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初等道德敎育에서의 配慮倫理를 通한 情意領域 指導 方案 硏究

        김두성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50815

        오늘날 社會 全般에 나타나는 非道德的 현상이나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道德的 生活은 도덕적 規範이나 知識의 습득 정도에 머무르는 상태로서, 自律的 측면의 道德的 判斷力은 빠르나 공동체 생활에서 他人을 配慮하고 尊重하는 면에서는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기존 道德敎育에 대한 反省과 함께 새로운 도덕교육으로의 轉換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제 7 차 도덕교육과정에서는 道德性의 認知 領域 이외에 情意, 行動的 영역을 한층 확대하여 세 영역이 고루 잘 발달된 바람직한 統合的 人格의 형성에 力點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그 동안 초등학교 도덕시간에 아동들에게 소홀하게 다루어진 道德科 情意的 영역의 새로운 지도 방법 개발을 위하여 道德的 情意의 槪念과 그 重要性을 살펴보며, 情意와 관련이 깊은 配慮 倫理를 초등도덕교육에 적용하여 지도할 방안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먼저 '道德科의 情意的 領域'에서는 문헌을 통해 情意와 관련된 道德的 感情, 感性, 情緖, 情念 등의 槪念과 要素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 用語들은 學者에 따라 定義를 달리 하며 엄밀하게는 서로 구분이 되는 개념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모두 도덕과의 '情意'와 類似한 의미로 해석하였다. 道德的 情緖는 도덕적 行爲의 강력한 動機가 되고, 認知的 요소와 相互 補完的이며, 相互 關係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발달해 가는 특성이 있어서 도덕 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情意的 要素가 된다. 傳統的으로 情意에 대하여는 東·西洋 모두 理性과 情念(passion), 정신적 삶의 認知的 측면과 感情的 측면의 二分法上에서 해석하고 있으며, 우리의 傳統 文化 속에서도 情的인 측면은 극복해야 할 惡德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짙었다. 이러한 道德的 情意에 대한 전통적 개념으로 인해 그에 대한 교육은 자연히 소홀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균형 잡힌 道德敎育의 目標를 이루기 위해서는 도덕과 情意的 領域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 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하게 된 것이다. 새로운 情意的 道德敎育의 패러다임으로 配慮 倫理(an ethic of care)가 있다. 이 배려윤리는, 1960년대 이후에 콜버그(Lawrence Kohlberg)를 주축으로 연구되어 최근까지 도덕교육의 內容 構成과 敎授 方法의 形態에 큰 변화를 일으켰던 正義倫理가 1970년대 중반 이후 그 가설 설정과 연구 방법상의 결점 때문에 비판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새롭게 논의가 진행되는 이론이다. 하버드의 교육심리학자 길리건(Carol Gilligan)은 '캐롤 길리간의 道德心理 연구'에서 도덕성을 個人의 권리와 독립성을 강조하는 正義 道德性과 인간관계나 相互 依存性, 責任을 강조하는 配慮 道德性이라는 두 개의 도덕성으로 구분하고, 전자를 男性, 후자를 女性의 도덕성으로 性과 연관하여 설명하였다. 傳統的인 기존의 도덕성에 대한 연구는 男性만을 기준으로 하여 女性은 도덕적으로 劣等한 존재로 평가해왔다는 것이다. 따라서 참다운 道德性의 發達을 위해서는 기존의 도덕적 관점을 확대하여 女性의 관점도 새롭게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하게 된 것이다. 나딩스(Noddings)는 길리건의 이론을 토대로 하여 이를 哲學的으로 보완하고 體系化하여 道德敎育에 적용시키려는 시도를 하면서 더욱 배려윤리를 성숙시키게 되었다. '나'와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람의 反應이 '나'의 행위의 도덕성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 이러한 관계를 存在論的 根源이라고 하며, 倫理的 行動의 根源이라고 보았다. 配慮倫理는 正義倫理와 비교 분석하여 특성을 더 확실히 할 수 있다. 콜버그는 道德的 思考(moral thinking)란 무엇보다 사회 속에서 생겨나는 인간 관계의 갈등해결에 관련된 것이기에 '正義(justice)'의 도덕 원리는 오래 전부터 바람직한 인간 관계와 사회의 성격을 규정해 온 規範的 價値이며, 특히 모든 인간들이란 공평하게 취급되어야 한다는 當爲性을 중시하는 원리로 여겼다. 따라서 '正義'라는 도덕원리는 理性的인 思考와도 깊이 관련되어 있고 객관적이며 중립적인 판단 형태를 중시하는 특징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配慮(care)'의 윤리는 正義 중심의 도덕 판단 이론과 전혀 다른 특성들, 예컨데 인간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配慮, 相互依存性(interdependence), 민감한 응답의 성향, 愛着과 같은 특성을 중시하는 道德的 性向에서 발전되었다. 正義와 配慮倫理는 서로 상반되는 여러 관점을 가지고 있으나, 결국 서로의 도덕적 입장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연결되어 相互依存의 관계를 유지할 때 總體的, 統合的인 인간 발달과 道德敎育의 目的을 온전히 이룰 수 있게 된다. 配慮倫理의 발달 단계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와 유사하나 '自己 利益 지향 (The orientation toward self-interest)'의 個人的 生存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단계에서 '利己心에서 責任感 (From selfishness to responsibility)'으로 가는 과도기를 거쳐, '善과 他人에 대한 責任感의 同一視(Identification of goodness with responsibility for others)'의 2수준으로 발전한다. 다시 '同調에서 새로운 內的 判斷 (From conformity to a new inner judgment)'으로 가는 2과도기를 거쳐 최고 配慮 도덕성 발달 단계인 '自我와 他人 사이의 역동성에 초점을 둠(Focusing on the dynamics between self and others)'의 相互依存的이고 非暴力的 도덕성으로 성숙하게 되는 5 단계로 발전해 간다. 나딩스의 道德 敎育論은 초등 도덕 교육에서의 情意的 領域 지도 방안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 나딩스는 모든 敎育制度와 교육적 노력의 일차적인 목적이 配慮의 維持와 强化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는데, 우리 나라 초등 도덕 교육도 그 바탕을 배려윤리에 둔 '남에 대한 配慮'를 統合的 道德的 人格의 목표로 삼아야 하겠다. 그녀가 제시한 네 가지 도덕교육의 방법-模範(modeling), 對話(dialogue), 實踐(practice), 確信(confirmation)-을 初等 道德 敎育課程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여 실천하고 개선할 主眼點으로 두었다. 위의 '實踐' 교육 방법의 중요한 한 부문으로서 학교의 道德科 敎授-學習은 情意的 영역의 강화 방법으로 개선해 가야할 부분이 많다. 그 중에 다양한 情意的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兒童의 心情에 感動을 주는 수업으로 이끌어 아동들의 도덕적 행동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情意的 측면의 지도를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 모형으로 役割놀이(role play)모형, 配慮(caring)모형, 家庭 連繫 모형, 考察 모형, 感動 感化 수업 모형 등을 들 수 있다. 각 수업 장면에서 도덕적 규범과 관련된 道德的 感情을 표현하고, 자신과 타인의 道德的 情緖를 공유하며, 도덕적 모범에 비추어 자신을 반성하는 태도를 기르는데 중점을 두어 상황에 맞는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 도덕 교육은 도덕 수업뿐 아니라 전 교과에 통합하는 學校 全體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해야 한다. 현재의 도덕과 수업은 타 교과에 비해 授業 技法이 단순하여 아동들에게 흥미를 주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아동들의 도덕적 학습능력의 특징을 살린 情意的 측면의 다양한 授業技法을 개발하여 활용하면 좋을 것이다. 도덕과는 全人敎育, 人間主義교육 등이 지향하는 理想과 같이 知的 領域 뿐 아니라 情意的 領域의 특성도 함께 조화롭게 발달시켜가야 하는 교과이므로 도덕과의 평가에서는 타 교과보다 다분히 情意的 領域의 평가요소가 더 많이 수렴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덕교육의 목표를 '남에 대한 配慮의 實踐'에 두고 거기에 따라 다양하고 의미 있는 情意的 영역의 도덕과 교수-학습 활동을 유도하며, 도덕과의 평가의 준거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처럼 도덕교육에서의 情意的 영역지도에 있어서 配慮倫理의 적용은 윤리적 측면으로서 正義 倫理와 대치되는 도덕성으로 인식되거나, 性과 관련 지워 서로 排斥하는 관계로 인식되기 쉬운 면에서 서로 調和를 이루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교육 주체인 敎師와 매개의 역할을 하는 學校 制度 및 構造가 認知的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學校는 아동들이 처음으로 家庭 밖의 공동사회에 시민으로서 참여하여 知識을 획득하고 責任을 맡게 되는 場이다. 바람직한 情意的 도덕 교육을 통해서 도덕적 판단이나 지식으로 그치는 도덕인이 아니라, 도덕적 배려 행동을 실천하는 統合的 道德人이 육성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oday, non-moral phenomena appearing in society as a whole or students' moral life in the school site are at a state of acquiring moral norms or knowledg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at Moral judgement is agile in autonomous terms but in terms of caring for or respecting for others in the community life. Therefore, a shift to new moral education along with the reflection of existing moral education was needed. In keeping with this trend, the 7th Moral Curriculum placed emphasis on the formation of desirable integrated character of the person who has the evenly developed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of morality by adding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to the existing cognitive domai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moral emotion and its importance by develop the new instructional method of the emotional domain of the morality subject that has been negligently provided for children in the good citizenship class for the years. And it attempted to grope the plan to instruct children by applying the ethic of care closely related to emotion to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First, this study sought to inquire into the concepts and elements such as moral affection, sensibility, sentiments and passion associated with emotion throug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emotional domain of the morality subject. These terms vary according to scholars and are precisely distinctive concepts. But this study interpreted all of them as the meaning similar to 'emotion' of the morality subject. Moral sentiment or emotion becomes the string motive for moral behavior, mutually complemental with the cognitive element, and becomes the emotional element occupying the important place in moral edu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natural development through interrelationship. Both the east and the west have made a dichotomous interpretation of emotion as reason and passion, and the cognitive aspect and the emotional aspect of the spiritual life. the aspect of feelings has the string tendency to be regarded as the vice to be overcome in our traditional culture. Owing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moral emotion, the education of it has been naturally neglec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morality and emotional domain and reinforce the education of the further to attain the objective of balanced moral education in the future. There is an ethic of care as the new paradigm of emotional moral education. The ethic of care is the theory newly discussed because the ethic of justice studied by Lawrence Kohlberg since the 1960s and making great changes to the form of content composition and teaching method of moral education until recently has become subject to criticism due to the deficiency in hypothesis setting and research method. In his study on moral psychology, Carol Gilligan, the moral psychologist of Harvard University, divided morality into two types of morality such as the morality of justice emphasizing individual right and independence and the morality of care emphasizing human relations or interdependency and responsibility. And he explained them by linking the former with man and the latter with woman. Studies on existing traditional morality have evaluated that woman is the morally inferior existence on the basis of man alone. In consequence, this study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xisting moral perspective and include woman's perspective newly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true morality. Based on Gilligan's theory, Noddings philosophically complemented and systematized it and attempted to apply it to moral education and brought the ethic of care into maturity further. The relationship that the reaction of others having relations with 'me' becomes the important criterion of moral judgement of 'my' behavior is called the ontological source and viewed as the source of ethical behavior. An ethic of care can be more clearly characterized though its comparison with the ethic of justice for analysis. Kohlberg viewed that the moral principle of justice is the normative value prescribing desirable human relations and the nature of society since long ago, especially the principle attaching importance to 'Sollen' that all human beings should be fairly treated, because moral thinking, among other things, is related to the solution to the conflict of human relations arising from society.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moral principle of 'justice' is marked by its profound relationship to reasonable thinking and importance attached to the objective and neutral form of judgement. But, an ethic of care developed from the moral propensity of attaching importance to characteristic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justice-centered moral judgement theory, for example such characteristics as care, interdependence, the disposition of sensitive response and attachment shown in human relations. The ethics of care and justice have several diametrically opposed perspectives, but when their moral positions are mutually harmonized, linked with each other and maintai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they can help attain the goal of total and comprehensive human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ethic of care is similar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morality, but it develops in two stages from the stage of giving the highest priority to the individual existence of the orientation toward self-interest, through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selfishness to responsibility, to the stage of identification of goodness with responsibility for others. And it develops the 5th stage of maturing into the interdependent and non-violent morality focusing on the dynamics between self and others, the highest developmental stage of the ethic of care, through the 2nd transitional period of going from conformity to a new inner judgement. Noddings's theory on moral education has many suggestions as to the instructional plan of the emotional domai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Noddings emphasized that the primary purpose of every educational system and effort consisted in the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of care. Elementary moral education should aim the 'care for others' based on the ethic of care at comprehensive moral character. It should be focused on applying, practicing and improving the four methods of moral education she presented -modelling, dialogue, practice and confirmation - in elementary moral curriculum in a specific manner. Learning -learning of the morality subject in school as one important department of the educational method of 'practice' have much to be improved as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emotional domain. Among other things,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diverse emotional learning - teaching models will allow children to change their moral changes through the class of giving impressions on children in several settings.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instruction of diverse emotional aspects includes the role play model, the care model, the home linkage model, the investigation model, the impression and inspiration model and the like. It is necessary to draw up and use the learning-teaching plan well-suited to the setting with a focus on allow the student to express the moral emotion related to the moral norms in each school setting, share with others' moral emotion and cultivate the attitude of reflecting him-/herself in the light of the moral norms. And moral education in schooling should be reflected as the school-wide program that integrate a good citizen class with the whole curriculum. The current class of the morality subject, unlike other subjects, is simple in the teaching technique and so gives little or no interest to children. It would be good to develop and apply a variety of instructional techniques of the emotional aspect by taking advantage of children's ability of moral learning. The morality subject is the one that should be harmoniously develop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intellectual domain and the emotional domain like the ideal toward which education fro the whole man, humanitarian education and the like are oriented. Thus, in evaluating the morality subject, the assessment element of the emotional domain should be taken into more consideration than any other subject.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 the practice of care for others, on which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diverse and mean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the morality subject of the emotional domain and use it as the reference for evaluation of the morality subject. Like this, application of the ethic of care in instructing the emotional domain in moral education has the problem that it is understood as morality opposed to the ethic of justice in ethical terms or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ethic of justice because it is like to be understood as having the relationship of excluding each other by relating it to sex. And the school institution and structure playing a role as the medium with the teacher, the educational actor, have the cognitive problem. The school is the place which allows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utside the home as the citizen, acquire knowledge and be given responsibility. Children should not only become the moral people armed with moral judgement or knowledge through desirable emotional moral education but be made the integrative moral people to carry the behavior of moral care into practice.

      • 보살핌윤리의 初等道德科敎育에의 適用

        림광택 서울교육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50799

        이 논문은 보살핌윤리의 이론적 배경(背景)과 그 이상(理想)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현행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敎育課程)을 분석하여 그 실태와 문제점을 찾아내고, 도덕과 교육목표에서 추구하는 도덕적 인간을 기르기 위한 다각적인 교육 방법을 주로 보살핌윤리적 측면에서 추구하였다. 따라서 통합적(統合的)인 도덕교육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인지적(認知的), 정의적(情義的), 행동적(行動的) 측면이 균형을 이룬 교육을 펴 나갈 수 있도록 교육철학적(敎育哲學的), 윤리학적(倫理學的), 교육방법적(敎育方法的) 접근(接近)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보살핌윤리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서 그 기원(起源)을 길리간(Carol Gilligan)의 이론에서, 성숙된 윤리학적 이론은 나딩스(Nel Noddings)의 논문에서 찾았고, 이들 이론과 전통윤리(傳統倫理), 콜버그(Lawrence Kohlberg)의 인지도덕발달론(認知道德發達論)과 비교하면서 그 이론이 갖고 있는 특성(特性)과 장점(長點), 그리고 초등 도덕과교육(道德科敎育)에 적용(適用)하기 위한 방법을 광범위하게 살펴보고, 비판적인 고찰(考察)을 통하여 보살핌윤리가 갖고 있는 이론적인 한계(限界)를 여러 학자들의 논의와 함께 알아보았다. 보살핌윤리와 정의윤리(正義倫理)의 두 축을 기준으로 한 교육과정의 분석(分析)을 통하여 제6차와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추구하는 도덕적(道德的) 인간(人間), 교육 목표, 주요 가치 · 덕목, 교육내용과 방법상의 특성을 알아보고, 문제점으로서 편협성(偏狹性)과 오류(誤謬)를 찾아내어 그 해결 방안으로서 보살핌윤리의 확대 적용 가능성과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한편, 보살핌윤리를 초등 도덕과교육에 적용함에 있어서 통합적인 접근을 지향(指向)하고, 정규 교육과정(正規敎育課程)을 뛰어넘어 잠재적 교육과정(潛在的敎育課程)까지도 포함하는 포괄적(包括的)인 도덕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인적(全人的) 인격교육(人格敎育)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살핌윤리는 여성심리학(女性心理學)에 기초를 두고 있다. 콜버그가 그의 저서에서 여성(女性)은 주로 ‘사람들 상호간의 조화 지향’의 제3단계에 머무르는 반면, 남성(男性)은 대부분 ‘법과 질서와 같은 보편적 가치 추구’의 제4단계에 머문다고 발표하자, 이에 반발한 길리간은 여성 특유의 심리적 특성을 들어 콜버그 이론의 부당성을 역설하였다. 길리간은 나아가 여성에게는 따뜻한 보살핌(care)의 정서(情緖)가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3단계 2과도기를 거치면서 발달한다고 하였다. 이 보살핌의 여성적 특성을 중심으로 도덕성의 발달을 체계화시킨 것이 보살핌윤리이다. 한편, 나딩스는 길리간의 도덕성발달론(道德性發達論)을 윤리학적으로 더욱 체계화시켰으며, 구체적인 교육 방법까지 논의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시켰다. 길리간이 남성에 비하여 여성에게는 특유의 심리적, 윤리적 기초를 가지고 있으므로 콜버그의 정의윤리적(正義倫理的) 척도(尺度)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반면, 나딩스는 남녀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에게는 콜버그가 말한 정의도덕성뿐만 아니라 길리간이 지적한 보살핌도덕성을 함께 가지고 있으며, 이 두 요소는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도덕성(道德性)의 두 정향(定向)일 뿐이라고 지적하고, 이 두 요소가 골고루 발달해야 비로소 원만한 도덕성을 갖출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나딩스는 한 발 더 나아가 도덕성 발달의 최고의 수준은, 이 두 요소의 도덕성이 골고루 발달하였음은 물론 보살핌의 도덕성이 정의도덕성을 지배하는 상태라고 함으로써 보살핌윤리를 바탕으로 정의윤리를 통합하는 입장을 견지(堅持)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리코나(Thomas Lickona)는 정의윤리를 바탕으로 보살핌윤리를 통합하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그는 도덕교육은 곧 인격교육(character education)이라고 말하고, 인격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서 존중심(respect)과 책임감(responsibility)을 들었다. 논의의 출발점은 나딩스와 다르지만 결국 같은 목표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도덕과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 제6차의 이론적 배경은 주로 콜버그의 인지도덕성발달론에 기초하기 때문에, 추구하는 도덕적 인간상이 합리적(合理的)이고 자율적(自律的)인 인간인 반면, 제7차에서 추구하는 도덕적 인간상은 정의도덕성과 보살핌도덕성을 고루 갖춘 통합적 인격체임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정의적(情意的) 요소의 도덕 교육에 비하여 인지적(認知的) 요소의 도덕교육에 상당히 편중된 체제를 이루고 있어서 제6차의 전철(轉轍)을 제7차에서도 여전히 답습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제7차의 도덕과교육 목표와 내용간에는 상당한 체계적(體系的) 부조화(不調和)를 안고 있으며, 이러한 부조화를 도덕과(道德科) 교과서(敎科書)를 통해서 해소하여야 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졌다. 제6차 도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정의윤리적 요소가 보살핌윤리적 요소보다 내용의 양과 수업시수에서 월등히 많은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문제점과, 내용에 있어서도 극단적으로 한 쪽에 치우친 곳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나딩스나 리코나의 이론에 비추어 볼 때 상당히 우려되는 점이고, 앞으로 실제 학습시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통합적 인격(人格)을 갖춘 도덕적 인간’을 지향하는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맞게 도덕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인간의 도덕성을 인지적 요소, 정의적 요소, 행동적 요소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 실천을 전제(前提)로 하는 초등학교 도덕교육의 특성상 인지적 요소의 발달 일변도(一邊倒)의 교육은 곤란하다는 점이다. 콜버그의 인지도덕성발달론(認知道德性發達論)에서는 도덕적 인지발달은 곧 행동은 물론 정의적 요소의 발달을 수반(隨伴)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지난 30년 이상의 경험에서 보았듯이 올바른 가설(假說)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합리적 사고는 강화된 반면, 자신의 조그만 이익을 위해서는 대의명분 마저도 등지는가 하면, 지역과 집단의 이기주의가 팽배하게 되었다. 마음속 깊이 감화를 주고, 책임감과 인간관계, 따뜻한 보살핌을 강조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실천 동기를 부여하고 더욱 고차원의 인격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보살핌윤리를 확대 적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정의윤리와 보살핌윤리는 도덕성의 두 정향(定向)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보적(相補的)인 관계로서, 두 가지 요소가 잘 융합된 균형 잡힌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어느 경우든지 한 쪽으로 치우친 논리나 판단을 강조하는 것은 자칫 비뚤어진 도덕성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부모와 교사는 어린이의 도덕성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처음 인격이 형성되는 시기부터 부모와 교사는 균형을 잃지 말고, 확고한 도덕적 주관에 의한 교육을 펴 나가야 할 것이다. 또, 보살핌윤리는 정서적 감화에 의하여 나를 포함한 더 큰 우리에 대한 아낌없는 책임과 희생을 정당화하면서 실천이 수반될 때 더욱 빛날 수 있으므로 실천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는 ‘움직이는 교본(敎本)’이므로 항상 모범을 보여야 한다. 보살핌윤리는 동료간에서도 보고 배울 수 있고, 스스로 깨우칠 수도 있지만 교사나 부모, 웃어른의 말과 행동을 보고 배우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또 나딩스는 학교가 도덕 공동체이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는 하나의 도덕공동체로서 도덕을 가르치고 배우며, 좋은 전통을 이어가고 그릇된 것은 스스로 고쳐가는 산교육장이어야 한다. 보살핌윤리의 올바른 형성을 위해서 어른들의 훌륭한 도덕적 모범(Model)이 매우 중요시된다. 넷째, 도덕적교육은 ‘도덕 시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타교과시간과 비교과시간은 물론 가정과 사회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요즘 학교 단위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인성교육(人性敎育)이 그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 학교에서는 가정과 학교, 사회가 연계(連繫)해서 인성교육을 실시할 때 더 큰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보살핌윤리 교육은 학교의 벽을 뛰어 넘을 때 더욱 많은 실천의 기회와 다양한 도덕적 소재(素材)를 발견할 수 있고, 따라서 더욱 실재적(實在的)이고 다양한 도덕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나딩스가 강조한 바 있듯이 봉사 활동(奉仕活動)을 포함한 체험 활동을 통하여 보살핌윤리교육을 실시할 때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덕적 자각(自覺)과 판단에 의해서 도덕적 행동이 나온다는 콜버그의 주장과는 달리 보살핌윤리는 실천을 강조한다. 따뜻한 보살핌은 따뜻한 마음에서 나오지만 실천적 의지가 매우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meaning of care ethic, compares the theoretical composition of care ethic and the ethic of justice, reviews the theoretical limit of care ethic and the ways to overcome the limi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on the basis of those above basic studies, analyse the current 6th ethic education curriculum and 7th ethic education curriculum, and search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ethic education for solving those moral problems, and develop learning model of ethic training which can be applied to effective and well balanced ethic education. Moreover, I intended to present the care ethic as the morality which can be needed not only from women but also from men, and ultimately intended to apply the care ethic to ethic education. The thing that I was interested in, while studied the care ethic and educational curriculum, was the ways to apply care ethic to the ethic training rather than study over care ethic itself. After the care ethic was presented by Carol Gilligan, though it has been studied diverse ways, I analysed it on the basis of the psychological and ethical view points. Besides, I, the researcher of this article, defined the justice ethic and care ethic are mutual complimentary ethic that should be unified one ethic theory, and searched for the practical ways for synthesized Moral education. Care ethic was proposed by Carol Gilligan and studied and concretized with moral philosophy by Nel Noddings. Noddings approached care ethic from the psychological view. He found out there were care ethic which reflected woman's experience and peculiarities, and on the basis of this, he advocated that ethic consist of both justice ethic: and care ethic. Moreover, he criticized the prejudice and limit of the predominant ethic theory, intellectual development theory, and advocate the ethic care as the alternative. I paid attentions to this matters and studied and compared both intellectual development theory and care ethic. Through this study, I could confirmed that Gilligan understood the justice and care is not mutually exclusive ethics, but interdependent ethics. That is, Gilligan asserted that the most matured human being would be a person who unified justice ethic and care ethic and a person who can take care of both oneself and others. The scholar who developed and actualized the Gilligan's care ethic from the prospective of ethics and education was Noddings. Noddings criticized traditional ethics as the androcentric ethics, and proposed the alternative ethics, the care ethics as a gyneco-ethics. Noddings tried to find the care model in the woman's care which can be shown in the mother-children relation, and defined the care-relationship as the basic of ethics and achievement of morality. Noddings regarded desire to give care and get care as ordinary desire of human beings, and human being can be existed through this care. From this prospect, he asserted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should be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care ethic. He also advocated that care ethic is not only expected from woman but also expected from man, and should be educated to both man and woman. To achieve the goal of ethic education, he proposed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such as change of curriculums, improvement of school structure, models, conversation, practice, and confirmation.(?) From the above discussions, we can summarize meaning and limit of the ethic education as follows. Firstly, as care ethic lay stress on such as care for others, compassion, mutual-dependancy, ethical responsibilities and human relationship which are not regarded in the justice ethics, care ethic make u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thical emotion and feelings. These factors have been regarded important factors from our ancestors, and care ethic make us recognize the ethical meaning and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ethical factors. Secondly, care ethic brings new appraisal for woman's role and characters by defining the care as the new character of ethic, but is traditionally regarded as the woman's character and is ignored. Thirdly, care ethic regarded ethics can be defined not only by the view of justice, but also by the view of care, and two view points are equal and related with sex. Care ethic make unified definition of ethic with justice and care concept, and it bring us the extended sphere of ethics and gener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Moreover, it also extend the sphere of moral education which aims at moralities. Fourth, care ethic originated from criticism against justice ethics, and it point out the benefit and bad effect of the opponent ethics while debating with justice ethics. Care ethic has theoretically narrowness and sexual prejudice as well as positive meanings, and ignored the recognition side of ethics by giving too much importance on moral side of ethics. Justice ethics and care ethics each have the important ethical meanings, but we can not say it is a perfect ethical theory, because two theories can not explain two sides of ethics respectively. We should define unified morality in which justice and care are included, to define moral personnel who have the character of justice and care. In this article, I tried to present the alternatives that can overcome existing problems and limits of moral education by applying the care ethic. Justice ethic and care ethic is not mutual-exclusive, but interdependent, with help from each other's theory, both theories can overcome their theoretical limits. I analyzed the 6th and 7th elementary ethic curriculums in the position of unified ethic with justice and care concept. With this analysis, I concluded as followings Firstly, moral education should aim to educate the moral personnel who are developed the unified justice and care ethic. A moral personnel with exclusive one point of view, must be a imperfect moral personnel with one moral view point. An ideal moral personnel in the ethic education is a person who is balanced with justice morality and care morality.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s, which emphasis on the etiquette as a Korean, world peace and happiness of human beings, are more balanced than 6th moral education curriculums. However, I can point out relatively lack of care ethic, as a writer who look for the balanced moral personnel with justice and care ethic. Secondly, there are needs for re-define the contents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s with balanced justice and care concept to achieve the target of moral education. That is, we should consider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nd text books to contain curriculum that can develop moral emotion with care. When we study the analysis of 6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many factors about recognition with reasonable decision, individualistic freedom and respect for the right, and behavior to practice, but there are relatively a few emotion factors regarding care, and we can easily find out that it is too biased to individual daily life, home, relatives, and school life.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s, bias was improved, but still it's not balanced. Particularly, in the textbook of 6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s there are something about extreme justice and extreme care, we need to be cautious while educating. Thirdly, to achieve target of moral education, there are needs to introduce the method which are presented by care ethics, with reconstruction of contents of education. Educational methods that are presented by care ethics and can be applied to Korean moral education are as follows. volunteering activities, cooperation learning, extended system of teacher in charge, continuous contact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moral education by moral conversation, and moral education by teacher's activities for role model. These methods are on the assumption of close and reliable huma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so for more practical success of the education, we should make system of the school as place in which each members give cares and get cares from each others with intimacy and reliabilities. We should avoid the illiberal education system which is focused on moral knowledge and principle, but finally achieve the moral education with unified justice and care. We can overcome the current ethic problems such as apathy, selfishness, and alienation, with unified moral education. Moreover, we can expect moral matured personnel who practice the care to meet the responsibilities and service to the community, and for favorable the nature.

      • 유가윤리의 도덕적 딜레마 해결방식을 통한 중국 초등 도덕과 교육방법 개선

        민영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99

        본 논문은 유가윤리의 도덕적 딜레마 해결방식을 현재 중국의 초등 도덕과 교육방법에 적용하여 아동의 합리적인 가치판단능력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도덕교육의 덕 교육적 접근방식에 따라 중국의 초등 도덕과 교육을 살펴보고 덕 윤리적 딜레마 식으로 교재가 재편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중국의 전통윤리인 유가윤리의 도덕적 딜레마 해결방식 수업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딜레마 토의식 수업지도안을 제시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덕 교육적 접근은 여태까지의 도덕교육의 접근방식과 다르게 사람의 행동에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인격이나 성품에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내용과 형식, 도덕사회화와 도덕발달, 습관과 이성을 조화롭게 함양할 수 있는, 덕 있는 아동을 기르는 도덕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에 부합된, 우리가 지향해야 할 도덕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도덕교육의 덕 교육적 접근방식을 현재 중국의 초등도덕교육에 비추어 고찰해본 결과 중국의 도덕교육은 아직도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도덕사회화에,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아직도 도덕규범을 습관화하고 내면화하는 타율적인 교육방법에 치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자율성신장을 위한 도덕교육방법을 교육현장에 많이 적용하여 아동의 도덕성과 추론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주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합리적인 가치판단능력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딜레마 토론식 수업이며 중국의 전통윤리인 유가윤리에는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식이 분명히 있었는데 이는 ‘경(经)→권(权)=선(善)’의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구체적인 수업모형으로 구안하고 그 수업모형을 기초로 본시 딜레마 토론식 수업 지도안을 모색하였다. 중국의 초등도덕교육이 더 효과적인 합리적인 판단능력을 위한 교육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중국의 전통윤리인 유가윤리의 고전적인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식을 재해석하여 도덕과에 적용하여 학생들이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 사태에 대해 탐구하고 논의하는 과정을 거쳐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고 선택하는 능력과 도덕적인 정서와 감정을 길러주어 자율적인 도덕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어야 한다. 아울러 중국의 초등도덕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서는 자율성 신장을 위한 가치갈등 수업모형을 많이 구현하여 도덕적 딜레마 사례를 많이 제작하고 딜레마 토론식 수업을 실제 도덕과 수업에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핵심어> 덕 교육, 딜레마, 유가윤리, 합리적인 가치판단능력, 유가윤리의 수업모형, 교육방법 개선.

      •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이봄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99

        본 연구는 음식윤리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음식윤리와 관련한 문헌을 연구하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음식윤리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음식윤리 개념 및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육의 준거를 설정하고, 음식윤리 교육 방안을 학생의 수준에 맞게 구상 하였다. Ⅱ장에서는 음식윤리의 이해를 위해 일상생활 속 음식윤리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음식윤리를 다루고, 이와 같은 견지에서 오늘날의 음식윤리를 둘러싼 주요 쟁점을 다룸으로써 음식윤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Ⅲ장에서는 위에서 다룬 쟁점들을 문항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의 음식윤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법적인 면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식생활과 관련된 전반적인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의 일반적 특성, 식생활 및 음식 수업 경험을 알아보고,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를 해석하여 음식윤리를 활용한 초등학교 교육의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음식윤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위의 쟁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실태조사와 교육 방안 수립을 위한 준거를 세웠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음식윤리에 대한 이해 및 위의 연구를 종합하여 음식윤리를 활용한 초등학교 교육 방안을 구상하였다. 크게 도덕과 수업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타교과와 연계한 수업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면에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음식을 윤리적 관점에서 접근하게 하고, 음식윤리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윤리적 주체성’의 도덕교육적 함의

        김한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논문의 목적은 레비나스의 ‘윤리적 주체성’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아가 어떤 존재이며, 그런 존재를 기르기 위한 교육이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레비나스에 따르면 윤리적 주체성은 주체가 자기중심적 욕구 실현으로 이어지는 자신의 자유에 수치를 느끼고, 자유를 타자를 위한 책임으로 수립할 때 형성된다. 레비나스의 ‘윤리적 주체성’개념은 결코 포획될 수 없는 타자성을 전제한 윤리적 관계와 이러한 관계 속에서 이행되는 주체의 책임에 관한 고찰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에 유의미한 시사를 제공한다. 인간성이 말살되는 전쟁의 폭력에 관한 문제의식을 지닌 레비나스 윤리학은 주체 수립의 근거를 ‘이성’에서 찾는 서양철학 전반의 한계를 지적하며, 이에 대해 ‘타자를 주체의 인식으로 포획하여, 동일자로 환원해버리는 전체성의 횡포’로 설명한다. 나아가, 그는 인간 삶의 본래적이고 원초적인 ‘향유’에서 주체 수립의 근거를 발견하며, 이를 통해 인간은 결코 홀로 존재할 수 없음을 보임과 동시에, 결코 전체 속으로 포획될 수 없는 고유한 내면성을 지닌 존재임을 강조한다. 향유 속에서 발견되는 인간의 욕망, 특히, ‘전적으로 다른’ 타자를 향한 ‘형이상학적 욕망’은 타자의 타자성을 존중하는 윤리적 관계를 가능케 한다. 즉, 형이상학적 욕망의 주체가 타자의 얼굴을 마주하고, 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응답할 때, 윤리적 주체성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타자와 대면하는 대화 속에서 주체의 응답이 곧 타자를 위한 책임으로 이어진다는 레비나스 윤리학은 타자를 존중하고 그와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아를 기르고자 하는 도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먼저,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 윤리적 주체를 지향하는 일은 ‘어째서 나의 자유를 타자를 위한 책임으로서 실현해야 하는가’에 관한 깊이 있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윤리적 주체를 향한 지향이 쉽게 망각될 수 있는 학생들의 ‘형이상학적 욕망’을 일깨우고, 타자의 타자성을 올곧게 대면할 수 있는 주체성의 형성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더불어, 도덕과 수업에서 질문과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대화는 윤리적 주체성의 형성을 도모한다. 도덕적 물음에 대한 학생 주체의 ‘응답’이 타자에게 무관심하지 않음을, 그에게 응답할 수 있는 ‘나’라는 주체가 여기 있음을 보이는 ‘책임’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노자 자연관의 생태윤리교육적 함의

        배병재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는 노자(老子)의 사상에 나타난 유기체적 자연관을 찾아보고, 이를 오늘의 환경문제와 연결 지어 재조명함으로써 초등 도덕과 환경윤리의 내용과 의미를 보다 풍부하게 하며, 아울러 새로운 환경윤리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당면한 환경위기라는 말에 포함된 환경오염과 환경파괴 등의 사안은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로 인류가 해결해야 할 가장 커다란 과제 중의 하나가 되었다. 환경위기의 근본적 원인은 기계론적 세계관과 인간중심적 가치관에서 찾을 수 있다. 노자의 유기체적 자연관은 대체로 생태중심주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노자에 의하면, 자연은 도(道)의 작용에 의해 인위(人爲)함이 없이 무위(無爲)하며 스스로 조화를 이루고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무위자연의 사상은 인간과 자연이 어떤 관계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성찰적 의미를 던져준다. 노자의 철학을 통해 결국 인간과 자연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간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순환하는 세계에 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환경문제의 원인은 바로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인 관계에 있음을 망각한 결과이며, 이러한 생태윤리적 가치관은 인간이 다시금 회복해야 할 숙제인 것이다. 노자는 최상의 선을 물과 같은 삶이라 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세 가지 행동지침을 제시한다. 행동지침은 곧 덕(德)의 형태들이라고 볼 수 있으며, 초등 도덕과 교육에 시사하는 함의점을 갖는다. 세 보물 중 ‘감히 세상을 위하여 앞으로 나서지 않는다’에서의 ‘겸(謙)’은 앞장서서 자신의 욕망을 가지고 세상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끌거나 ‘자신’을 주장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는 겸허의 덕목을 말한다. ‘검(儉)’은 그칠 줄 알고 아낀다는 뜻으로 이는 절제의 덕목을 가리킨다. ‘자(慈)’는 자애로움을 뜻하는데 이는 이 세상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을 말하며 사랑의 덕목으로 풀이할 수 있다. 사람이나 사물을 따뜻한 시선으로 대하기 때문에 선하지 않은 사람에게나 신뢰감이 없는 사람에게도 선과 신뢰로 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인간과 자연을 하나라 인식하고 바라보는 탈인간중심적 세계관과 일원론적 세계관을 함의하고 있는 노자의 환경윤리관은 환경윤리의 내용과 의미를 보다 풍부하게 하며 오늘날 환경윤리교육이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그 방향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rganic view of nature in the thought of Lao Tzu, by linking this with today's environmental issues, it enriches the content and meaning of elementary morality and environmental ethics, it is also aimed at seeking the direction of new environmental ethic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included in the present environmental crisis is a global problem, it has become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humanity has to solve. The root cause of the environmental crisis can be found in the mechanistic world view and human centric values. Lao Tzu's organic view of nature is generally close to ecocentrism. According to Lao Tzu, Nature is not inhabited by the action of the Tao(道), it is in harmony and balance. The idea of this deserted nature gives a reflexive sense of how human beings should see and behave nature. Lao Tzu refers to the best line as a life like water and presents three action guidelines to realize it. Behavioral guidelines can be seen as forms of virtue and hav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morality and education. Through Nozawa's philosophy, we can see that humans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nature and live in a constantly changing cyclical world. The cause of environmental problems is the result of forgetting that there is an organic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this value is the homework to be restored again by humans. Of the three treasures, 'Kyeom(謙)' in 'Do not dare to go forth for the world' is a virtue of modesty in the sense that it does not lead the world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its own desires and does not claim 'self'. 'Keum(儉)' means abstaining and knowing, which refers to the virtue of temperance. 'Ja(慈)' means lovingness, which refers to looking at the world with a warm eye and can be interpreted as a virtue of love. It treats people and things with a warm eye, so that they can treat both good and untrusted people with good faith and trust. Lao Tzu's environmental ethics, which implies both a theoretical view of the world and a dehuman-centered world view that sees human beings and nature as one, rather than two, enriches the content and meaning of environmental ethics,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gives directions on how to educate environmental ethics today.

      • 忠恕之道의 배려윤리적 함의 연구 - 초등 도덕과에서의 덕교육 방안과 관련하여

        조은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83

        이 연구는 나딩스(Nel Noddings)의 배려윤리를 기초로 忠恕之道의 배려윤리적 함의를 파악하고, 이를 초등 도덕과 교육에 적용하여 ‘배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울러 동서양의 조화로운 덕교육과 인지·정의·행동적 영역의 통합적 발달을 위한 덕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忠恕之道는 자기인식, 그리고 자기인식에 근거한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배려라는 개인윤리와 사회공동체윤리의 통합적 개념으로 나딩스의 배려윤리와 일맥상통한다. 나딩스의 배려윤리는 여성주의적 관점에 기초하고 있지만 남성과 여성, 두 도덕성의 변증법적 통합을 통해 도덕적인 인간을 길러내고자 한다. 그리고 추상적 원리, 정당화와 보편화를 거부하는 대신 도덕적 삶의 구체성, 상황성, 현실성, 실천성 등을 강조하며 도덕성의 원천을 감정으로 본다. 이러한 배려윤리와 忠恕之道는 관계중심·상황중심의 윤리이면서 자연적 심성 중심의 차등적 윤리성을 지니고 있으며, 실천 예시를 통한 실천 중심의 윤리라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忠恕之道는 행해지는 시점이나 관계에 있어서 배려윤리와의 차이점도 존재하는데, 이는 상대방의 요구 등과 상관없이 스스로 최선을 다하여 실천한다는 盡己로서의 忠의 의미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배려윤리와 忠恕之道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덕교육으로서의 배려윤리 교육에 관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먼저,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는 기존의 하향식 덕목 접근이 아닌 구체적인 도덕 상황 중심의 상향식 덕목 접근을 통해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생활 사례를 활용하는 도덕교육으로 실제적인 도덕적 상황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것이다. 셋째, 자연스러운 마음의 흐름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택하게 하여 불필요한 죄책감 등의 불편한 감정을 느끼지 않게 하는 교육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넷째, 인지·정의·행동적 영역의 통합적 발달을 추구하는 진정한 의미의 덕교육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배려’가 주요 가치·덕목으로 설정된 7개의 단원을 중심으로 忠恕之道가 함의하는 바를 교수·학습 방법 및 내용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② 5단원의 교수·학습안을 재구성해 실제 도덕과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배려윤리 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忠恕之道의 적용은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이 추구하고 있는 덕교육적 관점을 구현하는 것이자 교육 내용을 보다 풍부히 하는 보완적 의미를 지닌다. 도덕과의 배려윤리 교육에 忠恕之道의 내용을 적극 반영함으로써, 인지·정의·행동적 영역을 통합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진정한 덕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忠恕之道, 배려윤리, 덕교육, 실천윤리, 도덕교육

      • 초등 도덕교육에서 윌슨의 도덕교육론 적용에 관한 연구

        박종혁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논문에서는 윌슨의 도덕교육론을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윌슨의 도덕교육론의 특징은 철학적 기반을 바탕으로 도덕교육의 목표를 합리성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타인존중을 강조한 점에 있다. 또한 그것을 바탕으로 도덕성의 요소와 독특한 방법론을 전개해 나간 것에서도 특징을 찾을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첫째, 윌슨의 도덕교육론의 기반이 되는 철학적 접근을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의 이론적 바탕은 윌슨의 윤리학적 이론과 도덕교육에 관한 관점에 두었다. 윌슨의 윤리학적 입장은 합리적 공리주의로 평가되는 바, 합리주의와 공리주의에 대하여 탐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윌슨이 주장하는 합리성의과 타인존중의 의미 등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윌슨은 도덕교육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을 강조한 바 있다. 따라서 윌슨의 윤리학적 입장과 도덕교육의 접근방법에 대한 윌슨의 통합적인 관점을 살펴보았다. 둘째, 윌슨의 도덕교육 이론이 초등도덕교육과 어떤 점에서 연결이 가능한지 탐구하였다. 윌슨의 도덕성에 관한 이론은 초등교육의 목표 차원으로, 윌슨의 도덕교육론의 내용으로 볼 수 있는 도덕성 요소와 초등교육의 내용으로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동시에 윌슨이 제시한 실제적 방법인 도덕적으로 사고하기, 언어와 의사소통, 규칙과 계약, 학교공동체는 초등도덕교육의 방법론으로서 적용 가능한지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윌슨의 도덕교육론을 초등도덕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를 한 차시의 중심 내용으로 유형화 하여 다룰 수 있는 도덕수업의 과정‧절차를 구안하였다. 또한 학교 내에서 학급차원과 학교차원의 공동체를 운영하는 것을 통하여 도덕성요소를 윌슨이 제시한 실제적 방법을 통하여 지도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주제에 따라 탐구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도덕교육에서도 다른 교과나 과학적 방법처럼 합리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합리적임’은 철학의 주요한 흐름중 하나인 합리주의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고, 또 다른 흐름인 공리주의에서도 어느 정도의 합리성을 전제하게 된다. 윌슨은 두 이론을 자신의 도덕교육론에 통합적으로 제시함과 동시에 그것을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 도덕과 교육 윌슨의 도덕교육론을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를 바탕으로 ‘사람의 개념' ‘규칙 준수의 기반이 되는 감정', ‘자신의 감정 이해’, ‘타인의 감정 공감', ‘도덕적 사실 파악’, ‘사회적 기술 습득’, ‘도덕적 민감성’, ‘도덕적 성찰’이 각각 중심이 되는 수업 과정 ‧ 절차를 구안하였다. 또한 학교 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해 학급차원의 접근과 학교 차원의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pplication of Wilson's moral educational principle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Wilson's moral education theory is that rationality is the objective of the education. Respecting others is also clearly highlighted. The other characteristic of the theory is the moral components and the practical method in moral education.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explained below: First, I reserched Wilson's philosophical approaches that are basis in his moral education theory.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Wilson's ethical position and the moral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meaning of rationality and respecting others argued by Wilson are obtained on the basis of his viewpoint of ethics and the moral eduction, or rationalism and utilitarianism. Additionally, Wilson have insisted the need of integrated approach on moral education, thus his stance on ethics and the integrated approach on the moral education were thoroughly inspected as well. Second, the possibility for connecting Wilson's theory of moral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effort was made to apply his theory on morality to the objectives of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moral components, the contents of his moral education theory, to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Simultaneously, the possibility of applying Wilson's practical method-moral think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rules and contract and school community to the method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was examined. Third, the way to apply Wilson's moral education method to elementary moral classes. A possible procedure of a moral class is designed, The way to use the practical methods that Wilson suggested by operating class-based or school-based communities in schools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is study, I was able to come to th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is possible to persue rationality in moral education as well as other subjects or the scientific method. 'rationality' is originated from one of the major flow of philosophy. Utilitarianism, another flow of the philosophy, requires rationality as well. Wilson synthetically presented the two theories in his moral education method, and suggested ways to teach those factors. Second, concrete plans to apply Wilson's moral education method to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suggested. Based on Wilson's moral components, procedures of lessons were designed. Each lessons teaches one of the moral components: Concept of human, emotions that are needed for observing rules, understanding emotions of themselves, sympathy to others, understanding moral fact, attaining social skills, moral sensibility and moral reflection. Additionally, class-based and school-based approaches to manage the school community are proposed.

      •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초등학생 생활지도 방안

        반인호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초등학생 생활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생활지도의 의미와 원리 및 생활지도 영역을 살펴보았다. 생활지도란 자신의 능력, 적성, 흥미 등과 같은 잠재력의 발견을 도와주고 주위의 세계에 대한 이해와 적응을 도와주는 과정이다. 생활지도의 원리는 자아실현의 원리, 전체의 원리, 예방의 원리, 강화의 원리, 교육과정의 원리 등 5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생활지도의 영역은 인성지도, 생활습관 지도, 진로 지도, 대인 관계 지도, 사회성 지도 등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생활지도와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생활지도의 영역과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가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연관된다. 즉, 생활지도의 인성지도 및 생활 습관 지도 그리고 진로지도 영역은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자신과의 관계 및 자연·초월과의 관계와 관련이 있고, 대인관계 지도는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이 있으며, 사회성 지도는 사회·공동체와의 관계와 관련이 깊다. 마지막으로,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초등학생 생활지도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생활지도가 이루어지는 시간을 교과 및 창의적 체험 활동과 연계한 생활지도 시간 등으로 나눈 뒤, 지도하는 내용을 도덕과의 가치관계 확장을 따라 자신과의 관계와 타인 및 사회·공동체와의 관계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인성지도, 생활습관 지도, 진로지도, 대인관계 지도, 사회성 지도로 생활지도의 영역을 구분하고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장의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유용한 생활지도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생활지도의 측면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lementary school guidance methods based on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irst, I looked at the meaning of guidance. Guidance is a process that helps discover potential such as ability, aptitude, interest, and so on and helps student understand and adapt to the world around them. Second, I looked at the principles of guidance. There are five principles : the principle of self-realization, the whole principle, the principle of prevention, the principle of reinforcement, and the principle of curriculum. Third, I looked at the area of guidance. The areas of guidance can be divided into Character education, A life habit education, Career edu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education, Social education. Fourth, I studied the connection between guidance and education courses with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scope of guidance and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re related as follows. In other words, Character education, A life habit education, Career education area are related to One’s relationship with oneself and A transcendental relationship of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rpersonal relationship education area related to Relationship with others, Social education area related to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Fifth, I studied elementary student guidance methods based on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is is presented as follows. It divides guidance into classes, alternative activity, and divides each them into One’s relationship with oneself and Relationship with others/community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moral values. In addition, they use the principles of guidance after dividing the areas of Character education, A life habit education, Career edu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education, Social educa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I propose useful guidance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ite.

      • 초등학교 교사의 도덕과 교육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

        이재건 대구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교직 생활을 하면서 가지는 도덕과 교육의 경험을 해석학적 탐구를 통하여 그들의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도덕과 교육의 개념, 방법, 현실적 어려움 등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다섯 가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생각하는 도덕과 교육의 개념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생각하는 도덕과 교육의 방법은 어떤 것인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도덕과 교육을 하면서 가지는 현실적 어려움은 무엇인가? 넷째, 초등학교 교사가 가지는 도덕과 교육의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다섯째, 도덕과 교육이 반영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섯 분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2008년 6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 1차 심층면접을 40-60여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면접 후 필요한 경우 추가 질문이나 대화를 통해 2차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도덕과 교육의 개념을 인간성을 길러내는 교육,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교육, 옳고 그름의 판단 능력을 키워 주기 위한 교육으로 생각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도덕과 교육을 하면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에는 교사 개인의 경험 이야기, 학생들의 경험 이야기, 여러 매체(영상, 동화, 신문 자료), 일기 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도덕과 교육을 하면서 아이들과, 학부모들과 갈등을 겪기도 하고, 교사 스스로의 도덕과 교육에 대한 한계 등을 경험하면서 도덕적 삶에 대한 모델로서의 역할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도덕과 교육에서 정서 교육, 상담기법 도입, 도덕적 리더십 교육 등을 통해 점점 소외되고, 복잡해진 아이들의 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도덕지도 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전적으로 면접에 의존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면접뿐 아니라 연구자가 직접 관찰자가 되어 교사와 아동 사이에서의 상호 역동적인 관계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심층 작업이 필요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r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s of fiv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an interpretive inquiry. Particularly, the target area of focus was the teachers' personal-practical experiences of teaching moral education which had been shaped and reshaped in their daily lives. The entry question was 'What are the mor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s of five elementary teachers like?' There were five sub-questions helping to guide and uncover the entry question. The first was 'What are the concepts of teaching moral education held by elementary teachers like? The second was 'What are the major teaching methods of moral education preferred by elementary teachers like?' The third was 'What are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teaching moral education commonly faced by the elementary teachers. The fourth was 'What are the essences of teaching moral education held by elementary teachers?' The fifth was 'What elements should moral education subject encompass to be successful in the future?' An interview study was selected as data gathering method. Five elementary homeroom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oluntarily.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twice in a consecutive manner. The first interview period for each participant took about 40-60 minutes based on semi-structured pattern while the interview was fully audio-recorded. The second interview, however, took a dialogical pattern without any recording, when necessar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mor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teacher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teachers held moral education subject more as the cultivation of humanity, the education of living harmoniously with others, and the education of growing children's judgment capability between the right and the wrong. Second, the most commonly used teaching methods frequently used by elementary teachers were teachers' personal stories, students' stories, diaries, and any kind of storified teaching materials such as audio-visuals, children's books, newspaper clips etc. Third,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d moral education subject not as a simple subject but more as an experience of modeling moral life. In most cases, this kind of experience took place partly because of struggling with students or parents and partly because of the diverse limitations of moral education subject such as time shortage, the deficiency of the linkage between class and life in general. Fourth, elementary teachers suggested that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should broaden its boundaries and encompass practical needs such as emotional education, counselling skills, moral leadership education in order to deal with complex children's daily issues or problems.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the data is solely collected based on interview. So, an observational research is strongly sugges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a homeroom teacher and its students more wholly and thorough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