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심 재생을 위한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 연구 : 동국대학교 필동 캠퍼스를 중심으로

        이욱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도심에 위치한 대학교가 지역사회 커뮤니티, 행정관청, 민간자본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하여 캠퍼스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도심 재활성화의 거점으로 작용하는 캠퍼스와 지역사회 통합 타당성에 관한 연구이다. 대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직주분리현상, 도시 외곽지역의 신 주거지 개발에 따른 도시인구의 유출, 도심지역의 높은 지가로 인한 일부 도심기능의 이유로 주거인구 공동화가 도시문제로 진행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거울 강남지역으로 충추관리기능의 계획적 이전과 고밀도 공동주택의 집중적인 개발·공급으로 구도심을 포함한 서울 강북지역의 업무와 인구 공동화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한 서울은 강남·북 지역의 불균형 성장은 강남지역으로의 도시기능 집중에 따라 토지의 비효율적 이용과 주거환경, 교육여건, 생활편의시설 등 시민 생활 여러 분야의 지역간 격차를 심화시켜 강북지역 시민의 상대적 소외감이 증대하고 결국 시민화합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강북지역에 소재지를 둔 31개 대학교를 검점으로 상대적 개발 소외지역을 활성화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강남·북 지역간 불균형 성장문제 해결을 제안한다. 대학교 캠퍼스는 젊고 활력 있는 인구와 다양한 교육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동반성장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기능재생이 가능함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은 서울 구도심에 위치하며 도심 공동화 현상과 개발 소외지로 인한 도시문제가 상존하는 동국대학교 필동캠퍼스 주변지역에 캠퍼스 기숙시설을 연계시켜 지역사회와 캠퍼스의 동반성장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재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대학교 기숙시설은 캠퍼스 인구 일과 활동의 시작과 마무리를 제공하는 장소이며 일과이후 휴식과 학습, 문화 활동 등 자기계발 활동의 구심점으로 작용하는 공간이다. 즉 기숙시설 프로그램은 캠퍼스 인구 활동이 지속·고밀도로 일어나는 활동의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숙시설이 지역사회 커뮤니티의 동의를 얻고 행정관청과 민간자본의 지원으로 낙후된 거중환경 지역에 개발되는 것은 캠퍼스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주변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며 젊고 활력 있는 인구를 지역사회에 확보하는 것으로 비활성화 된 도심 캠퍼스 지역의 기능을 재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about propriety of university campus which makes be a base of downtown re-activation from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and improves campus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When metropolis grow up, slum become an urban problem because the phenomenon of occupation-residence separation, exodus of urban population from new residential area in outside of metropolis and the high price of land in downtown. Especially, after 1970s, moving main administration function to the south of Han River on purpose, development and supply of high-density apartment house make the north of Han River slum of business and population. Urban function concentration of the south of Han River makes disproportion growth of Seoul and deepens loc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According to this result, citizen live in the north of Han River increase a sense of alienation and finally it makes be a factor that disturb urban harmonization of Seoul. This research propose the solution of unbalanced development of the south and north of Han river and slum from revitalization of development neglect area based on 31 universities campus located in the north of Han River. Because of influence of young and energetic people and various educa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in university,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restore of urban downtown function both university and local society. Especially, this thesis focus on re-activation method from connection old downtown with campus residence facility located in neighbor area of the Dongguk University Pildong campus which undergo urban problem from coexistence of slum and development neglect. Campus residential facility is an area offered to start and finish of campus life and acted to central space of rest and education, cultural activity and self-development for population of campus. So, we can think that residential facility program is a center area of campus activity with continuity and high density. Accordingly, development of this residential facility with agreement and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government office and private capital in falling behind area makes campus and downtown improve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f campu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ighbor and gets an energetic and young popul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for restoration of area.

      • 중등학교 생물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교과과정의 관련성 분석

        나기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nd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s of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re based on the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refore the curriculums should consist of contents covering overall courses of study in secondary school, which would be fundamental for students to study i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This study is about whether the questions in current Teachers' Appointment correspond well to requirements in the curriculums. In this study, I used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address these questions as follow: First, I analyzed all the questions in biology Teachers' Appointment given last 5 years from 2003 to 2007. Second, I analyzed 6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are represented each province. Third, I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questions and curriculums and studied how to improve the teachers' appointment in the future. When the questions in biology were analyzed, the number of questions were not enough to cover all the contents suggested in the 7th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questions were not related to the modern environmental biology and biotechnology. In conclus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develop unique curriculum for biology major because it aims at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curriculums should be standardized to be connected with secondary school of biology. Teachers have great responsibility which they must develop future leaders who lead our society.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we select right people for the position.

      • 私立學校 不動産 管理 및 活用方案에 관한 硏究 : 學校法人 東國學園의 收益用財産을 中心으로

        김봉주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23

        Korean private universities are struggling hard to build financial strength to which has not been paid enough attention in the history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and now become the first priority facing many universities for surviving fast changing and competetive new environment. Although still most of them are dependent heavily on students tuitions, some advancing universities are seeking new outlets to releave their financial burden by raising fund or renting their lands and buildings. As far as land using is concerned, they are not good enough yet at using their own real estates to the most of its value which have been all the time since ever on top of their asset list, because of its own character as land and universities' lack of ability to manage. The goal of this study is find out how Dongguk Educational Foundation(DEF) has been doing about this area and seeking, if any, good ways to overcome this common problem in Korean universities. I picked out DEF as a case study because it has the largest land as school asset in Korea and I have easy access to its materials as a worker of Dongguk University, a affiliate college of DEF. Through my study I have come to know that DEF's land asset and its history of gaining is very much related with to Buddhist Choge Order, the largest Order of Korean Buddhism. Through donations, mergers, and exchanges with help of Choge Order, DEF got to come by 90% of its whole land and purchased only 10% of it. Second, profitable real estate is 48,465,281㎡ out of which 99.8% is Forests and Fields and only 0.2% is composed of Ordinary Fields, Rice Fields, and Building Sites. The location of them by the order of its size is Chunnam, Kangwon, Kyunggi, Kyungnam, Kyungbuk, Chunbuk, Seoul, and Pusan. Third, whereas only 7% of the whole real estate is used for renting and experimental forest, the rest of it which is almost all located in remote mountainous regions is very rarely taken care of. Fourth, I got issued all 'Land Use Planning(토지이용계획확인원)' of all Forests and Fields, 99.8% of profitable real estate, from Local Public Office and confirmed that 62% of it is limited for development by the National Territory Utilization and Management Act(국토이용계획법), 72% of it is limited for development by the City Development Act(도시계획법) and the Agricultural Land Act(농지법), 52% of it is limited by the Forest Law(산림법) and the National Park Law, 57% of it is limited for development by the Tabwater Act and the National Treasure Protection Area(문화재보호지역), and the Permit Zone in Dealings of Real Estate(토지거래허가구역). Fifth, DEF has only one staff member to take care of the whole real estate works which has made it almost impossible for proper work to be done. In conclusion, I suggest five solutions for better and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profitable real estate of DEF. First, DEF must follow more truthfully its own Short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which was published in 1996 and set a vision about use of land well. Second, it should make larger office with more staff members to cover the real estate development work and improve land record-keeping skills which is outdated and inefficient now. Third, it should establish a cooperation for developing and making business out of its land which will bring back good returns to fund its many affiliate schools. Fourth, it should support faculties and researchers at Dongguk University whose interests are related with real estate development. They had better be gi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making management and development plans in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way. Fifth, it should cooperate more tightly with Choge Order which is indispe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many temples-dotted mountains in Korea shared in common in its ownership with DEF. I originally planned to visit all sites of the places in focus of this study of which DEF has ownership and research on actual ways to enhance the use of real estate. Unfortunaltely due to lack of time and effort, I did not make it come taste and left it for future researchers.

      • 한국어 듣기 교재의 듣기 후 활동 유형 분석과 개작 연구 : 중국 4년제 대학교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왕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중 수교를 시작 이후, 양국의 교류는 경제는 물론 정치,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내 한국어 전문 지식을 갖춘 인력의 수요 급증으로 이어졌으며, 전문성을 갖춘 한국어 인재 양성을 위해 중국 대학교에서는 한국어 전공 과정을 개설하였다. 한국어학과가 급속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현재 중국 대학교에 사용된 한국어 교재는 대부분이 문법번역식 교수법 혹은 청각 구두식 교수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법 및 학습 과정에 적절하지 않은 교재가 많다.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학과에서는 듣기 수업을 교사 중심으로 실시하며, 교재에 의존하여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활동이 오디오, 비디오 등 기기를 이용하여 듣고 따라 읽기, 듣고 받아쓰기, 반복하여 듣기, 듣고 대답하기 등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보고 듣고 말한다는 의미의 '시청설(視聽說)'이라는 수업을 개설하여 말하기와 듣기 활동을 동시에 가르치는데 목적을 둔 과목이다. 다만, 실제 수업을 운영하는 중국 대학교 중 대부분이 이 수업에서 ‘말하기’에 중점을 두고 듣기의 중요성을 배제한다는 문제가 있다(李英天:2020). 이로 인해서 중국에서 듣기를 전문적으로 학습해야 할 학습자들은 듣기 교육의 부재에 시달리게 된다. 또한, 교사가 듣기 교재에 의존하여 듣기 전 활동 및 듣기 활동에만 중점을 두기 때문에 듣기 후 활동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듣기 교육의 이러한 문제점은 학습자의 흥미를 감소시키며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효율성도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듣기 수업은 존재하지만, 학습자들은 듣기 교육을 실제로는 받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학과 전공자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다양한 교재를 개발하고 있지만, 한국 외의 국가에서는 과거부터 사용해오던 교재를 새롭게 개발하거나 변화를 주는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계속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전부터 이어지는 교재와 교육방법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듣기 교육에 한계가 있다. 듣기는 의사소통에 가장 기본이 되는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 개선이 쓰기나 말하기 등에 비해 다소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의 듣기 교육의 문제를 개선하고, 효과적인 듣기 교육을 위해 기존 교재를 개작하여 학습자의 듣기교육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本研究旨在改善國內高校聽力教育過程中出現的問題,爲有效開展聽力教育,重點開展聽力活動,對現有教材進行改寫,從而提高學習者的聽力教育效率。中國大學使用的中國開發的聽力教材,很多情況下沒有反映教育方式或教育內容發生變化的時代變化。過去開發的教材在沒有修改或補充的情況下繼續使用。爲了掌握相關問題,通過改編現有教材,提高學習者的聽力,本研究選定了中國大學普遍使用的3種教材,掌握相關教材中出現的聽後活動類型,並對其進行改編。 之前對先行研究進行的結果顯示,大多數韓國語聽力教育方案都關注利用輔助教育手段的方案,很難找到集中開發及製作聽力教材的研究。在對韓國語聽力教材的先行研究中,雖然出現了聽力教材缺乏多樣性的問題,但存在聽力教材開發方案研究不活躍的侷限性。 對於韓國語聽力活動,大部分研究都關注聽力前活動,但存在不提及聽力後活動重要性的侷限性。因此,只對聽力後活動的類型研究、缺乏多樣性等提出了局限性,並沒有對此進行具體的方案研究。爲此,本研究擬對我國高校教材中出現的聽後活動類型進行考察,並進行改編研究。 爲此,第二章進行理論考察。爲了進行理論考察,將利用相關單行本、學位論文、學術論文、韓語教材、在線資料等進行研究。首先,爲了掌握中國大學的聽力教育現狀和特點,瞭解中國的聽力教育現狀和教材使用現狀。通過觀察中國大學聽力教育中出現的特徵,確認目前聽力教育中出現的問題。接下來,我們將對本研究擬作爲研究對象的過程中心聽力特點和聽力活動進行理論考察,尤其以聽力活動爲重點,把握理論概念。最後,對教材改寫方法和聽力教材構成的理論進行探討,本研究擬將教材改寫作爲結果,因此,提出教材改寫方法理論,爲中級學習者提供聽力教材構成模型。 第三章是關於研究方法的內容,首先整理問卷內容設計和教材分析標準。調查問卷內容設計是在對現有研究進行考察後,根據暴露的研究範圍設計適合本研究的調查問卷內容。問卷的構成由個人信息、韓語水平、韓語學習情況、韓語聽力教材使用情況、韓語聽力教材開發等構成,以在中國大學專攻韓語的1、2年級爲對象進行問卷調查。通過這些,將掌握學習者認知的聽力教材的問題及滿意度、必要性等。 接下來,組織教材選擇和分析標準進行教材分析。從目前我國高校常用的聽力教材中選取了3種,將對現有的前期研究進行綜述,得出教材分析的分析標準,對教材進行分析並提出共識。 第4章是研究結果,之前以第2章和第3章的內容爲基礎,提出了改寫的教材樣本,並提出了實際聽完後活動和指導案授課示例和評價方法。首先,聽力教材改編原理將通過3張問卷調查和教材分析結果及協議點得出,並以此提出最終改編模型。另外,將提出改編後的教材的聽後活動,並利用該聽後活動進行授課的教案。即,提出如何將其應用到課堂上的方案。另外,該聽力活動實際適用於中國大學時,將向教師出示必要的活動地或學習資料,以實際教育現場的韓國語專家爲對象,接受本研究設計的聽力活動及改寫的教材的可行性驗證。基於這些內容,第五章將總結提出本研究的結果,並將研究結果的啓示給出結果。通過這些,本研究提出了關注聽力活動的聽力教育方案,從這一點來看,具有意義,從再次強調多種活動,即練習部分的重要性來看,將具有意義。

      • 대학사회봉사활동의 만족도 분석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동국대학교 참사랑봉사단을 중심으로

        김상애 東國大學較 佛敎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University lifestyle social service activity makes there is a possibility of searching for meaning from point. The each one the military merit which sleeps and kept the intellectuals wave crest enter into a community resident life inside and the role of the oneself gropes probably is what oneself point and service activity to lead, oneself it makes own completion fact learning machine time and substantial studying chance. This study researched students of Dongguk University, they did the satisfactory degree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y which it sees March until 11th part sprouting March 22nd question investigated in Dongguk University lifestyles of medicine 12 in a few days 450 dawns. The aim of this study is that we analyzed they led and to sleep the activation plan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activity also we proposed following things. First, for the ceremony improvement against the social service of college lifestyles advance education of the attitude back as concept, philosophy value, social problem gain and loss and the servant of social service it leads from the college and the gain and loss against the service activity of the students it makes, against a social service activity the positive public information must become accomplished. Second, the system form of Chamsaram Service Group has for example, independent department, that must come to be operated with Chamsaram Service Group center etc,. Also the social service activity does to go well mail boat campus public information enough. The possibility of knowing from question result is the public information of Chamsaram Service Group appeared that grade one recording satisfactory boat song lowly in low grade students.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 against a staff whole the business which informs the importance and a value of social service widely is important. Also the faculty which goes to work regularly to the center a general business efficiently and the specialty administrative staff supports a student social service activity together, they will be able to accomplish it is because of description below. Third, It will confront to the excellent volunteer from the system side, and in order to strengthen when the mote it magnifies a scholarship support, it gives an employment recommendation hour priority, must give an overseas annual income chance privilege. Fourth, I propose that universities have the own construction area social welfare tube. The university construction social welfare agency there is also an objective of the department of pedagogy research but the college and the community and provided the service which the direct community does in necessity and connection made from the point which wears out large grade it has meaning which is important in social service function accomplishment of the university. It compares specially in the students of the case Seoul area of the race Kyungju area students and the service agency, public information, credit my operation method and school support the mote which it counts satisfactory boat song is appearing lowly from the back all cotton to consider, care or support of the school side for the race area students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be augmented. Fifth, social welfare subject possibility two strong students strong the student more participation motive and recognition, public information, when from the credit my operation method gadfly satisfaction the score is appearing highly, Dongguk University will set with culture indispensability or graduation essential subject to Introduction of the society (the resources) service. It will reach to respect, Dongguk University will produce the subject of [college social service]. Also until 1 credit 2 times it recognizes a current service credit and 2 credit it peels but until 3 times to recognize from the method to recognize and it means also the pla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graduation credit and connection of the students operate in service credit 3 credit methods must be investigated. The university trust will operate the college construction area social welfare tube further and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go out. It provided the service which because the college construction social welfare agency there is also an objective of the department of pedagogy research, but the direct community does in necessity and connection made the university and the community from the point which wears out only social service function accomplishment of the university the bay it knows large grade it is in order to have meaning which is important even in image raising of the university. It practices the mercy spirit which is Dongguk University case crane idea, service activity the truth person who leads, in order to it joins in and it lives and a thin community spirit it cultivates to respect, school has the will which is powerful and it supports public finance that must activate the university social service.

      • 韓國佛敎 太古宗 成立史 硏究 : 大輪․黙潭․寶城․德菴을 중심으로

        조남형(현진)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불교 태고종은 1970년에 정식 승인된 종단이다. 태고 보우(太古 普愚, 1301~1382)를 종조로 하며 조선불교 8, 9세 종정이자 한국불교 태고종 1, 2세 종정인 대륜 세영(大輪 世榮, 1884~1979)과 조선불교 5, 6, 7세 종정이자 한국불교 태고종 3, 4세 종정인 묵담 성우(黙潭 聲祐, 1896~1981)가 조사들의 유지를 호지하여 창종을 주도했으며 조선불교 12, 15세 종정이자 한국불교 태고종 5, 8세 종정인 보성 두석(寶城 斗石, 1906~1998)에 이은 조선불교 13, 16세 종정이자 한국불교 태고종 6, 9세 종정인 덕암 전득(德菴 典得, 1913~2004)의 중흥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 태고종에 대한 관점을 환기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단 창종 주역들의 전등의식에서 나타난 보살승단의 방향성을 확고히 다지기 위한 시도이다. 보살승단의 방향성은 한국불교 태고종이 새롭게 주창한 것이 아닌 대승불교의 본래면목이며 현대 사회의 문제인 이분법적 갈등과 반목을 원융과 화합의 온전한 시민사회로 회복해 나가는데 있어 핵심가치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보살승단 외형은 축소되어 오다 1876년 문호개방 이후 개선되기 시작한다. 당시 불평등한 구시대적 신분사회를 탈피하여 만민평등의 시민사회로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었는데 이러한 주장을 펼친 선각적 지성인은 수운 최제우(水雲 崔濟愚, 1824~1864)등이 있었으며 후일 동학농민혁명으로 이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민사회의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부응한 것은 서구의 종교였다. 개항에 발맞춰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프로테스탄트 정신이 내재된 서학 등 서구문물이 조선에 적극적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서구의 프로테스탄트혁명 이전부터 만인평등의 가치를 호지하고 있던 불교는 퇴락하고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석존의 가르침을 체현하기 위해 격변의 시민사회 혁명에 참여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중심에는 불교 내 선각적 지성인들의 역할이 있었다. 국권 상실과 정치의 종교개입 외압 속에서도 조선불교 내에서 그 회복과 발전에 있어 자주적인 방향성을 설정하려는 움직임이 종단으로까지 확대 된 것이 임제종이다. 임제종에 적극 참여한 것은 동학농민혁명과 마찬가지로 주로 남부지방이었으며 그 핵심인사는 영호 정호(映湖 鼎鎬, 石顚 朴漢永, 1870~1948), 만암 종헌(曼庵 宗憲, 1876~1957), 만해 용운(卍海 龍雲, 1879~1944)이다. 하지만 정권의 외압으로 임제종이 해산 당하자 이들은 중앙교단 내 교육기관인 중앙학림에 참여하거나 독립된 교육시설을 설립하여 후학양성에 전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불교 내 신지식인이 양성된다. 이러한 시기에 도성해금이후 도회지 포교에 실질적으로 투신한 실천적 지성이 대륜 세영이다. 금강산 유점사로 출가한 그는 임제종 인사들이 중앙교단으로 합류할 즈음에 각황사의 감원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이후 유점사의 도심포교당인 불이성 법륜사를 창건하고 사회적 약자였던 여성과 청소년 포교에 힘썼으며 화엄산림을 열어 퇴경 권상로(退耕 權相老, 1879~1965), 포광 김영수(包光 金映遂, 1884~1967), 뇌허 김동화(雷虛 金東華, 1902~1980) 세 강백을 위촉하여 신편불교성전을 간행하는 한편 당대 유수의 고승을 포교사로 영입하여 각종 법회를 봉행하였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사회에서 소외받던 계층들과 음지에서 불교를 탐구하던 불제자들이 양지화 되었다. 불교 내 신지식인들의 양성은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정치권의 종교개입에도 불구하고 중앙교단명과 종조 추대, 종헌 제정과 총본산명 설정 등에서 자주성을 표출한 것이다. 조선불교 조계종이 출범하고 총본산은 태고사로, 종조에는 태고 보우가 추대되었다. 태고 보우의 행적이 석옥 청공(石屋 淸珙, 1272~1352)으로부터 인가받은 임제선의 정통 계승자이기에 이와 같은 결과는 임제종 운동의 결과라 볼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후 자주적인 헌법을 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정교분리 원칙은 지켜지지 않았다. 기독교인이었던 이승만 대통령이 불교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것이다. ‘왜색승은 물러가라’라는 이분법적 논리를 발생시킴으로써 화합을 도모하던 종정인 만암 종헌은 종정에서 해임되기에 이른다. 그는 종조로 호지하던 태고 보우가 구산(九山)의 제종(諸宗)을 원만하게 통합하려던 시도와 유사하게 당시 불교계를 원융과 화합으로 이끌어 나가고자 백양사에서 고불총림을 열었다. 이러한 고불총림을 적극적으로 호지하고자 한 것은 묵담 성우이다. 백양사에 출가한 그는 대은 낭오(大隱 朗旿, 1780~1841)와 금담 보명(金潭 普明, 1765~1848)이 서상수계를 통해 전수 되어 금해 관영(錦海 瓘英, 1856~1937)에 까지 이어진 율맥을 전수한 율사이다. 수좌인 동시에 백양사 산하에 광성의숙(廣成義塾)에서 신문물까지 수학한 신지식인이었다. 또한 만암 종헌으로부터 대선법계를 수지하기까지 한다. 정치의 종교개입은 군사정변 이후에도 이어졌으며 국망의 시기부터 이어져 온 불교 내 신지식인들의 성과가 일괄 ‘왜색불교’로 매도되어 색출되는 지경에 이른다. 이러한 암울한 상황을 대변하는 것은 보성 두석이다. 건봉사에서 출가한 그는 도심포교사와 교육자의 길을 걷는다. 1940년 10월 동경 일본대학 종교과 전문부를 졸업하고 귀국한 그는 국화 여자전문학관 교수, 동국대학교 교수 겸 교무처장을 맡았으며 전시(戰時)에는 진해 육군사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이후 숙명여자대학교의 교수 겸 교무처장으로 선임된 후 동 대학 문리과 대학장에 취임하였으며 1961년 10월에 동국대학교 총장으로 선임 된다. 1962년 동경 일본대학으로부터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받기도 하지만 1962년 5월 31일 불교재산관리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대처승’으로 규정되어 축출된다. 불교 내 신지식인들이 축출되면서 조선시대에 유학자들이 주도하던 사회 지식인 계층은 개항 이후 다양한 종교가 점유했지만 이념대립으로 인한 좌익 축출과 ‘왜색불교’ 논란으로 인한 신지식인 축출로 인해 불교계가 차지하는 위치는 크게 실추 된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 타개하기 위해 대륜 세영과 묵담 성우가 총무원으로 부임하여 개선의 노력을 하지만 대법원의 승소판결조차 군사정변으로 인해 집행할 수 없는 초유의 상황을 맞게 된다. 국망의 시대 이후 지속적으로 정치의 종교개입을 받는 상황 속에서 고불총림에서 나타난 원융과 화합에 대한 유지를 잇고 보살승단의 방향성을 확고히 천명하기 위해 대륜 세영은 1970년 한국불교 태고종을 창종하게 된다. 이러한 창종조의 사상을 호지하여 중흥한 것은 덕암 전득이다. 그는 대륜 세영과 마찬가지로 유점사에서 출가했기에 그 인연이 깊다고 볼 수 있다. 덕암 전득의 부종수교 첫째는 교육사업과 포교사업이다. 현대적 보살상의 인재양성을 위해 동방불교대학과 동방불교 대학원 대학교를 건립하였다. 만해 용운의 조선불교 자주성을 수호 정신이 깃들어 있는 『불교』지를 지속 간행하기 위하여 월간불교사를 중흥하였다. 둘째는 계율확립과 문화사업이다. 1991년 태고총림으로 지정된 선암사에 금강계단을 설치하고 수계산림 의식을 종단 차원의 대법회로 확장하였다. 또한 옥천범음회를 중흥하였는데 불교의식은 한때 ‘허례허식’이나 ‘매불행위’로 주목받아 퇴출될 위기에 있었다. 하지만 발전된 형태의 불교의식인 ‘영상재’를 장엄하게 엄수하고 있으며 이는 2009년 유네스코의 세계무형문화재에 등재된 바 있다. 영산재는 현재 봉원사, 청련사 등에서 이를 보전, 전수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불교 태고종의 종명은 태고 보우가 이은 석옥 청공의 임제선에 대한 적통성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근 100여년의 불교사의 개혁과 근대 시민사회 혁명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불제자들의 자리이타의 보살상이 깃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근대 불교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방치와 매도되어 있는 선지식들의 발굴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가치중립적이고 온전한 서사적 관점이 불교적 미래지향으로 이어질 때 현대사회의 이분법적 갈등과 반목을 주도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현대적 보살상이 제시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불교 태고종 성립사의 연구가 이에 관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 대상 플립러닝의 적용을 중심으로

        당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韩国语教育主要是由听、说、读、写4个领域组成,其中写作是韩语学习者们感 到学习困难并想避开的领域。而且从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来看,目前还存在很多问题。比如说,写作不能像口语一样得到重视,写作练习的单一化。以韩语教材为例,韩语写作主要是给定主题,然后学生以围绕着这一主题进行写作。这样的写作是否能提高学生的学习积极性以及学习效果这件事上持怀疑的态度。如果不解决这样的问题,学生很难感到写作的乐趣,容易陷入恶循环。 尤其到了21世纪,学习韩语的学生越来越年轻化。对这些学生更容易对传统教育方式不满。随着时代的改变,教育也要改变。 网络漫画可以说是包括了韩国人生活方式、思考方式和价值观等内容语言文化集合体,超越时间和空间,是不论是谁都可以轻易接触到的文化。韩国语学习者不应该单纯地学习语言,也需要一起学习韩国的文化。因此,为了已经一定程度熟悉 了韩国语的中级学习者,使用网络漫画开发的课程不仅可以学习到韩语知识,还可以学习到韩国的日常文化。 因此,本论文利用了年轻的韩语学习者更容易接受的网络漫画,引进了“flipped learning”的教学模型,试图为中级韩语学习者开发更有趣、有效的写作教育方案。第一章主要包括研究目的、研究背景,以及本研究有关的先行研究。写作 是很多韩国语学者感到吃力的领域,但是写作同时又是表达人的感情和想法的重要手段。因此为了解决这个问题,本研究将利用有趣的网络漫画开发更能引起学习者兴趣的写作课程方案。 第二章主要是了解韩国语写作教育的特点和韩国语写作教育的现状,再找出问题点。以此再引发出网络漫画的教育价值和投入flipped learing的必要性。 第三章主要是以西江大学、首尔大学、延世大学、中央大学、东国大学使用的教材为中心,分析利用网络漫画进行的韩语教育的现状和问题点, 同时也分析了韩语写作教育的现况和问题点。 第四章利用“flipped learing”的教育模型开发了利用网络漫画的韩语教育方案。首先探讨了适合韩语教育的网络漫画的基准、如何利用媒体等问题,以此为基础设计出了一套高效的写作教育方案。 第五章以上述研究为基础,展示了具体可以在课上实行的教案。第六章是结论,整理了本研究的核心内容后,表明研究了界限。 本研究虽然有着一定的界限,但是在利用网络漫画和flipped learning开发韩语写作方案这一点来看,存在着很大的创新性,是有价值的研究。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중급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상 매체는 웹툰, 멀티미디어 매체는 플립러닝을 선택해서 논의를 전개하겠다. 본 연구는 ‘쓰기’에 주목하는데, 유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쓰기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나 대학원에서는 쓰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중급 학습자가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인기가 높아지는 웹툰에 주목하여 쓰기 교육 방안을 만들기 때문에 유학생의 유학 생활 적응과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고,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할 때 학업 적응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최근 5년간(1998-2002년)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서 분리된 각종 병원성 세균의 항생제 내성양상

        최우혁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Background: Because the main factor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bacterial resistance include the injudicious use of antibiotics,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use of antibiotics. During the past decades, the frequency and the spectrum of bacteria resistant to various antibiotics have increased in hospitals and the general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evailing patterns of resistant bacterial strains for the empirical selection of antimicrobial agents. Method: Between 1998 and 2002, bacterial infections in Kyoung Ju Hospital of Dongguk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clinical isolates were characterized. Results: The isolation rates for methillin-resistant S. aureus strains have gradually increased over last 5 years. However, some gram-negative bacilli and gram-pasitive cocci revealed the steady or decreased level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during this period. When compared with the average rates of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btained from the nationwide surveillance in Korea, the clinical isolates from Kyoung Ju Hospital do not appear to possess the higher resistance rates. Conclusion: Since the year 2000, the resistance rates for most of the nosocomial infections have been relatively well controlled at Kyoung Ju Hospital mainly due to the strict isolation of ICU in addition to the intensive education and the preventive control of infections. In order to prevent or reduc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adequate use of antimicrobials needs to be considered. In addition, special attention must be paid to determine which kind of antibiotics to be used and when to use them in regard of controlling nosocomial infection.

      • 대출통계로 본 대학생의 독서경향에 관한 연구 : 1998-2002년까지 서울대학교 학생부의 대출 빈도를 중심으로

        권광희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대학생의 독서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서울대학교의 토털시스템인 SOLARS Ⅱ (SeOul Library Automation and Research System Ⅱ)의 대출시스템을 이용하여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년간 대출 가능한 자료만을 대상으로 단행본 서고의 도서 중 매년 최다 대출 횟수를 기록한 순으로 200선을 선정하여 대학생들의 주제별 선호도를 다양하게 비교, 조사·분석하여 보았다. 서울대학교 학부생의 매년 최다 대출횟수로 선정된 도서들을 서울대 선정 교양필독서 동서고전 200선과 분석하여 공통으로 선정되는 도서와 문화관광부 추천도서 및 동아일보 선정 세계를 움직인 100선, 일반 베스트셀러와 비교, 조사·분석하여 대학생의 독서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하여 올바른 독서문화의 자리매김과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사회,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야말로 어떤 인프라 구축보다도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는 당위성과 나아가서는 출판학 분야에서 연구하는 출판 기획자들의 출판 기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결과 서울대학교 전체 학부생들의 독서경향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주제별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는 문학분야에 대한 선호도가 최고였다. 조사·분석시 상위에 집계된 것으로는 '박경리의 토지', '조정래의 태백산맥, 아리랑', '이문열의 변경' 등으로 편중되어 있어 문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독서지도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둘째, 대출통계로 살펴본 독서내용이 전공도서, 학습활동, 연구를 위한 도서보다는 흥미위주의 일회성적인 만화 및 무협지에 대한 선호가 두드려졌다. 셋째, 베스트셀러 및 고전 교양도서의 반응은 낮았으며 사회과학과 철학에 대한 도서들은 증가추세였다. 넷째, 현상계를 연구하는 실용적 분야라 할 수 있는 자연과학 분야에 대한 선호도가 아주 낮아 학문의 불균형과 수준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예상되었다. 이상과 같이 연구·분석한 결과 문화, 정보, 지식의 바탕일 뿐만 아니라 국가 발전의 척도가 될 수 있는 독서지도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새삼 확인하고, 대학생활 시기의 독서는 사고와 창의적 능력 즉 판단을 위한 기본요소로 그 가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하여 대학생의 독서는 전공교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시민으로서의 교양면에서도 평생을 통하여 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icient reading ap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 selected 200 selections in the order of recording the maximum number of lending for each year among the books from separate volume library, taking only materials that could be lent out for five years from year 1998 to 2002 as the subjects, as SOLARS Ⅱ(SeOul Library Automation and Research System Ⅱ), the total system of SNU indicated, to compare, research and analyze preferences of university students by themes in different ways. Under the analysis of the books for culture and 200 selections of east-west classics that were selected by the entire undergraduate students of SNU with the maximum number of lending, I compared, examined and analyzed the books commonly selected, books recommend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Donga Daily 100 selections that moved the world and general best-sellers to analyze reading ap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hen, I presented the reason why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has reading culture settled and facilitates reading shall be formed immediately than the establishment of any other infrastructure, and further tried to make it as basic data that provides publishing planners who have studied in the field of publishing studies with directions of publishing plans.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reading aptitude of the entire undergraduate students of SNU was analyzed as followings; First, literatures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llowed by other themes. As Land of Kyoung-Ri Park, The Taebaek Mountains, Arirang of Jeong-Rae Cho, Change of Moon-Yoel Lee ranked high from the research and analysis, proper understanding of literatures and reading instruction were required. Secondly, the preference of amusing cartoons for adults and heroism books was significant rather to the books for major, learning activities and studies, from the contents of reading that examined through the statistics of lending, rather to the books for major, learning activities and studies. Thirdly, reaction to the best-sellers and classic books for culture was low however that to the books for social science and philosophy was increasing. Fourthly, as the preference of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study that is practical filed researching the phenomenal world was very low, I concerned if the balance and standard of studies would fall down. From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as above, I understood agai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reading instruction that could be a measure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culture,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value of reading on university life is emphasized as a basic factor for thinking and creative ability, or determination. Therefore, I could find out that reading of university students would influence throughout their lives in the cultural aspect for citizens, as well as on the aspect of major education.

      • 생태캠퍼스 구현을 위한 빗물이용 방향설정 연구

        이우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도시가 급속도로 개발되면서 지표의 불투성면은 증가하고 빗물의 지하 침투량은 감소되었다. 이로 인해 생활에 필수적이었던 빗물은 도시에서 신속하게 배출시켜야 하는 요소가 되었으며, 도시에서 빗물의 관리는 수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주목적이 되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 물 부족의 어려움과 도시의 인구증가에 따른 물 수요의 증가 그리고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문제점들이 인식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그 지역 내에서 처리하는 분산식(decentralized) 빗물관리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산식 빗물관리는 기존의 댐 방식이 아닌 지붕녹화, 소규모 침투·저류시설, 저장조 등의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및 운용이 필요하게 되었고 빗물이용은 도시 및 자연 환경을 위한 수문환 회복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특히, 대학캠퍼스 등의 대규모 단지에서의 빗물이용은 빗물을 저류, 저장 또는 침투시켜 유출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도시홍수와 지하수 고갈문제에 대처하는 등 도심지 환경부화를 감소시키고, 무절제하게 파괴된 자연생태계를 복원·보호하기 위한 소생물 서식공간(Biotope)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 이와 같이 대규모 단지에서 빗물을 이용하려면 먼저 빗물이용의 양상을 살펴보아야 한다. 문헌에 나타난 빗물이용 양상을 보면 크게 『집수-저류-(활용)』유형, 『집수-처리-저류-(활용)』유형 그리고 『집수-처리-저류-침투-(활용)』유형의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요약된 3가지 유형과 국외사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공간의 특성에 적합하게 다양한 빗물이용시설을 적용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도시내 대규모 대지를 점유하고 있는 대학캠퍼스에 있어 적극적인 빗물이용은 지붕녹화, 소규모 저류 및 침투시설, 빗물저장조, 저류연못 등의 다양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여,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안으로 크게는 도시 및 단지차원에서 작게는 건축물 단위에서 지역 내의 빗물을 그 지역 내에서 처리해야 한다. As a city developed at a fast rate, the non-permeable planes of the surface of the ground have increased and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into the ground has decreased. For this reason, rainwater which had been regarded essential for the life now become an element to be eliminated and the management of rainwater in a city is aimed to secure stability against flood damage. However as lack of water, the higher demand for water due to higher population in a city and problems on people and the environment are recognized in some areas, decentralized management of rainwater, in which the effluent water occurring in an area is dealt with within the area, is emerged as a method to overcome those problems. This management requires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vegetated roof, small scaled penetration and retention facilities, storage tank rather than the previous dam method, and rainwater has to be used in a way where hydrologic cycle is restored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ities. Especially as the usage of rainwater in a large complex such as college campus delays the runoff time by retaining, storing or penetrating rainwater, this allows people to deal with urban flood and depletion of ground water resources, resulting in less environmental problems in urban areas and contributing to prepare a micro biotopefor th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indiscriminately damaged natural ecosystem. The trend in using rainwater to be examined before using it in such a large complex. The trend, appeared in the literature, can be largelyclassifiedinto 『collection - retention - (use)』type, 『collection - treatment - retention - (use)』type and『collection - treatment - retention - penetration - (use)』type.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ose three types and local and overseas cases, various types of facilities for the usage of rainwater have to be applied in a suitable way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pace. In sum up the active usage of rainwater in a college campus which occupies large land in a city should be dealt with at a city or complex level at macroscopicscale and at building blockat microscopic one, by introducing various facilities like vegetated roofs, small retention and penetration facilities, rainwater storage tanks, retention ponds, and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