동요와 최근에 새롭게 만들어진 제주어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제주어교육 방안을 연구 하여 제주어 보존과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2009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제주어교육 을 위한 시수를 확보하고 교과별 통합 재구성 방안을 마련하였다. 각 차시별로 제주전래동요와 제주어창작국악동요의 지도 방법으로 나만의 제주어 사전 만들 기, 역할극, 공동체 놀이, 경로당 방문을 통한 제주어 조사활동 등 다양한 활동 속에서 제주어 학습이 흥미 있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교과 외 시간을 이용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든 언어교육은 일상생활에서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기 위 해서는 단위학교 내에서 의도적으로 제주어를 말할 수 있는 구조적 시스템을 구 축할 필요가 있다. 충분한 중간놀이시간을 확보해주어 아이들이 제주어 노래를 부르며 신나게 놀 수 있도록 해주고, 제주어 동아리를 활성화하여 제주어를 활용 한 공연기획 및 제주어 문집 제작 등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어교육을 위한 제주전래동요와 제주어창작동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제시에 한정하였으므로 실제 수업 후 교육적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여건과 교사의 능력을 고려하여 제주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Jeju language is a language that Jejuian residents use across the entire Jeju Province in which Jejuian’s life and culture is condensed.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the Jeju language has retained the inherent form of Hangul since the creation of Hunminjongum and thus serves as important material in studying old Korean language. Throughout the years, however, as use of standard Korean language became widespread, being unable to speak in the Jeju Language is no longer an inconvenience for Jejuians. Except for seniors over 60, fewer and fewer Jejuians are using the Jeju language. As such, UNESCO added the Jeju language to its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as a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level four out of five in 2010. This indicate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hat a culture that contains Jejuian’s lives is disappearing. In light of this situation, Jeju society is being asked to put efforts to preserve and promote the use of the Jeju language. Jejuian artists are incorporating the Jeju language in their creative activities by composing songs and writing poems and children’s books utilizing the Jeju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are considered a principal agent in preserving the Jeju language are putting their best efforts by holding contests such as “Jeju Language Speaking Contest” and “Jeju Language Singing Contest.” However, research on the Jeju Language is inadequate compared to other topics of study and these efforts are not leading to children naturally speaking the Jeju language. Other countries such as Franc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leading the way in preserving regional dialects by including them in school curriculums and have enacted laws that regulate the use of regional dialect by minority group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nacted an ordinance that promotes use of the Jeju language and is striving to preserve and encourage use of the Jeju language. Extinction of a language doesn’t merely mean a loss of a linguistic legacy but just as all creatures on the face of the earth make up the ecosystem, it means losing a part of a culture of community that has its own unique way of life. As such, preserving the Jeju language is protecting the life, culture, and identity of Jejuians. Therefore, in order to help preserve the Jeju language, this essay researched education methods that utilize Jeju traditional songs that have been passed down over generation in the Jeju Region and newly composed creative children’s songs in Jeju language and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the essay analyzes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mended curriculum of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and presents a plan that incorporates Jeju language into other class subjects and secures class hours for Jeju language education. It presents a fun curriculum that includes activities such as making Jeju language dictionary, role playing, community games, and visiting senior citizens. Second, it presents a plan to utilize after school hour for Jeju language education. The objective of every language education is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daily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each school unit is encouraged to establish a structured system that promotes speaking the Jeju language. This research is limited to suggestions of education methods for Jeju language that utilize Jeju traditional songs and creative children’s songs in Jeju language. Therefore, objective assessments and experimentation of their educational effectiveness is required. Research on various curriculums for Jeju language considering school conditions and abilities of teacher is also needed.

      •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정 의도와 운영 결과

        문현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제주형 자율학교는 초등학교 5개교, 중학교 3개교, 고등학교 1개교로 총 9개 학교가 지정되어 2007년 3월 1일에 처음 등장하여 2009년 2월 28일까지 2년간 시범 운영 되었다. 그리고 처음 지정되었던 학교들을 포함하여 총 24개교로 확대된 제2기 제주형 자율학교는 2009년 3월 1일에 운영을 시작했고 2011년 2월 28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2006)의 제주형 자율학교(i-좋은학교)지정․운영 세부 계획에 따르면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정 의도는 과대 학교 및 과밀 학급 해소 및 도내 지역간 균형 발전, 국제자유도시에 걸맞은 외국어교육 및 국제이해교육 기반 구축, 교육과정 및 학교경영의 자율권 부여로 특성화된 학교 조성, 국제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제주지역의 차별화된 교육인프라 구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가 자율학교 본래의 지정 의도를 얼마나 구현하고 있는지, 구현하고 있지 못하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즉, 제주형 자율학교가 지정 의도를 구현하지 못한 원인에 대해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의 사회적 배경은 무엇인가?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에 영향을 미친 교육적․사회적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 정책의 의도는 무엇인가?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어떠한 의도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를 지정, 행․재정적 지원을 했는가? 셋째,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 정책의 운영 결과는 어떠한가? 정책의 의도대로 소기의 성과를 갖고 왔는가? 만일 그렇지 못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단위학교의 자율과 책임을 강조하는 외국의 사례, 국내 학교 자율화 정책, 제주형 자율학교의 특징 및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의 정책적 의도를 알아 보았으며, 제주형 자율학교의 운영 결과를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제주형 자율학교 담당 장학사와 제주형 자율학교의 교원,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제주형 자율학교의 운영은 지정 의도에 미흡했다. 도심 공동화 학교와 소규모 학교의 학생 수 증가가 미흡했고 외국어 교육은 영어와 중국어에 한정되었으며 교육과정과 학생선발, 교원인사에서 단위학교의 자율권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였다. 더불어, 재정지원의 감소로 차별화된 교육 인프라 구축에 부족함이 있었다. 이러한 미흡한 결과가 나타나는 각각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제주형 자율학교의 학생 수 증가추세 완화 또는 감축 원인은 첫째, 제주형 자율학교 교육프로그램의 특성화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 교장이 자율학교 운영에 대한 마인드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제주형 자율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이 영어와 중국어 일부에 한정되어 있는 원인은 첫째, 단위학교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자율적 편성 경험이 부재하고 상향식(bottom-up)의 교원 주도의 교육과정 편성이라는 학교문화가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둘째, 영어를 강조하는 중앙 정부의 정책을 쫓아갈 뿐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닌 지정학적 특징(일본, 중국과 교류의 중심)을 구현해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셋째, 제주지역 교원들이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사회중심으로 인근 국가간 교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제주형 자율학교가 자율학교로서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원인은 첫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도내 모든 초등학교에 일괄적용하는 학력평가 때문이다.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의 근무 교사들이 증가된 수업 시수와 업무량으로 인해 수업과 업무에 대해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보상이 미흡했기 때문이다. 한편, 인사상에서 자율성이 발휘되지 못하는 원인은 보수적인 교원인사문화풍토 때문이다.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재정지원의 대폭 감축 원인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제2기 제주형 자율학교 지정 수를 확대시켰고 제1기 제주형 자율학교의 운영과 평가에 비추어 제1기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원액이 과도했다는 당국의 판단 때문이다. 이상으로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정 의도와 운영 결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형 자율학교라는 바람직한 방향의 교육정책이라 할지라도 이를 지원할 사회적 조건이 마련되지 않았을 때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없다.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 교육정책을 지원하는 사회적 조건의 하나로서 그 교육정책 추진 관련 행위자들의 교육주체에 대한 재인식, 개방적 세계관, ‘유기적’ 평등관에 바탕을 둔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이 요구된다. 특히 폭 넓은 인재 등용을 위해 보다 개방적인 교원인사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제주형 자율학교 추진에 적합한 학교 내 그리고 교육청 내 상향식 의사결정구조와 상향식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는 교원들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차별적 학교평가 제도 및 충분한 재원 마련 등의 사회구조적 조건들이 요구된다. 특히 제주형 자율학교의 꾸준한 지정과 예산지원 등 일관된 정책으로 교원, 학생, 학부모들의 신뢰를 유지해야 한다. Jeju self‐governing schools, which included 5 elementary schools, 3 middle schools and 1 high school, were designated first on March 1, 2007 and had been operated demonstratively for 2 years until February 28, 2009. In the 2nd term, a total of 24 Jeju self‐governing schools including the schools designated first started their operation on March 1, 2009 and will end the operation on February 28, 2011. According to Jeju self‐governing school (i‐good school) designation and operation plan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2006), the design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large‐size or overcrowded classes,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among areas within the province, to lay the base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well‐matched with the province’s status as an international free city, to foster specialized schools through giving autonomy in curriculums and school administration, and to construct differentiated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the Jeju area for creating internationalized edu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how much the original intentions of designating self‐governing schools have been implemented by Jeju self‐governing school and, if they have not been implemented, what the causes of failure are. That is, this study attempted sociological analysis on why the intentions of designating Jeju self‐governing schools could not be implemented and, for this, we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ocial background of ‘design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What are educational and 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design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Second, what is the intention of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policy? With what intention di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its Office of Education designate Jeju‐style self‐governing schools an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Third, what are the results of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policy? Have the policy produced results as it intended? If not, what are the causes of the failure?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based on foreign and domestic cases of school self‐governing policies that emphasize individual school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nd investigated the intentions of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policy. In addition, w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by interviewing school supervisors in charg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at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adequate implementation of the intentions of Jeju‐style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was caused by factors as follows. The reason for the slow increase or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t Jeju self‐governing schools was, first, that the characterization of education programs at Jeju self‐governing schools was not evident. Second, the principal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did not have a clear mind for the operation of self‐governing school. Thir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shrank it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Jeju self‐governing schools. The reason for the confinement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characterization programs to English and Chinese was, first, that individual schools did not have experience in autonomous organization of curriculums and there was no school culture of bottom‐up curriculum development led by field teachers. Second, only following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emphasizing English, the program failed to reflect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the center for exchange with Japan and China. Third, teachers in the Jeju area were not aware of the local community’s potential for exchange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The reason that Jeju self‐governing schools failed to enjoy their autonomy in curriculums was, first, that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applied a uniform scholastic ability test to all elementary schools in the province. Second, teachers at Jeju self‐governing schools felt burdened with increased class hours and workload but without compensations for that.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that autonomy in personnel management was not exercised was the conservative culture of teacher personnel management. The reason for the marked reduction of financial support to Jeju self‐governing schools was that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expanded the number of designated Jeju‐style self‐governing schools in the 2nd term, and based on the results of operation and valuation of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the 1st term, the Office of Education judged that the amount of subsidy to the self‐governing schools in the 1st term had been excess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bove,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designation and the results of operation of the schoo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if the educational policy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is desirable, it cannot bring successful results without social conditions for supporting the policy. Second, one of social conditions for supporting the educational policy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is involved parties’ understanding of and consensus on Jeju self‐governing school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educational subjects, open view of the world, and ‘organic’ view of equity.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foster open culture of teacher personnel management in order to recruit a wide variety of talented people. Third, in order to induce bottom‐up decision making structure in the school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for promoting Jeju‐style self‐governing schools, we need to meet socio‐structural conditions such as incentives for teachers, differentiated school evaluation system, and sufficient fund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win the confidence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rough consistent policies in terms of the designation of self‐governing schools, budget support, etc.

      • 어린이를 위한 박물관 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지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Today, the museum has been changed from the ‘exhibition-oriented' concept through its collections and exhibits to the concept of ‘experience' and ‘education' that would satisfy the five senses of visitors by direct touching and feeling. In some developed countries, museum education has been a widely accepted phenomenon and they have had about 100 years to do so; however, it has been about 10 years to conduct museum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some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re have recently been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rom national, public and private museums and art galleries. Thanks to the 5-day work week, people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the utilization of weekend spare time and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visited cultural art organizations such as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ir interest in education and cultural events operated by museums and art galleri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useum education for children that could enhance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visual & cognitive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n our history and culture among the educational programs of museums that have been held for various classes of people. Through the educational ideology appropriate to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al depart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ampl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at activated children's education and attempted to use their results as the data for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activation methods of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s in Jeju National Museum and the archeological & historical museums in Jeju area.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methods of activating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s in Jeju National Museum were suggested as in the following. First, for Jeju National Museum that has currently the dualistic department structure with management division and curatorial office, it would be urgent to arrange an additional education department and build up an appropriate educational system through the allocation of professional staff educators for museum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Second, the current children's educational program of Jeju National Museum has been operated in a relatively limited way due to the absence of professional staff as mention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al programs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other areas have been very diverse and consistently developed and the attempt to settl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has been made and the situations have been somewhat different from Jeju area. In order to narrow such differences and provide more children with th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and learn history and culture through museum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such as the integrated appreciation program utilizing museum's collection and exhibit, school-linked program,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al program linked wi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center and special exhibition, educational program for alienated class, etc. Third, Jeju National Museum should be the center for developing regional culture and needs to exchange educational information through organic networks with culture-based facilities such as museums, art galleries, schools and libraries in Jeju; in doing so, it should find out methods to enhance the opportunities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with various themes and forms for more people in Jeju. Fourth,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that could educate lecturers with teaching & learning ability appropriate to children. The museum should play a main role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other than the educators who are suppo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it would be also important to build up the database that could manage them systematically. Fifth, it would be important to ensure the space for professional education that could gradually expand exhibitions and space for children and accommodate educations with various classes such as adolescents, adults and the elderly as well as children to comply with visitors' various demands. In order to conduct this, it would be urgently necessary to make efforts such as ensuring the appropriate accommodation for social education center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long with national museums and conducting a feasibility study.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methods to activate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ren in Jeju National Museum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as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ethods will be reflected appropriately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s for children in Jeju National Museum and its application process in the future. 오늘날의 박물관은 소장품과 전시물을 통한 관람으로 이루어지는 ‘전시’ 위주의 개념에서 직접 만지고 보고 느낄 수 있는 오감을 만족하는 ‘체험’과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이념이 자리 잡고 있다. 국외의 경우는 박물관 교육이 이미 보편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100여년의 긴 역사를 자랑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는 미미하나마 약 10년 전부터 일부 박물관·미술관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오다, 최근 들어서는 국·공·사립 박물관·미술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을 선보이고 있다. 주5일근무제의 정착으로 인해 주말 여가 활용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예술기관인 박물관·미술관을 찾는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으며, 교육계 주5일 수업제의 실시와 함께 박물관·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문화행사에 대한 관심도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중 어린이들에게 비판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고, 시·지각 능력을 향상시키며,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어린이를 위한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박물관·미술관에 부합하는 교육이념과 전문적인 교육부서 운영을 통해 어린이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국내·외의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현재 제주지역의 고고·역사박물관인 국립제주박물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발전적인 방향과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준거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를 토대로 국립제주박물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관리과, 학예연구실로 이원화된 부서구조를 가지고 있는 국립제주박물관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을 위해서는 별도의 교육전문부서를 편제하고 박물관 교육 전문 인력인 에듀케이터(Educator) 배치를 통해 제대로 된 교육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이 시급하다. 둘째, 국립제주박물관의 현재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은 위에서 언급한 인력의 부재로 인해 비교적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반면 타 지역 박물관·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들은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을 거듭하면서 교육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해오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제주지역과는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편차를 좁혀나가고 보다 많은 어린이들이 박물관을 통해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의 소장품 및 전시물을 활용한 통합적 감상프로그램, 학교연계 프로그램, 웹 기반 교육프로그램, 전문 교육 연구소 연계 교육프로그램, 특별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 다양한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국립제주박물관이 중심축이 되어 제주도내 박물관·미술관 및 학교, 도서관과 같은 문화기반 시설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교육 정보를 교류함으로써 다양한 주제와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을 보다 많은 지역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해나가야 한다. 넷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하는 에듀케이터 외에 실질적으로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주된 역할을 담당하면서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교수 학습 능력을 지닌 강사를 발굴하고 양성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어린이를 위한 전시, 체험공간을 점차 확충해나가고 관람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어린이를 비롯한 청소년, 성인, 노인 등 계층을 다양화한 교육을 수용할 수 있는 전문 교육 공간 확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건립되고 있는 사회교육관 신설을 위한 부지 확보 및 타당성 조사 등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위와 같이 국내·외의 사례를 통해 현재 국립제주박물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여러 방안들이 일회성 논의로만 끝날 것이 아니라 향후 국립제주박물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적절히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수리논술 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 주요 사립대학의 수리논술고사 분석을 중심으로

        양은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발표에 따른 2016학년도 대학 모집인원, 수시전형 모집인원 논술고사 실시대학과 논술고사 반영비율, 수능자격 기준, 특정대학의 논술성적 편차 등의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울 소재의 주요 사립대학들 가운데 5개 대학인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를 선정하여 201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최근 3년간 이들 5개 대학 수리 논술고사의 논제 유형과 과목(영역)별, 단원별, 빈도수와 난이도, 대학별 출제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3년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독서·논술학교에서 실시한 수리논술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리논술 교육에서 실시한 진단평가, 실전모의고사 문제를 관련과목, 관련단원, 출제형태, 난이도, 단원별 출제빈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주요 대학의 수리논술 문제 출제빈도와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수리논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이고 행·재정적 지원방안과 대책을 제언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리논술 교육에 대한 수학교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도 자세히 제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나 일선 학교에서는 수리논술 교육의 방향과 활성화 방안, 그리고 학교 수리논술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과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아울러 수학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수리논술 교육을 위해 방향 설정과 지도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2016 university applicant numbers, nonscheduled admission applicant numbers, reflection rate of essay test, qualification standard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score deviation of essay test in specific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ve major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such as Korea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are selected, and their topics for mathematical essay test and the features of test in the past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based on subject type, unit type, frequency of use, level of difficulty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mathematical essay conducted by ‘Reading and Essay School’ progra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analyzed, In the diagnostic test for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mock test for real SAT, not only related subjects, related units, examination question trends, level of difficulty, the frequency of units are analyzed and its results are also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questions in major universities mathematical essay te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lan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vitalizing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for math teachers who want to teach math essay test in schol should be also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math teachers build effective math essay teaching plan as well as they would be practical and helpful in establishing math essay education plan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school math essay education.

      •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 연구 : 제주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

        고홍자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지역의 문화는 해당지역의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전통적 기반 위에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것이다. 문화와 전통은 지역주민들이 오랜 세월 동안에 축적해 온 생활양식과 의식구조 등을 반영한 결과로서, 과거와 현재 나아가 미래를 일관하는 지역적 특성 혹은 공동체 의식으로 자리잡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전통과 문화를 올바르고 가치 있게 이해하고 재창조하는 노력은 곧 현대의 문화활동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역주민들이 문화활동의 일환으로서 혹은 학교교육과 관련된 사회과 학습이나 역사학습에 중점을 두고 박물관을 찾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마다 학생들에게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동시에 그 가치를 이해시키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학교에서 행해지는 수업내용의 일부를 보충하거나 정해진 횟수의 현장학습을 소화하는 정도에 그치는, 그야말로 아주 소극적인 차원에서 박물관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학교교육의 현실을 개선해 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전통과 문화의 산실인 지역 박물관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전통문화에 대하여 친근감을 가지고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논의의 흐름은, ① 초등 사회과와 지역 박물관 학습과의 관련성 ② 제주교육박물관의 현황과 박물관 학습 ③ 제주교육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의 제시 라는 세 가지 대주제를 토대로 하여 전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은 개별화 과제 선택학습, 소집단 주제 협동학습, 박물관 현장학습의 세 가지 형태로 구안하여 접근하였으며, 지역 박물관의 사례로서는 ‘제주교육박물관’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핵심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와 지역 박물관 학습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제주도에서는 사회과 교과서의 단원 중 ‘경제’와 ‘정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단원이 지역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여러 가지 자료와 깊게 관련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이 지역 박물관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습할 단원과 지역 박물관의 자료(인쇄자료), 전시물, 학습방법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개한다면, 결과적으로 사회과의 학습능력이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는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둘째, 제주지역의 박물관은 제주의 특수한 자연환경을 이용했던 생활모습과 전통적인 문화양식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시물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고장생활의 변천이나 지역의 역사 및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학습주제를 소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제주교육박물관은 교육전문 박물관으로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아주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시형태와 전시물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습활동을 하는 데는 비교적 좋은 환경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셋째,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제주교육박물관 현장학습 방안은 학습형태별로 검토·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개별화 과제 선택학습 방안은 학습능력, 학습속도 및 흥미도에 따라 스스로 학습내용과 박물관 유물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매우 유효하였다. 나. 소집단 주제 협동학습 방안은 학생들이 박물관 전시물을 활용한 학습주제를 함께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한층 더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었다. 다. 박물관 현장학습은 교사의 주도 하에 개별적으로 또는 소집단끼리 박물관 현장학습을 실시한 후에, 여러 가지 체험활동을 다양한 표현방법에 의해 다가서는 학습방법이 훨씬 창의적이었으며, 동시에 기존의 학습방법에 비하여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도 보다 효율적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사회과에서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은 전통문화와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고 안목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박물관의 전시물이나 자료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현장학습을 시행한다면, 지역의 전통문화와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변화를 이끌어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이 학교교실과 연계되어 살아있는 현장수업으로 대체할 수 있는 학습기회를 교사 스스로가 많이 만들어야 한다. 둘째, 초등 사회과 학습은 교과 특성상 교과서 중심의 학습을 과감히 탈피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사들은 수업현장을 교실 밖이나 학교 밖으로 자주 옮기려는 기본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박물관에서는 학생들의 학교수업과 관련하여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자료나 인쇄 자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가능하다면 학생들이 실제로 체험하거나 시연해 볼 수 있는 학습공간(장소)이 갖추어져야만 보다 효율적인 박물관 학습이 실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박물관의 구조나 전시물을 중심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이나 안내를 해 줄 있는 교육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Local culture can be developed, based on a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effort to understand and create the tradition and culture can be placed on the modern literary activity. Nowadays museums are frequently visited, for educational purpose, social study or history. However, in the real situation, museums are visited only for the passive purposes of supporting classes or field tr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reality of school education by helping children feel enthusiastic and take interest in local culture which they are unfamiliar with through local museums. The major top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ocial study and local museums ■ design of program for field trip to museums ■ suggestions of learning methods through Jeju Educational Museum The main learning methods through local museums, designed in this study, include individual assignment work, cooperative learning by small groups and field trips to museums. Jeju Educational Museum is selected as an example.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rranged as follow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ocial study and local museums is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at almost all the lesson units except "economics" and "politics" have deep relationships with the materials owned by local museums. Secondly, it can be said that the museums in Jeju represent a life style of overcoming difficulties with natural environment and the traditional cultural style. And the various exhibits can be sai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and the learning subjects related with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mmunity. Lastly, the method of practical use of Jeju Educational Museum is surveyed and analyzed, based on the third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 individual choice of assignment work is very effective by letting students choose their own assignment task according to students' own interest, ability and development. B. The cooperative study by small groups can be more effective by letting students solve problems cooperatively through the exhibits. C. The practice of field trips should be put into by individuals or small groups under the control of teachers so that students can approach and understand the subjects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At the same time this method is much more effective than existing ones. In summary, learning methods in elementary social study through local museums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local culture and the community, widening students' judgement. Therefore, the effective use of the exhibits or materials in local museums can be expected to bring us a good result in the change of cognition of the community. Th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re opportunities to use local museums should be given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classroom education. Secondly, the learning method centered by textbooks should be avo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eachers should try to give students more opportunities for field trips. Lastly, local museums should provide visitors with as many exhibits and printed materials as possible. If possible, they should provide visitors with experiencing places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and try the traditional culture they acquired. Especially some experts who can give elementary schoolers explanations of the exhibits and guidance should be provided.

      • 제주특별자치도 영어교육 및 외국어 정책에 대한 공무원 인식 연구

        강승훈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영어가 국제어(international language) 또는 세계어(global language)로서 국제사 회에서 의사소통의 기준으로 특별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 따라 영어 능력이 곧 국 제경쟁력을 갖추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외국어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공무원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차원에서 영어 등 외국어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영어교육 및 외국어 정책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공무원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제주특별자치도 영어 및 외국어 정책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 문은 영어 및 외국어에 대한 태도와 인식 8문항, 공무원 영어교육 프로그램 실태 12문항, 제주특별자치도 영어 및 외국어 정책 16문항 등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및 외국어에 대한 태도, 인식과 관련하여서는 제주특별자치도 공무 원들은 국제어(international language) 또는 세계어(global language)로서 특별한 역할을 하고 있는 영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업무 추진과정에서는 영어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지 못하고 있다. 둘째, 공무원 영어교육 프로그램 실태와 관련하여서는 전반적인 영어교육 프로 그램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편이며, 특히 장기영어과정에 대해서 만족도가 높았 다. 그러나 교육내용에 있어서 ESP 반영, 직장 내 영어교육 확대 등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 셋째, 제주특별자치도 영어 및 외국어 정책과 관련하여서는 국제자유도시 종합 계획 등 주요계획에 외국어를 포함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전반적인 언어정책이 구 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영어 경쟁력은 강화될 필 요가 있으며,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분야는 관광산업분야와 공무원을 비롯한 공 공분야이다. 영어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제주 전역에서 영어가 널리 사용되는 영 어 상용화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공무원 영어교육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제도적 측면으로 외국어 우수 공무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이다. 구체적 인 예로 승진 시 가점 확대, 외국어 수당 등의 지급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외 에도 외국어 교육담당자의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교육실무 등의 교육 이수, 일정 기간 전보 제한 등이 필요하다. 또한 공무원 영어 전문가 양성 관련, 6급 장기영 어과정 수료자 등 영어 실력이 우수한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영어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부서 발령 등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 측면과 관련하여, 프로그램 내용 구성과 교재 제작 시 제주특별 자치도의 지역적 특수성, 공무원이라는 직업적 특수성을 고려한 ESP의 반영이 필 요하다. 또한 현재 6급 공무원으로 한정하고 있는 장기영어과정의 교육 대상자를 확대해야 한다. 이외에도 직장 내 영어교육의 확대, 수요조사 체계 강화, 사이버 교육 관련 개선이 필요하다. 제주특별자치도 영어 및 외국어 정책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어 상용화 정책의 중단 없는 추진이다. 영어교육도시와 연계하여 연 간 계획 수립 및 점검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제주 지역 언론 및 방송 영어 서비스 환경이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 충분하다고는 볼 수 없다. 도내 방송사 등 언론사와의 협력을 통한 영어 서비스환경의 지속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외국어는 언어경관(linguistic landscape)으로서 관광지 안내 표지판, 도로 표지판 등에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주변경관과 어울리고 안내 표기 등에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도민 대상 영어교육 시 ESP를 반영한 수준별, 직종별 영어교육의 확대 가 필요하며, 또한 기관별 상호 연계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강화 할 필요가 있다. English is considered a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national power since it plays a special role in the world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or a global language. Jeju local government pursues various foreign language policies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and educates its officials with foreign language teaching programs. Enhancing officials’ English abilities is crucial in terms of local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of English teaching programs and foreign language policie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English teaching programs and foreign language policies in Jeju.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a total of 260 public officials of the local government were selected for questionnaire-based survey. Thirty-six questionnaire items were us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offic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public officials of Jeju local government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or a global language but they did not feel the importance in their workplace.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the officials were satisfied with English teaching programs of the local government but the government ha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roblems of the programs including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The officials were interested in a long-term English program that lasts a year. Third, it indicated that general language policies of Jeju should be included into major plans lik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Plan. Jeju local government should build up its English competitiveness such as tourism industry and public sector. To reinforce English competitiveness, the government should execute policy of common use of English in everyday life in Jeju.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English teaching programs for public servants and language policies a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offer officials practical incentives for their English learning. Practical incentives such as promotion advantages and salary increases can be offered to official who are very proficient at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The local government should prepare programs for officials who are in charg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their expertise. The government should also give opportunities to officials who are good at English to work for departments which need English. Second, teaching programs should include ESP which meets the needs and interests of public officials. A long-term program for the 6th officials should be open to lower graders. Third, the use of English on tourism signs and streets signs as linguistic landscapes should be unified. Fourth, ESP should be considered into English teaching programs tailed to meet the needs and request of citizens.

      • 제주 전래동화를 활용한 도덕과 학습지도 방안 : 초등학교 4학년생을 대상으로

        김선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주 전래동화를 도덕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그 의의를 밝히고, 초등학교 도덕과 학습지도에 활용하기 위한 자료를 개발하고 그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구안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아동들이 도덕성 함양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현행 교과서의 내용과 조직이 아동들의 도덕적 사고를 증진할 수 있는 논의거리로서 부적합하고,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사용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제주 전래동화의 활용은 매우 바람직하다. 제주 전래동화는 아동들로 하여금 조상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을 간접 경험하게 하고, 합리적인 도덕적 근원을 발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아동들의 도덕성을 함양케 해 주는 훌륭한 교육자료이다. 제주 전래동화는 아동들에게 도덕적 통합성과 도덕적 사고능력 함양, 도덕적 판단력을 기를 수 있게 하는 도덕교육적 기능이 있다. 특히 제주 전래동화의 주인공은 일상적인 평범한 인간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자기 앞에 닥친 고난이나 불행에 좌절하지 않고 이들과 싸워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고 행복을 얻는 이야기가 대부분이어서 아동들에게 좋은 교육자료가 될 수 있다. 제주 전래동화의 도덕과 학습자료화를 위한 제주 전래동화 선정의 기준에는 지도의 용이성, 도덕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적합성, 교과 지도와의 관련성을 적용하였으며 그 절차는 교육과정의 분석, 제재별 지도 요소 추출, 제주 전래동화의 분석 과정을 거쳐 학습자료를 목록화하였다. 제주 전래동화 자료를 활용한 초등학교 도덕과 학습지도 방안 구안을 위하여 단계별 지도는 블름(Bloom)의 교육목표 분류 5단계를 적용하여 제시하였으며, 제주 전래동화를 활용한 도덕과 일반 학습과정안을 구안하였다. 제주 전래동화는 현재까지 채록된 자료를 대상으로 중복된 내용을 고려하여 1차적으로 62편을 가려내고, 이를 도덕과 지도 요소에 근거하여 도덕적 행동을 중심으로 12편을 최종 선정하여 교과 단원과 연계하여 목록화하였다. 도덕과 수업모형 중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수업이 가능한 모형은 가치 명료화 수업모형, 역할놀이 수업모형, 토론 수업모형으로 나타났으며, 가치갈등 수업모형, 집단탐구 수업모형, 개념분석 이론 모형들은 초등학교 4학년 단계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전래동화를 활용한 도덕과 학습의 실제에서 초등학교에서 흔히 적용되고 있는 학습모형인 토의학습과 역할놀이 학습을 중심으로 그 학습의 실제를 제시함에 있어서 토의 학습의 전개를 위한 적용 제재를 추출하여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토의 학습 지도 과정안과 역할놀이 학습지도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결국 제주 전래동화는 어린이들에게 교육적으로 가치판단 능력을 길러주고 제주 선인들의 정신을 이어받을 수 있는 도덕과 교육자료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도덕과 수업에서의 제주 전래동화의 활용은 어린이들의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traditional fairy tale to the learning of the moral subject. As the educational system connected with home and society has not been constructed yet, the educational goal can not be achieved just with the education of the moral subject of primary school these days. Since the traditional fairy tale informs the contents appropriate to the educational goal in which a speaker and a learner are at the same time and the same place, it is suitable for the morality education of children. Selecting the content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4th grade students among the collected date until now, the learning material applicable to the learning of the moral subject was made. The respect of life took up the most part. Also applying the 5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 of Bloom to the class, teaching model was made Usually after examining the contents of traditional fairy tale and concerning about the character and events, children did the evaluation of them. It makes children judge the good and evil of character and right sense of value through the discussion with children. The traditional fairy tale handing down from the place where children live has the educational value of ancestor on the descendants. so the teaching of the moral subject using it is necessary.

      •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의 제작과 활용

        송미혜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제주교육인터넷방송국의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인터넷교육방송 수업을 활용하였을 때 수학적인 성향과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학생들이 인터넷교육방송 수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할 것인가? 2.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수업을 활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과 학습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인가? 위의 연구 문제의 분석을 위하여 제주교육인터넷방송의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수업 제작에 참여한 애월중학교 3학년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1. <연구문제 1>의 분석을 위한 내용 1) 중학교 3학년 수학교과서를 분석하고 주요내용을 추출한 후 수준별 교수-학습 과정안과 수준별 학습자료를 제작, 활용하였다. 2) 본 연구자는 제주교육인터넷방송 중학교 3학년 수학과 학교현장 수업 제작에 강사로 참여하였고 애월중학교 3학년 75명의 학생이 촬영에 임하였다. 2. <연구문제 2>의 분석을 위한 내용 1) 교육과정 분석, 교재연구, 컨텐츠 분석, 사전시청, 활용방법을 결정하여 수업 자료를 교재화하여 수준별 수업에 활용하였다. 2)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 중 보충과정의 강좌를 재구성하여 특별보충수업에 활용하였다. 3) 수준별 학습지를 재구성하여 수준별 보충수업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제주교육인터넷방송에 대한 인지도를 사전, 사후 검사하였고, 수학교과에 대한 성향과 수학과 학습태도를 사전, 사후 검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인터넷 교육방송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수학적 성향과 수학과 학습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at the 3rd 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who taken part in producing the school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have the change of their recognition about internet broadcasting class, and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their learning attitude and mathematical inclination, in applying internet broadcasting class. For this, the study is as follows: 1. Will the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taken part in the school spot class product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change their recognition about internet broadcasting class? 2. Applying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class, can a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students be changed as an affirmative one? In order to analyze the above study problem, I investigated 3rd grade students of the Ae-wol middle school taken part in producing the school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1. The contents for analysis of "study problem 1" 1) After the analysis and abstract of 3rd grade textbook of the middle school, I produced and used differenti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2) I took part in producing the mathematics subject spot class of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as a mathematics instructor, and 3rd grade 75 students of Ae-weol middle school were involved in that class. 2. The contents for analysis of "study problem 2" 1) After the decision of curriculum analysis, teaching material study, contents analysis, watching in advance, and using method, I used differentiated class materials for teaching. 2) I used a special supplementary lessons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special course during the Internet broadcasting class. 3) I used a differentiated supplementary lessons after the reconstruction of the differentiated study book. The results analysis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the sense of recognition about Jeju Educational Webcasting Network in advance and afterward, and compared and analyzed an inclination about a mathematical subject and learning attitude in advance and afterwar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verification from this study, I concluded that it was brought to an affirmative change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Internet broadcasting class as well as an mathematical inclina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mathematics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