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평화 교류시대를 대비하는 전문인 선교의 방향 고찰 : -문화재단 설립을 통한 남북도시간 교류-

        심태은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지금까지 추진되어 온 각 지자체간 교류협력 사업이 한반도의 화해와 통합, 미래 통일이라는 민족적 과제 및 복음적 통일이라는 선교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지금까지 추진되어 온 남북 도시간 교류협력 실태 및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강원도의 남북 도시간 교류협력 증진과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등을 연구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통일에 대비한 준비과정으로 남북 도시간 교류협력 증진에 관한 새로운 접근법에 대한 논의를 넘어서서 선교적 관점에서 전문인 선교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and direct future and projects in promoting and revitalizing inter-Korean inter-city exchange and cooperation in Gangwon-do. It is accomplished by looking into case studies on current inter-Korean inter-city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abroad under the premise that such activities have led positive impact on getting closer to the national task of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future unification as well as the missionary task of evangelical unification.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new ways for professional missionaries in missionary perspective for this study is a preparatory process for future unification going beyond discussions on a new approach to promoting inter-city exchanges and cooperation.

      • 영화 <쉰들러리스트>와 <피아니스트>에서 그려진 쇼아의 비교분석

        심태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든 영화에 연출자의 의도가 내재되어있는 것처럼, 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자신도 모르게 연출자의 시선을 따라가게 된다. 영화가 주는 속도감과 함께 실제 사실인 것처럼 보여지는 화면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쉰들러리스트>와 <피아니스트>는 모두 폴란드 내에서의 유태인학살을 다루고 있고, 연출자 모두 유태계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같은 주제를 다룬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이 두 개의 영화를 보고 난 후의 느낌은 전혀 달랐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주제를 착안하였다. 독일이 아닌 바로 폴란드에서 게토와 수용소가 처음 생긴 것은 아마도 폴란드가 소련 다음으로 가장 많은 유태인이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폴란드라는 배경 하에 유태인 학살을 다루고 있지만 두 영화가 주는 느낌이 다른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먼저 <쉰들러리스트>에서는 실제 유태인과 관련된 내용인 독일군 침공 이후부터 게토로의 강제이주까지의 과정, 그들이 게토에서 강제노동수용소까지 이송되는 과정은 비교적 간략하게 묘사되어 있다. 사실 영화는 오스카 쉰들러의 행적을 따라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유태인들의 강제노동수용소에서의 생활과 그들이 아우슈비츠로 이주하는 것을 막는 쉰들러의 모습에 주된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에 비해 <피아니스트>는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의 유태인 차별, 학살과 게토로의 이주과정을 주인공인 스필만을 중심으로 자세히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당시 유태인들의 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게토에서의 생활과 절멸을 위해 마지막 유태인을 이송하는 장면도 자세하다. 가족을 학살소로 보내고 혼자 남은 스필만이 치열하게 생존하며 노동수용소에서 생활하는 것, 폴란드인들의 도움으로 탈출해서 은신한 것, 바르샤바 게토 봉기를 목격한 것, 은신처에서 독일 장병에게 발각되었지만 그의 음악적 열정으로 살아남은 것 역시 스필만의 시선으로 담담히 그려내고 있다. <쉰들러리스트>에서의 유태인들의 비참한 생활,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과 그런 그들을 마지막까지 구해내려 한 쉰들러의 행동은 영화를 보는 이들의 눈시울을 적시게 할 만하다. 마지막 장면에서 쉰들러가 “한 사람이라도 더 구할 수 있었는데”라는 말에 ‘쉰들러의 사람들’은 “한 사람을 구한 것은 모든 사람을 구한 것”이라고 위로하며 한 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영화의 배경이 좁은 탓도 있겠으나, 영화 내내 유태인들의 행동은 마치 원래 그런 운명을 타고난 사람들처럼 순종적이고 체념적이기만 하다. 그들은 선별되어 죽게 되는 순간에조차 저항 한번 하지 않고, 살아남은 것에 안도하며 서로 위로하고 기뻐한다. 영화를 보는 이들은 오히려 항상 도움을 받기만 하고 비참하게 보이는 유태인들 대신에 영웅적 행위와 자선을 베푸는 쉰들러에게 중심을 두고 있을 수도 있다.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위기를 헤쳐나가는 주인공과 자신들을 도와준 이에게 끝까지 의리를 잃지 않는 그들의 모습은 스필버그식 휴머니즘과 감정의 연장선이다. 관객들은 이 영화만 본다면 유태인들의 저항이나 그들의 의지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유태인들은 아무런 죄없이 희생만 당하는 순종적인 존재로, 그에 대비되는 나치스는 절대적인 악으로, 그리고 그 사이의 나치당원이었으나 유태인들을 도와주는 희생적 존재인 쉰들러라는 삼분법적 구조로 파악된다. 반면 <피아니스트>에서 무엇보다 유용한 점은 스필만을 중심으로 하고는 있지만 당시 나치스 치하의 유태인들의 생활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쉰들러리스트> 역시 수용소 내의 유태인들의 생활을 다루고는 있으나 그것은 주로 쉰들러의 눈에서 본 것이었다. 이와는 달리 <피아니스트>에서는 유태인들의 다양한 인간 군상의 모습과 당시 폴란드인과의 관계, 유태인들의 저항과 투쟁의 모습 등을 관찰자의 담담한 시선으로 엿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스필만의 자서전을 토대로 한 것이기 때문에 그가 실제로 수용소 내에서 적극적으로 도와주었던(영화에서는 그저 지나가는 장면으로 묘사된다) 봉기의 준비과정, 그가 관찰자로서 본 바르샤바 게토 봉기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사실 가장 감동적인 것은 후반부의 독일 장병 앞에서 자신은 피아니스트였다는 말과 함께 쇼팽의 발라드를 연주하는 부분일 것이다. 다소 긴 호흡으로 연결되는 이 장면에서 굶주림에 지쳐 쇠약한 스필만이 떨리는 모습으로 연주를 시작하지만 곧 연주에 몰입한다. 이것은 그가 가족들을 학살소로 보내고도 생존을 향해 끝없이 치열하게 노력했던 것이 바로 음악에 대한 열정이었임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우리에게 가장 감동을 주는 것이 한 예술가의 음악에 대한 열정이었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보여주는 당시 그들의 생활과 배경은 영화를 보는 이들에게 감정을 강요하지 않고 좀 더 객관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두 편의 영화는 수용소 세대이든 아니든 모두 유태인 연출자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이와 같이 쇼아가 각종 매체에서 주목받고 있는 것은 유태인의 영향력(특히 미국 내에서)이 커진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유태인이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러한 권리가 공유되어져야 하는지, 그런 경우 과연 어떤 시선으로 쇼아를 바라볼 것인지에 대해 좀 더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심태은 강릉원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후,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어떠한가? 2-1.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는 어떠한가? 2-3.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2-4.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변화는 어떠한가? 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문제 1]에 대해서는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의 훈육유형을 비교하였고, 유아교사와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았으며, 문헌고찰을 통해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핵심요소를 추출,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 대해서는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총 12주 간 강원도에 소재한 유치원 두 곳의 유아 48명(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유아의 행복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문제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행동 체크리스트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와 교사 및 어머니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 내용을 토대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와 구체적인 내용들을 파악하여 양적 분석 결과의 깊이 있는 해석에 활용되었다.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유능감 총점과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소인 정서조절능력과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아들은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규칙을 지키며 공감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긍정적 정서가 함양되고 의사소통 기술 및 책임감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요소인 정서조절 능력과 정서성, 또래관계 기술 및 사회적 규범 이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양적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둘째,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행복감 총점과 유아의 행복감의 하위요소인 부모관계, 교사관계, 또래관계, 인지 및 성취, 몰입, 영성, 정서, 건강, 생활만족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신감과 정서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행복감의 하위요소인 또래관계, 인지 및 성취, 정서부분이 향상된 것으로 양적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셋째,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교사중심에서 유아중심의 관점으로 변화하였고 발문형태가 격려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유아들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교사로서의 전문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들은 자신에 대한 시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자녀를 통제하던 태도에서 존중하는 태도로 변하였으며 사소한 것에도 감사하고 가족 분위기의 긍정적인 변화로 인해 행복감을 느끼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의 교육 현장 적용 결과, 본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행복감 및 유아와 교사, 어머니의 인식 및 태도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긍정훈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기에 적합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기존에 이루어졌던 훈육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學生의 敎師에 대한 親密感이 敎授-學習시 意思疏通에 미치는 影向

        심태은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maintain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and thereby, help them grow and develop in a sound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encourage them to develop intellectually and creatively, while creating a favorable learning atmosphere in the classrooms. To this end, the effec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timacy with their teachers on the communication during teaching/learning sessions were analyzed and thereby, some data regarding th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imacy with teachers and verbal communications between them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them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high intimacy and low intimacy groups; the frequency was low in both groups. Nevertheless, as Brownell & Davis indicated, students tend to be encouraged by questions to take courage to answer them. In short, questions may be an evidence that teachers are listening to students, while they can be us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what teachers instruct. Therefore, it may well be desirable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questions in the classrooms. In both high and low intimacy groups, teachers tend to use commanding or instructing questions, but Einstein pointed out that it would be better to use positive questions rather than negative ones in ord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us, it would be much effective for such communications to use praising/affirmative question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were using students' names than their ID numbers. As Bill Gates said, people would become more friendly with each other if they use others' names. In this sense,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teachers to use students' names than their ID numbers. Although teachers tended to listen more to students in both groups, teachers are obliged, as Lee Kun-hyun said, to listen positively to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dialogue and assure them that teacher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m. Then, students will trust teachers mor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m more actively. In short, teachers are requested to listen to students more positively. In both groups, teachers preferred a story-telling method in explaining something to students in details. However, it was found that in a higher intimacy group and in a higher-grade group, students tended more to prefer an implicative and brief explanation. Frunzi emphasized that every message should be delivered briefly and simple. Otherwise, it may be confused or distorted. It may be necessary for teachers to explain to students in details by using a story-telling method, it would be better to use an implicative and brief method of descrip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imacy with teachers and literal communication between them, it was found that the high intimacy group tended to use textbooks or printed materials, while the low intimacy group tended to rely on blackboards, texts or printed materials.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ould be more effective if verbal and literal communications should be used in parallel. On the other hand, students tended to prefer OHP and beam projects for their audio/video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s Frunzi described, a message can be more clearly delivered if an audio/video material is used as auxiliary tool for communication. It was analyzed that students preferred verbal phrases or story forms as well as detailed enumeration about the subject, but that the higher grade students tended more to favor brief literary style phrases and important keyword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imacy with teachers and the body language communication, it was found that facial expressions, gestures and exchange of glances had more effects on communication between them. As Lee Kun-hyun said, teachers can deliver their message more clearly by using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In addition, Peter and Loran said that the more frequent the exchanges of glances is,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would be greater. In both groups, students wanted their teachers to walk around in the classroom to talk about the subject comfortably.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timacy with teachers and the temporal/spatial or quasi-linguistic communica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felt more close to teachers in high intimacy group, while those students in low intimacy group felt far from teachers. As Park Byong-ryang said, the nearer the distanc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is, the more effective the communication will be. Both group students opined that the desks should be arranged into small groups in the classroom, and that the frequency of contact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was lower than normal. As Robbins indicated, teachers are obliged to contact students in a natural way for an effective communication. The intonation was normal or higher in the high intimacy group, while it was lower than normal in the low intimacy group. Such a finding supports Peter and Lorna's argument that an effective communication would be achieved by diverse tones, quality of tone and intonations. Therefore, teachers are requested to use diverse tones, qualities of tones and intonations. Students wanted to see their teachers in casuals, because they believed that informal clothing or casuals would help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m and teachers. In addition, students preferred colored blackboard writing. As L. B. Wexner said, colors may be an important means of delivering feelings or atmosphere, affecting communication mu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s his argument.

      • 韓國과 日本 敎員의 敎職獻身度 比較

        심태은 東國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gulate the concept of teaching professional commitment that is appropriate for teaching professional speciality, and compare the commitment of Seoul teachers with commitment of Osaka teachers to find out differences. Also, the differences will be found between the teachers of Seoul and Osaka in the side of individual-related variable (populational-statistical variable, teaching professional recolonization variable), organization related variable(school construction variable, school group character variable). This article will provide suggestions to find variables that effects to the teaching professional commitment. In this cas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 commitment means teacher's identifying or psychological binding with something. It is very important for school to improve because highly dedicated teacher usually trusts the worth and purpose of teaching profession, is self-encouraged by his profession, puts many efforts and want to be there professi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 commitment acts as a important variable for efficient school education, work satisfaction, and deciding to be there position. Teacher's commitment and enthusiasm make the students' accomplishment higher. On the other hand, it reduces teacher's absent rate and occupation change rate and contributes to the results of organization. Because of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study about teacher's commitment.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study is getting bigger as the recolonization is expanded that the success of education is up to teacher's voluntary and aggressive cooperation. As a result, first, it is measured that Japanese teacher's commitment measurement is bigger than Korean teacher's(Korean teacher 3.14, Japanese teacher 3.44). In the sub-territory, Japanese teachers appert to dedicate more than Korean teachers(commitment for students : Korean 3.16<Japanese 3.29, commitment for school management : Korean 3.26<Japanese 3.36, commitment for class : Korean 3.04<Japanese 3.48, 자기연찬헌신 : Korean 3.09<Japanese 3.47, commitment for school : Korean 3.17<Japanese 3.59) Seco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the result of measuring individual organizational-related variable which effects to the teacher's commitment. Especially, teacher's status, teacher's reliability, leadership, cohesion are very conspicious but teacher's value is not conspicious. If we examine carefully, it is recognized that teacher's status of Korea is normal as 2.55 points but, Japan's is over normal degree. As the education is focused on the entrance exam, teacher's reliability was getting lower. Leadership of the president is measured that Korean is higher than Japanese(Korean 3.42>Japanese 3.07), cohesion of Korean teachers is also higher than Japanese's as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It is thought that Korean is mo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members while Japanese have independent personality. Third, individual-related variable and organization-related variable effects on the commitment for students, commitment for class, commitment of self-study, commitment for school management, commitment for school, commitment for teaching profession. Among them, commitment for teaching profession is affected by country, school, career, class of position, leadership of the president, cohesion of members. commitment for school is affected by career, class of position, status of teacher, leadership of the president and commitment for class is affected by country, school, sex, career, status of teacher, teacher's value, cohesion. commitment of self-study is affected by country, school, career, class of position, reliability of teacher, leadership, and commitment for school management is affected by country, school, career, class of position, leadership of the president, cohesion of members. At last, commitment for school is affected by country, school, career, class of position, leadership of the president, cohesion of members. Through this result of study, the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 commitment and variable are is grasped. This study is focused on getting better education and getting the effects of school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