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업실습 프로그램이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숙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 문 초 록 수업실습 프로그램이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actical Teaching Program on the Change of Education Apprentice's Perception regarding Teaching Skills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행정전공 이 숙 자 지도교수 이 주 한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업실습 프로그램이 교육대학 4학년생의 수업기술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교생실습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춘천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1개교와 춘천지역의 실습대용협력학교 3개교에서 수업실습에 참여하는 교육실습생으로 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 인식도를 알아보는 설문지로서 수업기술의 이론과 실제(교육주보사, 1996)에서 발취한 내용과 한순복(2003)의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장학이 교육실습생의 수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연구조사 대상인 교육실습생의 변인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내용으로 성별, 현재 실습 중인 학교, 담당학년, 지도교사의 교육실습 지도유형, 수업실습 전 실습학교, 수업실습에 대한 기대와 만족 등을 구성하여 변인별 측정 자료로 활용하였다. 교육실습생의 수업기술에 대한 인식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기술에 대한 문항 43개를 5개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 하위 영역 문항을 반응형(Likert 5단계 척도법)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수업실습이 수업기술에 대한 인식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수업기술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전 항목에서 실습 전ㆍ후로 비교하여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수업설계 항에서 남학생이 수업실습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보다 소극적인 수업태도에서 비롯되며,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현장에서 실제로 부딪쳤을 때 응용하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따라서 운영할 때 성별에 따라 다른 실습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실습학교별로 실습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실습프로그램의 효과성에서 부설학교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크게 드러났으며 실습대용학교에서는 학교별로 다소의 유의한 차이에 차별이 있었다. 이는 부설학교의 경우 교육실습 전반에 걸쳐서 기술축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타 협력대용학교의 경우 학교공모를 통해서 상급기관에서 정하기 때문에 기술축적에 있어서 지속성이 결여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습학교별로 수업실습의 효과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고 실습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실습의 중요성을 비추어 볼 때 예비교사는 부설학교에서의 의무적인 실습과정을 거치도록 실습프로그램을 개선 할 필요가 있다. 교사지도유형별로 보았을 때 조력 ․ 안내형에서 수업기술의 인식도의 변화 차이가 뚜렷하게 유의하였다. 교육실습생은 한 달간의 짧은 기간 배우고 익혀야 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지도교사의 정확한 안내와 도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실습학교의 지도교사 선발기준에 지도교사유형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수업실습은 모름지기 수업기술에 대한 확실한 배움의 과정이다. 비록 한 달이란 짧은 기간동안 행해지는 일이지만 교사의 생애에 있어서 어떤 교사로 자리매김 하는가는 온전히 수업실습의 질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교육실습이 다만 교육과정상의 형식적인 교육실습으로서 그칠 것이 아니라 그 효과성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좀 더 개선된 교육실습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내실 있게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지도교사의 경험적인 수업기술에 의존하는 현재의 교육실습제도를 과감히 개선 할 획기적인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주제어: 수업실습, 수업기술, 수업설계이론

      • 마음의 발달의 교육학적 이해 : 「大學」의 공부 순서와 마음의 발달

        전영신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大學」에 함의되어 있는 마음의 발달의 의미를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데에 있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보면, 「大學」은 마음의 발달을 사정하는 기준과 마음의 발달이 일어나는 시간계열이 공부 또는 교육의 과정과 무관하게 설명도리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大學」이 함의하고 있는 마음의 발달의 의미를 밝히는 데에는 접속사 '而后'의 애매성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 「大學」에 등장하는 '而后'는 시간적 선후관계와 논리적 선후관계를 표현하는 접속사로 동시에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애매성을 지니고 있다. '而后'를 시간적 선후관계로 해석할 경우, '而后' 전후에 있는 활동들은 각각 별개의 활동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갖게 된다. 이 해석은 앞의 활동을 완전히 끝낸 이후에 뒤의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러나 각 활동의 의미를 생각해보면 활동이 끝나는 시점이 그리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而后'를 논리적 선후관계로 해석할 경우, '而后'의 전후에 있는 활동들은 사실상 분리된 별개의 활동이 아니라 개념상 구분되는 동일한 활동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모든 활동이 동일한 상태가 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관점은 경험적 차원을 초월한 궁극적 완성상태를 부각시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궁극적 완성상태에 이르는 경로를 설명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而后'에 관한 두 관점의 해석은 각각 공부 또는 마음의 발달의 상이한 측면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而后'를 시간적 선후관계로 해석하는 것은 발달이 시간계열에서 점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부각시켜준다. 논리적 선후관계의 해석에서 시사 받을 수 있는 것은 발달을 사정하는 형이상학적 차원의 기준이 있다는 것이다. 발달은 시간계열에서 점차적으로 이루어지며, 그것이 발달로 규정되기 위해서는 그것을 사정할 기준이 있어야 한다. '而后'라는 접속사를 사용하고 있는 「大學」의 진술은 기준과 시간계열 가운데 어느 한 가지만을 고려할 경우 범할 수 있는 오류를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점에서 「大學」의 애매성은 곧 체계적 애매성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大學」에 진술되어 있는 두 문장이 모두 발달의 의미를 시사한다고 할 때, 그 두 문장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가 문제로 부각된다. 다시 말해서, 두 문장에서 설명하는 발달과정이 서로 별개의 과정인가, 아니면 동일한 과정을 다르게 진술하고 있는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각각의 문장에서 설명하는 발달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첫 번째 문장은 궁극적인 완성상태와 그것을 내면화한 개인의 이상적인 마음상태를 말하는 동시에 그 상태에 이르는 경로를 설명한다. 그 경로는 발달의 내면화 과정을 의미한다. 이 문장은 경험적 차원에서 형이상학적 차원을 지향하는 과정을 진술한다는 점에서 발달의 종적 차원을 설명하는 것이다. 두 번째 문장은 수양된 마음이 사회로 확산되어 마음의 크기가 사회와 동일하게 되는 완성상태와 그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 문장은 마음이 사회로 확대되는 과정을 진술한다는 점에서 발달의 횡적 차원을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格物을 통한 마음의 수양 또는 함양은 첫 번째 문장에서 설명한 내면화와 다른 것이 아니다. 이것은 내면화 과정과 사회적 확산 과정이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두 발달과정이 실지로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할지라도 발달을 설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과정을 구분해서 말해야 한다. 내면화 과정을 말하지 않을 경우, 발달은 사회(경험적 차원)의 필요에 따라 그때그때 요구되는 것을 완수하는 것 이외의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없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사회적 확산 과정을 말하지 않을 경우, 내면화 과정은 개인의 마음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마음은 순전히 개인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大學」에 의하면, 발달은 오로지 格物致知에 의해서 이루어지다. 마음의 발달과정은 곧 格物의 과정이며, 格物을 하는 것 이외에 마음의 발달은 있을 수 없다. 格物의 경전(교과)공부를 의미한다. 格物하는 매순간마다 이루어지는 致知가 쌓이고 쌓이는 과정, 그 과정이 바로 내면화의 과정인 동시에 사회적 확산의 과정인 것이다. 「大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성리학 논의는 교육이 지향해야 할 곳과 그 곳에 도달하는 방법, 교사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육에서 마음의 발달을 말할 때, 발달을 사정할 기준과 시간계열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는 것은 교육 자체를 왜곡시키는 것이 된다. 교사는 형이상학적 기준에 비추어 시간계열에서의 발달의 수준을 이해하고, 格物 공부의 수준이 곧 발달의 수준이라는 것, 각 발달단계는 곧 格物의 수준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교사는 학생의 현재 수준을 극복하기보다 그것에 얽매이게 되면, 그 결과 주어진 교육 내용을 이해하기보다 학생 수준에 맞는 다른 교육내용과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분명히 교육을 왜곡시키는 것이다. 교사의 주된 역할은 지식의 전달이라기보다 '마음'의 구현이다. 교사는 스스로 형이상학적 차원의 기준을 지향하고 그것을 구현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존재이다. 이러한 교사의 모습은 학생들에게 눈앞에서 살아 움직이는 기준이 된다. 교사와 학생은 오로지 格物을 통해서 기준을 내면화한다. 그 과정이 바로 마음의 발달 과정이며 교육의 과정이다. 마음의 발달의 의미는 오직 교육 안에서 설명되며 구현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development of mind implicated in the 「Great Learning」 in view of education. In view of the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education and mind, it seems inevitable that the meaning of development of mind is educational in character. Any discussion of development of mind must be based o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can be meaningfully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ind, it is very important to disclose the ambiguity of the conjunctional concept of 'hereafter' (而后) inherent in the 「Great Learning」 The 「Great Learning」 leaves open the possibilities of interpreting the conjunctional concept, 'hereafter'(而后), both as the temporal order and the logical order. The former describ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n individual mind. The latter describes the standard or the ideal state of human mind. The latter emphasizes the transcendental nature of mind or reality as an ultimate standard of development. In this interpretation, the development of mind can be conceived from two aspects, which may be called the temporal sequence and the metaphysical standard respectively. In a word, the development of mind implies that the individual learner actively pursues and internalizes the metaphysical standard in the temporal sequence of development. The 「Great Learning」 also implies two dimensions of development of mind, which can be designated as the internalization in the one, and extension of mind to the world in the other. The one explains the cultivation of mind. The other explains the extension of mind to the world. This point must have a significant bearing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ind, for the two dimensions is brought together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ind. This interpretation poses a question of expl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mensions of development of mind, the one is the vertical dimension of development of mind, that is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the other is the horizontal dimension of development of mind, that is the extension of mind to the world. The two dimensions of development of mind, implied in 「Great Learning」, are not only compatible but mutually supported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the total process of development. The two dimensions of development of mind put differential emphases on the metaphysical standard and on the extension of mind respectively. So the internalization of mind and the extension of mind to the world can be best understood, not as separat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mind, but as different dimensions of same process of development of mind, without which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of mind is impossible. According to the 「Great Learning」, the development of mind can be regarded as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ind is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The investigation of things means a scripture-learning. In this view, the teacher is first and foremost a man devoting himself to the internalization of standard by investigation of things. His ability to teach is nothing but a direct exemplification of his own investigation of things. The teacher is the embodiment of standard rather than the transmitter of information. In other word, the teacher must be the Sage as the educational ideal, who is the philosopher devoting himself to cultivation of mind. The student also internalize the standard by investigation of things. Above all,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is just lik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ind and process of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mind is explained and embodied into the process of education.

      •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능력에 관한 실태 분석

        허재란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예비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나가서도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및 행정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통신기술역량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수준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춘천교육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153부의 유효한 분석 자료를 얻었다. 측정도구는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능력에 대한 기초 항목과 관련된 12개 문항과 6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정보통신기술 활용능력 측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Ver 1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기본적으로 사용하였고, 예비 교사의 ICT 활용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예비교사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CT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ICT 활용 교육에 관심이 높았다. 예비교사의 컴퓨터 사용시간과 자격증 유무에 따른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재학 중에 ICT활용 수업 경험에서는 긍정적 응답(42.5%)이 부정적 응답(28.1%)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ICT활용 수업방법이나 수업모형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CT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 배운 컴퓨터강좌가 ICT역량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강좌 내용은 ICT활용 교육에 충분하지 않다는 인식이 더 높았다.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에서의 ICT활용이 교수·학습 개선에 기여할 것이며, 전통적 수업보다 효과적이며, 교사가 된 후에도 ICT를 활용할 것이라는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도우미 사이트가 ICT활용 수업에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 교사의 ICT활용 능력수준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행정정보 영역을 제외한 다른 5개 영역 즉, ICT활용교육 영역, ICT소양교육 영역, 일반업무 영역, 학습자료 준비 및 평가영역, 정보윤리·보안영역에 대해 남자들의 ICT활용 능력이 여자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ICT활용 능력수준을 행정정보 영역, ICT활용교육 영역, ICT소양교육 영역, 일반업무 영역, 학습자료 준비 및 평가영역, 정보윤리·보안영역의 6개 영역간의 비교·분석한 결과로는 예비교사들은 일반업무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행정정보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예비교사를 위한 ICT활용에 대한 교육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예비교사의 ICT활용에 대한 교원양성기관의 교육 및 교육과정이 필요하고,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ICT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및 예비교사의 ICT활용 능력 개선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춘천지역 초등교사의 환경윤리의식 조사연구

        서승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생태학적 위기의 문제에서 제기되는 환경윤리적 입장을 문헌을 통해 선별하여 타당성 관계를 알아보고, 자연보전을 주장하는 입장들을 초등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환경윤리의식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래서 초등도덕교육에서의 환경교육의 윤리적 접근방법을 알아보고 환경윤리관 정립을 위해 현재의 환경윤리 문제점을 찾아내어 환경에 관한 자체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춘천지역 초등교사의 환경윤리의식을 분석하여 앞으로 초등교사가 가져야 할 환경윤리의식의 방향과 초등학교에서의 환경윤리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춘천지역 초등교사의 환경윤리의식에 관한 태도와 실태를 조사하고 초등학교 도덕과에서의 환경윤리교육의 효율화 방안을 연구하여 환경윤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춘천지역 초등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181부가 회수되었고, 자료처리 가능한 175명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환경문제에 대한 윤리적 인식과 전문용어의 인식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22.0%) 또, 환경에 관한 지식은 주로 신문이나 방송을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6.4%)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윤리교육에 대해 충실히 지도하거나 보통으로 지도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67.6%), 효과적인 환경윤리 교육을 위한 가정과의 연계지도에 대해서는 주로 1년에 1-2회 정도하고 있고 방법으로는 주로 체험 보고서나 가정통신문, 일기지도를 통한 형식적인 과제 위주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93.9%) 현장학습의 빈도에 대해서 학급의 규모가 적을수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87.6%) 2) 전체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90.2%)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수질오염을(71.8%) 젊은층에서는 대기오염과 토양오염에 대해서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춘천의 중요한 상수원인 소양강댐의 지류에 처한 지리적인 환경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환경윤리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정하고 있었으며(93.7%), 환경윤리교육의 목적을 환경윤리의식의 함양에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69.0%). 그러나 실제로 현장에서는 환경윤리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3) 환경관련 제재를 수업시간에 주로 다루는 교과가 사회(25.7%), 과학(25.7%), 도덕(21.1%)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환경관련 수업의 형태는 토론식 및 강의식 수업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윤리교육과 관련한 연수현황은 학급수가 적은 학교의 교사일수록 상대적으로 교사의 연수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3.7%) 환경연수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유익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75.1%) 연수 후 아쉬운 점으로 연수 자료 내용의 미흡함과 강의 위주의 교육을 아쉽게 생각했다.(72.2%) 이는 초등교사를 위한 환경윤리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가 없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4) 환경윤리교육의 문제점은 대부분이 환경윤리교육에 필요한 교육자료가 보통이거나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으며(96.5%) 향후 교육과정 개편시 환경윤리 교육 방법에 대해 전 교과 확산지도, 독립과목 설치, 현행처럼 특정교과시행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환경윤리교육에 대한 이해가 아직은 부족한 것으로 보이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인식하고 있다. 환경윤리교육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사회, 과학, 도덕 순으로 생각하고 있어서 환경윤리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환경윤리교육 세미나,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1) 춘천시 초등학교 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환경윤리교육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초등학교 아동에게도 환경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초등교사의 환경윤리에 대한 연수나 세미나가 이루어져야겠다. 2) 환경윤리교육은 가치관에 관련된 만큼 도덕과에서 주로 다루어야 하며 효율화를 위해 도덕과 교육과정을 체험학습 및 현장학습 위주로 이루어져야겠다. 3) 환경오염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특히, 소양강댐의 지류에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에 관심이 많고 오염원과 실태, 합리적인 해결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 및 해결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4) 환경윤리교육의 수업형태는 토론식과 강의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러한 환경윤리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 형태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5) 환경윤리교육이 전체적으로 보통이거나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응답의 이유로 학습자료의 부족을 크게 들고 있으며 학교의 규모가 클수록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경윤리교육에 대한 관심은 많으나 실제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실천을 위주로 하는 흥미로운 환경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6) 현재의 환경관련 연수는 주로 환경담당자 위주로 학교의 규모와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앞으로는 연수종류에 환경연수 과목을 넣어 교사들의 환경연수 활동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해야겠다. This study is on propriety relation after choosing in the literature of environmental ethical view brought in ecological crisis, and on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al ethics by the view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So investigator examines ethical approach method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finds out the present environmental ethical problem for the renewal of the environmental ethical view, analyses questions about environment. Also does environmental ethical view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uncheon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thic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 have to hold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For thes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uncheon were made up questions, 181 of 200 were withdrawn and 175 of those questions were analysed. It follows. 1) The teachers have no high level of ethical idea and knowledge of terminology (22.0%). They get the informations about environment through newspapers or TV(76.4%). They think they teach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well above the average(67.6%). Teaching with home is done 1 or 2 per 1 year through formal assignment like report, home correspondence, journals(93.9%). The smaller class goes the more field trip(87.6%). 2) Entirely, they think the environmental problem seriously(90.2%), especially the water pollution to old ages(71.8%), the air and soil pollution to young ages. This result shows an influence due to Chunchoen's geographical environment as a important waterworks, Dam or So-yang River. They think tha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need (93.7%) and that the aim of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a cultivation of environmental ethics(69.0%). But they respond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not done well in real school. 3) The subject dealing with environment is social study(25.7%), science(25.7%), moral education(21.1%). It shows that the understanding about moral education's curriculum is lacking. The teaching method is a discussion or a lecture. The smaller school's teacher is, the more training abou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they get(73.7%). Generally teachers think those training are good for them(75.1%). Inconvenience things after training is the lack of materials' contents and lecture education(72.2%). This show there is few real materials for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at can help them. 4) They point out that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insufficient education material(96.5%) and tha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has to be taught in the whole subjects, to be as self-supporting subject, in the specific subject as now it is when the next curriculum reorganizes. As these results, teacher is lacking of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but they know its need and importance. They need to understand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because they think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concerned with social study, science, moral education. Seminar, training program's development ne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The teachers in Chuncheon think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has to be done quickly, so training or seminar about environmental ethics has to be done for the teachers. 2) Moral education has to carry on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because of dealing with a view of value and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s to consist of field trip. 3) The teacher think that the environment pollution is very serious, especially they are interested in water and soil pollution owing to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Dam of So-yang River and it needs a study of specific materials and solving problem about a cause of pollution and the reality and reasonable problem solving method. 4) As the teaching method, they prefer a discussion or a lecture. But other teaching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righ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5) The teacher think why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is not done well is lack of teaching materials. The bigger school is, the more lack it has. They get many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but it is not really done. So the environmental ethical education program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 could be interested in and could take part in with more fun and could learn by doing needs to be developed. 6) The present training about environment is usually done by an environmental supervisor no matter school's scale. So, from now on, teacher's training has to be done spontaneously by installation the training of environment as a subject.

      • 국내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 : 2000년 - 2006년

        조지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 초록 국내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 : 2000년 - 2006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 2000-2006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조 지 영 지도교수 이면우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연구된 환경교육 관련 논문의 분석을 통하여 지금까지 국내의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향후 국내 환경교육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환경교육과 관련된 논문을 주로 게재하는 「환경교육」지와 한국학술정보원과 누리미디어의 자료 중 2000년에서 2006년까지 ‘환경교육’을 키워드로 조사된 261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정하였다. 국내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을 크게 외형적인 측면과 내용 측면으로 구분하여 최근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해보았다. 외형적인 측면에서는 연도별 발표 논문 수, 연구 대상, 연구 형태, 환경 소재, 논문당 저자의 수로 범주를 세분하여 분석하고, 내용 측면에서는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하위범주는 연구 대상은 4개, 연구 형태는 3개, 환경 소재는 18개, 연구 주제는 8개, 연구 대상에서 교육과정영역은 4개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음은 외형적인 측면의 연구결과이다. 연도별 논문편수 분석 결과, 연도별로 40편 내외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는데, 2002년과 2003년의 논문이 각각 30편 미만으로 적은 편이었고, 2003년을 제외하고는 「환경교육」지에 실린 논문 수보다 기타 논문집의 논문 수가 적었다. 기타 논문집의 논문은 교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 것과 전공 학문 분야 학회지에 게재된 것으로 나누어봤는데, 교육관련 학회지가 전공 학문 분야 학회지보다 종류는 적지만 논문편수는 많았다. 연구 대상을 분석한 결과 학교 환경교육에 관련된 논문이 사회 환경교육이나 상호연계에 관한 논문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환경교육」지는 중등학교 관련의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기타 학회지는 초등학교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환경교육」지에서는 중등학교 관련 연구가 초등학교 관련 연구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과는 달리 기타 학회지에서는 초등학교 관련 연구가 중등관련 연구보다 근소한 차이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교교육 연구 중에서는 유치원에 관한 연구가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육에 관한 연구는 일반인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이 상호연계하고 있는 연구도 미흡하다. 기타 학회지에서는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이 상호연계 된 논문이 한편도 없어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상호연계가 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 형태에 관해 분석해본 결과 질적연구, 양적연구, 개발연구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 소재를 분석한 결과 전체환경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환경교육」지에서는 생물, 폐기물, 수질, 자연자원 순으로 많이 연구된 반면, 기타 학회지에서는 숲, 생물, 환경오염, 토양, 도시환경 순으로 많이 연구되어서 기타 학회지와 「환경교육」지에서 생물에 관한 연구가 그나마 공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논문당 저자의 저자 수 분석을 한 결과 「환경교육」지에서는 2인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기타 학회지에서는 단독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두 학회지 모두 단독연구와 2인 공동연구에 편중되어 있었다. 내용 측면의 연구 주제에 관해 분석한 결과 「환경교육」지에서 환경교육 교육과정, 환경교육일반, 환경교육철학, 환경교재론 순, 기타 학회지에서는 환경교육 교육과정, 환경교육일반, 환경교육철학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기타 학회지의 연구 주제는 환경교육 교육과정과 환경교육일반으로 편중되어 있어 다른 영역의 연구가 특히 부족했다. 주요어: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

      •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차이

        김지애 춘천교육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학부모의 교육 참여가 더욱 강화되어야 하는 현실에서 초등학교 학부모 교육 참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교사의 인식 차이가 어떤 측면에서 나타나는지 알아봄으로써 학부모가 학교 교육에 참여할 효과적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 하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의 배경요인(성별, 연령, 학력, 지역, 경제수준, 자녀의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배경요인(성별, 경력, 연령, 직위, 소재지, 담임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부모 학교 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는 가정에서의 부모참여, 교육활동지원을 통한 부모 참여,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참여,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참고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집단 차이는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0VA)을 실시하고 사후검정은 Scheffe´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도 .05 수준에서 집단사이에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절차에 따라 조사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욕구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욕구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균 3.50으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욕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자가, 연령별로는 30대 이하가,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소득별로는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재학학년별로는 저학년일수록 참여욕구가 높다. 가정에서의 부모 참여 욕구는 평균 4.3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의 특성별로 살펴보면 지역별로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의 순으로,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소득별로는 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의 재학학년별로는 저학년일수록 가정에서의 부모참여 욕구가 높았다. 학교 교육활동 지원을 통한 부모 참여 욕구는 평균이 3.22로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렬별로는 30대 이하가, 지역별로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의 순으로,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소득별로는 소득이 많을수록, 재학학년별로는 저학년일수록 참여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참여 욕구는 평균 3.62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가,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소득별로는 소득이 많을수록, 자녀의 학년별로는 저학년일수록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참여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 욕구는 평균 2.82로 낮게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소득별로는 소득이 많을수록 부모참여 욕구가 높았다. 나.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균 3.50으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특성별로 살펴보면 학교소재지별로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순으로 학부모 학교 교육 참여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가정에서의 부모 참여 욕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균 4.5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특성별로 살펴보면 성별로는 여교사가, 학교소 지별로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순으로 가정에서의 부모참여의 인식도가 높았다. 학교 교육활동을 통한 부모 참여 욕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균 3.46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특성별로는 학교소재지별로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의 순으로 담임 학년별로는 저학년일수록 학교교육활동 부모 참여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균 3.46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40대, 30대, 20대, 50대 이상 순으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평균 2.98로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소재지별로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의 순으로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다.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가정에서의 부모참여, 교육할동지원을 통한 부모참여,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참여,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 4개의 영역에서 모두 학부모보다 교사가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부모참여는 자녀들이 공부할 시간과 장소마련, 자녀의 숙제지도, 준비물 챙기는 습관을 갖도록 지도, 자녀에게 책을 읽도록 지도, 학교 생활태도에 관해 듣고 지도, 자녀와 다양한 여행경험 마련등 모든 분야에서 교사가 학부모보다 학부모 참여에 대해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학교 교육활동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는 명예 교사로 활동, 방과후 부진아 학생 지도 위한 학습도우미, 등하교 건널목 교통지도, 현장학습 보조교사로 참여, 교실 환경 정리나 교실 청소에서 교사가 학부모보다 학부모 참여에 대해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의사 소통을 통한 부모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는 자녀의 성적 부진시 교사와 상담, 처벌 방침이나 방식에 대해 의논, 학예발표회나 전시회에 참관, 학교 소식지 읽고 일정과 상황 파악, 부모-교사 협의회에 참여, 전화를 이용하여 교사와 상담, 편지나 이메일을 이용하여 교사와 상담하기에서 교사가 학부모보다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는 학교사업에 필요한 기부금 납부, 학교운영위원회 임원으로 참여, 학급단위 학부모회에 참여, 학교 예산과 결산업무 심의 참여하기에서는 교사가 학부모보다 높은 인식도를 나타내었으나, 담임배정에 관한 협의에 참여하기는 학부모가 교사보다 높은 인식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는 전체적으로 낮은 참여욕구와 인식도를 보였으며 담임배정에 관한 협의에 참여하기는 매우 낮은 관심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해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욕구의 집단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부모들의 참여욕구는 전체적으로 높은 편이였다. 관심영역별로는 가정에서의 부모참여,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참여, 교육활동지원을 통한 부모참여,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 참여 순으로 관심도의 정도가 나타났다. 학교교육 참여가 저조한 농촌, 저학력, 저소득, 고학년 부모들을 학교교육에 참여시킬 수 있는 좋은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 이다. 둘째,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높았다. 성별로는 여자가, 경력별로는 11-20년이, 연령별로는 40대가, 학교소지별로는 대도시가 담임학년별로는 저학년이 학부모 참여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셋째,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정에서의 부모참여, 교육할동을 통한 부모참여,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참여, 관리와 지원을 통한 부모참여 모두 교사의 인식수준이 학부모의 인식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과 학교의 운영과 교육은 학부모의 참여로 더 개선될 수도 있다. 이처럼 교사와 학부모의 연계교육은 아동에게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들이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를 학부모보다 더 절실히 원하고 있다. 교사가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를 얼마만큼 유도해 내느냐에 따라 아동에 대한 교육효과가 달라지므로 학교와 교사는 학부모들이 학교교육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방안들을 마련하여야겠다. 학부모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교사 인식의 확립과 외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학부모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여건과 분위기 마련을 위해 행정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데 학부모를 위한 소책자를 기획하여 학부모의 학교 참여의 의미와 효용에 관한 내용을 실어 학부모의 공감을 얻어내고, 교사들에게는 학부모와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법 등을 알려주는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 등이 그 대책이 될 수 있다. 또한 국가나 지방 정부 차원에서 기업체로 하여금 근로자가 자녀의 학교 협의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간을 내주도록 하는 법규 제정도 필요하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이 교사와 학부모가 자유롭고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이다. 학부모를 위해서 저녁 시간에 협의회를 개최하거나 일정시간의 전화 면담시간을 실시하는 것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가 학부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계획 수립 및 실행에 필요한 시간도 확보해 주어야 한다. 학부모 참여 유도를 중요한 업무의 하나로 간주하여 필요한 시간적, 재정적 지원을 할 때 그 효과가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perceptions about parents school participation by parents' social background variables (sex, age, education level, area, income, and grade of their child), by teachers' social background variables (sex, career, age, status, and grade of their pupils), and by groups (teachers and par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642 parents and 323 teache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30 items about parents participation in home, parents support of educational activity in school,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nd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dministration and decision making.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s had much desire for the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Parents, who were women, younger than thirties, high educated, from high income family, and with children in lower grades, had more desire for the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than the rest. Seco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were very positive to the parents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eachers who worked in urban schools were more positive than rural schools. Third, it was found that teachers concerned about parents participation more than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eachers wanted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more strongly than parents. Because the result of education depends on the degree of the parent's cooperation with teachers and participation in school, schools and teachers should prepare various plans or programs for the parents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actively and effectively. To lead the parents' participation, following administrative supports are necessary. That is, planning booklets for the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offering teachers some workshops to make desirable relationships with parents, making regulations to allow parents workers time to participate in Parent-Teacher Association, and ensuring time for teachers and parents to communicate each other in free and comfortable condition. Moreover, the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eachers will take effects when leading the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uties of teachers.

      • 교육정책 형성 과정의 사회연결망 분석: 20대국회 교육법안 입법을 중심으로

        강동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on of education bills is a process of establishing education polic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ocial network among lawmakers who propose the bills and between the lawmakers and the bills. Existing studies on education policy have conventionally focused on verifying the legislative process behind certain bills and their effectiveness, identifying the network structure and model of action groups in the legislative process, and analyzing specific interactions among the action groups. However, because such studies focus on the legislative process behind one specific policy, they fail to provide insight into the general trend of education policies of that particular time period. In addition, studies did not sufficiently verify how the action groups’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ver the legislative process effected the entire policy process. Thus, this study views the National Assembly as the core action group among the main action groups behind the education policy making process and conducts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lawmakers’ legislative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296 lawmakers that were active in the 20thNationalAssembly and collected materials on the education bills that were co-sponsored by lawmakers. The study used centrality measures as its mode of analysis and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UCINET6 and NETDRAW. The study has produced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a degree centrality analysis elicited the following results on each group’s influence. In terms of political partie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and the Liberty Korea Part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Lawmakers from these two parties enacted a higher number education bills than those of other parties. The two parties based their legislative activities on their respective party views, evident by the tight groups formed within the network amongst lawmakers of the same party.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in particular, formed a group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and led the degree centrality social network with the lawmakers ‘Kimjw’ and ‘Chunjs’ forming the main connections. In terms of standing committees, the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As the primary standing committee behind the education policy making process, the committee fittingly showed active participation in enacting multiple education policies. The lawmakers leading the network were ‘Chunjs’, ‘Nohwr’, and ‘Kimmk’. In terms of seniority, lawmakers who were in their second and third terms showed relevant influence. These senior lawmakers did not stop at one-off participations but joined the efforts behind multiple education bills. Of senior lawmakers, ‘Nohwr’, ‘Kimmk’, and ‘Dojh’ led the network. Second, a closeness centra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duce the following results. In terms of political partie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Twelve lawmakers out of the fifteen with the highest closeness centrality measures were members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demonstrating that the party was responsible for swiftly spreading information within the social network. The lawmakers leading the network were ‘Kimjw’ and ‘Nohwr’. In terms of standing committees, the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the Science, IC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mmittee, and the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showed relevant influence. Out of the sixteen standing committees, the above committees had the best access and means to spread information regarding education policies. Lawmakers ‘Nohwr’, ‘Kimst’ and ‘Yuonsh’ led the network. Third, a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In terms of political parties, the Liberty Kore Party, the Party for Democracy and Peace, and the Bareun Mirae Part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The Liberty Korea Party was sharing information on education bills with other parties through the lawmakers ‘Kimst’ and ‘Leejb’ as intermediaries and lawmaker ‘Hwangjh’ acted as the bridge for information in the Party for Democracy and Peace. In terms of standing committees, the Science, IC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mmittee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The lawmaker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s, ‘Kimst’, ‘Shinyh’, and ‘Kimkj’ are members of the Science, IC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mmittee, indicating that this committee was the most active among the standing committees in delivering information regarding education bills. In terms of senior lawmakers, lawmakers in their second and third terms were relaying the most information. The lawmakers ‘Hwangjh’, ‘Leejb’, ‘Leecs’, and ‘Nohwr’ were also actively relaying information on the legislative activities of newly elected lawmakers who held the highest number of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Fourth, an eigenvector centrality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In terms of political partie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ut of the thirteen lawmakers with the highest eigenvector centrality measures, twelve were members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In other words, not only did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enact the highest number of laws, but they also showed a tendency to find members of the same party with high degree centrality measures when forming co-sponsor groups. In terms of standing committees, the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ut of the seven lawmakers with the highest eigenvector centrality measures, four were members of the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These lawmakers showed a tendency to form co-sponsor groups with influential lawmaker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points within the network.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social network between the lawmakers who enacted the education bills and the bills themselves are as follows. In terms of political partie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and the Liberty Korea Party showed significant legislative activity in the education policy making proces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showed wide-reaching participation in six categories of education bills, and focused their party resources on the Minority Support Act to politicize the concept of education welfare. The Liberty Korea Party showed wide-reaching participation in five categories and focused their resources on the Character Education Act and the Education Statistics Act. In terms of standing committees, the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and the Science, IC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mmittee showed distinct influence. The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participated in all seven categories of education bills and showed particularly high interest and activity in the Minority Support Act. The Science, IC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mmittee also participated in all seven categories and fittingly focused on the Science and Gifted Education Act. Furthermore,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also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The group of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participated in all seven categories, and each representative focused on categories pertinent to their individual specialties. Further, it is a worthy effort that several lawmakers showed interest in the Character Education Act, which is a traditional educational objective. Meanwhile, the study also examined the social network between policy making lawmakers and the bills in terms of senior lawmakers. Their legislative activities were relevant and some efforts were worthy of positive mentions. Senior lawmakers showed participation in all seven categories, and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was not partial to specific ones but was generally uniform across all categories, leading the overall network. They showed particular interest i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Act, and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Statistics Acts, which was neglected by newly elected lawmakers, to relay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state of matters in education. 본 연구는 국회의 교육법안 입법행위를 교육정책 형성의 과정으로 보고 법안을 발의하는 국회의원 간 사회연결망, 국회의원과 법안 간의 사회연결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교육정책 연구는 정책의 추진과정과 그 효과성에 대한 검증, 정책형성에 참여하는 행위 집단 간의 네트워크 구조와 모형, 행위 집단 간 상호작용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하였다. 하지만 위의 연구들은 정책형성 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한 가지 정책의 형성과정에만 집중하여 해당 시기 교육정책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또한, 행위 집단 내부의 특성 및 그들이 교육정책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 방식으로 발휘되는지를 자세히 검증하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정책 형성의 주요 행위 집단 중 국회의원 집단을 핵심 행위 집단으로 보고 국회의원의 법안 발의 행태를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20대국회에서 활동한 296명의 의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대국회에서 의원들이 공동발의하여 입법 한 교육법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사회연결망 분석의 중앙성 분석(Centrality measure)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도구로는 UCINET6와 NETDRA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정도 중앙성(Degree centrality)을 기준으로 살펴 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효과 측면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유의미한 정당효과를 보였다. 두 정당의 의원들은 타 정당 의원들에 비하여 교육법안을 다수 입법하였다. 두 정당은 당론을 중심으로 의정 활동을 펼쳤는데 그 증거가 연결망 내에서 집단을 이루며 동일 정당 의원들끼리 촘촘한 연결망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연결망 중심부에 집단을 이루며 연결정도 중앙성 기준의 사회연결망을 주도 하고 있었는데, 교육정책 형성 과정에서 ‘마당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의원은 ‘Kimjw’, ‘Chunjs’ 의원이었다. 상임위원회 효과 측면에서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교육정책 형성 과정의 주무상임위원회라는 명칭에 걸맞게 교육법안을 다수 입법하는 적극성을 보였다. 연결망을 주도한 의원은 ‘Chunjs’, ‘Nohwr’, ‘Kimmk’ 의원이었다. 중진의원 효과 측면에서는 재선과 3선 의원의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재선과 3선 의원들은 교육법안을 입법함에 있어 일회성 참여만 한 것이 아니라 다수의 교육법안 입법에 참여하였다. 중진의원 중에서는 ‘Nohwr’, ‘Kimmk’, ‘Dojh’ 의원이 연결망을 주도하였다. 둘째, 인접 중앙성(Closeness centrality)을 기준으로 살펴 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효과 측면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인접 중앙성 지수 상위 15인 안에 12명의 의원을 배출하며 사회연결망 내에서 가장 빠르게 정보를 확산 시킨 정당이었다. 연결망을 주도한 의원은 ‘Kimjw’, ‘Nohwr’ 의원이었다. 상임위원회 효과 측면에서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위의 상임위원회는 16개 상임위원회 중 교육법안에 관한 내용에 가장 빠르게 접근할 수 있고, 가장 빠르게 정보를 확산 시킬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연결망을 주도한 의원은 ‘Nohwr’, ‘Kimst’, ‘Yuonsh’ 의원이었다. 셋째, 사이 중앙성(Betweenness centrality)을 기준으로 살펴 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효과 측면에서는 자유한국당, 민주평화당, 바른미래당이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자유한국당은 ‘Kimst’, ‘Leejb’ 의원을 중심으로 타 정당과의 법안정보교류를 매개하고 있었다. 민주평화당에서는 ‘hwangjh’ 의원이 법안정보교류에 있어 ‘다리’ 역할을 담당했다. 상임위원회 효과 측면에서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효과가 유의미 하였다. 사이 중앙성 지수가 높았던 ‘Kimst’, ‘Shinyh’, ‘Kimkj’ 의원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이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교육법안 입법에 있어서 상임위원회간의 정보를 가장 많이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진의원 효과 측면에서 볼 때, 재선과 3선의 의원들이 의회 내 정보를 가장 많이 매개하고 있었다. ‘hwangjh’, ‘Leejb’, ‘Leecs’, ‘Nohwr’ 의원은 중진의원 내부에서 뿐만 아니라 의회 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초선의원들의 의정 활동 정보도 적극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위세 중앙성(Eigenvector centrality)을 기준으로 살펴 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효과 측면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효과가 유의미 하였다. 위세 중앙성 지수 상위 13인 안에 12인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었다. 즉, 더불어민주당은 법안을 많이 입법 할 뿐만 아니라 공동발의 집단을 형성할 때 연결정도 중앙성(Degree centrality)이 높은 동일 정당의 의원을 찾는 특성을 보였다. 상임위원회 효과 측면에서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위세 중앙성 지수 상위 7인 안에 4명이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의원이었다. 이들은 연결망 내에서 연결정도 중앙성(Degree centrality)이 높은 영향력이 있는 의원들과 공동발의 집단을 형성하려는 특성을 보였다. 다섯째, 교육법안을 입법한 국회의원과 법안 간의 사회연결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효과 측면에서 살펴 볼 때, 교육정책 형성과정에 있어서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이 유의미한 의정활동을 펼쳤다. 더불어민주당은 6가지 유형의 교육법안에 폭넓게 참여하였으며, ‘소수자 지원법’에 당의 역량을 집중하여 ‘교육복지’의 개념을 이슈화 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자유한국당은 5가지유형의 법안에 폭넓게 참여하고 있었으며, ‘인성교육법’과 ‘교육통계조사법’에 당의 역량을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상임위원회 효과 측면에서 살펴 볼 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효과가 뚜렷하였다.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의원들은 7가지 유형의 법안에 모두 참여하고 있었으며 특히, ‘소수자 지원법’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참여하였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7가지 유형의 법안에 모두 참여하였고, ‘과학·영재교육법’에 집중하여 위원회의 이름에 걸맞은 의정활동을 보였다. 또한, 비례대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비례대표 의원 집단은 7가지 유형의 법안에 모두 참여하고 있었으며, 각자 자신의 전문분야라고 할 수 있는 법안 유형에 집중적으로 입법행위를 전개하고 있었다. 또한 전통적인 교육의제인 ‘인성교육법’에 많은 관심을 보인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이다. 한편, 입법의원과 법안 간의 사회연결망을 중진의원 효과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들의 의정활동은 유의미 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할 요소가 있었다. 중진의원들은 7가지 유형의 법안에 모두 참여하고 있었고 참여정도 또한 특정 유형의 법안에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참여하며 연결망을 주도하고 있었다. 특히,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심이 높았고, 초선의원들이 무관심했던 ‘교육통계 조사법’에 참여하여 교육문제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 구성주의적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홍정표 춘천교육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들어 금강산 관광, 남북 경제 교류의 확대, 통일 교육 지원법의 제정, 남북 정상회담의 실현 등을 계기로 그 어느 때보다도 통일 및 통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학교 현장에서는 통일에 대해 무엇을, 어떤 방법으로 학습해야 하는 지에 대한 방안이 제시되거나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안타깝게도 교실 현장의 모습은 이전과 별반 달라진 것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통일된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갈 주역인 학생들이 새로운 통일 학습, 즐거운 통일 학습을 체험하게 할 방법에 대해 고민을 해 보았다. 그리고 그 방법의 실마리를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고, 그 과정 중에서 스스로 탐색하며 자신의 세계를 구성해 나간다는 학습이론인 구성주의에서 찾았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 즉각 투입될 수 있는 구성주의적인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를 해봄으로써 새로운 통일 학습 자료 제작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I장에서는 구성주의의 개념과 구성주의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여기서는 구성주의가 '학습자들이 그들 스스로 지식을 구성한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는 것과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식을 구성한다는 것이 단지 정답을 말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목표에 이르는 길을 탐색하고 찾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구성주의 학습의 초점인 '학습자를 자기 규제적인 지식 창조자로 보는 관점의 학습 방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큰 기쁨과 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성주의는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N세대에게도 가장 잘 어울리는 학습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II장에서는 먼저 통일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에는 기존의 객관주의 철학의 교수ㆍ학습 방법과 구성주의적 교수ㆍ학습방법을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 면에서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구성주의의 교육과정의 개발, 교육환경의 구성, 교사들의 수업, 교사와 학생의 역할을 살펴보면서 교실에서 펼쳐질 수 있는 구성주의적 학습방법에 대해 자세히 고찰해 보았다. IV장에서는 먼저 구성주의적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으로 수업에 직접 투입 가능한 실용적인 프로그램, 학습자의 발달 수준 및 생활세계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통일의식의 변화를 고려한 통일교육 프로그램, 사회 문화 중심의 접근을 중시한 프로그램,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라는 5대 원칙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할 프로그램의 영역을 첫째, 민주시민 교육, 둘째, 평화 교육, 셋째, 민족공동체 교육, 넷째, 북한이해 교육, 다섯째, 안보 교육의 5대 영역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개발의 5대 원칙과 통일 교육의 5대 영역에 부합하는 구성주의적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영역별로 2개씩 총 10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같은 다양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통일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개발되어 수업 현장에서 활용될 때 통일교육이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교육의 중심에 설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통일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가장 주요하고 의미있는 활동이 될 것이다. Recently, it is true that people's interest in unifi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much more than any other times, with Keumkangsan Tour, extension of economic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legisl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Law and South and North's Summit Talk as momentums. However, even under this bright atmosphere, the plans about what and how to teach unification at schools have not been suggested or studied. As a result, unfortumately the shape of classroom on the site has been little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how to make students, who will lead our unfied country in the future, experience new unification education and pleasant unification learning. And, it attached importance to the learning process as a clue to solutions, and found it from the constructivism, which is the learning theory saying that students inquire on the way to the learning process and make up their own world for themselves. And, it tried to suggest the mothods to produce new unification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by studying how to develop constructivism-style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be immediately introduced to school sites. In Chapter II, we considered the concepts and importance of constructivism. Here, we could recognize that the constructivism starts from the idea, that is, "Learners make up their own knowledge for themselves", and also recognized that making up knowledge on the way to resolve problems doesn't mean that they just said right answers, but means that they inquired and found the way to reach the goal. And, we could see that the focus of constructivism learning, "the learning method that regards learners as self-controlled knowledge creators", is the one that can provide the great pleasure and satisfaction to students. In addition, we could see that the constructivism is the most suitable learning method even for N Generation in this information age of 21st century. In Chapter III, we considered first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n compar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existing objective philosophy with the constructivism-styl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he aspects of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 evaluation. And, we minutely looked into the constructivism-style learning method, which can be progressed in classrooms, as we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vism-style curriculum, the constitu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ers' class and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Chapter IV, we set up first 5 principles, that is, the practical program that can be directly introduced to class with a basic direction toward constructivism-style unification education, the program that can be matched well to learners' development level and living world, the program that considers the change of consciousness about unification, the program that attaches importance to the approach centered on society and culture and the program that can be actively joined and experienced. Next, we selected 5 areas for the program to be developed, such as, 1)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2) peace education, 3) national community education, 4) North Korea understanding education and 5) security education. Lastly, we developed two constructivism-style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each per 5 areas, total 10 programs, which are well matched to 5 principles in program development and 5 areas in unification education. When the various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like thos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unification environment and utilized at class sites, the unification education may stand on the center of the education necessary for this times, and this may become the most important and meaningful activity on the way to unification.

      • 실과 교과에서 포트폴리오 수행평가가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6학년 「8.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엄혜자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실과 교과에서 포트폴리오 수행평가가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6학년 「8.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Pro-Enviornmental Attitudes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 Based on the chapter「 8. My Life to Protect the Environment」 of 6th grade -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실과교육전공 엄 혜 자 지도교수 : 양 정 혜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고도의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 교육의 일환으로 실과 6학년「8.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단원의 포트폴리오 수행평가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아동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사회적 환경이 비슷한 6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4주간 8차시에 걸쳐 실험집단(33명)은 포트폴리오 수행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31명)은 교사용지도서와 그에 따른 일반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여 환경친화적 태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트폴리오 수행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은 환경친화적 태도 평균점수가 상승하고 환경감수성 및 실천능력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경오염, 환경보전, 환경위생, 건전한 소비생활 주제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교사용지도서를 적용한 비교집단은 평균점수가 하락하고 영역별, 주제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실과 환경단원에서의 포트폴리오 수행평가의 적용은 실과 수업을 통한 환경교육에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능동적인 학습활동이 전개됨은 물론 체계적인 학습활동이 가능하여 환경친화적 태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교사들이 현장에서 환경교육을 하며 교사와 학생의 평가로 인한 고충을 덜며 환경에 관한 다양한 영역을 체계적이고 다방면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과정 중 자연스럽게 평가가 이루어지는 체계적 수행평가 자료가 개발․ 적용되어, 교수와 평가의 통합을 꾀하여야 하겠으며, 실과 교육에서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교과를 통해 환경교육의 영역별로 교사들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 실과교육, 환경교육, 환경친화적태도, 포트폴리오수행평가

      • 초등교원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정호열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사는 학생이 성장할 수 있는 잠재능력을 최대한 신장시키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교사의 역할은 사회 및 국가 발전의 수준과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교육 계획과 교육 정책, 교육 방법 등은 교원의 자질, 역할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과 자질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오늘날 교육현실은 일관되지 못한 교육정책과 교사에 대한 사회적 불신 및 학교교육에 대한 불만 등으로 교사의 자긍심이 낮아지고 권위가 실추됨에 따라 교권은 경시되고 침해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부모들이 알고 있는 초등교사의 교권 인식 정도를 연구함으로서 교권행사의 주체인 교사가 교육을 함에 있어 이해갈등을 미래지향적으로 변화시켜 교사와 학부모간 건설적 신뢰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교권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여 교사들의 교권을 확립하고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인지하고 있는 교사의 교권 전반에 대한 이해 및 교사의 권리를 인정하는 정도, 교권 확립의 저해요인을 찾아보고 교권 확립을 위한 구체적 방안 수립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따라서 교권을 신장하고 확립하기 위한 학부모의 요구를 도출하기 위해 질문지를 이용하여 강원도에 소재한 6개 시․군 초등학교 가운데 10개교를 선정하여 그곳에 재학중인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710명에 대해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는 교육자로서의 인품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자가 남자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고학력자일수록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은 교사의 경제적 지위는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며 사회적 지위는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학습지도 능력이 교권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우리 사회의 배경이 학습능력을 지향하고 학업수준에 따른 학교진학 정책에 따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교사의 생활지도 능력과 학력 및 연구능력도 교사의 전문성에 비춰볼 때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장교사 여부에 대해 고학력자일수록 교권 형성에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교사의 자질이라고 볼 때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들의 인식이 교사의 권리 및 권위는 곧 교원의 자질과 같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학부모가 초등학교 교사의 권리를 인정하는 정도에 대해 교육권, 신분권, 재산권의 보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상의 권리 중 학급운영의 자율권과 학생지도 및 징계권은 특히 남자가 여자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산상의 권리 중 교사의 보수우대권에 대해서는 별로 그렇지 않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분상의 권리인 교원단체 결성과 교섭협의권, 쟁소제기권은 고학력자일수록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권의 포괄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정도는 별로 높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교권에 대한 이해는 별로 없으면서 막연히 보장해주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교권 보장에 대한 법적․제도적 장치에 대한 홍보 부족 및 학부모의 관심 부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는 교사를 어느 정도 존경하고 있으나 교사의 도덕성 부족과 학생지도 능력부족 등이 교사를 존경하지 않는 원인으로 인식하여 교사를 존경하지 않는 이유를 교사의 자질에서 찾고 있었다. 셋째, 교권 확립의 저해 요인 중 학부모는 교권이 경시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침해되지는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물의 결과 중 교사의 인식과 상당히 차이가 나는 부분이었다. 교권 경시 정도에 대해 전문직과 공무원의 경우 어느 정도 경시된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권 침해 정도에 대해 남자와 고학력자일수록 교권이 침해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권 확립을 저해하는 요인은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한 교사의 노력 부족과 교권 확립을 위한 제도적․법적 보장 및 여건 조성 미흡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 경시 및 침해의 주체는 학부모 및 교육행정기관이라고 인식하였으며 대표적인 교권침해사례는 교사의 학생지도에 대한 학부모의 폭언․폭력이라고 인식한 학부모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권 신장 및 확립을 위해 학부모는 교사 스스로가 전문성을 신장하여야하며 교사를 존경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이상적인 교사상으로 학생지도능력에 힘쓰는 선생님과 전문적 자질 향상에 힘쓰는 선생님을 요구하였다. 교권 신장을 위해 교사와 학생․학부모 모두의 역할이 중요하며 고학력자일수록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위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