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최지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최지선 지도교수 박미화 이 연구는 교육환경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유아가 흥미로워하는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습득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동화역할극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이야기이해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있는 사립유치원에 재학 중인 종일반 유아 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동화역할극이 언어습득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3회, 중재 4회, 사후검사 2회를 실시한 후 각 유아별로 검사지를 사용하여 언어습득능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획득점수에서 총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하고 도표와 그래프화 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이야기이해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재 단계에서 각 동화별 3회씩 총 12회로 구성된 검사지를 사용하여 유아마다 이야기이해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획득점수에서 총점수를 백분율로 환산하고 도표와 그래프화 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역할극을 적용시킨 결과, 대상 유아 모두 언어습득능력이 향상되었다. 동화 내용이 부분적으로 가미된 질문 내용을 주의 깊게 듣고 그 내용을 적절하게 표현하였으며 동화역할극을 통하여 적절한 언어자극이 제공됨으로서 유아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언어습득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역할놀이를 통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화용론적 언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강은화(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동화역할극을 적용시킨 결과, 대상 유아 모두 이야기이해력이 향상되었다. 동화역할극이 진행 되어가는 과정에서 동화를 듣고 동화속의 인물, 사실, 인과관계(정보의 명료성), 장소 및 배경, 감정 상태에 대한 질문을 하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동화를 듣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알맞은 그림을 지적할 수 있는 능력을 길렀다. 동화역할극이 이야기이해력에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언어 이해력에 영향을 준다는 차금선(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그림책을 통한 극 놀이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이해력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홍현수(2006) 연구와 같은 맥락의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사는 동화를 단순히 들려주는 것으로 끝내는 일반적인 수업형태를 벗어나 유아들에게 친숙한 상황이나 사건들로 구성된 동화역할극을 함으로써 또래간의 상호 주관성을 높이고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습득능력 및 이야기이해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피브리노겐 중앙 도메인과 αXβ2, αMβ2의 결합 특성 분석

        최지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피브리노겐은 혈액 내 존재하는 주요 혈장 단백질로서 혈관에서 트롬빈에 의해 피브린으로 전환되어 혈전을 형성, 혈액 응고에 관여한다. 피브리노겐은 두개의 말단 도메인(distal domain)과 하나의 중앙 도메인(central domain)으로 구성이 되는데, 중앙 도메인과 양 말단 도메인이 ‘coild-coil’ 라고 불리는 stranded region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들 도메인은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된 3 종류의 polypeptide chain(Aα, Bβ ,γ)으로 구성된다. 피브리노겐은 혈전 형성뿐 아니라 leukocyte 표면에서 발현되는 β2 인테그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염증반응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브리노겐은 leukocyte의 이동을 조절하고 phagocytosis, NF-kB mediated transcription, chemokine and cytokine 분비 등 leukocyte의 기능에도 관여한다. β2 인테그린은 특이적인 β2 소단위체(CD18)를 갖는 세포 막 관통 단백질로서 leukocyte 표면에서만 발현되는 leukocyte 인테그린으로 α 소단위체와 β소단위체가 비공유적으로 연결된 heterodimeric한 형태로 발현된다. β2 인테그린에서 리간드 인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α 소단위체는 리간드와 결합하는 I 도메인을 갖는다. I 도메인은 약 20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이 되며, 5-7개의 α herix가 5개의 β sheet를 둘러싸는 로스만 접힘(Rossman fold) 구조를 하고 있는데, 리간드와의 결합에서 주요 결합 자리로 작용한다. 지금까지 αMβ2, αXβ2 인테그린의 I domain이 피브리노겐의 말단 도메인과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피브리노겐의 중앙 도메인과 αM I-domain, αX I-domain과의 결합은 밝혀진 것이 많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브리노겐 중앙 E 도메인과 αMβ2, αXβ2 인테그린의 결합특성을 밝히고자, 피브리노겐의 central E 도메인 내에 존재하는 αM I-domain, αX I-domain과의 주요 결합자리를 solid phase analysis 와 surface plasmon resonance(SPR) analysis를 이용하여 확인 하였다. solid phase analysis 결과 피브리노겐 중앙 도메인의 β 사슬이 α chain보다 αM I- domain 및 αX I-domain과 더 많이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PR 분석 결과 피브리노겐 중앙 도메인의 β 사슬이 αM I- domain 및 αX I-domain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브리노겐 중앙 도메인을 구성하는 짧은 peptide와 αM I-domain 및 αX I-domain 과의 결합 실험에서도 β 사슬의 B2 peptide(TGKKVERKAPDA)가 결합에 많이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2 peptide 지역에서 점 돌연변이 주를 이용하여 αM I-domain 및 αX I-domain 과의 결합을 조사해 본 결과, 이 지역의 글루탐산 잔기가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β 사슬이 그리고 B2 peptide 지역이 인테그린과의 결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Fibrinogen is a major blood plasma protein which is converted into fibrin to prevent blood leaks from blood vessels. Besides blood clotting, fibrinogen is involved in additional functions including platelet aggregation, leukocytes adhesion, and stimulation of cytokine release in macrophages. The interaction of human plasma fibrinogen with leukocyte integrin αMβ2 and αXβ2 supports the inflammatory response. It was demonstrated the binding of β2 integrin to central domain of fibrinogen besides of distal domains. As a next step, we investigated the region of fibrinogen central domain responsible for αM and αX I-domains by solid phase and surface plasmon resonance analysis. The β chain of the central domain of fibrinogen binds to αM and αX I-domains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α chain did not. The region of β chain containing the sequence(TGKKVERKAPDA) was found to bind αM and αX I-domains by the analysis of peptide bin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β chain is the critical binding site of fibrinogen central domain and leukocytes can mediates fibrinogen signaling through β2 integrin.

      • 박완서 장편소설 『나목』연구

        최지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나목』은 박완서의 장편소설로 그녀의 등단작이기도 하다. 작가의 자전적 체험으로 이루어진 『나목』은 20세의 여주인공이 6.25전쟁이라는 암울한 현실 속에서 시련을 딛고 성장해 나가는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다. 이 작품은 이후 전쟁을 소재로 하거나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를 다룬 박완서의 여러 작품의 초석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박완서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실마리가 된다. 『나목』은 접근하는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 『나목』에서 작품의 배경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한다면 전쟁소설, 서술의 입장에서 본다면 작가체험소설, 주인공의 성적 정체성의 확립 측면에서 본다면 페미니즘 소설, 그리고 인물의 성장기로 파악한다면 성장소설의 측면에서 연구가 가능하다. 본고는 이 가운데에서 미성숙한 주인공이 여러 장애를 경험하며 자아를 성립하고 성장하게 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성장소설로서 작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나목』을 성장소설로 파악하였으므로, 작품의 해석에 들어가기 앞서, 성장소설의 이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성장소설은 주인공이 분리(separation), 전이(translation), 결합(incorporation)의 단계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는 일종의 통과의례 구조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주인공은 미성숙에서 성숙으로의 변화를 꾀하게 되고, 사회와 온전히 소통하게 된다. 성장소설의 주인공은 대개 사춘기 이전의 어린 나이로, 미성숙, 불안, 불만, 결핍 등의 요소를 가진 인물로 설정된다. 이들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분리된 채 새로운 세계와 소통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주인공은 여러 장애 요소와 부딪히게 된다. 주인공이 맞닥뜨린 장애 요소는 사실 주인공의 성장을 가능케 하는 원동력으로서, 장애를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통하여 주인공은 성장하고 세계와 소통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소설 중에서도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는 여성 성장소설의 경우, 남성을 주인공으로 하는 성장소설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보통의 성장소설에서 최종적으로 이끌어내고자 하는 결론이 주인공의 자아정체성 형성인데 비하여, 여성 성장소설의 경우는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목표 이외에도 여성으로서 겪게 되는 여러 장애를 극복하고 성적 자각을 통해 여성정체성을 확립하는 것까지를 목표로 한다. 『나목』또한 이러한 성장소설의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성장소설에서 대표적인 통과의례적 구성에 따라 분리 단계, 전이 단계, 결합 단계의 성격에 맞게 작품의 내용을 대입시킬 수 있다. 작품 속에서 주인공이 세계에서 분리하게 된 원인은 아버지의 부재와 어머니와의 소통 단절에서 온다. 육친의 죽음을 경험했다는 점과 어머니로부터 자신이 존재를 부정당했다는 점은 주인공 이경에게 씻을 수 없는 큰 상처를 남긴다. 이러한 상처로 인하여 주인공은 자신의 정체성에 위기를 느끼게 되고, 방황과 시련을 경험한다. 이 과정에서 이경은 옥희도에게서 이상화 된 자신의 아버지를 떠올린다. 옥희도 또한 이경에게서 자극을 받아 다시 예술가로서 창작활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경과 옥희도의 관계에서 옥희도는 이경의 환상 속에서 이상화된 아버지로 기능하는 가상적 존재이기 때문에,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이러한 이경의 태도는 현실을 부정하고 회피한 채 과거로의 퇴행하고자 한 것이다. 이경에게 옥희도가 가상의 아버지로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면, 미군인 조는 짧지만 강렬하게 영향을 끼쳐 이경이 자신의 외상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존재이다. 이경은 자기 파괴의 욕구와 환경에 대한 불만으로 조와의 정사를 시도한다. 이러한 정사의 체험은 이경의 내면에 봉인되었던 과거의 상처를 일깨우게 된다. 끔찍한 오빠들의 죽음과 그로 인한 죄책감은 이경의 내면에서 그녀를 옭매이는 족쇄로 작용하여 왔다. 그런데 그 상처를 직시하고 수용하게 됨으로써 이경은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게 되고, 세계와의 화해를 시도하게 된다. 어머니의 죽음과 옥희도와의 결별 조와의 정사 등의 사건을 통해 현실의 감각을 회복한 이경은 황태수와 결혼하여 현실적 세계에 정착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그녀는 자아를 확립하게 되고, 성장하게 되어 안정적인 삶을 살게 된다. 이후 옥희도의 ‘나목’을 보게 된 그녀는 그림 속에서 사춘기 시절 보았던 황량했던 ‘고목’이 아닌,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간직한 ‘나목’을 발견한다. 이러한 시선의 변화는 곧 그녀가 세상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성장소설의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the fact that it analyzes Park wan seo's 『Namok』 who made a debut in 1970 Korean literary world today from viewpoint of growth novel in objective. Park wan seo until since then now which makes a debut with 1970 『Namok』 which stands fourteen long novels and about twenty middle volume novels and short stories, essays, nursery stories announces the assimilation back and it comes and it is active and is being active an author who it is. The novel quality of the present growth novel where has become the viewpoint of discussiion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with afterwords is same. First, growth novel of most 'am I who' as the search the true identity characteristic of the self which it does. Second, destruction of the family community which is caused by with 6.25 warfares and it is caused by in paternal right absence and it will not be able to search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the place it is difficult it is a growth disorder novel which it undergoes. Specially the case father of woman growth novel the absence treats the problems against the social self estabilishment of the heroins. Third, from growth process it is caused by with negation environment and it dies and with to discover an evil it becomes and it is experienced a discord with shock experince. The heroine Lee Kyeong with afterwords undergoes the growth process as the woman together from Park's 『Namok』. First, the growth disorder which the head of a family by in absence, Lee the father can be caused by in absence and it cannot be protected it experiences from the fence of the family and a sprit panic. Second, it is caused by with the patriarch ideology mother and Lee is undergone and the spirit wound namely, it experiences the characteristic true identity sincerity damage of oneself who is a woman. It hides on back of patriarchism and it is recognized and the limit of the position woman and becomes the opportunity which confirms the true identity characteristics of oneself. Third, the chimpanzee doll which is a vehicle to distinguish the first phase of growth well childhood is comfortable from anger width shows the features of Ok Hee Do where the existence feeling is damaged in the same time when it is a vehicle which distinguishes the mind of Lee which wants staying. Fourth, sexual identity is an essentila element of growth to woman growth novel. Lee and GI it meets to be a resistance with the Confucianism convention and a taboo of the mother, Lee with the confirmation regarding the existence of oneself is used the fool with mediation of desire escape. It overcomes like this sexual deviation and Lee feels the will of strong life and in marriage with Hwang Tae Soo it enters in the common sense world. Result 『Namok』is talk of the people who undergo a panic spirit with 6.25 warfares. To this work spirit occurs from the extreme situation where the heroine of adolescence is warfare becomes impoverished and to overcome it is undergone from the process which grows the phases of the growth are becoming known well. This research expanded from research of existing which it limits in 6.25 experience novels the grow qualities from woman growth novel, it confirmed it was a work where 『Namok』 is suitable in Korean growth novel quality to sleep to confirm and it did

      • 공급자 관점에서 본 시니어계층을 위한 셰어하우스 도입에 관한 연구

        최지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Because of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 a global phenomenon has been appeared by the family differentiation and change of the traditional values, even in korea, one-person households in the 2000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Currently the increase in both youth one-person household and elderly one-person household are shown. But, when entering the aging society, the society will increase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one-person households.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 one-person household increases, introduced the policy of expanding a small house. As a result, it has been an increase in the quantitative but qualitatively a decline. In addition, elderly housing welfare facilities are supplied in the form of nursing home and welfare housing. However there are short supply compared to the elderly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 about the introduction of share house which is required for housing stabilization for seniors who are gradually increased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The share house is targeting the youth now, and I focused on the present share house as one of the housing options for seniors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housing-related providers. In particular I examined whether the share house can be residential alternative for one-person household in the future, and therefore what is necessary requirem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ovider, and what part is required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share house for seniors. The providers thought of the share house positively, and they thought that it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private housing rental market. To do this, government’s active support is necessary. The providers think that the requirements for vitalizing share house market are the development of a various types of share house and its contents, and operator’s management. In terms of government support, relaxation of space regulations and other regulations, business's tax system reform, rent support, utility bills support, and software development are needed. For the role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the public should consider the price competitiveness, the development and manager of the program. And the private sector must develop diverse and high-quality products. I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shares house for one person households as follows: First, conversion of existing housing such as Urban-Life Housing and empty dilapidated house. Second, a variety of options of program and ongoing management. Third, policy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market. Although there is the social need for supplying a share house for the seniors, there are some practical difficulties. Considerations for share house for seniors are as follows: room-sharing where many people use one room; operation for the only youth in the target; communication between tenants; monthly rent capacity; disease and posterior measures. I propose that the policy proposals should be as followed: First, supply a single-room share house for closed elderly; Second, Age-Mix with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 including unmarried, divorced, and goose family; Third, a meal together program and utility bill or food support; Fourth, rent support utilizing residential voucher; Fifth, permission to the occupancy of only healthy senior. Share house may become a one solution of housing problem of one-person household. Particularly the seniors psychologically feel lonely and alienated, so they may need the share house more. On the basis of what has been derived from interviews, I have some suggestions for share house for seniors in terms of the share house most of which has been open to youth.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investment incentives for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rental housing market. 1인가구의 증가는 세계적인 현상으로 가치관의 변화나 가족분화로 인해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0년대에 들어 1인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청년 1인가구와 노인 1인가구가 두드러지지만 고령화 시대에 진입하면서 시니어 계층이라 할 수 있는 중장년층과 노인 1인가구의 비율이 높아질 것이다. 정부에서는 1인가구 증가에 따라 소형주택을 확대 정책을 도입하였는데 그 결과 양적으로는 증가하였지만 질적으로 하락하였다. 또한 노인주거복지시설은 양로시설이나 복지주택의 형태로 공급되어 있으며 노인 인구에 비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고령화로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시니어계층의 주거 안정화를 위한 셰어하우스의 도입과 그에 필요한 정책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현재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셰어하우스라는 형태의 주택을 관련 업계 공급자 인터뷰를 통해 시니어계층을 위한 주거대안의 하나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셰어하우스가 향후 1인가구의 주거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이를 위해 공급자 관점에서 필요한 요건은 무엇인지, 시니어계층을 위한 셰어하우스 도입 시 어떠한 부분이 요구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공급자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결과 셰어하우스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고 셰어하우스가 민간주택임대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하였지만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공급자 측면에서 본 셰어하우스 도입 시 활성화 요건으로는 운영관리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의 셰어하우스나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고 운영자의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응답하였다. 정부지원 측면에서는 사업자 세제 개편을 비롯한 공간이나 법 규정의 완화, 입주자 임대료 지원, 공과금 지원, 소프트웨어 개발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공공과 민간의 역할에 대해서는 공공은 가격 경쟁력과 더불어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주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고 민간은 다양하고 질 높은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셰어하우스의 방향으로는 첫째, 도심형생활주택이나 비어있는 노후된 주택의 활용 등 기존주택의 기능을 전환하는 방안, 둘째,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지속적 관리, 셋째, 민간시장의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다. 그리고 현재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셰어하우스를 시니어계층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사회적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시니어계층에 적용 시 고려사항으로는 여러 명이 한방을 사용하는 룸셰어 형태, 청년층만을 대상으로 운영, 입주자들 간의 교류문제, 월세부담능력, 질병 및 사후대응에 대한 대처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정책 제안으로는 첫째, 폐쇄적인 노인 성향에 맞는 1인실의 셰어하우스를 공급, 둘째, 미혼ㆍ이혼ㆍ기러기 가족 등 중장년층 1인가구와 Age-Mix, 셋째, 식사를 함께하는 프로그램이나 공과금 및 식비에 대한 지원, 넷째, 주거급여를 활용한 임대료 지원, 다섯째, 건강한 시니어만 입주를 허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셰어하우스라는 형태의 주택은 1인가구의 주거문제의 하나의 해결 방안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심리적으로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끼는 시니어계층에 더욱 필요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청년층에 한정되어 있는 셰어하우스를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내용을 기반으로 노인계층에 적용을 시도하고 정책적인 제안을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지며 정부에서는 민간임대주택시장 확대를 위해 투자유인 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 병원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최지선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양한 직종으로 구성 된 병원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병원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전북지역의 병원종사자(간호사, 물리치료사, 원무팀 직원)이며, 총 4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data screening을 통하여 최종 39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및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는 정적 상관, 감정노동과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와는 부적 상관, 직무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와 부적 상관, 자아탄력성은 직무만족도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원종사자의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아탄력성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정노동을 많이 경험할수록 직무스트레스도 많이 경험하게 되어, 자아탄력성의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의 관련성은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할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아탄력성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아탄력성의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병원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감정노동이 직무만족도에는 직접효과가 없었지만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완전 매개를 하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부분 매개를 하였다. 이를 통해 자아탄력성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병원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의미를 제공하였다. 또한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경험을 낮추어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자아탄력성을 통해 직무만족도가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기에 본 연구를 통해서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원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관련하여 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 workers composed of various occupations and to verify whether ego-resilience mediates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with the aim of suggesting how to improve hospit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helping them manage their emotional labor, task stress and self-elasticity effectively. A total 484 hospital workers (nurses, physical therapists, and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staff)were surveyed in Seoul, Gyeonggi-do and Jeollabuk-do areas, and the final 391 copi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through data screening etc.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and AMOS 22.0 program and the analysis methods were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and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job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emotional labor of hospital worke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go-resilience. This was confirmed that the more emotional labor was experienced, the more job stress was experienced, and the more influence it ha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ego-resilience.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indicating that it did not have an effect.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was found to have a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the less job stress experienced, and ego-resil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was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ego-resilience awareness,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ego-resilience was verified in relation to the hospital worker’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emotional labor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it fully mediated job satisfaction through ego-resilience, and ego-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hospital workers coul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by activating ego-resilience. In addition, ego-resilience has been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is study, as it has been verified that ego-resilience can be promoted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improving job satisfaction by lowering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elpe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workers in relation to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workers who need social attention, and discus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 조선시대 호남관찰영본(湖南觀察營本)에 관한 서지적 연구

        崔芝仙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ublications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Honam[호남관찰영본]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searching for documents' and major libraries' oriental classics, and to confirm existence of the publications to systemize local printed books published in Honam area by analyzing them according to subjects and forms. For a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listings, records on the True Record of Joseon Dynasty[조선왕조실록] and a Chronological Table of Korean Book [한국서지연표] were examined and 60 records were picked. The records of published documents in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Honam were found including 11 from Sejong[세종] dynasty, 1 from Danjong[단종] dynasty, 7 from Sejo[세조] dynasty, 5 from Seongjong[성종] dynasty, 1 from Myeongjong[명종] dynasty, 5 from Seonjo[선조] dynasty, 1 from Injo[인조] dynasty, 2 from Hyeonjong[현종] dynasty, 1 from Sukjong[숙종] dynasty, 13 from Youngjo[영조] dynasty, 7 from Jeongjo[정조] dynasty, 2 from Sunjo[순조] dynasty, 3 from Hyeonjong[헌종] dynasty, and 1 from Cheoljong[철종] dynasty. According to the documents, there were 7 publications from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Honam out of 18 local woodblocks catalog. The publications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Honam were found 33 in Jedochaekpanrok[제도책판록], 56 in Chaekpanrok[책판록], 36 in Wanyounggaeksachaekpanmokrok[완영객사책판목록], 38 in Yonghohanrok[용호한록], 42 in Gakdochaekpanmokrok[각도책판목록], 26 in Nupango[누판고] and 18 in Imwonshipyukji[임원십육지].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Publications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Honam that were appeared on documents by dividing into Four Category Classification Scheme[4부분류법], total of 71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7 Gyeong-bu[경부], 24 Sa-bu[사부], 16 Ja-bu[자부], and 24 Jip-bu[집부]. Total of 25 kinds of existing documents that were published a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Honam were confirmed by looking into the major libraries' oriental classics. Analyzing these by forms, there were 2 kinds of wooden type printed books[목활자본] and 7 kinds of woodblock printed books[목판본] published solely by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Honam, and 16 kinds of reprinted books[번각본]. There were two wood-printed books using Jigesdarihoekinseoche Wooden Type[지겟다리획 인서체 목활자]. Reprinted books was 6 kinds of woodblock reprinted books[목판본번각본] and 12 kinds of printing type reprinted books[활자본번각본]. Among them, 9 of them were metal printing type reprinted books[금속활자본번각본] and 1 of them was wooden type reprinted book[목활자본번각본]. There were 4 metal printing type reprinted books including 6 Jeongyuja Reprinted Books[정유자번각본], 1 Gyeongjinja Reprinted Book[경진자번각본], 1 Eulhaeja Reprinted Book[을해자번각본], and 1 Jeongrija Reprinted Books[정리자번각본]. There was one wooden type reprinted book that is Hulryeondogam Wooden Type Reprinted Book[훈련도감목활자본번각본].

      • 지역이벤트 속성이 정서적 경험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지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이벤트를 세분화한 결과, 크게 7가지 유형(회의, 전시, 박람회, 스포츠, 문화공연예술, 축제, 세레모니 이벤트)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문화공연예술, 축제 이벤트의 시장점유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이벤트 속성과 정서적 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 축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개최되는 이벤트의 공통적인 속성을 중심으로 방문객의 정서적 경험을 도출해낸 것이 특징이며, 지역이벤트의 공통적인 속성에 따른 정서적 경험, 방문 만족도, 충성도의 영향 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역이벤트의 공통적인 속성 요인으로는 프로그램 및 볼거리, 편의성, 가격, 지역 자원성, 정보 및 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정서적 경험, 방문 만족도와 충성도에 높은 관련이 있는 요인은 프로그램 및 볼거리와 편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그램 및 볼거리와 편의성, 가격 요인이 부정적인 정서적 경험과 관련 있음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방문객의 정서적 경험과 만족도가 낮은 편의성과 가격요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원인분석을 통해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전략을 수립한다면, 국내 지역이벤트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Various forms of regional events held in every site of the country, 365 days a year, and appealed with slogan "Republic of Korea is on festival, 365 days a year" status management and visitor satisfaction improvement is issued as main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ongoing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gional events attributes and emotional experience on this study, as well as local festivals, events that are held in various forms of common features drawn to the emotional experience of visitors to the center of the property and according to the common property of regional events emotional experi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f the visit emotional experience, visiting satisfaction and loyalty. It showed that a common property factors of regional event are program, event, convenience, price, regional resources, information and service. Among these factors, program, event and convenience is high related to the emotional experience, visiting satisfaction and loyalty.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findings, the overall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is related by regional events. In specially, the program, event, convenience and the price factor is associated with a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Therefore, relatively, if government make detailed and in-depth strategy through cause analysis to improve visitors' emotional experience and low-satisfaction convenience and price, it is expected that regional events will more activated.

      • 균형적 시간조망척도(K-BTPS)의 한국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대상으로-

        최지선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간조망의 개념 중 하나인 균형적 시간조망의 측정을 목적으로Webster(2011)가 개발한 Balanced Time Perspective(BTPS)를 한국어로 척도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원척도인 BTPS의 문항들의 번역 및 역번역을 진행하였고, 지도교수와의 검토과정을 거쳐 문항을 수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판 균형적 시간조망척도(K-BTPS)의 예비척도를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예비척도를 질문지로 구성하여 수도권 소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 232명(표본 1)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총 24개 문항으로 이루어지고, 원척도와 마찬가지로 ‘미래긍정 시간조망’과 ‘과거긍정 시간조망’의 2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를 완성하였다. 이어 관련 척도와의양호한 수준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 본 척도의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다음으로, 대학생 303명(표본 2)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척도의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CFI와 TLI 및 RMSEA 지수를 확인 한 결과, 본 척도가 2요인 모형이 어느 정도는수용할만한 모형 적합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덧붙여 균형적 시간조망의 행복, 삶의 만족, 자존감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시간조망의 균형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자존감, 삶의 만족, 그리고 행복과의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는도구를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만을 실시했던 원척도의 타당화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제안된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척도의 타당성을 공고히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덧붙여 K-BTPS는 시간조망의 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척도로서 개인 의 시간조망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함보다는 과거지향 시간조망과 미래지향 시간조망 간의 균형을 측정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그에 따른 개인의 특성을 탐구하는도구를 개발 하였다는 점에서 데 기여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 공공기관 직원의 학습동아리(CoP) 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K공공기관 사례중심으로

        최지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factors of community of practice participation by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to fin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To this end, we design a mixed study method that explor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we looked at general trends and relationships by collecting statistical data on the positive impact factors of participation, negative impact factors of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overall community of practice participants.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hich are qualitative studies,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f individual participation were explored in depth. The study targets 49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9 community of practice at the S Education Center of K-public institutions. All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club were surveyed for six days from November 18 to 23, 2020, except for those who took leave of absence and left the company, 42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8 copies were collected. The data analysis methods used in the minute study a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club surve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department, job, and community of practice areas. The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proceed in the order of categorization, open coding, and category identification.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community of practice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bo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f participation in bo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o act as a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factor for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munity of practice. First, as a personal aspect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participation impact factors, we have shown a mind for learning, interest in learning topics, expectations for inter-employee communication, increased task efficiency, awareness of community of practice participation, and opinions on community of practice activity performance. Second,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participation impact factors have been shown in the organization's characteristics, task characteristics, the agency's will to educate, its members' propensity, community of practice operation policies, community of practice compensation and support, and employees' attitude toward community of practice activities. Third, the role within the community of Practic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munity of practice members, and the ability of the leader as individual aspects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participation impact factors. The following points need to be considered to activate the community of practice, one of the important intermediaries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competence from the above analysis. First, the community of practice operation policy is designed with consideration of personal aspect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articipating in community of practice was the willingness of learners to learn or participate in themselv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design a community of practice operation policy so that learners themselves can motivate learning. Second, there should becompensation and support for the performance of the leader role. Consideration for leaders who play a key role in community of practice operations is importa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leader and to further complement the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support for the performance of the leader role.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learning atmosphere for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of learning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o that employees can learn without interference and interference from their bosses or colleag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specific criteria for screening indicators of the best institutional certification projects(Best HRD) promoted by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t is also thought that it will be able to refer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consulting on activating operations 본 연구는 공공기관 직원의 학습동아리 참여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원들의 학습동아리 참여가 어떤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동아리 활성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에서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결합한 혼합연구 방법을 설계하고 적용하 였다. 우선 양적연구를 통해 전체 학습동아리 참여자가 학습동아리에 참여하는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그리고 이들의 참여에 따른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질적연구인 개인 인터뷰를 통해 학습동아리 참여에 대한 긍정적 영향요인과 부정적 영향요인을 심도 있게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동아리 참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조직 차원의 요인들과 개인 차원의 요인들을 모두 고려하였다. 즉, 학습동아리 구성원이 속한 조직의 특성과 각 개인의 특성이 학습동아리 참여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자체 학습동아리의 특성까지 복합적 상호 작용한 결과 학습동아리에 대한 참여 의향이 결정된다는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연구 모형을 기초로 실제 연구는 K공공기관의 S교육원에서 2019년도 학습동아리에 참여한 직원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학습동아리에 참여했던 전 직원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8일부터 23일까지 6일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 49명 중 휴직 및 퇴사자를 제외하여 42부를 배포하고 38부를 회수하였다. 측정도구는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거쳐 적합한 문항만을 분석에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학습동아리 설문조사에 참여한 직원 중 성별, 부서, 직무, 학습동아리 분야 등을 고려하여 7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범주화, 개방 코딩, 범주 확인 순서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적 측면과 조직적 측면으로 나눴을 때, 참여에 대한 긍정적 영향요인과 부정적 영향 요인이 쌍방향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별 학습동아 리의 특징에 따라 참여에 대한 긍정적 영향요인과 부정적 영향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들로 학습에 대한 심리, 학습주제에 관한 관심, 직원 간 소통에 대한 기대, 업무효용성의 증대, 학습동아리 참여에 대한 인식, 학습동아리 활동성과에 대한 의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에 대한 동기는 배우고자 하는 의지와 주제에 관한 관심, 업무 능력 향상 등의 학습 목적이 있는 것이었다. 이는 조직적 측면의 영향을 벗어나 개인 고유의 성향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학습동아리 참여에 대한 인식과 학습동아리 활동성과에 대한 의견은 조직적 측면의 요소가 어느 정도 상호작용하여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학습동아리 운영정책에 따라서 학습동아리에 대한 인식과 학습동아리 활동성과에 대한 인식이 바뀔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적 요인들로 기관의 특성, 업무적 특성, 기관장의 기업교육에 대한 의지, 조직 구성원의 성향, 학습 동아리 운영정책, 학습동아리 보상 및 지원,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직원 들의 태도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업교육에서의 학습동아리는 비공식적 CoP가 아닌, 공식적 CoP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설명할수 있다. 공식적 CoP는 기업의 교육훈련으로서 추진되기 때문에 자발적 참여보다는 기업의 권유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고, 기업에서 지원을 받고 있기때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직 구성원의 성향과 학습 동아리 활동에 대한 직원들의 태도는 조직의 분위기와 연계된다. 따라서 학습동아리와 같이 조직 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태도가 필요한 교육훈련은 더욱이 조직의 분위기가 참여를 좌우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 된다. 셋째, 학습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아리 자체의 요인들로 학습동아리 내에서의 역할, 개별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특성, 리더의 역량 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동아리의 리더는 학습동아리의 주제, 미션 등을 설정하고 참여 회원을 직접 모집하는 등 학습동아리 운영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리더 대부분은 학습에 대한 확실한 목적이 있다는 특징을 보였고, 리더로서 책임감 있는 모습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리더와 구성원이라는 학습동아리 내의 역할이 참여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요인 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아리 리더와 구성원의 특징과 역량에 따라서 추후 학습동아리의 지속적인 참여 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학습동아리의 팀워크가 좋고 팀원들이 참여가 적극적이며 리더의 역량이 뛰어난 학습동아리는 참여에 대한 긍정적 요인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조직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매개 중 하나인 학습동아리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학습동아리 운영정책은 개인적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학습동아 리를 참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습자 스스로 배우고 싶거나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였다. 따라서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수 있도록 학습동아리 운영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많은 리더가 나올 수 있도록 적절한 보상과 지원이 필요하다. 학습동아리 운영에서 핵심적 역할을 차지하는 리더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 따라서 리더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리더 역할 수행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지원이 더 보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조직 구성원들의 학습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다. 조직 차원에서 학습하는 분위기를 형성하여 직원들이 상사 또는 동료의 간섭과 방해 없이학습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 및 민간기관 대상으로 추진하는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사업(Best HRD)의 심사지표에 대한 구체적 심사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추진하는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설계 및 구축, 그리고 운영 활성화의 컨설팅 내용으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