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洪志淑 작곡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Theme and variations for orchestra) 에 관한 분석

        지숙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논문은 홍지숙 작곡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Theme and Variations for Orchestra)을 분석한 것이다. 홍지숙 작곡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은 20세기 작곡가들의 음악어법 중 하나인 12음열기법에 의한 관현악곡이다. 본 논문은 홍지숙 작곡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을 형식, 빠르기와 박자, 음고재료, 관현악 편성에 관하여 분석한 것이다. 홍지숙 작곡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은 주제와 5개의 변주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제와 각 변주곡들은 기본 음고재료로 12음열기법을 사용하여 통일성과 연관성을 추구하였다. 반면 5개의 변주곡들은 주제가 가진 형식, 리듬, 음고재료, 짜임새와 관현악 편성의 요소들이 변주되어 각각 뚜렷한 성격과 독립성을 갖고 있음을 분석결과 찾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 작품 안에 표출될 것으로 요구되는 통일성과 다양성이, 음열을 바탕으로 하고 관현악을 매체로 한 변주곡이라는 특정한 형식에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가를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이 의도하여 작곡되었음이 토론되었다.

      • 성지의 『관현악을 위한 천년의 춤 (Millenium Dance for Orchestra)』 (2010)에 대한 분석 연구 : 변형네트워크를 통한 악곡구성을 중심으로

        성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711

        This dissertation describes the techniques used for a composition called Millennium Dance for Orchestra, which describes the motions and spiri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at traces back over a thousand years, in a form of an orchestral music piece. In order for a more cohesively method to musically describe the flowing dance motions, the rhythmic features, and the dynamic sequences and image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musically, a custom composition technique was incorporated to David Lewin’s Klumpenhouwer Networks and Isographies theory Lewin, “Klumpenhouwer Networks and Some Isographies that Involve Them,”Music Theory Spectrum 12/1, 1990, pp.83-120. (herein referred to as K-net). This custom composition technique utilizes mathematical set theory to extract a new set the results from the networks and isographies suggested in K-net, and incorporates the author’s interpretation of prime set types and pitch progression. As a result, this technique provides the composer with a structure to describe motions and ideologies that result in a more coherent and cohesive musical composition, as well as creating a wider variety of orchestral and acoustic effects. Millennium Dance for Orchestra was composed incorporating two techniques to Lewin’s K-net theory to create a more relational result set to the existing pitch class sets of K-net. To establish a stronger correlation within the composition, a specific set of results were extracted from the K-net correlations using the following techniques: (1) Extraction of prime sets using set theory : Taking the results of K-net, which categorizes all the networked possibilities into 3 isographies (strong isography, positive isography, negative isography), a separate algorithm was used to extract the prime or original set, and compare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prime sets, where a specific list of isographic results were calculated and extracted. This was done using a custom program that was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2) Categorization of Pitch Progression: Based on each isography result from the comparison of the prime sets using the above set theory technique, a rule of transformational possibilities can be derived from the transferred arrangements of the prime set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pitch progression methods : 1. Positive to Positive (PTP): The method of transferred arrangement where the comparison of two prime sets from the Positive Isography results in another Positive Isography set. 2. Positive to Strong (PTS): The method of transferred arrangement where the comparison of two prime sets from the Positive Isography results in a Strong Isography set. 3. Stong to Positive (STP): The method of transferred arrangement where the comparison of two prime sets from the Strong Isography results in a Positive Isography set. 4. Strong to Strong (STS): The method of transferred arrangement where the comparison of two prime sets from the Strong Isography results in Strong Isography set. Incorporating the two techniques above (set theory and correlational categorization) to K-net, a composer is able to apply the K-net theory in a more structured and easier way to the total composition, and is also given a macroscopic structure for pitch progression and musical expression. For example, this structure for pitch progression can be used for all musical elements such as instrumentation and orchestration, symmetrical rhythm, and voice leading using the pitch progression’s vertical and horizontal symmetry structure. Also, motions, spirit or artistic ideals can be articulated musically using this structure. For example, the use of sharply contrasting dynamics or combination by collage technique can be used to represent contour of dancing steps, or incorporating prolongation through center tone, or by creating circulative use of the series using the structure can be used as a way to describe circular motion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describes how a composer can apply mathematical set theory to Klumpenhouwer Networks and Isographies theory and use a correlation theme to create a foundational structure that can be used for composition. Applying this structure to compose a musical score called Millennium Dance for Orchestra, a piece that describes Korean traditional dance, showed to have several advantages. First, such a structure allowed a holistic foundation for pitch progression for a more cohesive composition with the composer’s intentions, provided better control of musical elements, and also allowed a way to better describe motions and ideals through music using various yet controlled acoustic effects. 본 연구는 홍성지의 관현악곡인 <천년(千年)의 춤 for Orchestra>에 대한 작품 분석이다. 천년이 넘는 유구한 세월동안 이어져 내려오는 한국무용의 이미지를 악곡에 표현한 곡으로, 춤사위의 선(線)의 형태, 전통무용에 나타난 리듬적 특징, 맺고 푸는 한국무용의 역동적인 이미지를 오케스트라 곡으로 표현한 곡이다. 3관 편성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천년(千年)의 춤>은 2010년에 완성되어 초연되었으며, 제 1곡은 3부분 형식과 연장 개념의 짧은 삽입구로 구성되어 있고, 제 2곡은 아치형식으로 구성된 부분과 제 1곡과 제 2곡의 요소들을 합성하여 재구성하는 꼴라쥬 기법을 통한 ‘코다(Coda)’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형 네트워크와 집합이론을 토대로 작곡된 이 곡은 음조직의 수직, 수평적 대칭구조와 중심음에 의한 연장(prolongation), 음렬의 순환적 사용과 강력·양성 동형그라피의 K-net 구조, 강력동형그라피 순환모형(Strong Isography Cycle)을 통해 곡 전체를 아우르는 거시적인 구조를 확립하고, 제 1곡과 제 2곡의 상호 연관성을 도출하여 연곡의 결속력(unity)을 부여한다. 총체적인 표현수단으로서 사용된 ‘음조직’에 의해 다른 음악요소, 즉, 악기의 주법과 오케스트레이션, 대칭적 리듬의 사용과 성부진행, 극단적인 다이내믹의 사용, 꼴라쥬 기법을 통한 조합, 춤사위의 선(線)을 묘사하는 주제의 도입과 투티(Tutti)의 확장, 리드믹오스티나토 진행에 이르기까지 밀접한 관계를 갖으며 통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통무용의 이미지를 다양한 음향적 효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제 1곡은 ‘검무’ 춤사위의 ‘선(線)의 형태’를 선율윤곽에 도입하여 구분A와 A′의 주제를 구성하였으며 두 주제선율은 강력동형그라피 관계를 갖으며 팽팽히 대치되어 있는 두 무용수 간의 대립관계를 상징한다. 이러한 대립구도는 곡 전체를 통하여 크고 작은 대칭구조와 여러 연장(Prolongation)의 방법, 그리고 투티(Tutti)를 통한 확장구조로 발전된다. 제 2곡은 한국 전통무용 ‘북춤’1)의 춤사위와 ‘정중동(靜中動)’의 내재적 요소를 악곡 발전 방법으로 도입하였다. 북춤의 대표적인 춤사위로는 북을 치면서 뛰어올라 원을 그리며 회전하는 춤사위와 무용수 각자가 제자리에서 원을 그리거나 무용수들이 함께 큰 원을 그리며 큰 대형을 구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회전하는 춤의 특징은 제 2곡을 구성하는 대표적 기저로서 사용되었으며, 순환의 요소는 크고 작은 K-net 순환구조와 리듬의 대칭구조, 캐논의 도입과 제 2곡 전체 형식의 대칭구조로 도입되어 다각적인 측면에서 재현된다. 또한 ‘북춤’에 내재된 ‘정중동’(靜中動)의 요소를 악곡에 적용하여, 선율윤곽에는 나타나지 않는 내재된 강력동형그라피 연속체와 양성동형그라피, 강력동형그라피의 순환구조의 음악 요소들이 결집되어 작품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네 가지 사항에 역점을 두고 있다. 첫째는 한국전통무용이 관현악곡으로 상징되어 도출된 오케스트라의 심화된 음향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며, 둘째는 K-net 구조와 음렬기법을 통하여 구축된 음조직의 응집성을 밝히는 것이다. 셋째는 유기적으로 조직화된 음조직이 나머지 음악요소를 어떻게 통제하고 있는지에 관한 고찰이며, 넷째는 음조직과 음악요소로 결집된 두 연곡의 거시적 응집성과 결속력을 부여하기 위한 작곡가의 장치들을 논한다. 이 곡의 분석을 통하여 <천년(千年)의 춤>에 나타난 총체적 표현수단으로서의 음조직과 변형네크워크를 통한 악곡구성을 통하여 보다 응집성 있는 악곡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전통무용의 이미지 상징을 통한 작곡가의 음악어법을 통해 오케스트라의 다양한 음향효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처음으로 시도되는 변형네트워크(K-net)를 통한 악곡 구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水墨畵의 線的 造形性에 관한 硏究 : 本人 作品을 中心으로

        선경 (洪仙卿)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Not looking at all things in a material way but discerning nature through mental perception, the essence of Oriental painting consists in pursuing inner reality as every art deals with human inner world. Awareness of nature through mental perception developed Oriental painting in brush-and-Chinese-ink art. Brush and Chinese ink not only reproduce reality, but enable a painter to represent his or her idea and emotion for reality. They have very diverse expressions. The emotion of a painter in the process of creation is mixed, moved and revealed with his or her brushstrokes. With the intuitive structure of the essence of Oriental spirit reflecting the aesthetic senses and thinking structure of Oriental people as they are, brush and Chinese ink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materials with spiritual depth until modern times. Based on such spirituality their structure has developed into a peculiar mode of painting called a line and exists as an essential element of a picture. Eventually, it can be said that in a painting in India ink a line represents the plastic consciousness an artist who looks at nature tries to represent through his or her inner world. A painting in India ink is the art which formalizes on Chinese drawing paper, space of microcosm, an artist's own deep inner world in the mysterious harmony of space with brush and Chinese ink beyond their simply material characteristics. It has much changed in a mode, but it can be said that what underlies it is an approach to the source of an object, that is, a line of representing spirit. Because the movement(brush) intrinsic to a line as an important plastic means for it, as an element with a tense atmosphere, is effective in conveying an artist's inner intuitive emotional state accepted from a thing, it is not only a plastic principle of representing the form and structure of a thing but the spirituality included in it functions as an important plastic language in representing an artist's inner world as well as the external shapes of things in a work beyond its external role. A line has a variety in representing not only speed, thickness, length, and angle but shade, rhythm and plasticity of light out of simple contour by means of shading and others in Chinese ink. In particular, making brushstrokes by containing the power of one's bones when using a brush for representing objects vividly by containing one's own emotion, spirit and elegance is regarded as the highest stage of a line. The representation occurs unconsciously and naturally from a painting when a painter can inspire the spirit peculiar to an object by his or her delicate observation and intuition. Such unconscious spirit can be said to be Zen, the stage of sudden realization. Oriental painting not only reproduces the form of an object simply but consists in recognizing the physical and the spiritual in it and making them one's own after contemplating it for a long time. I tried to represent whatever an object might be through the lines suitable for its nature in representing as a work the various feelings I could have in the necessary time and space of life. I could detect that traditional linear plasticity could be reproduced as the new image of margin and space in contemporary painting in India ink, and came to recognize it as a painting mode of representation which pursues unity of its inside with its outside in a picture. Furthermore, I want to construct the flow and change of emotion from observation and recognition of reality in the motif space of a city in the world of self-work which is briefer and more essential through continuous study and experiment on Oriental aesthetics of the spirit and framework of brush and Chinese ink. 동양화(東洋畵)의 본질(本質)은 모든 사물을 물질적(物質的)으로 바라보지 않고 심안(心眼)을 통해서 자연을 식별하면서, 모든 예술이 인간의 내면세계를 다루듯이 내적실재(內的實在)를 추구하고자 하는데 있다. 동양화는 심안을 통하여 자연을 바라보려는 인식에서 필(筆), 묵(墨)의 예술이 발달되었고, 필묵(筆墨)은 현실의 재현일 뿐만 아니라, 화가의 현실에 대한 사상과 감정의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필묵의 표정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창작 과정 중에 있는 화가의 감정이 운필(運筆)과 융합되어 함께 움직이고 드러나게 되며, 그 직관적 구조는 동양인(東洋人)의 미의식과 사유구조(思惟構造)를 그대로 반영시킨 동양정신의 요체(要體)로서 정신적 깊이를 지닌 전통적 재료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정신성을 바탕으로 한 필묵의 구조는 선(線)이라는 독특한 회화형식으로 발전하고 화면의 본질적인 요소로서 존재하게 된다. 결국 수묵화에 있어서 선(線)은 자연을 바라보는 작가의 내면세계를 통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조형의식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수묵화(水墨畵)는 단순히 재료적 특성을 초월한 여백(餘白)과 필묵(筆墨)의 신비로운 조화로 자신의 깊은 내면세계를 소우주(小宇宙)의 공간인 화선지에 형상화시킨 예술이다. 수묵화는 비록 많은 양식의 변천을 겪어왔지만 근간(根幹)을 이루는 것은 역시 사물의 근원적인 접근 즉 기운을 나타내는 선(線)이라할 수 있다. 수묵화의 중요한 조형수단인 선이 지니고 있는 움직임(筆)은 긴장감 있는 요소로써 사물에서 받아들인 내면의 직관적 감정 상태를 전달하는데 있어 효과적이기 때문에 사물의 형태와 구조를 표현하는 조형 원리로써 뿐만 아니라 내포하고 있는 정신성은 선의 외형적인 역할을 뛰어 넘어 작품 속에서 사의(寫意)를 드러내는데 있어 중요한 조형언어로 작용하고 있다. 선은 속도, 굵기, 장단 각도뿐만 아니라 묵의 농담(濃淡)등에 의해 단순한 윤곽선을 벗어나 빛의 음영, 리듬과 입체감까지 표현할 수 있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사물의 기운생동(氣韻生動)을 구현하기 위한 골법용필(骨法用筆)은 선(線)의 최고경지로 여겨지고 있다. 기운생동은 화가가 세심한 관찰과 직관에 의한 대상 특유의 기(氣)를 고취(高趣)할 수 있을 때 그림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이러한 무의식적 기운(氣韻)을 문득 깨달음의 경지인 선(禪)이라 할 수 있다. 동양의 회화는 단순히 사물의 형(形)을 재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대상을 오랫동안 관조하여 그 물심(物心)을 깨달아 자기화 하는데 있다. 본인은 삶이라는 필연적 시간과 공간 속에서 느낄 수 있었던 여러 가지 느낌을 작품화 하는데 있어서 대상이 무엇이든 그 성질에 적합한 선(線)을 통하여 나타내고자 하였다. 전통적인 선의 조형성이 현대 수묵화에서 여백과 공간이라는 새로운 이미지로 재생산 될 수 있음을 감지할 수 있었으며, 화면 속에서 사물의 내&#8228;외부에 대한 합일을 추구하는 회화적 표현양식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나아가 도시라는 주제적 공간 속에서 현실에 대한 관찰과 인식에 따른 감정의 흐름과 변화를 필묵(筆墨)의 기운(氣韻)과 골법(骨法)의 동양적 미학의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보다 간결하고 본질적인 자기작업의 세계로 구축해 가고자 한다.

      • 중국 호전요와 청백자 연구

        야오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예로부터 사람들은 항상 도예의 매력에 의해 이를 소중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현대 사회의 빠른 생활 리듬과 생태 환경의 악화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편안하고 조화로운 예술 분위기를 구축하여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게 되었다. 그리고, 청백자의 순수하고 단아하고 고요한 기질은 현대인의 심미에 적합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다시 청백자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게 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도자기로 이름을 떨친 경덕진 가마터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중 호전요는 중국 경덕진 도요지의 가장 대표적인 고대 가마이며, 특히 송나라 때 호전요에서 생산된 청백자는 당시 중국 도자 제작의 최고 수준을 대표한다. 호전요 유적지는 현재의 강서성(江西省) 경덕진시에서 동남쪽으로 4km 떨어진 경성인민공사(竟成人民公社) 호전촌(湖田村) 생산 지역에 위치하며, 호전촌은 남산과 남하 사이에 위치한다. 산을 등지고 강을 마주하고 있으며, 그 주변의 삼보봉(三寶蓬) 자석(瓷石), 요리유과(瑤裏釉果) 유과(釉果): 유약에 배합하는 자석(瓷石)의 일종으로 이를 분쇄한 후, 일정량의 유회(釉灰)와 결합하여 유약을 제조한다. 이는 경덕진 도자 유약의 주요 원료이며, 부량현(浮梁縣) 요리향(瑤裏鄉)에서 생산된다. 는 호전요의 역대 도자 제조업에 끊임없이 생산 원료를 제공해 주었다. 호전요는 중국의 연속적인 도자기 제조 기간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생산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졌으며. 한 때 부랑현((浮梁縣))에 폭넓게 분포하였다. 오나라 때부터(서기 907-960년), 경덕진 도자업은 당나라의 난전요(蘭田窯)를 토대로 가마 구역과 도자 제작 공예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남하(南河)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호전 등 구역에 가마가 건설되면서 호전요가 탄생되었다. 시대의 발전과 생산력 제고 등 다양한 요소의 원인으로 인해 호전요의 산업은 송나라와 원나라 때(960-1368년)에 절정에 이른다. 특히, 명나라 초기와 중기(1368-1567년)부터 호전요의 다양한 규모의 가마터들이 운송을 개선하고, 물을 쉽게 얻기 위해 잇따라 남산 아래의 남하 남쪽 연안과 현재의 호전촌으로 이전하여 모이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일정 규모의 수공업 도자 제작 공장들을 등장하였고, 민간 도자 용품을 주로 생산하면서 호전요의 지위를 점차 대체하게 되었다. 당시 경덕진 도심에는 왕실에 도자기를 공급하는 도자기 공장이 설립되었고, 관청이 민요에서 생산되는 원료, 품종 및 양식을 엄격하게 제한하였다. 이는 호전요의 발전을 더욱 곤란하고 느리게 하였으며, 제품 역시 도시 구역에 위치한 왕실 도자기 공장에 비해 크게 떨어지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호전요의 지리적 위치가 남하 유역이었기 때문에 해마다 수해(水害)를 입어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결국 도심에 위치한 왕실 가마터에 비해 남산 아래의 호전요에 위치한 가마들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처하게 되면서 호전요의 공장들이 점차 경덕진 도시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며, 호전요는 명나라 융경(隆慶), 만력(萬曆) 때에 이르러 마침내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인용법, 현장 조사법과 사례 분석법을 통해 호전요의 발생에서 멸망에 이르는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호전요의 각 시기별 생산 품종이 탄생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자세히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원료와 가마, 생산품의 특징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호전요의 발전 과정과 연속성을 연구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송나라 호전요 생산품의 장점을 살펴보고, 생산품의 특징, 심미 가치와 문화 가치에서 출발하여 청백자의 심미 컨텍스트가 현대 청백자 혁신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였다. 오나라 때에 호전요는 아직까지 농업에서 분리되지 못하여 생산 규모가 비교적 크지 않았고, 도자의 소성 원료에 일원화(一元) 배합으로 자석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생산량이 낮았다. 호전요는 오나라 때의 소지 재료와 유약에 모두 높은 철 함량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외관과 화학 구성이 모두 월요(越窯) 청자와 유사했으며, 청자는 오나라의 주요 제품이었다. 또한 이 시기 호전요는 한 종류의 백자 제품을 생산하였고, 비록 오나라의 청자 생산량에 비해 크게 부족하지만 품질이 청자보다 높았으며, 도자의 품질이 하얗고 섬세했으며, 투광성이 뛰어나 중국 강남 지역 최초의 백자 생산지가 되었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 남방이 청자를 독점하던 국면을 해소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청백자의 소성에 견실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오나라 후기 호전요에서는 백자와 비슷하지만 구별되는 새로운 자기 품종인 청백자를 소성하기 시작하였다. 이 청백자는 옥기(玉器)의 색깔과 품질을 모방하여 소성한 새로운 도자 품종이며, 태질이 하얗고 단단하며, 유색은 청색에 흰색을 띠고 흰색에 청색을 나타내며, 강한 투명도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당시 가장 귀한 도자 제품이 되었다. 이 청백자의 출현은 호전요가 송나라 도자산업의 절정기를 맞이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송나라(宋代) 때는 중국 고대 도자 제조업 발전의 절정기이며, 청백자는 송나라 도자 산업에서 가장 대표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청백자의 생산은 발생부터 쇠락에 이르기까지 약 4세기가 걸렸으며, 송나라 때 6대 가마 계열에서 청백자의 가마 수량이 가장 많았고 제품 분포가 가장 광범위하였다. 청백자를 생산한 가마 중에서 경덕진이 제일 품질이 좋으며, 그 중 호전요는 경덕진 가마에서 가장 대표적인 가마이다. 호전요가 이 시기에 생산한 청백자는 중국 도자 역사에서 매우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 때문이다. 첫째, 경덕진의 도자 산업이 매우 빠른 속도로 전개되었고, 그 영향력 역시 점차 확대되어 중국 조정은 경덕진의 도자 산업을 중시하게 되었다. 둘째, 독특한 태질과 유약에 따른 것이다. 셋째, 호전요 청백유의 옥과 같은 질감, 매끄럽고 우아하며 호쾌한 조형은 당시의 심미사상에 부합하였다. 송나라 후기 경덕진에서 우수한 품질의 자석(瓷石)이 오랫동안 채굴되어 사라졌기 때문에 중, 하급 품질의 자석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내화도가 낮았기 때문에 소성한 자기가 쉽게 변형되는 매우 심각한 원료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 결과 도자산업이 상당한 기간 동안 흥성했던 남하(南河)와 소남하(小南河) 유역의 일부 중, 소형 가마들이 잇따라 문을 닫게 되었다. 다만, 호전요와 도심 지역의 일부 가마들은 북방 정요(定窯)의 복소(覆燒)공예 복소(覆燒)공예: 도자기 소성 방법 중에 하나이고, 또한 반소(反燒)라고 하며, 완(碗)과 접시 유형의 소지를 거꾸로 가마 도구에서 덮어서 소성하는 방법이다. 유구(釉口) 복소와 망구(芒口) 복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를 사용하여 어렵게 그 명맥을 유지하며 존재하였고, 이를 통해 이러한 원료 위기를 잠시 완화시켰다. 원나라(元代) 초기에 영토가 크게 확장되고, 해외 시장이 확대되면서 청백유 망구자(芒口瓷) 망구자(芒口瓷): 복소법으로 소성한 자기이고, 입구에 유약이 없고 소지가 노출되기 때문에 “망구자”라고 한다. 의 생산이 점차 증가되었다. 이때 호전요는 소성하는 자기의 품종이 확대되어 더 이상 기존의 청백자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이는 중국 북방 지역에서 남쪽의 경덕진으로 이주한 장인들의 영향을 받아 커다란 변화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원나라 중기에 이르러 경덕진의 광산업(鑛産業)은 도심에서 동쪽으로 백 리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요리마창산(瑤裏麻倉山)에서 우수한 도자 제작 원료인 고령토(高嶺土)를 새롭게 발견하며, 마침내 자석과 고령토를 결합한 “이원화(二元) 배합”제작법이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고령토의 과학적인 사용은 도자 제작 자원의 근원을 확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소성 온도를 향상시켜 자기의 폐기율을 낮추어 원료 위기를 해소함으로써 호전요 도자산업의 새로운 번영을 이끌게 되었다. 원나라 중기와 후기, 경덕진 호전요 등의 지역은 청백자를 소성하는 동시에 흑유자(黑釉瓷), 추부자(樞府瓷), 청화자와 유리홍자(釉裏紅瓷) 등도 생산하여 원나라 궁궐과 해외 무역에 필요한 제품을 공급하였다. 이 시기 호전요의 뛰어난 성과는 청화자의 소성에 성공한 것이며, 청화자는 청백유 혹은 백유를 기초로 회화 문양의 장식을 추가하여 탄생된 도자의 한 종류이다. 이는 코발트를 이용하고, 청백자 소지에 그림을 그린 후, 투명 유약을 시유하여 고온에서 한꺼번에 소성하는 유하(釉下) 색채화 자기로써 중국의 도자 역사에서 획기적 의미를 지닌 중대한 청화백자의 발견이었다. 명나라 초기에 어기장(禦器廠)이 설립되어 관부(官府)가 민간 가마의 생산과 관련한 원료, 품종과 양식 등을 엄격하게 제한했기 때문에 호전요는 다시 위기를 맞아 발전이 더뎌지며, 단지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는 청화완과 청화접시 등의 기물만을 소성하게 되었다. 이 청화자는 장인들이 임의로 그린 것이고,문양이 비교적 간단하며 한꺼번에 완성하여 가장 소탈하고 속박하며 자연스러운 민간 가마의 청화 예술 스타일을 보여준다.명나라 중기부터 각 시골에 산재되어 있던 민간 가마들이 도심에 위치한 어기장 주변으로 모이게 되며, 호전요 역시 점차 도심으로 이전하였으나 융경과 만력 시기에 이르러 결국 쇠락하게 되었다.

      • 성지의 "String Quartet No. 1" 분석

        성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19세기 말 부터 시작된 조성의 붕괴는 쉔베르크 (Anold Schoenberg)를 중심으로 한 제 2 비엔나 악파 (The Second Viennese school)에 의해 무조음악(Atonality Music)이 등장하며, 완전히 조성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무조적 개념을 토대로 하여 쓰여진 본인의 작품 < String Quartet No. 1>을 각 악장 별로 구분 (section)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 곡은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악장은 여러 개의 구분(section)으로 구성되어있다. 1, 2악장은 A, B, 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악장은 A, B, A', B' A"의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 전체에 걸쳐서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와 그 요소들 간의 상호 유기적 연관성들을 악장별로 분석하였으며, 전체 형식의 구조, 선율, 리듬, 음 조직, 강약 (Dynamics)의 관점에서 연구하므로 , 이를 통해 곡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통일성과 다양성을 고찰해보았다. 특히 이 곡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 작품 중 하나로 계획(Plan)에서 작곡(Composition), 수정(Correction), 평가(Evaluation), 연주(Performance)의 과정을 거친 작품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 이 곡을 분석하는 것은 분석을 통하여 이 작품 안에 내재된 음악적 요소들을 정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해내어 현재의 부족한 점을 찾아내어 앞으로의 작품활동에 반영하기 위함이라 하겠다. This Thesis is composed of an analysis of the musical form and style of "string quartet No.1" which was presented at the graduation recital for the completion of the author's master degree on April, 14th. 2003.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Tonality has collapsed gradually because of the frequent using of the chromatic scale. Amold schoenberg and his school called "The second viennes school tried to compose several atonal works between 1908and 1923. Dew to these continuous trials, twelve tone Music & serial music came out finally. The author's work is also based on the concept of atonality. This work is composed of 3 movements and each movement has three section(ABA') including two subsections. In each section, for the purpose of the change of tone color, various performing techniques such as sul tasto, con sordino, colegno battuto and so on were ordered. This thesis were studied in terms of both the unity and the variety presented on the whole work and whole structure melody, rhythm, tone color and dynamics.

      • Ligth in August의 悲劇論 : 主要人物에 關한 硏究

        주필 (洪疇弼) 淸州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tragic life of alienated man as presented in Light in August, one of william Faulkner's Yoknapatawpha Saga novels. The novel contains three plots, each plot having its own theme which is symbolically connected to the others. The structure of the book is complicated, with many flashbacks to separated stories; but the novel represents the complications of human relationships in modern society by crisscrossing present and past situations with each other. Chapter III explores the problems of Joe Christmas's and Hightower's tragic lives. It appears that Joe has negro blood even though his complexion is white; but there is no definite evidence for this in the story. Joe's negro blood is made up artificially by circumstances. Because Joe can stand on neither the negro nor the white side, he loses his identity. In the end, Joe becomes a tragic victim contrasted to a young white man trying to look for the roots of his identity. Hightower is an evader of life. Turning away from his present circumstances, he pursues his grandfather's past glory where he hopes to find a place for peaceful living. Because he disregards reality, he is alienated from his neighbor. He is appointed as a minister in Jefferson to substantiate his illusion of his grandfather; but his mentality is far from the reality. He wanders between reality and idea and hence is exiled from his community because he cannot carry out his duties as a minister. The life of Lena is in marked contrast to Joe and Hightower. She brightens gloomy and tragic situations in the story. She accepts affirmatively all the realities surrounding her and adapts herself to her circumstances, the opposite of Joe who lives in violence and resistence. Therefore Lena con be said to play the part of a background or chorus character who emphasizes the tragedy in the story. William Faulkner represents in Light in August that the virtue and the evil of a man do not exist in his heart, but that man can be transformed by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Though the setting of the story is Jefferson, the novel is delling with modern society where we live. A tragic figure, like Joe Christmas, is a modern everyman who can be found in present-day circumstances. Faulkner shows us the the tragedy of modern man through Joe Christmas; and through Hightower he shows the severance of communication in our closed society. Faulkner presents a positive way of life through Lena, and gives us a lesson that we who exist at this time live in a critical moment in which human nature is l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