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광역시 초중고등학생의 체육교과 태도에 관한 연구

        정경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 학교종류별, 운동기능수준에 따른 체육교과태도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지역 초, 중, 고 학생 1135명을 대상으로 체육교과태도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에 대하여 진실성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 1120명이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성별과 학교종류별에 따른 체육교과태도는 긍정적 신체활동경험, 건강 및 체력향상 등 긍정적 측면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은 상급학교일수록, 여학생은 하급학교일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자신감 결여 및 소극적 참여요인에서는 남․여 모두 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종류와 운동기능수준별에 따른 체육교과태도는 하급학교일수록, 운동기능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신체활동경험요인, 건강 및 체력향상요인이 높게 나타났고, 상급학급일수록 자신감결여 및 소극적 참여요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기능수준이 낮을수록 부정적 정서요인, 자신감결여 및 소극적 참여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운동기능수준에 따른 체육교과태도는 긍정적 신체활동경험, 건강 및 체력향상, 자신감 결여 및 소극적 참여요인 등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운동기능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가 여자보다, 남학생은 상급학교일수록, 여학생은 하급학교일수록, 운동기능이 높을수록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육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소외를 경험하는 학생들에 대한 이해증진과 운동기능이 낮은 학생을 위한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차후연구에서는 첫째, 체육교과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의 체육교과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실험연구가 필요하다.

      •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기술 분석 연구 : -한·일 양국에서 출간된 교재 비교를 중심으로-

        정경자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particles descriptions so Japanese learners of Korean can effectively learn Korean. In other words,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 methods to propose to Japanese learners about the Korean particles functions and the meanings in order for them to understand Korean effectively. Both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are agglutinative languages and are languages of well developed ending words. However, its functions and meanings show fine differences between them, particles in particula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native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makes particles a grammatical area in which many learners make errors. In order to lead out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particles for the Japanese learners, this research will give a detailed comparison and examinations of functions of subject particle ‘i/ga’, topic particle ‘eun/neun, object particle ‘eul/leul’, adverbial case particle ‘e’ and ‘eseo’ from text books of both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findings, this research aimed to find the appropriate meas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article descriptions. Chapter 2 is an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es which compared and examined Korean language text books that were published in Japan and Korea. In chapter 3, the research looked at classifications of different particles and it's characteristics. Chapter 4 compares and analyzes the functions of particles from Korean language textbooks (materials) which are published in Japan and Korea. The target textbooks (materials) of comparison were the 5 highest ranking textbooks (materials) which was announced by the Foundation of International Forum in 2003 as being used by major 4 year Universities in Japan as cultural studies textbooks. The second category of materials were 5 textbooks (of them 4 were Japanese edition) which were us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f major Universities in Korea. First I examined; categories of particles, the suggestive order of particles, and the technical descriptions behind the name of the particles for each of the textbooks, and analyzed th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problems. In order to examine the descriptions of particles more definitely, four particle categories which has the highest rate of errors; subject particle ‘i/ga’, topic particle ‘eun/neun’, object particle ‘eul/leul’, adverbial case particle ‘e’ and ‘eseo’. were chosen as subjects. With these particles the research analyzes the descriptive content of these particles from both country's textbooks and organized the outcome. In Chapter 5, based on previous analysis, I constructed an appropriate sequence to teach Korean particles to Japanese learners; first is subject particle ‘i/ga’, topic particle ‘eun/neun’, object particle ‘eul/leul’, adverbial case particle ‘e’ and ‘eseo’. 국문초록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기술 분석 연구 -한·일 양국에서 출간된 교재 비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정경자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교수하는 데에 필요한 한국어 조사 기술 내용을 검토하는 것, 즉 일본인 학습자의 효과적 이해를 위해 한국어 조사의 기능과 의미를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를 검토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교착어이며 어미와 조사가 발달한 언어다. 그러나 그 기능과 의미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하며 특히 조사의 경우 한일 양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인해 일본인 학습자가 많은 오류를 범한다. 일본인 학습자의 효과적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한국어 조사 기술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국에서 각각 출간된 한국어 교재의 주격조사 ‘이/가’, 보조사 ‘은/는’, 목적격조사 ‘을/를’, 부사격조사 ‘에’와 ‘에서’의 기술 내용을 비교,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일본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조사 기술 내용의 구축과 제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한·일 양국에서 각각 출간된 한국어 교재를 비교, 분석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조사의 기능과 이에 다른 조사의 분류, 그리고 조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한국에서 출간된 한국어 교재와 일본에서 출간된 한국어 교재 간의 조사 기술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재는 재단법인 국제포럼이 발표한 2003년도 일본 4년제 대학의 교양과목 한국어 교재 상위 5권과 한국 주요 대학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된 5권(이중 4권은 일어판)이다. 우선, 한·일 양국의 교재에서 다루어진 조사의 종류와 조사의 제시 순서, 조사의 명칭에 대한 기술을 각 교재별로 살펴보고 그 차이점과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이어 보다 구체적인 조사 기술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는 비율이 높은 주격조사 ‘이/가’, 보조사 ‘은/는’, 목적격조사 ‘을/를’, 부사격조사 ‘에’와 ‘에서’를 대상으로 한·일 양국에서 각각 출간된 교재에 제시된 내용을 살펴보고 분석한 내용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조사 기술 내용을 구축하고 주격조사 ‘이/가’, 보조사 ‘은/는, 목적격조사 ‘을/를’, 부사격조사 ‘에’와 ‘에서’의 순으로 제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국에서 각각 출간된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조사 ‘이/가’, ‘은/는’, ‘을/를’, ‘에’, ‘에서’의 기술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을 일본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기술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들 조사는 그 의미와 기능의 유사성으로 일본인 학습자가 많은 혼란을 겪는 문법 항목이어서 추상적인 범주의 제시보다는 단순화된 분명한 설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선행 명사와의 관계, 서술어와의 관계, 문형 또는 연어의 개념 등을 사용하여 조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해 보았다. 그러나 이들 설명 내용 중 어느 것을 먼저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문제나 설명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 기술 연구가 아직 미진한 현 상황에서 일본인 학습자로 하여금 조사에 대해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시 방안을 모색학고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재를 만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 한문소설 아카이브 연구

        정경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설은 지어낸 이야기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소설은 작가 개인의 서사라는 진실을 바탕으로 한다. 소설은 허구에서 출발한 창작물이지만 소설의 독자가 생겨나고 소설의 작가가 소설로 인해 주목받는 과정은 진실이다. 이 점에 주목하고 소설 관련 정보를 기록화하려는 의도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우리가 실제 책으로 소설을 읽는 경우는 줄어들었지만, 공연이나 영화 또는 드라마로 소설을 보는 경우는 늘어나고 있다. 소설은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에만 한정되지 않고, 문화라는 거대한 틀 안에서 무한히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소설 아카이빙은 우리 생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문화를 아카이빙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대상은 소설 가운데에서도 한문 소설이다. 한문소설은 한국 소설의 원류임에도 불구하고 교과서나 박물관에 있는 대상 정도로만 여겨졌다. 하지만 실제로는 현대소설의 원류나 영화의 원류가 한문소설과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소설, 그 가운데에서도 한문소설을 대상으로 아카이빙한다. 한문소설 아카이브는 주제 아카이브에 이론적 바탕을 둔다. 아카이브의 패러다임은 공공 중심의 공공 아카이브에서 주제 중심의 주제 아카이브로 그 폭을 넓히고 있다. 주제 아카이브에서 한문소설 아카이브는 일상 아카이브나 공동체 아카이브와는 다른 문화 아카이브라고 할 수 있다. 문화라는 큰 틀 안에, 소설 그리고 그 소설을 매개체로 나타난 소설의 유통과 감상이 한문소설 아카이브의 객체이다. 한문소설 아카이브 연구에서는 한문소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원천성, 확대성, 유기체성, 총체성을 밝혔다. 한문소설 아카이브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문화정보세트의 개념을 도입하여 소설정보세트로 변용하였다. 소설정보세트에는 원천정보, 출판정보, 서사정보, 콘텐츠정보, 연구정보가 있다.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한문소설은 조선 조 이전부터 개화기 이전까지의 167편을 대상으로 한다. 한문소설 아카이브의 정보 분석 이전에 한문소설에 대한 이해로 한문소설의 발생, 전개와 특징 그리고 소설의 주제(유형)에 관해 살펴보았다. 여말선초에 이미 한문소설은 발생하였다고 본다. 조선 초 『금오신화』는 본격적인 한문소설의 장을 열고, 16세기에 다양한 소설이 등장하고 17세기에는 소설의 전성기를 이루며 18세기에는 야담계소설의 등장으로 독자층이 확대된다. 한문소설은 전기(傳奇), 우언(寓言[寓話]), 전계(傳系), 야담계(野談系), 몽유록(夢遊錄), 영웅(英雄), 가정(家庭)·가문(家門), 애정(愛情), 세태(世態) 소설의 주제[유형]로 나눈다. 한문소설 아카이브에서는 한문소설 연관 정보를 공통된 연관 정보 분석과 주제(유형)별 연관 정보 분석으로 나누어 하였다. 공통된 연관정보 분석은 김시습의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을 대상하여, 원천정보 ‧ 출판정보 ‧ 서사정보 ‧ 콘텐츠정보 ‧ 연구정보를 분석·추출하였다. 공통 연관정보 분석에서 서사정보는 주제(유형)에 상관없이 공통된 정보도 있지만 주제(유형)에 따라 다른 정보가 더 많으므로, 주제(유형)별로 작품을 선택하여 주제별 연관 정보 분석을 하였다. 주제(유형) 연관 정보 분석 대상이 된 전기(傳奇)소설은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우언소설은 「호질(虎叱)」, 전계소설은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 야담계소설은 「요로원야화기(要路院夜話記)」, 몽유록은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영웅소설은 「구운몽(九雲夢)」, 애정소설은 「절화기담(折花奇談)」, 세태소설은 「정향전(丁香傳)」이다. 한문소설 작품과 관련된 공통 연관 정보와 주제별 연관 정보를 추출한 후, 한문소설 아카이브의 데이터 모델과 시스템 구성도를 그리고 그 기능을 살펴보았다. 한문소설 아카이브의 실제 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생규장전」을 가지고 인터페이스 구축을 해 보았다. 한문소설 아카이브는 소설의 창작 ‧ 유통 ‧ 감상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관 정보를 추출하여 아카이빙하고 이를 이용자와 공유하려 한다. 한문소설 아카이브 같은 온라인 공간 뿐 아니라, 한문소설문학관 같은 오프라인 공간까지 있다면 우리가 한문소설을 그야말로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지 않을까하고 한문소설문학관의 출현을 제안해 본다. A novel is a written story about imaginary people and events. Considering the other side, however, the novel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a personal narrative of the writer. Even the novels are creations originated from fiction, it is true that the novels’ readers are formed and the process by which writers are got attention due to novels. This is the motivation for me to start the study. Novels can be enlarged to other works due to the comfort or informative lessons of the stories. And they also can be motives of movies, painting, or other art genres. Even Chinese novels were the mainstream of Korean novels, they were regarded as objects only in textbooks and museums. In fact, the origin of modern novels and movies are related to Chinese novel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archiving Chinese novels among novels. Theoretically the Chinese novel archives are based on the theme archives. The paradigm of archives is broadening from focusing on public archives to thematic-focused archives. In the thematic archive areas, the Chinese Novel archive is considered Cultural archive different from common or community archives. In the big frame of culture, the novel and the second creation created by the novel motif are the objects of the Chinese novel archives. In classical Chinese novel archives, it is hard to apply authenticity, integrity, reliability, and usability, which are the four aspects of Record Science, into Chinese novels. So I examined the originality, enlargement, organism, and totality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Chinese novels. As a method of analyzing the information in the Chinese novel archive, the concept of cultural information base system was introduced and transformed into a novel information base system. The novel information base system includes source information, publishing information, contents inform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In this study, 167 novels from the pre-Joseon Dynasty to the end of 19 Century are examined. In advance of analyzing the information of the Chinese novels archive, I review the Chinese novels’ appearances, developments, characteristic features, and the themes. It seems Chinese novels appeared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Keum-O-Shin-Wha (金鰲新話)』 , which was writt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opened a new chapter of Chinese novel in earnest. Various Chinese novels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and enjoyed golden age in the 17th century. Appearing unofficial historical tales(野談) expanded wide classes of readers. The themes of Chinese novels are divided into Phenomenon(傳奇), Fable寓言[寓話]), Biographical novel(傳系), Unofficial historical tales (野談系), Fantasy(夢遊錄), Hero(英雄), Family(家庭)·Clan(家門), Love(愛情), and Trends(世態). In the Chinese novel archive, Chinese novels are divided into common related information analysis and subject (type) related information analysis. The analysis of common related information was studied from「Lee-Sang-Kyu-Jang-Jeon(李生窺墻傳)」by Kim Si-shim. In the common related information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source information, publishing information, narrative information, contents inform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In the analysis of common related information, narrative information has common information,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related information by subject type. So individual workpieces were selected and related information was analyzed. The target of subject related information analysis are 「Lee-Sang-Kyu-Jang-Jeon(李生窺墻傳)」for Phenomenon(傳奇), 「Ho-Jil(虎叱)」 for Fable寓言[寓話]), 「Nam-Gung -Seon-Sang-Jeon(南宮先生傳)」 for Biographical novel(傳系), 「Yo-Ro-Won-Hwa-Ya-Gi (要路院夜話記)」 for Unofficial historical tales (野談系), 「Won-Saeng-Mong-Yu-Log(元生夢遊錄)」 for Fantasy(夢遊錄), 「Gu-Wun-Mong(九雲夢)」 for Hero(英雄), 「Jeol-Hwa-Gi-Dam(折花奇談)」 for Love(愛情), and 「Jeong-Hyang-Jeon(丁香傳)」 for Trends(世態). I have constructed a Chinese Novels Archive with related information extracted from Chinese novels. This Chinese Novels Archive functions as information for each information, using source information, publishing information, narrative information, contents inform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as data. A model of the construction for this Chinese novels archive interface was presented with 「Lee-Sang-Kyu-Jang-Jeon(李生窺墻傳)」 The Chinese Novels provide the information of truth that can be shown in the novels and allow user’s access to exact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an easy access to Chinese novels and utilize them, I suggest offline facilities for Chinese novels, as well as online Chinese novels archive, should be established and required cooperative management.

      • 코스프레인과 비코스프레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행동 비교연구

        정경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코스프레인과 비코스프레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행동을 비교, 분석하여 코스프레를 바로 알고 청소년이 즐길 수 있는 올바른 문화로 정착시키기 위해서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스프레는 무엇인가? 코스프레의 기원, 발달과정, 형성경로등 기본적인 것을 알아본다. 둘째, 코스프레인들의 취향과 의복심리를 알아본다. 세째, 비코스프레인과 코스프레인의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네째, 코스프레인이 그들의 문화로서 코스프레를 지속시키는데 바탕이 되는 문화적 특성을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지역의 10대 중반에서 후반사이의 남녀 고등학생 398명이었다. 연구방법은 라이프스타일과 의복행동에 대해서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요인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t-검정을 하였 으며 자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라이프스타일 집단을 분류분석한 결과 가족중심적 집단, 보수전통적 집단, 자기과시적 집단, 사회참여적 집단, 생활안정적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의복행 동 집단을 분류 분석한 결과 동조적 집단, 미추구적 집단, 심리추구적 집단, 유행추구적 집단, 기능추구적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2, 코스프레인과 비코스프레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 개발형은 의복관심, 유행추구성, 심리적 의존성, 정숙성에서 상관관계가 나타 났으며, 자기과시형은 의복만족성, 유행추구성, 주관성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 으며, 친목사교형은 의복관심, 의복만족성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참 여형은 심리적 의존성에서, 개인중심형은 동조성, 유행추구성, 주관성에서 상 관관계가 났으며, 감성형은 동조성, 의복만족성, 정숙성에서, 적극신중형은 정 숙성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가족중심형은 의복관심, 정숙성, 편이성에 서, 보수전통형은 정숙성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3, 비코스프레인과 코스프레인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요인의 차이는 자기개발 형, 자기과시형, 감성형, 취미생활형, 적극신중형, 사족중심형, 보수전통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비코스프레인과 코스프레인에 따른 의복행동요인 은 의복관심, 유행추구성, 정숙성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ork is to compare and analyze clothing acts between a cosplayer and a non-cosplayer so that we know properly the cosplayer and settle down right culture that teenagers can enjoy. The aims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is importance are as follows. First, I ask what are the cosplayer, cosplayer's origin, and process of development and formation. Second, I determine the cosplayer's preference and clothing psychology. Tird, I compare and analyze in general the cosplayer and the non-cosplayer. Fourth, I assess the culture specificity that is based on something that the cosplayers have continued to cosplay as part of their cultur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98 seni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or the capital area. I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of a life-style and a clothing act that are based on the research precedent. The data are verifi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ife-style group is fractionated according to the family oriented group, traditional conservative group, self-display group, social participation group, and the stabilization of livelihood group. As the result of groups of clothing acts so far achieved, there are the conformity, pursuit beauty, pursuit mentality, pursuit trend, and pursuit function groups. 2, The are results analyzed by the objects: the cosplayer and the non-cosplayer. Self-development style is mutually related with properties of interest in clothing, pursuit trend, psychical dependence and virtue. The style of self-display is concerned in character of clothing satisfaction, pursuit trend and subjectivity. Moreover, the intimacy style has relation with psychical dependence, the individual centered style with conformity, pursuit trend and subjectivity, the emotional style with conformity, satisfaction of clothing and virtue, the prudent positive style with virtue, family oriented style with interest in clothing, virtue and convenience, and the traditional conservative style with virtue. 3, When life style is a factor, self-development style, self-display, emotional style, intimacy style, prudent positive style, family oriented style, and traditional conservative style vary according to the cosplayer and the non-cosplayer. In addition, when the clothing act is a factor, interest in clothing, pursuit trend and virtue vary according to the cosplayer and the non-cosplayer.

      • 노인 여가스포츠 프로그램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정경자 호서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노인 여가스포츠 정책, 프로그램,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세미나 자료, 정부통계자료, 인터넷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 하였다. 조사한 국가들은 한국, 일본, 미국, 유럽,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이며, 각 국가별로 노인 여가스포츠 정책, 프로그램, 그리고 실태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한국과 일본은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가 주무부서이나 미국과 독일은 연방정부나 체육회에서 노인 여가스포츠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일본의 각 생애주기에 적합한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 미국의 대학이나 국가에서의 전문가 양성과 프로그램 제공, 독일의 노인체육지도자 양성과정과 노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 등을 한국 정부 주도하에 분석하고 검토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노인 여가스포츠 프로그램들 중에서 일본에서의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종목의 전국대회, 미국의 노인건강프로그램과 스포츠 프로그램, 독일과 덴마크에서의 스포츠클럽을 통한 스포츠 활동의 활성화, 호주의 노인맞춤형 프로그램, 캐나다의 노인의 전반적인 복지를 위한 라이프스타일로 스포츠를 유도하는 프로그램 등을 참고하여 국내 여가스포츠 활성화에 기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실태조사에서는 스포츠 참여율을 보면 한국이 제일 적게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인들은 하루에 약 15-20분 정도 운동을 하며, 유럽에서는 독일, 핀란드, 오스트리아 노인들의 스포츠참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주는 65세 이상 남성은 일주일에 4시간 정도 여성은 5시간 정도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뉴질랜드는 일주일에 한번 이상 운동하는 사람은 82%, 일주일에 5일 이상 한번에 30분씩 운동하는 사람이 34%로 나타났다. 캐나다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 규칙적인 운동(주 4일 이상)은 남성이 48%, 여성이 40% 하였다. 가장 많이 하는 여가스포츠 종목으로는 한국은 걷기와 등산, 미국은 걷기, 에어로빅, 댄스, 기구운동, 호주에서의 선호하는 종목은 걷기, 에어로빅, 골프, 뉴질랜드는, 걷기, 수영, 기구운동, 캐나다는 골프 등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을 하는 다양한 이유들이 있지만 건강유지 및 증진, 체중조절, 운동을 즐기기, 노화에 따른 기능수행유지, 신체단련 등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아직 한국의 노인들이 선진국의 노인들보다 스포츠참여율, 운동량, 시설, 다양한 정보 등이 아직 미흡하지만 국가적인 차원에서 좀 더 정책적 배려를 통해 노인들을 위한 선진형의 여가스포츠 문화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다양한 국가들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의 노인 여가스포츠에 응용하려고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외국사례 가운데 한국사회로의 적용가능한 점은 노인 여가스포츠 정책기관의 연계, 노인 여가스포츠 프로그램의 다양화, 프로그램 구성 시 고려할 점, 노인 여가스포츠 활동 기준 마련, 그리고 노인 여가스포츠 참여제약 요인분석으로 제언할 수 있다. 주요어: 노인, 여가스포츠, 국제비교 연구, 스포츠 참여율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eisure sport policy, programs, and actual condition for the elder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research and seminar papers, statistics data from the government, and internet searching. The investigated countries were Korea, Japan, U.S.A, Europe, Australia, New Zealand, and Canada.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in some way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on policy, programs, and actual condition of leisure sport for the elders. In the policy perspective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and Japan and Federal Government and The Sports Council in The U.S.A and Germany were in charge of leisure and sport for the elders. The research showed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apply sport programs development appropriate each life cycle in Japan,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in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in the U.S.A., and training programs for physical education leader for the elders, and program development appropriate for the elders in Germany to Korea. Among leisure and sport programs for the elders in other countries, national festival for the elders in Japan, elder health programs and sport programs in the U.S.A, activation for sport activity through sport clubs in Germany and Denmark, elder fitting programs in Australia, and programs guiding sports with life style for the general welfare for elder in Canada should be con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leisure and sport in Korea. Among six countries, Korea was the lowest country in sport participation rate. American elders did exercise for about 15-20 minute per day. Germany, Finland, and Austria among European countries showed highest sport participation rate. Australian elders over 65 years showed that they did exercise for 4-5 hours per a week. New Zealand elders who did exercise once a week were 82% and those who did exercise over 5 times a week were 34%. Among Canadian elders who were over 65 years, 48% of man and 40% of women did exercise over 4 times a week. The most favorite leisure and sports were showed as walking and mountain climbing in Korea, walking, aerobics, dance, and weight in the U.S.A., walking, aerobics, and golf in Australia, walking, swimming, and weight in New Zealand, golf in Canada. The reasons participating in exercise were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weight control, exercise fun, functioning performance maintenance for aging and physical fitness. In general, even though Korean elders had less sport participation rate, less exercise time, lack of facility and information, we have to make advanced culture of leisure and sport for elder through better policy in the national perspectives. Finall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ase findings of other countries' leisure sport programs for the elder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Implica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policy institutions linkage of leisure sports for the elders, variety of leisure sports for the elders, considerations in making programs, activity guideline of leisure sports for the elders, factor analysis of participation limitation of leisure sports for the elders. Key Words: elders, leisure sport,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sport participation rate

      • 과학기술인력 보상만족도 결정요인 탐색과 근속에 대한 영향분석

        정경자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known that work attitude, work devotion and employment duration have a closely connected relationship towards compensation satisfaction level. Similarly in Science and Technology, many research studies conclude that the loss of competitiveness is predominantly a result of an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within a workforce, which leads to a distorted compensation system. This study gathers data from professionals currently employed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n attempt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employee satisfaction on compensation. While this research study measures the significance of a number of variables it focuses most closely on the impact of length of service on employee satisfaction. The next three perspectives reflect on the effects between work duration and compensation satisfaction. Firstly, what effect does economic compensation have towards employee satisfaction? Secondly, what effect does uneconomic compensation have towards employee satisfaction? And thirdly, what effect does employee satisfaction have towards employment duration? A survey was conducted in 2009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 900 surveys were evenly distributed among University lecturers, Industrial researchers and Federally Funded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FRDC). Survey results collected from University lecturers, Senior researcher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 FFRDC and Industrial researchers were 89(29.7%), 111(37%) and 100(33.3%) respectively. Data gathere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professional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are satisfied with compensation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four factors: economical compensation, work accomplishment, social phase and research infrastructure. Structured model analysis was undertaken using this study as a foundation along with ke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mart PLS 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edominant decisive factor for compensation satisfaction shown is work accomplishment. This factor has a scale of p<0.01 towards deciding compensation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topic, work process, discretion, decision authority, independence and realization level have a large effect on compensation satisfaction. Secondly, economic compensation is a deciding factor for compensation satisfaction. This factor has a scale of p<0.05 towards deciding compensation satisfaction. This reflects aspects of business people and individuals, and displays that economic measures must be validly applied to improve compensation satisfaction. Thirdly, social phase is also a deciding factor on compensation satisfaction. By comparison, social phase shows little support with a standard of p<0.1. This research signifies social position or work stability. It is clear that this aspect showing relatively weak support was a key for deciding satisfaction but also a less decisive factor than the aspects "work accomplishment" and "economical compensation" mentioned previously. Fourth, research infrastructure has no observed effect on compensation satisfaction. This research signifies laboratory, facility equipment, research apparatus, research support personnel etc.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urrent infrastructure is sufficient and interprets that the infrastructure is not a sensitive issue. And fifth, compensation satisfaction has a closely connected relationship with work attitude but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o work duration.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satisfaction and long employment duration can improve work performance, and can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f employees. However, Satisfaction cannot guarantee the long duration of employment as there will always be better and stronger offers provided by other organizations. To improve compensation systems for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zations first need to enrich worker autonomy for research. Another way to enhance achievement in the workplace is to develop and implement more objective evaluation systems. Organizations also need to provide more economical support and compensation for labor forces. Finally, organizations need to strengthen social-compensation and improve labor liquidity and job security in order to ameliorate social status. 보상만족도는 직무성과, 직무몰입, 그리고 근속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학기술인력의 보상만족도도 이와 유사하며, 많은 선행 연구들은 현재의 과학기술 경쟁력 저하 및 인력 수급의 애로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과학기술인력의 왜곡된 보상체계를 근본적으로 꼽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학연 연구기관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과학기술분야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과학기술인력들이 인지하는 보상만족도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그 요인들의 영향 정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보상만족도가 실제로 근속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음 3가지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경제적 보상은 과학기술인력 보상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비경제적 보상은 과학기술인력 보상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과학기술인력의 보상만족도는 근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2009년 '고급과학기술인력의 보상체계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고, 설문은 대학 300명, 산업계 300명, 출연(연)300명 등 모두 900명에게 배포 되어, 그 중 설문 회수율은 약 33%로 300명이였으며, 그 구성은 대학강사 이상 89명(29.7%), 출연(연)선임연구원 이상 111명(37.0%), 산업계 선임연구원 이상 100명(33.3%)으로 되어있다. 연구도구로는 보상만족도 결정요인을 경제적 보상, 직무성취도, 사회적 위상, 연구 인프라 등 4가지로 나누었고, 이러한 보상만족도가 근속의지와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smart PLS 2.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인력들의 보상만족도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직무성취도로 나타났다. 직무성취도는 보상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 중 p<0.01 수준으로 채택되었다. 이는 과학기술인력은 연구 주제와 일하는 방식 등에서 재량권, 의사결정 권한 등에 대한 독립성과 자율성에 대한 실현 정도가 보상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제적 보상은 보상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경제적 보상은 보상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 중 p<0.05 에서 채택되었다. 이는 과학기술인력들의 경제인 또는 생활인 측면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보상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수단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사회적 위상도 보상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이었다. 사회적 위상은 p<0.1 수준에서 비교적 약한 지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위상이란 사회적인 지위 또는 직업적인 안정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교적 약한 지지를 보였다는 측면에서 이들 요인 역시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임에는 분명하지만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측면인 직무성취도 및 경제적 보상보다는 만족도에 대한 결정력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연구 인프라는 보상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인프라란 실험실, 시설장비, 연구기자재, 연구지원 인력 등을 의미한다. 연구 인프라가 보상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의미는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응답자들이 제공 받고 있는 연구 인프라가 그다지 부족하지 않았거나, 응답자들이 연구 인프라에 민감하지 않았다는 양쪽의 해석이 가능하다. 다섯째, 보상만족도는 근속의지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나 근속기간에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보상만족도와 근속의지 사이의 강한 연관성은 보상만족도를 높이면 업무에 충실하려는 의지를 높일 수 있고, 이직 또는 전직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는 상식 수준의 해석과 일치한다. 그러나 보상만족도가 근속기간에 유의미 하지 않았다는 것은 보상만족도가 낮지 않았더라도, 외적으로 작용하는 더 강한 유인동력이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한 과학기술인력 보상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연구자율성 확대와 연구결과에 따른 평가 등을 보완하여 직무성취도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둘째, 상대적 열위에 있는 과학기술인력의 경제적 보상을 다양화하고 세분화해야 한다. 셋째, 직업 안정성 향상 및 사회적 지위 개선과 같은 사회적 보상을 확대해야 한다.

      •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 인터넷 사용조절 집단상담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

        정경자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roup counseling for high risk internet use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and parenting programs with mothers that reduced high risk internet use in adolescents, improving maternal-child communicati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That object has been K-Scale, after selected and identifying a high potential internet use group at a middle school in Jeonju listed as "I". This study had parenting programs for an adolescent internet use-control group counselling and their mothers(experiment group 1, n=9), only had an internet use-control group in adolescent(experiment group 2, n=9),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n=9). Each participant had their K-scale, maternal-child communicati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checked before group counseling. After completing their group counseling, they were re-evaluated. The tracking history of test 1 was after the completion of group counseling followed by further testing after 4 weeks. Tracking history of test 2 was conducted after tracking test 1 for a further 9 week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tions between experiment group 1 and group 2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internet using total score and subscale(e, g., daily life, withdrawal, addiction) improved self-control and self-esteem. However, the experiment group 1 was only significant which is percept from the mother's communication with her child. Second, the study separately compared none-treatment control group between 1 and 2of experiment groups, so that each group ha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internet use total score and subsca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groups 1 and 2. The only significant rise was recorded when comparing treatment group1 and the non-treatment control group of perceptive maternal communication and self-control. Lastly, this study discussed possibl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within its research.

      •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과 그에 대한 부모의 지각

        鄭京子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 4, 5세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과 그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지각을 알아보고, 두 변인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부차적으로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간의 지각 차이를 살펴보고, 부모의 연령, 학력과 직업, 유아의 연령과 성, 형제순위, 학습지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지각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유아의 배경변인(유아의 연령, 성, 형제순위, 학습지 교육경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과 그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어머니의 배경변인(어머니의 연령, 학력, 직업)과 유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과 그에 대한 아버지의 지각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아버지와 유아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 W유치원의 만 3, 4, 5세 남, 여 각 15명씩 90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Hiebert & Adams(1987)의 도구를 기초로 박영미(1992)가 우리 나라의 언어적 특성에 맞게 부분적으로 고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단, 검사에 사용된 그림자료를 유아에게 보다 친숙하도록 그림 속의 등장인물을 유아로 수정,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에게는 읽기·쓰기 능력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고 부모에게는 아동의 읽기·쓰기 능력을 예측하도록 설계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에 의해 전산처리 하였다. 각 검사는 하위 문항별 평균치를 사용한 후 t검증과 F검증을 사용하여 변인별 유의도를 검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에 대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지각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과 어머니의 지각차이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부분적으로 과대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유아의 읽기·쓰기 능력과 아버지의 지각차이를 살펴보면, 아버지가 청각변별력을 제외하고 과대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bilities of the children who are 3, 4, and 5 years and the perception of their father and mother on those abilities and then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wo variables. And second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father and the thing of mother on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i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of parents, the academic background of parents, the occupation of parents, the age and gender of children, the sibling order, and the experience of learning worksheet. To meet those purposes, the concrete study problem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father and the thing of mother on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ies?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the age, the gender, the sibling order, and the experience of learning worksheet of children? 2.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ies and the perception of mother on those abilities?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mother's background variables - the age, the academic background, and the occupation of mother - and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ies and the perception of father on those abilities?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fat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90 children who were three(3), four(4), and five(5) years old - 15 for each gender and age- and their parents of W Kindergarten located in Choun-Ju, Chun-buk. The study tool was based on Pa가, Young-Mi(1992) which has been adapted originally from Hiebert & Adams(1987). And modified partially to fit the korean linguistic characteristics. However, the characters of picture tool were modified and produced to be familiar with children. The reading·writing abilities was don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c program. The proficiency at variables was tested using the mean value for each subarea and then the independent t-test and the F-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father and the thing of mother on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ies. But the mother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highly. 2. The mother tend to overestimate the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ies partially. 3. The father tend to overestimate the children's reading·writing abilities except the item of auditory discri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