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일의 수사학적 경전해석 : 『孟子』 주석서를 중심으로

        유민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35

        본고는 기존의 경학 연구 방법과 달리 한·중·일의 수사학적 『孟子』 해석 연구를 통하여 그 특징과 가치를 究明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근대 동아시아 지식인들이 경학의 한 방법으로서 ‘修辭’를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밝히고, 동아시아 삼국의 대표적인 『맹자』 주석서에 수사학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기존 학계는 義理와 訓詁라는 이분법적 시각으로 경전해석의 방법을 바라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와 달리 일찍이 董仲舒의 『春秋繁露』 등에서부터 어휘 배열이나 문장 구조, 표현 기교 등과 같은 經文의 구조적 특징을 논하는 경우가 존재하였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경전 집주인 朱熹의 『孟子集注』를 포함한 여러 주석서에서도 이러한 문장 중심의 경전해석 방법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는 경문의 수사학적 측면을 중시한 주석이거니와, 본고에서는 이를 ‘修辭學的 經典解釋’으로 규정하였다. 수사학적 경전해석은 경문의 어휘 배열과 문장 구성, 그리고 표현 기교 등에 초점을 두고 경전의 문장을 이해하며, 경전의 문학적 가치를 칭송하고 이를 글쓰기의 전범으로 삼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이 담긴 수사학적 경전주석서는 경전 해석에서 ‘修辭’를 중시하는 태도와 ‘修辭의 모범’으로 경전을 학습하는 태도를 보인다. 한·중·일의 ‘『맹자』’ 주석서에서 수사학적 경전해석은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중국에서는 朱熹의 『孟子集注』와 牛運震의 『孟子論文』이 대표적이며, 한국에서는 李滉의 『孟子釋義』와 魏伯珪의 『孟子箚義』를 들 수 있고, 일본에서는 히로세 탄소[広瀬淡窓]의 『讀孟子』가 대표적이다. 본고는 이러한 동아시아 삼국의 대표 주석서들을 대상으로 그 구체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각 주석서의 同異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孟子』를 포함한 유교 경전은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사상의 전범이었음은 물론, 동시에 오래된 문장의 정전이었음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테면 ‘文은 經典에 근본을 둔다[文本于經]’는 것을 기반으로, 경문의 표현 기교나 문장 구조 등을 통해 『맹자』의 문학적 특성을 탐구하거나, 이를 자신의 글쓰기에 적용하려는 노력은 당대 지식인들 사이에서 적지 않게 존재해 왔다. 이러한 학술적 배경을 자양분으로 삼아 수사학적 경전해석은 동아시아 삼국에서 産生하고 점차 擴大되어 갔다. 한편 본고는 수사학적 경전주석서의 분석에 앞서, 文本于經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발전시킨 동아시아 삼국의 대표적인 문예론을 먼저 고찰하였다. 중국 劉勰과 韓愈의 논리를 살피고, 이와 관련하여 한국의 鄭道傳과 成俔의 논리, 그리고 일본에서는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 문예론을 논하였다. 이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유교 경전을 글쓰기의 전범으로 삼았으며, 글을 쓸 때 형식[文]보다 내용[道]을 중시하였고, 문학 장르와 작문공부의 필요성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졌으며, 담박한 스타일의 문체를 선호하였다. 이러한 문예적 교집합은 이들만의 특수한 것이라기보다 유교를 근간으로 하는 전근대 동아시아 지식인들의 일반적인 문학관으로 기능한 바 있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경학가들 역시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문학관을 소유하고 있었다. 본고의 가장 핵심 논제인 한·중·일의 지식인들이 추구한 수사학적 경전해석은 다음 네 가지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첫째, 경문의 문체에 심미적 감상평을 남겼으며, 둘째, 경문의 어휘 배열과 표현 기교, 그리고 문장 구조 등을 분석하였고, 셋째, 경문의 수사학적 특징을 분석하면서 典據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넷째, 『맹자』의 문학적 가치와 함께 그 사상적 가치 또한 존숭하였다. 요컨대 이 네 가지 공통점은 수사학적 경전주석서의 주요 특징이자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반면 그들이 보여준 수사학적 경전해석의 농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주희의 『맹자집주』와 이황의 『맹자석의』는 경문의 修辭 해석이 주석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한 것은 아니었으나, 우운진의 『맹자논문』과 위백규의 『맹자차의』, 그리고 히로세 탄소의 『독맹자』는 수사학을 주석서 전체를 통괄하는 주요 해석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이 세 저술은 각국의 대표적인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로 주목할 수 있는데, 본고는 특히 그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요컨대 한·중·일의 대표적인 수사학적 『맹자』 주석서는 모두 ‘수사’를 경전해석의 주요 방법으로 사용하였지만 그 해석은 각기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중점을 두고 설명하는 수사학적 요소가 달랐다. 우운진은 字나 句 등의 심미적인 요소이자 말투, 문장의 기운 등을 의미하는 ‘語勢’에, 위백규는 字나 句 등의 의미적인 요소이자 화자의 사유와 심리 등을 가리키는 ‘語義’에, 그리고 히로세 탄소는 字나 句 등의 구조적인 요소이자 설득법, 문장 구조 등을 가리키는 ‘語法’에 보다 관심을 기울였다. 둘째, 서로 다른 문학 장르의 비평 양식을 경전주석에 접목하였다. 우운진은 『맹자』를 주석하면서 소설 비평에 주로 사용되던 ‘評點’을 편집방식으로 사용하였다. 위백규는 당시 산문 비평에서 유행하던 편장 구조 분석에 보다 관심을 기울였다. 히로세 탄소는 『맹자』를 七言絶句에 비유하며 경문의 韻律을 근거로 경전을 해석하였다. 셋째, 동아시아 삼국은 주희의 수사학적 역량을 달리 바라보았다. 우운진과 히로세 탄소는 주희의 글쓰기 역량이나 문장 이해력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위백규는 주희의 문장 이해력과 글쓰기 능력을 높이 평가하였다. 특히 히로세 탄소는 금문과 고문을 구별하는 등 『맹자』의 구조적 특징을 근거로 주희 주석을 비판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유교 경전을 그동안 학계에서 사상의 전범으로 주로 지각해 온 것을 재인식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수사학적으로 경전에 접근한 사례가 보편적으로 존재해왔다는 사실을 입증함으로써 경전의 문학 정전으로서의 가치와 기능을 재조명하는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는 유교 경전이 철학서이냐 아니냐는 해묵은 논쟁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학제를 통해 전근대 동아시아의 경학을 이해하는 연구의 장을 여는 도르래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 본고는 ‘방법으로서의 동아시아’라는 새로운 경학연구 방법론을 일신할 것이다. 본고에서 살펴본 결과, 17~19세기 경전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의 증가는 일국적 현상에 그치지 않았다.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학문 장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이었다. 또한 각 수사학적 경전주석서의 차이점은 각국의 경학은 문학과 긴밀하게 조응하였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한국의 경우 수사학적 경전해석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을 미루어봤을 때, 이는 일국적 시야를 넘어 동아시아적 시각으로 각국의 경학 성과를 바라보고, 타자의 거울을 통해 주체를 비춰보는 자세 통해 얻어진 결과인 것이다. 셋째, 유학은 중국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외부에서 존재해 온 것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다. 이러한 인식은 유학을 동아시아의 철학(East Asian Philosophy)이 아닌 중국 철학(Chinese Philosophy)이라고 부르는 데서 여실히 드러난다. 불교는 인도에서 출발하였으나, 인도 종교(Indian Religion)라고 총칭하지 않는다. 유학은 중국에서 시작된 것이 사실이나 한국과 일본은 이를 내재화하며 ‘경학’을 유학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학문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따라서 본고는 수사학적 경전주석서 내에도 보편성과 특수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제시함으로써, 동아시아 내에서 유학의 다원적인 모습과 함께 학술과 경학의 다채로운 형상을 발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traits of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of the Mencius in Korea, China, and Japan. Its analysis of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of the Mencius has two primary aims: (1) to demonstrate that the rhetorical approach toward the Mencius is an example of an ordinary and widely employed methodology for interpreting the Confucian Classics and (2) to describe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rhetorical commenta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general, recent scholarship has tended to classify the study of the Classics by employing a dichotomous view that holds that there are two major types of exegetical tradition, which are characterized either as philology (C. kaozheng 考證) or philosophy (C. yili 義理: the pursuit of moral and philosophical principles). However, several East Asian intellectuals advocated and followed a literary approach toward the Classics. These intellectuals considered the Classics as works of literature and focused their commentaries on literary features and qualities―such as the rhetoric, the grammar, and the wording. The earliest work in China that shows such rhetorically oriented exegesis is the Chunqiu Fanlu 春秋繁露 (Luxuriant dew of the Spring and Autumn Classic) written by Dong Zhongshu 董仲舒 (d. 104), and even Zhu Xi 朱熹 (1130-1200) referred to the various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Mencius in his famous work, the Mengzi Jizhu 孟子集注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Mencius). In this study, this hermeneutical approach is identified as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the word “rhetoric” refers, in this dissertation, to various stylistic means used for the purpose of both embellishment and persuasion.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elucidate the wording, sentence structure, and techniques of expression in the original text of the Classics; commentators who produced rhetorical commentaries admired the literary value of the Classics and considered them as models for composition. This type of exegeses has two primary characteristics. First, it sheds light on the rhetorical points of the original text when interpreting the Classics, which means that the commentator understands and explains the words found in the Classics and on this basis explores their sentence structure and rhetorical strategy. Second, authors who follow this type of commentary are inspired by and adopt the rhetorical style of the Classics when writing their own works; in other words, these commentators emulate the rhetorical strategy and the writing style of the Classics in their writings, by, for example, searching for model sentences and following them.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are visible especially among commentaries on the Mencius found in Korea, China, and Japan. In Korea, Maengja Sogi 孟子釋義 (Exposition of the Mencius) written by Yi Hwang 李滉 (1501-1570) and Maengja Ch’aŭi 孟子箚義 (Notes on the meanings of the Mencius) written by Wi Paekkyu 魏伯珪 (1727-1798) are representative of this hermeneutic methodology. Mengzi Jizhu written by Zhu Xi and Mengzi Lunwen 孟子論文 (A literary analysis of the Mencius) written by Niu Yunzhen 牛運震 (1706-1758) also followed the same method in China. In addition to the Korean and Chinese commentators, Hirose Tansō 廣瀨淡窓 (1782-1856), a Japanese scholar, employed such an approach in his Doku Mōshi 讀孟子 (Reading the Mencius). These five Mencian commentaries constitute of the primary research material of this study, and I explore and meditate upon thes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examples of characteristic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their exegetical style. Special attention to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East Asian intellectuals thought of the Classics―most importantly, it reveals that they considered the Classics not only as textbooks for moral cultivation but also as models to hone their compositional skills. This reflects the long-standing belief that “all writings are originated from and based on the Classics (wenbenyujing 文本于經),” which means, among other things, that intellectuals should revere and emulate the literary features of the Classics. For instance, in the pre-modern period, East Asian intellectuals considered the sentences of the Mencius as model sentences. They utilized its grammar, structure, and rhetorical strategies when they wrote their own works, seeking to emulate the style of the Mencius. Although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are derived from the literary idea of “wenbenyujing,” recent scholarship has paid scant attention to the literary and exegetical features of these texts and instead have focused on interpretations of the Mencius from a philosophical or philological perspective. Since rhetorically oriented exegesis is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wenbenyujing, before presenting my analysis of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I introduc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terary theory, which contributed to developing the idea that “all writings are originated from and based on the Classics.” The sequence of introduction is Liu Xie 劉勰 and Han Yu 韓愈 in Early China, Chŏng Tojŏn 鄭道傳 and Sŏng Hyŏn 成俔 in the Chosŏn dynasty, and Ogū Sorai 荻生徂徠 in the Edo Period. Although each of these scholars had their own style, they shared four literary commitments: (1) They regarded the Classics as sources of model sentences. (2) They gave priority to Dao 道 over Wen 文. (3) They recognized the need to study literary genres, such as poetry, and the necessity of honing their compositional skills in order to improve their own writing. And (4) they preferred a plain style of writing to a flowery style. These literary commitments constitute the general mindset of these Confucian scholars. The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of Zhu, Niu, Yi, Wi, and Hirose―the main topic of this dissertation―shared four general features. First, they evaluated the sentences of the Mencius and made their commentaries with an eye on the aesthetic; they voiced explicit admiration for the art of verbal expression. Second, they analyzed the wording, the expressive skill and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original text. Third, they did not cite any references when commenting on the literary features of the Mencius. And last, they respected the value of both the literary style and thought of the Mencius. These four features serve as the core of rhetorical commentaries. Nevertheless, the rhetorical interpretations that the aforementioned five commentators produced manifest distinct and characteristic differences. All enunciated the rhetorical points of the Mencius, but Niu, Wi, and Hirose highlighted and focused upon these features. They composed truly voluminous commentaries with rhetorical perspective and their rhetorical commentaries were more systematic. Hence, the exegetical works of the three―the Mengzi Lunwen, the Maengja Ch’aŭi, and the Doku Mōshi― can be valued as offering representative rhetorical commentaries from each of their three home countries. The dissertation, especially, focus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hree scholar’s rhetorical commentaries. The three representativ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encian commentators all follow the rhetorical approach, but each has his own unique character. First, each puts different weight on various rhetorical factors. Niu Yunzhen was interested in yushi 語勢, an aesthetic element that represents the mood of the text and the nuance connoted in the words (zi 字) and sentences (ju 句). Wi Pakkyu held yuyi 語義, the intention, emotion, and/or perception of the author implied in the words and sentences. And Hirose Tansō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yufa 語法, the structures of sentences and passages that suggested different meanings and nuance. Second, they employed different literary genres. Niu Yunzhen interpreted the Mencius, using pingdian 評點 (a point by point commentary), a popular tool for evaluating fictional narratives in the Qing dynasty. Wi Paekkyu paid attention to the organization of the texts, such as the structure of chapters, the structure of paragraphs, the structure of sentences, and the structure of phrases, which was a popular form of prose criticism among the Chosŏn dynasty’s circle of literati in his time. Hirose Tansō interpreted the Mencius based on a sense of rhythm, comparing it to a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qiyanjueju 七言絶句; a traditional style of Chinese poetry). Third,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tors evaluated Zhu Xi’s rhetorical ability in different ways. Niu Yunzhen and Hirose Tansō looked down on his compositional 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while Wi Pakkyu did not. Moreover, Hirose criticized Zhu Xi’s commentary via the literary style of the Mencius, especially contrasting jinwen 今文 (J. kinbun; the texts written by the author or the commentator) with guwen 古文 (J. kobun; texts from older sources cited in the Classics). By bringing to light and analyzing these various aspects of rhetorically oriented exegesis,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academia in three primary ways. First, it proves that East Asian intellectual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lassics from not only philosophical or philological but also the rhetor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was not a special but a universal form of commentary among Confucians, since a number of rhetorically oriented exegeses can be found in many commentarial texts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Classics are works of philosophy is a well-known question that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By escaping from this perennial dispute, my research demonstrates and advocates proper attention to various types of exegetical works using various lenses when studying the commentarial traditions in East Asia. Second, this dissertation evaluates the possibility of a new research approach in the studies of the Classics that I call ‘East Asian Methodology’: conducting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ies of different East Asian cultures and their approaches to the commentaries. My research suggests that the number of the commentaries with a rhetorical perspective increased in Korea, China, and Japan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Moreover, the rhetorical interpretation of commentaries in each of these countries show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study of the Classics and the domain of literature. Such insights are only possible if one compares the commentarial traditions of multiple East Asian cultures and this is the most basic feature of East Asian Methodology. Third,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reconstructing the identity of Confucianism among Western readers who tend to look upon it as Chinese philosophy, instead of what it is: East Asian philosophy. In this respect the common view of the Confucian tradition is unlike that of Buddhism, which almost no one thinks of as Indian philosophy. Regardless of the root of Confucianism, diverse interpretations have been made by many scholars from different times and from the diverse countries of East Asia. Confucianism was renewed by a succession of interpreters; Koreans and Japanese intellectuals did not passively accept the teachings of the Classics, but continuously re-created new interpretations while internalizing them. Therefore, this dissertation uncovers different and distinctive Confucian traditions across the different cultures of East Asia, addressing the co-existence of catholicity and particularity in their rhetorical interpretations.

      • 한중일 ‘동아시아문화도시’ 비교 분석 : 2014년~2023년 정부 및 지자체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채송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35

        日中韓東アジア3国は「漢字、儒教、仏教、律令」を基に東アジア共同の文化を形成 し、それを通じて2014年度から現在に至るまで「東アジア文化都市」を推進し、文化や 芸術など多方面にわたって交流と協力を図る。しかし、「東アジア文化都市」は国家の主 導の下、新たに集団を形成した交流都市であるため、彼らが持つ文化遺産と都市が追求 するビジョンが異なり、これにより「東アジア文化都市」というイベントが終わった後、 都市間で持続性を維持しながら交流を進めることは容易ではない。 本論文では、日中韓文化大臣会議の宣言文を通じて、「東アジア文化都市」が作られ るようになった過程と交流方案について調べた。日中韓3国の政府は1年あるいは2年前 から「東アジア文化都市」の募集公告を出し、国家内部の審査を通じて2023年までに韓 国9都市、中国13都市、日本9都市を選定した。また、「東アジア文化都市」が既に持っ ている姉妹・友好都市の状況から、韓国の数少ない都市だけがイベント後に姉妹・友好 都市を結んでおり、中国と日本の場合はほとんどなく、継続的にイベントを続けられる つながりを作っていないことが確認できた。しかし、同じ年に選定された「東アジア文 化都市」ではなく、別の年の「東アジア文化都市」と姉妹・友好都市が形成されている場 合、互いに文化交流を継続し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た。 日中韓政府のホームページを検討した結果、韓国と中国のホームページでは東アジア 文化都市に関する情報を掲載しているカテゴリーは見つからず、実質的に東アジア文化 都市に直接関連する資料は全体の20%程度しか確認できなかった。日本は両国とは異な り、年度ごとに都市に関するロゴ、イベントホームページ、選定募集文など、比較的詳 細な資料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KH Coderの分析では、韓国政府のホームページ は、東アジア文化都市の選定については主要な情報を発信しているが、発展の方向性や 持続戦略などについては言及が比較的少なく、東アジア文化都市のネットワーク協力へ の関心があり、今後の東アジア文化都市が国民経済に役立つことを望んでいることが確 認できた。中国政府のホームページでは、東アジア文化都市に関連し、国家的に重要な 文化交流の活動として認識しており、毎年東アジア文化都市の審査を北京で行い、毎年 2都市を選定するなど、中国内で東アジア文化都市に関する影響力が高まっていること が確認できた。日本政府のホームページには、東アジア文化都市のイベントを短期的な イベントではなく、ある程度の期間を置いたプランとして捉え、政府だけでなく大学と も一緒に東アジア文化都市の今後の課題について議論し、経済対策として活用できる事 項であることを認識し、東アジア文化都市に関連する募集、選定に関する詳細なデータ 状況を提供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3国の自治体では、それぞれのコンテンツを持っ てイベントを実施したが、韓国と中国の場合、長期的かつ戦略的な体系とアーカイブが 整っておらず、持続的かつ後続的な評価ができるハードウェア及びソフトウェアプラッ トフォームが不足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日本では、自治体で「東アジア文化都市」に 関する戦略的な体系とアーカイブが行われており、持続的かつ後続的な評価ができる ハードウェアとソフトウェアプラットフォームが整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東アジア文化都市」は日中韓が共通に主催する国際的なイベントであるため、イベン トの活動を維持するためには、日中韓が作成したデータを共有・確認できる持続性を構 築すること、また、情報の持続性を維持するためには、3カ国が一緒に情報を見ること ができるプラットフォームを構築し、イベント後に共同の白書を発行し、プログラムが 終わっても継続的にイベントを振り返り、発展できるオン・オフラインのプラット フォームを設けることが何よりも重要であろう。

      • 월츠의 세 가지 이미지로 본 일본 민주당 시기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등장 요인

        윤은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일본의 외교정책은 미일동맹을 중심축으로 하고, 이를 심화하여 발전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 집권기(2009~2012년)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은 대등한 미일동맹을 강조하며 기존 외교정책과는 다른 기조로 전개된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민주당 시기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이 일본의 기존 외교정책과 차이가 발생한 원인에 주목하며, 케네스 월츠의 세 가지 이미지를 통해 그 구상의 등장 원인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각각의 이미지의 분석틀을 통해 제시된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등장 요인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차 이미지 분석에서는 하토야마 유키오의 정치적 신념인 “우애(友愛)”와 그에 따른 대외인식이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형성 및 실천과 강력한 연계성을 갖고 있음을 밝혔다. 2차 이미지 분석에서는 민주당 지도층의 대외 인식과 여론, 제도적 제약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한다. 3차 이미지 분석에서는 미국의 상대적 쇠퇴와 중국의 부상, 역내 상호의존도의 증가가 ‘동아시아공동체’ 등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각 이미지의 요인이 가진 설명력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2차 이미지 요인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민주당 내부의 구체적 합의 부족, 외교정책에 대한 일본 여론의 관심 부족, 제도적 제약, 하토야마의 실각 이후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쇠퇴 등으로 인해 2차 이미지의 설명력에 한계가 있음을 제시했다. 3차 이미지 요인과 관련해서는, 내부 정책결정자들의 인식에 따라 동일한 국제체제의 변화 속에서도 상이한 정책이 등장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3차 이미지의 설명력에도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 그에 반해, 1차 이미지 요인인 하토야마 총리의 개인적 신념과 대외인식이 여론의 지지와 제도적 제약 약화, 국제체제의 변화에 따른 해석상의 분열이라는 상황에서 강력한 요인으로 작동할 수 있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민주당 시기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등장 요인으로 1차 이미지가 가장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이 3차 이미지인 국제구조의 힘에 의해 짧은 시간에 사라진 점은 1차 이미지 설명력의 한계점으로 볼 수 있으나 지도자의 특성에 따라 새로운 외교정책의 등장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제구조에 대한 해석 혹은 시각의 차이가 분분하고, 대통령에게 막대한 재량권이 부여되는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 지도자 개인의 신념 내지 대외인식이 외교정책결정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본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주요 함의이다. Japan's foreign policy was developed with the U.S.A.–Japan alliance as the central axis. However, when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DPJ) was in power (2009–2012), their “East Asian Community” initiative emphasized equality in the U.S.A.–Japan alliance, which was a change in direction from the existing foreign policy at the time. Using the three imag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by Kenneth Waltz,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s preexisting foreign policy and the “East Asian Community” concept when the DPJ was in power, analyzed the reasons for the concept’s emergence, and determined the implications. The three-image analysis focused on the emergence factors for the “East Asian Community” initiative. The first image analysis analyzed the effect of Hatoyama’s political philosophy of “fraternity (yūai),” the resulting international perception, and the connections with the formation of the “East Asian Community” initiative. The second image analysis evaluated the influence of the DPJ’s external leadership perceptions, public opinion, and the institutional constraints. The third image analysis analyzed the impact of the relative decline of the United States, the rise of China, and the increase in regional interdependence on the emergence of the “East Asian Community” concept. Based on these analys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ach image was evaluated. The second image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there was a limit to its explanatory power because of the lack of consensus within the DPJ, the lack of the Japanese public interest in foreign policy, the institutional constraints, and the decline in the “East Asian Community” initiative narrative after Hatoyama's resignation. The third image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limit to its explanatory power because policies were emerging with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at were differently perceived and interpreted by internal policymakers. The analysis of the first image factor, however, found that while Prime Minister Hatoyama’s personal beliefs and external perceptions acted as a strong factor in gaining public support and weakening institutional constraints, they resulted in diverse interpretations because of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Therefore, while the first image offered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for the emergence of the “East Asian Community” initiative when the DPJ was in power, its influence was limited as the initiative quickly disappeared because of the power of the third image’s international structure;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new foreign policies can emerge because of a leader’s characteristics. The main implications were that the interpretations or perspectives of international structures can vary depending on the leader. For example, in countries such as Korea, in which the president has enormous discretion, the leader’s personal beliefs or external perceptions can be a major variable in foreign policy decisions.

      • 한국의 루쉰 수용과 현대중국의 상상

        최진호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한국 루쉰 수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한국에서 루쉰이 의미화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한국의 근대성을 가늠해 보는 작업이다. 한국의 루쉰 수용자들은 루쉰과 중국이 대면했던 역사적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한국의 정치적· 역사적 조건을 반추하고자 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에서 루쉰의 사상적· 문학적 위상에 대한 관심은 동아시아의 지평에서 수평적 참조 체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루쉰에 대해 일관된 연구의 흐름이 형성될 수 없었다. 한국의 정치적· 역사적 조건이 루쉰의 전면적인 수용을 제한했기 때문이다. 특히 냉전의 영향은 한국이 루쉰 수용의 폭과 양을 결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약성에도 불구하고, 루쉰은 편린의 형태로나마 ‘현대중국’의 상징으로 한국에서 지속적으로 수용된다. 비록 루쉰이 한국에서 전면적으로 사유되지 못했다 해도 한국에서 루쉰과 현대 중국이 갖는 의미를 과소평가할 수 없다. 루쉰에 대한 단편적 논평들 속에 현대 중국의 역사적 경험에 대한 한국 지식인들의 관심과 지지가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이런 지점에서 본다면 한국 루쉰수용의 계보 탐구는 한국 근대성에 있어 ‘현대중국’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은 식민-해방기, 냉전기, 탈냉전기로 나누어 루쉰 수용을 재맥락화했다. 먼저 식민-해방기는 한국 루쉰 수용의 원점에 해당한다. 식민지 시기 한국의 지식인들은 5·4 운동과 사회주의와 관련해서 루쉰의 위상을 문제화한다. 정내동이나 김태준, 가라시마 다케시, 이육사등 식민지 시기 한국의 중국 연구자들은 ‘루쉰전변’을 축으로 루쉰의 사상과 문학의 본질을 논했다. 이들은 1930년 전후의 중국 사회의 분기를 ‘계몽’과 ‘혁명’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동시에, 이에 기반 해 현대중국에서 루쉰의 위상을 다룬다. 이때 ‘루쉰상(魯迅像)’은 혁명과 계몽, 그리고 비판을 축으로 구성된다. 해방기 한국 사회에서는 ‘중국혁명’에 대한 중층적 관심이 생겨난다. 동시에 루쉰에 대한 이해 역시 다각화된다. 그리고 해방 직후 좌우 연대와 합작이라는 이념지형 속에서 중국과 루쉰에 대한 공통의 탐구 가능성이 열린다. 정치적· 이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신문화운동과 사회주의 혁명을 한국 현대사의 현장으로 불러들여 새로운 현실감각을 획득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냉전의 대립 구도의 강화 속에서 ‘혁명좌파 루쉰’의 형상은 은폐되고 자연주의적 휴머니스트 루쉰의 형상만이 언표 가능해 진다. 둘째 냉전 시기의 경우 ‘중국에 대한 상상’이 루쉰에 대한 금기와 허용을 결정했다. 반공 체제에서 한국의 지식인들은 루쉰을 사회주의에서 분리시켜 냉전의 통념 속에서 수용한다. ‘중공’을 전체주의 국가이자 근대의 이탈로, ‘자유중국’을 ‘자유진영’의 수호자이자 근대화의 모범으로 상상하는 조건 속에서 루쉰을 ‘중공’에 적대적 사상가· 문학가로 계열화한다. 루쉰을 ‘자유’와 ‘순수문학’의 계보 속에서 ‘자유중국’의 일원으로 계열화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1970년대 냉전체제의 완화와 함께 공적 담론 체계에서 은폐되었던 ‘붉은 루쉰’이 재등장한다. 리영희의 경우 냉전 세계 체제의 변화를 인식하고 루쉰과 현대중국의 재인식을 통해 이 변화에 대응하고자 한다. 그는 루쉰을 사유의 지반으로 삼고 현대중국에 ‘내재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폐쇄성을 해체하고자 했다. 셋째 냉전 해체기에서는 ‘현대중국’에 대한 지적 관심이 재고된다. 그리고 루쉰과 중국 사회주의 혁명의 관련성이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한다. 물론 1980년대 중반까지도 한국의 지배권력은 여전히 냉전 반공 이데올로기를 강요했다. ‘중국혁명’에 대한 지적 관심은 이런 독재체제에 대한 비판과 ‘중국혁명’을 한국 사회의 변화의 동력으로 번역하려는 흐름과 결합한다. 중국혁명에 대한 직접적 소개가 제한된 상황에서 의식화된 지식인들은 루쉰과 ‘현대중국’을 이를 위한 우회적 통로로 활용하고자 한다. 1980년대 후반 냉전해체와 동아시아 지역간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지역’이 지닌 비판성이 의제화된다. 한국 사회의 변화가 ‘지역’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다는 의식 속에서 ‘동아시아론’이 부각되었다. 중국은 직접적인 소통으로 동아시아의 일원으로 호명된다. 중국의 위상 변화 속에서 루쉰은 동아시아 근대를 상징하는 인물로 수용된다. 즉 루쉰은 보편적인 지식인이 아니라 비서구적 지식인 혹은 동아시아 지식인으로 형상화된다. 말하자면 7,80년대의 민주화담론과 좌익담론에 대한 내부적 반성과 90년대 아시아의 발견이라는 새로운 지적 모색 속에서 루쉰이 수용되었던 것이다. 요컨대 한국에서의 루쉰 수용의 폭과 형태는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이해와 결합되어 결정되었다. 즉 한국에서는 루쉰을 ‘현대중국’의 상징으로 수용했다. 현대중국은 지속적인 체제 전환의 과정 속에 놓여 있으며, 이러한 현대중국을 한국 사회에 접목시키는 사상 자원이 루쉰이었던 것이다. 한국에서 루쉰은 중국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포괄적인 통로였다고 할 수 있다. 반봉건(反封建)과 반제(反帝)의 휴머니스트이자 사회주의자, 그리고 주체적 자각의 상징에 이르기까지 루쉰은 복합적 형상으로 존재했다. 그리고 ‘현대중국’을 한국 사회에 포섭하려는 역사적· 정치적 조건 속에서 루쉰의 면모가 드러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한국의 루쉰 수용이 현대중국의 사상과 문학의 수용만이 아니라, 현대중국을 한국의 사상자원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이었음을 밝혔다. 루쉰이 지닌 상징성을 규명하는 것은 현대중국이 한국 지성계에 가졌던 비판적 의의를 드러내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서구-일본이라는 제국의 창이 아니라 중국이라는 비서구와의 소통을 통해 당대 한국의 근대성과 전망을 문제화하고자 했다. 한국에 있어 현대중국과 루쉰의 수용은 비서구와의 연대 혹은 교통을 의미했다. 이는 동시에 한국 사회에서 비판적 담론을 형성하는 과정이기도 했다. 이러한 루쉰 수용의 역사성과 현장성을 밝히는 것은 루쉰을 둘러싼 인식론적 틀을 재구성하는 작업이다. 이는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루쉰을 연구하는 것과 연동된다.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루쉰을 바라본다는 것은 각 지역과 시대의 루쉰 연구가 지역, 시대의 어떤 요구와 맞물려 전개되었는지에 주목하여 루쉰을 재맥락화하는 작업이다. 루쉰을 경유할 때, ‘동아시아’는 공통성의 공간이 아니라 차이의 공간이다. 루쉰의 수용사를 통해 동아시아의 개별 공간 사이의 균열을 드러내는 동시에 그 균열의 근거를 사고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개별 국가들은 루쉰을 거의 동시적으로 수용했지만, 그 수용 양상은 상이했다. 그러나 동시에 루쉰이라는 문제적 인물을 둘러싸고 이들 사이의 다양한 균열점들이 교차한다. 이런 의미에서 동아시아에서 루쉰은 논쟁적 작가였으며, 앞으로도 논쟁적 작가로 남을 것이다.

      •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 : 한·중·일 3국 협력을 중심으로

        고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全球化的背景下,世界经济相互依赖性日益强,并逐渐显现出区域地理经济的特征。作为全球三大经济体之一,相比欧洲与北美在区域一体化领域取得的成果东亚合作进展十分有限。1997年亚洲金融危机促成的“东盟10+3”的合作框架,成为东亚合作的里程碑。但是作为东亚核心国家的中日韩三国合作进展缓慢直接迟滞了整个东亚地区的合作进程。2008年爆发的全球性金融危机进一步加深了中日韩三国强化区域合作的紧迫感和重要性,三国合作在短短两年内取得积极进展,但鉴于三国所处的东北亚地区的复杂的国际政治环境以及三国间彼此在政治、经济、文化等领域的巨大差异,三国合作仍面临诸多挑战。本文重点围绕中日韩三国合作,运用现代国际政治学的三大主流理论——结构现实主义、新自由制度主义和建构主义,对中日韩三国合作中存在的障碍因素进行了分类及系统地理论分析,一方面试图为中日韩三国合作以及东亚合作问题研究提供一种新的理论分析视角,同时也力图为克服东亚合作的障碍提供具有可操作性的对策建议。 由于中国的快速发展,美国等东亚国家相继调整地区政策。美国将中国视为潜在威胁,采取“两面下注”的政策,通过强化其在亚洲的同盟关系牵制中国。日本一方面分享中国经济发展的成果,同时也通过强化与美国的同盟关系牵制中国。中国为营造经济发展所必需的稳定的周边环境,一方面积极致力于推动多边外交,同时通过加强与俄罗斯、朝鲜等传统友好国家的关系试图以“反平衡”战略应对美日的围堵。结构现主义理论认为,这一系列地区合作的障碍因素属于结构性障碍,是在国际关系的无政府状态下,各国为谋求本国利益最大化而采取的必然选择。相比政治及安全领域,中日韩三国在经贸领域的合作取得了相当进展,但现有合作缺乏制度性安排仍停留在初级阶段。中日韩三国在政治制度、意识形态、经济体制和发展水平等方面存在着巨大差异。同时由于中国经济的快速和日本经济的长期低迷导致三国产业构成及贸易结构出现新的变化,三国在经贸领域的竞争趋势愈发明显。三国FTA进展的缓慢是三国缺乏制度性合作最明显的事例。对此自由制度主义理论认为,各国追求“绝对利益”是国际合作的主要推动力,但也正是因为由于三国存在的巨大差异而导致的对国家利益界定的不同,成为三国推动制度性合作的主要障碍。此外三国之间还存在历史认识问题、领土争端以及各自高涨的民族主义情绪所引发的国民间感情对立,这些因素彼此交织,相互作用,导致地区认同缺失。对此,建构主义从文化及相互认知角度给予了充分说明。 本文认为中日韩三国合作存在着结构性、制度性以及认知上的障碍因素,各因素相互作用共同阻碍了中日韩三国合作的进程。结构现实主义、新自由制度主义和建构主义如同硬币的两面,在解释障碍因素方面既具有用性也存在着局限。鉴于障碍因素之间的复杂性与相互关联性以及三大理论的自身局限性,用任何单一的理论都无法充分说明中日韩三国合作的障碍,必须采用“折衷式的分析”方法,充分考虑到障碍因素的特点并且完善各理论自身的不足,在此基础上提出综合性的解决方案。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가 동아시아지역협력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과 한·중·일 3국 정상회의 즉, ‘10+3’ 이라는 동아시아 지역협력체가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그동안 ‘10+3’ 협의체의 빠른 진전과 달리 한·중·일 3국 협력이 협력보다는 일정한 경쟁양상이 나타났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공동의 위기 극복 의식에서 한·중·일 3국 협력은 일정한 진전을 이루어졌으나 안보, 경제, 역사와 문화 등 면에서 여전히 많은 장애요인이 있다. 한·중·일은 동아시아의 핵심국가로서 3국 협력의 부진이 동아시아 전체 협력의 큰 걸림돌이 된다. 본 연구는 한·중·일 3국간의 협력에 초점을 맞춰서 3국 협력의 장애요인을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론적 차원에서 장애요인의 성격과 서로간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한편으로 한·중·일 3국 협력 및 동아시아 협력에 또 하나의 이론적 분석시각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 실현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동아시아 협력의 장애물을 극복하는 데 일정한 의의를 발견하고자 한다. 한·중·일 3국 협력에 있어서 구조적 한계, 제도적 한계와 인식의 한계 등 장애요인이 있다. 구조적 한계는 냉전체제가 여전히 잔존하는 동북아지역에서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이 주도권을 둘러싸고 벌이는 경쟁을 의미한다. 중국의 부상에 따른 동북아 역학관계의 변화에 대한 주변국들의 대응은 갈등과 충돌을 격화시키고 3국 협력의 불확실성을 증폭시켰다. 이에 대해 구조현실주의적 접근이 일반적이다. 제도적 한계는 3국 협력은 아직 초보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구속력이 있는 제도적 보장 장치가 결여하는 점을 의미한다. 한·중·일 3국간에 정치제도, 이데올로기, 경제체제 그리고 발전단계의 차별로 의해 국가이익에 대한 인식이 서로 다르다. 또한 중국의 부상과 일본경체의 침체로 한·중·일 3국의 분업구조와 무역구조는 새로운 변화가 생겼으며 3국간의 경제관계도 경쟁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중·일 FTA의 지체는 3국간의 제도적 협력이 부재를 설명하는 가장 적절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도적 장애요인에 대해 ‘절대적 이익’ 추구를 강조하는 신자유제도주의에서 바로 국가실정 차별에 따른 국가이익에 대한 인식차이야말로 3국 협력이 제도화되는데 가장 걸림돌로 본다. 인신의 한계는 역사의 갈등과 현실이익의 충돌이 교착하여 더불어 3국 내부 신장된 민족주의에 부딪쳐서 3국 국민사이에 편견과 오해가 많이 생기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다. 역사인식의 차이, 문화성격의 편차, 그리고 자민족주의의 확대와 심화는 3국 협력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장애요인에 대해 구성주의는 인지의 차원에서 이론적으로 설명했다. 구조현실주의, 신자유제도주의 그리고 구성주의는 각각 권력, 제도 그리고 문화 등 세 가지측면에서 지역협력에 대해 해석하는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구조현실주의, 신자유제도주의와 구성주의는 동전의 양면과 같이 각각 이론적 유용성이 있는 반면에 한계점도 내포하고 있다. 장애요인의 복합성과 설명이론의 특성으로 어느 하나의 이론으로 한·중·일 3국 협력의 장애요인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분석적 절충주의’를 바탕으로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 영웅서사의 동아시아 수용과 중역의 원본성 : 서구 텍스트의 한국적 재맥락화를 중심으로

        손성준 성균관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19세기에서 20세기 초 동아시아 3국에서 서구인의 전기들이 활발히 중역된 양상을 검토하여 당시 동아시아 내부의 다양한 ‘차이’들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중역의 결과물들이 해당 공간에서 원본의 지위를 갖게 되며 실질적으로도 상당한 변주가 확인되는 만큼, 이 글에서는 각 텍스트의 특징들을 ‘원본성’으로 명명하였다. 연구 방법상 기존의 비교 연구들과 변별되는 지점은, 한ㆍ중ㆍ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통적 번역 대상이 되었던 ‘서구’라는 지점을 또 하나의 비교항으로 삽입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일본의 텍스트를 중역한 중국과 한국 외에도 일본을 하나의 객관화된 대상으로 다룰 수 있었다. 당대의 영향력과 연구 대상으로서의 의미를 고려하여 본고에서 취합한 전기물의 케이스는 크게 7종이다. 이들은 각기 다른 국적의 인물들이지만 영국인 혹은 미국인이 쓴 영문 서적이 유통의 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동궤에 있었다. Ⅱ장에서는 동아시아 내부의 번역 주체들과 특기할만한 현황들을 제시하여 Ⅲ장 이하에서 펼칠 각론의 공통적 배경이 될 논의를 펼쳤다. 본격적인 텍스트 분석인 Ⅲ장과 Ⅳ장은 한국어로 중역되기까지의 두 가지 경로에 해당하는 케이스들을 각각 묶은 것이다. 중국 경로를 다룬 Ⅲ장 자체도 두 가지 성격으로 구분된다. 우선은 근대 동아시아의 지식인 중 일본과 한국의 중간에서 가장 활발한 인적 매개가 된 량치차오의 작업 단계를 기본 축으로 삼았다. 그가 『신민총보』 지면에 발표한 순서대로 헝가리의 코슈트, 이탈리아의 삼걸, 프랑스의 롤랑 부인까지의 세 편과 이들 각각의 번역 전후에 연동되어 있는 동아시아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른 하나는, 량치차오와는 다른 정치적 지향을 갖고 있던 혁명파 진영의 인물, 띵찐을 통한 조지 워싱턴 전기의 케이스를 검토한 것이다. 본래 량치차오의 영웅 소개는 단계별로 전략적으로 이루어졌다. 공화주의자 코슈트를 소개하며 내부 분열로 인한 실패를 경고한 것이 첫 번째 단계였다면, 다음 단계에서는 입헌주의자 카부르의 의한 이탈리아 통일을 조명하며 공화주의자 마찌니와 가리발디를 주변부화시켰다. 세 번째 단계와 네 번째 단계는 각각 프랑스와 영국의 혁명 모델을 화두로 올리는 것이었는데, 롤랑 부인을 통해 제시된 프랑스 혁명은 파멸의 모델이었고 크롬웰(크롬웰 관련 텍스트는 번역의 경로상 Ⅳ장에서 다룸)을 통해 제시된 영국 혁명은 궁극적으로 중국이 따라야 할 모델로서 제안된 것이었다. 이처럼 량치차오의 서구영웅 소개는 일련의 연속적 메시지를 담아 진행된 것이었지만, 량치차오가 저본으로 삼은 일본서나, 량치차오의 것을 번역한 한국서들은 모두 독립된 저작이었으며 각기 다른 의도 속에서 기능했다. Ⅲ장에서는 이들 텍스트의 상호 대조를 통해 그 독자적 의미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상세히 밝히고자 했다. 이와 더불어 워싱턴 관련 텍스트를 통해 살펴 본 띵찐의 번역과 이해조의 중역 사례는, 량치차오 루트의 텍스트 변주와는 또 다른 의미들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 경로를 다른 Ⅳ장에서는 비스마르크와 올리버 크롬웰, 표트르 1세 전기의 동아시아 수용 양상을 다루었다. 일본 경로에서 주요 수신자가 된 것은 여러 유학생 단체가 만든 학회지의 연재란이었지만, 거의 동시기에 한국 내 출판사들을 통해서 이들 전기에 대한 잡지 연재나 단행본의 번역도 함께 이루어졌다. 당시 한국은 국권상실을 목전에 두고 있었으면서도 제국주의 영웅들이 높은 인기를 누렸는데, 본고의 분석을 통해 그 결정적 이유 중 하나는 기왕의 이해처럼 ‘제국주의로의 추수’보다는 ‘저항 서사로의 변용’에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한국의 저자들은 비스마르크 전기의 지면을 빌려 국채보상운동을 전개하기도 했고, 크롬웰의 전기를 통해 기독교를 핵으로 한 국민정신의 대통합을 천명하기도 했으며, 표트르의 일대기를 우회하여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야욕을 비난하기도 했다. 근대 동아시아 사회에 앞 다투어 소개된 타국의 영웅들은 결국 번역자들의 동상이몽 속에서 부유하던 매개물일 따름이었다. 많은 인물들이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소개되지만 문제는 그것이 사실 그대로서가 아니라, 한 ․ 중 ․ 일 각각의 공간에서 여러 가지 독특한 해석과 의미 부여들을 동반한 형태로 ‘재맥락화’되었다는 데 있다. 당대의 영웅서사는 번역자의 사상적ㆍ정치적 지향이 무엇이든 간에 녹여낼 수 있는 ‘용광로’의 기능을 담당했다. ‘중역’은 최소한 세 단계 이상의 텍스트가 연동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당시의 중역은 원본과 사본의 관계를 반복 생산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원본을 창출하는 행위였다. 이들 텍스트 사이에 복수의 ‘원본성’이 존재했다는 의미는, 역으로 공간을 초월하는 원본성은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근대 동아시아에 밀어닥친 서구의 충격은 우리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듯 압도적인 무게가 아니었으며, 본질적이고 궁극적인 실체로 현현되지 않았다. 근대 동아시아의 여러 지식인들은 ‘서구에 대해’ 말하고자 했던 것이 아니라 ‘서구를 통해’ 말하고자 했다.

      • 『개벽』의 중국론과 근대인식 : 이동곡의 중국 정치·문화 논설을 중심으로

        김민승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논문의 목적은『개벽』의 이동곡 논설을 대상으로 식민지 시기 조선인의 5·4운동시기 중국 사상 수용과 이를 통해 형성된 독자적인 근대인식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20세기 초반 일본 제국주의 지배질서의 확립에 따라 일본어 텍스트는 서구 근대 사상의 매개체이자 동아시아의 근대 사상의 선구자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인 지식인은 일본 근대 사상에 비판적 시각으로 접근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이라는 경로를 통해 새로운 문화와 사상을 수용하고 이를 조선에 적용하려 했다. 즉, 식민지 조선의 지식문화는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식문화와의 교류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이를 가장 잘 나타내는 사례가 바로 『개벽』에 게재된 이동곡의 중국 문화·정치 논설이다. 조선 천도교단과 이들이 발간한 잡지 『개벽』은 재중국 천도교인을 중심으로 한 연락망을 형성했고, 이를 통해 중국 변동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당시 사상과 학술 생산을 주도한 『개벽』에 중국 관련 논설이 꾸준히 게재되었다는 사실은 식민지 조선에서 중국이 사라진 중화(中華)질서가 아니라, 근대적 사상개혁과 정치혁명 과정 중에 있는 국가로 존재했었음을 의미한다. 조선 지식인은 중국을 타자화하고 동아시아 내 일본의 선구적 역할을 강조하는 데 주력했던 일본 ‘동양학’의 흐름과 다른 차원에서 주체적인 시각으로 중국을 직접 대면한 것이다. 이동곡은 재중국 천도교인 가운데 『개벽』의 중국 관련 논설을 게재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동곡은 5·4운동 시기와 그 이후의 중국 변동을 예의 주시하며 그 과정에서 동아시아의 미래와 조선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했다. 구체적으로 량수밍, 후스, 천두슈의 대표적인 논설 가운데 전통문화, 신문화운동, 정치혁명과 관련한 사상을 사상적 기원으로 두고, 조선의 문화운동과 정치변동과 관련한 논설을 발표했다. 이는 조선인 지식인이 5·4운동 시기 생산된 중국 논설의 원문을 직접 번역하고 소개한 사례로, 조선 지식문화 형성에 중국이 개입된 정황을 나타낸다. 이동곡은 량수밍의 『동서문화급기철학』을 통해 동양문화의 특징을 비과학·비민주로 정리하는 한편, 조선의 유교 전통계승문제를 고민했다. 한편 후스와 천두슈의 문학혁명론과 백화문운동을 방법론으로 삼아 조선의 한문학 폐지와 국문 사용 운동을 제안하기도 했다. 또한, 천두슈의 중국 혁명론을 통해 중국의 일본을 향한 반제국주의적 저항 운동의 성공을 전망하고, 그에 기댄 조선의 혁명적 운동의 부흥을 기대했다. 이러한 이동곡의 논설에는 5·4운동 이후의 중국이 일본의 동아시아 지배를 저지할 수 있을 것이고, 조선의 미래가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판단이 드러난다. 이는 중국을 동아시아의 핵심적인 국가로 인정함과 동시에, 동양문화의 개조 및 재창조, 그리고 제국주의 확산 저지에 대한 성공을 전제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인식을 통해 일본 근대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일본이 구상한 동아시아 제국의 해체 시도가 가능했다. 즉, 조선인이 중국의 존재를 인식함으로써 일본의 식민주의 지배이데올로기의 권력에 균열을 일으킨 것이다. 이 논문은 이동곡의 사례를 통해 조선의 동아시아 인식, 중국을 통한 자기(조선)인식 등의 문제를 확인하고, 사상적 기원이 되는 중국 논설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내 일본 근대 사상의 확장과 다른 층위에서 중국을 계기로 한 반식민주의적 상상력을 근간으로 조선의 지식문화가 형성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데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신삼국(新三國)시대 한중일 3국 경제협력 방안 및 협력모델 연구

        장헌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에서는 '경제적 접근을 통해 정치적 협력을 달성함'이라는 협력전략을 중심으로 한 한중일 3국의 경제적 협력을 분석하여 한중일 3국 정치안보협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신삼국(新三國)시대에 들어가면서 향후 한중일 3국 협력의 중심이 경제협력의 유지 및 정치협력에 있으므로 3국의 심도 있는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3국 협력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한중일 3국 협력은 역사와 현실에 기반 을 두고 있는 한편 3국의 유사한 사회 문화와 가치관에도 기초를 두고 있다. 현재 국제 정세는 복잡하고 동아시아 정세도 복잡한 국면에 처하고 있 으므로 국제와 지역 정세의 변화에 따라 3국의 국가 전략도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3국 협력 관련 선언과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3국 협력의 특징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3국 협력에 기초한 국가별 이익 수요와 외 교정책 수립 방침을 정리하였다. 또한 3국의 입장과 이익 수요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3국 협력의 긍정적 영향 요소와 부정적인 영향 요소를 총결하며 향후 3국 협력의 모델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3국 정상회의의 회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8차 한중일 정상회의에서의 3국 지도자의 연설과 관련 문안 연구를 핵심 근거로 삼았으며, '향후 10년 한중일 3국 협력 미래전망' 및 '한중일 협력 2020 비전'에 근 거해 3국 협력의 미래 과제를 도출하고 3국 협력의 미래를 그린 협력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밖에 경제협력 및 FTA 체결을 통한 정치협력을 바탕으로 3국 정치안보 영역의 협력 가능성도 적극적으로 모색하였다. 3국 간 경제, 정치, 국가 안보, 역사 및 영토 문제를 중심으로 경제 및 정치적 협력 분야의 차이를 비교하고 3국의 정치적 신뢰 문제의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3국의 국가전략과 이익 수요를 분석하였다. 3국 협력은 여러 면에 있어서 굴곡을 거치며 발전해왔다. 3국 협력은 여 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는데 3국 협력의 각종 영향 요소와 제한점을 분석하여 적극적인 영향 요소와 소극적인 영향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적극 적인 영향 요소와 관련하여서는 내외적 요소를 출발점으로 하여 지역 공동체 수립 배경과 지역협력의 발전 추세를 전망하였다. 또는 3국의 지리적 관 계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공동이익 요구를 연구하고 마지막에는 3국의 경제협력이 가져올 공동이익을 예상하였다. 소극적 영향 요소 중 의 내부 모순과 외부간섭을 중심으로 주로 中日 간의 잠재적인 모순과 지역 협력 주도권문제 그리고 3국 협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역사문제, 영토분 쟁 등에 접근하였다. 3국 협력은 상호 간 혹은 다자간 간섭과 충돌의 양상을 받고 있으나 전반 적으로는 발전적인 추세를 유지해 왔다. 3국 협력이 가져온 이익과 가치에 대해서도 한중일 3국의 정부와 국민은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2019년에 열 린 8차 한중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3국 간 협력 강화에 대한 공감대가 이뤄져 향후 3국 협력의 미래가 더욱더 밝아졌다. 현재 3국 협력의 제도화가 제 대로 이뤄지지 못한 점과 전면적인 협상 체제가 형성되지 못한 점이 주요 한계점이므로 이 두 가지의 보완이 향후 과제로 남겨져 있다. 한중일 3국 협력체제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3국 간 내부 갈등을 통제하고 3국의 정치적 신뢰도 강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3국 협력체제를 체계화하고, 각 분야의 3국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 3국 협력은 경제협력부터 이루어져 왔는데 앞으로는 경제에 국한되지 않고 각 분야의 조화로운 발전을 이루어질 것이다. 3국 협력은 제도적 체계화의 완성이 필요한데 우선 3국 협력사무처(TCS)의 역할을 강화해 그 연장선에서 3국 FTA 협상을 계속 심화시키고, 국가 간 정치 협력과 군사안보 차원의 협력을 강화하며 정부 간의 공식적이고 효과적인 협력체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향후 3국 협력이 계속 ‘이경촉정(以經促政)'의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지만, 3국은 '정냉경열'(政冷 經熱: 정치적으로는 냉정하고 경제적으로는 열띤 협력을 진행함)'의 국면 전 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또 제도화된 협력체제를 만들어 3국의 정치 행위를 규범화함으로써 정치적 마찰을 피하고 정치 통합을 이루어야 하겠다. 3국 협력은 동아시아에서 하나의 경제 및 정치체로서 강점을 발휘하여 협력을 심화해야 하며 다른 경제 및 정치체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향후 ' 한중일+X' 협력유형도 입각하여 3국 협력을 중심으로 미래의 동아시아 공동체를 주도하며, 3국의 자주성을 지속적으로 발휘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새로 운 질서 및 구도를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takes "promoting political cooperation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as the core, and analyzes the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JK. Trilateral cooperation promotes political cooperation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There are many contacts between CJK in economic cooperation, but only short-term contacts in politics, but there is no specific framework and agreement. With the deepening of economic cooperation, it can provide practical basis for political cooperation and political mutual trust and put forward its own suggestions.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which is based on the history and reality, as well as the similar social culture and values of CJK. In the past, compared with the study of bilateral relations,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JK was not comprehensive and thorough. The existing studies of the three countries are mostly based on economic cooperatio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JK-FTA. Or focus on the situation in East Asia,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bilateral relations and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erritorial disputes and historical cognitive problems, the trilateral cooperation has been on the rise and fall, which also led to the vast majority of research on the cooperation between CJK based on 2016 and before. The current international situation is complex and changeable, and the affairs of trilateral cooperation and East Asia are also intertwined and complex. In 2018, CJK resumed the leaders' talks, but at present, their respective national conditions and strategic objectives have also been adjusted, and the international and regional situation is constantly changing. Through sorting out the related documents declaration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first research),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On this basis, it summarizes the interests and foreign policy-making policies of the three countries based on the three trilateral coopera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positions and interests of CJK, this paper summarizes the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f ttrilateral cooperation. Finally, some suggestions are put forward and a model of future cooperation between CJK is described. Based on the spirit of the 2019 trilateral leaders' summit,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trilateral cooperation and summarizes experience with speeches and relevant documents of trilateral leaders as the main guiding basis, According to the prospect of “Trilateral Cooperation Vision for the Next Dcades” and “Trilateral Cooperation Vision of 2020”, the future topics of the three countries' cooperation are obtained, and the cooperation model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in the future is described In addition, on the basis of Economic Research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signing FTA to promote political cooperation), actively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in the political and security fields of CJK. Take economy and trade, political trust, national security, history and territory as entry points,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economic and political cooperation. By enumera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analyzing its changes, we can se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ck of political mutual trust of CJK, and analyze their national positions and interests. The ups and downs of trilateral cooperation are an objective manifestation of trilateral cooperation. However, despite many challenges, trilateral cooperation is of both realistic and non-realistic significance based on practical needs.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influencing factors and restrictive conditions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this paper summarizes the positive promoting factors and negative restraining factors. Among the positive factors, starting from external promotion and internal initiative, the paper illustrates the background of international integration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regional cooperation, studies the geographical proximity of the three countries and their common interests for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and finally lists the common interests brought by the economic cooperation of the three countries. In the study of negative factors, internal contradictions and external interference as the main line; It mainly involves the potential conflicts between China and Japan and the dominance of regional cooperation, as well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f trilateral cooperation: historical cognitive conflicts, territorial disputes and territorial sea disputes. Despite many constraints, trilateral cooperation has on the whole maintained an upward trend. The benefits and values of trilateral cooperation are also evident to the governments and people of the three countries. Based on the trilateral leaders' summit in 2019, the leaders of the three countries made clear their position and determination on strengthening trilateral cooperation,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trilateral cooperation became clearer. The trilateral cooperation is still lack of perfect system framework and the comprehensive consultation mechanism, this is the shortcoming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but also the trilateral cooperation in the future work. For the future of trilateral cooperation, the first step is to promote internal coordination among the CJK, which needs to give full play to the autonomy of the three countries. For CJK to form a whole, it should not only control of the internal contradictions between CJK, also want to strengthen political mutual trust, on the basis of promoting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mechanism, on this basis, to promote all areas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CJK originated in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ut not limited to the economic and trade, later to the coordinated development of every field. Trilateral cooperation needs institutional support. First of all, we should strengthen the role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TCS) and strive to integrate the three countries. On this basis, we should continue to deepen FTA negotiations among CJK, strengthen political cooperation and military and security cooperation among CJK, and realize a formal and effective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mechanism. The future of trilateral cooperation will continue to be based on the model of "promoting politics through economy", but the three countries aim to change the situation of "cold politics and hot economy". We should also build an institutionalized cooperation system and standardize the political behavior of the three countries so as to avoid political friction and enhance political proximity. The trilateral cooperation also is given priority to with east Asia east stage, play the advantages of integration, deepen cooperation, strengthen cooperation with other economic and political entit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Trilateral+X" policy, with the trilateral cooperation as the breakthrough point, leading the future of east Asian community, continue to play CJK of autonomy, strive to form a new order in east Asia and pattern.

      • 동아시아 ‘하루키 현상’의 동시대성 : 1990년대 말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수용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공자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논문은 동아시아에서의 주목할 만한 문학·문화 현상인 ‘무라카미 하루키 현상’에 착안하여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하루키 현상에 나타난 동시대성을 연구했다. 본 논문은 1990년대 말에 특히 주목했다. 이 시기에 양국에서 하루키 현상과 관련하여 비슷한 사회문화적 표징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먼저 제2장에서는 선행 연구 중 충분히 설명되지 못한 중국의 하루키 현상의 정확한 시기를 규명한다. 본 장에서는 다양한 통계 자료와 회고록 등을 바탕으로 이 현상이 나타난 시기가 1990년대 말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 이 시기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쁘띠 부르주아’임에 주목하여 본 논문은 1990년대 중국의 하루키 수용에 관한 4가지 맥락을 정리해 제시한다. 출판, 독자, 그리고 연구계에서의 영향력을 기준으로 본 4가지 맥락은 포르노그래피 맥락, 쁘띠 부르주아 맥락, 포스트모더니즘 맥락, 그리고 번역 맥락이다. 표상의 측면에서 보면, 중국의 쁘띠 부르주아적 하루키 상은 한국의 ‘쿨’한 하루키 상과 상당히 비슷하다. 본 논문은 양자의 상황을 따로 분석하고 다시 비교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중국의 하루키 현상은 상하이와 같은 대도시 그리고 비교적 경제가 발전한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난 것이다. 중국의 자본주의적 도시의 부흥과 반려된 세속적인 도시문화의 부흥이 중국 쁘띠 부르주아 담론을 제기하게 된 가장 중요한 배경이라고 주장한다. 그 다음 ‘쁘띠 부르주아’가 왜 ‘샤오쯔’로 변화되었는지에 대해 어원과 1990년대 중국사회의 사상 맥락을 고찰한다. 급속한 사회분화의 현실 속에서 개인주의가 부활하고 중국사회가 ‘계급투쟁’에 대하여 경계와 거부의 태도를 나타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텍스트 분석을 통해 『노르웨이의 숲』이 개인주의 시대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고, 이러한 이야기는 일종의 현실주의로 읽을 수 있다고 논의한다. 한편, 한국의 ‘쿨’ 맥락은 오랫동안 간과되어 왔다. 본 논문은 먼저 한국인이 언급한 ‘쿨’ 맥락을 제시하고 설명한다. 그 다음 ‘쿨’의 문화적 정의, ‘쿨’이 보여준 미국문화, 그리고 하루키 문학을 둘러싸고 미국인, 한국인, 일본인이 인식하고 있는 ‘쿨’ 감각을 정리함으로써 ‘쿨’의 이미지를 소개한다. 그 중 한국의 ‘쿨’ 맥락은 한국의 신세대 담론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신세대 담론은 사실 단절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노르웨이의 숲』을 통해 ‘쿨’은 타인과 과거로부터의 단절에서 출발한 것으로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하루키 인식에는 개인주의 성격이 뚜렷하고 과거와 혁명을 망각하는 이데올로기가 작용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이데올로기가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미국이 주도한 세계 질서와 신자유주의의 폭력적 실천의 산물에 동아시아를 편입하는 과정으로 상정한다. 개인주의의 시대, 그리고 과거와 혁명에 대한 거부는 세계적인 사조인 것이다. 즉, 하루키 현상에서 발견된 동시대 감수성이 결국 미국 중심의 동시대성임을 제시한다. This paper conducted research on the contemporary aspects of the Murakami Haruki phenomenon, a notable literary and cultural phenomenon in East Asia, focusing on South Korea and China. The paper gained particular attention in the late 1990s because during this period, similar socio-cultural symbols related to the Haruki phenomenon were observed in both countries. In Chapter 2, the paper identifies the precise timing of the Haruki phenomenon in China, which has not been adequately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memoirs, this paper argues that the phenomenon emerged in the late 1990s. In this context, the paper highlights the most important keyword of that period, “Petit Bourgeoisie,” and presents four contexts regarding the reception of Haruki in China in the 1990s: the context of pornography, the context of Petit Bourgeoisie,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and the context of translation, based on their impact on publishing, readership, and research community. From a symbolic perspective, the Petit Bourgeoisie-oriented Haruki phenomenon in China bears a considerable resemblance to the “cool” Haruki phenomenon in South Korea. The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se two situations separately. On the other hand, the Haruki phenomenon in China emerged mainly in major cities such as Shanghai and economically developed regions. The paper argues that the resurgence of capitalist cities and the resurgence of secular urban culture in China constituted the most important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the Petit Bourgeoisie discourse in China. Subsequently, the paper explores the origins of why “Petit Bourgeoisie” transformed into “Xiaozi” and examines the intellectual context of Chinese society in the 1990s. It argues that the revival of individualism and the attitude of caution and rejection toward class struggle in Chinese society amid rapid social differentia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Based on textual analysis, the paper suggests that Norwegian Wood contains a love story of the individualistic era and discusses how such a story can be read as a kind of realism. Meanwhile, the “cool” context in South Korea has long been overlooked. The paper first presents and explains the “cool” context mentioned by Koreans. It then introduces the cultural definition of “cool,” the American culture reflected in “cool,” and the perception of “cool” by Americans, Koreans, and Japanese surrounding Haruki’s literature. Among them, the paper discovers that the “cool” context in South Korea is connected to the discourse of the new generation in Korea, which can represent the effect of disconnection. Therefore, based on the text analysis that Norwegian Wood signifies the departure from others and the past, the paper argues that “cool” in South Korea has a distinct individualistic character and is influenced by an ideology that forgets the past and revolution. Above all, this ideology is not voluntary but rather the result of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East Asia into the world order l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violent practice of neoliberalism. The era of individualism and the rejection of the past and revolution are universal trends. In other words, the simultaneous sensitivity found in the Haruki phenomenon ultimately suggests a US-centric contemporaneity.

      • 위안화 국제화와 중국의 동아시아 지역전략 : 지역통화론의 관점에서

        이현용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2008년 경제위기 이후 미·중간 환율전쟁이 심화되면서 위안화 국제화 문제가 ‘위안화 국제화=기축통화’로 확대 해석되는 경향이 생겼다. 이것은 현재 위안화가 국제통화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2%에 머물고 있음을 감안할 때 현실과 상당한 괴리를 보이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통화시장에서 위안화 기축통화론이 여전히 유요한 것은 2008년 이후 나타난 미국과 유럽의 경제위기가 구조적으로 해소되기 어려운 국면에 이르렀고, 그 빈자리를 중국이 과거와 같은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통해 채워갈 것이라는 전재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과 글로벌 수준에서 G2체제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현재 중국에서는 그동안의 경제성장과정에서 간과했던 잠재적인 위험요인들이 점점 현실화되고 있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 지속적인 8%의 경제성장이 이뤄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중진국의 함정’에 직면해 있다. 또 의지적으로도 위안화 국제화의 전면적인 확대를 통해 달러와 위안화의 직접적인 경쟁구도를 만들려고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안화 국제화가 동아시아 역내에서 확대되고 있는 것은 중국이 동아시아 지역의 공고화를 목표로 하는 지역주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이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역내 미국의 영향력을 대체하고 안정적인 경제발전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이것은 현재 중국이 취하고 있는 3가지 정책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째, 역내 다자간·양자간 통화 스와프 체결 확대를 통해서 역내 통화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둘째, 1997년과 2008년 경제위기에 통화의 인위적인 평가절하를 선택하지 않음으로 주변국들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았다. 셋째, 역내 위안화 무역 결제를 확대해 달러와 유로의 가치 불안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통해 기축통화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고 의지도 부재하다. 따라서 현재 위안화 국제화가 동아시아 지역에서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것과 위안화를 중심으로 역내 통화시장의 공고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상에 대한 올바른 분석을 위해서는 기존의 ‘위안화 국제화=기축통화’라는 분석의 틀에서 벗어나 중국의 지역주의 전략의 틀 안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