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대부하운동 후 스포츠 마사지 처치가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무산소성파워 및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임지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최대부하운동 후 스포츠 마사지 처치가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무산소성파워 및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엘리트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최대부하운동 후 스포츠 마사지 처치가 무산소성파워 및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실험에 참여하는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 자신의 자발적 협약을 받은 후 W 대학에 다니는 엘리트 태권도 선수 중 28명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참여자는 무선할당 표집방식을 통해 2명은 개인사정으로 인하여 제외하였으며 14명의 마사지 그룹 과 12명의 대조 그룹으로 비교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사지 그룹과 대조 그룹은 모두 사전검사를 기본적으로 실시하였으며 1주일을 간격으로 동일한 최대부하운동검사 후에 마사지 그룹은 20분간의 마사지 처치와 대조 그룹은 20분간의 휴식시간을 거쳐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20분간의 마사지 치료는 누운 자세에서 아킬레스 건, 종아리, 대퇴부에 10분, 엎드린 자세에서 고관절, 다리, 종아리에 10분간 실시하여 전체 20분의 마사지를 실시하였다. 마사지는 손과 팔꿈치, 아래팔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마사지 사용기법으로는 유지, 압박, 집기촉진, 스트리핑, 교차섬유마찰법 및 수동적인 신장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데이터는 통계 SPSS-PC 버전 18.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평균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이 있는 이원변량분석 (t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주효과나 상호적용이 유의한 경우 집단 내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 한 수준은 P <.05로 설정 하였다. 마사지 그룹과 대조 그룹의 마사지처치 전·후의 무산소성파워를 Wingate test로 평가한 결과 마사지 그룹의 최대파워(P<.01) 및 평균파워(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대조 그룹은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안정 시 젖산과 최대운동 후 젖산은 양쪽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회복기 20분 후 젖산수치는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1). 마사지 그룹에서 회복기 20분 후 젖산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대조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에서는 단기 마사지 치료는 운동 기능과 태권도 선수들의 피로 감소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선행 연구의 대부분은 물론,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지만, 고강도 신체 활동 또는 장기 스포츠 활동 스포츠 마사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 이다.

      • 윤석중 아동극 연구

        임지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윤석중의 아동극 작품을 발굴 복원하고 그 작품 세계를 분석함을 목표로 삼고 있다. 현재까지 윤석중에 대한 연구는 동요·동시를 중심으로 다른 아동문학 작가에 비해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아동극은 전혀 연구되지 못했다. 이는 그가 남긴 아동극 작품이 적은데다 다른 장르에 비해 아동극의 연구 기반이 취약한 탓이다. 윤석중 아동극에 대한 연구는 근대아동극사에서의 성취는 물론이거니와 윤석중 문학의 균형 있는 연구와 장르간의 교섭을 통해 그가 보여준 현실인식과 주제의식을 탐구하는데 필요하다. 윤석중의 아동극 작품은 비록 몇 편 되지는 않지만 근대 아동극사에서 괄목할 만한 족적을 남겼다. 창작아동극의 개척기에 서사적으로 탄탄하고 기발한 발상이 돋보이는 동화극을 발표하였고, 현실비판적인 동요를 모티브로 하여 좌·우 문인의 중간지대에서 독특한 문학적 성취를 이루어냈다.

      • 초등학교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에 관한 교사의 인식

        임지연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초등학교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에 관한 교사의 인식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임지연 본 연구에서는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검사의 개선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 인천, 서울 지역 초등학교 일반교사 205명이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실시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전반 적인 인식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실시 과정에 대한 25문항의 설문지이다. 총 205명이 답한 설문 결과를 검정, 검증,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7년 현재 본 연구 대상자인 초등학교 교사의 80%이상은 학교차원의 정서·행동장애 선별검사인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가 실시됨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학교차원의 선별검사가 필요함에 대체로 동의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가「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를 실시하였을 때 아동 행동 평정 일치도는 ‘보통’ 정도였다. 교사-학부모간 일치도를 높이기 위해서 해당 아동의 담임교사가 어떤 방식으로든 선별검사에 참여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셋째,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실시 과정에서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으로 1차 선별검사에서 선별된 학생에 대하여 학부모의 동의가 없어도 2차 심층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법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후 이루어지는 상담 등의 후속조치 진행에 대하여 교사들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선별된 아동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여 지속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의 결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족한 전문상담인력을 학교 내에 충원하여 학생, 학부모, 교사가 수시로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을 가장 원하고 있었다. 핵심어:「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정서·행동장애 아동 선별, 검사의 개선방안, 검사의 제도적 보완점

      • 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수용-행동, 우울, 분노에 미치는 효과

        임지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수용-행동, 우울, 분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자기 인식과 수용을 경험하고 잠재한 미래의 가치를 찾아 행동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1. 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수용- 행동, 우울, 분노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수용-전념치료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과정에서 나타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 도네페질 마이크로입자를 함유한 이중 약물 방출용 마이크로니들 제조 및 특성 연구

        임지연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츠하이머 질환에 적용되는 대표적 약물인 도네페질을 용융 마이크로니들 구조체 및 마이크로입자에 담지하여 이중으로 약물 방출이 가능한 경피약물전달체를 개발하였다. 초기 약물 방출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구조체는 Polyvinylpyrrolidone (PVP) 50%(w/w) 용액과 Donepezil HCl 약물을 첨가한 Sucrose (SU) 60%(w/w) 용액을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되었다. 마이크로입자는 Poly lactic-co-glycolic acid (PLGA)를 기반으로 Donepezil 약물을 첨가하여 O/W 에멀젼-용매 증발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마이크로입자와 DI water가 혼합된 용액 90㎕를 몰드위에 분주 후 진공 상태에서 마이크로몰드의 캐비티에 주입하였으며, 마이크로입자가 충진된 캐비티에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입자를 함유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마이크로입자 및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통해 구조적 형태를 평가하였으며 기계적 강도는 만능물성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Donepezil 마이크로입자가 함유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단시간 약물전달 특성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서방형 약물전달을 위한 마이크로입자는 14일간 약물전달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중 약물 방출이 가능한 마이크로입자를 함유한 마이크로니들은 초기 약물 방출 이후에도 마이크로입자에서의 지속적인 서방형 약물 방출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onepezil, the representative drug applied to Alzheimer’s disease, was poured into the dissolving microneedle structure and microspheres for developing a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that could release two different drugs. The microneedle was prepared from two mixture of PVP and donepezil. The microsphere was manufactured by O/W emulsion-solvent evaporation by adding Donepezil Free base drug based on Poly lactic-co-glycolic acid(PLGA). Microsphere solution (50㎎/㎖) was introduced we added microsphere solution into the cavity of micromold and removed air bubble through vacuum. Finally, microneedle array containing the microsphere was obtained from centrifugation method. The morphologies of the microsphere and microneedle array were investigated with opt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 confirm the stability of their structure. Also, the mechanical strength of microneedle for skin permeation was found with Texture analyzer and porcine skin. To prove the drug release profile of Donepezil's microsphere and microneedle, the drug concentration of medium collected at specific times was analyzed with spectro photometer after incubation at 37℃. It could be found that the drug release was sustained.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microneedle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containing microspheres that could release two different drugs for 14 days after initial drug reloading. Therefore, we suggest novel drug delivery system to improve drug efficacy and quality of patient's uptake.

      • 교육실습경험이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임지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3∼5학기 예비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육실습의 효과를 검증하고, 교육실습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4월 말 교육실습이 끝남과 동시에 교육실습을 경험한 62명과 교육실습을 앞둔 6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 음악교수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교육실습경험에 대한 네 가지 영역으로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검정,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해 교육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 교육실습을 경험한 62명의 수업지도 및 참관 횟수, 만족도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 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 유무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은 ‘음악 교과 지도’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생활지도’, ‘대인관계’ 영역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주목할 점은 생활지도 영역에서 교육실습을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더 낮은 효능감을 나타냈다는 사실이다. 이는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은 높여주지만, 학생과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 제고에 있어서는 큰 기여를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방증하며,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실천 지향적인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둘째, 교육실습을 경험한 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결정수준은 상대적으로 더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교육실습을 경험한 62명은 교직으로의 진로 결정 변화에 있어 상승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교육실습이 교직에 대한 인식 강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예비음악 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음악교수효능감의 모든 하위 요인은 ‘진로 결정’ 요인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음악 교과 지도’, ‘학생 이해 및 존중’ 순으로 ‘진로결정’ 요인과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음악교수효능감을 독립변수로 두고 진로결정수준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순회귀 분석을 살펴본 결과, 음악교수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32.3%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음악 교사들이 교직으로의 진로 결정에 있어 음악교수효능감이 중요히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예비음악 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 증진은 교직으로의 진로 준비 행동을 촉진해 예비교사의 역량 증진과 함께 향후 교사가 되어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 요인이라 볼 수 있다. 넷째, 교육실습을 경험한 집단의 만족도가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회귀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29.4%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지도 및 참관 횟수는 음악교수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두 변인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실습 환경 개선을 위해 예비교사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수업 참관 및 지도 경험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끝으로 교육실습은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학교 현장과 교육대학원의 교육 과정이 분리되지 않고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교육실습 생태계를 새로이 조성해야 한다. 예비음악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이 긍정적으로 형성되기를 바라며,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통해 학교·학생에 대한 현장 역량이 함양되기를 기대한다.

      •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에 관한 연구

        임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재현(representation)의 문제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인해 이전의 미술이 나타내던 정의와 다른 재현의 개념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대의 시각예술의 상황에서 등장하는 재현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이론가들이 자신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도 사회 문화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재현의 문제를 파악했던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시각예술에 적용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전통적으로 시각적 재현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대상과 그 대상을 재현한 그림이 닮음의 관계에 있다는 전통적인 모방 이론과 두 번째로 회화적 재현이 관례적인 특성을 지닌 언어적 기호처럼 그림의 이해는 해석의 문제라는 기호이론을 들 수 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논의되었던 모방 이론은 외부 세계를 보는 우리의 시각이 그림을 보는 시각(혹은 묘사하는 시각)과 동일하다는 입장에서 시작하였다. 이는 대상과 재현된 그림사이의 닮음을 보이는 그대로의 모방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했던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술모방이론은 재현적 묘사가 기호라고 주장하는 예술기호론에 의해 비판되었다. 대표적인 이론가인 넬슨 굿맨은 재현에 있어서 닮음, 즉 외형적인 모습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는 것이 재현의 필수조건이나 충분조건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에 의하면 대상을 재현하기 위해 그림은 그 대상의 기호이어야 하며, 재현의 핵심은 ‘지시’이고 닮음은 지칭에 필요하지 않다. 굿맨이 형식 논리학적인 관점에서 모방이론을 비판했다면, 또 다른 예술기호 이론가인 에른스트 곰브리치는 지각 심리학적 입장에서 그림이 기호라고 말했다. 곰브리치는 그림이 정보의 전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보와 정보의 의미인 지시체가 같을 수 없다는 관점에서 기호라고 설명하며, 그림이 관례적인 도식과 수정의 리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재현에 대한 논의들은 여러 시대를 거쳐 많은 이론가들에 의해 서로 다른 관점에서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공통적으로 재현이 실재와의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실재의 존재를 가정하고 재현된 것은 이 실재와 다른 것으로 전제한다는 점에서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가정은 실재는 현전(現前)이고, 재현은 부재(不在)라는 차별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것은 기표와 기의라는 일대일의 관계의 이분법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기존의 관념에서 이들의 관계는 기의에 의해 확정된다고 여겨졌다. 그런데 현대에 이르러 디지털 매체의 발전과 소비사회로의 전환이라는 새로운 현상들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한다. 우리가 궁극적 존재라고 믿고 있었던 기의가 기의일 수 있었던 근거는 그것이 초월적이기 때문이 아니고, 단지 다른 기표와의 차이(difference)에 의한다는 사실이 제기 된 것이다. 이제 기표는 기의에서 독립하여 스스로의 존재이유를 갖고, 기표와 기의는 전혀 무관한 존재가 된다. 보드리야르는 재현이 실재와 분리되어 원본 없는 이미지가 생성되는 오늘날의 현상에 대해 현실과 재현, 원본과 복제, 기표와 기의라는 차이들이 내파되어, 하나로 결합된 거대한 시뮬라시옹의 세계가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예술과 문화의 전개를 시뮬라크르의 역사로 파악하고 “세계 자체가 시뮬라크르로 바뀌었다”는 말을 통해 자신의 예술론적 입장을 밝혔다. 그에 의하면 오늘날 우리의 현실은 각 영역의 경계가 허물어져 반영해야 할 실재의 개념이 없는 세계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존재하게 되는 것은 원본 없는 이미지인 시뮬라크르 뿐이고, 현실은 시뮬라시옹의 세계가 된다. 각 영역은 서로 구별 없이 내파되어 더 이상 실재는 존재하지 않고, 예술과 세계를 구별할 수 없는 초미학적인 상황이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통적 의미의 실재 관념이 무너지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다시 정의되어야 하는 시각적 재현의 문제에 대하여 보드리야르가 제시한 이론을 근거로 연구하였다. Due to the paradigm shift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today’s concept of representation needs to be re-defined from the previous one. Many postmodernism theorists have presented their studies and arguments explaining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within the situation of contemporary art. Among those, this thesis aims to debate on the simulation theory by Jean Baudrillard in particular which looked at the representational problem in a socio-literary perspective. Traditionally, the debate of visual representation theory is divided into two major concepts. First is the mimic theory that the object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is in relation of resemblance. And another one is the sign theory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icture is the matter of interpretation such as linguistic signed image. The mimic theory by Plato and Aristotle departs from the fact that our perception of the world reflects or equal to what we perceive in paintings. This viewpoint interpreted the resemblance between the world of the paintings and its representations portray an exact replica of actual visual images. However the mimic theory was criticized by the sign theory of pictures which claimed that representation of paintings is a sign. I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Nelson Goodman’s theory, resemblance or similarity should not be the sole decisive factor in judging a representative work of art. Goodman claimed that in order to represent an object, a painting must be the symbol of the object and the key factor in representation is ‘indication’ therefore, resemblance is not necessary. If Goodman was criticized in a logical format, Ernst Hans Josef Gombrich believed that paintings are a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He explained that information was a symbol under the circumstance of which the information and the meaning of information of the object would not be same. Furthermore, he viewed a painting as a composed conventional schemes and revisable rhythm. Representation of art work therefore was mentioned and debated by many different theorists in various viewpoints. These theorists shared a common theme in that they believed representation and reality shared and coexisted with each other. The premise that representative work done based on an assumption of an actual object can be different from its original is also commonly shared by these theorists. These assumptions assume and distinguish that the reality presents itself, and representation is absent, therefore this is possible. However, today’s consumerist culture and digital communication which related to mass reproduction technologies mainly focuses on symbolic value of an object. This phenomenon brought questions about traditional object-representation relationship. We believed ‘signifie’ as ultimate concept ,but the reason why ‘signifie’ could be ultimate concept is not based on its transcendental feature. ‘signifie’ only associate with difference of other ‘significant.’ Therefore, ‘significant’ is independent of,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significant is now separable. According to Jean Baudrillard, particular sign is not necessarily attached to a particular concept anymore. In this situation, link between reality and representation, original and copy, and significant are destroyed by collapsing in on themselves. Baudrillard describes this movement from "representation" (of something real) to "simulation" (with no secure reference to reality). This movement from representation to simulation changes the relation between sign and referent, so that we lose the connection, once presumed to exist, between sign or image and the reality to which both were thought to refer. Jean Baudrillard was well aware of this potential regression in representation, and there was an ongoing debate over what it and related considerations might show. According to Jean Baudrillard, history of art and culture is history of simulacra. He writes: “it is no longer in the order of appearance at all, but of simulation." Finally, Baudrillard explained that true consciousness does not exist anymore, and only “false” image remains after another, which is simulacra. With such reasoning, he characterized the present age as one of "hyper reality" where the real object has been effaced or superseded, by the signs of its existence. In this situation, we are not able to distinguish art and real world that is called ‘transesthetique.’ This thesis aims to study about the matter of representation that needs to be re-defined within today’s situation which conventional concept of reality is destroyed based on the theory of Baudrillard.

      • 기업체 종사자의 공공낙인과 자기개방, 자기은폐 경향 : 자기낙인의 조절효과

        임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 상담이란 기업 내 심리 상담을 말하며 “심리상담 전문가가 조직구성원이 성숙한 자기로 변화하도록 도와, 이를 통하여 조직효과성을 극대화시키는 심리적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현재 기업 상담 연구에서는 기업 상담의 주체가 될 기업체 종사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제 기업 상담 현장에 오게 될 기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도움추구 행동과 상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알려진 낙인, 자기개방, 자기은폐 성향 알아보았다. 성취 지향적이며 남성 중심적인 기업에서 배려와 개방성이라는 여성적 특질을 지닌 상담이 그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보고, 대학생 대상 연구와는 다른 남녀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다양한 세대가 존재하는 기업현장에서도 세대 간 차이가 관리의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40대, 30대, 20대로 나누어 연령 차이를 비교하였다. 낙인은 도움추구 회피요인으로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요인이다. 본 연구는 낙인을 공공낙인(public stigma)과 자기낙인(self stigma)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연구를 진행했다. 공공낙인은 한 개인이 집단이나 사회에 의해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없고 종종 사회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개념이다. 공공낙인은 한 개인의 수준에서 측정된 것으로 개인에게 지각된 공적 낙인을 뜻한다. 자기낙인이란 자신이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없는 사람이라는 개인적인 자기 진단에 의해서 야기되는 자아존중감(self-esteem)이나 자기가치감(self-worth)의 감소이다. 자기개방(self disclosure)은 의미 있는 다른 사람에게 자기 자신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행위 또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고, 자기은폐(self-concealment)는 개인이 고통스럽거나 부정적인 것으로 지각되는 개인적 정보를 타인에게 적극적으로 감추려는 경향성이다. 자기은폐는 자기개방 연구의 맥락 속에서 나왔으나 개념적으로나 경험적으로나 자기개방과 구별할 수 있다. 자기은폐는 은밀한 개인적인 정보를 의식적으로 감추는 것을 의미하며 그 대가로 치르게 되는 인지 및 정서적 부담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기업체 종사자들의 상담의도와 과정에 영향을 주게 될 공공낙인, 자기낙인, 자기개방, 자기은폐를 중심으로 개인특성을 파악했다. 공공낙인과 자기낙인의 상호작용이 자기개방과 자기은폐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을 가정하고, 자기낙인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대기업 5곳에 근무하고 있는 사무직 근로자 240명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표집 된 응답자들은 공공낙인, 자기낙인, 자기개방, 자기은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우선 이를 다양한 연령대와 성차비교를 통해 각 변인들의 차이를 비교하고, 각 변인들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자기낙인이 공공낙인과 자기개방, 공공낙인과 자기은폐를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로 분석했다. 연구문제에 따라 그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은폐 성향에서 남녀 간 차이가 있으며, 여성의 은폐성향이 크다. (2) 자기낙인과 자기개방은 연령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40대가 20대와 30대보다 자기낙인 수준이 높고 자기개방이 낮다. (3) 자기개방이 낮은 집단은 공공낙인이 증가하면 자기개방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자기개방이 높은 집단은 공공낙인이 증가하면 자기개방이 증가한다. 공공낙인이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낙인이 조절한다. (4) 자기은폐가 낮은 집단은 공공낙인이 증가하면 자기은폐가 감소하고, 자기은폐가 높은 집단은 공공낙인의 증가와 관계없이 높은 은폐 수준을 유지한다. 자기은폐에 공공낙인이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낙인이 조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ttitudes of office workers toward public stigma, self 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on effects of self stigma between public stigma and self disclosure, public stigma and self-concealment.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240 office workers in 5 corporations. They involves 140 male and 100 female worker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Each participant received a package of the instruments ; 12-item Perceive Devaluation- Discrimination scale(Link, Cullen & Wozniak, 1987), Self-Stigma of Seeking Help Scale(SSOSH:Vogel, Wade& Haake, 2006),Distress Disclosure IndexDDI: Kahn& Hessling, 2001) and Self Concealment Scale(SCS: Larson& Chastain,1990).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gender difference found in self-concealment. Female participants showed high self-concealment. 2. There was age difference found in self stigma and self disclosure. The forties showed higher self stigma than the twenties and the thirties. Also the forties showed lower self disclosure than the twenties. 3. Self disclosure varied with self stigma. Moderating effect of self stigma occurred between public stigma and self disclosure. 4. Self-concealment varied with self stigma. Moderating effect of self stigma occurred between public stigma and self-concealment.

      •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 개발

        임지연 高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평가의 이론적 개념모형을 구안하여 이론적 실증적으로 타당화된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평가준거체제의 영역과 주요 평가준거항목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개발된 평가준거체제의 영역과 평가준거항목이 타당하고 신뢰할 만한가, 셋째, 평가준거체제의 영역과 평가준거항목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핵심관련자의 평가경험의 유무와 소속에 따른 집단 간 인식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 가로 설정하였다. 평가준거체제 개발의 이론적 타당화 과정으로서 프로그램논리를 적용한 이론적 개념모형을 구안하고 평가준거체제 개발을 위한 메트릭스를 작성하였다. 이 개념모형과 메트릭스를 활용하여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 평가준거체제 초안을 3회에 걸친 전문가의 검토와 자문을 거쳐 수정하고 보완하여 평가준거체제로 확정하였다. 확정된 평가준거체제를 실증적인 방법으로 타당화하기 위하여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 평가핵심관련자로서 청소년지도자 및 청소년정책관련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78부를 분석하였다. 평가준거체제의 영역분류의 타당화를 위한 통계분석 방법은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평가준거체제의 영역구분에 대한 평가핵심관련자 집단 간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F-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확정된 평가준거체제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최종 평가준거체제는 13개 영역의 63개의 항목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프로그램 평가준거의 13개 영역은 프로그램 논리사정, 평가 설계 준비, 내용선정, 구체적 내용, 참여촉진, 모집&#8228;활동방법, 안전&#8228;위생관리, 운영자 역할, 사후관리&#8228;연계협력, 운영환경, 반응평가, 학습 및 행동평가, 결과평가로 나타났다. 둘째, 최종 평가준거체제에 대한 평가핵심관련자 집단 간의 인식차이는 다음과 같다. 평가경험의 유무에 따른 집단간 인식차이는 F-검증을 실시하고 사후비교로서 집단 간의 이질성 검증을 위한 Scheffe 검증(p< .05) 결과, 전체 63개 항목 중에서 7개 항목에서 차이가 검증되었다. 차이가 검증된 항목은 목적을 반영한 내용, 참여자 수준에 적합한 내용, 융통성 있는 내용, 적합한 참가자 모집, 프로그램 운영자의 전문성, 장소 시설 및 장치의 적절성, 목표성취 파악의 항목에서 집단 간의 이질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정책관련자의 집단간 인식차이는 t-검증(p< .05) 결과, 평가결과 활용의 항목에서 차이가 검증되었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 논리를 적용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평가의 이론적 개념모형을 구안하고 평가준거체제 개발 메트릭스를 제시하여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를 개발한 것이다. 이를 실증적인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평가준거체제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는 평가 대상 프로그램의 논리를 파악하여 맞춤평가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갖는 평가준거체제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평가준거체제를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프로그램의 특성, 평가목적에 따라 평가핵심관련자의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여 필요한 준거를 융통성 있게 선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종합적인 평가준거체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주요어 : 논리주도평가, 맞춤평가, 평가준거체제, 프로그램논리, 프로그램 평가,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통합적 평가접근방법, 평가준거체제의 타당화, 평가논리, 평가모형, 평가핵심관련자 This study purports to develop a theory-driven evaluative criteria set for youth activities which is validated from not only theoretical but empirical points of view. Prior to empirical validation process, conceptual framework for evaluation is produced. Specifically,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of all, how should we develop appropriate categories and subsequent items for youth activity evaluation? Secondly, are those categories and items reliable and valid? Finally,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ajor stakeholders in terms of their responses to evaluation items? As a theoretical validation process, conceptual framework for evaluation is developed based upon the program theory. In order to construct evaluative criteria set, matrix is also developed. The final version of criteria set is confirmed after three times of experts'' examination. The survey is performed to empirically validate the final version of criteria set. Respondents mostly consist of youth-related workers, such as youth leaders and youth policy experts who are presumed to have some level of knowledge on youth programs. Statistical techniques for this study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test using Cronbach-alpha,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group differences in respondents'' attitudes on the criteria se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final criteria set could be classified into thirteen categories and the number of items in thirteen constructs is sixty three. Those thirteen constructs are program theory assessment, evaluation design preparation, content selection, specific content elements, participation facilitation, recruitment activity method, safety&#8228;hygiene management, role of operator, follow-ups and cooperation, operation environment, reaction evaluation, learning and behavior evaluation, result evaluation. Second, the results of F-test and subsequent post-hoc comparison suggest that significant differences(a=.05) are found in seven items out of sixty three among those groups which are divided in terms of existence of evaluation experiences. Those seven items are contents of purpose, contents of participant level, contents of flexibility, suitable participants recruitment, operators'' professionalism, appropriate facilitation and equipments, objectives'' achievement. Besides, youth leaders and youth policy experts show different attitudes in response to the statement on evaluation result application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a=.05). The construction of theory-driven evaluative criteria set is an on-going process and this study hopefully contributes to this process by adopting theoretical framework for youth program evaluation.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representation of various perspectives from major stakeholders in youth program evaluation when applying evaluative criteria set.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riteria set developed here is very comprehensive in its scope, which means that people in youth programs or evaluation field could use the items with high level of flexibility depending upon their specific contexts as well as interests. Key words: theory-driven evaluation, fitting/tailoring evaluation to program, evaluative criteria set, program theory, program evaluation, youth activity program, integrating evaluation approaches, validation of evaluative criteria, evaluation logic, evaluation model, major stakehol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