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수지의 졸업작품, 「Kind of Love」의 분석

        이수지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졸업공연에서 발표한 4곡의 자작곡을 형식, 선율, 화성, 편곡 등의 분석을 통하여 작품의 특징을 살펴 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oving You 사랑이 시작되는 단계에서 기분 좋은 생각이 많아지는 순간을 노래하는 곡이다. 페달 포인트를 주로 사용하였고, 후렴 󰆴를 반복하여 반키를 상행 전조하여 󰆴-󰆴‘ 를 반복하고 엔딩으로 마무리 되는 형식이다. 2. Sorry 이별에 끝에 선 오래된 연인, 남자는 여자에게 이별을 통보하고 상처받은 여자는 스스로를 위로하는 곡이다. 전체전으로 곡의 분위기를 어둡게 하기위해서 디미니쉬 코드가 주로 등장하고 베이스의 순차적인 진행이 포인트인 곡이다. 3. Primavera Primavera는 봄을 뜻하는 스페인어이다. 보사노바리듬의 곡으로 돌아오는 봄처럼 새롭게 시작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감성적인 피아노 선율과 따라하기 쉽고 반복직인 코러스가 나타난다. 4. You 단둘만의 시간은 너무 짧게 느껴져 떠나보내기 아쉬운 마음을 표현한 곡이다. This paper formalizes the original composition of the piece through analysis of propaganda, melody, harmony, and arrangement. The abbreviation is as follows. 1. I love you. Love begins. Good ideas begin. Repeat back and recoil repeatedly, and it is the form which it repeatedly blocked and suppressed from the prize. 2. I'm sorry. A man tells a man goodbye and gets hurt. Slowly keep the atmosphere in front of the whole song. 3. Primavera Primavera represents spring. Bossa Nova Richard's song has just begun. Emotional piano melody and practice is a repetition right angle chorus. 4. You The only time was too much time.

      • 베넷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에 반영된 수잔 랭거의 예술철학

        이수지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교육철학은 음악의 본질에 관한 철저한 사유에 기초한다. 음악교육철학을 확립한 베넷 리머는 예술로서의 음악의 본질을 규명한 수잔 랭거의 예술철학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리머의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에는 랭거의 이론이 직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리머의 음악교육철학은 시너지스틱(synergistic) 관점을 지향하는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으로 변화하였고 이전에 주장하였던 견해들이 상대적으로 가려지게 되었다. 본 논문은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에 반영된 랭거의 예술철학을 연구하여 랭거의 예술철학과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에서의 상응되는 내용들을 추출하여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그리하여 리머의 음악교육철학이 여전히 견지하고 있는 핵심적인 철학적 기조가 무엇인지 밝혀냄과 동시에 랭거의 예술철학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에 반영된 랭거의 예술철학을 연구하여 추출한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의 본질적 측면에 있어서 ‘상징’, ‘인지적 양식’, ‘구조화된 소리’를 리머와 랭거의 공통적인 속성으로 보았다. 둘째, 음악교육의 목적을 ‘음악적 경험’과 ‘느낌의 교육’으로 상정하였고 해당되는 내용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랭거가 주장한 음악의 본질에 근거하는 느낌의 교육을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으로부터 가려낼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is based on a thorough reason about the essence of music. Bennett Reimer who established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was influenced much by Susanne K. Langer's art philosophy which found out the essence of music as art. B. Reimer's 'the aesthetic music education philosophy' is reflected directly in S. K. Langer's theory. However, alo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B. Reimer's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has changed to an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oriented toward synergistic and the views previously claimed have become relatively hidde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tract and identify the corresponding contents of S. K. Langer's art Philosophy and B. Reimer 's experience - 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Thus, I tried to find out what is the key philosophical basis of B. Reimer's music education philosophy, and at the same time, to deepen understanding based on S. K. Langer' s art philosophy. The core contents of the S. K. Langer's art philosophy, which is reflected in the B. Reimer's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ssential aspect of music, 'symbol', 'cognitive form', and 'structured sound' were seen as attributes common to B. Reimer and S. K. langer's philosophy. Second,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was assumed to be 'musical experience' and 'feeling of education'. Through this thesis, I hope that you can pick out the feeling of education based on the essence of the music which S. K. Langer has claimed from the B. Reimer's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 한국 가족문화 교육방법 연구 : 중국인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수지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the 21st century,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have been proceeding more quickly. As the global positioning of Korea is also raised, there is growing influx of foreigner. Finally, the name of single-race nation does no longer fit for Korea. Among the foreigner coming to Korea for various reasons,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learning about Korean family culture is firstly required. Since they need further adaptation for Korean family culture as well as common adaptation for general immigrant. Especially, the number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s the largest in Korea. Moreover,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due to the geological proximity hence, the culture education is of great value for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got the culture not only similar to Korea but also different. Consequently, this study research and suggest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Korean family cultur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crease cultural compet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finally make them adapt to Korea well and realize their happy life.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in chapter 2, we are going to look into the book『The Korean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and see how it shows the family culture. Then, based on the result of book analysis, we are going to find out how much marriage immigrant women understand Korea family culture by in-depth interview. In chapter 3, based on the result of book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in chapter 2, we are going to present the contents of family culture education. Examining this family culture of Korea and China separately is followed by defining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We are going to design cultur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Korean family culture(defined in chapter 3)effectively and propose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in chapter 4. In chapter 5, we are going to identify the limitations b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ink about the further study.

      • 여자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간의 관계 : 초기 부적응 도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이수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traumatic experiences during childhood from a primary caregiver,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early maladaptive schemas, such a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participants (541 women between ages of 18 and 25) of this study were drawn from 1 university and 2 college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1.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of women in college, and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the other h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ppeare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st of the variables. Secon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the path from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to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from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to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between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as significant, as well as the dual-mediated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between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conclusio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should be included and examined in designing a clin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women in college who hav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Findings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re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2013년 개정된 DSM-5에서는 차원적인 접근을 기반으로 같은 정신 장애 안에서도 심각도를 분류하고, 장애의 진단 기준에 완전히 부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러한 성향을 보이는 집단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경계선 성격장애는 대인관계, 자기상, 그리고 정동에서의 불안정성과 심한 충동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성격장애로 임상 집단뿐만 아니라 일반 인구에서도 높은 비율로 진단되며, 치료가 유지되기 어렵고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임상 집단의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에 초점을 맞추어 원인을 탐색하고 이들을 위한 치료적 개입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 진입기에 해당하는 18~25세의 여자 대학생 5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기에 주양육자로부터 경험한 외상과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간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먼저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간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 분석 결과, 아동기 외상 경험,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과 초기 부적응 도식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이 변인들은 모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아동기 외상 경험,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초기 부적응 도식,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모형은 아동기 외상 경험이 초기 부적응 도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각각을 통하여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으로 가는 경로와 초기 부적응 도식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아동기 외상 경험이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으로 가는 직접 경로를 포함하였다. 그 결과, 아동기 외상 경험이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으로 가는 직접 경로와 아동기 외상 경험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으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들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의 관계에서 초기 부적응 도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와 다변량 델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기 외상 경험이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으로 가는 경로를 초기 부적응 도식이 단순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기 외상 경험이 초기부적응 도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순차적으로 거쳐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아동기에 주양육자로부터 학대 또는 방임과 같은 외상을 경험한 여성에게는 대인관계에서의 단절 및 거절과 관련된 초기 부적응 도식이 형성되며 이후 성인기에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을 보인다. 또한 아동기 외상 경험으로 인하여 형성된 초기 부적응 도식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발달을 저해함으로써 성인기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으로 인하여 심리적∙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여자 대학생을 위한 치료적 개입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초기 단계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해마의 세부 구조 변화

        이수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론: 제2형 당뇨병의 중추신경계 합병증으로서의 대뇌 구조적, 기능적 손상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뇌 손상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인지저하 및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관련된 뇌 영역으로 해마의 이상이 관심을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비교적 일관되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학습과 기억을 포함한 인지기능에서 해마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고려할 때, 제2형 당뇨병의 중추신경계 합병증에 대한 병태생리의 규명에 해마 연구는 필수적이다. 또한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명확하게 발생하지 않은 제2형 당뇨병의 초기 단계에서도 인지기능의 저하가 보고되는 점을 고려하면, 초기단계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보다 민감도와 정확도를 높인 방법론을 통하여 해마의 미세한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향후 제2형 당뇨병의 중추신경계 합병증 발생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피 분석법과 형태 분석법을 사용하여, 초기단계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해마 구조의 이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최근 5년 이내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제2형 당뇨병 환자군 30명과 30명의 정상대조군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에서 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기법을 사용하여 고해상도 T1-강조영상(T1-weighted image)을 획득하였다. 수동구획방법(manual segmentation)을 사용하여 해마 전체 부피를 구하였으며, 구획된 해마를 기반으로 구면조화함수(spherical harmonic function)를 적용한 형태 분석(shap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형태 분석의 결과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해마 세부 구조 영역에 대해서는, 추가로 세부 구조 부피 분석법을 사용해 해당 세부 구조 영역의 부피를 구하여 유의한 군간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제2형 당뇨병에 의한 해마 구조 이상이 혈당 지표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좌·우측 해마 전체 부피는 연령, 성별, 두개 내 부피를 보정하였을 때 정상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left hippocampus, t = -2.67, P = 0.01, Cohen's d = 0.77; right hippocampus, t = -2.29, P = 0.03, Cohen's d = 0.67).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좌·우측 해마 전체 부피 모두에서 유병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left hippocampus, β = -0.44, P = 0.03; right hippocampus, β = -0.47, P = 0.01). 해마의 형태 분석에서는, 연령, 성별, 두개 내 부피를 보정하였을 때 우측 해마의 CA1(CA, cornu ammonis), CA2/3, 해마술(fimbria), 치상회(dentate gyrus) 영역과 좌측 이행부(subiculum)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형태 변화가 관찰되었다. 세부 구조 부피 분석 결과에서는, 연령, 성별, 두개 내 부피를 보정하였을 때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우측 해마의 CA2/3, 치상회 영역의 부피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right CA2/3, t = -2.36, P = 0.02, Cohen's d = 0.63; right dentate gyrus, t = -2.04, P = 0.046, Cohen's d = 0.54). 세부 구조 부피와 혈당 지표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유병기간이 2년 이상인 제2형 당뇨병 환자군에서 우측 치상회 영역과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 HbA1C)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β = -0.24, P = 0.02). 결론: 본 연구는 초기 단계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해마의 세부 구조 이상을 관찰한 연구로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중추신경계 합병증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해마의 세부 구조 이상이 제2형 당뇨병의 초기단계부터 시작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고혈당증의 지속 상태가 해마 특정 영역의 부피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 단계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인지저하 등의 뇌 기능 저하에 대한 뇌 내 기반 생물학적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troduc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re at greater risks for developing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potential correlations between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structural alterations in the hippocampus, as the hippocampus has been suggested as the key brain structur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at the onset and contributing factors of the hippocampal structural alter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Methods: High-resolution three-dimensional T1-weighted images were obtained from 30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in the past 5 years and 30 healthy controls matched for age and sex. A combined shape-based and volumetric approach was used to identify the regional hippocampal alterations, with respect to the extent and location, in the manually segmented hippocampus. Relationships between measures of glucose regulation and hippocampal volume were also examined.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ft and right hippocampal volumes were noted in patients with early-stage type 2 diabetes mellitu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left hippocampus, t = -2.67, P = 0.01, Cohen's d = 0.77; right hippocampus, t = -2.29, P = 0.03, Cohen's d = 0.67). Shap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surface reductions in the four subregions of the right hippocampu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relative to healthy controls, which are located in the CA1, CA2/3, fimbria, and dentate gyrus. Volumetric analysis of the four hippocampal subregions, which were identified from the previous shape analysis, demonstrated that volumes in the right CA2/3 and right dentate gyru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relative to healthy controls (right CA2/3, t = -2.36, P = 0.02, Cohen's d = 0.63; right dentate gyrus, t = -2.04, P = 0.046, Cohen's d = 0.54).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smaller right dentate gyrus volum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HbA1C level (β = -0.24, P = 0.02).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structural alterations in the hippocampus have been found to be present in early-stag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long-term hyperglycemia may accelerate the hippocampal atrophy in the right dentate gyrus.

      • 온·오프라인쇼핑몰 스포츠웨어 구매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신뢰, 관계몰입간의 관계 비교분석

        이수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온 ․ 오프라인쇼핑몰 스포츠웨어 구매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신뢰, 관계몰입간의 관련성과 영향력 및 형성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나아가 온라인과 오프라인쇼핑몰의 장기적 관계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고 과도한 경쟁 환경에 처해있는 스포츠웨어시장에서의 차별화전략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도, 광주광역시, 전남 지역의 20세 이상을 대상으로 최근 6개월 이내에 최소 3회 이상 온라인과 오프라인쇼핑몰을 통한 스포츠웨어 구매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유층집략 무선표집 방식에 의해 온라인쇼핑몰 379부 오프라인쇼핑몰 37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온 ․ 오프라인쇼핑몰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신뢰,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온 ․ 오프라인쇼핑몰의 지각된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신뢰, 관계몰입간의 관계에서 구조경로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에 의해 조사 분석한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쇼핑몰의 지각된 서비스품질 하위요인 중 상품, 쇼핑용의, 판촉, 판매서비스는 판매서비스만족과 상품만족 모두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격서비스는 판매서비스만족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오프라인쇼핑몰의 지각된 서비스품질 하위요인 중 상품과 판매, 판촉서비스 만이 판매서비스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고 가격서비스를 제외한 상품, 쇼핑용의, 판매, 판촉서비스는 상품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온라인쇼핑몰의 지각된 서비스품질 하위요인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지각된 서비스품질의 5가지 하위요인 모두 정직성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서비스를 제외한 상품, 쇼핑용의, 판촉, 판매서비스는 배려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었으며, 상품, 판매, 판촉서비스는 역량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프라인쇼핑몰은 지각된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과 정직성의 영향력은 온라인쇼핑몰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고, 상품, 판매, 판촉서비스가 배려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가격서비스를 제외한 상품, 쇼핑용의, 판매, 판촉서비스는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냈다. 아울러 온라인쇼핑몰의 지각된 서비스품질 하위요인과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지각된 서비스품질 하위요인 중 가격, 쇼핑용의, 판촉서비스가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쇼핑용의, 판매, 판촉서비스가 고객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오프라인쇼핑몰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 중 가격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요인은 장기지향성과 고객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서비스는 고객몰입요인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쇼핑몰의 고객만족 하위요인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고객만족의 판매서비스만족과 상품만족 모두 정직성, 배려,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판매서비스만족과 상품만족이 증가할수록 신뢰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쇼핑몰은 고객만족 하위요인 중 판매서비스만족만이 정직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판매서비스만족과 상품만족 모두 배려와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온라인과 오프라인쇼핑몰 모두에서 고객만족 하위요인이 관계몰입에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쇼핑몰 모두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몰입을 위해서 판매서비스만족과 상품만족이 중요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온라인쇼핑몰의 신뢰 하위요인이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정직성과 배려가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직성과 역량이 고객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오프라인쇼핑몰에서는 정직성과 역량만이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었고, 신뢰의 모든 하위요인은 고객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과 오프라인쇼핑몰 집단의 구조경로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오프라인 집단이 온라인 집단에 비해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보다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쇼핑몰의 구조모형 검증의 결과를 살펴보면 두 쇼핑몰 모두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직접적 영향을 주며 신뢰가 관계몰입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으나 고객만족과 신뢰가 간접효과와 매개효과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온라인과 오프라인쇼핑몰 모두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영향력을 나타냈고 오프라인집단이 온라인집단보다 더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스포츠웨어 구매자는 쇼핑편리성과 가격해택을 추구하려는 소비패턴인 온라인쇼핑몰보다 오프라인쇼핑몰에서 제공되는 직접적인 체험가치와 판매원과의 세심하고 감정적 유대관계에서 비롯된 서비스를 기대하며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웨어 특성상 상품의 기능성과 소재 품질 및 패션성까지 추구하는 인식 변화와 더불어 구매비용에 쇼핑몰이 제공하는 서비스가치도 함께 포함하는 서비스역할 기능을 기대하는 매우 합리적인 소비태도를 보이는 결과로 볼 수 있겠다. 그러므로 온라인쇼핑몰의 무분별한 가격전략보다 상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확하고 세심한 정보 전달 및 고객과의 실시간 메신저서비스, 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중심의 마케팅을 해야 한다. 아울러 인과관계에서 나타났듯이 고객과의 관계몰입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뢰가 강화되어야 되므로 고객이 구매과정에서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지적․ 감정적인 믿음에 기인하는 배려와 정직성 및 쇼핑몰 판매자, 운영시스템의 전문성인 역량까지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반영될 때 비로써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가 형성 또는 강화 되는 것이다.

      •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의 실내조경 이용 후 평가 : 제1터미널을 중심으로

        이수지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화에 의한 도시화는 인류의 삶에 물질적 풍요는 안겨주었지만, 건강한 정신 의 육성을 위한 쾌적한 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선 부족했다. 이는 곧 도시인의 생 활 형태를 실내위주로 변화시키는 계기로 작동하였으나, 그에 따른 스트레스 및 부 작용을 낳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도시화는 인간에게 새로운 환경 조성의 과제를 안 겨준 것이다. 변화된 생활상에 맞추어 실내에도 자연이 도입되기 시작하였고, 그로 인해 실내 조경이라는 분야의 개척과 학문적 개념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실내조경은 조경과는 다르게 옥외공간이 아닌 실내에 자연환경을 조성하는 전문 분야이기 때문에, 작게는 가정집에서부터 크게는 메가 프로젝트(Mega Project)의 공간까지 그 범위가 아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는 실내조경의 조성 유무 (有無)로 인해 내부 공간의 이미지 및 이용자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국제공항은 21세기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이며, 2001년 3월에 역사적인 개 항을 하게 됨으로써 공항시설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다양한 문화시 설은 인천국제공항의 더 나은 발전과 많은 외국 이용객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 주고 공항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인천국제공항 은 실내 환경 개선과 미적 경관 향상을 목적으로 여객터미널 내 벽면녹화와 조 경 식물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였고, 공기정화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 공간 조성에도 꾸준히 힘쓰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만족도와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을 수행하여 이용 후 평가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실내조경 계획 시 고려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국제공항 이용객의 성별 비율은 비슷하며, 여행을 목적으로 2~4시간 정 도 머무르는 것이 주된 행태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출발 티켓팅 시간과 보안검사, 출국심사 시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하여 본 연구의 중점이 되는 실내조경시설의 이용 여부를 구체적으로 확인해본 결과 이용을 해 본 적이 없다는 항목이 반수 이상으로(64.5%) 높게 나타났다. 출·입국을 위해 시간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방문 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에 대한 이용객들의 만족도 분석 결과 비교적 만족하 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 만족도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에 대하여 만 족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식생의 종류에 따른 만족도 연구에 따르면 주로 여성은 화 초형을, 남성은 수목형을 선호한다는 결과가 있다. 현재의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에는 화려한 꽃 보다는 녹색 잎의 초화류와 관목 등 수목형 형태의 식재가 주로 되 어 있다. 즉, 이러한 이유로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실내조경 만족도는 남성이 높 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능성, 인지성, 접 근성, 이용성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하였다. 다양한 식물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실 내 조경 건축 재료의 경직성을 완화하고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고 있다는 요인 이 기능성 측면의 중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인지성에서는 실내정원이 시야에 언제든지 들어오고 있다는 점, 접근성에서는 실내정원 주변에 적재물이 없어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 이용성에서는 인천공항 실내정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많이 생겼으면 한다는 점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다양한 식물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건축적인 경직성을 완화하고 안정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점을 강화하고, 실내조경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이용객의 욕구를 높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싱가폴과 덴버, 오슬로 국제공항과 같은 해외 사례 에서는 자연을 실내공간으로 끌어들여와 자연과 건축이 하나가 된 실내조경을 볼 수 있다. 식물의 도입으로 건축적 경직성을 완화하고, 이용객들에게 안정감을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식물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실내 조경 사례들을 국내 실 정에 맞게 도입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국제공항은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대부분이 가장 먼저 접하는 장소이다. 좋은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고, 지금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인천국제공항 이용객들이 실내조경에 대한 관심으로 실내조경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그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추석 기간에 한정된 조사로 이용객의 특성에 따른 시기별, 이용 패턴별 등 다양하게 분 석하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계절별, 이벤트별로 조성되는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계획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연구가 진행이 된다면 문제점을 보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음악 전공 고등학생과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비교 연구 : 전북지역 예술고, 전통고, 인문계고 중심으로

        이수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예술 고등학교와 전통고등학교 음악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실태를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고,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학년, 성별, 전공, 진학동기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위치한 G 인문계 고등학교 145명, J 예술 고등학교 111명, H 전통문화고등학교 54명을 대상으로 하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와 한국직업능력 개발원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고등학생과 음악을 전공하는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인 부분에서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일찍이 음악을 전공으로 선택한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결정과 관련한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 고등학생과 음악을 전공하는 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계획성, 독립성, 자기이해, 정보 활용 및 진로 결정 능력, 직업에 대한 지식에서 음악전공 학생들이 더 높은 점수가 나왔다. 반면에 일에 중요성 인식과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음악 전공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스스로 진로목표를 결정하고 미래의 계획을 세울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이 높은 반면에 진로에서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 스스로 헤쳐 나갈 수 있는 믿음은 낮게 나왔다. 넷째, 진로성숙도는 각 하위요인을 측정하는 척도가 다른지만 같은 척도로 측정되는 하위요인에서는 일에 대한 태도가 가장 높고, 독립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직업의 의미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직업의 중요성은 잘 알지만 자신이 결정한 진로의 책임을 수용하고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려는 태도가 낮게 나왔다. 다섯째, 음악전공 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에서는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왔다. 그 외 직업정보, 미래계획, 문제해결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오지 않았다. 여섯째, 진로성숙도의 계획성과 독립성, 자기이해에서는 학년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의 중요성 인식과 정보 활용 및 진로결정 능력에서는 여자와 남자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이해에서는 학년별,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왔다. 결론적으로 음악 전공 학생들은 일반 고등학생들과 비교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더 높다. 또한 음악 전공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자신감이나 준비도는 높지만 세세히 살펴보면 다른 부분에 비해 약한 부분도 있다. 그러므로 음악이라는 전공이 정해진 고등학생들에게 자신에게 맞는 직업과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념하여 지도하고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

      •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수지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효과적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E대학교병원의 성인 외과 중환자실 간호사와 내과 중환자실 간호사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참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전 E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EU21-041) 후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의료관련감염 격리 지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인식은 2010년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의료관련감염 감염관리지침과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의 의료관련감염증 관리지침의 권고기준을 근거로 송진옥(201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도는 미국 CDC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침, 질병관리청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침을 토대로 손정아가 개발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이행도구를 구지은(2018)이 수정보완한 감염관리 지침 수행 도구를 사용하였다. 손위생 수행률은 질병관리청의 의료관련감염 감염예방지침에 근거한 손위생 관찰기록지를 이용하였고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은 본 연구기관의 감염관리위원회에 매월 보고되는 VRSA 발생률, VRE 발생률, MRSA 발생률, MRPA 발생률, MRAB 발생률, CRE 발생률을 이용하였다. 실험 처치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군에게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교육 프로그램 제공 없이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두 개의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효과크기 0.5, 검정력 .90, 유의수준 .05로 계산하였을 때 각 군당 22명이 산출되었으나 탈락률 20%를 고려해 총 54명을 각 군당 28명으로 편의 배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7월 27일부터 2021년 8월 27일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2 -test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의료관련감염 격리 지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인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를 t-test로 분석하였고 손위생 수행률과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은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내적 일관성을 보는 Cronbach’s α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의료관련감염 격리 지식을 비교한 결과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535, p=.131). 2) 의료관련감염관리 인식을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431, p=.158). 3)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도를 비교한 결과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838, p=.072). 4) 손위생 수행률은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3개월에 비해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3개월의 평균 점수는 감소하였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2.872, p=.339). 5)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은 실험군은 교육 후 발생률이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은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나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9.333, p=.201). 즉,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에 즉각적인 효과는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의료관련감염 격리 지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인식,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도, 손위생 수행률,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에게 효과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료관련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은 더 나아가 실무의 특성과 현실에 반영된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