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라벨의「현악4중주」에 관한 분석연구

        오순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Impressionistic Music, which was affected by Impressionistic Art and Symbolic Poetry of France, was created by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and Maurice Joseph Ravel (1875-1937) more firmly developed the form and structure. This treatise deals with Ravel's chamber music, String Quartet in F(1903-1903) in detail, and is studied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Ravel's musical diction as well as to inquire Impressionistic Music. Ravel began to compose 'String Quartet in F' December, 1902, completed in April 1903, and presented his master, Gabriel Foure (1845-1924). Composed of four movements, this music shows various changes in the frame of Classical Form as a whole, and constructs the sense of closeness of theme by use of cyclical themes in each movement. The first movement adopts the form of Sonata, the second and the third movement both the form of Compound Trio, and the fourth movement the form of Rondo. In the developmental way of the form, Ravel thoroughly depends on repetition, and this repetition of a passage clearly shows the division of the conclusion. In the way of tone, using traditional tone and line harmoniously, he made the tone vague. Externally, each movement shows the tone of F Major, a minor, Gb Major, F Major. In the harmony, he showed the characteristic using a chromatic scale by continuous use of ninth and eleventh chord except insoluble seventh chord and combining the melody with the interval and gamut, and prominently used the empty fifth musical interval omitting the third tone. One theme being applied in several movements, this Cyclical form is adopted in the works of Cesar Auguste Frank(1822-1890) and Debussy. In the use of cyclical form, Ravel developed themes more freely than Frank and Dubussy. And also this cyclical theory is not restricted only in the theme, but is adopted applied in the gamut and interpretation which is the factors out of(off) the subject. Thus, 'String Quartet in F' is a music which is well harmonized between the formal factors of Classicism and composing-technical factors of Impressionism. And through it we can find out his characteristic musical mode of expression. Entering in the time of changes from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Ravel used various and free creation techniques, and established his own original style and mode self-making all the new tendencies on those days personally rather than following the traditions in the position of conservatism. In the history of Music, Ravel influenced Expressionistic composers, Olivier Messiaen(1908-1992), and Pierre Boulez(1925-),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Modern Music. And also his talent should be highly valued in the history of music.

      •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탐색

        오순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흔히 수학(數學, Mathematics)이라고 하면 수나 연산, 공식을 이용한 계산이나 문제풀이 등이 수학의 전부인 것처럼 생각하기 쉬우나, 수학을 패턴의 과학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변화하는 어떤 현상에서 일정한 규칙을 찾는 것은 수학에서는 아주 중요한 능력이며, 유용한 문제해결 전략이다. 특히 7차 교육과정에서는 '규칙성과 함수' 영역이 관계 영역에서 새로이 세분·도입되어 강조되고 있으며, 초등학교 단계에서 패턴을 인식하고, 패턴을 찾고, 수학에서 발견한 패턴을 생활에 응용·적용하며, 학생들로 하여금 생활의 수학화, 수학의 생활화를 가능하게 하며, 여러 가지 패턴의 탐구에 관한 개념 및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도구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7차 교육과정에서 더욱 강조되고 확대된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수·학습모형과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교수·학습 내용을 탐색한다. 2. 교사용지도서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관련단원 및 지도내용을 분석한다. 3.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교수·학습모형을 탐색하고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한다. 4. 교수·학습 과정안을 현장에 적용하고, 적용한 결과를 분석한다. 첫째, '규칙성과 함수'영역의 교수·학습내용으로는 규칙성, 함수, 비, 비례식, 연비, 비례배분 등의 교수·학습내용을 분석하였는데,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패턴이나 배열이라는 용어가 낯설어서 규칙, 또는 규칙성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였다. 패턴(규칙성)이란 수, 도형, 무늬 등을 일정한 규칙으로 늘어놓은 배열을 뜻하는데, 패턴에서 일정한 규칙을 찾아서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면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주위 환경에서 수학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이해할 수 있게 되며, 또 주어진 정보를 분류하고 조직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패턴과 수학 인식적인 면에서 패턴의 정의를 살펴보면 패턴의 탐구는 수학이 단순한 계산이나 암기의 과목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버릴 수 있으며, 패턴 찾기를 통하여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의 탐구는 일상의 언어와 수학의 언어를 의미있게 연결해 줌으로써 의사소통의 필수 불가결한 하나의 조건이기도 하며, 패턴의 인식은 수학적 추론의 본질이며 단순한 규칙과 절차를 암기하는 학문이 아니라 의미있고 논리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해 준다. 패턴의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속성에 따른 패턴과 생성방식에 따른 패턴으로 나눌 수 있는데 오직 유일하게 한가지 속성만을 갖는 패턴이란 우리의 일상에서는 물론 수학수업에서도 가능하지도 않으며, 대부분의 패턴은 여러가지 속성이나 생성 방식을 함께 지니고 있는 복합적인 패턴이다. 따라서 패턴의 어떤 속성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하나의 패턴을 여러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속성에 따른 패턴 유형으로서는 관계적인 속성, 도형적인 속성, 물리적인 속성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생성방식에 따른 패턴 유형으로서는 반복 패턴, 증가 패턴, 대칭 패턴, 회전 패턴, 카오스 패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밖에 재료의 특징에 따른 패턴유형으로서는 타일 패턴, 퀼트 패턴, 달력 패턴, 블록 패턴, 문양 패턴 등이 있다. 함수 개념은 라틴어 "functio"라는 술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Leibniz(1646∼1716)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그는 '변수 x의 값의 변화에 따라서 다른 변수 y가 정해질 때 y를 x의 함수'라고 정의하였으며, 함수적 사고는 '관계에 의한 사고이고, 함수의 추론형식은 연역적, 귀납적 방법이 적용될 뿐만 아니라 동적인 생각과 극한의 생각이 작용된다'고 하였다. 비와 비례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은 물론 문제해결, 일반적인 사고 유형에서도 매우 중요하며, 비례를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은 형식적인 사고를 하는데 매우 중요한 하나로 비례에 대한 개념형성에 실패하게 되면 대수, 기하는 물론 과학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양적인 사고와 이해를 필요로 하는 학습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초등학교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이다. 비와 비례는 초등학교 '6-가', '6-나' 단계에 중점적으로 나타나 있는 내용이다. 둘째,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지도 목표, 지도내용 체계, 단계별 지도내용, 학년별 활동 내용 등을 교과서 및 교과용 지도서 등을 통해 분석하였더니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은 주로 각 학년의 '문제 푸는 방법 찾기' 단원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3-가' 단계와 '5-나' 단계에는 '규칙성과 함수' 영역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그리고 패턴의 유형은 반복 패턴(1-가), 증가 패턴(2-가), 수 패턴(1-나, 2-가, 2-나), 무늬 패턴(3-나, 5-가), 연산과 관계되는 수 패턴(4-가), 대응 패턴(4-나, 6-나)등, 다양한 패턴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패턴의 유형에서는 한 가지 유형의 패턴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보다는 복합적인 패턴의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규칙성과 함수'영역의 학습 유형 및 교수·학습모형을 분석하였는데 부산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1997)은 수학과의 학습유형은 문제 유형에 따라 G. Polya의 문제해결과정을 근간으로 계산학습, 개념학습, 원칙·발견학습, 응용학습의 4가지 학습유형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1∼6학년 까지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학습유형을 분석한 결과, 주로 원칙·발견학습과 응용학습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원칙·발견학습은 '6-가' 단계의 비와 비율, 비례식, '6-나' 단계의 연비에 주로 나타났고 나머지 학년에서는 거의 응용학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칙·발견학습모형과 응용학습의 두 가지 학습모형을 탐색하고 거기에 따른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한 후에 주 1회 현장에 적용시켜(총 4시간) 아동들의 학습태도 및 반응을 조사 분석하였다. 넷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연구 결과는 수학과 학력의 전후 비교, 수학과 영역별 흥미도 변화, 수학과 흥미·태도 변화, 수학과 교수·학습의 변화 등 네 가지에 걸쳐 알아보았는데, 수학과 학력의 전후 비교에서는 학력의 평균치 및 표준편차에 의한 CR 검증은 5% 유의 수준에서 퍽 의의있는 차를 보였으며 이는 학습 유형별로 적용한 교수·학습방법이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학력 신장과 개인차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학과 영역별 흥미도 변화에서는 '규칙성과 함수'영역이 가장 높은 신장세(11.7%)를 보였으며, '문자의 식' 영역의 흥미도도 다른 영역보다 높아진 것으로 보아 유형별 학습·모형의 적용이 영역별 흥미도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력 신장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학과 흥미·태도변화는 설문지를 통하여 알아보았는데 아동들이 수학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수학과에 대한 흥미와 태도가 좋아졌으며, 긍정적인 대답이 많아진 것으로 보아 아동들의 수학과에 대한 흥미·태도뿐만이 아니라 문제해결력도 신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수·학습의 변화에서는 교사는 수업모형을 주 1회씩 4시간을 현장에 적용하여 교수·학습활동을 한 결과, 아동의 활동량, 발표력 신장 등에 아주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교사와 아동,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자료 활용면에서는 아직 좀 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Mathematics is defined as science of pattern. Recognizing patterns out of a phenomenon is an important mathematical ability and leads an useful problem-solving strategy. The 'pattern and function' is newly introduced in 7th curriculum. Hen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curricular contents of 'pattern and function' and to explore it's learning-teaching models and effective methods. Therefore we plan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1. explore learning-teaching contents of 'pattern and function' area in elementary mathematics. 2. analyze related units and instructional contents from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 3. with this analysis, explore learning-teaching model and design learning-teaching process. 4. apply this process to classes and analyze the results. Carrying out the first and second research problems, we found this area deals with patterns, functions, ratio, proportional expression and continued ratio. Pattern types contained in mathematics text-books 1-Ga to 6-Na were repeated patterns(1-Ga), increasing patterns(2-Ga), number patterns(1-Na, 2-Ga, 2-Na), design patterns(3-Na, 5-Ga), number patterns by operations(4-Ga), matching pattern(4-Na, 6-Na) and compound patterns. Text-books 3-Ga and 5-Na do not have these topics. Learning-teaching models applicable in 'pattern and function'(1-Ga, to 6-Na) were classified mainly in two types; one is principle·heuristic model which can be used in teaching ratio, proportion, proportional expression of 6-Ga and continued ration of 6-Na, and the other is application model which can be used in all grades other than the one mentioned above.

      • 보육시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천안군을 중심으로

        오순임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우리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와 과학의 발달은 기존의 가치관과 의식구조의 변화, 그리고 가족구조의 변화에 따라 보육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보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와 욕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보육사업은 성장기 아동의 심신을 보호하고 교육을 통하여 건강한 사회성원으로 육성함과 아울러 저소득층 및 맞벌이 가정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함으로써 보육 서비스 제공이라는 사회 보장적 성격과 여성노동력의 생산인력화로 노동시장의 인력난 해소 및 가정의 경제자립 지원 측면에서 경제적 성격과 동시에 복합적인 사회복지사업인데 우리 나라의 보육사업은 1921년 태화기독교사회관이 탁아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극빈 자녀에 대한 임시 구호적 성격을 벗어나지 못했던 시기였지만 1961년 아동복리법이 재정·공포됨으로써 아동복리를 증진시키고 보호하기 위한 사업으로 성격이 변하였다. 그 후 1982년 유아교육진흥법이 제정되었으며 보육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보육에 대한 책임을 부모와 국가에게 공동책임을 규명한 1991년 1월 영유아보육법이 제정 공포된 이 후이다. 영유아보육법을 통하여 아동보육이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법문화된 이후 보육시설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경기의 활성화로 인한 인력난이 가중되어 보육사업 3개년(1995∼1997년)계획으로 8,928개소가 신설되어 양적으로는 어느 정도 보육시설이 확충되었지만 질적으로는 많은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전라남도 신안군내의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진행을 위해서 정부기관 및 연구소, 학계 등의 자료들을 이론적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보육시설의 운영실태를 파악하고자 대상지역의 보육시설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보육시설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낙후된 도서벽지 시설의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보육을 희망하는 부모와 아동들에게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논문의 구성은 제1장은 영유아보육사업의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영유아보육과 관련된 기본 이론으로 보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우리 나라 보육시설과 신안군의 현황 및 설문지조사와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제4장은 현황과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제5장은 결론 부분으로 도서벽지 보육시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반적 현황 및 설문조사에 의한 본 연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다. 우리 나라 보육시설은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부족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보육인력관리법에 따른 양성교육체계의 문제가 있으며 보육시설 종사자의 보수교육 장치가 미약할 뿐만 아니라 보육교사 근무조건에 따른 처우의 열악성 지역별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이 개발되지 않는 보육 프로그램이 미흡한 것이 문제점인데 우리 나라 보육시설의 전반적인 개선방안으로 공공보육시설 확충과 정부지원 합리화 보육종사자 우수인력 확보 방안으로 보육시설 종사자 처우개선과 후생복지 힘써야 하겠으며 보육프로그램 개발 촉진과 보육정보센터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서벽지로 이루어진 특수한 지역여건을 가진 신안군의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보육시설이 영세성과 낙후성을 면치 못하는 현실로서 정부지원이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아동수는 지역여건상 계속 감소하고 있어 보육료 수업은 적어지며 시설의 영세성 때문에 전국 최하위의 보육료를 받고 있는 현실이며 도서벽지의 가장 큰 문제는 차량지원비 부족으로 나타났다. 도서지역의 특수여건으로 인한 차량의 부식 내구연한은 3∼5년으로 새 차량을 자주 구입해야 하는 등 차량유지비가 전체 운영비의 8∼25%까지 차지하는 것을 보더라도 현실적인 차량운영비 지원을 포함한 운영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보육사업은 영유아기의 바른 성장과 아동복지 증진이 주목적이다. 영유아의 바른 성장을 위해 근로, 질병, 저소득 자녀 등 보호자가 직접 보호하기 어려운 경우 사랑과 애정으로 돌보아 주는 업무이며 어려서부터 8세까지 인격의 80%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가 있는 영유아의 보육사업에 대한 투자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둘째,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자원인 보육교사의 연수기회 확대는 물론 연수내용과 질을 높여 자발적으로 보수교육에 참여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보수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지 않으면 법적으로 제재할 수 있는 강력한 조치가 강구되어야 할 것이며 대리교사 제도 마련으로 교사들이 부담없이 교육에 임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며 도서벽지 수당 등 보육교사 처우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보육 담당공무원의 보수교육의 내실화와 보육업무에 보다 전문성을 갖고 보육업무에 전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보육행정 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보건복지부에는 2002. 5. 13 보육과가 신설되어 보육업무를 전문성과 추진력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보지만 일선 보육담당 공무원의 보육시설 지도관리에는 전문성이 부족할 뿐 아니라 도서지방은 더욱더 어려움이 많으므로 효율적으로 업무를 추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배치하여야 할 것이며 보육담당 공무원과 시설과의 긴밀한 유대를 통하여 아동보육의 질적 향상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도서지방 보육시설 운영방안은 제시함으로써 도서지역의 영유아보육사업 활성화에 작은 기여를 소망하는 본 연구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고 보육프로그램에 대해서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지 못하였음을 밝힌다. 영유아 아동의 교육은 우리 가정의 근본적 일로서 부모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모두 및 국 가의 책임이다. 영유아 발달은 인간발달 전과정의 기초 단계로서 영유아는 가장 빠르게 짧은 기간 동안에 주위의 사람과 환경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며 성장하므로 영유아 보육은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문화적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있는 도서벽지 영유아의 공보육 의무 교육방안이 도서개발 촉진법을 제정하여서라도 하루빨리 실현되어 여성의 사회적·경제적 생활을 지원하며 도서벽지 가정복지 증진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가 유아의 행복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순임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가 유아의 행복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가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2-1.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가 유아의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0명으로, 실험집단은 A유치원 유아 15명(남 11명, 여 4명)이며, 통제집단은 B유치원 유아 15(남 10명, 여 5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를 경험하였으며, 실험처치는 2016년 8월 29일부터 2016년 11월 4일까지 9주 동안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이정화(2005)의 초등학생 행복감 측정 도구를 김도란(2008)이 유아 수준에 적합한 질문 내용으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친사회적 행동 검사는 Babcock과 Hartle 그리고 Lamme(1995)의 평가척도를 기초로 김영옥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평가 검사도구(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김영옥, 2003).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행복감은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3.18, p<.05). 따라서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는 유아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8.09, p<.001). 즉,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지도성(t=2.30, p<.05), 도움주기(t=2.20, p<.05), 주도적 배려(t=4.98, p<.001), 접근 시도하기(t=3.13, p<.05), 나누기(t=3.89, p<.05), 감정이입 및 조절(t=3.80, p<.05)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그림책의 유머적 요소를 활용한 동극놀이는 유아의 행복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유아 행복교육을 실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서울·연변간 착의실태 조사분석 : 착의량을 중심으로

        오순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1839

        계절 변화에 따른 환경 적응 측면에서 주거 환경의 냉난방 사용등의 온열적 생활환경의 차이가 착의 행동 및 착의량과 인체의 내한내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같은 시대, 같은 민족이면서 온열적 생활환경이 다르다고 판단되는 서울의 남녀 학생과 연변의 조선족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착의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반복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각 계절마다 서울 지역은 200명씩, 연변지역은 176명씩 1997년 6월부터 1998년 4월까지 6월, 10월, 12월, 4월 4회에 걸쳐 환경 조건과 착의량을 측정하고 착의실태를 조사하였다. 측정 조사항목은 착의량, 착의내용, 착용율 및 실내외 환경조건이었고 두지역의 환경적응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체표면적당 착의량의 절대치와 타연구와 비교, Winslow의 환경 온도와 의복 보온력의 보정치와 비교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1. 두 지역 모두 체표면적당 총착의량은 여름, 가을, 봄, 겨울의 순으로 많아졌고 향한기와 향난기에 착의량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성별로 본 착의량은 두지역 모두 여학생이 사계절 속옷량에서 남학생보다 많았다. 2. 두 지역의 착의량의 차는 서울의 경우 남녀 모두 겉옷 상의량에서 계절별 차이가 있었고, 연변의 경우 남녀 모두 속옷량에서 계절별 차이가 있었다. 서울의 남녀 학생의 속옷량이 연변보다 적었다. 3. 한서감각은 두 지역 모두 봄, 가을, 겨울에는 비교적 쾌적하였으나 여름에는 덥게 느꼈고 한서감각은 서울이 연변보다 더 민감하여 겨울에 보다 춥고 여름에 보다 덥게 느끼는 경향이었다. 연변이 서울보다 쾌적범위가 많았고 성별에서는 두 지역 모두 여학생의 쾌적범위가 남학생보다 많았다. 4. 계절별 의복별 남녀의 착의 내용은 속옷과 겉옷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양한 의복을 착용하였고 하의보다는 상의에서 계절 변화가 나타났으며 서울이 연변보다 상의 및 하의에서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착용함을 알 수 있었다. 착의 매수는 두 지역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고 연변이 서울보다 많았다. 5. 稻垣의 식에 의해 계산된 clo치를 Winslow의 clo치와 비교하면 연변의 남녀학생이 서울의 남녀학생보다 내한내열성이 높았다. 서울의 남녀학생은 Winslow의 clo치보다 내열성은 높으나 내한성이 낮았고 연변의 남녀 학생은 Winslow의 clo치보다 내한내열성이 높았다. 결과적으로 서울은 남녀 모두 겉옷 상의량 조절로 계절적응을 하였으나, 연변은 속옷량 으로 계절적응을 하였고 서울의 남녀 학생이 연변의 남녀 학생보다 한서감각은 더 민감하여 겨울에 보다 춥고 여름에 보다 덥게 느끼는 경향이었다. 또한 생활수준에 의한 온열적 생활환경의 차이가 내열성보다는 내한성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s upon not only the thermal resistance of human body but also the clothing action and the clothing weight, which are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thermal living conditions by using air conditioner and so on, to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s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easons, we investigated the clothing practices upo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eoul and Korea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Yanbian who are estimated to have different thermal living conditions in spite that they are same folk as well as living in the same age. The principle of the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same students repeatedly. 200 students in Seoul and 176 students in yanbian were investigated 4 times repeatedly according to the seasons, in June, October, December 1997, and April 1998, upon the clothing practices with the surveyed data on thei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lothing weight. The survey items were clothing weight, clothing contents, clothing rate and the living conditions of indoor and outdoor. We compared and surveyed the absolute value of clothing for the fur body surface area, other studies and Winslow's environmental temperature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standard to adapt between both areas. We got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total clothing weight of fur body was increased in order of summer, autumn, spring and winter seasons and the changes on clothing weight was found in winter facing in summer facing season. The clothing weight of female students were heavi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regards of underwear weight throughout four seasons in both areas. 2. By seasons, the changes of the clothing weight were found in both areas. In Seoul, the changes of upper outwear clothing weight were found on both sexes but in Yanbian, the changes of underwear weight were found on both sexes. And the underwear weight of both sexes in Seoul was lighter than that of both sexes in Yanbian. 3. Comparatively, they felt pleasant in spring, fall and winter seasons but they felt hot in summer in both areas. Those in Seoul tended to fell colder in winter and hotter in summer than those in Yanbian on account that the formers are more sensitive of thermal conditions than the tatters. 4. Regarding the clothing details on both sexes by clothings, the female students wore more various clothings than the male students on underwears and outwears. Regarding the clothing details on both sexes by seasons, the upper clothings showed the change of seasons better than lower clothings and those in Seoul wore more variously than those in Yanbian not only on upper clothings but on lower clothing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sons. Regarding the number of clothings, the female students had more than male students and those in Yanbian had more clothings than those in Seoul. 5. Comparing clo - value calculated by the fomula of 稻垣 with the Winslow's clo - value, those in Yanbian had higher thermal resistance than those in Seoul. Consequently, those in Seoul adapted themselves to the seasons by controling the upper outwear weight but those in Yanbian did it with underwear weight.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eoul, tended to feel colder in winter and hotter in summer than those in Yanbian because the thermal sense of the former is more sensitive than that of tile latter. We could conclude that the distinctions of the thermal living conditions by the differences of their living levels had a bigger influence upon cold resistance than heat resistance.

      • J. S. Bach의 Praeludium und fuge e-moll(BWV548)의 음악수사학적 분석 연구

        오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is to help the interpretation for the performance of Präludium und Fuge e-moll by J. S. Bach who is great composer in Baroque period, through the analysis by the musical rhetoric. The musical rhetoric is a theory of musical composition which is derived from ancient Greek speech. It has been discussed mostly in Baroque Era. It was a perfect match between the musical rhetoric and the purpose of Baroque music which stands for rational expression of emotional sensitivity. Bach pursued the expression with logic, structure, freedom and originality in his music, and constantly respected the balance of form and content. Therefore it is clear that Bach applied musical rhetoric as an implement to express religious lyrics and personal feelings. Präludium und Fuge e-moll (BWV548) was composed in Leipzig where Bach was the Cantor at St. Thomas Church. As the Cantor, he composed, played and taught church music there, and unsparingly expressed his deep Christian faith in his music throughout the last part of his life. General overview of musical analysis shows that the work is well-built in uniqueness of embossed theme. Präludium adopts Ritornello form, and it shows instrumental solo theme repeatedly. In Fuge the musical theme reappears by da capo, and even more it is quite intense and impressive by added dissonant chords and interval progression in wedge form. Especially in Präludium, sentimental confrontation between God and Human, Good and Evil, is shown through the excessive vertical jumps of interval. In Fuge, the wedge form of its theme horizontally meets the main dissonant theme chords. And so they are added, and reminding rough and harsh journey. Such confrontation through the Präludium and Fuge proves the religious belief and faith of Bach so that the musical rhetoric approach is essential. For that reason two means are being used to explicate: one is Structural mean to analyze the lifetime process of Jesus Christ by the time flow. The other one is Expressive mean to analyze the melodic figure having a thought in mind that the melodic shape involves religious symbol in its background. The result comes out that the musical rhetoric in this work shows the suffering of Jesus Christ through the Crucifixion to give salvation to the whole mankind. Präludium und Fuge e-moll by Bach can precisely express the religious symbols and atmosphere, and also it can be announced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Baroque Period which is applied with the logic of structural form and theory of musical rhetoric. It is hoped that the organist acquires the great motion, persuasion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common in music and rhetoric, and that this study helps him play organ with great energy of life. 이 논문은 바로크 음악의 거장인 바하의 Präludium und Fuge e-moll(BWV548)을 음악수사학적인 면에서 접근하여 분석함으로써 연주자의 작품해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음악수사학은 고대 그리스의 웅변술에서 기원한 수사학의 형식과 내용이 음악에 응용된 하나의 이론으로 바로크 시대에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이는 정서를 합리적으로 표현하고 감정 표현을 양식화하려는 바로크 시대의 예술 목적에 수사학이 부합했기 때문이다. 바하가 추구하는 음악세계는 논리적이며 구조적이면서도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으로 정서적 감흥을 풍부하게 일으켜서 형식과 내용 양면의 균형을 항상 존중했다. 그래서 바하가 자신의 작품에 종교적인 가사나 개인 감정표현을 위해 음악수사학을 도구로 사용했음은 분명하다. Präludium und Fuge e-moll이 작곡되었던 라이프찌히 시기는 바하가 성 토마스 교회의 칸토르로서 기독교의 예배 음악을 매주 작곡, 연주하고 가르치며 인생의 말기에 종교적으로 깊은 신앙심을 작품세계에서 드러내던 시기였다. 일반적인 악곡 분석의 결과, 주제의 부각을 위해 형식을 구조적으로 잘 계획한 것이 특징적이다. 프렐루드는 리트로넬로 형식을 취하여 기악 독주적인 주제를 반복적으로 드러낸다. 푸가는 다 카포 양식으로 주제를 재현하는데, 이에 더하여 주제 자체가 쐐기(Wedge)형의 불협화 음정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대단히 강렬하고 인상적이다. 특히 프렐루드는 수직적인 음정의 도약이 심하여 선과 악, 신과 인간 등 대립적인 정서감을 준다. 푸가는 수평적으로 진행할 때에 쐐기형 주제가 불협화적인 대주제와 더하여져서 인생의 험난함을 연상시킨다. 프렐루드와 푸가를 통하여 보여지는 일관적 정서는 바하의 기독교적인 배경에서 나왔음이 분명하기에 음악수사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음악수사학의 두 도구 중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라는 시간적인 흐름을 따라서 배열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또 다른 한 도구인 표현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음형이 내포하는 종교적인 상징성을 염두에 두고 음형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이 작품의 가장 중심이 되는 음악수사학적인 분석 내용은 인간을 구원하기 위해 성육신하신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히기까지의 고난을 묘사한 것이라 하겠다. 바하의 Präludium und Fuge e-moll은 표현적인 면에 있어서 종교적 상징과 정서를 섬세하고 정확하게 나타냈고 구조적으로는 논리적인 체계가 잡혀 있어서 바로크 정신에 부합한 음악수사학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하여 바로크 음악 연주에 있어서 수사학과 음악의 공통점인 큰 감동과 설득, 그리고 의사소통이 일어나서 더욱 생명력있는 연주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기초조형 중심의 미술치료프로그램이 EMR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미치는 효과

        오순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ne arts therapy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visual-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ly retarded child's visual perception who were able to receive education.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above program on the EMR child's visual perception according to sessional activities. Seco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through evaluation instrument. In order to prove the above purposes,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utilized DTVP were compared with the effect by applying the fine arts therapy to the mentally retarded chi1d who were capable of learning during total 31 weeks for 20 minutes every 2 times per week from July 5th, 2001 to Oct. 21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child’s visual perception after analyzing the effect according to sessions. Second, there had been some effect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 perception. The functions of sub-areas such as Visual-motor coordination, perceptual constancy on a formation, perception of position in space and spatial relationships except Figure-ground discrimination were improved.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s development of visual-perception. This study was limited to one child, so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other normal and retarded children were not proved. My research suggested a point, line, surface and figure among the components of basic formation to improve the mentally retarded child's visual-perception development. Various fine arts therap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applying more sophisticated moulding elements and the principle of basic 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