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연기관 배기다기관의 유동저항에 따른 흡기다기관의 진공압력 변화에 관한 연구

        임영수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배기가스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엔진 내부에서의 유해가스저감 기술만으로는 규제를 만족하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른 후처리 기술적용이 불가피해졌고, 배기 시스템은 후처리 장치의 장착으로 복잡해진 구조가 되었다. 복잡해진 구조로 인한 저항체가 많아질수록 배기다기관의 고장 확률도 높아진다. 본 연구는 내연기관 엔진의 여러 고장 중 배기다기관의 막힘에 의한 문제를 흡기다기관의 진공압력을 관찰하여 스톨테스트, 급가속시 진공압력 변화, 공회전시 밸브 파형 진폭비교 실험을 병행하여 배기다기관의 막힘에 대한 문제를 쉽게 진단할 수 있었다.

      • 콘크리트 비파괴 검사를 위한 전자파 레이더의 모의해석에 관한 연구

        임영수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roduces a simulation model of radar responses with frequencies on voids in concrete. In this model, the resolution and the attenuation according to radar frequencies in each interface which has different electromagnetic property are analyzed.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estimate the limitation of propagation depth of radar on voids in concrete. The computed results show the radar images based on radar signal processing using convolution technique. As a result,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simulation analysis based on the assumed model in this study is effective to interpret radar response image on voids in concrete

      • 공정 결합제에 따른 초경합금 공구소재의 특성변화 연구

        임영수 안동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정 결합제인 Paraffin, PEG(Poly Ethylene Glycol), PVA(Poly Vinyl Alcohol) 등 유기물 첨가제를 달리하며 초경합금 공구소재의 특성변화에 대해 관찰하였다. PVA경우 공정 결합제 양이 증가함에 따라 성형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 반면, Paraffin, PEG 경우는 공정 결합제 양에 따라 성형밀도가 증가하였다. 이중 Paraffin의 경우는 공정 결합제 양이 4wt% 이상에서는 결합제량 증가함에 따라 성형밀도가 감소하였으며, 이로부터 성형체 특성에서도 최적의 결합제양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결합제를 첨가함에도 성형밀도가 증가하는 것은 결합제가 분말 입자 사이에 존재하여 결합력을 제공하고 입자간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성형밀도를 높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성형체 강도는 Paraffin 결합제를 사용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EG, PVA 결합제 경우는 성형체강도의 높은 향상은 관찰할 수 없었다. 하지만 PEG 경우 PEG4000과 PEG400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성형체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결합제가 분말입자에 흡착성이 높으면서 결합제 분자간의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날 때 성형체 강도의 향상이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결합제 양이 많을수록 강도가 높아지는 것은 성형체기공률이 작아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되며 PEG4000과 PEG400의 혼합한 결합제 대비 Parafiin의 경우 성형체강도가 높은 것도 상대적으로 성형체기공률이 낮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탈지 후 기공률의 경우 Paraffin 결합제를 사용할 경우보다 PEG4000과 PEG400을 혼합한 것이 높게 관찰 되었는데, 이는 소결 중 탈지공정에서 결합제가 제거됨에 따라 소결 후 기공으로 남을 확률이 높음을 의미한다. 소결 후 합금 특성에서 Paraffin의 경우 결합제를 6% 첨가하였을 때 시편이 파괴되는 형상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열처리 중 응집된 결합제가 팽창하여 파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Paraffin 결합제 6%를 제외한 나머지 1~4%의 경우 합금 특성은 모두 만족하였고, 이로 인해 결합제 첨가량은 4%이하가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PEG 결합제의 경우 첨가량 1~8%에서 모두 양호한 합금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PEG결합제의 경우 혼합시에도 액체 형태로 존재하여 다른 결합제 대비 고른 분포를 갖게 되어 8%의 많은 양의 결합제를 첨가하여도 양호한 합금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PVA 결합제의 경우 1-6% 첨가량 모두에서 기공, 밀도, 경도 등 대부분의 합금특성이 Paraffin이나 PEG 대비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합제 첨가량 증가에 따라 합금특성치의 저하는 보다 크게 나타났다. 성형체 특성이나 소결 후 합금특성으로부터 PVA는 초경합금 제조시 사용되는 공정 결합제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공정결합제의 경우 혼합시 고르게 분포하며, 결합제와 혼합분말 사이에 흡착력이 우수하면서 결합제 분자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우수한 성형체 및 합금특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pray dryer를 이용하여 구형의 조립분말을 제조할 때, 적합한 조립의 제조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Paraffin을 사용하여 제조한 조립분말 크기에 따른 초경합금 특성변화에 대해 관찰하였다. 일축 프레스로 성형할 경우 50㎫의 약한 압력하에서도 대부분의 조립이 파괴되어 조립 기공과 같은 성형체의 결함을 관찰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정수압성형의 경우에는 150㎫의 높은 압력을 가하여도 조립이 파괴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수압 성형과 일축성형 시에 분말 혹은 성형 조건을 다르게 가하는 것이 조립 기공이 발생하지 않는 성형체를 제조하는데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조립이 파손된 10-350㎛ 크기의 전체 혼합조립 보다 100-212㎛ 크기의 분류된 조립에서 우수한 합금특성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조립의 적합한 평균입도는 100-200㎛로, 제조된 조립은 운반 및 보관 중 파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강도를 갖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rocessing binder effects on the properties of submicron WC-Co alloys were observed using paraffin, PEG (polyethylene glycol) and PVA (polyvinyl alcohol) binder systems. Paraffin binder system has the superior green density and strength to that of other binder system in WC-Co hard materials. It has also the excellent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fter sintering except more than 6 wt% addition. However PEG as well as paraffin can be recommendable binder system in WC-Co hard materials. The green density and strength of submicron WC-Co alloys used mixture of PEG4000 and PEG400 binder were superior to that single-handed PEG4000 or PEG400 separatel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ntered body as well as green body were comparative with that of paraffin. Granule powders used PEGs as a binder system can be easily prepared in mass production system because they can be soluble in alcohol and water solvent. The heat-treatment for debinding PEGs compared with paraffin can be partly changed to obtain superior properties of WC-Co alloys due to their different thermal characteristics. Most of spray-dried granule powders with paraffin binder were easily deformed at low pressure, 50 MPa under uniaxial pressing, However, the granule pores were observed in green body hydrostatically pressured at high pressure, 150 MPa because granule powders were not deformed. The spray-dried granule powders with 100-200㎛ average granule size have a superior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fter pressing and sintering process. The spray-dried granule powders should have an adequate strength to avoid fraction of granules during treatment and transportation.

      • 소하천에서의 방재용 스윙교량에 관한 연구

        임영수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에 의해 집중호우가 보다 빈번히 발생되고, 도시화의 진행에 따른 지표의 불투수성 재료 사용 증가로 인해 지표 내부로의 침투수가 급감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와 비교 할 때 동일 수준의 강우량으로 나타나는 하천에서의 유출량은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또한 최대유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욱 단축되어 조기에 홍수위에 도달하게 되므로 특히 소하천에서의 방재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전국의 소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수많은 징검다리 및 세월교는 집중호우 시 수위의 급상승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실제 인명피해의 발생이 빈번한 실정이다. 이러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각 지자체에서는 수시로 재해방지 감시활동을 벌이고 있으나, 직접적인 인력배치에 의한 현장통제 이외에는 뚜렷한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므로 기존의 징검다리 및 세월교를 대체할 수 있는 획기적인 대안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기시 유수량의 증가로 인해 높아진 하천수위에 징검다리나 세월교가 잠김으로써 발생되는 인명피해와 통수단면의 감소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교량의 개발을 연구의 목표로 하여 새로운 형식의 교량인 스윙교를 개발하여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스윙교는 하천의 유수량에 따라 교량이 회전 이동하여 유수량이 적은 시기에는 한 쌍의 스윙 교량판이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민들이 하천을 안전하게 건널 수 있게 하며, 유수량이 많은 우기시에는 스윙교 교량판이 유수량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스윙 작동하여 고수부지 제방으로 수납되어 교량의 단절상태를 만들어 시민들이 하천을 건널 수 없게 하여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량을 스윙 작동하게 되면 기존의 징검다리나 세월교와 다르게 교량상부구조와 하부구조 등의 고정 구조물이 고수부지 제방으로 회전이동 하여 하천의 통수단면적에 저해되는 구조물이 일시적으로 없어지므로 하천 유속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쓰레기와 같은 부유물질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명피해 및 침수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으로 유수량에 따라 교량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스윙교량을 개발하고자 먼저 구조해석을 통한 안전성을 검토하고 시험시공을 실시한 후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개발한 회전 장치가 설치된 스윙교를 방재용 교량으로써의 기능성과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years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extreme weather becomes more frequent downpours by lesions, are indicative of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Mercury's held over due to the increased penetration of the materials used, the number plummeted to the inside surface. This is the same as when compared with past levels as a result of the rainfall in the river's outflow, which appears as dose is gradually increased, and also reduces the maximum flow rate is even more time to reach to reach especially the flood the of early Soviet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re needed in the rivers. Currently, there are numerous small rivers are installed across the legs and the years that torrential rains could have been at risk from rising above the actual causes of fatalities are frequent. To reduce these casualties in each of the municipalities are fighting disaster prevention surveillance activities from time to time, direct on-the-spot control of staffing, in addition there is a distinct way of reality without the traditional legs and can replace all these years in desperate need of a breakthrough alternative school. Therefore, in this paper, could be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rivers during the rainy season: oil on legs and I would recommend the likeness being caused as many fatalities could be reduced, as well as the issue of the section and you can deal with the aim of the research is the development of the bridge a new type of bridge is a swing bridge which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the river swing bridge-a bridge, go to the free quantity with less rotation, at a time when a pair of swing bridge plates, while keeping the citizens of the State of the connection to be able to pass safely, and u have come up with large quantities at swing bridge, bridge plate, which is why the quantity of works the swing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iver embankment has been cut off from the State of bridges in the glove compartment to make citizens crossed the rivers can no longer prevent the casualties in advance. In addition, when you work with existing swing bridge legs in my years and fixed structures, such as bridges, superstructures and infrastructure differently and go to the river embankment to cross through rivers into the rotation on the flow of the river flow rate structure temporarily lost is rubbish smoothly and as such could not be queried jam happens the float. Therefore, in this study, fatalities and flooding, as a way to prevent damage to the oil quantity according to the bridge and swing bridge to operate automatically, the first structure to develop, review and test the safety and construction through an interpretation carried out and then re test carried rotat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swing bridge that was developed by prevention fitness function of performance as the Dragon bridge.

      • 자기 조직 신경망을 이용한 대체공정이 있는 셀 생산방식에서 기계-부품 그룹형성

        임영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셀 생산방식에서 일반적 GT(GGT: generalized GT) 문제란 각 부품에 수 개의 대체공정이 있는 0-1 기계-부품공정 행렬을 사용하여 기계-부품 그룹을 형성하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셀 개수와 기계그룹의 기계수 상한 및 하한의 제약이 있는 GGT 문제를 자기 조직 신경망(SOM: self-organizing map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계-부품 그룹을 형성하는 해법을 제안한다. SOM은 Kohonen이 제시한 경쟁학습 모형으로 주어진 정보를 유사한 입력의 집합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성 인식, 문자 인식 등 다양한 문제에 적용한다. 본 연구의 해법은 먼저 기계그룹을 형성하고 각 부품을 특정 기계그룹에 배정한다. 기계그룹은 SOM을 이용하여 형성하는데 학습시킬 때 입력노드로 공정을 모두 사용한다. 각 대체공정의 기계그룹 이용률을 구하여 그중에서 가장 낮은 최대 기계그룹 이용률을 갖는 공정을 제거하고 남은 공정을 이용하여 다시 SOM을 학습시킨다. 위의 과정을 부품별로 한 공정이 남을 때까지 반복한다. 다음 단계에서 각 부품을 기계그룹의 이용률에 따라 기계그룹별로 배정하여 기계-부품 그룹을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외요소의 개수와 그룹화 효율을 사용하여 제안하는 해법과 기계수 상한과 하한을 고려할 수 있는 기존해법과 비교한다. 기존의 문제 11개에 대해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5개의 문제에서 효율적인 그룹을 형성하였다. In cellular manufacturing systems, Generalized GT problem means to form machine-part group by using machine-part incidence matrix having alternative processes to each part.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algorithm to form machine-part group by using Self-Organizing Maps(SOM) to Generalized GT problem which has restraints on the number of cell and the number of maximum and minimum machine in group. SOM has a function classifying given information with similar inputting group as a competitive learning model that Kohonen suggested. It can be adapted upon various problems such as voice recognition and character recognition and so on. This algorithm forms machine cell ahead and allocates each parts to the machine cell. SOM uses all process as input nodes when learning. As finding out machine cell utilization of each alternative process, amongst them after eliminating process gaining the lowest machine cell utilization and SOM is learned again by using the rest of the process. The process above by part should be repeated until one process remains. At the next step, it forms machine-part group by allocating part using machine cell utilization. This paper compares a proposed algorithm the number of exceptional element and grouping efficacy with a previous one to consider the number of maximum and minimum machine. In 5 problems, algorithm to offer upon previous 11 problems formed an efficient group.

      • 貯水地의 上流域 特性에 따른 流砂移送 機構의 分析

        임영수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저수지 상류에서의 유역특성에 따른 유사이송 기구를 분석함으로써 유사의 이송특성을 구명하고자 지방하천인 연기군 서면에 위치한 월하천 유역을 대상하천 유역으로 선정하고, 이 하천 하류구간에서 홍수기의 유사농도 분포를 최근에 개발된 유사량 측정기(ASM-Ⅳ)를 통해 실측 · 분석하였다. 이 유사량 측정기를 사용해 실측된 유사농도의 분포와 온도 및 수압, 총유사량자료는 ASMA를 통해 전체시간자료와 2등분자료 및 3등분자료, 전수심과 2등분수심자료 및 3등분자료로 구분하여 측정시간별 및 수심별 유사농도분포와 수리학적 특성을 3차원적으로 각각 비교 ·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전측정시간 및 전수심에 대한 분석에 비해 시간에서 3등분, 수심에서 2등분으로 분할하여 분석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렇게 하여 선정된 자료에 대해서는 관련변수간의 평면좌표를 이용해 분석하여 정량적인 해석을 실시하였다. 평면좌표 분석에 의한 강우시 저수지 유입구에서의 측정시간 40.53분 측정자료에서 유사농도는 유량과 유속이 일정할 경우 수온의 변화에 따라 증가하였고, 평상시는 유입유량 및 유속이 감소되었으며, 흐름이 안정될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측정 시간동안 수온과 수압의 변화에 따라 유사농도는 아주 미소한 양의 변화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mount of sediment carried in the fluvial system is usually governed by the availability of the upstream supply from watersheds rather than the transport capacity of rivers. Upland erosion pollutes surface waters and often causes serious problem when deposition occurs. The physical processes governing the movements by rainfall and snowmelt are very complex.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 a sedimentation distribution and a transport characteristics with the upper watershed system in reservoirs. Study watershed in alluvial river system selected drainage area in Walha of small-river at Yunkee-Gun, Chungnam Province. Field measured technical method by the ASM(Argus Surface Meter)-Ⅳ offers various complementary results which provide to be extremely useful, for instance in sediment concentration and total sediment analysis, comparison variation of water pressure and temperature in measuring points. Measured sampling data analysed for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n the distributiln of sediment concentration, temperature, water pressure, and total sediment discharge by the ASMA divided entirely, two or three into equal parts at the scales of measuring time and flow depth, respectively. As a results, effective analysis method show that three and two proportions at measuring time and flow depth scales, respectively,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proceed to use the plane coordinate system in deriving with the relationship of various parameters. By the analysis of plane coordinate system, sedim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t the mouth of reservoirs for the rainfall periods show that increase with water temperature variation on the conditions in constant of discharge and flow velocity. And those for the non-rainfall periods show that decrease with the inflow discharge and flow velocity, for the steady flow seem to be little transformed on the specific time periods with water temperature and pressure,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