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수학적 태도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윤선경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수학적 태도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고,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수학적 태도와의 상호 관계를 규명해봄으로써, 중학생들의 수학기피현상에 대한 예방과 중학생들에게 알맞은 교수-학습 방법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 Emotional preference and expected emotional usefulness in individual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윤선경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서는 상황적 요구 혹은 목표에 따라 각기 다른 적응적 기능을 갖는다. 이 때 특정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유용한 정서를 경험하고자 하는 경향을 정서 선호라고 한다. 정서 선호는 목표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적응적인 정서 조절을 할 수 있는 가장 첫 단계이며, 심리적 유연성과 관련된다. 정서 선호에는 두 가지 접근이 있는데, 즉 상황 혹은 목표에 관계없이 사람들은 행복한 감정을 선호한다는 일반적 정서 선호 접근(혹은 쾌락적 접근, hedonic approach)과 특정 정서에 대한 선호를 상황에 유용한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한다는 맥락적 정서 선호 접근(혹은 도구적 접근, instrumental approach)이 이에 해당된다. 정서 선호는 일종의 정서 조절의 실패 혹은 정서 반응의 경직성으로 설명되는 주요우울장애의 기제를 설명하는 주요 요소로서 탐색할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적 혹은 맥락적 정서 선호에서 주요우울장애를 지닌 환자들이 보이는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정서적 유용성에 대한 기대가 정서 선호의 주된 예측변인으로 밝혀진 바, 정서 선호에서 보이는 우울집단과 심리적으로 건강한 통제집단 간 차이의 기저 원인을 살피고자 정서 유용성에 대한 기대 역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우울증을 지닌 환자 22명과 통제군 25명을 대상으로 직면 및 협동이라는 상이한 목표와 관련하여 이들이 보이는 정서 선호 및 유용성에 대한 기대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우선 정서 선호는 참가자들에게 직면과 협동을 포함한 두 가지 목표와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분노, 행복감, 두려움을 유발하는 활동에 얼마나 참여하고 싶은가를 측정하였다. 정서 유용성에 대한 기대는 각각의 목표에서 특정 정서를 경험하는 것이 얼마나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를 9점 척도상에서 표시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통제집단은 목표와 상관 없이 행복감을 더 선호하였으나, 주요 우울장애 집단에서는 행복감에 대한 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통제 집단의 참가자들은 목표에 따라 유연한 정서 선호 패턴을 보였으나, 주요 우울증 집단의 환자들은 맥락적 정서 선호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서 유용성에 대한 기대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주요 우울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특정 정서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있음에도 정서 선호를 하지 못 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부정적 정서 편향, 심리적 유연성, 및 긍정적 강화 행동 결핍과 관련하여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Regulation of emotion corresponding to contexts and goals i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ne of key factors which affect context-appropriate emotion is emotional preference. Emotional preference involves a conscious or unconscious desire to experience a specific emotion in functional contexts (Tamir, 2009). Emotional preferenc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health as the very first step of emotion regulation. Given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is related to problems of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emotional preference for a better understating of emotional malfunctions of MDD. In addition, expected emotional usefulness was tested to elucidate an underlying mechanism of emotional preference in individuals with MDD. For this purpose, emotional preference and expected emotional usefulness were examined for 22 individuals with MDD and 25 healthy controls (HCs). Participants were given a scenario which involves a virtual interpersonal situation with two different goals: to confront a virtual partner (confrontation) and to collaborate with him (collaboration). The order of goals was randomly presented, and participants rated how much they want to participate in emotion-provoking activities for each goal. The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ate how useful they expected each emotion for each goal.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Emotion (anger, happiness, fear) and Goal (confrontation, collaboration) as within-group factors and Group (MDDs, HCs) as a between-group factor revealed that individuals with MDD did not particularly prefer happiness regardless of goals whereas HCs showed general preference for happiness over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individuals with MDD did not prefer emotions accordingly to the goals whereas HCs displayed context-appropriate emotion such as anger for confrontation and happiness for collaboration.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expected emotional usefulness, and both individuals with MDD and HCs demonstrated good knowledge on usefulness of emo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even though individuals with MDD understand how useful a specific emotion would be, they do not show any preference for the emotion in accordance with the given situation or goal. Limitations of the studies are discussed with suggestion of future directions.

      • 심한 두부 하강 체위 하 압력-조절 환기와 용적-조절 환기의 비교

        윤선경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목적 로봇을 이용한 전립선 적출술(robotic-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RALRP) 은 최근 그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데 가파른 두부 하강 체위와 복부 내 가스 주입으로 인해 기도압이 크게 상승한다. 이 때 마취과 의사가 어떤 인공 환기 양식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은 명확히 결론 내려진 것이 없다. 그래서 우리는 RALRP하에서 압력조절환기(Pressure controlled ventilation; PCV) 와 용적조절환기(Volume controlled ventilation; VCV) 가 기도압과 산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그 우위를 알고자 했다. 연구 방법 정규 RALRP 시행하는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사전 동의를 구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술 전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 를 시행하고 인구학적 특성을 기록하였다. 환자가 수술장에 입실하면 환자 확인을 하고 일상 모니터링 했다. 요골 동맥을 국소 마취한 후 동맥 카테터 삽입하고 실내 공기에서 동맥혈 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ABGA)을 시행했다. Thiopental sodium, rocuronium bromide, sevoflurane 으로 마취하였다. 무작위로 PCV 군과 VCV 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연구계획서에 따라 연구를 진행했으며 동맥 카테터 삽입 직후와 두부 하강 체위를 취한 후 15분 ,수술 종료 후 60분에 심박수, 침습적 동맥 혈압, ABGA, 평균 기도압, 최고 기도압, 고원 기도압, 일회 호흡량(Tidal volume; VT),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end-tidal carbon dioxide tension; ETCO2),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PCV 와 VCV 두 그룹은 술 전 PFT 결과,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ABGA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을 진행하면서 시행한 ABGA 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활력 징후도 두 군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또한 최고 기도압과 고원 기도압도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 기도압은 VCV그룹의 경우 평균 7.1 ± 1.0 cmH2O, PCV 그룹은 8.1 ± 1.3 cmH2O , P value 0.014 로 PCV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RALRP에서 PCV 와 VCV 는 평균 기도압 이외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심한 두부 하강 체위로 수술하는 환자에서 PCV 와 VCV 두 환기 양식은 기도압과 산소화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PCV 와 VCV 는 동등하게 사용 가능하다.

      • 국내 자살예방 공익광고 내용분석 : 건강신념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윤선경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orea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PSA) based on five variables of the Health Belief Model(HBM).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Korean PSA of suicide prevention implemented since 2004 has effectively delivered the message of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so far, PSA at the level of health communication should consider the various factors that give priority to public interest and health behavior. In addition, PSA should provide health information that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s public health behavior. As such,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ssages of suicide prevention manifested by PSA and its effects on prevention of suicide, utilizing five main factors of the HBM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study analyzes User Created Contents(UCC) as a separate variable. In addition, it analyzes differences between first year and second year of the government-sponsored 5 – year plan of suicide prevention effects among various PSA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voice message of the advertisement to analyze the actual effects of PSA and manipulated the five factors of the HBM(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benefits and barriers and cues to action). Five factors of the HBM were classified and customized as needed. Susceptibility was classified into general susceptibility and group – specific susceptibility, which was then divided into depression and susceptibility to suicide in detail. Severity was divided into severity of depression and suicide. Benefits were classified as an emphasis on suicide prevention and other benefits, barriers were classified as psychological barriers and physical barriers. Cues to action were customized into aggressive cues such as expert counseling and other passive cues. The analysis unit is an advertisement, and all factors were coded dependent on whether or not they are presented in the mess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dvertisement that showed the factor of susceptibility was less than half of all advertisements, but the factor of severity was emphasized to be nearly twice as much as the susceptibility.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benefits and barriers of depression treatment and suicide prevention were not presented effectively. The cues to action also suggested passive methods such as exercise and the interest of the surroundings, as opposed to aggressive methods. Excessive emphasis on severity, weakness in susceptibility, and lack of psychological barriers may increase the stigma of suicide and depression treatment. In particular, out of the total tested 28 PSAs and UCCs, only 2 advertisements included all of the five factors. 4 advertisements included one of the five factors, 10 advertisements included two of the five factors, 8 advertisements included three of the five factors, and 3 advertisements included four of the five factors. Additionally, five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were more visible in PSAs than UCC and more apparent in the PSA which was initiated in the second year than that of the first year.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campaigns at the government level through PSAs. In addition, this study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public interest campaigns in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as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were applied to PSAs. The result suggested that five factors of the model were more apparent in suicide prevention PSAs. As specific variables were suggested through the PSAs and of those which initiated in the second year of the governmen-sponsored Five Year Plan were more effective, the study emphasizes that the government must create a long-term policy that promotes media expertise in suicide prevention campaign.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effectively deliver the messages of public service campaign, strategically selecting and focusing on the target audience. 본 연구는 국내 자살예방 공익 광고를 건강신념모델의 5가지 변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자살예방과 관련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하는 공익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두고, 2004년부터 시행된 국내 자살예방 공익광고가 우울증과 자살 예방의 메시지를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면, 헬스커뮤니케이션 차원의 공익광고는 공익적 목적이 우선시 되는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건강행동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나아가 대중의 건강행위를 직접적이면서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건강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신념모델의 5가지 주요 요인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자살예방 공익광고의 메시지와 자살 예방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공익광고와 공모전을 통해 입상한 UCC를 분류하고, 공익광고 중 자살예방대책 5개년 계획의 1차년도와 2차년도에 따라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익광고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광고의 음성메시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건강신념모델의 5가지 요인(지각된 취약성과 심각성, 혜택과 장애, 행위단서)을 조작화 하였다. 취약성은 크게 일반적 취약성과 집단별 취약성으로 구분하였고, 세부적으로는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취약성으로 나누었다. 심각성은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심각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혜택은 자살예방에 대한 강조와 그 외의 혜택으로 구분하였고, 장애는 심리적 장애물과 물리적 장애물로 나누었다. 행위단서는 전문가 상담 등의 적극적 행위단서와 그 외의 방법을 소극적 행위단서로 조작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단위는 광고이며, 모든 항목들은 메시지에 제시되었는가와 아닌가의 여부로 코딩하였다. 분석결과, 취약성을 제시한 광고는 전체 광고 중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으나, 심각성의 요인은 취약성에 비해 2배에 가까운 수로 강조하고 있었다. 우울증 치료 및 자살예방에 대한 혜택이나 장애에 대한 정보 역시 크게 제시되지 않고 있었고, 행위단서 또한 전문가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적극적 정보제시에 비해 운동, 주변의 관심 등의 소극적인 방법을 주로 제시하고 있었다. 심각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와 더불어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제시되었고, 심리적 불안감 해소 등의 요소가 거의 제시되지 않고 있어 자살 및 우울증 치료에 대한 낙인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5가지 요인에 해당하는 정보를 모두 언급한 광고는 전체 28편 중 단 2편에 불과했다. 5가지 중 1가지를 제시한 광고는 4편, 2가지는 10편, 3가지는 8편이었고, 4가지는 3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신념모델의 5가지 요인은 UCC보다는 공익광고에서 더 잘 드러나고 있었으며, 1차 년도의 공익광고보다는 2차 년도의 공익광고에서 더 많은 수로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정부 차원의 자살예방 캠페인을 공익광고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특히 주체와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의 항목을 공익광고에 적용하였으므로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 공익캠페인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자살예방 공익광고가 건강신념모델의 요인이 더 구체적으로 드러났고, 2차 년도에서 구체적 요인이 더 많은 수로 제시되었으므로 자살예방캠페인에 있어서 국가는 매체의 전문성과 더불어 장기적인 전략사업으로 기획 및 실행해야함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그 대상을 선택하고 집중하여 공익광고 캠페인 메시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피드백 환경 인식과 조직변화저항·조직변화몰입의 관계에서 가치 일치의 매개효과 : 금융사 계열의 인수·합병 후 PMI 과정을 중심으로

        윤선경 한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 국 문 초 록 】 경쟁적 기업경영 환경에 따라 M&A는 조직이 경쟁력을 위해 선택하는 변화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많은 연구보고에 의하면 인적 통합 문제로 인하여 60~80%의 조직이 M&A실패를 경험한다고 밝혀졌다. 현장에서는 M&A 이후 인적 통합과정인 PMI를 통해 문제해결을 시도하였고 관련연구로 경영학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조직적응 및 인적통합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들이 있어왔으나 통합적· 맥락적인 관점에서 볼 경우 좀 더 효과적인 해결책 제시가 가능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A를 변화 프레임에 놓고 통합적 관점으로 보았다. 이론적 메타 분석(theoretical meta-analysis)에 의하여 피드백이 변화모델 내에서 변화에 효과적인 선행요인이라고 가정하고, 조직 내 복잡한 상호작용이 반영될 수 있는 피드백 환경 인식을 변인으로 제안하여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변화저항 및 조직변화몰입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 내 인적 통합과 관련하여 조직과 구성원 간의 가치 일치 인식이 조직변화에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로, 첫째 조직구성원이 인식한 피드백 환경은 조직변화저항과 조직변화 몰입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둘째 조직구성원이 인식한 피드백 환경과 조직변화저항 및 조직변화몰입의 관계에서 가치 일치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금융사 중 M&A를 경험한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환경 인식은 조직변화저항과 조직변화몰입에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피드백 환경 인식은 가치 일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가치 일치는 다시 조직변화저항 및 조직변화몰입에 영향을 줌으로써 가치일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확인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에게 있어 피드백환경 인식은 조직변화를 받아들이는데 도움을 주어 새로운 환경의 적응을 돕는다. 둘째, 조직차원에서 꾸준하게 피드백환경을 체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치 일치의 인식은 피드백 환경 및 조직변화와 영향관계에 있으므로 조직 가치를 내재화하고 조직변화를 조력하기 위하여 변화선도자인 HR부서를 중심으로 PMI과정 및 일상 조직 환경에서 피드백 환경을 장려하여야 한다. 넷째, 피드백 환경의 하위 구성요인 중 새로운 조직구성원에게 가장 유의미한 것은 피드백의 도움 가능성 여부를 떠나 우호적인 조직 환경 및 분위기이다. 다섯째, 조직변화저항과 조직변화몰입은 다차원으로 구성되어 조직구성원들은 일시에 모든 차원에 있어 고르게 변화에 이르지 않는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이 근본적으로 정서적 수준까지 변화에 동참하기 위해서는 행동적 변화 수준부터 높여 점차 정서적 변화까지 이르도록 피드백 환경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이에 조직 현장에서 HR을 중심으로 어떻게 PMI를 활용하고 피드백환경을 상시적으로 원활하게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과 전략적 논의가 필요하다. 【 ABSTRACT 】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e on perceived Feedbac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and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Focused on the PMI of the Financial Industry on the M&As- Yoon, Sun Kyung Dept. of Educational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As(Mergers & Acquisitions) are widely accepted as an effective means of change for business competitive power. According to M&A studies, the failure rate of M&As is over 60-80% because of human resources integration. Practitioners tried to put PMI(Post-merger integration) into practice as a solution and researchers studied and delineated in view of psychology or business management. Nevertheless, holistic and contextual approach is more efficacious in proposing solution. Therefore this study sees M&As as a framework of change from the point of holistic approach and assumes feedback is the valid precedence factor in change model by theoretical meta-analysis. so, feedback environment is proposed as key factor with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change.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e is verified as regards human resources integration and organizational change. As the research question (a) how will perceived feedback environment affect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and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b) how will the medi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e between perceived feedbac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respondents who employed in financial industry on the M&As is surveyed. Also responses were empirically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and the medi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perceived feedback environment affects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and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b) the mediating role of value congruence in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eedbac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is suppor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s follows; (a) in the individual cases, perceived feedback environment helps them accept change and acclimate to new organization, (b) at the organizational level, perceived feedback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constantly and systematically, (c) for value internalization and facilitating organizational change, HR team as the change agent encourage the feedback environment on PMI and the daily routine due to the fact that perceived value congruence affects feedbac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hange, (d) the important sub factor in feedback environment is found as beneficent and favorable feedback environment or affirmative circumstance rather than profitable and useful feedback, (e)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and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are multidimensional compositions so organizational members couldn’t change simultaneously in all dimensions. They make gradual progress from behavioral to affective level through building up feedback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limitations of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are suggested. In the field, HR needs to discuss systems and strategies to provide how to maximize the role of PMI and to proceed feedback environment continuously.

      • 요약하기 활동이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선경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ummarizing activities on the expository writing skill.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do summarizing activities effect on the content among expository writing skills? Second, do summarizing activities effect on the organization among expository writing skills? Third, do summarizing activities effect on the expression of expository writing ski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classes of second grade students of H middle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number was 35 and the control group number was 35. The total number was 70. The experiment period was eight weeks from March 2 to April 30, 2007. Every experiment took 30 minutes. To prove the effect of this study, I made the students write expository writ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Summarizing activities were useful to develop the expository writing skill. To put it concretely, they worked on the content making and organization proficiency but weren't effective for expression skill. To improve the expression skill, other strategies should be used instead of summarizing activities.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요약하기 활동이 설명문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정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하기 활동은 설명문 쓰기 능력 중 글의 내용 구성 능력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요약하기 활동은 설명문 쓰기 능력 중 글의 조직 능력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요약하기 활동은 설명문 쓰기 능력 중 글의 표현 능력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G시 소재 H중학교 2학년 2개반으로 실험 집단 35명, 통제 집단 35명, 총 70명이다. 실험 처치 기간은 2007년 3월 2일부터 4월 30일까지 8주간으로 총 24회였으며, 매회 30분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 사후에 설명문 쓰기 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차이 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로 실시한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요약하기 활동은 설명문 쓰기 능력 중 글의 내용 구성 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요약하기 활동은 설명문 쓰기 능력 중 글의 조직 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요약하기 활동은 설명문 쓰기 능력 중 글의 표현 능력 신장에 효과가 없었다.

      • 金祐鎭 戱曲『난파』硏究 : 表現主義와 精神分析學을 中心으로

        윤선경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우진 희곡의 연구에 있어 80년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표현주의적 접근이 주된 방법상의 경향을 이루고 있다. 심리학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간간이 제기되어 왔지만 아직은 본격 연구한 논문은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김우진의 시대 상황과 표현주의와 프로이트의 시대는 거의 하나로 묶을 수 있는 동질의 공통점이 있다. 그 공통점을 표현하자면 '모순과 역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현주의와 정신분석학을 관통하는 김우진 희곡 『난파』를 텍스트로 하여 텍스트 자체를 허구적 구성물로 보고 텍스트의 구성 자체에 관심을 집중했다. 특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방법으로 『난파』의 인물들을 자아, 초자아, 이드의 개념으로 분류하고 분석했다. 죽음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주인공 母와 父와의 관계를 재조명해 봄으로 난파라는 의미를 선지자적인 시인 본연의 실현이라고 보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각 인물들이 시인과 관계하는 위치와 방법에 따라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 분석해 보았다. 첫째로는 아버지와 시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가정교육이 행사하는 외적 강박이라는 용어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시인은 아버지와의 동일시를 이루는 사회화의 과정을 스스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로는 백의녀, 비의녀와 시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백의녀와 비의녀는 치환과 압축, 에로스와 사디즘이라는 정신분석학적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쾌락에 탐닉한 본능적인 욕구 충족으로 시인이 자기 내부의 분열된 자아를 잊어버리고자 했지만 시인에게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하고 만다. 셋째로는 비비·카로노메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녀들은 모두 빛에 속하여 있었으며 시인을 적극적으로 구원하려 했지만 시인과의 동일성을 이루지는 못했다. 네 번째로는 어머니와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는 어머니와 존재의 의의를 묻기도 하고 죽음을 통한 어머니와의 동일시를 꿈꾸기도 했으며 과거와 꿈이 되었다가 마지막에는 얼굴도 기억나지 않는 시인 자신의 이드로 연결된다. 즉 어머니의 존재는 바로 시인 자신이었던 것이다. 결국 시인은 시인 본연의 의무인 '인류 영혼의 해방과 구원'이라는 무거운 시대적 사명을 버리지 못하고 그 사명을 향하여 "행복한 난파"를 감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난파는 인류애적인 시인 본연의 의의의 실현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Most of the studies on the play of Kim woo jin in 1980ies are expressionistic approaches so far.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approach is mentioned occasionally but the fact is that we can't find any theses yet that approach to this psychologically. The circumstance of the times of Kim Woo jin, the expressionism and the times if Freud, they have identical common points that could be united into one. To express the common points, they are 'contradiction and paradox'.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Kim Woo jin's play., [The Wreck(Ranpa)] which is penetrating into the expressionism and psychoanalysis, is focused on the structure of the text itself from the point that the text itself is fictitious structure. In particular the characters in [The Wreck] are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the concept fo ego, superego, id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method of freud. The purpose if this study is that the meaning of the wreck is the very realization of significance of prophetlike poet himself through the new viewpoint of the matter of death and re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father and moth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method of relations between the respective characters and the poet, here are four classifications as following. First,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this can be seen in the terms of Oedipus complex and external compulsion influenced by the domestic education. But the poet tries not to accept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dentifying with the father. Secondly,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oet and Baek Ui Nyo(백의녀), Bee Ui Nyo(비의녀), they can be explained as displacement and compression, E갠 and sadism by the psychological method. The poet tried to forget dissociated ego by giving himself to the pleasure of instinctual desire, but that doesn't help anyway. The relation of Beebee(비비) with Karnome(카로노메) is also worth observing in the third. they all belong to the light and tried to rescue the poet positively, but couldn't be identified with the poet. The fourth is the relation with the mother. He asked meaning of being with his mother and dreamed of being identified with his mother through death. It became connected to the poet's own id who couldn't remember his own face at last. That is, the being of his mother was the poet himself. He couldn't get away from weighty mission of the times, and dare to act out the "happy wreck" for the mission of his innate obligation, 'liberation and salvation of mankind'. So the wreck means the realization of significance of the poet who loves humankind.

      •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에 따른 중학생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신체 만족도의 차이

        윤선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실시하고 있는 종목 중 축구와 요가 활동이 중학생의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중학교에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20부를 배부, 회수하였으며, 미 기입 혹은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555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WIN 18.0을 통하여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축구를 하는 학생들은 요가를 하는 학생에 비해 정신적 건강의 하위요인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증,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참여기간별로 보면 축구는 참여기간과 상관없이 정신건강이 낮았으나, 요가는 정신건강 하위요인 중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증, 적대감, 공포불안에서 5개월-8개월일 때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축구를 하는 학생들이 요가를 하는 학생들에 비해 정신건강이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신체적 건강의 차이는 축구와 요가 모두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축구는 참여 기간에 따라 신체적 건강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요가는 8개월 이상일 때, 하위요인 중 정신적 증상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신체만족도의 차이는 축구를 하는 학생이 요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참여기간에 따른 축구의 인지된 신체능력은 참여기간과 상관없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요가는 참여기간에 따라 신체적 건강에 차이가 없었다. 넷째,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 신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축구와 요가 종목 모두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건강과신체적 건강이 부정적으로 심각해지면, 신체만족도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축구는 요가에 비해 정신적 건강과 신체적 건강, 신체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축구는 오래할수록 낮았고, 요가는 5-8개월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축구가 요가에 비해 정신적, 신체적 건강, 신체 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요가를 하는 학생들도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 신체만족도 점수가 중앙값 3보다는 낮아 신체활동은 축구와 같이 활동적이든, 요가와 같이 다소 정적이든지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과 신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성장기에 있는 중학생들에게는 요가와 같이 정적인 운동보다 축구와 같이 뛰고, 달리며, 서로 협동하여, 골대에 공을 넣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활동적이며, 즉각적으로 성취를 할 수 있는 종목을 경험하는 것이 신체적 건강은 물론 정신적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요가활동을 지도할 때 5개월 이상 같은 동작을 지도하는 것 보다는 요가 동작의 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여학생에게도 축구와 같은 활동적인 종목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한다. 나아가 지역 간의 차이, 중학생의 비참여자와 참여자간의 차이에 관한 연구와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의 종목이 다양화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cer and yoga activities in school sport clubs on the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and physical self-im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relations between various factors.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 clubs from three different middle schools. 620 copies of the survey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luding the copies with blank or insincere answers, 555 copies were analyzed. SPSSWIN 18.0 was used to perform cross tabulation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of the sub factors of mental health—somatization, obsessive compulsive neurosis, interpersonal intolerance,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and paranoia—were relatively low amo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occer. On the other hand, those factors were higher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yoga. With respect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 mental health of the students who played soccer was low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period. Whereas the sub factors of mental health—somatization, obsessive compulsive neurosis, interpersonal intolerance,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and paranoia—of the students were relevantly high between the fifth and eighth month. In conclusion, the mental health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yoga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e ones who played soccer. Second, the difference in physical health was relatively high for all the sub factors of soccer and yoga. With respect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the physical health sub factors in the soccer group. For the yoga group, only the mental health sub factors were high, not the physical health sub factors. Third, the physical self-image of the soccer group was relatively high. And the physical self-image of the yoga group was relatively low. With respect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 physical self-image was relevant when it was divided between less than five months and more than one year in the soccer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hysical self-image was not relevant to the length of activity in the yoga group. Fourth, both soccer and yoga activities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and physical self-image. The study showed physical self-image is low when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become seriously negative. As a result, participation in soccer gives a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comparison with yoga activities. Also, playing soccer enhances physical self-image. Moreover, with respect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soccer participation was low as it continued for a longer period whereas yoga participation was high as continued for a longer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results, the study concluded that soccer activity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and physical self-image than yoga activity. The study showed that active sports such as soccer, which involves jumping, running, cooperation, and achievements such as scoring goals, and instant accomplishment, improves ment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more than less active sports such as yoga. In the future,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identify differences based on region and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iversify school sport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girls’ school sports clu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