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악천후 환경에서 이동로봇 센서장치의 오작동 비교 연구

        이충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센서들의 악천후와(고온, 저온, 안개, 황사 및 미세먼지 등) 기후의 변화에 따른 자율형 이동체 센서들의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라이다 센서 오작동 비교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자율형 이동체의 오작동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여러분야에서 쓰여질 센서가 오작동에 대한 대비와 보완을 하기 위해 실험을 하였다. 실험방법은 자율형 이동체를 조립하고 간단한 코딩후 악천후 환경에서 실험이 이루어졌다. 특히, 어둠의 환경은 야간에 연구실에서 조명의 불을 끈 뒤 어두운 환경에서 실험을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센서들의 가상의 악천 후 환경에서 비, 안개, 미세먼지 및 황사, 강한 햇빛에 오작동을 일으켰고 고온과 저온에서는 특정 온도에서만 센서의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이 가능하지 않았다. 즉, 초음파 센서는 -25° C - +70° C 환경에서 동작하고[15] 적외선 센서는 –40° C - +80° C 환경에서 동작한다. 그리고 레이저센서는 –20° C - +2000° C 동작하고 라이다 센서는 –10° C - +50° C에서 동작한다. 이러한 온도기준에서 작동하는 센서들은 시뮬레이션이 가능하지 않았다. 실험결과에서 나타내는 결과는 센서들은 안개와 비, 미세먼지와 황사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입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반면 사람이 눈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입자의 크기를 확인할 수 없는 온도라는 환경에서는 반응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결론을 바탕으로 자율형 이동체의 사용시 벌어지는 오작동을 보완하여 자율형 이동체의 관한 센서의 오작동의 반응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물론 고가의 센서들에서도 이러한 특징들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뒤에서 소개될 스마트자동차 사고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고가의 라이다 센서에서도 오작동이 일어났으나 본론에 나올 포드자동차 등에서는 센서의 오작동을 보완한 자동차들이 시현되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alfunctions of autonomous mobile sensors due to bad weather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fog, dust and fine dust), and climate change of sensors (ultrasonic sensor, infrared sensor, laser sensor, do.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alfunction of the autonomous mobile body, the sensors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have been experimented to prepare for and compensate for the malfunc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n adverse weather environment after simple coding of autonomous moving objects. In particular, the dark environment experimented in a dark environment after lighting the lights in the laboratory at nigh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imulations were not possible due to the sensor malfunction in the environment of the virtual bad weather of the sensors, which caused malfunctions such as rain, mist, fine dust and yellow dust and strong sunlight. Ultrasonic sensors operate in the -25 ° C to + 70 ° C environment. [15] Infrared sensors operate in the -40 ° C to + 80 ° C environment. The laser sensor operates from -20 ° C to + 2000 ° C and the Lidar sensor operates from -10 ° C to + 50 ° C. Sensors operating at these temperature standards were not simul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ensors react sensitively to relatively large particles such as fog, rain, fine dust, and dust, while they do not react in environments where the temperature is too high for human to recognize the particle size I can conclude. Based on th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pe with the malfunction of the sensor related to the mobile robot by compensating for the malfunction that occurs when using the autonomous mobile object. Of course, the possibility of these features appearing in expensive sensors can not be ruled out either. As you can see from the case of smart car accident that will be introduced later, there is a malfunction in the expensive Lidarsensor.

      • 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수요 예측 기법의 예측 타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이충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요 예측 모형으로서 성장 곡선 모형의 유용성과 확장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모형의 예측력에 대한 비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모형 구성에 사용된 자료에 가장 적합하여 선택된 모형이 결과적으로 우수한 예측력을 보일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예측 모형의 예측력과 적합도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실증 연구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 따라서 성장곡선 모형이나 확산모형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모형에 내재된 수학적인 근거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모형 자체가 갖고 있는 가정과 한계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성장곡선 모형과 확산 모형의 모형 적합성 및 예측력을 측정하여 기존 모형의 성과를 재검토하며 둘째, 사용된 모형의 예측 타당성을 다양한 검증기간을 통한 검증하고 셋째, 최종적으로 모형의 구성기간의 변화에 따른 각 모형의 적합성 및 예측 타당성의 순위 변화를 파악하여 구성기간의 변화가 모형의 예측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며 넷째, 관리적 판단에 의해 초기값이 설정되는 변수들이 모형의 예측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적합도와 유의성 측면에서 로지스틱 곡선 계열의 모형들 중 곡선의 유연성이 큰 NSRL 곡선이 단순한 로지스틱 곡선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곰페르츠 곡선의 경우 모형의 적합성과 예측 적합성 모두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자료의 수가 14개로 제한된 비선형 회귀분석 모형에서 다른 모형들보다 월등히 우수한 예측 적합성을 보여주었다. 와이블 곡선 모형 역시 모형 적합성과 예측 적합성 모두에서 곰페르츠 곡선 모형과 유사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loyd 곡선 모형의 경우에는 전체 자료를 통한 모형의 적합성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예측 적합성은 떨어져 모형이 자료에 과잉 맞춤 되는 경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로지스틱 곡선 모형이나 Bass의 확산 모형의 경우 비선형 회귀 분석 방법을 통해 추정한 결과 구간별로 과잉 추정과 과소 추정의 폭이 다른 모형에 비해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여 주었다. 특히 Bass 모형의 경우 자료의 수가 제한될수록 모형이 로지스틱 모형과 유사하거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자기 회귀 모형의 경우 모형의 자료의 수가 제한될수록 잠재시장 규모가 작게 추정되어 예측 타당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회귀 모형은 단기 예측의 성과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선형 회귀 모형에서는 잠재시장의 초기치 설정이 모형의 적합성 및 예측력을 좌우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회귀 모형에 비해 일반적으로 초기치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모형을 구성하는 자료의 수를 달리하여 각 자료 수준별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특히 로지스틱 곡선 계열의 모형인 경우 모형 구성의 자료가 부족한 경우 좌우 곡선의 비대칭성이 깨지고 대칭적인 형태로 회귀하는 경향을 가지며 과잉, 과소 추정의 문제를 나타냈다. 따라서 자료의 수가 제한적일 경우에는 모형의 곡선 자체가 비대칭적인 모형의 예측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분석 결과 곰페르츠 곡선이나 와이블 곡선은 모형에서 추정하는 모수의 수가 적으면서 적은 자료를 갖는 모형에서 비교적 우수한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양한 상황에서 예측 분석을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 적합성이 높을 것이 예상되는 모형의 선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점에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모형을 구성하는 자료의 수가 변화하고 자료의 분포 성향이 변함에 따라 예측 영역에서의 적합성이 모형의 적합성과 일치하지는 않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M-Dram의 경우만 살펴봄으로써 제품의 특성이나 시장 상황, 자료의 수에 따른 모형의 적합도의 변화를 직접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다만 전체 자료를 사용한 모형의 적합도와 자료의 수를 제한한 모형의 적합도에 차이가 있음만을 밝혔다. 따라서 다양한 상품이나 시장 상황으로 연구의 폭을 넓혀 기존 연구와 결과를 비교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선형 변환된 모형의 경우 모든 모수를 동시에 추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 변수, 특히 잠재시장 규모의 경우 일정한 수치의 상수로 가정한 후 다른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모형에 따라 곡선의 모수가 잠재시장 규모에 종속된 경우 적절하지 못한 예측치를 제공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모수 추정을 위한 초기치의 설정이나 모수를 탐색적으로 추적하는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모형의 적합도와 예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통계적 기법의 접목이 수요 예측 분야에 요구된다 하겠다. 수요 예측 모형으로서 성장 곡선 모형의 유용성과 확장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모형의 예측력에 대한 비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모형 구성에 사용된 자료에 가장 적합하여 선택된 모형이 결과적으로 우수한 예측력을 보일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예측 모형의 예측력과 적합도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실증 연구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 따라서 성장곡선 모형이나 확산모형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모형에 내재된 수학적인 근거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모형 자체가 갖고 있는 가정과 한계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성장곡선 모형과 확산 모형의 모형 적합성 및 예측력을 측정하여 기존 모형의 성과를 재검토하며 둘째, 사용된 모형의 예측 타당성을 다양한 검증기간을 통한 검증하고 셋째, 최종적으로 모형의 구성기간의 변화에 따른 각 모형의 적합성 및 예측 타당성의 순위 변화를 파악하여 구성기간의 변화가 모형의 예측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며 넷째, 관리적 판단에 의해 초기값이 설정되는 변수들이 모형의 예측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적합도와 유의성 측면에서 로지스틱 곡선 계열의 모형들 중 곡선의 유연성이 큰 NSRL 곡선이 단순한 로지스틱 곡선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곰페르츠 곡선의 경우 모형의 적합성과 예측 적합성 모두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자료의 수가 14개로 제한된 비선형 회귀분석 모형에서 다른 모형들보다 월등히 우수한 예측 적합성을 보여주었다. 와이블 곡선 모형 역시 모형 적합성과 예측 적합성 모두에서 곰페르츠 곡선 모형과 유사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loyd 곡선 모형의 경우에는 전체 자료를 통한 모형의 적합성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예측 적합성은 떨어져 모형이 자료에 과잉 맞춤 되는 경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로지스틱 곡선 모형이나 Bass의 확산 모형의 경우 비선형 회귀 분석 방법을 통해 추정한 결과 구간별로 과잉 추정과 과소 추정의 폭이 다른 모형에 비해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여 주었다. 특히 Bass 모형의 경우 자료의 수가 제한될수록 모형이 로지스틱 모형과 유사하거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자기 회귀 모형의 경우 모형의 자료의 수가 제한될수록 잠재시장 규모가 적게 추정되어 예측 타당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회귀 모형은 단기 예측의 성과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선형 회귀 모형에서는 잠재시장의 초기치 설정이 모형의 적합성 및 예측력을 좌우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회귀 모형에 비해 일반적으로 초기치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모형을 구성하는 자료의 수를 달리하여 각 자료 수준별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특히 로지스틱 곡선 계열의 모형인 경우 모형 구성의 자료가 부족한 경우 좌우 곡선의 비대칭성이 깨지고 대칭적인 형태로 회귀하는 경향을 가지며 과잉, 과소 추정의 문제를 나타냈다. 따라서 자료의 수가 제한적일 경우에는 모형의 곡선 자체가 비대칭적인 모형의 예측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분석 결과 곰페르츠 곡선이나 와이블 곡선은 모형에서 추정하는 모수의 수가 적으면서 적은 자료를 갖는 모형에서 비교적 우수한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양한 상황에서 예측 분석을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 적합성이 높을 것이 예상되는 모형의 선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점에 있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모형을 구성하는 자료의 수가 변화하고 자료의 분포 성향이 변함에 따라 예측 영역에서의 적합성이 모형의 적합성과 일치하지는 않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M-Dram의 경우만 살펴봄으로써 제품의 특성이나 시장 상황, 자료의 수에 따른 모형의 적합도의 변화를 직접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다만 전체 자료를 사용한 모형의 적합도와 자료의 수를 제한한 모형의 적합도에 차이가 있음만을 밝혔다. 따라서 다양한 상품이나 시장 상황으로 연구의 폭을 넓혀 기존 연구와 결과를 비교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선형 변환된 모형의 경우 모든 모수를 동시에 추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 변수, 특히 잠재시장 규모의 경우 일정한 수치의 상수로 가정한 후 다른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모형에 따라 곡선의 모수가 잠재시장 규모에 종속된 경우 적절하지 못한 예측치를 제공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모수 추정을 위한 초기치의 설정이나 모수를 탐색적으로 추적하는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모형의 적합도와 예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통계적 기법의 접목이 수요 예측 분야에 요구된다 하겠다.

      • 광용적맥파 구성 성분의 단일 모델식 및 임상적 응용을 위한 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충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광용적맥파 성분 분석 및 이를 이용한 임상적 응용에 관한 연구이다. 심혈관시스템의 혈류량을 비관혈적으로 측정하는 광용적맥파의 성분 특성을, 광용적맥파 특징점검출, 혈관분석지표 추출, 회귀식, 고속푸리에변환 등의 공학적 방법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근거로 하여 광용적맥파 성분분석을 활용하여 임상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성분분석에서는 광용적맥파를 구성하는 맥동성분 AC와 비맥동성분 DC에 대한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단일 모델식을 제안하였으며, DC 성분 변화에 따른 순환계 매개변수들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누운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혈관경직도, 광용적맥파 신호크기, 주파수 성분을 각각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커프식 혈압계의 연속혈압측정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광용적맥파 성분 특성을 이용한 선형회귀 방식의 비관혈적 수축기 연속혈압 추정 알고리즘을 개발 제안하였고, 광용적맥파의 시간분석이 주를 이루는 u-health 시스템에서광용적맥파를 적용하기 위한 최적 센서 부착위치를 제시하였다. 각 성분분석과 임상적 응용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안된 단일모델식에서 광용적맥파 AC는 DC와 광로길이 에 종속적이며, DC와는 반비례, 와는 비례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AC를 발생시키는 가 같더라도 DC 값에 의해 그 AC 민감도 특성이 감소하였다. DC가 증가하면서, AC가 비선형적으로 감소(adjust R^2 = 0.9273, p<0.001)하였다. DC의 증가는 중심정맥압과 관련이 있다. 중심정맥압의 증가는 일회박출량 감소와 동맥압을 상승시켜 혈관경직도를 높인다. 광용적맥파 DC 증가에 따른 순환계 매개변수인 혈관 경직도, 수축기혈압을 측정?평가하였다. DC 증가에 따라 광용적맥파에서 혈관경직도를 평가하는 경직지수, 반사지수, 2차미분 b/a, 수축기혈압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DC 중앙치를 기준으로 혈관경직도 평가 매개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C의 순시적인 변화에 따른 혈관경직도 관련 평가 매개변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중앙치를 기준으로 2차미분b/a, 반사지수, 광용적맥파 AC, 수축기혈압의 상위 및 하위 분포의 상관계수 극성이 차이가 나타났다. 앉은 자세는 누운 자세에 비해, 뇌에 혈액이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 말초혈관의 저항을 높여 혈압을 높이고 혈액을 공급한다. 광용적맥파는 주로 말초혈관에서 측정되므로 신호가 영향 받는다. 앉은 자세에서는 반사지수와 DC가 증가하고 AC가 감소하였다. AC의 주파수영역은 1 번째 고조파성분이 감소되어 파형이 변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선형회귀식을 이용한 수축기혈압의 추정은 기존의 제안된 방법보다 보다 높은 상관성을 나타났으며, 수축기혈압의 변이도도 원신호와의 유일도(coherence) 분석에서, 혈압활동과 관련있는 VLF, HF 대역에서 0.5 이상의 값이 도출되어, 제안된 방법이 시간영역 및 주파수 분석에서도 활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자율신경계 분석, 맥박 측정 등 광용적맥파의 AC를 활용한 유헬스 시스템에서는 손가락 끝의 척골방향이 가장 최적이라고 나타났다. 척골부위에서의 AC 신호의 크기가 다른 지역 보다 높고, DC 성분이 작았으며, 관류지표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과는 광용적맥파를 활용한 비관혈적 혈압, 혈관평가, 활력징후 모니터링 등 임상적 연구 및 응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약리적 실험과 관혈적 실험을 결합하여 분석한다면, 당뇨, 고혈압, 혈관노화 등 현대 만성질환에 대해 접근성과 신뢰성이 높은 분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건설기계 디젤엔진의 경유-LPG 혼소엔진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이충근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로운행과 비도로운행시 디젤 차량과 건설기계장비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 배출량이 국내 대기환경 오염물질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대체연료, 배출가스저감, 연료경제성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기가스 저감 대책으로, 5R 저감기술전략으로 연료 변경, 후 처리장치 부착 개조, 엔진개량 또는 신규 엔진 교체 및 수리정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R을 적용하여 기존의 디젤엔진 건설기계장비에 LPG를 추가로 공급한 디젤과 LPG 혼소엔진의 운전변수 따른 연소, 동력 및 배출가스 특성을 실험 및 분석하고 특히, NOx 및 PM의 동시 저감과 혼소의 경제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경유와 LPG 연료를 공급하는 혼소시스템으로 기존엔진을 개조 연구하였다. 평가를 위해 KC1-8 테스트 모드로 엔진 실험을 하였다. 또한, 분사시기 지각과 LPG 연소특성에 의해 HC의 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백연발생 한계 운전 점 시험 및 배출가스 저감장치 DOC를 장착하여 HC를 감소시켰다. 또한, 디젤 대비 혼소시 HC 저감률이 떨어지는 이유는 혼소 시에는 디젤 100%보다 낮은 배기가스 온도로 인해 DOC 활성화가 낮음을 확인 하였다. 분사압력이 낮아지고 분사시기가 지각 될수록 NOx 배출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공기과잉률이 희박해 질수록 NOx 저감률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분사된 경유가 착화된 후 화염 전파가 LPG를 연소시키는 확산연소구간에서 경유 및 LPG가 동시에 연소되기 때문에 확산연소가 촉진되어 이로 인해 연소온도가 높아져 일부 조건에서 NOx 배출량이 증가되었다. 연소압력이 증가에 따른 노킹발생 한계 운전점 시험을 하였으며, 인젝션 펌프의 가버너 선도 변경과 노즐사양 및 개변압 변경을 통하여 최적의 혼소조건을 결정하였다. LPG혼소시 연소 압력이 높아지고 열효율 상승으로 인한 연료소비율의 감소와 경유보다 LPG의 가격 낮음으로 인해 LPG 혼소는 경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경유 100% 연소조건과 경유-LPG 혼소 조건에 대해 운전변수의 변화에 따른 NOx 및 PM 배출량에 대한 Trade off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차 성능시험결과 기존 노후화 된 디젤엔진 대비 혼소엔진은 작업속도, 주행속도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견인력은 기존 디젤엔진 대비 혼소엔진은 약간 낮았고. 또한, 등판성능과 가속성능도 기존 디젤엔진 대비 혼소엔진 은 약간 부족하였다. 중저속구간에서의 엔진출력은 기존의 디젤 차량 대비 혼소엔진은 약간 부족하나, 비교적 저부하 고속영역의 엔진출력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엘리트 트라이애슬론 선수들에 대한 Drill 훈련중심의 단기 훈련 프로그램 적용과 경기 기록의 변화 : 사례 연구

        이충근 국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주니어 및 엘리트 트라이애슬론 선수 6명(남자 3명; 여자 3명)을 대상으로 종목별(수영, 사이클, 마라톤) Drill 훈련 중심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7주간 적용하여 경기 기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엘리트 및 동호인 선수들이 이용 할 수 있는 효율적인 훈련 방법과 기초 자료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단기 특정 유형 훈련 프로그램을 7주간 적용 후 각 종목 및 종합 기록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1) 수영 750m 기록 변화에서 훈련 전·후의 차이는 유의수준 (P<.05)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사이클 20km 기록 변화에서 훈련 전·후의 차이는 유의수준(P<.05) 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마라톤 5km 기록변화에서 훈련 전·후의 차이는 유의수준(P<.05)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종합기록(수영, 사이클, 마라톤)의 훈련 전·후의 차이는 유의수준 (P<.05)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7주간 단기 특정 유형 훈련 프로그램이 각 종목별(수영, 사이클, 마라톤) 및 종합 기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단기 특정 유형 훈련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접근과 과학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선수들에게 적용 한다면 매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rill-centered training program lasting seven weeks for each event; swimming, cycling, and running in six (3 men and 3 women) junior and elite triathletes on their game record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possibly leading to developing effective training methods for those who participate in this sport in the recreational and competitive levels. After an applic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the final game records and record of each event have been observed as followings; 1) The swimming record for 750 m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training program (P<.05). 2) The cycling record for 20 km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training program (P<.05). 3) The running record for 5 km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training program (P<.05). 4) The total game record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training program (P<.05).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rill-centered short-term training program formulated for each event of triathlon induced beneficial influence to event records and total game record. It is suggested tha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tific and systemic training programs is required for effective and efficient training for these athletes.

      • 바이패스 다이오드 단락 고장이 태양광 어레이에 미치는 영향

        이충근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ypass diode short circuit failure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voltage mismatch in PV array. Bypass diodes are usually damaged by high surge voltages, and thermal runaway that occurs due to frequent operation by shading. The damaged bypass diode reduces the total voltage of PV string as much as the open circuit voltage of solar cells connected to the diode, causing a voltage mismatch condition inside the PV array. When the inverter is not operating, PV array become a opened circuit. In this case, reverse current flows from normal strings to the fault string with short-circuit failure of bypass diode. However, according to KS C 8567:2019, installation of blocking diodes in grid-connected PV systems does not recommend, because it can be a cause of power loss and failure.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reverse current on the PV array due to bypass diode short circuit failure. First of all, the flow of reverse current due to bypass diode short circuit failure was derived into a mathematical model through the number of fault bypass diode and parallel strings of PV array. Then, a module fabricated that imitated a real PV array,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nalyze changes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rmal phenomena of PV array due to reverse current. As a result of outdoor experiments, 17 A of reverse current flowed into the faulty string when the inverter turned off. It caus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damaged bypass diode rose to about 145 ℃,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solar cells that connected to the normal bypass diodes among a fault string rose up to 23 ℃ than other string of solar cells. Subsequently, in order to verify the derived reverse current equation,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by using Matlab-simulink.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a reverse current of 17.84 A flowed into the fault str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outdoor experiment. Since the measured value and the simulated value of reverse current are similar,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derived equation is vali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verse current value increased as the number of solar cells connected to the short circuit failure of bypass diode and parallel strings in PV array increased. As a result, the short circuit failure of bypass diode creates a reverse current inside the PV array when the inverter is not operating, and this can degrade the durability of solar cells in the faulty string and cause an accident by deteriorating the damaged bypass di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