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이정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s for adolescents to adjust to school and improve self-esteem, and to present programs to improve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The research problems a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developing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s to improve youth's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Second, what is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 to improve youth's school adaptation and self-esteem? Accordingly, the practic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develop an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 for adolescents to adapt to school and improve self-esteem. After the second round of development, the program was developed, executed, and applied, and after the reflection of the researcher, it was corrected and supplemented to present the completed program. To this end,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s by session, activity sheet, testimony, and 3-line diary writing task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results. Based on the problems revealed by the analysis, this research program was amended and a completed program was provided.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Second, to check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a pilot program was applied to two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pilot program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reflection journals, experience reports, activity journals, personal testimonies, and 3-line diary writing task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ompleted program is an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 incorporating the ACTIVE coaching model and art activities, with a total of four sessions: the first introduction phase, the second phase exploration phase, the third phase execution phase, and the final four phase close phase consists of.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rt coaching program, which integrates the participants' inner world and active art activities, rather than the program limited to various counseling or coaching, improve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go-identity and self-esteem, and above all, art-based art coaching programs. It was appropriate to utilize. Second, through the group art activities, I control personal conflicts, and through self-reflection, who I am, what my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what my strengths are, and how to save myself and love myself through my rediscovery, and then go to others It is because they consider even a caring heart. Third, through the 3-line diary writing, you can notice negative emotions, the coaching process' open-ended questioning skill provides the coachee with an open space for thinking, and the 3-line diary writing that allows you to look back on yourself is a positive mindset. It has been found that, of course, it has a specific goal to change and makes an important change in the direction of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여 성찰한 후,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은 어떠한가? 이에 따라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차에 거쳐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및 적용하고, 연구자의 성찰 후 수정 · 보완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참여자들의 회기별 경험보고서, 활동지, 소감문, 3줄 일기 쓰기 과제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토대로 본 연구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완성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파일럿 프로그램을 중학생 2명에게 적용하였다. 셋째, 파일럿 프로그램 적용하면서 생긴 문제점을 심층 면담, 성찰일지, 회기별 경험보고서, 활동지, 개인 소감문, 3줄 일기 쓰기 과제 등을 바탕으로 수정 · 보완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은 ACTIVE 코칭 대화모델과 미술활동을 통합한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으로, 1회기 도입단계, 2회기 탐색단계, 3회기 실행단계, 마지막 4회기 종결단계로 총 4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상담이나 코칭에만 국한된 프로그램보다는 참여자의 내면의 세계와 능동적인 미술활동을 통합 접목한 아트코칭 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등의 정서적, 심리적 요소가 향상되어 무엇보다 미술기반 아트코칭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둘째, 집단 미술활동을 통해 개인의 갈등을 조정하고, 내가 누구인지 자아 성찰을 통해 나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나의 강점은 어떻게 되는지, 나의 재발견을 통하여 나 자신을 아끼고 사랑하는 법을 알고 나아가 상대방에게 배려하는 마음마저 고려하기 때문이다. 셋째, 3줄 일기 쓰기를 통하여 부정적인 감정을 알아차리게 하고, 코칭 프로세스의 개방형 질문스킬이 코치이(coachee)에게 열린 사고의 공간을 제공하며,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3줄 일기 쓰기가 긍정적인 마인드로 마음의 안정을 시키는 것은 물론 변화시킬 구체적인 목표를 갖고 삶의 방향성에 중요한 변화를 준다고 밝혀졌다.

      • 아동기 피아노 교수법의 이론적 고찰

        이정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 나라는 고도의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사교육에 관심을 갖게됨에 따라 음악의 기초 교육으로 보편화된 피아노 교육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피아노 교육에 있어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방향을 설립하는데 있다. 연구자는 첫 번째 연구 내용으로 피아노 교수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고 그 다음은 아동기의 특징과 도입기 피아노 교본을 비교했으며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교수법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아동기 피아노 교육의 진정한 목적은 피아노 학습을 통하여 단순히 연주 기술을 익히는 것만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가 음악을 경험함으로써 잠재된 능력을 개발시키며 이를 통해 정서함양과 올바른 인격형성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효율적인 피아노 교수법을 위해서는 먼저 아동들에 대한 바른 이해가 있어야 하며 오늘날 악보 읽기와 테크닉에 치우쳐진 교육에서 벗어나서 올바른 자세부터 악상기호의 표현, 독보력 및 초견연주, 암보 등 학습자들이 스스로 음악을 즐기고 적극적으로 음악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교육을 할 수 있어야겠다. 최근 들어 피아노 교수법이나 지도하는 선생님의 역할에 대하여 부쩍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피아노 선생님들은 항상 연구하고 노력하는 자세로 가르치는 것에 조금의 소홀함도 없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한한 잠재력이 숨어있는 아동들을 지도하는 피아노 선생님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se days, the improved living standard in our country driven by high-speed economic growth has trigerred increasing interest in private education, and piano instruction spreads widely as the basic universal music education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more effective ways to offer piano education for children in childhood. For the purpose, piano lesson methods were reviewed first, and then piano manual was examined considering childhood characteristics. Finally, ways to give more successful lesson was explored. The genuine goal of piano instruction for childhood is not to simply acquire performing skill, but to develop potential capabilities through direct musical experience, cultivate emotion and build up character properly. In order to teach how to play the piano efficiently, children should be understood correctly, and the current education trend that emphasizes music reading and technique should be avoided. It's needed to make more comprehensive approach to teach the right musical attitude, use of theme sign, music reading, at-sight performance and memory, in such a way to encourage learners to enjoy music and be involved in musical activities more positively. Recently, there is a growing concern for piano lesson method or teacher role. Piano teachers should always do their best to offer better, careful lesson. It's hoped that this study might be of any use for piano teachers who teach children with unlimited hidden potentialities.

      • 당뇨병 환자의 족부 합병증 위험요소와 발관리 지식 및 이행의 상관성 연구

        이정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당뇨병은 지속적인 관리와 조절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으로서, 최근 의과학의 발전으로 질병의 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여러가지 당뇨병성 만성합병증들에 이환되는 율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당뇨병성 족부병변(diabetic foot lesions)은 당뇨병 환자의 하지절단, 이환율 및 사망률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예방적인 발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병 환자들의 발관리 지식과 발관리 이행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발관리 지식, 발관리 이행, 족부합병증 위험요소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수집은 2002년 9월 23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A종합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한 환자 19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도구와 문헌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질문지를 작성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발관리 지식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 0.85이었고, 발관리 이행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0.75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OVA,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24세에서 89세로, 평균 57.4(±11.16)였으며 60세-69세가 34.2%로 가장 많았고 성별분포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 2. 당뇨병 환자의 발관리에 대한 지식은 발관리 중요성(76.2%), 발 씻는 물의온도(74.1%), 발 상처시 병원방문(68.0%)에 대한 정답률이 높았다. 반면에 발의 온도 측정(21.8%), 발의 맥박 측정(23.3%), 무감각한 발의 관리(25.4%)에 대해서는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발관리 지식은 성별(t=-2.073, p=.039)과 발관리 교육유무(t=-4.640, p=.000), 연령(r=-.23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자, 발관리 교육을 받은 자, 연령이 낮은 대상자들의 발관리 지식이 높았다. 3. 발관리 이행은 양말을 매일 갈아 신기, 면양말 선택하기, 볼이 넓고 신고 벗기 편한 신발 신기, 목이 조이지 않는 양말을 신기, 물주머니나 온열기로 발을 보온하지 않기, 금연이 이행도가 높은 반면에 발의 맥박 측정, 손거울을 이용한 관찰, 발의 온도 확인, 진료시 발상태에 대해 질문, 발관찰 위한 도움을 요청, 발에 크림이나 로션을 바르기는 이행이 낮았다. 발관리 이행은 성별(t=-3.168, p=.002), 발관리 교육유무(t=-3.650, p=.000), 발상처 경험 유무(t=-2.667, p=.01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자, 발관리 교육을 받은 자, 발상처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발관리를 더 잘 이행하고 있었다. 4. 족부합병증 위험요소는 모노필라멘트 검진에서 감각소실이 있는 경우는 38.8%- 42.6%였고, 티눈이나 굳은살이 있는 경우는 45.9%-47.5%였다. 이들 족부합병증 위험요소 중 모노필라멘트 요소와 궤양이나 염증요소가 대상자의 특성 중 질병이환기간, 연령, 발 상처 치료경험, 합병증과 유의한 관계가 있어 질병 이환기간이 길고 연령이 높고 발 상처 치료경험이 있고 합병증이 있는 경우 족부 합병증의 위험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5. 발관리 지식과 발관리 이행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r=.375, p=.000), 발관리 지식이 높을수록 발관리 이행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당뇨병 환자들이 발관리 교육을 받은 경우 발관리 지식은 높으나, 무감각한 발의 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발의 혈액순환 확인, 온도 확인에 대한 지식과 이행이 부족하고, 발관리를 위한 타인의 도움을 요청하거나 보조용품의 사용이 적고 크림이나 로션을 바르는 행위의 이행도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고위험군 선별 및 관리, 특히 무감각한 발의 관리, 발관찰을 위한 타인의 도움요청 등 실제적인 발관리 수행방법을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당뇨병 환자의 발관리 지식을 향상시키고, 발관리 이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발관리 고위험군을 발견하여 추적 관리하는 환자관리 프로그램과 실제적인 발관리 기술과 이행을 제시하는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그 효과검증연구를 제언한다. 주요어 : 당뇨병, 발관리 지식, 발관리 이행 Foot complications are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for people with diabetes. Complications on foot may contribute to the incidence of amputation and subsequent disabilities, high mortality, and may increase the costs of the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among the foot risk factors, diabetes patients'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care behaviors. The subjects were in hospital and outpatients with diabete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city within the period of Sep. 23 and Oct. 20 in 2002.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 care behaviors we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Mi young Moon(1999),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the question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scales in the study were Chronbach's Alpha 0.75 and 0.85, as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 ANOVA, and Chi-squares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age ranged from 24 to 89, with average of 57.4(±11.16). Subjects in 60's were 34.2%, that was the most, and included 57% men and 43% women. 2. In terms of subjects knowledge for foot care, subjects showed great knowledge i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foot care (76.2%), temperature of water washing foot (74.1%), and in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of visiting physicians when they have a foot injury(68.0%). The subjects showed low knowledge in measuring foot temperature (21.8%) and pulse on foot (23.3%), and in caring senseless foot (25.4%). 3. In foot care habits, the mean score for wearing new socks everyday (4.58±0.86), choosing cotton socks(4.29±1.06), wearing shoes which was wide and easy to put on and take off(4.19±1.06), wearing socks that had wide ankle(4.09±1.09), not keeping warm with water bag or hot-holding machine(4.02±1.20), and quitting smoking(3.95±1.66) were high, but the mean score for measuring foot pulse(1.49±0.81), observing with hand mirror(l.75±1.12), checking foot temperature(l.79±1.06), questioning foot condition while treated(l.93±1.15), asking help for foot observation (2.05±1.22), and rubbing cream or lotion on foot(2.20±1.38) were low. 4.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ge and sex affected on the knowledge for foot care: Women compared to men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women vs. man)(t=-2.073, p=0.039). Young People compared to the old people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r= -233, p=.00l). In addition, attending training course affected the level of knowledge for foot care: People who have attended in the training course showed higher level of knowledge than those who have not attended courses (attend vs. not attend)(t=-4.640, p=.000) 5. For the foot-care behaviors, women compared to men showed better performance (women vs. man) (t=-3.168, p=0.002). In addition, attendance in the training course and experience to be treated for foot injury affected the foot care behaviors: People who have attended in the training course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foot care than those who have not attended (t=-3.650, p=0.000). People who have experience being treated for foot injury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foot care than those who have not(t=-2.667, p=0.010). 6. Among the foot risk factors, 38.8%-42.6% were insensible to a monofillament and 45.9%-47.5% had a callus or corn. Among foot risk factors, insensibility to a monofillament and having a corn or callus were increased in by the longer disease contraction period, older age, having experience being treated for foot injury, and presence of complication(s). 7. Knowledge for foot care 'and foot care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interrelation (r=.375, p=.000). In terms of the findings, diabetes patients had better foot care behaviors when they had higher level of knowledge for foot care. This finding supports the importance of diabetes education. Particularly to improve the foot care behaviors that needs not only the knowledge but also skills, repetitive training are needed. By providing nursing counseling and education, more patients with diabetes may perform effective foot care; therefore, save their foot from amputation and other complications. Nurses should take time to identify people in a high risk who are in need foot care. In addition, nursing research studies that ensure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education and training are needed. Key words: type2 diabetes, foot care knowledge, foot care behaviors

      • 초등학교 시설을 활용한 在家고령자 복지서비스 統合據點 構築에 관한 연구

        이정림 경북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에너지공학부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속적인 출생률과 사망률의 감소로 인한 인구 고령화는 21세기 세계적인 사회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고령화의 특징은 급속한 고령화의 속도,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의 증가, 고령 독신 세대 및 고령 부부 세대의 증가이다. 이들은 과거의 고령자들보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고 교육수준과 문화수준이 높은 자립형 노인층을 형성하며 여가생활을 즐기고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으며 안정되고 행복한 노년기를 보내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거동이 불편해지고 그 이동성이 제한된다. 오늘날 고령자들이 가진 문제와 욕구가 다양한 이유는 생활수준이 향상되었고 고령자 집단 내에서도 다양한 연령계층이 존재하며, 고령자들의 복지에 대한 권리의식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고령자 개인이나 고령자 집단에 다양한 욕구가 있기 때문에 질 높은 다양한 서비스의 연계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복지서비스가 일련의 체계를 갖추지 않는다면 그 대상이 편중되고 전달이 비효율적으로 되기 쉽다. 최근 그에 따른 노인복지 문제나 고령자 전용시설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그 관심이 저소득층이나 고소득층 위주이고 또 신체·생리적으로 취약한 고령자들을 위한 요양시설에 치중되어 있으며 전용시설의 경우도 그 기능적인 면만이 강조되고 고령자들의 거주적인 요소를 결정짓는 심리적, 사회적 측면은 등한시 되고 있다. 또한 전용시설 입주 사기 등의 폐해도 속출하고 있다. 고령자들은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길 원한다. 그들이 살던 집에 살면서 지역에 공동체를 형성하며 보통 사람들처럼(normal) 함께 생활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재가고령자들에게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관리해주는 제도적인 연계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이동성이 취약한 고령자들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가장 접근성이 양호한 도시기반시설은 초등학교를 들 수 있다. 또한 변화해가는 사회구조 속에서 학교시설은 지역사회의 공공시설로서의 기능과 지역주민의 평생 학습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의 도보 생활권역 내에 있으면서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로 학급수와 학생 수가 감소하고 있는 초등학교를 지역 고령자들의 복지서비스 거점으로 구축하고 그 거점을 통해 재가고령자와 도시기반시설에서 제공하는 복지서비스가 연계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문헌조사, 사례조사, 현황조사가 이루어졌다. 첫째, 문헌조사에서 고령자 복지와 관련된 단행본과 선행 연구 자료를 조사하고 고령자 특성 파악을 위하여 고령자 통계 및 각종 통계자료 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GIS 커널밀도함수 기법을 이용하여 고령자 인구분포 및 이동특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본 연구의 공간적인 대상지인 대구광역시의 고령자 인구분포 및 도시기반시설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GIS의 커널밀도함수 분석, 중첩분석, 버퍼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재가고령자들이 원하는 복지서비스를 지역 내 도시기반시설을 연계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한 복지서비스의 유형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령자들을 위하여 조성된 고령자 전용 맞춤아파트, 실버타운 등을 방문하여 관리자 및 고령자 인터뷰를 실시하고 설계사무실의 도면 자료 및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고령자들을 위하여 제공되는 복지서비스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넷째, 통합거점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컴퓨터 OPEN API를 활용하여 학군별, 65세 이상 고령자수, 학급 수, 학급당 학생 수, 초등학교에서 각 도시기반시설로의 최단거리 경로를 조사·비교·분석하여 적합한 통합거점을 선정하고 재가고령자에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시기반시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고령자들은 자신이 살던 지역에 거주하면서 그들이 원하는 복지서비스를 누리길 원하며 그들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재가 고령자 복지서비스 통합거점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거점은 지역의 중심에서 고령자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사회참여의 장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령자의 접근이 원활해야하는데 재가고령자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기반시설 중 고령자 도보생활권에 입지하고 있는 초등학교가 접근성면에서는 가장 적합하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령인구가 줄어들어 학급 수 및 학생 수가 감소하여 여유교실이 증가하고 있어 여유교실을 이용하여 재가고령자 통합거점을 구축한다면 새로운 시설의 신축이나 증축 없이 재가고령자 복지서비스 거점의 구축이 가능하며 학교시설의 공용공간인 운동장이나 체육시설, 강당, 식당 등을 활용하여 고령자 미니복지센터를 조성하여 재가고령자의 지역 활동거점을 구축한다. 셋째, 재가고령자들이 필요한 복지서비스는 생활편의서비스, 문화서비스, 스포츠서비스, 의료서비스, 안전관리서비스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들은 이동주체에 따라 재가서비스 연계, 도시기반시설 연계, U-city 연계로 그 제공행태가 분류된다. 재가 서비스는 서비스가 고령자의 주거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주로 생활편의서비스가 이에 속한다. 고령자가 통합거점을 통해 상담하고 신청하면 통합거점에서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시설과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시기반시설연계 서비스는 주로 문화, 의료, 스포츠 서비스로 통합거점의 미니복지센터를 이용하거나 다른 도시기반시설로 고령자를 이동·연계하여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U-city 연계는 고령자 주거와 도시기반시설에 U-city를 구축하여 복지서비스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어지는 경우인데 주로 안전관리서비스가 이에 속한다. 넷째, 전체 초등학교 중 통합거점으로 적합한 초등학교를 선정하고 이 통합거점을 중심으로 거점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다섯째, 재가고령자에게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위의 통합거점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최단거리 도시기반시설을 연계하고 각 거점에서 제공되는 복지서비스를 특성화하고 지역의 인프라를 구축한다. 고령자들은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경제적으로 일반인들과는 다르다. 그러나 고령자에게 맞는 공간과 프로그램을 확보하여 그들을 고립시키는 것 또한 고령자 문제의 해결방안이 될 수 없다. 우리사회는 모두의 힘으로 이룩해 온 것이며 모든 세대가 함께 생활하면서 공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 본 연구는 “재가고령자”를 위한 복지서비스 연계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통합관리 하는 통합거점을 구축하여 고령자들이 자신이 살던 지역과 주거에서 계속 거주할 수는 방향성을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The aging of population by the continuous decrease of birth and death rates has emerged as one of the global social problems in this century. Particularly, Korea is showing such tendencies as rapid aging of population, the increase of older seniors over 75 years old and the senior generation as singles and couples. These people, financially richer than the past seniors, form an self-reliant senior generation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culture, enjoying leisure and healthcare services, as well as desiring stable and happy senescence. With the progress of senility, however, they experience behavioral discomfort and limited mobility. The present-day seniors have various problems and needs because their improved standard of living, existence of various age-groups even in the senior group, and the changed consciousness of rights to senior welfare. These various needs amongst senior individuals or the group make it imperative to connect a variety of quality services for them. This kind of connected welfare services, however, are likely to be delivered biasedly or inefficiently to the beneficiaries were they not be organized systematically. The recent days are accordingly witnessing active discussions on such issues as senior welfare and their exclusive facilities. Still, the main concerns are biased toward either the low-income or the high-income classes and toward sanatoriums for the senior vulnerable physically or physiologically. Even for their exclusive facilities, the emphasis is only on functional aspects excluding psychological and social ones which determine the elements of dwelling for the senior. Besides, even fraudulent cases are frequently occurring in the process of their moving into the exclusive facilities. Seniors want to keep living where they have lived. In order to let them keep living in their own house and live together like normal people by forming a community in the local area,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stitutional network that provides and manages integrated welfare services for the senior in hom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s troubled often with mobility, the most accessible urban infrastructure may be primary schools. In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school buildings are also transforming themselves into a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functioning as the public facilities for the local community. Thus, this study intends to build a networked system as a local base of senior welfare services with primary schools, which are within the walking sphere of seniors and whose numbers of classes and students have been shrinking recently along with the decrease of school-aged population, and on this base, connects the in-home seniors to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the urban infrastructure.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site survey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reviewing books about senior welfare services and the related precedent researches, examining the statistics about seniors to figure 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conducting many kinds of statistical reviews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GIS kernel density estimation was utilized to see the distribution of senior popu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obility. Second, the GIS kernel density estimation, overlay analysis, and buff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ate of distributions of senior population and urban infrastructure in Daegu, the spatially targeted site of this study. Thir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o provide the welfare services for the in-home seniors in connection with urban infrastructure in the local area,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necessary types of welfare services: visiting silver towns and the customized apartment housing only for seniors,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m, collecting and analyzing such data as the drawings from architectural firms and the Internet web-site documents, and then deriving the types of welfare services provided for the seniors. Fourth, in the process of building an integrated base, surveys and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about the numbers of seniors, classes, and students per class, and the shortest path from a primary school to each kind of urban infrastructure. Then, after the selection of a proper integrated base, the urban infrastructure and network were built to provide welfare services for the in-home seniors. The above research entail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eniors want to keep living in the area they have lived in, and an integrated base of in-home senior welfare services is required to provide the services they need. Second, the integrated base should form a senior community in the local center and be a field of social participation. For this, the access by seniors should be easy and in this sense, the most proper urban infrastructure that can offer welfare services for the in-home seniors is primary schools located in the walking sphere of them. Primary schools, experiencing the decrease of classes and students along with the diminished school-aged population, are witnessing the increase of unused classrooms which enable building integrated bases of in-home senior welfare services without new or additional construction works and also utilizing such public spaces as playground, sports facility, auditorium, and cafeteria for making mini-welfare centers and building local activity bases for the seniors. Third, the in-home senior welfare servic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convenience, culture, sports, medical care, and safety management, the provisions of which are also typified by the subjects of mobility as those connected to in-home services, urban infrastructure, and U-city. The in-home service type is provided to the senior dwelling and mainly includes convenience services. The seniors consult and apply for any service through the integrated base, which in turn provides services for them in connection with in-home senior service facilities. The urban infrastructure type is mainly about culture, medical care, and sports services, utilizing the mini-welfare center of the integrated base or guiding seniors into other urban infrastructure in connection. The U-city type provides welfare services with the U-city network built for the senior housing and urban infrastructure, and mainly includes safety management. Fourth, amongst all primary schools, a proper one is selected for the integrated base, around which a network is built in connection. Finally, such integrated networking bases are utilized in providing welfare services necessary for the in-home seniors, connecting urban infrastructure in a shortest distance, characterizing the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each base, and building the local infrastructure. Seniors are different from normal people physically, mentally, and financially. However, isolating them by securing spaces and programs fit for them cannot be a solution for the problems on seniors. Our society has been built by all members and so should head toward the coexistence of all generations living togeth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of suggesting a direction in which senior people can keep living in the houses and areas they have lived,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networked welfare service systems for the “in-home seniors” and building such bases as to enable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easy provision of necessary welfare services.

      • 수용자의 비쥬얼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이정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영상을 주체적인 수용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게 하고자 한다. 둘째, 영상을 현상으로서 바라보는 시각에서 한 단계 발전시켜 영상을 하나의 규칙성을 갖는 언어로서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이와 같은 일련의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인 미디어 교육이 필요함을 간접적으로나마 부각시켜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문제를 갖는다. 연구문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유무에 따라 영상물에 대한 비쥬얼 리터러시 능력의 차이가 있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화여고 학생 13명과 이들과 비슷한 사회, 경제적 환경에 있는 고등학생 12명을 표집 하여 FGI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비쥬얼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세가지 측정 도구가 사용되었다. 그것은 스틸이미지, 편집, 비판적 영상인식 능력을 분석하는 틀로 각각 구성된 것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틸 이미지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미디어 교육 집단과 비교육 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편집과 관련해서는 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가 나타났다. 셋째, 비일상적 영상과 관련해서는 집단간 의미 있는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일상적 영상과 관련해서는 집단간 의미 있는 차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집단간 차이가 발견되는 것은 편집과 비판적 영상인식 중의 일상적 영상 인식이었다. 특히 주목할 것은 항목간 차이에서 미디어 교육 집단의 교육 커리큘럼에 포함되었던 교육 내용들을 중심으로 집단간 큰 차를 보인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영상의 표현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살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해 주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 도구에 대한 사전 검증을 거치지 못하고 소수의 표집 대상을 상대로 집단면접 방식을 택함으로서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였다. 둘째, 집단 구성에 있어 매체 이용 행태별로 집단을 구성하지 못하였으며 집단 구성이 여성으로 한정된 점도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장애로 작용하였다. 셋째, 구성된 틀에 대한 문화적 차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넷째, 실험물 구성에 있어 직접 제작한 영상을 사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제반 연구의 한계는 측정 도구의 개발을 통해 설문을 구성하고 다수의 표집 대상을 상대로 표집을 실시함으로서 많은 부분 해결될 수 있는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 능력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과 실험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there points. First, this article reflected the view of critical audiences who are experienced visual images in common situation. Generally speaking, they regard visual images as a part of simple phenomena but this paper introduces the other aspect that visual ones is a language with sequence of regulations. Moreover, this research process itself purposed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The question for the study is as follow: < question > Are there differences of visual literacy according that whether people were educated about media literacy or not? For the purpose, people were sampled and categorized two groups for FGI (focused group interview) test. One group were composed of 13, the students of Be-hya girls' school and the other were 12 students based on similar socioeconomic background. For the research of visual literacy, this article used three measurement tools such as still images (1), image editing (2) and critical literacy for understanding visual images (3). Results of the question are as follows: Frist, in case of still image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ut one group was well-educated about media literacy and the other was ill-educated. Next, image editing (2) made acceptab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ird, two groups did not clearly show differences on the basis of unusual (specific) images (3) Fi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happened to groups related to usual (routine) images (3) To be brief, image editing and usual (routine) images mad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wo students' groups. Remarkably, the contents that they already knew through their curriculums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classes because they were accustomed to deal with media. Eventually, the effect shows us the possibility that visual images can be used to express oneself and also issues need of media education. To pursuit further studies, some limits of the paper should be considered as follows: Strictly speaking, it is hard to put confidence on the research because there was no pilot study of measurement tools. Besides, sample size is not suitable to perform all the study. Second, group members were not classified in the view of how to use media, and only students in girls' schools took part in the research, so that it became an obstacle to accomplish more generalized study. Third, socioeconomic factors were not reflected in the experimental framework. Forth, the works used for measuring visual images already existed and were not produced by the researcher. In the end, to get over the limits of this thesis, it should be expected that researchers develope measurement tools and build bases of experimental research about visual communication literacy.

      • 교정직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이정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happiness and empathy ability of correctional officials, and further to check the mediated effect of synesthesia in occupational stress and happiness relationship. To that end, 110 correctional officials at the detention center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s out that task stress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happiness, and happiness has a static effect Second, cognitive empathy ability among empathic abilities was found to be partial in occupational stress and happiness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task stress of correctional officials directly affects happiness, and at the same time, cognitive empathy ability among empathy ability has an indirect effec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at task stress is important to promote the well-being of civil servants, but personal empathy ability is also important. Thus, knowing the importance of empathic skills to promote happiness, it means that support and intervention in the empathy ability-enhancing program for correctional officials is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y was given. 이 연구는 교정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행복, 공감능력 간 관계를 알아보고, 나아가 직무스트레스와 행복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10명의 A구치소 교정직 공무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행복과 부적인 관계가 있고, 행복은 공감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행복 관계에서 공감능력 중 인지적 공감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정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공감능력 중 인지적 공감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교정직 공무원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도 중요하지만 개인적인 차원의 공감능력 또한 중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공감능력의 중요함을 알고 교정직 공무원을 위한 공감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지원과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학부모와 대학생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연구

        이정림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구성 요소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추출된 요인들을 요인분석한 후에, 현재 유치원에 자녀를 보냄으로써 유치원 교사와 직?간접적인 경험을 갖고 있는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에 대한 객관적인 입장을 갖고 있으며 미래에 직업을 선택할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으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차이를 조사하는데 있다.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공 ?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유아의 학부모 250명과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 비전공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도구는 류칠선(1998)이 개발하여 제시한 유치원 교사 이미지 평가척도와 유치원 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조사 설문지(김효선, 2000) 등과 이론적 배경, 문헌고찰을 토대로 수정 및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1. 자녀를 보내고 있는 기관유형이나 학력에 따라 학부모가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위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2. 성별에 따라 대학생이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위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구성 개념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1. 자녀를 보내고 있는 기관유형이나 학력에 따라 학부모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구성요인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2. 성별에 따라 대학생의 유치원 교사 이미지 구성요인에는 차이가 있는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첫째, 주요 집단별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위상에 대하여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구성개념을 탐색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공통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공통요인분석(CFA : Common Factor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공통변량의 초기치는 중다상관자승(SMC : Square Multiple Correlation)으로 하고 요인추출은 주성분 추출법(principal components)을 사용하였으며, 요인의 회전은 직교회전방식(varimax)을 사용하였다. 셋째, 주요 집단별에 따라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for Windows 1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교직 관련 직업 중 사회적 지위가 높다고 판단되는 직업에는 학부모와 대학생 모두 중?고등학교 교사, 초등학교 교사 순으로 꼽았고, 유치원 교사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두 집단 모두 직?간접적인 경험을 꼽았고, 자녀의 직업으로 유치원 교사를 선택할 의향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선택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유치원 교사 이미지의 측정변수들은 총 6개의 요인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성적 자질, 업무 태도적 자질, 직업적 위상, 전문가적 자질, 개인적 자질, 전문 직업의식으로 명명하였으며,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6개 요인들은 유치원 교사 이미지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소로 분류되는데 유치원 교사의 역할 요소는 업무 태도적 자질이, 자질 요소는 인성적 자질, 개인적 자질이, 전문성 요소는 전문가적 자질이, 직업적 위상의 요소는 직업적 위상, 전문 직업의식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 이미지 요인에 대한 태도와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모든 이미지에서 학부모가 대학생 대비 긍정적으로 평가한 가운데, 학부모의 경우에는 전문 직업의식을, 대학생의 경우에는 전문가적 자질에 대한 이미지를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공립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가 사립기관에 보내는 학부모 대비 유치원 교사에 대한 이미지 평가를 긍정적으로 하였고 대학생의 경우 전문가적 자질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 대비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구성요소가 파악되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연구도구가 제안되었으며,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는 대상자와 직?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가장 크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과 일상생활에서 유치원 교사가 올바른 이미지 형성을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특정 집단에 좋은 이미지가 축적되면 그 집단만의 독특한 고유자산이 되는 것을 고려할 때 미래에 직업을 선택할 대학생에게 유치원 교사에 대한 올바른 직업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도 강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figure out components of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is previously to analyze constructed factors that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differ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image as an job between the parents who hav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by sending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and college students who have objective standpoint and have to choose a job in the future. 250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250 4-year-university students whose major is no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surveyed. The instruments of this research is consisted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based on valuation scale of preschool teachers that developed and offered by Chilseon Ryu(1998),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the social perceptions of images that preschool teachers have(hyoseon Kim,2000),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1-1. What is parent's perceptions of the professional status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to send their children o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 Research 1-2. What i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ofessional status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Gender? Research 2. What is the constructs for an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 Research 3-1. Do parents have any difference for image constructs of factor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to send their children or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 Research 3-2. Do University students have any difference for image constructs of factor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Gender? As a way to resolve these issues First, Cross-sectional analysis was held in order to find out perceptional difference for the professional status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main groups, Chi-square verification was held in order to figure ou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navigate the construct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image. Use CFA (CFA: Common Factor Analysis) to extract a common factor, SMC (SMC: Square Multiple Correlation) as the initial numerical value of common values, principal component to extract the ingredient of sampling method, And use, varimax for the rotation of factors. Third, Mean analysis was held in order to find out difference in attitude for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the main groups, t-verification and F-verification was held in order to figure ou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the analysis of SPSS for Windows 13.0. In the study, according to research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onjunction with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status , both the parents and university students judged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have higher social status of the teaching-related jobs, Both groups took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mong the factors that have a great effect on a kindergarten teachers' image. About the groups' intention to select a job of their children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portion of both groups who were not inclined to select kindergarten teacher as a job of their children were slightly higher. Second, a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 measurement variable of a kindergarten teachers' image is classified under six heads which named human nature-quality, work attitude-quality, professional status, professional quality, personal quality, and professionalism. This 6 factors are categorized in four elements that make up the image of preschool teachers. It was showed that role elements of preschool teachers include work attitude-quality, quality elements include human nature-quality and personal quality, expertise elements include professional quality, professional status elements include professional status and professionalism. Third, Being related to attitude toward the image factor of teachers in kindergarten, while parents place higher value on generally whole images than university students, parents set highest value on professionalism and university students set highest value on professional quality.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public institutions place higher value on image of teachers in kindergarten than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private and male students place higher value on whole factors of image except professional quality than female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elements about factors that constructs image of teachers in kindergarten are grasped which means research tool that evaluate it objectively is offered and the fact that the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is formed by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recipient. Therefor further research about what effort is need to form upright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ield of the primary school and everyday lif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accumulation of fine image in a particular group become a unique asset of that group, steps should be taken to form fine professional image of teachers in kindergarten to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choose a job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