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능동형 발룬을 사용한 Ka-band 대역 CMOS 공정 능동형 위상 천이기

        이지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paper, we designed an active phase shifter using a 65-nm RFCMOS process. We designed active balun at input balun and single-stage RC PPF at I/Q generator. And we used gilbert cell for vector sum and variable gain. We proposed symmetrical structure RC PPF to reduce phase variation of the I/Q signal.. We used phase correction technique circuit and one-side load inductor at active balun to reduce phase imbalance and magnitude imbalance of differential signal.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maximum gain was -8 dB, the input return loss was less than -6.18 dB, and the output return loss was less than -11.02 dB. The phase resolution of the circuit is 5.625, the RMS phase error is less than 2.57 degrees, and the RMS gain error is less than 0.44 dB. The chip size of the designed active phase shifter is 0.13 mm2, excluding the pad. 능동형 발룬을 사용한 Ka-band 대역 CMOS 공정 능동형 위상 천이기 이지민 전자공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논문에서는 65-nm RFCMOS 공정을 이용하여 능동형 위상 천이기 를 설계하였다. 입력 발룬으로 능동형 발룬을 사용했으며, I/Q generator 로 1단 RC PPF를 사용하였으며 벡터 합과 가변 이득을 위해 길버트 셀 을 사용했다. I/Q 신호의 위상 변위를 줄이기 위해 RC PPF의 대칭 구 조를 제안하였으며, 차동 신호의 위상 불균형과 크기 불균형을 줄이기 위해 능동형 발룬에 위상 보정 회로와 출력 부 한 쪽에 부하 인덕터를 사용했다. 측정결과 최대 이득은 –8 dB, 입력 반사 손실은 –6.18 dB 미만, 출력 반사 손실은 –11.02 dB 미만이다. 회로의 위상 분해능은 5.625 도이며, RMS phase error는 2.57 도 미만, RMS gain error는 0.44 dB 미만이다. 설계한 능동형 위상 천이기의 칩 크기는 패드를 제외하고 0.13 mm2이다

      •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지민 인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이지민 지도교수 김영근 본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여 청소년들의 은둔 경험에 대한 깊이 있고 심층적인 이해와 더불어 이들을 위한 추후의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현상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의미를 파악하는 기술로 연구 참여자들의 실재에서 그들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에서도 참여자들의 목소리로부터 얻어진 언어로 드러나는 현상의 본질적 의미를 기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청소년위원회(2005)에서 제시한 은둔형 외톨이 진단기준에 부합하며 은둔 경험을 한 지 3년 이내의 청소년 5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였으며, 참여자들과 세 번의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1985)의 4단계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반성과 자유변경 과정(Giorgi, 1985)을 통해 하위구성요소와 경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9개의 구성요소와 29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서 5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은둔 경험의 의미에서 4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청소년의 은둔 경험은 <세상과 고군분투: 관계로부터 상처 입음, 사람을 만나는 것이 무서운, 숨고 싶은 마음이 생김, 버티고 버티다>, <세상으로부터 도피: 포기하는 마음으로, 자신만의 둥지에서 편안함을 느낌, 밤낮이 뒤바뀜, 생각하는 것을 그만둠, 스마트 기기에 의지함>, <행복은 세상에 있음을 깨달음: 마냥 편안하지만은 않은, 흘러가는 시간이 허무해짐, 문득 나가보고 싶은 마음>,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한 노력: 자격지심에 휩싸인 마음, 타인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 스마트 기기로 세상과 소통을 연습함>, <세상과 소통을 시작: 나를 이해하는 친구와 소통함, 부모님의 관심으로 노력하고 싶은 마음, 상담 기관을 찾음>이었으며, 청소년의 은둔 경험의 의미는 <놓친 것들에 대한 아쉬움: 시간을 통째로 잃음, 학창시절의 추억을 만들지 못한 아쉬움, 놓친 관계에 대한 아쉬움>, <자기를 이해하는 시간 :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 나를 알게 되었던 소중한 시간>, <더 높이 날기 위해 움츠렸던 시간: 자유를 경험했던 시간, 상처받은 마음을 회복하는 시간, 더 잘 살아가기 위한 시간>, <새로운 날갯짓의 시작: 현재의 나를 받아들임, 자존감을 되찾음, 회피하지 않는 용기>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의 체험요소를 밝히고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를 경험적으로 밝힌 첫 연구로, 후속연구 또는 상담 실제 영역에서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을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고아 핵 수용체인 SHP와 basic helix-loop-helix 전사인자 CREB의 상호작용을 통한 Gluconeogenic 유전자 발현의 억제적 기능

        이지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 NR0B2) is an atypical orphan nuclear receptor and acts as a co-regulator of various nuclear receptors. CREB is one of basic helix-loop-helix transcription factor family and binds via its basic leucine zipper (bzip) domain as a dimer to cAMP response elements (CRE). CREB is a bZIP transcription factor which has been reported as major regulator of gluconeogenesis. Over expression of SHP represses the CREB-mediated activation of CRE-luc promoter. Regulation of CREB activity is played by the coactivator transducer of regulated CREB activity (TORC). We next tested the potential involvement of CREB co-activator, TORC2 in G6Pase and PEPCK promoter activity. Elevated G6Pase and PEPCK promoter activity by TORC2 was decreased by over expression of SHP. This inhibitory effects released by dose dependant TORC2 over expression. Our transient transfection and in vitro GST pull-down competition assays revealed that CREB-mediated transactivation was repressed by SHP through the competition with the co-activator TORC2. In vitro and in vivo GST pull-down assays demonstrated that SHP physically interacts with CREB. Q1 domain of CREB is required for binding to SHP and REP domain of SHP is essential region to binding to CREB. Over expression of SHP decreased the CREB-mediated activation of PEPCK and G6Pase gene promoter. Over expression of human SHP by metformin also repressed CREB-mediated activation of PEPCK and G6Pase gene promoter. Furthermore, CREB transactivation induced by PKA or TORC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ownregulation of SHP with SHP small interfering RNA in HepG2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HP acts as a co-repressor of CREB and CREB-mediate gluconeogenic gene expression is regulated by SHP. 고아 핵 수용체에 속하는 SHP는 다른 핵 수용체와 다르게 DNA에 결합하는 부위가 없고, 많은 핵 수용체들의 전사 활성 능력에 관여 한다. CREB은 basic leucine zipper (bZIP) 부위를 통해서 cAMP response elements (CRE)에 결합하여 Gluconeogenic 유전자들의 발현을 활성화 시킨다. 본 연구는, 인간의 SHP 유전자가 CREB의 전사적 활성을 억제하여 CREB에 의해 증가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을 밝혔다. 또한 CREB의 활성인자로 알려진 TORC2의 잔사활성을 억제함을 밝혔다. SHP는 CREB와 TORC2에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전사 활성도를 조절하였으며, SHP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CREB에 의해 증가하는 G-6Pase와 PEPCK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SHP가 CREB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CREB의 Q1 domain과 SHP에 REP domain이 필수적임을 밝혔다. 기존에 알려진 연구에서 SIK2에 의한 TORC2의 인산화를 통해서 CREB와 TORC2가 상호 협동적으로 G-6Pase와 PEPCK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CREB과 TORC2의 억제기작 외에 SHP가 CREB와 TORC2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G-6Pase와 PEPCK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분자적인 수준에서 CREB를 통한 G-6Pase와 PEPCK의 유전자 발현 억제기작을 이해하고, SHP 단백질이 포도당 대사에서의 역할을 한층 더 심도 있게 이해하는데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치매 동물 모델에서 PARP-1 억제에 의한 치매 병리와 인지기능 개선 효능 확인

        이지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츠하이머 치매의 가장 큰 위험 인자는 노화이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여 노인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항 노화 약물이 항 치매 효과 또한 가질 것이라 기대 된다. 이러한 기대에 알맞게 최근 항-노화 물질로 여겨지는 NA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의 체내 보존에 의한 인지 기능 개선 효과, 치매 병리 개선 효과가 다양한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졌다. 하지만 이미 개발되어 체내의 NAD+를 증가시킬 수 있는 NAD+ 보존제, NAD+ 전구 물질은 체내로 흡수 시 빠르게 분해 되어 사람에서는 큰 기대를 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체내의 NAD+ 수준을 높일 수 있는 PARP-1 (Poly(ADP-ribose) Polymerase-1) 억제제를 통한 인지 기능의 개선 효과와 치매 병리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가설은, PARP-1 억제제에 의한 체내 NAD+ 감소의 보존과 이에 따른 NAD+ 수준의 증가로 인한 인지 기능의 개선과 치매 병리가 개선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전자 변형에 의한 치매 병리와 인지 기능 손상을 가진 치매 동물 모델에게서 PARP-1 억제제 투여 시 인지 기능 검사와 치매 병리 변화를 통해 PARP-1 억제제의 항-치매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가설과 동일하게, PARP-1 억제제를 투여 받은 치매 동물 모델 약물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더 높은 공간 기억 학습 능력을 가졌으며 인지 기억력 또한 높은 것을 보였다. 또한 PARP-1 장기 투여 시 대표적인 치매 병리인 베타-아밀로이드의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인산화 된 타우의 발현 수준 또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PARP-1 억제제가 항-치매 약물로써도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ARP-1 억제제는 기존의 NAD+ 전구 물질 혹은 NAD+ 보충제가 아닌 실제 항암 물질로서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 PARP-1 억제제의 항-치매 효과가 사람에게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 음악줄넘기를 통한 신체활동 즐거움이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지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t was aimed to analyze differences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by music jump rope expressing inner motive of physic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der, grade, participation duration,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in jump rope competition) and prove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by music jump rope on inner motive of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complete this goal, 283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of Seoul from 4th grade to 6th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s of enjoyment and inner motive of physical education were used to them. It was trying to carry ou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r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activity enjoyment by music jump rope and inner motive of physical education. Moreo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each variable, it was trying to carry out correlation analysis and followings ar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analyzing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by music jump rope on inner motiv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physical education. Firstly, when differences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were analyzed by individual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view of gender, male student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factors than female students. In the view of grade, the group of 4th grade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than groups of 5th and 6th grade. In the view of participation duration of music jump rop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ew of main participation frequency of music jump rope, the group of over 5 times a week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factor than groups of 0~2 times a week and 3~4 times a week. In the view of participation in jump ro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fun, health maintenance & esthetic experience, and teamwork factors. Secondly, when differences of inner motive of physical education were analyzed by individual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view of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ew of grade, the group of 4th grade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than groups of 5th grade and 6th grade. In the view of participation duration of music jump rop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all factors. In the view of main participation frequency of music jump rope, the group of over 5 times a week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n groups of 0~2 times a week and 3~4 times a week. In the view of participation in jump rope compet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efficacy, interest, effort factors. Thirdly, when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by music jump rope on inner motiv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physical education was analyzed, it was checked, it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ived efficacy, a sub factor of inner motive of physical education among other factors in sub factors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such as confidence and creativity. In fun factor, a sub factor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it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rest, a sub factor of inner motive of physical activity. It was also checked, Fun and creativity, sub factors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effort factor, a sub factor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Moreover, confidence and fun, sub factors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influenced tension/suppression, a sub factor of inner motive of physic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discussed by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on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enjoyment by music jump rope on inner motiv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physical education and it suggested a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줄넘기를 통한 신체활동 즐거움이 초등학생들의 개인특성(성별, 학년, 참여기간, 주 참여빈도, 줄넘기대회 참여유무)에 따른 체육수업 내적동기의 차이를 분석하고, 음악줄넘기를 통한 신체활동 즐거움이 체육수업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의 S초등학교 4, 5, 6 학년 238명을 대상으로 즐거움 설문지와 체육수업 내적동기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음악줄넘기를 통한 신체활동 즐거움과 체육수업 내적동기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인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음악줄넘기를 통한 신체활동 즐거움이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개인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즐거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창의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4학년집단이 5학년, 6학년집단보다 모든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음악줄넘기 참여기간에 따른 신체활동 즐거움의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음악줄넘기 주 참여빈도에서는 창의성요인에서 주 5회 이상 집단이 주 0~2회, 주 3회~4회 집단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줄넘기대회 참여유무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 협동심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개인특성에 따른 체육수업 내적동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내적동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체육수업 내적동기에서는 4학년집단이 5학년, 6학년집단보다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음악줄넘기 참여기간에 따른 체육수업 내적동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요인모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음악줄넘기 주 참여빈도에 따른 체육수업 내적동기는 지각된 유능감요인에서 주 5회 이상 집단이 주 0~2회, 주 3회~4회 집단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줄넘기대회 참여유무에서는 지각된 유능감, 흥미, 노력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음악줄넘기를 통한 신체활동 즐거움이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내적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 즐거움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창의성요인에서 체육수업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즐거움의 하위요인인 재미 요인에서 체육수업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즐거움의 하위요인인 재미, 창의성요인은 체육수업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노력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즐거움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재미요인은 체육수업 내적동기의 하위요인인 긴장/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음악줄넘기를 통한 신체활동 즐거움이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논의 하였으며,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음악줄넘기, 신체활동 즐거움, 체육수업 내적동기, 초등학생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지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중학생 1-3학년 526명을 대상으로 Barnes 와 Olson(1982)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PACI)를 민하영(1992)이 번안ㆍ수정한 척도의 개방형 문항, Block 과 Krema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R)를 박은희(1997)가 번안한 뒤 수정ㆍ보완한 척도, 김용래(2000)의 학교적응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및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생활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수업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아버지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 보다 어머니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더 유의하였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변인과 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을 거쳐 학교적응에 정적인 직ㆍ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을 통해서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어머니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자아탄력성을 통해서 학교적응에 간접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 역할을 하며, 어머니와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낸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parents' open type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 made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directly or indirectly by the ego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6 middle school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 in Seoul and Kyung-Gi. For the open type communicati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hat was created by Barnes & Olson(1982), changed by Ha-Young Min(1992) was used as the measure. Ego resilience scale of adolescents used in this study that Eun-Hee Park(1997) translated modified, supplemented some items of 'Ego Resilience: ER' had developed by Block & Kreman(1996). For the schoo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Scale that was created by Yong-Rae Kim(2000) was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open type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 influenced to school adjustment. A open type communication with father makes adolescents get along with friends, participate in class actively and adapt to school life. Also, mother's open communication is the most explanatory power in each sub-variables of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Second, parents' open type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 influenced to their ego resilience. Third, adolescents' ego resilience affected on each sub-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and it explains school life adjustment significantly. For the last, the ego-resilience has direct and indirect impact between the parent-adolescents' open type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ather's open communication affect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ego-resilience only, but mother's frank communication has effect on school adjustment directly and indirectly at a time. In other word, it was found that the ego-resilience as an intermedi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dolescents' open type communication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this study, the parent-adolescents' open type communication and the ego-resilience was examined as the center, among the factors which has influence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rom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ents'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makes adolescents more functionally adapt to their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makes it more promoted.

      • 미국 보통법상 에이전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이지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manifestation of intent should bind only the person who expressed such manifestation. However, the Korean Civil Code provides an exception that allows manifestation of one person directly bounding another person, called “agency.” Because of agency, it is possible for a person to expand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individual with respect to time and space and to increase efficiency by using another person. Agency makes professional societies possible. Consequently, agency becomes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existing social order of organized and specialized modern societies. However, comparative studies conducted on the law of agency in Korea mainly focus on German law, which is also based on a civil law system. Thus, a study on the law of agency in common law systems is urgently needed. This dissertation aims to study the law of agency in American law (especially Third Restatement of Agency) and suggest its future implications for Korean law. Although Korean legal scholars also discuss lega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agent, mainly they focus on lega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third party and agent and third party. However, agency 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as three-party relationships, taking all three parties, principal, agent, and third party,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power of agent to affect principal’s legal relations with third party results from the authority conferred by principal to its agent. Thus, the importance of interna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agent should be noted. Nevertheless, most Korean legal scholars just separate underlying relationships from authorization and indicates ‘mandate, employment, subcontract, partnership and so on’ as examples for the former and consider the later as unilateral manifestation; however, they have not been discussed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agent thoroughly. To correctly understand agency relationships as three-party relationships, we should depart from seeing agency relationships as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agent on one hand and third party on the other and see agency relationships as mutual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 agent, and third party. Based in this notion, this dissertation emphases the importance of internal relationships of agency and suggests proper default lega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agent. These duties includes duty to perform and follow instructions, duty of care and skills, duty of loyalty, and other fiduciary duties for agent and duty of good faith and information, duty of remuneration, duty to reimburse and indemnify for principal. Moreover, this dissertation also tries to solve the problems of undisclosed principal and unidentified principal in Korean law. Korean agency law requires agent to disclosed the identity of its principal when the agent deal with third party. If the reason for such requirement is to protect third party from facing unexpected relationship with principal, I believe that allowing the notion of undisclosed principal and unidentified principal does not contradict Korean law. German legal scholar, Wolfram Müller-Freienfels, said in past people attempted “to fit the model of contract developed under the reign of Roman law into the various aspects of modern social life.” However, the social functions of today’s contract requires the extension of the contractual “vinculum juris.” I think agency is the example of such requirement. Considering the nature of agency as three-party relationships, I think it is time to depart from seeing agency relationships as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agent on one hand and third party on the other. Establishing default lega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 and agent is also needed to be prepared for this extended forms of agency relationships.

      •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이지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major depressive disorder is the most common mental disorder to be called a common mental illness. 'Depression' has a negative impact on various aspects of human life, resulting in significant pain and impairment. For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s with these symptoms, art therapy removes the limitations of language, reduces psychological burden and resistance, and promotes creativity through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the role of art therapy is important for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s they have a chance to look back on themselves and find opportunities to connect with their inner selves and find positive aspects. Previous studies of art therapy in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nd their effects. However, practically, master's degree students in the field of art therapy can have relati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when they meet at clinical practice sites. Therefore, master's degree students in art therapy major need to b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when they meet in clinical practice field and to deepen their experiences in group art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experiences on group art therapy and to provide students with masters degree in Art Psychotherapy with gener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preparation materials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is. Furthermore, we want to help improve the life and health of patients suffering from major depressive disorder symptoms and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art therapy intervention.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are the experiences of group art therapy among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i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ix adult males and females in their late 20s and early 50s who had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within the last 6 month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on-line community, band, and café,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major depressive patients who wanted to receive group art therapy were also recruited, and group art After the treatment, in -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at least once or twice from August, 2017 to October, 2017. Through the informed consen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purpose, purpose and details of the participants' And collected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In this study, we apply Max van Manen '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s to analyze ‘the essence of experience', ‘existential inquiry stag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stag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stage' A total of 11 research procedures consisting of 4 analytic procedures were performed. A total of 8 essential themes and 23 sub–themes were derived as follows. <Participate in group art therapy with various motivations>, <group therapy where experiences of art expression and painting materials are filled and emotions are touched>, <Share a variety of opinions about group work and art work and have a different experience>, <A sense of security from the supportive and warm art therapy environment>, <Through art therapy, we face ourselves and grow to the next level by understanding others>, <I share my pain, which no one could understand, in collective art therapy, so I have a sense of identity>, <Group art therapy that shares many stories but does not reveal>, <After the end of art therapy, I feel sorrow and anxiety and I want to continue art therapy>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such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First,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do not have the awareness of art therapy, but they are expected to participate in the art therapy and my depressed state, and will relax my condition. Second,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experience artistic expressions and art materials in group art therapy, touch the emotions that have overwhelmed them, and feel the feelings they have never felt before, as they share the work of art based on them with group members. Third,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receive supportive feelings through group art therapy and work reliably in the art work. In the process, they feel that they are growing as they understand others and others. Fourth,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shared many stories with group members of similar situations in group art therapy, and although they felt a sense of identity, they felt uncomfortable and uncomfortable in opening their deep inner thoughts. Fifth,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have a desire to receive art therapy continuously after the end of group art therapy, hoping that they will feel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from the art therapy, and the treatment can b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provided vivid data on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in vivid language and to provide meaning to them.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the course of art therapy clinical practic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art therapy practice data and basic data when meeting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inform about the specificity and necessity of art therapy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about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in adult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furthermore to make academic contribution to art therapy research. 오늘 날 주요우울장애는 감기만큼 흔한 마음의 병이라고 불릴 만큼 가장 접하기 쉬운 정신 장애이다. ‘우울’은 인간의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현저한 고통과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가진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들에게 미술치료는 언어의 한계성에서 벗어나 심리적 부담과 저항을 줄이고 신체적 활동을 통해 창조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또한 현재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고 내면의 자기와의 만남을 연결시켜주는 계기를 마련하며 긍정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서 주요우울장애 환자에게 미술치료의 역할은 중요하다.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의 미술치료를 다룬 국내의 선행연구들은 미술치료가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로 성행되어왔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미술치료학전공 석사학위과정생들이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를 임상실습현장에서 만났을 때 그들에 대해 이해하는 것과 달리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술치료학전공 석사학위과정생들이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를 임상실습현장에서 만났을 때 그들을 이해하고,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들이 집단미술치료 체험하면서 가지게 된 체험의 본질을 통해 미술심리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에게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실습 준비 자료를 제공하여 주요우울장애 치료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주요우울장애 증상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환자들의 삶과 건강을 향상시키고 미술치료 개입 가능성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들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로서 최근 6개월 이내 집단미술치료를 참여해본 경험이 있는 20대 초반에서 50대 후반의 성인 남녀 6명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내 커뮤니티, 밴드, 카페 등을 통해 모집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도록 하며, 이에 추가로 집단미술치료를 받고자 희망하는 주요우울장애 환자들도 함께 모집하여 임상미술치료 전문가에 의한 집단미술치료를 참여한 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8월부터 10월까지 최소 1회에서 2회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연구 참여 동의서를 통해 연구에 대한 취지, 목적, 참여자로서의 권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취하였고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 후 종료하였다. 본 연구에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탐구 단계’, ‘해석학적 현상학적인 반성 단계’, ‘해석학적 현상학적인 글쓰기 단계’ 4가지 분석과정으로 구성된 총 11가지의 연구절차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총 8개의 대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함>, <미술 표현과 미술 재료를 경험하며 막혀있던 감정이 건드려짐>, <집단원과 미술 작업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며 색다른 경험을 함>, <지지적이고 따뜻한 미술치료 환경으로부터 마음의 안정감을 갖게 됨>,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을 직면하고 나와 타인을 이해하게 되어 한 단계 성장하게 됨>, <누구도 이해해주지 못했던 나의 아픔을 집단미술치료 속에서 공유하게 되면서 동질감을 갖게 됨>, <많은 이야기를 공유하지만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 집단미술치료>, <미술치료 종결 후 아쉬움과 궁금증이 남으며 미술치료를 지속하고 싶은 마음이 생김> 이와 같은 본질적 주제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는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미술치료와 나의 우울 상태에 대한 궁금증으로 참여하게 되며 나의 상태를 완화시켜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진다. 둘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는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표현과 미술 재료를 경험하며 자신을 압도하고 있던 감정을 건드리게 되고 이를 토대로 만든 미술 작업을 집단원과 공유하게 되면서 이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감정을 느끼게 된다. 셋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지지적인 느낌을 받으며 안정적으로 미술작업을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게 되면서 성장해가는 것을 느낀다. 넷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는 집단미술치료에서 비슷한 상황의 집단원들과 많은 이야기를 공유하며 동질감을 느끼지만 자신의 깊은 속마음까지 개방하는 것에 불편감과 거부감을 느끼기도 했다. 다섯째,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들은 집단미술치료 종결 이후 미술치료로부터 치료의 가능성과 아쉬움을 느끼게 되고 치료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지속적으로 미술치료를 받고 싶은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하여 생생한 자료를 제공한 본 연구가 기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의 체험을 생생한 언어로 담아 그 의미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의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특수성을 다루므로 미술심리치료학 석사학위 과정 실습생들이 실제 미술치료 임상현상실습에서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를 만날 때 미술치료 실습 자료와 기초 자료로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의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체험을 다룬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미술치료의 특수성과 필요성을 알리며 더 나아가 미술치료학 연구에 학문적 기여를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