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동호 수변 식물상ㆍ식생에 대한 교육학적 연구

        조신혜 창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0년 2월 1일부터 2010년 10월31일까지 9개월 간 경상북도 안동시에 걸쳐있는 안동호를 대상으로 수생 및 습생식물의 군락과 식물생산량을 기초 조사하였다. 안동호의 관속식물상은 36목 84과 236속 272종 1아종 2품종 53변종 총 328종류로 조사되었고 습생 및 수생식물상은 11목 12과 21속 27종 4변종으로 총 31종류가 나타났다. 특산식물은 8목 9과 10속 9종 1변종으로 총 10종류로 오동, 금마타리, 할미밀망, 분취 등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식물은 3목 3과 7속 9종으로 말냉이, 돼지풀, 개망초, 실망초, 망초, 미국가막사리, 코스모스, 털빕새귀리, 오리새 등이 조사되었다. 안동호에서 관찰된 수생 및 습생식물군락은 총 18개 군락으로 이삭사초군락, 괭이사초군락, 달뿌리풀군락, 물꼬챙이골군락, 마름군락, 애기부들군락, 물피군락, 여뀌군락, 망초군락, 가막사리군락, 토끼풀군락, 개망초군락, 선버들군락, 붉은토끼풀군락, 사철쑥-달맞이꽃군락, 개망초-쇠뜨기군락, 개망초-괭이사초군락이 나타났다. Nir Orion 체험 단계의 준비 활동과 체험 활동의 일부 참고하여 학생용 탐구 활동지를 만들었으며, 분류학에 대한 서적과 도감, 실험서를 참고하여 교사용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조신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낙관성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낙관성이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554명의 청소년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부모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하고 옥정(1998)이 번역한 부모 및 또래 애착 검사 개정본인 IPPA-R 중 부모애착 척도만을 사용하였고, 청소년의 낙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Scheier, Carver와 Bridges(1994)가 개발하고 권혜경(2004)이 번안한 삶의 지향성 검사인 LOT-R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 Ryff(1989)가 개발하고 김혜원, 김명소(2000)가 번안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인 PWB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부모애착,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애착과 모애착은 모두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의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부애착과 모애착은 모두 낙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의 부․모애착 수준이 높을수록 낙관성을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낙관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낙관성이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부애착과 모애착이 모두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낙관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애착이 모애착보다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 낙관성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eenager's parent attachment, optimism, and psychologic well-being and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 well-being. Participants on this study were 554 teenagers who are 1st, 2nd, 3rd grade in middle school located in capital area. On this study,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IPPA-R) which was developed by Armsden and Greenberg(1987) and translated by Ok-Jung(1998) was used for measuring teenager's parent attachment. Reevaluation of Life Orientation Test(LOT-R) which was developed by Scheier, Carver and Bridges(1994) and translated by Gwun Hae Geung was used for measuring teenager's optimism. At last,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which was developed by Ryff(1989) and translated by Kim Meng So, Kim Hae Won, and Cha Geng Ho was used for measuring psychologic well-being.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To investigate teenager's gener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verify each reliability of scal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Also,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attachment, optimism, and psychologic well-be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nd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 pa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 well-being,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with AMOS 18.0 statistics program and mediat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enager's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 well-being, It was found to be high psychologic well-being when teenager felt high attachment to the parents Second, teenager's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optimism, It was found to be high optimism when teenager felt high parent attachment Third, It was found to be high psychologic well-being when teenager felt high optimism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 well-being in teenager, optimism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 well-being. In effects of parents attachment on psychologic well-being, father attachment is higher effectiveness than mother attachment. Verifying concretely these results, optimism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 well-being. Accordingly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 well-being but also ha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 well-being through optimism. This study verified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 well-being. It is meaningful that the baseline data are offered, which can contribute on improving teenager's psychologic well-being.

      • K/BxN 관절염 모델에서 인터루킨-21 신호의 작용 기전

        조신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K/BxN 생쥐는 사람의 류마티스 관절염과 유사한 질환이 일어나는 동물모델로 glucose-6-phosphate isomerase (GPI)-특이적 T 세포 수용체 transgenic 생쥐이다. 이 질환의 병적 소견은 주로 자가 항체에 의한 염증성 면역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가 반응적 B 세포의 활성기전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하다. 인터루킨 21은 1형 사이토카인의 일원으로서 CD4+ T 세포에서 생산이 되고 림프구계통의 세포의 성장, 분화와 성숙을 조절한다. 동물모델과 환자 시료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 관절염과 인터루킨 21 발현간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인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K/BxN 관절염 모델에서 인터루킨 21이 관절염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 기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인터루킨 21 신호를 체내에서 차단하기 위하여 질환이 일어나기 전의 K/BxN 생쥐에 인터루킨 21수용체-면역글로불린 융합 단백질(IL-21R-Fc)을 주사하였다. IL-21R-Fc가 투여된 생쥐는 면역글로불린G1(IgG1)이 투여된 대조 군에 비하여 관절염 지수, 발목관절 두께, 발병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임상적 소견을 보였다. 이 생쥐에서 T 세포와 B 세포의 수가 감소하였고 CD4+ T 세포에서 항상성 증식과 관련된 표현형인 B7.1과 PD-1의 발현이 감소 하였다. B 세포 계통에서도 B220+IgG1+ 세포와 B220+Syndecan-1+ 세포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이 생쥐의 혈청 내 GPI 특이적 IgG 항체 역가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 하였다. 하지만 K/BxN 혈청을 주사하여 관절염을 유도하는 실험에서 인터루킨 21 수용체 결핍 생쥐와 정상 생쥐 간에는 관절염 발병과정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터루킨 21 신호는 선천적 면역 단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면역 글로불린 G1을 생산하는 B cell들의 분화와 CD4+ T 세포의 항상성적 증식을 조절함에 의하여 자가면역질환 관절염의 적응 면역 기전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IL-21 신호 매개에 의한 자가 반응성 CD4+ T 세포와 B 세포의 항상성적 증식, 성숙 그리고 분화는 자가면역성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고, IL-21신호를 차단하면 K/BxN 생쥐를 질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Interleukin (IL)-21, a member of type I cytokine family, is produced by activated CD4+ T cells and regulates growth,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lymphoid lineage cells. Previously, we found that, in a mouse model of spontaneous autoimmune arthritis named K/BxN, disease development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IL-21 mainly produced by homeostatically proliferating CD4+CD25- T cells. To determine whether IL-21 signals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utoimmune arthritis, we injected K/BxN mice during the pre-clinical phase with soluble IL-21R-Fc fusion protein to block IL-21 signals in vivo. IL-21R-Fc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arthritis, in correlation with reduced expansion of T and B cells. Most importantly, joint-draining lymph nodes from IL-21R-Fc-injected mice contained significantly fewer CD4+CD25- cells expressing both PD-1 and B7.1, fewer B220+IgG1+ cells, and fewer B220-Syndecan-1+ cells than those from control IgG1-administered mice. By contrast, IL-21R deficiency in IL-21R knockout mice did not interfere with the progression of K/BxN serum-transferred arthritis, indicating no influence of IL-21 signals on innate effector functions. Thu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IL-21 signals impinge on the adaptive immune cascades of autoimmune arthritis by promoting homeostatic expansion of CD4+ T cells and differentiation of IgG1-producing B cell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ive targeting of IL-21-mediated events can be of therapeutic importance in the treatment of autoimmune arthritis.

      • 학령전기 아동의 보통명사 및 추상명사 정의능력과 언어능력 간의 관계

        조신혜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linguistic ability to clearly define the meaning of a word is evidence demonstrating a certain word, it can be an indicator of the level of semantic linguistic competence of people. Linguistics knowledge is essential in defining the meaning of a word as it requires ability to express a word in use of a language and access to a meaning system in linguistics. In addition, defining a word can refer to meta-linguistic ability because defining a word including hypernym appears when a child is old. Therefore, ability to define a word can be an indicator showing knowledge of hypernym, as well as the level of semantic linguistic competence of a child. Currently, there is the lack of tools to assess meta-linguistic compet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Korea although word definition tasks are included in Korean Weschler Adult Intelligence Scal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in defining concrete and abstract nouns between ages with 4, 5 and 6 years old preschool children who fall into the normal category of intelligence and vocabulary development. In addition, difference in appearance rate of the types of concrete and abstract nouns defin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rete and abstract nouns definition ability are examin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81 preschool children who reside in Jeolanamdo; 24 four years old children, 34 five years old children and 24 six years old children. 10 concrete nouns and 10 abstract nouns selected from high frequency words are included in the word definition task. With regard to definition types, concrete nouns divided into functional type, physical type, relational type and classificational type while abstract nouns divided into characteristic type, relational type and classificational type. Children was asked to answer “What is” questions to draw definition responses from the participants. With this result, the score and the type of definition were evaluated. Definition responses were analyzed a three points system ranging from 0 to 2 points (i.e. 0 or 1 point for the characteristic of a word and 0 or 1 point for the use of meta-linguistic). Linguistic ability was assessed with Verbal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Test and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which are standardized tests. The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s for concrete nou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cores of concrete and abstract nouns definition by age. The score of definition increases as children is older. With regard to abstract nouns definition,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s although the score increased is lower than that of concrete nouns. Second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appearance rate of concrete and abstract nouns definition types by age, functional definition, relational definition, physical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al definition of concrete nouns appears in order as the children are getting old. With regard to abstract nouns, characteristic definition, relational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al definition are shown in order as they are aging.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definition ability and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is investigated. The scores of concrete nouns definition demonstrate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erbal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Test and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the scores of concrete nouns definition predicts verbal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with approximately 18.2%, 16.5% and 10.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cores of abstract nouns definition do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erbal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Test and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With the findings, it is found that word definition ability of the children is developed when they are aging. In this case, concrete nouns definition ability is developed before abstract nouns definition ability. For concrete nouns definition, functional definition is mainly developed when a child is younger. Then, other types of definition is added to functional definition when he/she is getting old. For abstract nouns definition, characteristic definition is firstly developed. Next, other definition abilities are added to it when he/she is aging. The factor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crete noun definition and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and concrete noun definition ability predicts linguistic competence of the children implies that word definition ability can be used an element to assess linguistic competence of childre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ord definition can be a useful tool for evaluation of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As a result, this study is helpful in choosing goals of clinical practic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providing Speech-Language Therapy.

      • 근대건축물(近代建築物)의 실내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근대건축물을 중심으로

        조신혜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도시는 오랜 생성과 발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어떤 인위적인 의도에 의해 한꺼번에 창조된 것이 아니다. 서로 다른 활동들이 상호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해 가면서 도시의 기능을 만들어 낸 것이다. 서울은 6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역사도시이며 수도이다. 하나의 도시가 ‘역사도시’라는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시간적으로 오래되었다는 표면적 이유와 더불어 시간의 흐름 속에서 과거의 모습을 간직하면서도 새로운 것이 부가되고 그것들이 층을 이루며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 비추어 볼 때, 서울의 경우 서울이라는 도시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하나의 역사도시라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데 있어서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근대 이전뿐만이 아닌 근·현대사의 역사를 말해주는 건축물들이 도시계획 등의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많은 부분 소실되었다는 것은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누구나 인식을 하고 있는 문제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건축(近代建築)물의 역할과 가치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근대건축물을 문화유산으로서 재인식하고, 서울이 역사도시로서의 올바른 모습을 확립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근대건축물의 실내공간 활용방안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1876년부터 1965년 까지를 근대건축 시기로 정의하고, 서울시에 현존하는 근대건축물(近代建築物)중에서 활용을 통한 보존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등록문화재 제도’에 등록되어진 근대건축물과, 우리나라와 개항 시기가 비슷하며 근대건축물의 보존과 활용에대한 다양한 경험을 축척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근대건축물의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변화 양상들을 ‘근대건축물의 보존유형’으로 분류하고,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변화 양상들을 ‘근대건축물의 활용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사례를 조사하였다. 활용의 유형은 계속적으로 같은 용도로 하는 경우와 용도를 전용해 활용하는 경우, 또한 예전의 사용방식을 부활시키는 경우, 그리고 한시적으로 이벤트에 활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역사적 건축물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은 단일 객체가 아니라 도시적 맥락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소유자로 하여금 근대건축물의 활용가치를 인식하게 하고, 시민들은 실생활에서 근대건축물을 접할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각종지원뿐만 아니라 소유자가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는 활용방안의 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 근대건축물의 실내공간 활용방안은 새로운 건축물을 세우거나 실내 공간을 리노베이션 하는것과는 달리 기존의 건축물을 최대한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각각의 건축물이 놓여진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개괄적 제시할 수 밖에 없었다. 첫째, 지속형 활용을 위한 근대건축물은 이전시켰을 경우 그 장소의 랜드마크적 기능을 잃게 되므로 상징적 가치 발현을 위한 현지보존(보존장소)을 우선으로 해야한다. 그러나 건축물의 현지보존과 함께 용도의 변화가 없을 경우라 하더라도, 필요공간의 면적이나 가구?조명기구등의 변화는 불가피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요구조건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원형보존(보존상태)에 준하고 제도적으로 합당한 범위 내에서 증축을 하거나 각 실의 용도를 변화시켜 활용 할 수 있겠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지 보존에 만족을 하고 가구등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용형 활용 근대건축물의 경우 전시시설로의 변화, 문화시설로의 변화, 상업시설로의 변화로 크게 세 가지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근대건축물의 활용이라 하면 보편적으로 이 전용형 활용을 말한다. 이 경우 건립당시의 모습 그대로 활용하기도 하나, 용도의 변화에 따라서 실내공간이 대폭 변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새로운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가구를 들여놓은 것 외에는 큰 변화 없이 건축물 전체를 원형보존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전시시설로 변경하는 경우 외관(파사드)을 제외하고는 새로운 공간을 증축하여 건축물의 새로운 용도에 알맞은 공간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셋째, 부활형 활용은 일정시기 동안 사용되지 않았거나 몇 차례 용도변경 후에 건립당시의 용도로 사용되는 유형을 말한다. 본래의 용도와 목적을 상기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오랫동안 다른 용도로 쓰였던 건축물을 본래의 것으로 되돌리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 현지 보존(보존장소)을 통하여 근대건축물이 가지는 역사성과 장소성을 유지하였으며, 원형 보존(보존상태)과 부분 복원(보존상태)의 방법으로 기존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같은 용도라 할지라도 실의 구성이 변하거나, 카페테리아 또는 레스토랑 등의 상점들을 입점 함으로써 요구되어지는 공간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증축하거나 내부공간을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근대건축물의 건축적 특징이 잘 살아나는 창문이나 벽의 문양, 바닥의 패턴, 가구나 마감재료등의 실내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공간을 해야 한다. 넷째, 이벤트형 활용이 이 The city where we live has the long history of creation and development. It is not created in once. Naturally, the function of the city is design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different activities of real life. Seoul is the capital and 'historical cities' having had 600 years history. In the city new thing shall be added while keeping a historic picture, In order that a city has the meaning which is 'historical cities'. And they have to form layer one by one. It is difficult for Seoul city to make a image of 'historical city'. The reason is as a lot of historical architecture of modern history vanished. It considered role and value of modern architecture in this thesis, in order to be able to realize modern architecture of our country again in cultural properties. There is a purpose if I show application in the interior space, in order that Seoul city establish a right figure as a historical city and have sustained development. It define the modern architecture time as from 1876 to 1965. And the research objects are nearly modern architectures belong with `registration cultural property systems' which exist in Seoul and Japan. Japan has various experience for a save and practical use of modern architecture thing. It classifies the change types which appear from the hardware side of the modern architecture with `the preservation type of modern architecture', it classifies the change types which appear from the software side with `the application type of modern architecture'. After that, it investigated each type by instance. The type of application consists of 'continuity style application' , 'diversion style application', 'revival style application' and 'event style application'. Firstly, you will lose a function as a landmark if you let modern architecture which is for 'a continuity style application' move into other site. So you should do the local save(save place) for 'a symbolic value'. Allowing that local saving, it will be inevitable that it get needs of space or change of the furniture and lighting equipment etc.. In this case, you could extend space or change room's function, within the scope which is the parties institutionally. Secondly, it happened that changing to exhibition establishment, changing to cultural establishment, changing to commercial establishment in 'diversion style application'. Universally, it says this 'diversion style application' as applica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e. In this case, according to change of architecture's function, the interior space design occurs big jump often. Thirdly, 'revival style application' is type of application that architecture which is not used quite a while is used. It's good way to reminds us of the meaning about original function and purpose. To maintain historicity through local save is the method for turning back to original function. But, even if it's same function, you need to extend space or change room's organization according to locate Cafe or restaurant etc. on modern architecture. When you change interior space, you should use original window or wall body and bottom's pattern well. Fourthly, there are some partitions or new lighting equipments in the modern architecture using as 'event style application'. But the event hall has a lot of advantage which is original interior constituent. You could direct a classical atmosphere with things stayed the ceiling or wall body created by 100 years ago.

      • 김복진이 한국근대 조각에 미친 영향 : 불상조각을 중심으로

        조신혜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근대조각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무렵이다. 그러나 우리의 근대조각은 전통적 맥락을 계승 ․ 발전시킨 것이 아니라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출발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일제의 식민지배는 우리 민족의 역사 ․ 문화인식 전반에 걸쳐 많은 것을 굴절시켰다. 이 시기에 김복진이라는 선구자가 한국 근대조각의 새 장을 열게 되었다. 한국의 근대조각 그 출발점은 김복진의 동경미술학교 유학생활 이후 고국에서의 새로운 서구조각 양식 도입과 미술교육자로서의 왕성한 활동으로부터 비롯된다. 이러한 서구적 조각의 도입은 한국 불교조각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우리의 조각은 고도로 세련된 감각과 불교신앙에 입각한 석굴암의 석가여래좌상, 원형 주실 ․ 방형 전실의 부조 등 불교조각이 찬연하게 빛나고 있었으나 고려 말 조선조에 이르러 그 빛이 퇴색하게 되었다. 김복진이 귀국하여 서양조각을 가르치자 비로소 조각은 하나의 미술로 인식되어 흙, 석고, 나무, 돌, 금속 등의 재료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리하여 인정받지 못하던 조각예술은 김복진의 서양조각 연구도입으로 인해 새로운 미술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또한, 토월미술연구회, 고려미술원, 청년학관(YWCA)미술과 등에서 서양식 조각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한국 근대조각의 제 1세대를 양성하였다. 김복진이 조각예술에서 ‘한국성’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은 현대조각 형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그것은 서구조각의 무분별한 추종이 아닌, 한국 미술의 독자적인 성격을 찾는 일이었다. 한국조각의 현대적 성격을 찾아가는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한 셈이다. 그러나 우리 현대조각에 있어 김복진은 최초의 근대 조각가로만 머무르게 되는데 그것은 그의 작품이 한 점도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 대한 비평적 평가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도판만으로 작품세계를 논한다는 것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그러나 김복진의 미술사적 위치를 논하기 앞서 분명한 것은 그가 한국 근대조각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이다. Korean modern sculpture has started since 1910s. However, our modern sculpture has limits in its origin since it did not continue and develop from traditional arts but it started from a unique situation in the colonial period. The colonial period by Japan was the time that bent our historical and cultural consciousness. In the period, Kim Bok-jin was a pioneer that opened up a new chapter of Korean modern sculpture. Korean modern sculpture started and took hold at the time that Kim Bok-jin came back to Korea after studying sculpture in the Tokyo Arts school, and started to introduce new western-style sculpture, arts movement, and flourishing activities as arts teacher. The western-style sculpture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buddhism sculptures. Our buddhism sculpture had improved remarkably as in Seokgayeoraejwasang of Seokgoolam, embossed sculptures of Wonhyungjushil and BanghyungJunshil, and etc, but it got discolored from Koryo era to Choson era. When Kim Bok-jin taught Western style sculpture in Korea, sculpture can be recognized as an art form, and materials for sculpture could also be extended to soil, plaster, tree, stone, metal and etc. Therefore, sculpture arts, which had not been treated as an art form before, could become a new art form by introduction of western style sculpture by Kim Bok-jin, and the new art educ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owol Arts Studying association, Koryo arts academy, and YMCA arts could rais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modern sculpture by teaching western style sculptures to students. The most important influences on Korean modern sculpture by Kim Bok-jin was that he struggled to find out 'Korean style'. He tried to find an independent way of Korean arts without simply imitating Western style, thereby became a milestone to figure out the modern characteristic of Koran sculpture. However, there is a factor, when we define the position of Kim Bok-jin as of the modern sculpture in the arts history, that makes him stay only at the first modern sculptor. That is, it is limited to criticize his art pieces because no art piece by him remains right now; Discussing his art world only with plates has also limitation. However, with consideration of these obvious limitation, his influences on Korean modern sculpture was enormous in many ways.

      • Behaviors of reversible SO₂ absorption in aqueous solutions of piperazine derivatives

        조신혜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is study, reversible absorption of SO2 was investigated in aqueous solutions of the piperazine derivatives: piperazine (PZ, pKb1 = 4.3, pKb2 = 8.7), 1-methyl piperazine (MP, pKb1 = 4.9, pKb2 = 9.1), and 1,4-dimethylpiperazine (DMP, pKb1 = 5.5, pKb2 = 9.4). All these three kinds of piperazine showed absorption capacities of SO2 with nearly 2 mol SO2 per mol absorbent. But under desorption at 80 °C, only DMP desorbed SO2 significantly, and when the desorption temperature increased by 100 °C, the reversible SO2 absorption capacity was 0.5 mol SO2/mol DMP. It turned out that the absorption and desorption performance of the diamine compounds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basicity of the amine sites. Furthermore, additional SO2 absorp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DMP-based molten salts, including 1-butyl-1,4-dimethylpiperazinium chloride ([BDMP]Cl, pKb = 9.9), and 1-(2-hydroxyethyl)-1,4-dimethylpiperazinium chloride ([HEDMP]Cl, pKb = 10.3). These DMP-based molten salts showed not only high efficiency of reversible SO2 absorption, but also higher solubility in water and thermal stability than parent DMP. Spectroscopic and experimental results suggested that in the presence of water, SO2 is absorbed on absorbent as a bisulfite species. 본 연구에서 피페라진 계 환형 디아민 수용액을 흡수용액으로 하여 가역적 SO2 흡수 반응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피페라진 계 화합물은 피페라진(piperazine, PZ), 1-메틸 피페라진(1-methyl piperazine, MP), 1,4-디메틸 피페라진(1,4-dimethyl piperazine, DMP)이다. 이러한 세 종류의 피페라진 모두 몰당 2몰의 SO2를 흡수하는 흡수능을 보였다. 그러나 80 oC 탈거 조건에서 DMP만이 흡수된 SO2를 탈거시키는 거동을 보였고, 100 oC까지 온도를 높여주었을 때, 50%의 탈거 효율을 보였다. 디아민 수용액의 가역적 SO2 흡수능은 아민이 가진 염기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더 나아가, 효율적인 가역적 SO2 흡수능을 가지는 DMP를 이용하여 디아민 중 한 쪽 아민에 하이드록시에틸기 또는 부틸기를 결합시킨 DMP 기반 용융염을 합성하였다. 이들은 몰 당 1몰의 SO2를 흡수하였고, 100 oC 탈거조건에서 전량 탈거 거동을 보였다. DMP 기반 용융염은 효율적인 SO2 흡수-탈거 거동을 보일 뿐만 아니라, 원료인 DMP와 비교하여 물에 대한 높은 용해도와 열 안정성, 그리고 SO2만을 흡수하는 높은 선택도를 가지기 때문에 향후 전망 있는 가역적 SO2 흡수제로 기대되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