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체 내 크레아틴 투여가 최대근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이유신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6주간 크레아틴 구강 투여가 최대근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K헬스클럽 일반인 30대 남자를 대상으로 Cr트레이닝 그룹7명, 트레이닝만 실시한 그룹 7명을 무선 배정하여 매일 20g씩(5g×4회) 1주간 아침, 점심, 저녁, 식사 후 그리고 취침 전에 오렌지 쥬스와 함께 섭취하였고 1주가 지난 후에는 매일 10g씩 (5g×2회) 5주간 운동 전?후로 섭취시켰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주 3회 이루어졌으며, 운동종목은 Leg extension, Leg curl, Bench press, Back squat 등으로 1-RM이 70~80%부하에서 10회 반복하였고 각 동작을 5set씩 실시하였다. 검사 변인으로는 근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Leg extension 1-RM, Leg curl 1-RM, Bench press 1-RM, Back squat 1-RM을 트레이닝 전.후에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고 각 집단간 평균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의 평균차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p<.05 유의수준에서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reatine분석은 Model-HITACHI 747/737 생화학 분석기 (HITACHI 社: 일본)를 사용하여 뇨 크레아틴을 분석하였다. 1. 최대근력의 변인 6주간의 웨이트 트레이닝(Leg extension, Leg curl, Bench press, Back squat)을 실시한 결과 사후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각 집단별 사전.사후 간 두 운동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신체조성의 변인 6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Leg extension, Leg curl, Bench press, Back squat)을 실시한 결과 사후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각 집단별 사전.사후 간 두 운동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뇨 크레아티닌의 변인 6주간의 웨이트트레이닝(Leg extension, Leg curl, Bench press, Back squat)을 실시한 결과 사후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각 집단별 사전.사후 간 두 운동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인체 내 크레아틴 투여가 운동 후(사후)의 결과에 대한 두 집단간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수치상으로는 크레아틴 투여집단이 최대근력의 증가를 가져 왔으며, 뇨 크레아티닌의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구성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ffects of 6 weeks of creatine supplementation with weight training on change of maximal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For this purpose, men in thirties in K Health Club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7 persons were each randomly assigned to the group of training plus creatine, to the group of only training. They were asked to ingest 20g(5g×4 times) of creatine with orange juice after breakfast, lunch and supper and before bedtime everyday for a week. And after a week they were asked to ingest 10g(5g×2 times) before and after training for five weeks. They were asked to conduct weight training three times a week, and stations of weight training were included Leg extention 1-RM, Leg curl 1-RM, Bench press 1-RM, Back squat 1-RM and the like. They repeated them at the workload of 70-80% of I-RM and conducted each motion in five sets. To measure muscular strength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be tested, an attempt was made to measure Leg extention 1-RM, Leg curl 1-RM, Bench press 1-RM, Back squat 1-RM before and after training. In use of SPSS 12.0 program, obtained data were practiced in ANOVA and paired t-test, hypotheses were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Creatin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reatine in urine by using the biochemical analyzer(Model-HITACHI 747/737, HITACHI CO.Japan). 1. Variable of Maximum Strength Six weeks of creatine supplementation with weight training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imal strength variables. 2. Variable of Body Composition(in % body fat, lean body mass) Six weeks of creatine supplementation with weight training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imal strength variables. 3. Variable of Creatine in Urine Six weeks of creatine supplementation with weight training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imal strength variables. As a result, creatine administration did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of after participation. But numerically the group with creatine had the increase of maximum strength and creatine in urine. But body composition wasn't influenced by creatine administration .

      • Anthropometric Design and Ergonomic Posture Assessment based on Intelligent Algorithms for Seated Work

        이유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오늘날 착석 작업은 매우 보편화 되었다. 착석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이는 장시간 부적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경우 근골격계 질환이 발병하거나 과업 수행 능률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아동의 경우, 바른 작업 자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왜냐하면, 아동기에 발병한 근골격계 질환은 신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기에 형성된 자세 습관은 쉽게 교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많은 연구들에서 부적절한 작업 자세를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규명되어 왔다. 이러한 요인들 중 작업자에게 인체측정학적으로 부적합한 디자인의 작업 공간은 부적절한 작업 자세를 유발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인간 공학 분야에서 아동들이 사용하는 작업 공간의 설계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져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구의 치수는 매우 신중히 결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학교가 대다수의 아동들이 많은 시간 동안 앉아서 학습하고 생활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 초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책상과 의자는 일곱 단계의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며, 각 단계의 높이는 한국기술표준원에서 제공하는 표준인 “KSG 2010: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를 따르고 있다. 그런데, 본 표준은 수립 된지 너무 오래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제작된 책상 및 의자가 현 세대의 한국 아동들에게 인체측정학적으로 적합한지 의문스러운 실정이다. 설령 현재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시스템이 한국 아동들에게 여전히 적합하다 하더라도, 아동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높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인체측정학적 특성에 적합하게 디자인된 작업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작업자의 자세 습관이 좋지 않을 경우 부적절한 작업 자세를 빈번히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른 작업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작업 자세 교육 및 교정을 통한 바른 자세 습관의 형성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자세 교육 및 교정을 위해서는 장시간 동안의 관찰이 선행되어야 하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당량의 인적,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소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부적절한 앉은 작업 자세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1) 새로운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시스템 개발, 2) 새로운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선택 가이드라인 개발, 3) 새로운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해결 방안 도출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착석 작업에서의 부적절한 작업 자세 문제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 기반의 체계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총 4014명의 한국 아동의 인체측정학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한국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시스템의 인체측정학적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책상의 경우 약 절반 정도의 아동 만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이 책상 밑 서랍의 존재인 것으로 밝혀졌다. 의자의 경우 대부분의 아동을 수용할 수 있지만, 불필요한 높이 단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활용한 접근법을 통해 새로운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체계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책상의 높이 체계는 수용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새로운 의자의 높이 체계는 보다 적은 높이 단계로도 모든 아동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 4장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책상 및 의자 높이 선택 가이드라인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아동들이 인체측정학적으로 적합한 책상 및 의자의 높이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현재 높이 시스템으로 수용할 수 있는 2005 명의 아동의 인체측정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이드라인에 따른 권장 높이가 인체측정학적으로도 권장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총 36명의 아동으로부터 얻은 인체치수데이터를 활용하여, 그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책상 및 의자의 높이가 인체측정학적으로 권장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첫 번째 연구 결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이드라인으로는 전체 아동의 약 4분의 3 정도만을 인체측정학적 권장 높이로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연구 결과, 실험에 참여한 아동의 약 4분의 1 정도만이 자발적으로 인체측정학적 권장 높이를 선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높이 선택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활용할 경우 더 많은 아동들이 인체측정학적으로 권장되는 책상 및 의자의 높이를 선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 5장에서는 압력센서 기반의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개발을 위해 압력 분포 센싱 매트를 자체 제작하였으며, 이를 좌판 쿠션에 삽입한 후 아동들로부터 9개 앉은 자세에 대한 압력 분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세 분류를 위해서는 딥러닝 기법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이 활용되었다. 시스템의 사용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총 3가지 분류 실험이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는 사용 이력이 있고 신원 확인 가능한 사용자의 사용을 가정한 실험이었고, 두 번째는 사용 이력이 있지만 신원 확인이 불가능한 사용자의 사용을 가정한 실험이었고, 세 번째는 사용 이력이 없는 사용자의 사용을 가정한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 시스템이 첫번째 실험에서는 99.66%, 두번째 실험에서는 99.40%, 세번째 실험에서는 77.35%의 자세 분류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세번째 실험 결과, 시스템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인 자세는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 인식 가능하나, 바른 자세, 앞으로 기울인 자세, 양반 다리 자세의 경우에는 비교적 부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 6장에서는 결론에 이르러 본 논문의 주요 결과물과 의의, 한계점에 대한 논의와 함께, 3, 4, 5장에서 수행된 연구 방법들을 종합하고 일반화 시킴으로써 다양한 착석 작업에서 발생하는 부적절한 작업 자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한국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책상 및 의자의 디자인과 그들의 선택 가이드라인에 문제가 있으며, 아동들이 인체측정학적으로 적합한 책상 및 의자 사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개발된 책상 및 의자의 높이에 대한 디자인 및 선택 가이드라인은 보다 많은 아동들이 인체측정학적으로 적합한 책상 및 의자를 사용케 함으로써, 아동의 앉은 자세 향상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된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또한 현장에서의 자연스러운 자세를 비침습적으로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 교정 시스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어, 아동의 바른 자세 습관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활용된 연구 방법들은 아동의 앉은 자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착석 작업에서의 작업 자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sedentary work is very common. Therefore, maintaining good posture while sitting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declin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managing the sitting posture of children is very important as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childhood affect physical development and poorly postural habits formed in childhood are difficult to correct later. Many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that contribute to the adoption of a poor working posture. Among them is the use of anthropometrically mismatched workstation. School is the place where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in a seated position, so school furniture must be designed carefully. In Korea, the heights of the desks and chairs at primary schools can be discreetly adjusted to one of seven levels as regulated by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for Student’s Desk and Chair (KSG-2010). However, this standard was established long ago; thus, the height systems of present desks and chairs is inappropriate for Korean children of the current generation. In addition, even if the height levels accommodate children of all heights, the accommodation level in real situation might be lower since some children would select inappropriate height level. On the other hand, anthropometrically designed sitting furniture could be useless if the seated person has poor postural habits. To maintain a good posture, the formation of good postural habits must be encouraged through posture correction. However, long-term observation is required and posture correction is more effective when it is performed in real time. Thus,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 following solutions for improving the sitting posture of children: a) Develop a new height system for school furniture; b) Develop new guidelines for selecting height levels of school furniture; c) Develop a novel sitting posture monitoring system; and d) Propose an integrated approach to managing poor working posture problems in various sedentary work settings.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anthropometric mismatch between height systems of school furniture and Korean children was analyzed. For the analysis, anthropometric data from 4014 Korean children were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eight system of current desks could be matched with only half of the children due to the drawer attached beneath the desk. Almost all children could be matched by height to the current chairs, but some levels were redundant. To increase the matching degree, new height systems for the desks and chairs were developed using an algorithmic approach. We confirmed that the new height system for the desks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degree of match, while the new height system for the chairs comprising five levels can be matched to all children. In the second part, we evaluated the anthropometric feasibility of the currently used guidelines for selecting the height level for Korean primary school furniture. We also examined the children’s ability to select anthropometrically recommended desk and seat heights. In study 1, anthropometric data from 2005 Korean children were acquired and a mismatch analysis wa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hildren were paired with the recommended height. In study 2, we conducted a desk and seat height selection experiment that included 36 children. The results of study 1 revealed that about three-quarters of children could be matched by following the guidelines. The results of study 2 showed that one-quarter of the children selected matching desk and seat heights by themselves. We developed new guidelines using classification algorithms based on the employed data in study 1 and confirmed that the new guidelines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degree of matching. The third part addressed a study that aimed to develop a novel sitting posture monitoring system for children. In this study, a customized film-type pressure sensor was developed and pressure distribution data from nine sitting postures was collected from 7–¬12-year-old childre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as applied to classify the sitting postures and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in three applicable usage scenarios: usage by familiar identifiable users, familiar but unidentifiable users, and unfamiliar users.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s revealed model accuracies of 99.66%, 99.40%, and 77.35%, respectively. Comparison revealed that leaning left and leaning right postures had high recall values while good posture and the leaning forward and crossed-legged postures had low recall values. Finally, the research methods of the three studies in this thesis were summarized and generalized to solve poor working posture problems in various sitting settings. The problem sources of poor working posture were categorized by two aspects: use of anthropometrically mismatched workstation and poor postural habits. The first was subdivided into two cases: workstation size misdesign and the workers’ choice of an incorrectly sized workstation. For the first problem source, a research process to evaluate the anthropometrical suitability of a workstation and the algorithmic method to derive optimal design sets were proposed. For the second source, a process to evaluate worker ability to select and guidelines for selecting anthropometrically suitable workstations and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guideline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as suggested. Finally, for the last source, a development procedure for a sitting posture monitoring system for real-time posture correction was develop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urrently used design and selection guidelines for school furniture require revision and that children had difficulty selecting the appropriate school furniture height by themselves. The new guideline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numbers of children who use anthropometrically recommended school furniture. In addition, the developed sitting posture monitoring system is expected to help researchers observe the natural sitting behavior of children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good postural habits by correcting poor posture in real time.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methods applied in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for solving poor working posture problems in various sedentary work settings. In particular, the algorithmic approach used to develop new height systems for desks and chairs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size systems for workstations and other products.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CNN is an excellent method for classifying posture when the pressure distribution data are used as input data.

      • 광대역 반도체소자 및 박막인덕터를 이용한 전력변환회로에 관한 연구

        이유신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반도체 직접화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정보통신기기는 날로 소형, 경량화, 고신뢰성의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통신기기에 있어 시스템 부분 중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변환회로 부분은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온도 특성, 에너지 축적용 수동 소자 등의 존재로 인하여 기대하고 있는 만큼의 고 신뢰성 및 소형경량화가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변환회로의 고 신뢰성을 위해 Si 반도체소자와 달리 강한 공유결합으로 높은 온도에서도 그 특성을 잃지 않고, 높은 Breakdown Field를 갖는 광대역 반도체소자로서 SiC Schottky 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기존의 Si의 반도체로 제작된 다이오드와 SiC Schottky 다이오드를 Simulations 및 실험을 통하여 비교함으로써 SiC Schottky 다이오드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SiC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50W급 및 250W급의 역률개선회로 Power Factor Crrection(:PFC)를 설계하였으며, 설계된 회로를 바탕으로 제작 및 실험을 하였다. 기존의 Si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력변환회로와의 특성비교를 통하여 온도특성을 중심으로 동작특성의 우수성을 밝혀내고 기기의 신뢰성 및 소형화에 기여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전력변환회로의 소형, 경량화를 위한 한 방법으로 최근 연구되어지고 있는 박막 인덕터를 전력변환회로에 적용하였을 경우 이에 따라 수반되는 전력변환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Screen Printer, Furnace, Reflow machine과 같은 각종 SMT 장비를 이용하여 박막 인덕터를 이용하여 1∼3W급 전력변환회로의 소형·경량화를 위한 최적회로인 MCM type의 Micro DC-DC converter를 개발하였다. Recently the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personal computer and cellular phone, have achieved remarkable progress on their size and reliability due to IC technology. However, when it comes to power conversion circuit of the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ystems,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Si semiconductor devices and the energy storage passive elements prevent the systems from size reduction and higher reliability. It is recently known that silicon carbide material has excellent thermal characteristics in its application to semiconductor devices and thin-film inductor manufactured by thin-film technology is developed to contribute size reduction of the systems. In this paper, we firstly have investigat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ilicon carbide (SiC) schottky diode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to those of conventional Si diode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 Secondly we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iC schottky barrier diode applied to Power Factor Correction (:PFC). From the investigation results it is verified that SiC schottky diode is more superior to Si diode in thermal and reverse recovery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size reduction and higher reliability of the systems. Finally, we have studied the Micro DC-DC converter using the thin-film inductor, which is another factor in the size reduction of the systems. Through the study we could verify the possibilit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power conversion circuit of the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소셜커머스 특성이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레스토랑유형 및 소셜커머스 이용기간의 조절효과

        이유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소셜 네트워크가 사람들의 정보 공유의 방법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이를 활용하는 소셜커머스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관심이 증가하면서 시장의 규모도 커져가고 있지만, 소셜커머스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외식산업분야에서는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의 특성과 신뢰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소셜커머스를 활용할 외식업체의 마케팅정책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의 구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소셜커머스 사이트의 특성과 신뢰의 구성요인들을 파악하고 소셜커머스 사이트 특성과 신뢰의 영향관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 신뢰와 소비자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소셜커머스 사이트의 특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보다 나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소셜커머스를 통한 외식산업의 마케팅 활동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을 위하여 소셜커머스를 통해 국내 외식업체의 상품을 구매하여 실제로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12년 10월부터 한 달 동안 실시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총 382부를 회수되었으며,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65부를 제외한 총317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조사한 자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소셜커머스 특성과 소셜커머스 및 외식업체간의 신뢰의 영향관계에서 가격의 저렴성, 외식상품 및 업체정보와 외식업체의 명성의 세가지의 요소는 모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소성과 편의성의 두 요소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은 소셜커머스에는 유의적인 영향관계가 외식업체에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와 고객만족의 영향관계에서 고객만족에는 신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스토랑의 유형의 조절효과분석 결과, 소셜커머스 특성이 신뢰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셜커머스 이용기간의 조졀효과분석 결과 소셜커머스 특성이 신뢰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소셜커머스, 외식상품, 소셜커머스 특성, 신뢰, 고객만족, 레스토랑 유형, 소셜커머스이용기간

      • 독도산업의 발전방향 연구

        이유신 경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the concern on how to make the public interest in the protection of Dokdo Islands persist comprehensively and rationally for a long time, rather than making it temporary, fragmentary, and emotional reactions. This study sought a way to develop the Dokdo Industry by linking Dokdo Islands and Industry as an industrial countermeasure for defending Dokd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evelopment direction of Dokdo Industr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laws, industrial structure, and profit structure related to it.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was from 1982, when Dokdo song was first announced, to the present and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efficiently. This study evaluated and analyzed the legal, industrial structure, and profit structure of South Korean Dokdo Industry. Moreover, this study reviewed the identified issues and suggested a concret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he Dokdo Industry. This study employed a historical approach, used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investigation as study methods, and analyzed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ly, it would be necessary to enact Dokdo Industry Promotion Act and establish Dokdo Industry Research Society and Dokdo Industry Promotion Associ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Dokdo Industry. Dokdo Industry Promotion Act shall aim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Dokdo Industry and contribute to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for Dokdo Islands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by defining items necessary for establishing, supporting, and fostering the foundation of the Dokdo Industry. It would be also recommend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founding a research society and enacting a promotion act for studying and developing the Dokdo Industry by appointing institutes, universities, and organizations as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es, fostering and managing professionals, and securing teaching faculties. The research society shall promote the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vergence and foster human resources by conducting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okdo Industry and seeking collaborations. The promotion association shall establish the basis to advance the Dokdo Industry 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by maximizing the product development, business, and marketing abilities of members and providing training and instructions for members to develop technolog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oducts. Secondly, the industry shall increase the quality of products and improve the cost-effectiveness as an industrial structure field. Moreover, it shall increase the value by developing the unique brand only for Dokdo and discovering new cultural contents. Ultimately, it should advance to the fourth and sixth industry, led by a private sector. The primary industry should manage the decreasing fishery resources. Moreover, the secondary industry should create new brands, improve the quality of products, and expand the product groups. Therefore, they need marketing strategies to approach customers by providing more friendly and diverse products. The tertiary industry needs to cultivate new contents by consistently developing and studying the cultural contents of Dokdo Islands. Moreover, it will be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Ulleungdo Island’s tourism service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it, and develop unique tourism contents of Dokdo Islands. Additionally, it is required to actively form the consensus of Dokdo Islands, encourage people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associated with Dokdo Islands, and persistently protect the sovereignty of Dokdo Islands by offering or holding Dokdo Cultural Experience Village (sixth industry led by a private sector) or Dokdo Industry Fair. Third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rt-up support system, an income structure field, gentrify Dokdo brands, introduce certificate system, and obligate the use of Dokdo products. It will be also required to lower the threshold of the market for start-ups by establishing a start-up support system and encourage the emergence of entrepreneurs with full of entrepreneurial spirit. Moreover, Dokdo products should build the perception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ts is excellent by unifying various Dokdo brands, which are being used carelessly, into one by using a gentrific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Dokdo brand companies more continuously and stably. One way to secure the sales of companies at the early stage, the members of the Dokdo Industry, or certified excellent companies is to introduce a Dokdo Product Supply Obligation regulation. 본 연구는 독도수호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일시적ㆍ단편적ㆍ감정적 대응이 아닌 장기적ㆍ종합적ㆍ이성적 대응 등이 지속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게 된 것이 연구배경이 된다. 이러한 연구배경을 토대로 연구대상을 독도산업을 대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대상을 조사ㆍ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독도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독도노래가 처음 발표된 1982년부터 현재까지로 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는 국내로 하였다. 내용적 범위는 우리나라 독도산업의 실태를 법령분야, 산업구조분야, 수익구조분야별로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출된 문제점을 검토한 후 독도산업의 구체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연구방법으로서 접근방법은 역사적 접근방법을 사용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ㆍ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독도산업을 발전하기 위해서는 첫째, 법령분야로써 독도산업진흥법제정과 독도산업학회, 독도산업진흥협회의 설립이 필요하다. 독도산업진흥법(가칭)은 부록에서 제시한 대로 독도산업의 기반 조성 및 지원ㆍ육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독도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독도의 영토의식 고취와 국민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소, 대학, 기관 및 단체를 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정, 전문인력의 육성ㆍ관리, 교수인원을 확보하여 독도산업의 연구ㆍ개발 등을 위한 학회와 진흥협회의 설립 근거도 마련하여야 한다. 독도산업학회와 독도산업진흥협회를 설립하여 학회는 독도산업의 발전과 관련한 제반연구와 협력을 통하여 독도산업의 정보 경영과 융합을 촉진하고 필요한 인력양성에 공헌하며, 독도산업진흥협회는 회원들의 상품개발과 비즈니스 및 마케팅 능력을 증대하고,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에 대해 연수, 지도를 산업체에 제공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산업구조분야로써 제품의 질적 향상과 가성비를 높이고, 독도만의 자체 브랜드 개발과 신규 문화컨텐츠 개발을 통한 브랜드 가치상승과 민간주도형 4차ㆍ6차산업으로 발전하여야 한다. 1차산업의 경우 줄어드는 어자원을 관리하고, 2차산업의 경우 신규브랜드 창출과 제품질 향상, 제품군의 확대를 이끌어 보다 친숙하고 다양한 제품군을 제공하여 고객에게 다가가는 마케팅이 필요하다. 3차산업은 독도의 문화컨텐츠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로 신규컨텐츠의 육성이 필요하며, 직접적으로 연관된 울릉도의 관광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독도 자체의 관광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민간주도형 6차산업인 독도문화체험마을, 독도산업박람회 등을 통해 독도사랑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지속적으로 독도 영유권 수호를 위한 대응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수익구조분야로써 창업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독도브랜드 고급화 및 인증제도 도입과 독도제품 공급의무화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정부의 창업지원시스템 구축으로 신규창업자의 시장진입 문턱을 낮추고, 기업가 정신이 투철한 사업 영위자의 출현을 이끌어 내야 된다. 또한, 독도브랜드의 고급화와 인증제도를 통해 우후죽숙으로 사용되는 독도브랜드를 일원화 시켜 독도상품은 품질이 좋다는 인식을 오랜 기간동안 쌓아 제품의 신뢰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독도제품 공급의무화 제도를 도입하여 독도산업협회원과 우수사업자가 생산하거나 초기 창업시 판매처의 확보를 원활히 하여 좀 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업체운영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근본적으로 독도산업의 활성화는 독도의 실효 지배의 근간이 되고, 자연스럽게 독도의 영유권이 강화 될 것이다.

      • 청소년 가출비행의 상습화와 심화

        이유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청소년 비행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청소년의 상습적 비행행동은 일시적 비행행동보다 정상생활로의 환원이 어려우며, 청소년 발달과정상의 문제와 이에 따른 생애지속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따라서 청소년기, 특히 중학년기 에서 고학년기로 이어지는 비행행동의 상습화와 심화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청소년의 상습적인 비행과 성인범죄로의 발달을 막는 일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가출비행의 상습화와 심화현상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1) 빈곤이 고학년 가출행동에 미치는 영향, 2) 사회유대가 고학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 3) 비행행동의 상습화(중학년기 가출이 고학년기 가출에 미치는 영향)와 심화현상(중학년기 무단결석이 고학년기 가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4) 이 과정에서 사회유대의 중재효과를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 패널자료의 1-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중학년 시기의 빈곤여부와 부모결속이 고학년 시기의 가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중학년 시기의 가출행동과 결석행동의 경험이 고학년 시기의 가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시기의 가출행동이 고학년 시기의 가출행동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은 가출비행의 상습화를 그리고 중학년 시기의 무단결석행동이 고학년시기의 가출행동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은 가출비행의 심화현상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사회유대요인 중 ‘결속’이 가출비행의 상습화와 심화에 미치는 중재효과를 살펴본 결과, 비행의 심화현상을 지역사회결속이 중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역결속의 정도가 높을수록 중학년 시기의 결석행동이 고학년시기의 가출행동으로 이어지는 비행 심화의 가능성은 낮아졌다. 기존의 비행에 대한 연구가 주로 횡단적 관점에서 주 원인을 탐색하였다면, 본 연구는 5차에 걸친 자료를 통해 청소년의 비행을 종단적으로 바라봄으로써 빈곤과 사회유대가 청소년기 가출비행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제시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사회유대(결속)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고 사회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행의 통제효과를 종단적 관점에서 살펴본다는 것은 청소년의 비행이 성인으로까지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대안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또한, 긴장이론과 사회유대이론의 두 가지의 다른 이론적 관점을 통해 빈곤과 결속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빈곤과 결속과의 관계양상을 가정함으로써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효과적인 요인의 탐색을 기대할 수 있는 연구이다. 지역사회 결속이 비행의 심화현상을 중재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비행을 설명함에 있어 사회자본의 중요성을 함의한다. 이는 청소년을 둘러싼 다양한 측면, 특히 지역사회유대를 통해 청소년 비행이 통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장애인의 이동성과 사회적 배제

        이유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장애인은 사회적 배제의 위험에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설명되어왔다.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는 다차원적 기회의 제약과 또 다른 사회적 배제의 재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설명요인을 분명히 하는 것은 장애인이 경험하는 불평등에 대한 사회적 환경과 배제과정에서의 원인을 탐색하는 일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이동성을 설명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동성이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회적 배제는 주로 객관적 지표를 통하여 측정되었다. 취업여부, 빈곤여부와 같은 사회적 배제에 대한 객관적 지표는 사회적 배제의 동태적 특성,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기인하는 사회적 배제의 속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사회적 배제의 양상을 설명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이동을 위치추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직접 측정함으로써 실제 이동성과 사회적 배제와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이동성은 외출, 교통수단과 같은 응답자의 기억에 의존하거나 자기평가를 기반으로 한 질문을 통해 측정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과학을 활용해 이동성을 측정함으로써 장애인의 이동성과 사회적 배제와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 장애인실태조사의 자료를 통한 장애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이동성의 관계, 설문조사를 통한 장애인의 이동성이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위치정보 데이터를 사용한 장애인의 이동성과 사회적 배제 경험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이동성이 낮은 장애인들의 구체적 이동양상을 탐색하였다. 장애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장애요인에 따른 이동성과의 관계를 탐색한 결과, 연령과 경제활동의 여부가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사회인구학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낮은 이동성을 보였다. 장애요인 중에서는 장애등급과 장애유형, 중복장애 여부에 따른 이동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의 이동성과 사회적 배제와의 관계를 검증하는 회귀분석의 결과, 장애인의 외출정도와 외출 시 불편의 정도가 사회적 배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동성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장애인의 이동성을 측정한 위치추적데이터를 사용하여 회귀분석 한 결과, 실제 이동 거리를 통제한 상태에서 이동면적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유의미한 부적영향이 나타났다. 결과에 대한 해석을 명확히 하기위해 사례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배제에 따른 이동의 양상을 살펴본 후, 이동성이 낮은 집단의 이동양상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의 결과,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집약적 이동분포와 밀집된 형태의 복지기관의 공간적 분포의 공통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있는 장애인들의 낮고 폐쇄적인 이동양상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배제의 위험을 설명한다.

      • 다큐멘터리 사진의 이중성에 관한 연구 : 권태균의 노마드 사진을 중심으로

        이유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권태균(權泰均, 1955-2015)의 사진집에는 “나의 사진적 관심은 삶이란 것, 사람들이 어떻게 이 땅에서 살아가는가가 중요한 관심사입니다”라고 적혀있다. 이 말은 그가 자신의 다큐멘터리 사진을 통해 무엇을 보여주고 싶어 했는지 알 수 있는 구절이다. 권태균은 특히 1980년대 한반도 농촌 풍경에 주목했다. 그의 사진에는 커다란 사건이나 유명한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가 촬영해 온 대부분의 사진에는 농촌에서 생활하는 소시민의 삶이 담겨있다. 본 논문에서 주된 연구의 대상은 권태균의 ‘노마드(nomad)’ 사진 연작으로 이 시리즈는 그의 사상과 작품세계를 담고 있다. 노마드는 그가 생전에 좋아하고 즐겨 썼던 말이자 권태균을 대표하는 말이기도 하다. 노마드 사진 연작은 유랑 자체에 흥미를 느끼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그가 보고 느꼈던 사람들의 관한 사진이다. 이러한 사진들을 통해 그의 사진이 가진 가치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권태균의 삶과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Ⅱ장에서는 다큐멘터리 사진의 전개와 특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다큐멘터리 사진의 역사를 통해 다큐멘터리 사진이 지금까지 어떻게 발전해왔고 어떤 특성을 가져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다큐멘터리 사진이 가진 기록성과 예술성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다큐멘터리 사진의 역사 안에서 밝혀내고, 예술성과 휴머니즘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본다. Ⅲ장에서는 198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과 함께 권태균의 사진을 본격적으로 분석한다. 권태균은 1980년대라는 격동의 시기를 겪어오면서 그의 사진 작업도 본격적으로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그에게 있어 특이한 이력이라면 고인돌과 사람을 같이 촬영했다는 것이다. 고인돌과 사람을 한 장면 안에서 보여주고 싶어 했던 권태균만의 이색적인 표현방식은 다큐멘터리 사진계에서 새로운 시도로 읽힐 수 있다. 그가 생전에 참여했던 인터뷰와 그가 출간한 책들 그리고 권태균의 사모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한다. Ⅳ장에서는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의 ‘생각에 잠긴 이미지’(pensive image)를 권태균의 노마드 사진 연작에 적용하여 사진 작품에 대한 해석을 확장하고자 한다. 랑시에르에게 있어 정치와 미학이 별개가 아니듯 다큐멘터리 사진에 있어 기록성과 예술성도 별개가 아니다. 정치와 미학이 감각적 세계 안에서 느끼는 방식의 차이를 사유하는 것처럼 다큐멘터리 사진 또한 기존 감각의 형식을 거부하고 기록성과 예술성이라는 두 가지 속성이 한 장의 사진 안에서 서로의 관계를 재분배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를 하나로 묶인 매듭이라는 연결된 시각으로 본다. 권태균은 다큐멘터리 사진이 기존에 보여주었던 전통적인 휴머니즘 표현방식에서 탈피하고 새로운 시각화를 위한 방식을 선보인다. 따라서 권태균의 노마드 사진 연작을 중심으로 그만이 가진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조명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은 의의를 가질 것이다. In his collection of photographs, Kwon Tae-Gyun (1955-2015) writes, “My major interest in photography concerns what life is and how people live on this land.” This shows his intention of what he wished to show through his documentary photography. Kwon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landscapes of agricultural villag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80s. There are no big events or celebrities found in his photographs. Most of his work depicts the lives of the petit bourgeois living in rural areas. This study focused on Kwon’s Nomads series containing his ideas and creative words. The photographer liked and used the word nomad a lot. It seems to represent him. The Nomads series includes photographs of people that he saw and felt connected to while moving around the nation as driven by his interest in wandering itself.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values of his photographs based on this work. Chapter II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photography to promot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Kwon’s life and work. It looks into how documentary photography developed and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it had through its history. The chapter shed special light on the two important elements of documentary photography: recording and artistry, within its history and also correlations between artistry and humanism. Chapter III conducts a full-blown analysis of his photography along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1980s. His photography began to come into full bloom as he went through the turbulent times of the 1980s. One unusual element in his photography was dolmens. Wishing to present people along with dolmens in a shot, he employed his unique ways of expression, which are considered as new attempts in the field of documentary photography. The investigator conducted in-depth analysis of his creative world based on his interviews before his death, his books, and an interview with his wife. Chapter IV expanded the interpretations of his work by applying “pensive image” by Jacques Rancière to his Nomads series. Similar to the idea that politics and aesthetics were not separate for Rancière, recording and artistry are not separate in documentary photography. Similar to the way politics and aesthetics ponder on differences in the ways of feeling within a sensory world, documentary photography refuses the old forms of senses and redistributes relations between two attributes, recording and artistry, within a photograph, further seeing these relations in a connected viewpoint of a knot to tie them into one. In his documentary photography, Kwon escaped from the traditional ways of expression based on humanism and introduced a new way of visualization.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his original creative world around his Nomads series, thus claiming its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