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연구동향 비교 분석

        배수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91

        This study aims to find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trends of two sciences, based on them. For this purpose, basic attribute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ir curriculums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were investigated. Moreover, representative journals of archives and records society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were chosen, and quotations between two societies were analysed, in order to find correlations of academic activities between them. In order to see research trends in academic journal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also, subject areas in related journals were explored, and in relation to used information sources, references of papers were analysed. In addition, affiliations of researchers, or types of authors who contributed papers to journals, were examined and analys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had interdisciplinarities, and were sensitive to social changes. Second, while there was a shortage of required standards for archivists, qualifications of librarians were subdivided. Thir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d about 40 times more information sources tha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Fourth,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as mainly focused 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rchives, but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re were the most active studies on informatics. Fifth, studies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ere highly dependent on international standards, or data of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 whereas studie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ended on academic journals the most. Sixth, although there were more single autho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an those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t the moment, single authors are decreasing, and co-authors are increasing, due to subdivision and professionalism of subjects. With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by professors, researchers, professor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in other departments. On the contrar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int researches between professo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between professors and librarians are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research on basic studies and service area. Seventh, while professo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conducting a lot of studies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fessor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ere only focusing on studies on this field rather than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이 연구에서는 기록관리학과와 문헌정보학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두 학문의 특징과 그에 따른 연구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기본적 속성을 파악하였다.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커리큘럼과 전문자격에 대해 조사하였다.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학술활동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기록관리학회지와 문헌정보학회지의 대표 학회지를 선정하여 두 학회지간의 인용정도를 분석하였다.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의 학술지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주제 영역을 알아보았고 활용정보원을 알아보기 위해 논문의 참고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한 연구자의 소속이나 저자 유형을 조사•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관리학과 문헌정보학은 학제성을 가지며 사회변화에 민감한 학문이다. 둘째, 아직 기준이 미흡한 기록연구사와는 달리 사서의 경우 자격조건이 세분화되어 있다. 셋째, 기록관리학의 정보원보다 문헌정보학의 정보원이 40배 정도 많았다. 넷째, 기록관리학은 주로 기록의 보존, 관리 측면에 중점을 두었으나 문헌정보학의 경우 정보학 영역의 연구가 가장 활발했다. 다섯째, 기록관리학 연구는 국제 표준이나 국가기록원의 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으나 문헌정보학 연구는 학술지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문헌정보학의 단일저자비율이 기록관리학보다 높았으나 주제의 세분화와 전문성이 요구되면서 단일저자의 비율은 줄어들고 공동저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기록관리학은 학과 초기의 연구에서 벗어나 주제가 전문화되면서 교수와 연구원, 기록관리학교수와 타 학과 교수의 연구 등이 증가하고 있다. 문헌정보학은 기초학문과 서비스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면서 문헌정보학 교수들 간의 연구와 교수와 사서의 공동연구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일곱째, 문헌정보학과의 교수들은 기록관리학관련 연구를 많이 하고 있었으나 기록관리학과의 교수들은 문헌정보학관련 연구보다는 기록관리학만의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 기록관리학, 문헌정보학, 학술지, 연구동향

      • 국내 기록관리학분야 석·박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2001∼2010

        신준성 한성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91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2000년에 한국기록관리학회가 창설되면서 국내에서도 기록관리학분야가 학문으로서 자리잡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 연유로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협동과정으로 전문학위과정이 개설된 것을 비롯하여 전국에 20개 대학원에 기록관리학 전공과정이 개설되어 약 10년동안 운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록관리학 전공 대학원에서 간행된 학위논문의 주제 및 인용분석을 통하여 연구동향과 학문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2001년 2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간행된 국내 기록관리학분야의 석·박사학위논문 총 560편(석사학위논문 558편, 박사학위논문 2편)을 조사 분석하였다. 첫째, 학위논문에 대한 일반현황 분석을 위하여 연도별 간행 현황, 주제영역, 지도교수의 전공 분야,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연구대상기관을 조사하였다. 그 다음 국내 기록관리학분야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 3편과 본 연구를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학위논문의 인용문헌 분석을 위하여 최근 2년간(2008.8∼2010.2) 간행된 학위논문 262편을 대상으로 인용문헌의 인용빈도와 인용문헌의 수명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용된 학술지 중 인용빈도의 순위가 높은 국내외 학술지를 열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의 간행 현황을 살펴보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3년동안 간행된 학위논문이 74.7%(429편)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자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위논문의 주제영역은 ‘아카이브즈 및 기록물관리’, ‘기록정보서비스’, ‘기록물 및 기록매체’, ‘조직화’의 주제영역에 60.5%의 학위논문이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학위논문의 연구대상기관을 대학이 위치한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경기도 지역의 대학들은 중앙행정부처의 기록관에 대한 연구를 많이 다루고 있는 반면에 경상도, 충청도 및 전라도 지역의 대학들은 지방자치단체의 기록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용문헌의 자료유형별 인용빈도는 학술지, 단행본, 웹자료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문헌은 학술지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었고 국외 문헌은 웹자료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인용빈도가 높은 학술지를 살펴보았는데 국내 학술지의 경우 상위순위 3개의 학술지가 기록관리학분야의 학술지였고 그 다음순위 4개의 학술지가 문헌정보학분야의 학술지인 것으로 분석되어 두 학문간의 유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용된 학술지, 단행본 및 학위논문의 수명을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간행연도를 기점으로 10년이 지나면 이용가치가 점차 감소하였다. 국외의 경우에는 간행된지 10년이 지난 자료들도 상당수 인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s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 1999 and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was founded in 2000,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came to place itself as a science in Korea. For this reason, a professional degree program was established as a interdisciplinary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of Mokpo University, and the major course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were established in 20 graduate schools nationwide, which have been operated for about 10 years. This study inquired into and analyzed total 560 papers (558 master's theses and 2 doctoral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published in Korea from February 2001 through February 2010 in order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and changes of the study through the topics and cited analyses of the papers for a degree published in graduate schools for the major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in Korea. First, for the analysis of the general situations of the theses for a degree, the status of publication per year, subject fields, the major fields of the academic advisors, research method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he target institutions of the research were surveyed. Next, 3 precedents studies that analyzed the trend of the research for domestic journals in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is study. Second, for the analysis of the cited literatures of the theses for a degree, for 262 theses published in recent 2 years (Aug. 2008∼Feb. 2010), the frequency and life span of the cited literatures, etc.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domestic/foreign journals at the high ranking of citation among the cited journals were li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situations of publication of the theses for a degree, those published for the recent 3 years from 2007 through 2010 took 74.7%(429 pieces), so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earchers increased. Second, the subject fields of 60.5% of the theses were concentrated o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rchival Reference Services’, ‘Archives and Recording Medium’, ‘Arrangement for Archives and Records’. Third, to examine the target institutions of the theses by the region in which the colleges are located,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 mostly dealt with the archives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departments while those in Gyeongsang,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with the archives of municipalities. Fourth, the frequency of cited literatures for each type of data among the cited literatures was in the order of journals, books, and web materials. They mostly cited journals for domestic literature while foreign ones web materials the most. Fifth, it examined the journals with more than higher frequency of cited literatures, and for the domestic journals, the top 3 journals were those from the field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followed by 4 journals from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which showed high relevance between the two studies. Sixth, it analyzed the life span of the cited journals, books, and theses, and for the domestic ones, the use value decreased gradually from 10 years after the year of publication. For foreign ones, numerous materials past 10 years from publication were still being cited.

      • 기록관리학 연구자의 학문적 연계 분석에 관한 연구 :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김예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기록관리학은 문헌정보학, 역사학, 행정학 등의 학문간 교류와 상호보완을 통하여 발전해온 복합학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제적 특성을 가지는 기록관리학이라는 학문과 타 학문 분야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기록관리학의 정의와 학문적 개념을 살펴보고, 학문분류표와 주요 문헌분류표를 선정하여 기록관리학과 타 학문의 학문적 범주를 분석하여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또한 기록관리 협회의 지침서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학의 학문적 범주를 설정하였다. 주요 대학원 기록관리학 석⋅박사 과정의 커리큘럼과 기록법을 살펴보고 법제적 기준을 관점으로 기록관리학에 대한 학제성과 이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국내 기록관리학 대표 학술지인 「기록관리학회지」와 「기록학연구」에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635편의 논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학과 연계되어 있는 주요 학문 분야를 제시하고, 연구자들의 분포 및 연관도와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기록관리학 분야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에 있어서 연계되는 타 학문 분야에 대해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 학문 분야와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자들의 미래 정보 요구 행태에 대해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s a complex study that has developed through interdisciplinary exchanges and complementary stud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istory, and administr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ink between the academic and other academic fields of record management with academ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definition and academic concept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selected the academic classification table and the major literature category to analyze the academic categorie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other studies and expla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academic categor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guidelines of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ssociation(SAA, ACA). We looked at the curriculum of major graduate archives and record management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and archives and record management law. And we analyzed the educational system based on the academic system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legal standards. To this end, 635 papers published from 2010 to 2019 were analyzed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Based on this, major academic fields linked to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were presented, and the researchers' distribution and associations and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the other academic areas connected to the research activitie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but also allows us to predict future information needs of researchers by looking at their relevance to other disciplines.

      •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자격요건에 관한 비교연구

        유혜정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OECD 23개국 중 65.98점으로 3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다(방정환재단-연세대학교연구소, 2011). 또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보고서(2012)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4명 중 1명은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이유로 학업부담(36.3%), 미래에 대한 고민(18.6%), 화목하지 않은 가정(11%) 등을 들었다. 최근 1년 동안 받은 스트레스의 원인으로는 학업(87.1%), 미래에 대한 불안(58.4%), 외모·신체조건(45.4%) 등을 꼽았으며, 일반고 학생 10명 중 9명, 초등학생 2명 중 1명 이상이 학업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의 행복지수는 5점 만점에 3.83점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행복지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서울시교육청, 2012). 이러한 주관적 행복감이 낮은 것이 ‘덜 행복하다’는 심리적인 상태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들의 사회적 적응문제나 위기상황으로 발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은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이제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문제는 비단, 개인의 삶의 대한 만족 수준에서의 문제가 아닌 사회전체의 문제로써 인식하고 국가에서도 여러 정책적 방법에서의 접근이 시도되고 있는 바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들의 경우 준비과정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주어지는 자유시간의 의미에 대한 이해부족과 그 시간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대안 부족, 그리고 정책 실현에 있어서는 학교별-학년별 상황에 맞는 점진적 제도개선이 아닌 급진적 방향전환으로 인해 학교내의 운영자 및 선생님들과 학생에의 혼란으로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여가생활의 질에 대한 고려 없이 자유시간의 증가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으로 인해 늘어난 자유시간을 입시를 위한 고액과외나 주말기숙학원이 성행하는 등의 또 다른 문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여가활동을 증진시키되, 구체적으로 어떠한 여가활동을 활성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로부터 출발한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이러한 여가활동의 증진이 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등 사회적 관계에서 어떤 특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청소년의 행복수준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청소년의 행복수준과 관련된 여가활동 및 사회적 관계와 관련된 분야의 학문적·정책적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연구대상인 청소년의 범위를 ‘초등학교 4학년 이상 고등학교 이하의 청소년’으로 한정하였으며, 집단의 표집은 성별, 학년별 사전비율 할당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은 1차 인터넷조사와 2차 설문지 수거방식으로 1,046부(최종응답률 83.4%)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우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여가활동시간, 사회관계, 그리고 주관적 행복감의 특성은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변수인 청소년의 사회관계, 여가활동, 주관적 행복감 등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유사성 측정치로는 유클리드 거리를 제곱한 것을 선택하였으며, 우리나라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배치를 규정하였다. 처음 기록물관리법에서 규정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은 기록물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역사학, 문헌정보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 후, 또는 검찰, 군인 및 군무원, 경찰공무원 중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기록물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를 배치하도록 하였으나 2011년도에 개정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은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기록관리학 학사학위 취득자 및 역사학, 문헌정보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 중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시험에 합격한 자로 전문요원의 학력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록관리 전문인력에 대한 상세한 자격이나 전문성에 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 선진국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여러가지 제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인력이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격 요건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전문직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전문 직업인으로써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개념과 역할을 확립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자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과 캐나다, 영국, 호주, 중국의 기록관리 교육과정과 기록관리 교육 인증기준, 전문가 자격인증제도, 실무경력 인정제도를 비교하였다. 교육과정 지침으로 미국 아키비스트 협회(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의 GPAS(Guideline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캐나다 아키비스트 협회(Associatoin of Canadian Archivists)의 기록학 교과과정 개발 지침서(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a Two-Year Curriculum for a Master of Archival Studies)와 호주 아키비스트 협회(Australian Society of archivists)와 기록 및 정보관리 전문가 협회(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fessionals Australasia)의 교육과정 인증 기준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의 기록교육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과정과 비교분석하였다. 기록관리 선진국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교육은 각 국의 기록관리 전문가 협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교육훈련의 기본계획에 대한 내용은 기록물관리법 상에서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의 업무로 규정되어 있어 외국의 기록물관리 전문인력의 교육지침 및 교육과정과 국가기록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에게 필요한 표준 교육과정을 위한 지식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다음으로 전문가 자격인증제도인 ICRM(Institute of Certified Records Managers)의 기록관리자(Records Manager) 자격시험제도와 ACA(The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의 보존기록관리자(Archivists) 자격시험제도, 영국의 전문가 등록제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기록물관리법에 규정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과 비교 분석한 후, 기록관리 인력이 전문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구체적인 자격에 대한 제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미국 연방공무원 중 기록관리직군 공무원의 실무 경력에 따른 자격인정제도 사례를 조사하고 중국 기록물관리 전문가의 경력에 따른 등급제도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여 기록관리 전문가의 자격조건 중 경력에 따른 전문성 인정 사례로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외 사례와 우리나라 국가기록원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교육과정, 기록물관리법으로 규정된 자격요건, 앞으로 시행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시험범주를 함께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요소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기록관리 전문인력은 일정한 수준과 일정한 지식범주를 통해 전문가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표준화 된 기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기록관리학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실무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전문성과 관련된 지식을 핵심지식으로 구성하고 보충 지식은 기록관리학과 연관된 학문 지식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기록관리의 특성상 실무에 대한 실습과정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 시 필수 구성요소로 기록관리 전문지식과 보충지식으로 지식영역을 구분하고 기록관리 전문지식을 기록관리 이론, 기록관리 업무, 기록관 경영, 기록관리 시스템, 전문가로서의 지식의 5가지 세부영역으로 나누었으며 보충지식은 기록관리와 관련된 학문의 지식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기록관리 전문지식은 첫째, 기록관리 이론으로 기록관리의 개념과 역사, 이론, 목적, 특징, 기록관리 원칙의 세부지식이 포함되고 둘째, 기록관리 업무로 기록관리의 실무와 관련된 기록의 수집, 정리·기술, 평가·폐기, 보존, 이용자 서비스를 포함한 기록관리 업무지식과 기록관리 실무실습이 포함되며 셋째, 기록관 경영에는 기록관 행정 및 운영, 시설 및 인프라, 홍보 및 교육에 대한 세부지식이 포함된다. 넷째, 기록관리 시스템에는 전자기록관리와 관련한 기록관리 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에 대한 세부지식이 포함되고 다섯째, 전문가로서의 지식에는 전문가 윤리와 실천 강령을 포함하는 세부지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보충지식으로 법, 경영, 조직, 과학, 정보기술, 역사, 관련 전문직 등 기록관리와 관련이 있는 학문의 세부지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요건은 기록관리학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와 기록관리학, 역사학, 문헌정보학 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으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시험에 합격한 사람, 검찰총장이 정하는 검찰청 소속 공무원, 육군·해군·공군 참모총장이 정하는 군인 또는 군무원, 경찰청장 및 해양경찰청장이 정하는 경찰공무원 중 행정안전부장관이 정하는 기록물관리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로 규정되어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전문요원에 대한 요건은 학력에 대해서만 규정되어 있고 기록관리과정에 따른 업무 및 역할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역할별 시험과목의 개발 및 학력과 경력을 바탕으로 한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등급을 설정하는 등 기록관리 분야별, 전문지식 또는 경력별 전문가로 공식인정을 받을 수 있는 인증제도를 제안하였다. 셋째, 실무경력을 기록관리 전문요원의 자격요건에 포함시킴으로써 경력에 따른 전문성을 인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기록물관리업무를 표준화하고 전문인력의 채용이나 승진 시 업무별 전문가의 구체적인 실무경력의 내용이나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의 직급을 구분하고 등급별로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Our nation has enacted a provision to assign archives and Records manager under the Act of Public Archives Management for public institution in 1999. The qualifications regulated for archives and Records manager under the Act of Public Archives Management at first were the assignment of the persons having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archives management, and the persons who completed the archives management curriculum regulated by the Minister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fter had acquired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histor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r those who completed the same curriculum among cutors, service persons,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police officers. But, the qualifications revised in 2011 for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r expanded in the scope of their education level such as they need to have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r, or need to complete archives management curriculum and pass the exams recruiting the experts as the persons already having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histor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owever, the archivists are not much recognized in our countr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n't definite regulation for the experts in the field due to the people ill-informed on the necessity of their existe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ut forth the development of their qualification. First, I looked into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 through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hen set up the concepts and roles of the experts in archives management as the profession. Then, I examined the education guide for archives management & certification for curriculum, system of certifying experts, and system of certifying working experience through oversea case studies. Compared between the US Canada, the UK, Australia and China on curriculum in archives management, certification of experts and system of certifying working experience to analyze the qualifications of the experts in archives management home and oversea in here. Selected GPAS(Guideline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by the US SAA(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a Two-Year Curriculum for a Master of Archival Studies by Canadian ACA(Associatoin of Canadian Archivists), and the criteria for certifying curriculum of ASA(Australian Society of Archivists) as the education guides to compare them with the curriculum for Korean archivist conducted by the Dept. of archival educat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With the help of this, drew out the knowledge categories for standard training of archivists. Next, I analyzed the system of qualifying exam for Records Manager of ICRM(Institute of Certified Records Managers), that for (Archivists) of ACA(The Academy of Certified Archivists) and the British registration system for archivists as the system of certification of experts to compare them with the korean archivists qualifications regulated under the Act of Public Archives Management and then to suggest concrete qualification for the archivists to be acknowledged as what they are. Finally, I compared the US qualification system for the archivists as civil servants and rating system for Chinese archivists to select the cases of certified expertise according to their career among the archivists' qualifications. And Oversea cases and the curriculum for the archivists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qualifications regulated by law and exam categories that will be conducted were analyzed to draw out the plans for developing qualification to secure archivists' expertise. Initally, it is necessary to regulate a basic curriculum for the archivists to be equipped with professional qualities through certain level and knowledge categories.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expertise ba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es on archives management to be formed as the core knowledge and other supplementary knowledge shall be formed with developed expertise in special expertise and other studies related to archives management in here. And proposed to form an education guide including the process in practicing actual work considering the feature of archives management. Divided the he elements to form the education guide largely into archives management expertise and supplementary knowledge, and proposed those followings as the expert knowledge, first the concept and theory of the archives management, the infrastructures of facilities and manpower for archives centers, second, collection, arrangement skills, assessment disposal and preservation and user service of practical work of archives management, third, setup and use of archives management system, fourth, archives management history and expert ethics as the experts, fifth, the practice of actual archives management work. And the knowledge of other disciplines related to archives management was suggested as supplementary knowledge. Then, it was suggested the qualified archivists in our country such as the persons passed the exam recruiting the archivists among those with master's or higher degrees in archives management, histor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civil servants belong to public prosecutor´s office regulated by the public procurator general, servicepersons,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regulated by the Chief of Staffs in the army, in the navy and in the air force, and police officers regulated by the chief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chief of the National Marine Police Agency among those completed the curriculum in archives management regulated by Minister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the subjects for the rating in archivists based on development of exam subjects by the necessity of work classification &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and proposed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archivists to get formally certified by archives management, expert knowledge or by career. Third, it is suggested to include working experience to the archivists' qualification as a way to acknowledge career-based expertise. Like this, if detailed working experience and level should be used for the hiring, promoting of the experts classifying their ranks as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the expertise by class rate would be secured.

      •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지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국내외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특성과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기록정보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입법기관 기록물은 어느 국가에서든 중요하고 가치 있는 공공기록물로써 입법기관의 기능 및 조직에 관한 증거와 정보를 보존하고 이를 국민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는 대단히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제도적 측면, 기술적 측면, 서비스적 측면으로 나누어 국내외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에 국내 도입 요소를 비교·분석 하였다.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 이용자들의 인식과 이용경험을 파악하고, 국내 입법기관의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현재 국내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현황을 되짚고, 이용자의 요구 분석을 통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를 개선시키기 위해 제도적 측면, 기술적 측면, 서비스적 측면에서 제시하였고, 이는 국내 입법기관 기록정보서비스의 보다 체계적 관리와 이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of improvement of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and domestic legislative institution's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users' requirements. The archives of the legislative institution are important and valuable public records to any countries, and the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in the legislative institution, which preserves the evidence and information of the legislative institution's function and organization and allows the people to access to it, is really important. So, in this study, I classified the web site which provides the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in the legislative institution by institutional, technological and service aspects, and searched the status of foreign and domestic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in the legislative institution,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factors for domestic introduction. And I figured out users' cognition and their experience for the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in the legislative institution, and surveyed their satisfaction to the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in the domestic legislative institution. This study has the meaning that, through these analysis, we reviewed the status of the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in the domestic legislative institution and presented the ways of improvement through users' demand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in the legislative institution, from the aspects of institution, technology and service. And it shall be of helpful in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use of the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in the domestic legislative institution.

      • 정부산하 공공기관 기록물관리의 경영성과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박민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국내외 공공부문과 함께 기업에 있어서 기록물의 체계적 관리가 중요한 정책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즉, 기업내부에서 발생한 경험을 지식화하는 것이 기업 경쟁력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기록물관리는 기업의 중요한 자산관리전략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기업에서는 생산하는 지식과 정보들을 수집체계 및 관리체계가 기록경영의 시스템으로 정립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조직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경영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권위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지식을 생성하고 관리하여 증거적 가치로서 제공할 수 있는 기록물 관리는 이제 선택이 아닌 기업경영 변화의 핵심인 것이다. 정부산하 공공기관은 민간위탁이나 이관이라는 정책과 함께 사기업수준의 경쟁력 강화를 정부와 국민으로부터 주문받고 있다. 이러한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정부산하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시스템은 상대적으로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산하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정부산하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체계와 적용절차를 경영성과적 측면으로 재구성하여 성과고도화 차원의 기록물관리체계를 위한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성과측면의 기록물관리 방안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이 포함된다. 첫째, 정부산하 공공기관에서 생산하는 공공기록물의 가치와 성과적 기록물 관리에 대한 사안을 조사한다. 둘째, 경영성과와 기록물 관리의 상관성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검토하여 경영성과지표에서 기록물 관리 요소 영역을 분석한다. 셋째, 정부산하 공공기관 직접관리기관을 대상으로 기록물 관리에 대한 운영현황과 경영성과와 기록물 관리 인지도를 조사하여 기록물 관리 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산하 공공기관 기록물관리의 경영성과 연계방안을 경영성과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조직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해 기관장 리더십의 확충과 기관 내 체계적 기록물 관리 수집 및 활용체계 마련 그리고 기록관리 교육 강화를 제안한다.체계적 경영시스템 관리측면에서 기록관리 운영체계의 개선과 기관의 경영 리스크관리 그리고 기록관리와 지식관리 시스템과의 통합을 제안한다. 표준화된 경영성과 체계 확립을 위해 기록경영시스템표준 ISO-30300의 도입과 기록물 평가를 통한 성과측정 점검표 마련을 제안한다. Recently,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records at a company is taking its plac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ies of institutions with the domestic and foreign public sector. Namely, because intellectualization of experience occurred inside a company is becoming the center of company competitiveness, the records management of a company became one of important asset management strategies of a company. Accordingly, companies of world countries are making efforts to make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s of produced knowledges and informations be able to be established as a system of records management. The record management that can maximize an organizational value , generate & manage authoritative and trustable knowledges and informations necessary surely for management activities and provide it as an evidential value is the core of corporate management changes now, not a selection.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ment are receiving an order on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from the Government an people in a private company level with the policy called private consignment or transfer of control. Despite these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necessity,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ment is not being largely improved relatively.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suggested an application method for a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a performance enhancement level by investigating the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ment and reconstructing a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application procedure of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ment of our country in a management performance aspect.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 is included as a records management method in a performance aspect. First,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cases on a value of public records and performance-based records management. Second, the present research analyzes an element domain of records management from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by examining theoretical content on correlation of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and records management. Third, the present research grasps problems of a records management system by investigating the operating status on records management, management performance and records management system with the target of a direct management institution of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ment. Lastly, the present research proposed a linkage method of management performance of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ment in a management performance aspect. The present research proposes expansion of leadership of head of an institution, preparation of systematic records management & collection and utilization system inside an institution and strengthening of records management education for construction of an organization and infrastructure. The present research proposes improvement of records management & operating system, business risk management of an institution and integration between records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he present research proposes introduction of ISO-30300, which is a standard of a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preparation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checklist through evaluation of records.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기준의 개선방안 연구 : 유럽·북아메리카 기록유산을 중심으로

        송정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UNESCO is implementing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to preserve and use documentary heritage which is in danger of being damaged or disappeared forever, though the documentary heritage is important to carry over the culture of mankind. For the aims of the Programme, the list of documentary heritage all over the world is being made and effective methods of preservation are being arranged. In keeping pace with the effort, the Republic of Korea listed six heritages on the World Documentary Heritage : The Hunmin Chongum Manuscript, The Annuals of the Choson Dynasty,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in woodblocks, Seungjeongwon Ilgi(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Uigwe(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applying for registration due to ambiguity in criteria for registration and assessment criteria favorable for the Western countries, though the interest for the of th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is becoming high as time pass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by finding out the problems shown in the selection criteria for Memory of the World through analyzing to which degree current listed Memory of the World are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for registration on the guideline by UNESCO. The scope of analyzation includes the criteria like time, form and style, theme, original form and original copy, international influence etc. among selection criteria for the Memory of the World. These criteria leads to objective judgement. But some criteria with which objective judgement might be difficult were excluded. The location of documentary heritage is limited to Europe and North America. It is shown through the analysis that some of the current listed Memory of the World is not old in time, which is against our general thinking of Memory of the World is all old ones. The form of many documentary heritage is manuscript, but considerable quantity of them are in the form of audiovisual materials which are modern media. Besides, documentary heritage in the form of various media have been registered. The analysis on theme of documentary heritage was limited only to historical and geographical aspects, though the themes of documentary heritage are various without any limitation. In the criteria of original form and original copy, many documentary heritage maintain their original form and are original copy, but there are documentary heritage which do not maintain their original form or are copies, not original. Though, In principle, It is required to influence internationally, there are some documentary heritage which influence regionally or nationally. Especially private documentary heritage has international influence. Based on the analysis, the problems, such as the ambiguity of terms on selection criteria, the absence of registration scope and judgement criteria and the subjective involvement in the assesment process were pointed out.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are to clarify the boundary between documentary heritage and cultural heritage like tangible heritage crystallizing terms and concepts, to specify that selection criteria does not require only old documentary heritage, and to arrange substantive supporting clauses suggesting 'scope of media of documentary heritage(plan)', 'detailed clauses on influence as one of selection criteria(plan)' and 'detailed clauses for examination on original form(plan)'. Finally, to minimize the subjective factor in selection criteria, establishment of tentative list and activation of regional committee were suggested. 유네스코에서는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훼손되거나 영원히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는 기록유산의 보존과 이용을 위해 각국의 기록유산 목록을 작성하고 효과적인 보존 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세계의 기억(Memory of the World)’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한국에서도 『훈민정음(訓民正音)』,『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목판본(白雲和尙直指心體要節木版本)』,『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諸)경판』과 같이 총 6점의 기록유산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그러나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해를 거듭할수록 높아져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기록유산으로 선정되기 위한 등재기준의 모호함과 서양위주의 심사기준으로 인해 신청상의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이에 이 연구는 현재 기록유산 목록에 등재된 기록유산이 실제로 유네스코 지침에 제시된 등재기준에 얼마나 부합되어 실시되었는지를 분석해 보고 세계기록유산 선정 기준에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세계기록유산 지침에 나타나 있는 등재기준 중에서 객관적 판단이 어려운 부분들은 분석에서 제외하고 시간, 형식 및 스타일, 주제, 원형성과 원본성, 세계적 영향력 등과 같이 기록유산에 대한 정보를 통해 추측 가능한 대상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 범위는 유럽과 북아메리카 지역의 기록유산으로 제한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현재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기록유산은 무조건 오래된 기록유산이 등재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기록유산의 매체는 필사본이 다수 등재되어 왔으나 근대 매체인 시청각 매체의 비율도 상당부분 등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매체의 기록유산이 등재가 되었다. 또한 기록유산의 주제는 제한범위 없이 다양하게 나타난 것에 비해 역사적, 지적 양상에만 국한되어 분석되었다. 원형성과 원본성에 있어서도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원본인 기록유산이 다수를 차지하였지만 원형이 유지되지 못한 기록유산이나 원본이 아닌 사본인 기록유산도 등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향력에 있어서도 국제적 영향력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등재 기준에 반하여 지역적, 국가적 영향력을 가진 기록유산도 다수 등재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특히 개인의 기록유산의 경우는 국제적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등재기준의 용어상의 모호함, 기록유산의 등재 범위와 판단 기준의 부재, 심사 과정에서 오는 주관성 개입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용어 및 개념을 구체화하여 기록유산과 문화유산과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고 기록유산의 등재 조건이 무조건 오래된 기록유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할 것과 기록유산 매체의 범위 제시(안), 영향력 등재기준 세부조항(안), 기록유산의 원형성 조사 세부조항(안)의 제시를 통해 등재기준의 구체적 근거 조항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등재기준의 주관적 요소 최소화 방안으로 잠정목록의 설치와 지역위원회의 활성화 할 것을 제시하였다.

      • 국내 기록 보존 연구동향 분석, 2000-2021년

        나연휘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research trends of archival preservation by understanding the productivity of archival preservation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identifying the change in research topics over time.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conducted researcher and keyword analysis. 463 articles on 'archival preservation studies' were analyzed, published from 2000 to 2021 in two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archives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and four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fter extracting and refining the author-assigned keywords for keyword network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nd visualized the degree centrality analysis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by using NetMiner V.4.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research topics of archival preservation over time,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research paper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ime periods, 2000-2007, 2008-2014, and 2015-2021, according to the period they we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authors with the highest productivity of archival preservation research in all periods (2000-2021) were ‘Seol Mun-Won’, ‘Lee So-Yeon’, and ‘Yim Jin-Hee’ As for the research type, as time passed, the number of independent studies gradually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joint studies increas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er's affiliated institution showed that the ratio of authors belonging to 'university' in all periods (2000-2021) was the highest at 73.82% (592 persons), followed by 'research institute' (7.61%, 61 persons), 'other government institutions' (5.24%, 42 persons), 'others (IT industry and private companies)' (3.87%, 31 persons), 'National Archives of Korea' (3.49%, 28 persons), 'central administration, local government' (2.62%, 21 persons), and 'library/art gallery' (2.37%, 19 person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archival preservation research in the entire period (2000-2021) by subject are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uthor-assigned keywords showed that the 'procedure/process' areas were the most productive. And, 'technology, tools', 'institution', 'record types', 'law, policy', 'system', 'service', and 'theory, education' were followed.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electronic records', 'long-term preservation', 'digital preservation', 'OAIS reference model', and 'digital archive' are the most actively studied research topic as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Lastly, in terms of the expandability of the subject keywords, 'electronic records', 'long-term preservation', 'digital preservation', 'OAIS reference model', and 'archiving' were identified as keyword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which are linked to specific subject areas in archival preservation research and are highly expandabl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 keywords for the research papers on archival preservation in Korea, which have high influence and expandability, were 'electronic records' and 'long-term preservation' in all periods, 'OAIS reference model' in the first period, 'electronic records' in the second period, and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long-term preservation' in the third perio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the research topic of archival preservation in Korea over time. The detailed results for each period are as follows: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eory-oriented study for archival preservation such as 'digital preservation', 'digitalization', and 'OAIS reference model' in the first period, research focused on procedur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related to conservation activities, such as ‘electronic record’, ‘appraisal’, and ‘DRAMBORA’, in the second period, and archival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uch as ‘data set’,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and ‘social media’ in the third period. As the importance of preservation is recently emphasized in records management and the concept and scope of related research are expa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grasping the future research trends of archival preser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자 사항과 연구자가 부여한 논문의 키워드 분석을 통해 기록 보존 분야의 연구동향을 밝힘으로써 기록 보존 연구의 생산성과 연구자 현황을 파악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록 보존 분야 연구주제의 변천과정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주요 학술지 2종(기록학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과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주요 학술지 4종(정보관리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에 게재된 ‘기록 보존 연구’ 463편이다. 주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연구자가 부여한 주제 키워드를 추출하여 정제한 뒤, NetMiner V.4를 활용하여 연결 중심성 분석과 매개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고 시각화하였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록 보존 연구 주제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집한 연구논문을 학술지 게재 시기에 따라 2000년~2007년, 2008년~2014년, 2015년~2021년 세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 구간(2000~2021)에서 기록 보존 연구 생산성이 높은 연구자는 ‘설문원’, ‘이소연’, ‘임진희’였으며, 연구형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독 연구는 점차 감소하고 공동 연구가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연구자 소속기관을 분석한 결과, 전 구간(2000~2021)에서 ‘대학’에 소속된 저자는 비율이 73.82%(592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연구기관’에 소속된 연구자는 7.61%(61명), ‘기타 정부기관’ 5.24%(42명), ‘기타(IT산업체 및 민간기업체)’ 3.87%(31명), ‘국가기록원’ 3.49%(28명), ‘중앙행정, 지자체’ 2.62%(21명), ‘도서관/미술관’ 2.37%(19명)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자가 부여한 논문의 키워드 분석 결과, 전 구간(2000~2021) 기록 보존 연구의 주제 영역별 분포를 보면 ‘절차/프로세스’ 영역의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기술, 도구’, ‘기관’, ‘기록물 유형’, ‘법, 정책, 제도’, ‘시스템’, ‘서비스’, ‘이론, 교육’ 순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주제 키워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전자기록’, ‘장기보존’, ‘디지털보존’, ‘OAIS참조모형’, ‘디지털아카이브’가 연결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 기록 보존 연구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주제 분야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제 키워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전자기록’, ‘장기보존’, ‘디지털보존’, ‘OAIS참조모형’, ‘아카이빙’이 매개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 기록 보존 연구에서 세부 주제 영역으로 연결하고 확장성이 높은 주제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국내 기록 보존 연구 논문의 중심이 되는 주제 키워드는 전 구간에서는 ‘전자기록’과 ‘장기보존’, 제1구간에서는 ‘OAIS참조모형’, 제2구간에서는 ‘전자기록’, 제3구간에서는 ‘기록관리기준표’과 ‘장기보존’이 핵심 주제 키워드로 영향력과 확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국내 기록 보존 연구주제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제1구간에서는 ‘디지털 보존’, ‘디지털화’, ‘OAIS참조모형’ 등 기록 보존을 위한 개념적 틀과 이론 중심 연구, 제2구간에서는 ‘전자기록’, ‘평가’, ‘DRAMBORA’ 등 보존 활동과 관련된 절차와 실제 적용 중심 연구, 제3구간에서는 ‘데이터세트’, ‘행정정보시스템’, ‘소셜미디어’ 등 기록관리 환경 변화에 따른 기록 보존 연구 주제로 진행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록관리학에서 보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그 개념 및 연구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록 보존 분야 연구의 동향 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개별 대통령기록관 건립에 관한 연구

        정용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현재의 통합 대통령기록관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개별 대통령기록관을 제안하고 개별 대통령기록관의 건립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비교하여 개별 대통령기록관은 중립적ㆍ독립적인 운영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직 대통령기록물의 열람편의 제공, 대통령 개인기록물의 수집, 대통령지정기록물의 보호와 대통령기록물의 다양한 활용 등 여러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통령기록관 관련 제도와 연구들이 주로 통합 대통령기록관에 집중되어 있고 개별 대통령기록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대통령기록관 관련 제도와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고찰하고, 개별 대통령기록관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미국의 대통령기록관과 영국 및 호주의 수상기록관의 사례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개별 대통령기록관 건립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해외 사례분석을 토대로 제시한 개별 대통령기록관 건립을 위한 개선방안은 크게 법제도, 운영과 예산, 역할과 기능의 세 가지 측면으로 정리하였다. This study is an alternative attempt to resolving the problems of current integrated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intended to propose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and present an improvement plan on their building. Compared to integrated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individual ones, based on neutral, independent management and expertise, have a strong point in many aspects such as service in perusal convenience of ex-presidents’ records, protection of their designated records, collection and diverse uses of their records, etc. However, our countries’ institutions and studies related to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have been chiefly focused on integrated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without any studies on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For this study, institutions and actual status of our country’s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were analyzed to consider their problems and look into the necessity for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Besides,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presidential (U.S.)andpremier’s(EnglandandAustralia)archivesofrecords,throughwhichimprovementplanwasderivedonbuildingourcountry’sindividualpresidentialarchivesofrecords. Improvement plan on building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of records presented based on analysis of foreign cases was largely summarized into three aspects of legislative system, management and budget, and roles and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