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비 콕스의 미래 교회론 연구

        정회승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to highlight a comparatively unfamous theologian. He is a postmodern theologian who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character in the field of the Pentecostal movement. His name is Harvey Cox, a professor in Harvard Divinity School. Recent studies on his theology has focused on cultural theology or postmodern theology mainly. But various interests of his theology convergences to ecclesiology, especially to ecclesiology for the future, although he did not write a book which had a title with a word ecclesiology. Ecclesiology of Harvey Cox was influenced by the theology of Dietrich Bonhoeffer, Reinhold Niebuhr, and Paul Tillich. By these influences, Cox's interest converted a kind of individual pietism to the essence of religion and the responsibility in real worl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uman experiences made him concentrate to Pentecostal movement that the most rapidly growing church in the last century. This is reflected in his theological works, The Secular City, Fire from Heaven, The Future of Faith. In the light of Harvey Cox's brilliant insights on the works, his idea of the functions of church can be arranged by various perspectives. The Secular City shows the church as God's Avant-garde which has three functions, Kerygma, Diakonia, and Koinonia, and as Cultural Exorcist. Fire from Heaven also shows the church as a room of revival which revives the primitive language, the primitive faith, and the primitive hope. The Future of Faith expects the future of church, which experienced three periods historically, the Age of Faith, the Age of Belief, and the Age of Spirit. In contrast to traditional ecclesiology, Harvey Cox's ecclesiological ideas can be applicable to the picture of the church in 21C. The key words for the application are the Experience, the Practice, and the Revival. Each word corresponds three pictures, the Emerging Church,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South Church. The former of two is the concept that have emerged as a key to open the door of contemporary ecclesiology. The latter is adopted from the work of Philip Jenkins the historian, The Next Christendom. The beginning of Harvey Cox's ecclesiology is the social change. His point inclines to social relief, not individual salvation. This can be regarded as his weak point in the position of traditional view. Nevertheless, Cox's ecclesiology has to be the factor of future ecclesiology in the context of Korean Christianity. Above all, pentecostal churches in Korea have to take lessons in his ecclesiological ideas as a block to build pentecostal systematic theology. In short, the ecclesiology of Harvey Cox can be served as a very important case for making new ecclesiology, suitable to new christianity. The ecclesiological lessons from Cox are available and present us practicable insights for renovation toward old fashioned church. A study on Cox takes a step forward at most. In order to achieve the Revival of church in 21 century, our continuous study and reflection are demanded.

      • 러시아 핵전략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비핀 나랑의 핵태세 유형 4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정회승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러시아가 핵 개발을 시작한 시기부터 현재 푸틴 대통령 시기에 이르기까지의 러시아의 핵전략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러시아는 1949년 8월 29일 핵 개발에 성공한 이후 미국과의 핵불균형을 가장 큰 안보위협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핵전력의 양적 증강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냉전 초기 러시아에 있어 핵전략은 ‘How to use’에 대한 개념보다는 ‘How many’가 핵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탈냉전 시기에는 양적 측면에서 러시아의 핵무기의 수는 이미 미국을 초월했으며 러시아의 핵전략 발전 양상은 과거 냉전 시기와 달리 ‘How to use’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러시아의 인식을 뒷받침하듯 러시아는 실질적 전투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한 전술핵무기를 집중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군사 독트린에서도 조건에 기반하여 핵 선제사용 가능성을 명시함으로써 미국과 서방 세계들이 적지 않은 우려를 나타내게 하였다. 최근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미국과 서방은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크게 평가하고 있다. 반면,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과 쇼이구 국방장관은 러시아의 핵 사용은 국가의 존립이 위협받을 때만 사용할 것이라고 원론적인 이야기만 되풀이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의 핵전략에 대해 서방이 과도하게 공세적으로만 평가하는 것인지 아니면 러시아가 공세성을 감추기 위해 모호한 태도를 보이는 것인지에 대해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핀 나랑의 핵태세 유형을 구분하는 4가지 요소를 지표 삼아 러시아의 핵태세를 분석하였다. 비핀 나랑의 핵태세 이론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핵태세를 분석하기에 유용하다. 첫째, 나랑의 핵태세 이론은 새롭게 핵을 보유한 국가들이 앞으로 어떠한 핵태세 이론을 취할 것인지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둘째, 이미 핵을 보유한 국가의 핵태세를 분석하기 용이한 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셋째, 나랑은 과학적 연구를 통해 각 핵태세의 유형이 보유하고 있는 억제 효과에 대해서 증명하였다. 즉, 어떠한 핵태세가 재래식 분쟁과 전쟁을 억제하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력을 발휘하는지 분석해 냄으로써 향후 억제력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유형의 핵태세를 취하는 것이 유리한지 예측을 가능하게 했다. 비핀 나랑이 제시한 세 가지 핵태세의 유형은 ‘촉매 태세’, ‘비대칭 확전’, ‘확증 보복’으로 구분된다. 유형별 가장 큰 특징으로 ‘촉매 태세’는 유사시 제3국, 즉 핵을 보유한 초강대국의 개입을 통해 국가 간의 분쟁을 억제하고 긴장을 완화 시키는 것이다. ‘비대칭 확전’은 적국의 재래식 무기 또는 핵무기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기의 선제적 사용을 통해 분쟁이 확전될 수 있다고 위협함으로써 상황을 억제하는 가장 공격적인 형태의 핵태세이다. ‘확증 보복’은 적대국의 핵 공격을 받은 이후 생존하여 보복적 수단으로써의 핵무기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어적 핵태세이다. 이와 같은 핵태세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나랑은 4가지 핵태세 유형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기준은 핵무기의 사용 방식으로, 핵태세를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즉, 핵무기를 선제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핵 공격을 받은 이후 보복적 수단으로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핵무기의 사용 의지를 말한다. 둘째, 핵능력이다. 핵무기 사용능력이 1차적 또는 2차적 사용의 능력을 보유하였는지 여부이다. 셋째, 핵관리이다. 핵 지휘통제체계에 있어서 핵무기 발사 권한이 정부 또는 당에 의한 강력한 중앙통제를 따르는지 아니면 군부로의 권한이 어느 정도 위임이 되어 있는지다. 넷째, 핵 투명성이다. 핵무기의 능력과 배치에 있어서 어느 정도 투명하게 공개하는지 여부이다. 다시 말해, 핵무기의 능력과 핵무기의 배치를 정확하게 보여주는지 또는 능력은 명확하나 생존성 강화를 위해 핵 배치는 모호성을 띠고 있는지다. 비핀 나랑의 핵태세 유형을 분석하는 4가지 요소로 러시아의 핵전략에 대해 분석을 시도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러시아의 핵전략은 시기별로 ➀ 1949년-1964년 시기에는 ‘비대칭 확전’, ➁ 1964-1991년 시기에는 ‘확증 보복’, ➂ 1991년-2010년 시기에는 다시 ‘비대칭 확전’, ➃ 그리고 2010년부터 현재까지는 ‘확증 보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기별 핵전략 특징은 1949년-1964년은 소련이 첫 핵무기 개발과 함께 미국과의 핵균형을 추구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정치사상의 영향과 핵무기의 열세에서 오는 불균형을 극복하기 위해 공격적인 ‘비대칭 확전’ 전략을 취한다. 1964년-1991년에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소련 내에서도 제한전에 대한 인식과 점차 미국과의 전략적 핵균형의 확보로 ‘확증 보복’ 전략의 모습을 보인다. 이후 탈냉전 시기로 넘어와 1991년-2010년까지는 러시아의 재래식 전력의 약화를 상쇄하기 위해 핵무기에 의존하는 ‘비대칭 확전’ 전략을 취하며 2010년부터 현재까지는 현대화된 재래식 전력과 핵무기를 바탕으로 방어적 핵전략의 모습을 보이면서도 핵 선제사용에 대한 원칙을 철회하지 않는 적극방어 전략 기반의 ‘확증 보복’ 전략을 선택하였다. 비핀 나랑의 핵태세 이론은 핵무기의 실존적 억제에 기반하기보다 ‘How to use’, 즉 어떻게 운용하여 억제를 달성할 것인지에 대한 이론이다. 과거와 현재의 러시아의 핵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미래에 러시아가 취하게 될 핵태세를 예측해 볼 때 현재와 같이 핵 선제사용 원칙을 철회하지 않은 확증 보복의 형태를 취하거나 더욱 공세적인 비대칭 확전으로 다시 회귀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된다. This thesis analyzes how Russia's nuclear strategy has changed from the time the Soviet Union began developing nuclear weapons to the present President Putin. Since its first nuclear development in 1949, Russia has regarded the nuclear imbalance with the United States as the greatest security threat and has concentrated on quantitatively increasing its nuclear forces to respond to i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ow many' was the core of the nuclear strategy for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Cold War, rather than the concept of 'how to use'. However, in the post-Cold War period, the number of nuclear weapons in Russia has already surpassed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quantity, and unlike the past Cold War period, ‘How to use’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Russia’s nuclear strategy. As if to support Russia's perception, Russia has begun to intensively develop tactical nuclear weapons that can be used as practical means of combat, and the military doctrine stipulates the possibility of first use of nuclear weapons based on conditions, raising considerable concerns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Even in the ongoing war in Ukraine, the US and the West highly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ussia using nuclear weapons. On the other hand, Russian President Putin and Defense Minister Shoigu are repeating the principle that Russia's use of nuclear weapons will be initiated when the country's existence is threatened. Therefore, an objective analysis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West is overestimating in terms of aggressiveness in evaluating Russia's nuclear strategy or whether Russia is taking an ambiguous stance to hide its aggressiveness. In this paper, Russia's nuclear posture was analyzed using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nuclear posture of Vipin Narang as an indicator. As a result of an attempt to analyze with Vipin Narang’s “Theory of Optimizing the Nuclear Posture of Regional Nuclear Powe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➀ 'Asymmetric escalation' strategy from 1949 to 1964, ➁ 'Assured retaliation' from 1964 to 1991, ➂ 'Asymmetric escalation' again from 1991 to 2010, ➃ and from 2010 to the present it can be classified as 'Assured retaliation' based on active defense strategy. Vipin Narang's nuclear posture theory is not based on the existential deterrence of nuclear weapons, but rather a theory about how to achieve deterrence by operating them. Looking at Russia's current nuclear strategy and predicting its nuclear posture in the future, the principle of nuclear posture, as it is now, takes the form of assured retaliation based on the first use of nuclear or returns to a more aggressive asymmetrical escalation.

      • 고속도로 합류부에서의 교통류제어방안의 연구 : LCS와 Rampmetering 중심으로

        정회승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매년 도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고속도로의 서비스 수준은 갈수록 낮아지고 특히, 합류부와 같은 상충이 발생되는 지점에서의 지·정체는 더욱 가중되고 있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였다. 고속도로 합류부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으나 대다수의 연구는 이론적인 접근을 통한 합류부 현상을 묘사하는 노력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현실적인 수요 대안을 모색하여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합류부에서 효율적인 교통 수요 제어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교통 시뮬레이션 패키지인 VISSIM을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의 실험을 위하여 신갈 JCT 북측방향 합류부의 교통 자료를 확보하여 각 지점별 교통량, 속도 등의 자료를 통하여 정산과 validation 과정을 거쳐 현실성 있는 모형을 구현하고자 노력하였다. 주요 대안으로 속도제어, 차선제어, 접속부제어를 조합하여 총 8가지에 대안에 대한 각각 교통류의 정체 제어 효율성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선 4차선 진입차로 1차선으로 이루어진 합류부에서는 합류부 이전 도착 교통량(접속부 포함) 6,500 veh/hr 이상인 경우에 정체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비정체시에는 제어방안은 크게 효율을 보이지 않았으며, 본선부와 접속부의 교통량의 input 값이 6,500veh/hr 이상일 경우 즉, 정체시에는 대안 5인 차선+속도제어, 대안 7인 차선+접속부 제어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선 제어의 경우 단독 대안으로는 효과가 미비하나 다른 대안과의 조합에서 윤활유 역할을 하는 보조효과로 높은 효율성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통류 상황에 따라 고속도로의 교통제어시스템 대안을 살펴 보았으나 일부 교통류에서의 한정적인 결과만이 도출되었다. 향후 연구를 통하여 한정적인 자료와 모형 구현의 미비함을 향후 세밀한 모형 설정과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보완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Traffic congestion generally occurs in a merging section of a freeway, where traffic flow exceeds the capacity. To alleviate the traffic congestion, various control strategies are currently employed, representatives of which are Lane Control System (LCS) and Ramp Metering. LCS limits the speed of a lane or prohibits the usage of a lane with electronic signs above each lane. Ramp metering aims to reduce traffic congestion in a freeway by regulating on-ramp traffic 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CS and/or Ramp-metering through micro-simulation. From traffic data collected at the merging section of Singal Junction in Kyungbu Expressway, the onset and dissipation of traffic congestion is simulated with VISSIM, a sophisticated traffic simulation program, and the total travel time is estim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LCS and/or Ramp Metering. The result shows that if there is no congestion in the freeway, the alternative plans do not produce any positive effects. If the merging section has a traffic congestion, alternative plan #5(controling lane + controling speed) and #7(controling lane +controling ramp) turns out to be efficient systems. A lane control plan does not seem to be an efficient system by itself, but when applied with other control plan, the effects of alleviating traffic congestion is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