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송은옥 협성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송은옥 최근 우리나라는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로 평균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길어진 노년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년기의 대부분의 시간으로 여가로 보내고 있기 때문에 여가활동을 통한 노인복지에 대한 노력과 우울이나 노인 자살로 나타나는 사회문제의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여가활동을 통한 여가만족이 삶의 질을 평가하는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여가만족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하여 여가만족을 높임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인 분석을 위하여 안양시와 군포시에 소재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300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는 연령, 학력, 종교, 건강상태, 경제상태와 여가유형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와 경제상태, 여가 유형은 여가만족과 자기효능감의 차이에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여가만족은 종속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가만족 하위요인 6개 모두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노인의 여가만족은 매개변수인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만족의 하위 요인들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도 높아질 거라고 분석할 수 있다. 넷째, 노인의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을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질 것인가에 대해서 검증한 결과 첫 번째로 여가만족의 하위요인 6개 각각을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적 효과 검증 결과 분석 1단계에서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2단계에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3단계에서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종속변수에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3단계에서 2단계에 비하여 독립변수의 표준화 회귀계수가 모두 감소하였으므로 자기효능감은 여가만족의 6개의 하위 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여가활동을 통한 여가만족은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요인인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 및 연구결과의 함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한다. 첫째, 접근성이 강화된 소규모 다목적 기능의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인복지관 건립이 필요하다. 노인의 수도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과거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고 경제력을 갖춘 건강한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 수요에 맞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차원을 넘어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그 지역의 특성과 형편에 맞게 노인여가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노인여가복지시설이 노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근거리에 위치하여 노인여가활동 하고자 하는 노인들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로당 운영비에 대한 지원의 확대이다. 현재는 가장 고령이면서 경제상태가 열악한 노인들이 여가활동의 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곳이 경로당이다. 과거에 비해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이 확대되고는 있지만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의 체감수준은 아니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에 따라 경로당 지원금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원되고 있는 경로당의 운영비의 대부분은 냉∙난방비, 중식, 다과, 회식 등에 활용되고 있어 노인여가복지시설의 기능을 위한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원금을 일률적으로 동등한 지원보다는 경로당의 규모와 등록 인원수, 이용인원 등을 고려한 차등 지원과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그 시설의 특성에 맞도록 지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운용에도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경로당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다른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접근성에 비해 용이한 경로당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노인들의 여가활동 접근성도 높일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여가만족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여 우울과 노인자살 등과 같은 노인문제를 예방하고 노년기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셋째, 경로당의 이미지 개선 및 여가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방형 경로당의 모델로 지역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경로당 이용 연령 제한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현재 노인복지법에 의하면 노인여가복지시설 중에 노인복지관과 노인교실은 만60세 이상의 노인이 이용가능하고 경로당은 만65세 이상의 노인들이 이용가능하다는 법만으로도 시설마다 연령기준이 명확하여 최근 연령 하향 조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력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한 지역적인 차이로 초고령사회가 된 지역은 경로당만 존재해야 한다는 역설적인 표현이 될 수도 있고 경로당을 무기력하고 정적인 이미지로 굳히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로당 이용가능한 연령을 조정함으로써 활기차고 젊은 경로당으로 거듭나 누구나 드나들 수 있는 경로당을 만들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경로당 중심으로 지역의 복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소외되는 노인들을 위한 노-노 케어까지도 이루어져 노인복지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 수 있다. 넷째, 노인의 교육욕구와 여가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노인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중고령층을 포함한 막 은퇴한 노인들이 이용할 만한 여가시설의 필요성이다. 정부나 민간에서 노인 연령 기준을 높이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사실상 중고령층을 포함한 은퇴하는 노인들이 이용할 만한 여가시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령대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노인교실이나 복지관에 대한 자율성이 보장되어 운용할 수 있거나 이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며 삶을 재설계하고 노년기를 준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시설이 지역적으로 건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설의 활성화는 교육 수준이 높고 경제력을 갖춘 베이비부머 세대들부터 자연스럽게 고령층의 노인들과 어울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 연구결과에 따라 실천현장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인 여가활동보다 집단적으로 어울릴 수 있는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촉진활동의 필요성이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개인적으로 여가활동을 즐기는 노인보다 집단적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는 노인들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용적으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4차 산업 혁명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4차산업 기술을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포함한 여가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여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인한 여가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다. 과거에는 은퇴 후 남아도는 시간을 활용하는 소비적인 여가활동에서 자신이 좀더 가치 있는 존재로 느끼며 여가활동이 단순히 기분전환이 아닌 친구, 지식, 건강, 활력 등을 중심으로 재창조할 수 있는 생산적인 여가활동에 대한 개념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복지서비스의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노인복지 전문인력 확보의 필요성이다. 마지막으로 노인들을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좀더 적극적인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여가 문화에 대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사전교육을 통하여 많은 노인들이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독거노인 등 여가활동의 비참여자의 참여유도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주제어: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여가, 소비적 여가, 생산적 여가, 여가만족,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 한글프로그램을 통한 노인교육의 다차원적인 평가 연구

        송은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Educational gerontology does not only afford the elderly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ability for adapting themselves to modern society but this applied field of science also aids them in living the rest of their lives “successfully.” While the phenomenon of rapid population aging has been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with imminent consequences for the natio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search and practice in educational gerontology becomes more and more salient. Accordingly, basic and applied research in educational gerontology starts to thrive, but particularly the evaluation of already established programs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this vein, the current study examined educational Korean literacy programs for fully or functionally illiterate elderly who were taught in Korean writing and reading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e elderly located in the province Kyonggi-do, South Kore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first, in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literacy program’s effectiveness in a pre-post experimental-control group design that the mean difference of program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elapsed time period was larger for the form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iteracy program its purpose was explicitly identified and the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spent were evaluated. The purpose of the Korean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cludes individual, social-relationship-related, economical, and governmental goal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by enlarging the quality and enthusiasm of life through Korean Literacy Program the old be led to the successful their old age.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for the program, the number of employees turned out to be a crucial weakness. Because the funding for human resources for each program is insufficient, additional subsidies need to be provided. As the educational gerontology program’s several aspects, dimensions and stake-holder are intervened i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program, besides the preliminary and post other effects might be shown. In addition those other effects may cause fine result as good effect as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y might cause opposite result differently from other effects’results. By employing using multi-dimensional evaluation standards as in this study, more objective evaluations in educational gerontology can be planned and conducted. Also the data and observations made during the data-gathering process reveal the desire for education and the learning potentials of the elderly for high-quality educational services.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is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lderly suggest that educational gerontolog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business and aging. Although in this study only two dimension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lderly have been investigated,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o plan multi-dimensional evaluations and adopt multiple standards and criteria that are readily accepted in academia, the corporate industry,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our society, all together should invest in further professionalization of educational gerontology. Professionals with ample and profound gerontological knowledge as well as with the ability to evaluate educational gerontology programs properly are badly needed. Once such professionals become commonplace in gerontological education, the organizations which host and/or sponsor such programs can generate profit and invest in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superior quality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future. 노인교육은 노인들로 하여금 빠르게 변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노후를 보내는 데도 큰 도움을 준다. 고령화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러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인 노인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언급 되어지고 있다. 그에 맞춰 노인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개발된 프로그램의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노인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한글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몇 가지의 평가 기준을 근거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기준과 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육내용과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한글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교육 내용에 대한 시험 점수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점수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글교육프로그램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육 목적 및 목표의 타당도와 함께 인적자원과 재정자원으로 나누어서 자원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한글교육의 목표 및 목적은 노인교육의 일반목표인 개인생활목표, 인간관계목표, 경제생활목표, 국가생활목표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한글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삶의 질과 의욕을 증대시켜 성공적인 노후 생활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인적자원과 재정자원의 평가에 있어서는 노인교육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직원의 수가 열악하였고 각 프로그램에 대하여 예산이 책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재정적인 면에 대한 평가에서는 개선점을 필요로 했다. 노인교육프로그램의 여러 가지 측면들, 차원들과 이해관계자(stakeholder)들이 개입되므로 간단한 사전, 사후 검사 이외에 노인교육 프로그램에 다른 효과들이 나타날 수 있고 그것들이 프로그램의 좋은 효과만큼 좋은 결과를 보일 수도 있지만 다른 효과들의 결과와는 달리 대조, 대립되는 결과를 보일 수도 있다. 이렇게 노인교육프로그램을 둘러싸고 있는 다차원적인 평가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평가함으로써 노인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또 그 자료를 통하여 미래 노인들에 대한 교육적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보다 질 높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행복한 여가 생활과 함께 성공적인 노후 생활을 즐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노인교육의 평가가 노인교육이 실버산업의 한 분야로 발전하는데 있어 기저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다차원적인 평가의 초보적인 시도를 했을 뿐이다. 따라서 전반적인 노인교육에 있어서 다차원적인 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계, 기업, 정부 및 민간단체 모두가 협력적으로 노년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노인교육에 맞게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노인교육 전문가의 양성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겠다. 특히 어떠한 기관에서 실시하는 노인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둘러싸여 있는 모든 환경을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평가 기준을 근거로 그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자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평가자의 역할이 이루어질 때 노인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은 기관대로 자체 내에서 수익성을 창출하여 보다 질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노인에게 적합한 노인교육시장에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기르고 더 나아가 노인교육이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해 나가는데 큰 디딤돌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이 읽기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송은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의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해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을 실시하여 유아의 읽기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이 읽기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에 따른 읽기 흥미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집단과 성별에 따른 읽기 흥미도의 영향이 있는가? 이상의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Y시에 소재하는 G초등학교 병설유치원 2학급 중 1학급은 유아 20명(남 10명, 여 10명)을 실험집단 으로 선정하고, 다른 1학급은 유아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의 평균 연령은 만 5.42세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유아의 읽기 흥미도를 검사하기 위해 Askov와 Fichbach(1973)의 Primary Pupil Reading Attitude Inventory를 조승민(2006)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가 여유시간에 하고 싶은 활동의 그림을 선택하게 함으로 읽기에 대한 관심을 측정해 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등장인물(사람, 동물, 사물)들이 의인화되어 있고, 형태, 색이 단순, 간결하게 묘사되어 있는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하였다. 흥미도 활동은 3주에 걸쳐 주4회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같은 활동 주제로 전개 되었다. 활동은 유아 20명을 대집단으로 실시하였으며, 약20분이 소요 되었다. 자료 분석은 실험 후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의 읽기 흥미도 항목 점수를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고,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과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통계프로그램은 SPSS 14.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이 읽기 흥미도에 영향을 주었다.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활동을 하지 않은 비교집단중에서 실험집단이 더 큰 차이를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확인해 본 결과 유의미 하였다. 둘째,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에 따른 읽기 흥미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흥미도 검사에서 남녀집단 모두 사전검사에서 보다 사후검사에서 더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읽기 흥미도는 남녀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집단과 성별에 따른 읽기 흥미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읽기흥미도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만화표지 그림책을 활용한 탐색활동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에게 적용한 구체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최악의 상황에서의 생존지침서: 여행편

        송은옥 제주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graduate thesis is a English to Korean translation of the book, 『The Worst-Case Scenario Survival Handbook: Travel』in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graduation from the Ch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This book, originally published in English, was immensely popular with the backpacking crowd upon its first printing in 2001 and is an expansion of the original title, 『The Worst-Case Scenario Survival Handbook』which came out first. The original book has already been translated into Korean, but this newer title covering all aspects of travel has not yet been translated commercially. It is the hope of the translator that Korean readers will be able to enjoy and learn from the eclectic and sometimes humorous content of this book.

      • 미술치료사의 발달수준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송은옥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의 발달수준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미술치료사로 활동하는 미술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발달수준, 정서인식, 치료적 동맹 간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발달수준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정서에 대한 명확성, 정서에 대한 주의)의 부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발달수준, 치료적 동맹, 정서인식의 변인 간의 관계와 효과를 확인한 선행연구로서 가치와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와의 긍정적인 치료적 동맹을 맺기 위해서는 전문가로서 성장하는데 발달수준과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함을 입증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긍정적인 치료효과를 위해 미술치료사의 성장과 발달이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in the effect of art therapist's developmental level on therapeutic allianc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art therapists working as art therapis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The main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have all emerged among art therapists' developmental level, emotional awareness, and therapeutic alliances. Second, the partial mediated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emotional clarity, attention to emotion)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art therapists' developmental level on therapeutic alliances. This study is valuable as a prior study that confirms the relationship and effectiveness of the developmental level, therapeutic alliance, and emotional awareness of art therapists. Through this, art therapists proved that it is important to clearly recognize and pay attention to their developmental levels and their emotions in growing up as experts to form a positive therapeutic alliance with their clients. Ultimately, it suggests tha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rt therapists are important for positive therapy effects.

      • 김유정의 3인칭소설 연구

        송은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유정은 1935년 「소낙비」가 조선일보에 당선되어 문단에 나와 1937년에 세상을 떴다. 그는 이렇게 짧은 문단 생활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 소설의 전개 과정에서 볼 때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작가이다. 김유정 소설에 대한 연구는 1937년 김문집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하여 최근에 이르기까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김유정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크게 역사주의적인 입장과 형식주의적인 입장으로 양분되어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주의적인 입장이나 형식주의적 방법은 제각기 텍스트를 도외시하거나 텍스트만 고집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텍스트와 콘텍스트를 모두 고려한 다층적이고 역동적인 관점에서 김유정 문학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김유정 문학의 의미를 찾아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서술의 시점 연구라는 방법으로 김유정의 소설 작품을 분석하여 그것을 내용적 측면에서의 현실인식 문제와 결부시키고자 하였다. 시점은 화자의 개념과 더불어 서사양식의 형식적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자질이기 때문에, 시점의 문제를 다루는 것은 서사체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고 시점의 활용이라는 기법을 통해서 한 작가의 문학성은 물론 그 작가적 태도와 가치관까지도 다룰 수 있다. 따라서 시점연구는 역사적이거나 또는 형식적인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으로 치우쳐 왔던 기존의 소설 연구에서 벗어나 두 연구 방법을 아우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시점을 연구한다는 것은 암울했던 1930년대를 유정이 어떻게 형상화했으며 소설을 통해서 어떠한 방법으로 극복해 나갔는가를 고찰해 볼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김유정은 소설에서 3인칭 서술방식을 즐겨 사용했는데 3인칭 소설 중에서 그의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네 작품에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김유정의 3인칭 소설에서 서술자는 스토리에 대해 전지적 권한을 가지거나 그 권한을 임의대로 조절하면서 인물의 과거를 알려주고, 스토리에 대해 평가하거나 일반화하면서 그 모습을 드러내다가 어떤 부분에서는 자신의 모습을 감춘 채 인물들에게 서술권을 넘겨준다. 즉 서술자는 인물의 시점과 서술자의 시점을 적절하게 교차시킴으로서 작가의 현실인식 태도 및 문학관을 나타내는 것이다. 「만무방」에서는 서술자 시점과 인물의 시점이 교차되어 나타나는데 이들은 서로 상반된 진술을 하고 있다. 모범적인 응오의 삶과 만무방적인 응칠이의 삶이 서술자의 시점에 의해 비교되면서 응칠이가 벼도둑임을 암시하지만 응칠이가 벼이삭을 훔친 범인을 찾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는 장면을 인물의 시점(응칠)에 의해 서술되게 하면서 범인이 응칠이가 아님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정보는 계속 지연되어 독자는 혼란에 빠지게 되고 끝 부분에 가서 응오가 범인임이 밝혀지는 부분에서는 충격을 받게 된다. 독자는 착하고 성실한 응오가 자기 논의 벼를 훔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식하게 되고 응오의 삶이 응칠이의 삶과 결코 동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가혹한 식민지 현실은 모든 국민(농민)을 거친 삶을 살게 내몬 것이다. 「소낙비」에서 서술자는 춘호, 춘호처, 이 주사 모두를 시점 대상으로 하여 서술자 시점과 인물의 시점을 골고루 사용하고 있다. 서술자 시점을 통하여 등장인물들의 과거 생활과 현재의 생활을 이야기하고 가난을 이겨내는 방법으로 매음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모순된 현실을 드러내고 있다. 인물시각을 통해서 매음에 대한 인물들의 반응을 드러내는데 그들 모두는 신분과 빈부의 차이에 관계없이 매음을 선택하는 행위에 대하여 무감각하거나 도덕적 책임을 느끼지 않고 있다. 서술자는 인물들의 행위에 대해 침묵하여 그에 대한 판단을 독자에게 맡기고 있다. 독자는 이를 통해 윤리 부재의 인물들을 비판하기보다는 그런 방법을 택해야만 하는 당대의 궁핍한 현실을 확인하고 검정하게 된다. 「산골나그네」에서는 인물의 시각을 통하여 나그네에 대한 정보를 주고 있는데 각 인물들은 나그네에 대하여 주관적으로 판단하므로 정확한 정보가 이야기의 결말까지 지연되고 있다. 특히 덕돌모의 시각으로 나그네에 대하여 서술하는 부분이 많은데, 여기서 덕돌모는 나그네에 대하여 매우 호의적이다. 따라서 처음에는 독자 또한 나그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을 하게 된다. 결말에 가서야 거짓 결혼을 한 나그네의 정체가 폭로되면서 인물들의 기대는 한꺼번에 좌절된다. 또한 독자는 놀라움을 느끼며 나그네와 그녀의 남편이 처한 유랑민의 현실을 생각하게 된다. 「금」에서는 서술자의 시각으로 서술을 진행하다가 점점 인물들의 시점으로 바꾸어 가며 서술을 한다. 처음에는 서술자 시점에서 감독의 시점으로, 다시 덕순이의 시점으로, 덕순이에서 덕순처의 시점으로, 덕순처에서 덕순이 친구의 시점으로 전이한다. 시점 이동이라는 서술 방법을 통해 가난을 탈출하고자 했던 덕순의 절망적인 현실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결말에서 친구의 배반을 암시함으로서 덕순이의 불행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김유정의 소설은 인물의 시점과 서술자의 시점을 교차시키면서 이야기를 서술하는데 서술자는 인물이 도덕적 판단을 내려야 할 부분에서는 내적 독백이나 인물시각적 서술형태로 처리해 버림으로써 인물 스스로가 부정적 현실을 극복해 나가는 방법을 직접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 서술자의 존재는 그만큼 약화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서술자는 등장 인물의 언어로 그들의 가치관을 보여주거나 현실 극복의 의지를 제시할 뿐, 인물의 형편과 행동에 대해서 적극적 논평으로 서술하지 않는다. 「만무방」에서 자기 논의 벼를 자기가 훔쳐 먹는 응오의 행동, 「소낙비」에서 춘호의 매음 사주와 아내의 매음, 「산골나그네」에서 나그네의 거짓결혼, 「금」에서 덕순이의 자해 행위에 대해서 서술자는 침묵하거나 인물의 입장에서 이야기할 뿐이다. 그것은 독자로 하여금 작품 현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현실에 대한 비판적 힘을 발휘하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김유정은 직접적인 현실 비판이 허용되지 않았던 1930년대에, 뛰어난 기법 의식으로써 시점의 교차를 적절히 활용하여 암울했던 당대의 상황과, 그 상황을 극복하고자 했던 인물들을 훌륭하게 형상화시켰다. 이로써 김유정은 당대의 불합리한 현실을 비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현실을 극복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novels writen by Kim, Yu-joeng with the point of view of the description and to connect the realistic realization of the contents with it. The existing study of novels were biased in favor of the historic or formalistic method. Butthe study of the point of view has an advantage in that I can use both of methods together without any bias. It can be clues to examine how to formalize 1930's and how to overcome the reality through the novels by studying the point of view in Kim, Yu-joeng's novels. He usually used the third person's point of view in describing the stories, and I limited only four works among them which expressed his work world very well. The narrator in Kim, Yu-joeng's third person novels has an omniscient and omnipotent power over the whole story or controls the power at his option to tell the characters' past. He estimates or generalizes the stories, and passes the power of description over the characters by revealing himself in some part or hiding himself in other part. The narrator's point of view crosses the character's point of view in 「Manmoobang」 and we can find out a contrary description between them. The narrator's point of view compares Eung-o's model life with Eung-chil's outrageous life, which suggests that eung-chil is a paddy-robber. But we can know Eung-chil is not a paddy-robber in the scene that he gets excited to look for the paddy-robber by describing with characer's point of view(Eung-chi's). Because of this technique the information is delayed, and the readers become confused and shocked with the fact that Eung-o turns out a paddy robber at the last scene. The readers realize the fact that Eung-o, good and faithful, can't help stealing his own paddy and find out Eung-o's life can't be different from Eung-chil's. The severe colonial reality drives Korean peoples(peasants) into the harsh lives. In 「A Sudden Shower」 the narrator thinks Choon-ho, Choon-ho's wife, and Mr.Yi, an optional official as the subjects of the point of view, and uses the narrator's point of view and character's point of view equally. The narrator's point of view tells us the characters' past and current lives, and shows the contradictory reality that they couldn't help choosing the prostitution to get out of the poverty. We can see the characters' response about choosing the prostitution through the characters' visual angle, and they all are apathetic and have no moral responsibility regardless of their status and poverty and wealth. The narraterkeeps silent about the characters' behaviors and entrusts judgements about that to readers. Readers come to confirm and inspect the needy life of those days rather than to criticize the immoral characters. In 「A Traveller In a Secluded Place」 the narrater gives us information about the traveller through the characters' visual angles.Because each character judges the traveller subjectively, the correct information is delayed to the end. Especially we ca find out many parts described by Duk-dol's mother's visual angle. Duk-dol's mother is very generous to the traveller, so at first readers als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traveller. The characters' expectations about the traveller are frustrated at the last scene, where the traveller himself as a matrimonial swindler. Also the readers are surprised and come to think about the nomads' reality that the traveller and her husband confront. 「Gold」 starts with the narrator's visual angle and gradually describes the story by changing it to the characters' visual angles.The narrater's point of view is changed from the supervisor's point of view to Duk-soon's, from Duk-soon's wife's to Duk-soon's friend. Through the descriptive method such as the transfer of the visual angle, Duk-soon's desperate reality is emphasized that she was eager to escape from the poverty. Also at the conclusion the suggestion of her friend's betrayal aggravates Duk-doo's unhappiness .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I can tell that Kim, Yu-joeng made a good use of the cross of the points of view as an outstanding technique sense in 1930's when the direct realistic criticism was notallowed. And he had tried not only to criticize the absurd reality but also to get over the dark situations in those days by formalizing the circumstances in those days and the characters who tried to overcome those severe days successfully.

      • 환경교육 경험이 관광자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송은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of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the tourists' point of views. this study was processed as follow. Firstly, a research hypothesis was developed from an investigation on the stud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ttitude. Secondly, a verification of the study to assess and measur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ttitude and social responsibility was conducted. Third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 Th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among tourists who visited Gyeong-ju city from August 12-August 31, 2006. the valid sample size was 171 people. It was executed using the following for its statistical treatmen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4.0 program, and structural equation using AMOS 4.0.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assumption that the tourists' attitude on the environment may improve according to added education experience was rejected. some of the information acquired thru environmental education was adapted. Second, there was a perceived high level of social sense of responsibility due to improved tourists' attitude on the environment. Third, the perception that environment educ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sense of responsibility was adapted. Fourth, the hypothesized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measured variables related to tourists' environmental attitudes was rejecte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imple and basic educ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ourists' environment behavior. on the other hand, it appeared that while education had a silent positive influence on the tourists' social sense of responsibility, this in turn largely influenced the tourists' environment behavior.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tourists' heightened level of knowledge on the environment help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gram activities in tourist resorts. it further supports the research that education is gained more from practical experience than from traditional or theoretical knowledge. Thus, applied nuts-and-bolts education program becomes applicable not only in our everyday life but in the tourism industry as well.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include the limited number of respondents as a sample size.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measure future researches.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optimal education program in the tourist resort industry will be achieved thru this study.

      • 보건소를 이용하는 재가노인의 낙상두려움 예측요인

        송은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of Fear of Falling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 the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Method: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August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one hundred forty-three older adults over 65 years old were recruited from Seoul and Kyung-gi area,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5.9±6.2 years. A total of 88.8% of Participants reported the Fear of Falling. Fear of Falling b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pouse, Number of chronic diseases, Perceived chronic pain, Falling experience, Exercise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Fear of Fall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evel of exercise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Exercise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Fear of Falling(β=-.31, p<.001). Perceived chronic pain(β=.20, p=.026), Falling experience(β=.15, p<.056) and Living arrangement(β=-.15, p<.056) were also significant predictors. These variables explained 25.8% of the variance in Fear of Falling(F=5.11, p<.001). Conclusi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n Fear of Falling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factors of Exercise, Perceived chronic pain, Falling experience and Living- arrangement in this population.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기반으로 인지저하가 없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의 운동, 운동효능감과 낙상두려움의 관계를 확인하고 낙상두려움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이를 바탕으로 재가노인을 위한 보다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낙상과 낙상두려움예방 간호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 총 4곳의 보건소를 방문하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인지기능 저하가 없는 재가노인 143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8월 10일부터 9월 27일까지 약 1개월 3주 동안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현일선 등(2010)이 개발한 노인의 낙상지식도구, 최명애 등(2010)이 번안한 노인의 신체활동측정도구(K-PASE)중 운동영역, Choi 등(2015)이 번안한 노인의 운동효능감도구(SEE-K), 송경애 등(2001)이 번안한 노인의 낙상두려움도구(SAF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Dunnett’s T3(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5.9세(±6.2세)였고, 여성은 198명(68.5%), 남성은 45명(31.5%)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교육정도는 초등학교 졸업이하가 52명(36.4%)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있는 노인은 80명(55.9%)으로 나타났다. 동거자 수는 1인과 함께 사는 노인이 68명(47.5%)로 가장 많았으며 혼자 사는 노인은 50명(35.0%)으로 나타났다. 유병 만성질환의 수는 1개가 47명(32.9%), 2개는 39명(27.3%)으로 나타났다. 최근 6개월 동안 지속적인 몸의 통증이 있다고 응답한 노인은 90명(62.9%)으로 통증이 없다고 응답한 노인 53명(37.1%)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최근 1년 이내에 낙상경험이 있는 노인은 143명중에서 30명(21.0%)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 정도는 총점 10점 중 평균 9.0점이며, 낙상지식 점수는 최저 15점에서 총점 30점 중 평균 26.3점으로 나타났다. 운동을 하는 노인은 총 143명 중 127명(88.8%)으로 일주일 평균 운동정도의 점수는 21.3점이었으며 운동정도의 범위는 2.2점부터 69.8점으로 나타났다. 운동효능감 점수는 90점 총점 중 평균 53.1점이었으며 낙상두려움 점수는 33점 총점 중 평균 10.2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낙상두려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는 배우자 유무(p=.022), 만성질환 수(p=.015), 통증유무(p<.001), 낙상경험 유무(p=.022), 운동유무(p=.012), 운동효능감 유무(p<.001)로 나타났다. 연령, 성별, 교육정도와 동거자 수에 따른 낙상두려움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낙상두려움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노인의 연령(r=.18, p=.037), 만성질환 수(r=.22, p=.009)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r=-.41, p<.001)과 운동효능감(r=-.27,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는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중 인구학적 변수(연령, 성별, 교육정도, 배우자 유무, 동거자 수), 구조적변수(낙상지식, 낙상경험, 만성질환 수, 통증유무), 지각된 심각성(낙상의 심각성)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통증유무(β=.24, p=.014), 낙상경험(β=.17, p=.043), 만성질환 수(β=.16, p=.0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15.3%로 나타났다(F=3.56, p<.001). 2단계에서는 지각된 유익성(운동과 운동효능감)을 투입한 후 설명력이 10.5% 증가하였다(F=5.11, p<.001). 전체적인 낙상두려움 예측요인은 운동정도(β=-.31, p<.001), 통증유무(β=.20, p=.026), 낙상경험(β=.15, p<.056), 동거자 수(β=-.15, p<.05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체변수의 설명력은 25.8%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5.11, p<.001). 본 연구결과, 운동과 낙상두려움의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운동효능감과 낙상두려움의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낙상두려움 예측요인으로 노인의 운동정도가 가장 중요한 예측인자이며, 그 다음으로는 통증유무, 낙상경험 그리고 동거자 수가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또한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 중 ‘지각된 유익성(운동정도)가 지각된 위협감(낙상두려움)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고 설정한 가설이 지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낙상과 낙상두려움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다학제간 협력을 바탕으로 운동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의 규칙적인 운동과 체계적인 만성질환관리를 통한 통증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