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마선 후방산란법을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두께별 밀도측정법 연구

        정진영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 도로공사현장에서 아스팔트 타설 후 도로의 밀도 관리는 고전압을 이용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과 아스팔트 공시체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수분에 의한 오차율의 증대 또는 시공 도로의 파괴 등의 단점들로 인하여 새로운 밀도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해외에서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방사선의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밀도 측정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수 mCi에서 수십 mCi 의 높은 방사능을 사용함으로서 국내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몬테칼로 방법론을 사용한 MCN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장비의 설계에 있어 중요한 변수인 선원, 계측기의 거리 및 위치선정에 대해 계산하였으며, 층별 밀도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시공이 완료된 도로를 비파괴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방사선의 투과 방법이 아닌 후방산란방법을 선택하여 기본 개념 설계를 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는 ^(60)Co선원을 선택하였다. ^(60)Co 선원은 한번 붕괴시 1.17 MeV와 1.33 MeV의 감마선이 1:1 비율로 방사된다. 이는 다른 선원과 비교하여 감마선이 아스팔트와 반응을 일으키는 양이 더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측에 사용되는 계측기는 2"×2" NaI(Tl) 섬광계측기를 사용하였으며, 선원으로부터 직접 들어오는 방사선을 막기 위해 납 차폐체를 사용하였다. MCNP 계산 결과 납차폐체의 두께는 10 cm, 선원과 차폐체의 거리는 18 cm, 차폐체와 계측기의 거리는 2.5 cm 일 경우에 최대의 계측구조를 가지게 된다. 목적한 상층의 깊이에 따라 하층의 아스팔트 밀도에 독립적으로 상층의 밀도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 콜리메이터를 설계하였다. 4 cm의 표층을 측정하기 위해서 기본 계측장비 구조 내에서 콜리메이터 각도를 21.80°를 주었다. 아스팔트의 밀도를 2.0 g/㎤에서 3.0 g/㎤ 까지 0.2 g/㎤ 간격으로 계산하였을 경우 콜리메이터 설계시 하층의 밀도에 독립적으로 상층의 밀도를 구분할 수 있음을 통계학적 반복수행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MCNP 코드를 통해 계산된 계측값은 이상적인 조건에서의 계산값으로 향후 측정 실험을 통한 여러 변수들을 고려해야 한다. 방사성동위원소의 물리적 반감기 및 계측시 아스팔트의 온도 등의 주변환경이 미치는 영향인자를 고려한 교정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한 보정계수를 도출해야 한다. A device using high voltage and a method using asphalt mold are applied in the density management of roads after casting asphalt at roadwork sites in Korea. These methods require a new density measuring system because of defects such as the increase of error rates due to water or the destruction of constructed roads. A density measuring method process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radioisotopes and radioactive substances is used in foreign countrie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apply in Korea since the method uses high radioactivity up to several tens of mCi. Therefore, this study calculated important variables in the design of measuring equipment such as the radiation source, distance and loc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with an MCNP program using the Monte Carlo methodology. A method for dividing the density by level was also investigated. A back-scattering method was chosen instead of trasmittion method as a basic conceptional design in order to measure the roads which construction was completed in a nondestructive way. As for the radioactive isotope, ^(60)Co source was selected. Once decayed, the ^(60)Co source radiates gamma rays of 1.17 MeV and 1.33 MeV at a rate of 1:1. This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gamma rays reacting with asphalt increases compared to other sources. 2"×2" NaI (Tl) scintillation counter was used as the measuring device, and a lead shield was applied in order to block the radiation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radiation sour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CNP calculation, the largest measurement structure could be formed when the thickness of the lead shield was 10 cm, distance between the source and lead shield was 18 c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ead shield and measuring device was 2.5 cm. A collimator was designed as a method for independently dividing the density of the upper layer from the asphalt density in the lower layer,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intended upper layer. The collimator angle was set as 21.80° within the basic measuring equipment structure to measure the 4 cm-deep outer layer. Statistical repetitive practices confirmed that the upper layer density could be divided independently from the lower layer density when designing the collimator, in case the asphalt density is calculated from 2.0 g/㎤ to 3.0 g/㎤ with an interval of 0.2 g/㎤. The measurements calculated through the MCNP code in this study are results from ideal conditions. We must also consider several other variables through future measurement experiments. A correction formula reflecting the physical half life of radioactive isotopes and variables that influence surrounding environments including the asphalt temperature during measurement should be derived as well as an adjustment coefficient through this formula.

      • 초기경력자의 무형식학습 사례연구 : 대학 커리어 컨설턴트를 중심으로

        정진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기 경력자들이 입사 초기부터 업무 안정기에 이르기 까지 일터에서 무형식학습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배우는지 그 특징과 양상을 탐색하였다.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새로운 일터에 들어선 신규 입사자의 조직 적응 실패는 사회와 개인 모두에게 불필요한 비용과 심리적인 불안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평생직업과 직장이 없어진 현대 사회에서 빠른 업무수행 능력 향상과 조직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일터이해와 업무습득 과정을 탐구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 안에서 가장 주요한 학습방법인 무형식 학습을 탐색하는 연구가 요구된다고 보았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형식적인 이벤트성 학습은 조직에 사회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는 무형식학습 활동이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실제로 일터에서의 학습은 대부분 무형식학습에서 발생하며, 특히 초기 경력자의 학습 과정은 무형식학습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는 연구도 발표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는 ‘대학 커리어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는 경력 5년 미만의 초기 경력자 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참여자들이 일터에서 무형식학습을 하는지 심층면담을 하였고,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일터는 구조적, 물리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독특한 학습 맥락을 갖고 있으며, 그 중 상용계약직이며 파견직인 고용형태로 근무하고 있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무형식학습의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다. 즉, 고용의 불안정 속에서도 적극적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참여자가 있는 반면, 그 불안함을 이기지 못하고 학습에 나서기를 주저하는 양상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초기 경력자들은 독립된 공간에서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일터의 물리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자료검토나 홀로학습, 관찰을 통해 일터에 던져져 몸소 부딪히며 학습을 이어나가고 있었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초기 경력자들은 연차가 올라감에 따라 뚜렷한 경력개발 모습의 변화가 있었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업무 적응기, 숙련기, 안정기를 거치며 일터에 적응하고 업무를 습득해 나갔으며, 각각의 경력개발단계에 맞춰 학습의 방법과 내용을 바꿔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업무 적응기에 초기 경력자들은 학습에 대한 강한 의지와 의도를 가지고 학습 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이는 초기 경력자의 주요한 학습 특징임을 알 수 있으며, 이들은 스스로 자신의 학습수준을 진단하고 분석하며, 의도적으로 학습방법을 배우는 등 적극적으로 학습에 나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업무 숙련기에 초기 경력자들은 일터의 가치와 문화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업무능력을 더욱 더 향상시키는 ‘몸에 체득되는 학습과정’을 거쳤다.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전직경험을 활용하여 현재의 업무를 재해석 하는 학습을 하였고, 동료 및 상사, 내담자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이 일어났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한 점은 업무 숙련기에 연구 참여자인 대학 커리어 컨설턴트들은 상담 업무를 수행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을 보였으며, 상담은 내담자와 일대일 상황에서 진행되므로 오롯이 자신의 경험을 반추하고 반성하며 성찰하는 과정이 축적될 때까지 버텨가는 학습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들은 무형식학습을 통해 업무에 숙련되어 갔고, 업무 안정기에 와서는 비판적 자기성찰을 통해 자신의 일의 의미가 무엇인지 깨닫고자 하였다. 그들만의 고유한 업무 모습인 ‘직업상담’은 내담자들과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심리적 과정이기에 타인의 인생을 들여다보는 도구이며 자신의 인생을 반추해보는 기회가 된다. 따라서 그들의 일터학습에 가장 중요한 대인적 관계요인은 내담자(학생)이다. 내담자와의 상담경험은 연차가 올라갈수록 축적되어서 과거의 상담경험을 반성하고 현재 상담현장에 재적용 해보는 학습의 자원이 된다. 이러한 내담자와의 ‘함께 배움과 성찰’은 무형식 학습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경력개발단계와 상관없이 모두 똑같이 자신이 내담자들의 인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책임감과 사명을 가졌으며, 그들이 부여한 ‘일의 교육적 의미’가 바로 학습의 결과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초기경력자의 무형식학습에 대한 연구 결과가 평생교육 측면에 주는 함의는 일터를 하나의 중요한 학습의 장으로서, 근로자를 주요한 성인학습자로서 인정하는 것이라 보았다. 또한, 초기 경력자들이 무형식 학습을 경험하는 과정에서의 강한 학습의지와 학습 주도성은 능동적 학습의 평생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자발적 학습’에 그 가치와 의미가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 학습에 일어나는 다양한 일터 및 조직의 특성을 발견하고 일터마다 다른 독특한 학습 맥락(Context)을 살펴보는 것 또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초기 경력자의 무형식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원과 조직차원의 요인들에 따라 학습의 모습과 내용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각각의 요인들과 무형식학습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초기 경력자의 무형식학습은 평생학습의 주요 장면이며, 특히 대학 커리어 컨설턴트의 일터인 상담 현장에서 일의 교육적 의미를 찾아가는 학습경험은 일터 학습에 긍정적 의미가 있다 하겠다. 이는 초기 경력자가 평생교육의 주체적 학습자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변화를 도모하며 일의 의미를 찾아 나가는 학습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평생교육의 영역에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 William Faulkner의 흑인관 : Go Down, Moses와 Intruder in the Dust를 중심으로

        정진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William Faulkner의 작품속에 나타난 인종적 편견으로 인한 흑백관계를 Go Down, Moses와 Intruder in the Dust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William Faulkner는 미국 남부에서 출생하여 그곳에서 일생을 마친 미국 남부의 작가로서, 미국 남부의 역사적 사실과 남부사회의 특징들을 그의 작품속에 표출시켰으며 또한 남부사회의 특징인 노예제도와 그로 인해 파생된 인종적 편견문제는 그의 소설속에 중요한 주제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흑인의 역할과 미덕에 대한 Faulkner의 가장 포괄적인 비젼을 담고 있는 Go Down, Moses에서 백인인 Isaac McCaslin을 중심으로 남부사회에서의 흑백관계와 Isaac McCaslin의 흑인에 대한 의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Intruder in the Dust에서는 흑인인 Lucas Beauchamp를 통하여 남부사회의 인종적 편견과 본질적으로 당당한 한 인간으로서의 흑인모습을 추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William Faulkner가 견지하고 있는 이상적인 흑인과 백인관계를 추출해 보고자 한다. This thesis purports to examine how the black and white relation is embodies in the works of Faulkner and then to seek Faulkner's view about negroes in the southern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This paper discusses some of Faulkner's novel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ir relations with the racial prejudice in the southern society. Racial prejudice about negro in the southern society was stemmed from white supremacy, here it formed the Southern Myth which can be defined as a fictive value system which represents and also regulates the distorted state of the black and white relations. In Go Down, Moses, Faulkner presented the hopeful vision of the black and white situation suggested by Isaac McCaslin's initiation into the wilderness and his valuable acts. Ike initiated into the wilderness when he was a child, and learned the nature of real human-being through a negro named Sam Fathers On his twenty-first birthday, Isaac McCaslin discovered the crime of his grandfather, Old Carothers McCaslin and his society by virture of Sam Father's education in the wilderness. He repudiated his ownership of the Mccaslin plantation because he wanted to set himself free from all the evils and injustices and bondages which have cursed and continue to curse his legal inheritance. And he understood that the appropriation of the land which cannot be, by nature, possessed by man and the appropriation of people through the slavery system. Isaac's acts are represented by Faulkner as being idealistic, spiritual, and noble in this novel. But in "Delta Autumn", Old Isaac alienated his good morality when he denied the mullatto woman the right of human love. However it would be a gross mistake to understand that Isaac's failure to solve the black and white problem diminishes the critical power of the novel on the problem. On the contrary, by making even McCaslin fail at th e last moment Faulkner succeeds in effectively stressing the difficulty of eradicating the racism in the south. Intruder in the Dust illustrates the destructive function of the southern society through the act of Lucas Beauchamp. He has the truculent, sullen, and even hostile view about the whites. He rejects his society and it's racial code and he hopes to be a man but a nigger. After all he lived in a southern society tacitly and truly as a real man. In this novel, he transcended southern racial prejudice and he taught southern whites new awareness for their faults. In conclusion, Faulkner's works criticize the distorted relation of the black and white in the south successfully. The negroes in Faulkner's works have much endurance and humility than the whites. They led to trimph against the past curses of human being and immorality of the present world. opinion about white-black relation is not merely a thought of the south, but also a thought of out general plight and problem. The modern world is in moral confusion. It does suffer from a lack of community of values. Faulkner only expresses the white-black problems in his works using a metaphor through negroes. Ultimately Faulkner tells us that man should live under the permanent awareness of his moral obligation to accept and honor that blood-bondage which binds all man together within the human family.

      •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수처리시설 방류수의 대장균군수에 영향을 미치는 수질인자에 관한 연구

        정진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which have correlation effects on total coliform concentration of sewage treatment effluent using constructed wetland and to search the regression model equation. Several water quality parameters in sewage treatment using constructed wetland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most correlated parameter with total coliform concentration was CODeff.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R) were 0.868 and 0.811 in case of W and K sewage treatment plant, respectively.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predictive model equations as following. In case of W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constructed wetland, TC(log) = 2.090 + 0.064[CODeff] - 0.009[Temeff] ( R=0.0.881, R2=0.776, Adjusted R2=0.767, p<0.0005 ) In case of K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constructed wetland, TC(log) = 0.978 + 0.179[CODeff] ( R=0.811, R2=0.657, Adjusted R2=0.646, p<0.0005 ) Using these regression models, if the total coliform concentration of effluent want to be below 1,000unit/mL, CODeff concentration of effluent must have below 17.0mg/L in W sewage treatment plant and 11.3mg/L in K sewage treatment plant. So,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f the CODeff and temperature of sewage treatment effluent using constructed wetland were known, the concentration of total coliform could be estimated and the installation of sterilizer would be determined.

      • “은혜의 수단” 설교에 나타난 웨슬리 소그룹 기도훈련의 현재적 적용

        정진영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웨슬리는 진정 기도의 사람이었다. 그에게 있어서 기도는 하나님과의 생명의 호흡이며 하나님과의 교통이었다. 지금도 변함없이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은혜를 부어주는 가장 효과적이고 확실한 수단이 바로 기도이며, 기도에는 사모하는 모든 자들을 성장케 하는 능력이 있다. 따라서 웨슬리가 기도를 그토록 실천하며 강조했듯이 우리도 다른 일들을 내려놓고 주님 앞에 엎드려서 기도에 매진하는 것만큼 효과적인 영성 훈련은 없을 것이다. 웨슬리처럼 끊임없이 기도하며, 규칙적으로 기도하고, 아침과 저녁에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며,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좀 더 하나님과 가까워지고 친근해져서 주님을 닮아가고자 하는 영성 훈련이 우리 삶에 절실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굉장히 바쁘다. 분주하다. 무엇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지 그 목적조차 잊어버릴 만큼 현대인들은 정신이 없다. 기도에 대한 초대 역시 현대인들에게는 꿈만 같은 이야기다. 필요성과 유익을 알지만, 때때로 기도에 전념하고 싶은 마음까지 들기도 하지만, 실천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분주하다고 멀리하는 것은 실상 마음이 없다는 말이다. 아무리 바쁘고 시간에 쫓겨도 우리 마음속의 우선순위에서 최상위에 속하는 사람이나 일은 만사 제쳐두고 만나거나 실행하는 것이 정석이다. 예외란 없다. 마음에 원이면 육신의 약함은 생각도 나지 않는 것이 옳다. 다른 것이 생각나고 조급해지는 것은 마음에 진정 원함이 없다는 증거이다. 예수님도 습관을 좇아 기도하셨다. 새벽 미명에도 기도하셨고, 제자들에게 기도의 삶을 늘 강조하셨다. 웨슬리 역시 그 바쁜 사역을 모두 감당하면서도 철저하게 규칙적으로 기도하였다. 똑같이 바쁘지만, 우리와의 차이점은 마음속에서부터 은혜를 사모했기에 기도하지 않고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은혜의 수단인 기도를 가장 우선순위에 두었기에 예수 그리스도와 존 웨슬리는 우리가 닮아야 할 가장 훌륭한 영성의 모델이었던 것이고, 우리는 그러한 영성과 그 방법을 배우고자 하는 것이다. 좋은 모델이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얼마나 큰 기쁨인지 깨달아야 한다. 영성훈련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활발해진 것이 아니고 긴 역사를 갖고 있다. 실상 초대교회부터 영성에 대한 관심과 훈련을 통한 노력은 시대별로 또 지역별로 계속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한 영성 훈련에 따른 통전적인 방법론들도 다양하게 존재하며 계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은 지금까지의 연구나 모델을 그대로 반복하자는 것이 아니며, 웨슬리를 무조건 따라하자는 것도 아니다. 지금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이 어떻게 하면 좀 더 하나님과 가까워지고 그리스도를 닮아갈 수 있을까에 대한 현재적 적용 가능한 여러 다양한 방법들 중에 한 가지를 연구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과제가 영성 훈련에 대한 분야에서 하나의 평범한 예에 불과할 수도 있겠지만, 각자의 처한 상황과 교회의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수정·보완하여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샘플 혹은 선례의 과정이 되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모든 성도와 교회는 진정 하늘의 은혜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기도해야 한다. 은혜의 수단으로서 기도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면서 실로 무궁무진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기도가 주는 복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그 선물을 바라며 기도하게 되면 금세 실망과 좌절감을 겪을 수 있다. 유해룡은 “기도는 주님과 충분한 사귐의 과정에서 기도자를 향한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결의로부터 살아나기 시작한다.”며, “기도의 결과를 미래 어느 때 일어날 일로 유보해 두는 태도의 기도로는 주님과 진지한 사귐을 기대할 수 없다”고 했다. 우리는 기도의 결과에 대해서만큼은 전적으로 내려놓을 수 있어야 한다. 내가 기도했기 때문에 하나님을 제한시키는 태도로는 진정한 기도의 복을 얻을 수 없다. 즉, 기도를 실천하는 목적을 늘 분명히 하자는 것이며, 그 목적은 “은혜”이다. 온전한 은혜의 수단으로서 기도를 실천하는 것이 웨슬리가 그토록 사모하며 걸었던 기도의 삶이다. 따라서 웨슬리의 가르침처럼 기도라는 수단이 독이 되지 않도록, 반대로 은혜의 수단인 외적 행위는 자연스럽게 잊을 수 있도록,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만이 내 안에 넘쳐나기를 사모해야 할 것이다. 은혜의 수단으로서 기도를 훈련하지 않는 한 기도는 절대로 “습관”이 될 수 없다. 기도를 지속할 수 있는 근원적인 힘을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평생 웨슬리처럼 은혜를 사모하며 습관을 따라(규칙적으로) 기도함으로서 우리의 영성을 훈련해야 함을 잊지 않아서, 마침내 그리스도를 닮아 완전에 이를 때까지 이 여정을 계속해야 한다. 둘째, 교회 안에 소그룹을 통한 다양한 영성훈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앞에서 나누었듯이 웨슬리 은혜의 수단 안에 공동체적 수련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소그룹을 통한 영성훈련이 성도들의 영적 회복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 알루미늄 촉매를 이용한 실리콘 나노선 제조

        정진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i 기판위에 Anodic Aluminum Oxide (AAO)를 일정 두께의 알루미늄을 남기고 형성한 후 AAO를 제거하면 잔류 Al의 dimpled morphology와 같은 특징을 갖는 표면의 형태가 나타난다. 이 dimpled morphology를 가지는 잔류 Al을 촉매로 사용하여 상압에서 단결정의 Si nanowires (SiNWs) 를 성장 할 수 있다. SiNWs를 성장하기 위해서 고농도의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하면 Al의 표면의 dimpled morphology에서의 sawtooth 부분은 부드럽고 동그랗게 변하는데, 이 때 Si 기판으로 부터의 Si 원자들의 이동에 의해 Si이 깊숙이 들어가 Si nanodot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이 때 형성된 Si nanodot의 위치는 정확하게 dimpled morphology에서의 sawtooth 부분과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비록 Al 촉매를 이용한 SiNWs의 성장은 Al의 표면이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높은 진공상태를 요구하지만, 잔류 Al으로 둘러싸여 있는 Si nanodot의 산화되려는 경향에 대해 높은 저항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압에서 SiNWs의 성장이 가능하다. 이 때 Al으로 둘러싸여 있는 Si nanodot은 SiNWs 성장의 촉매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SiNWs의 직경과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는 잔류 Al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nanodot의 크기가 작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SiNWs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며 SiNWs의 결정성과 형태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2 annealing의 유량에 따라서 알루미늄의 이동도를 변화시켜 SiNWs의 density를 변화할 수 있으며 SiNWs가 성장함에 있어서 H2의 유량이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Single-crystal, Al-catalyzed silicon nanowires were grown under atmospheric pressure using the dimpled feature of the Al metal that remained after removal of an anodic Al oxide (AAO) template directly formed on a Si substrate. Upon annealing in a hydrogen-rich atmosphere, the dimpled morphology of Al was transformed into a smooth, rounded shape in which Si nanodots were periodically embedded due to Si migration from the substrate. The positions of the nanodots were exactly the same as the positions of sawtooth features on the dimpled surface. Although Al-catalyzed silicon nanowires have been known to grow only under vacuum due to the tendency of Al to oxidize, these silicon nanodots, surrounded by residual Al,showed excellent resistance to oxidation under atmospheric pressure. These nanodots were also capable of acting as catalysts for the growth of nanowires, and played a role in determining the diameter of the nanowires. A thinner residual Al layer made it easier to form Si nanodots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nanodots, which subsequently led to the growth of nanowires with smaller diameters and better crystalline morphology.

      • 유아의 자기중심성을 바탕으로 한 회화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정진영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번에 소개될 작업들은 본인이 육아를 하면서 경험한 것들에 대한 기록에서 시작된다. 이런 기록을 통해 유아기의 자녀가 외부세계를 인지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에서 “놀이”는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아이가 집에서 인형이나 장난감 등을 가지고 혼자 노는 모습에서 알 수 있는, 어른과 달리 이원론적 사고를 하지 못하는 유아의 행동 특징은 내 작업의 모티브가 되었다. 이 시기 유아는 놀이를 통해 심리적인 현실과 신체적인 현실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보여주며 사회정서 능력과 감정 등을 배워 나가지만 모든 사고를 자기중심적으로 하는 이기적 모습을 보여준다. 심리학자 장 피아제(Jean Piaget)는 이러한 “자기중심성(agocentrism)”은 한편으로는 객관적인 인식을 못하는 자기 만족의 최적 상태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의 관점과 활동을 만족 시키기 위해 현실을 왜곡하는 것이라 말한다. 또한 유아는 자기 주변의 모든 존재들을 자기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타고난 포용력으로 세계를 하나로 만든다는 것을 육아를 통해 경험하게 되었다. 이런 현실과 비현실을 오가는 놀이를 통해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어린 자녀를 바라보는 객관적 시선은 망각되어진 나의 어린 시절 기억 속 미완의 인격을 상기시키기도 한다. 작품 속 아이는 “놀이”에서 경험했던 것처럼 그림책에 등장하는 자신과 같이 작고 비슷한 주인공을 동일시하기도 하고, 주인공이 커다란 괴물과 싸워 이기는 장면을 보고 함께 기쁨을 느끼기도 한다. 또한 자연 속 나무와 꽃 인형 등과 대화를 나누며 그것들이 마치 인간인 것처럼 관계를 맺고 심지어는 그것들을 꾸짖거나 명령하면서 영향을 미치려고 한다. 이와 같이 놀이를 통하여 알 수 있었던 유아기 자기중심적 행동을 바탕으로 엄마로서 아이를 키우는 것과 동시에 본인의 과거를 회상하며 아이의 감정과 본인의 자아를 표현하고자 한다. The work to be introduced this time begins with a record of what I experienced while raising children. Through these records, it was found that “play” is a very important part in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recognition of the outside world and forming their own identity. In particular,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who cannot think dualistically unlike adults, which can be seen from children playing alone with dolls or toys at home, became the motif of my work. Infants at this age show the ambiguous boundary between psychological reality and physical reality through play and learn social-emotional abilities and emotions, but they show a self-centered view of all thinking. Psychologist Jean Piaget says that this “agocentrism” is, on the one hand, the optimal state of self-satisfaction without objective recognition, and on the other hand, distortion of reality in order to satisfy one's point of view and activity. In addition, infants have experienced through parenting that they bring the world together with their natural embrace of accepting all beings around them as part of them. My objective gaze toward my young children who form their identity through play between this reality and unreality reminds me of the unfinished personality in my childhood memories that have been forgotten. The child in the work identifies a small and similar protagonist like himself in a picture book as he experienced in "play", and he feels joy together when he sees the main character fighting a big monster and winning. Also, by talking to trees and flower dolls in nature, he tries to influence them by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m as if they were human beings, and even scolding or ordering them. Based on the self-centered behavior of infancy that can be known through play, I want to express my child's feelings and my self by recalling my past at the same time raising a child.

      • 졸혼(卒婚)한 여성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진영 한양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졸혼한 여성들의 경험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하고 그 내용을 통합할 수 있는 체험의 구조, 즉 졸혼의 의미를 이해하고 통합하여 그들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졸혼한 여성이 경험한 내용을 체계적인 의미구조로 전환하고 통합적으로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졸혼을 경험한 여성 4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11월부터 2021년 8월까지였으며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1985)의 질적 분석 단계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나가면서 참여자들의 체험이 드러나는 의미단위와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가 도출한 의미단위는 171개였고, 상위의 개념인 27개의 하위구성요소들로 묶은 다음, 최종적 상위의 개념으로 9개의 구성요소들을 범주화하였다. 9개의 구성요소는‘졸혼을 하게 된 이유와 과정’,‘졸혼 이전의 결혼생활’,‘졸혼 이후의 결혼 생활’,‘졸혼으로 인해 변화된 점’,‘졸혼의 영향과 의미’,‘졸혼 공개와 사회적 인식’,‘졸혼을 위한 조건’,‘가족의 미래에 대한 계획’,‘졸혼 생활에 있어서 심리상담의 영향’이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졸혼을 하게 되었으나 공통된 요인은 악화된 부부관계였으며 자녀를 위해 이혼이 아닌 졸혼을 선택하였다. 외도와 폭력, 방임, 공감의 결핍 등 부정적인 기억이 대부분인 결혼생활과 달리 졸혼 이후의 생활은 참여자에게 자유로움, 심리적 안정감, 삶의 만족도 향상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졸혼은 그것을 경험한 여성에게 인생의 새로운 전환점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그 과정에서 진정한 행복을 누리는 것을 인생의 가장 큰 가치로 삼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졸혼을 실제로 경험한 여성들의 생생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통해 졸혼의 구체적인 실제를 알리며 졸혼을 고민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Incremental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설계

        정진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과학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동시에 미디어산업과 스마트폰 시장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기술이 우리 생활을 더욱 더 윤택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오버샘플링 델타-시그마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가 센서 응용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델타-시그마 방식의 ADC의 경우 저 주파수 대역에서 타구조의 비해 전력 소모 대비 높은 해상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 설계에 적합한 델타-시그마 모듈레이터의 장점들은 앞으로 휴대용 전자제품을 포함해 광범위한 분야에 크게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차 1-bit 이산시간 incremental 델타-시그마 ADC를 구현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current mirror 방식의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OTA) 기반의 스위치-커패시터 회로 구조와 피드-포워드 구조를 채택하여 설계하였으며, 디지털 데시메이션 필터는 4차 sinc 필터를 FPGA로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