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조적 장애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개선에 미치는 영향

        현혜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구조적 장애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개선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중등특수전공 현혜림 지도교수 : 한경근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장애이해교육에서 활용된 모의장애체험의 비판점을 바탕 으로 구조적 장애체험 활동을 고안하여 구조적 장애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장애인 식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구조적 장애체험 활동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식(환경적, 사회적 장애인 접근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 둘째, 구조적 장애체험 활동은 고등학생의 교내 장애인 접근성 향상 및 개선 실천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에 소재한 G고등학교 1~3학년 총 26개 학급으로 구조적 장애체험에 직접적으로 참 여한 통합학급 학생은 144명(남학생 55명, 여학생 89명)이며 구조적 장애체험 활동 영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참여한 비통합학급 학생 237명(남학생 145명, 여학생 92명) 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적 장애체험은 구조적 지체장애체험 활동, 구조적 시각장 애체험 활동, 구조적 발달장애체험 활동으로 고안됐으며 1학년 통합학급은 구조적 지체장애체험, 2학년 통합학급은 구조적 시각장애체험, 3학년 학급은 구조적 발달장 애체험을 진행하였다. 그 외 비통합학급 학생은 영상으로 제작된 구조적 지체· 시 각· 발달장애 체험을 시청하고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은 질문지를 통해 장애인 식과 장애인 접근성 개선 방안에 대해 응답을 제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적 장애체험을 통한 고등학생 장애인식의 변 화는 (1)장애보다 환경 구조의 문제, (2)보이지 않던 어려움의 등장 (3)장애인뿐 아니 라 나에게도 편한 것이라는 3가지의 상위 주제와 7가지의 하위 주제, 14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구조적 장애체험 활동을 통한 장애인 접근성 향상 및 개선 방 안으로는 (1)적절한 장애인 평의시설의 설치, (2)테크놀로지의 활용, (3)환경을 당장 변화시킬 수 없다면 우리가 라는 3가지의 상위 주제와 7가지의 하위주제, 14 의미 단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조적 장애체험을 통한 장애인식개선에 영 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첫째, 직접적으로 구조적 장애체험을 실시했는지 간접적으로 구조적 장애체험을 실시하였는지 이다. 직접적으로 구조적 장애체험을 실시한 학급 이 간접적으로 구조적 장애체험을 실시한 학급보다 구체적이고 현장감 있는 반응을 보였다.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들은 구조적 장애체험 후 환경적으로 장애를 만드는 요인들에 구체적인 응답을 한 반면 남학생들은 장애인 접근선 개선방안에 다양하고 이론적인 대안책을 많이 제시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주제어: 구조적 장애체험, 장애이해교육, 장애인식개선

      • 한국 노인과 자녀의 동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현혜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국 노인과 자녀의 동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노인의 거주형태는 노인의 경제적 · 정서적 · 신체적 지지를 반영하고, 노인이 적절한 부양과 보호를 받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요하다. 노인과 자녀의 동거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노인이 느끼는 동거필요성에 의해 자녀동거가 발생한다는 ‘필요 가설’, 개인이 보유한 자원에 의해 거주형태가 결정된다는 ‘자원 가설’, 노인 부양의식이 거주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태도 가설’으로 정리하고 각 가설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인과 자녀의 동거유무에 따라 노인과 자녀의 사회 · 인구학적 특성들을 살펴보고, 노인과 자녀의 동거에서 중요한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자녀는 노인의 동거형태를 결정짓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타자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노인 거주형태 연구들이 노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자녀의 입장에서 노부모와 동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사회조사(Social Survey)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필요 가설에서는 노인의 신체적 자립능력과 동거형태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자녀동거의 관계는 종모양(, bell-shape)의 분포를 보였다. 5점 척도로 측정된 건강상태에서 ‘매우 좋다’에서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노인까지는 동거확률이 증가하다가, ‘보통’에서 ‘매우 나쁘다’라고 응답한 노인까지는 자녀동거 확률이 감소하였다. 이는 자녀가 노부모와 동거를 통해 가사와 육아 등 일상생활의 도움을 받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과의 동거를 원하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자원 가설에서는 노인과 자녀의 경제력과 사회 · 인구학적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노인인 경우, 안정적인 주택점유형태를 가진 노인의 경우에는 자녀 동거 확률이 낮았다. 반면 자녀는 경제활동 중이거나, 안정적인 주택점유형태를 가질수록 노부모동거 확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노인과 자녀의 동거는 자녀에 대한 노인의 경제적 의존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경제력 변수 외에 노인의 자원 중에는 배우자유무가 노인의 동거형태를 결정짓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자녀는 연령이 높을수록, 여성자녀(딸)에 비해 남성자녀(아들)가, 배우자 없는 자녀에 비해 배우자 있는 자녀가 노부모 동거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자원뿐 아니라 자녀의 자원도 동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태도 가설 검증에서는 개개인의 부양의식이 동거형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부양에 대한 사회적 통념도 동거형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부터 노인의 거주형태는 노인 스스로의 의사결정이자, 노인과 자녀 간의 결합의사결정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통념에 영향을 받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노인과 자녀의 경제적 능력과 자녀의 사회 · 인구학적 특성, 노후부양에 대한 개인적 · 사회적 의식이 노인의 동거형태에 주요하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 연구

        현혜림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ime expression shown in the ending of the Jeju dialect. Although the existing studies have researched the meaning of morphemes and their meaning that involve in the time expression, each scholar developed the individual system of time expression. To handle such incoherence that has hindered Jeju dialect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the realization aspect of time expression of Jeju dialect in detail based on the school grammar system to clarify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of Jeju dialect. The second chapter reviews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established in school grammar. Because school grammar has a general and comprehensive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it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time expression of the Jeju dialect.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suggested in school grammar consists of tense and phase, and the tense is divided into 'past', 'present' and 'future' depending on the temporal position at the time of event based on the time of speech. The phase classifies the movement into the 'progress phase,' 'completion phase' based on the time of speech. The grammatical markers involved in expressing time in line with each system in the Korean language are checked and the semantic function is examined. The third chapter reviews the system of time expression and its use in the Jeju dialect. [Jeju Language Oral Data Collection(1-28)] were used to examine specific aspects of realization. As this collection is a copy of the old dialect speaker's speech, it can check the natural speech where the time expression is realized. The pattern of usage is examined by divi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elements, focusing on the grammatical markers in the tense and the phase. Multiple types of temporal terminology realized in Jeju dialect were studied through this combination. The fourth chapter suggests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Because the grammatical marker unlike the Korean language is realized in Jeju dialect,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n Jeju dialect will be reviewed. Also,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about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will be reviewed. Finally, the fifth chapter will organize the discussion in the text, and finalize the study by suggesting the insufficient part and future task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grammar about time expression in Jeju dialect, suggesting the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시간 표현에 관여하는 형태소와 의미를 개별적으로 밝히 는 성과가 있었지만, 학자마다 시간 표현의 체계를 달리하여 제주 방언 교육에 혼란을 가져왔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자 학교 문법의 체계에 바탕을 두고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실현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2장에서는 학교 문법에서 설정하고 있는 시간 표현의 체계를 검토한다. 학교 문법은 국어의 일반적이고 전반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어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 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학교 문법에서 제시하는 시간 표현은 시제를 발화 시를 기준으로 사건시의 시간적 위치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로 구분하고, 상은 개별 시제에 종속된 동작의 모습을 ‘진행상, 완료상’으로 나눈다. 이러한 체계에 맞춰 국어에서 시간을 표현하기 위해 선어말어미와 통사적 구성의 실현 방법을 확인하고 각 의미 기능도 검토한다. 3장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체계와 실현 양상을 본다. 구체적인 실현 양상을 살피기 위하여 제주어구술자료집(1∼28)을 활용한다. 이 자료집은 고령 의 방언 화자의 발화를 그대로 옮긴 것으로 시간 표현이 실현된 자연 발화를 확 인할 수 있다. 실현 양상은 시제와 상의 문법적 표지를 중심으로 선행 요소와 후 행 요소의 관계를 나누어 살핀다. 이러한 결합 관계를 통해 제주 방언에서 실현 된 시간 표현의 여러 이형태를 살핀다. 제주 방언에서 구체적인 실현 양상은 과 거시제 ‘-아시/어시/여시/라시/앗/엇/엿/랏-’의 이형태 조건을 확인한다. 후행 요 소는 ‘-아시/어시/여시/라시-’는 어미 ‘-아, -ㄴ게, -녜, -ㄴ가, -냐/니, -카’, 명령 형 ‘-라’와 청유형 ‘-게’와 결합한다. 선어말어미 ‘-앗/엇/엿/랏-’은 후행 요소가 ‘- 저, -주, -구나’일 때의 결합 양상을 본다. 회상의 선어말어미 ‘-더/아/어/여/라-’ 가 결합하는 요소로 ‘-라, -ㄴ게, -냐/니, -ㄴ가’가 있고, 주로 과거 어느 시점의 일을 떠올리는 ‘회상’의 의미를 갖는다. 현재시제 ‘-ㄴ/느-’는 선행 요소가 동사와 형용사일 때 결합이 가능하다. 주로 ‘-ㄴ-’은 평서형 어미 ‘-다’와 반말체 어미 ‘- 어’와 앞에 결합하고, ‘-느-’는 ‘-녜, -냐/니’가 앞에 결합하여, 현재의 시간 보다 ‘화자의 확신’의 의미 기능을 갖는다. 미래시제의 ‘-크-’는 통사적 조건에 따라 ‘추측’이나 ‘의도’를 표현하는데, 후행 요소는 ‘-라, -ㄴ게, -냐/니, -가(고)’가 결합 한다. 제주 방언에서 ‘진행상’은 국어와 달리 선어말어미가 관여하며, 어간의 품 사에 관계없이 결합한다. ‘-암시/엄시/염시/람시-’는 후행 요소가 ‘-어, -ㄴ게, - 녜, -ㄴ가(고), -냐/니, -라, -게’일 때 결합하며, ‘-암(ㅅ)/엄(ㅅ)/염(ㅅ)/람(ㅅ)-’은 후행 요소가 ‘-저, -주, -구나, -디야’가 결합한다. 주로 진행의 의미를 표현하지 만, ‘상태 변화’와 ‘현재’의 의미도 실현된다. 완료상은 ‘-아나시/어나시/여나시/라 나시/아낫/어낫/여낫/라낫-’이 관여하는데, 선행 요소가 품사에 관계없이 결합되 어 국어와 달리 생산성이 넓다. ‘-아나시/어나시/여나시/라나시-’는 ‘-아, -ㄴ게, -녜, -ㄴ가, -냐/니, -카’, 명령형 ‘-라’와 청유형 ‘-게’가 결합된다. 반면, 선어말어 미 ‘-아낫/어낫/여낫/라낫-’은 후행 요소로 ‘-저, -주, -구나’일 때 결합된다. 4장에서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의 특징을 살펴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제주 방언은 국어와 다른 문법적 표지가 실현되고 있다. 과거시제는 명 령형과 청유형 어미에 결합하여 ‘완료’의 의미 기능을 한다. 현재시제는 반말체 어미 ‘-어’와 결합하여 ‘화자의 확신’의 의미 기능을 한다. 미래시제는 감탄형 어 미 ‘-구나’와 결합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진행상은 명령형과 청유형 어미가 결합 되어 ‘상태의 점진적 변화, 현재시제’의 의미 기능을 보인다. 완료상은 ‘명사-이 다’와 ‘아니다’와 결합하여 점차 선어말어미의 기능으로까지 문법화 과정을 본다. 이러한 제주 방언의 독특한 시간 표현에 대한 교육적 활용 방안을 살펴본다. 마지막 5장은 본론에서 논의된 바를 정리하고 부족한 부분과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며 마무리 짓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주 방언의 시간 표현에 대한 형식적인 문법 특성을 이해 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Legacy effects of mercury contamination on plant growth and nifH-harboring microbial community in rice paddy soil

        현혜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Methylmercury (MeHg), which is formed in rice paddy soil, exhibits strong neurotoxicity through bioaccumulation in the food chain. A few groups of microorganisms drive both mercury methylation and nitrogen fixation in the rhizosphere. Little is known about how Hg contamination, which affects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microbial communities, persists once the nitrogen-fixation rate has been restored to maintain symbiosis with plants. Here, we examined how stimulated short-term Hg contamination affects the nitrogen fixing microbial community and influences plant-microbe interactions. Soil was treated with low (0.2 mg/kg) and high (1.1 mg/kg) concentrations of Hg for 4 weeks; then, rice (Oryza sativa) was planted and grown for 12 weeks. The nitrogen-fixation rate and rice growth were measured. The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microbial community were analyzed by sequencing the nifH gene before and after rice cultivation. Hg treatm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itrogen fixation rate and dry weight of the rice plants. The structure of the nifH-harboring community was remarkably changed after rice cultivation depending on Hg treatments. Iron- or sulfate-reducing bacteria, including Desulfobacca, Desulfoporosimus and Geobacter, were observed as legacy response groups; their abundances increased in the soil after Hg treatment. The high abundance of those groups was maintained in control, but the abundance drastically decreased after rice cultivation in the soil treated with Hg, indicating that symbiotic behavior of rice plants changes according to the legacy effects on Hg conta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g contamination can persist in soil microbial communities, affecting their nitrogen-fixation ability and symbiosis with rice plants in paddy so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