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NG 연료 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연료 저장 탱크 가스 배출 배관 초기 설계 절차 개발

        박지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기 오염 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해 액화 천연 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기술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대형 컨테이너선에 LNG를 추진 연료로 사용하기 위한 추진기 체계 및 연료 공급 계통의 개발과 관련되어 있다. LNG 연료 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개발 초기 단계에 검토해야 할 설계 고려 사항 중 하나인 LNG 연료 저장 탱크의 가스 배출 배관 압력 손실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배관 압력 손실 계산식(Bernoulli’s Equation, Darcy-Weisbach’s Equation, 3K-Method 등)을 활용하여, 압력 저하, 관내 마찰 효과, 관 형상 등을 고려한 천연 가스 배출 배관 압력 손실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방법이 LNG 연료 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연료 저장 탱크 가스 배출 배관 초기 설계 절차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 예제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추정 방법을 이용한 압력 손실 계산 결과를 상용 CFD 프로그램(FloMASTER)을 이용한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한 추정 방법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Technical requirements for ships using liquefied natural gas (LNG) as fuel to reduce air pollutant emissions have been increasing.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ew propulsion and fuel supply system for using LNG as propulsion fuel in ultra-large containership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ressure loss of a gas venting pipe of LNG fuel storage tanks, which is one of the design considerations to be considered at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of LNG fueled ultra-large containerships, is presented. Widely used theoretical equations (e.g. Bernoulli's Equation, Darcy-Weisbach's Equation, 3K-Method) are utilized in this method for estimating the pressure loss of a gas venting pipe considering a pressure drop, a pipe friction effect, and a pipe component shape. An example is provided to illustrate how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in the initial design procedure of the fuel storage tank gas venting pipe of LNG fueled ultra-large containerships.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pressure loss estimation method is compared with pressure loss analysis results of the commercial CFD program (FloMAST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례헌장」에 나타나는 ‘능동적 참여’의 의미와 정신 : 성찬례를 중심으로

        박지순 대전가톨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bout a study on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Eucharis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s 「SACROSANCTUM CONCILIUM」. Since Vatican CouncilⅡ, the Catholic Church have advised to the faithful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Eucharist for each of them is an important commemorator of the Eucharist. Modern catholics, however, live within diverse Religious,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s. Consequently there are a lot of elements challeng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 Eucharist. Due to such factors, many catholics have participated in the Eucharist perfunctorily and formally as if it were just a repetitive rout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propose a method to catholics fo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Eucharist. For this purpose, practical theology is applied as a method to study further the Eucharist premise that of「SACROSANCTUM CONCILIUM」 41 “they must be convinced that the pre-eminent manifestation of the Church consists in the full active participation of all God's holy people in these liturgical celebrations, especially in the same eucharist, in a single prayer, at one altar.” In order to participate actively, first of all, Believers should realize the meanings and effects of Eucharist. And they have to be aware of its meaning in their own lives. Thus this thesis have examined the meanings and effects of Eucharist. Next, the elements that disturb active participation of the believer have been examined in each of religious, culture and social part. Based on it, the attitude on how each members of the Liturgy to participate actively has been suggested. As a result, those who read this thesis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Active participation’ and that ‘Active participation’ can be realized by only performing their roles in the Eucharist.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에 부합하는 성찬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은 교회를 구성하는 주체들 개개인의 신앙생활뿐 아니라 교회 전체의 본질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성찬례의 의미와 효과를 살펴보고, 능동적인 참여를 방해하는 요소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신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위해 교회, 특히 교구 본당의 구성원들이 지녀야할 ‘내적 자세’와 ‘실천적 역할’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전례헌장」 41항 “성찬례에서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 전체가 충만하게 능동적으로 참여할 때 교회의 탁월한 현현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신하여야 한다.”를 전제로 한다.

      • 도시 초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노작교육에 관한 연구

        박지순 서울교육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도시 초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노작교육의 운영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노작교육사상을 통해 볼 때 노작교육은 주지주의 교육의 보완으로서 '의미 있는 학습의 전개'와 주지주의 교육의 대안으로서 '삶의 다양한 측면의 통합'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노작교육은 능동적인 작업을 통하여 각 교과 내용을 학생들의 구체적인 경험과 관련시켜 줌으로써, 각 교과에서 추구하는 이해와 안목의 형성에 기여한다. 즉 노작교육은 삶의 경험을 특정한 관점에서 구조화한 각 교과 내용을 통합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 노작교육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도시에서 효과적인 운영 지도 자료와 정보를 얻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자료의 수집은 배부된 설문지는 400부에서 회수된 것이 327부로 회수율은 82%이다. 회수된 327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자료의 처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 사용된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교사의 특성에 따른 인식차이를 살펴보기위해 교차분석(chi-square)을 활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95%의 신뢰구간에서의 검증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정규교육과정과 관련한 노작교육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 가. 정규교과와 관련한 노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잘 알고 있다 (52.9%)로 노작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나. 노작교육에 대해 인식이 낮은 이유로 교과 내용과 관련한 노작교육내용파악 부족 (37.5%) 노작교육에 관한 지식 부족 (27.9%)로 실제 수업에 적용상의 문제로 구체적인 지도 자료 및 노작교육에 관한 연수 그리고 노작교육의 정확한 의미 파악이 우선 되야 한다. 다. 노작교육의 수업활용도 높다 (15.0%) 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수업 활용은 잘 되고 있었다. 학생의 주체적인 활동인 노작교육은 교사의 여건과는 달리 활용도가 높았다. 라. 노작교육의 수업활용도가 높은 이유는 학생들이 실습시간을 좋아하기 때문에(51.1%) 학생들의 흥미와 요구에 적합한 활동이 노작교육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 노작교육의 수업활용도가 낮은 이유로 학습자료 및 내용이 미흡하기 때문(72.5%)로 학생의 흥미와 요구 교사의 필요가 높더라고 제반 여건이 충분하지 않을 때 노작교육을 실시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바른 노작교육의 의미 정립과 구제적인 투입자료와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바. 노작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전인적인 인간교육 (52.6%),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15.0%), 교과의 바른 이해 (7.3%)로 일반적인 교육의 목표와 방법과 일치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수업에 적합한 활동임을 할 수 있다. 사. 정규교과와 관련한 노작교육지도시 문제점으로 실습실의 부재 (46.6%), 실습기자재의 부족(27.7%)로 나타났다. 교육현실을 외면한 급격한 정보화사회로의 전환시 발생한 문제점으로 실과실의 컴퓨터실화, 부족한 재정적 지원으로 방치한 교재원의 운영 부족한 식물 식재, 노작실습의 시간 부족을 들 수 있다. 아. 정규교과와 관련한 노작교육시 개선점으로 학습자료 개발(41.6%), 학습공간 확보(28.2%), 학습량과 시간을 늘인다(7.1%), 교사의 지속적인 연수의 필요(5.0%)로 나타났다. 실과교과와 관련한 노작교육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의 결론은 가. 실과교과와 관련한 노작교육지도에 대한 관심은 (52.1%)로 높았다. 나. 실과영역 중 노작활동이 필요한 영역으로 식물재배 (47.1%)로 도시에서는 자연을 접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자연과 접할 기회를 제공해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식물을 직접 가꾸게 함으로써 생명의 소중함, 자연의 소중함을 알게 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길러주기 위해 식물에 대한 학습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식물을 가꾸는 노작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학습 태도를 길러 주고, 생생하게 살아있는 교육을 할 수 있다. 다. 교재원의 운영에 대한 찬성은 59.5%로 높았다. 라. 교재원의 운영에 대한 찬성이유로 실제 체험교육은 학습의 효과가 높기 때문(59.5%) 교재원에서 직접적인 활동을 통한 식물 학습의 효과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인정하고 실과시간을 통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도시 초등학교에서의 교재원이 필요한 이유 학습장소로 활용(37.8%) 교재원의 학습적 효과에 대해 교사는 긍정적인 입장이며 학습장소로 활용 가능한 교재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사. 실과교과와 관련한 노작교육지도에서 느끼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교과목 시간 부족 (35.3%)로 가장 많이 답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도 실과 시간을 5·6학년에 평균 주당 2시간씩 배정하여 집중적인 노작 체험을 통한 교육을 하도록 배려했으며, 더 필요한 경우 재량활동 시간을 융통성 있게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불충분한 교재원의 학습 공간(28.6%), 교재원의 관리 능력 부족(23.9%) 실과 수업 시간을 통해 교재원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되, 학년별·학급별로 관리 영역을 설정하고,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하며, 학생들의 관리 태도 등을 수행평가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아. 실과교과와 관련한 노작교육지도에서 개선해야 될 점으로 학교의 재정적 지원 (33.6%), 충분한 부지 (학습공간) 확보 (31.2%), 교사의 지속적인 연수 (13.8%)로 나타났다. 교사의 시간적 여유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전문관리인을 두고 그것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학교의 불충분한 면적 등의 문제로 교재원 설치 및 학습공간 확보가 어려울 경우에는 화분재배를 통해서라도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식물을 접하게 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이런 모든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충분한 능력이 필수적이므로, 교사들을 위한 특별 연수 기회가 마련되는 등 교사의 교재원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제언 가. 전 과목을 통해서 노작교육이 다루어지고 있지만, 학생의 노작활동 등 직접 체험이 가능한 실과 교과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부족한 시간확보를 재량활동, 가정체험 학습, 괴제학습으로 융통성을 부여하기 전에 법제적으로 충분한 시간 확보가 필요하다. 나. 노작교육 모든 활동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설과 공간, 학교의 재정적 지원, 교사의 능력이 요구된다. 교사의 충분한 능력이 필수적이므로, 교사들을 위한 특별 연수 기회가 마련되는 등 교사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모든 노작활동을 학교에서 실시하기에는 불가능하므로 관련 시설, 즉 식물원, 농장, 목장 등과의 협력체제를 구성하여 가능한 많은 학생이 직접 접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적 체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라. 성공적인 노작교육은 교육의 주체인 교사, 학생의 흥미와 관심이 높고 실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실과교과의 위상 정립과 제자리 찾기가 무엇보다 우선시 되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se th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n the effective learning to labor and elementary teachers' needs of the learning to labor, to grope for the effective learning to labor in elementary scho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 (1) Learning used teaching aids plant has not been executed through all texts on curriculum but through practical arts and science. (2)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t secure enough time and space, have an ability for effective learning to labor. (3)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must assist the creation of teaching materials-resources, the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teaching plants-aids. The survey was done on 400 currently work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8 schools. 327 questionnaires were acceptable to use allowing to be analyzed by using the SPSS/PC+ 8.0 statistics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1. About the learning to labor through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1) From the surveyers 52.9% thought the learning to labor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as important. 2) About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to labor class was high (15.0%). 3) The reasons of the teachers' high participation in learning to labor classes were the most reason of children's high participation was exercising classes(51.1%). 4) The learning to labor was necessary in order to learn the whole education(52.6%). 5) The problems in teaching learning to labor were schools empty of training classroom(13.5%), the lack of exercising equipments(40.4%), the shortage of time(17.4%). 6) What would be improved in learning to labor education were materials and equipment(47.1%), the training classroom(14.7%). 7) Learning to labor was educated through practical arts education (79.2%), science (4.9%). In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education. 2. About the learning to labor through Practical Arts Education. 1) Most of the teachers had interests in learning to labor through practical arts education (21.2%). 2) 68.8% of the teachers agreed to manage of teaching materials resources in elementary school. 3) Learning to labor was educated through plants cultivated (56.3%). 4) The problems in teaching learning to labor through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the shortage of time (25.1%).

      • 기산풍속도의 기록학적 가치와 의의

        박지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Genre Paintings by Gisan Kim Jun-geun from a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The thesis research subject is confined to 10 Collections of domestic and overseas paintings which sum up to 1,094.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authenticity of Kim Jun-geun’s painting. Earlier studies about Genre Paintings by Gisan said the contents and the form of the paintings are not fixed. In terms of Archival science, it can be seen as har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or and the records. To find out paintings are created by Kim Jun-geun and each paintings are authentic records, on the basis of authenticity from the World Document Heritage Register Standard, the thesis focused on collection and archiving status, background of the creator Kim Jun-geun, pictorial and stylistic feature, production background and method of the paintings. As mentioned above, the features and forms of the paintings demonstrates they are not consistent. However, looking through the contents and seal, which tells the name of Kim Jun-geun, it can be said that the creator of these Genre Paintings is Kim Jun-geun. Moreover, due to paper records characteristics, the authenticity of the paintings are well kept in the same condition at the time of production and preserved in the museums archives. The second chapter points out the evidential value of the punishment paintings created by Gisan. The evidential value is not stated cleary in the World Document Heritage Register Standard, but the “Originality and Irreplaceability” standard explains how the contents and the style of the records presents reliability. Since the paintings are drawn by subjective perspective of Kim Jun-geun’s view, they can not secure the reliability. By comparing photo postcards, produced during modern period of Joseon, this thesis aims to figure out the evidence of the past people in Joseon is demonstrated realistic in the paintings. Among many punishments pictures, main objects are 태장형(笞杖刑), 주리형(周牢刑) paintings that are not much shown on literature records. As the result, most of the paintings reflect the photo postcard and even they show habitual actions of an executor. The last part of third Chapter reveals the informational value of the folk game paintings. Since folk games are passed down to people, they show trend of the past times. In addition, Gisan recorded not just games of adult male but also of adult female and children that the paintings can be seen as valuable in terms of historical importance based on “International Importance” by the World Document Heritage Register Standard. However these folk game paintings may not match the contents of 세시기(歲時記), which tells the life of people in Joseon dyansty. Therefore, the thesis aims to compare the contents of 세시기 and the folk game paintings by targeting the representative Joseon folk games, Kite flying(연날리기) and Swinging(그네뛰기) games. According to the folk game paintings drawn by Gisan, the contents of the 세시기 are not followed by the paintings. Still, the drawings tells the information thath literature records can not give and this makes the Genre paintings by Gisan meaningful records. 본고는 기산 김준근(金俊根)이 그린 『기산풍속도(箕山風俗圖)』 1094점을 대상으로 소장 현황 및 기록학적 특성을 살피고 기록가치와 의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체 5장으로 구성하는데 1장 서론에서는 기산풍속도라는 조선시대 생활사의 연구 자료이자 기록물로서 가치가 있음을 언급하고 미술작품이 기록물로서 다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2장에서는 세계기록유산의 등재기준인 진본성을 토대로 기산풍속도가 내용물이 진본이고 김준근이 생산한 기록물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2장 1절은 기산풍속도의 소장 현황으로 수량과 아카이빙 현황, 소장 경위에 대해서 파악한다. 2장 2절에서는 기산풍속도의 내용 기술로 크게 생산자 김준근의 배경, 기산풍속도의 회화적, 양식적 특징으로 나누어 살피고 2장 3절에서는 작품의 생산 배경과 생산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기산풍속도는 국내외 10개국에 1094점이 소장되어 있는데 국내보다 해외의 소장 비율이 더 높고 대부분의 기산풍속도들은 구매 혹은 기증을 통해 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생산자인 김준근은 그의 작품 및 외국인들의 기록을 토대로 1880년대 후반부터 1890년대 말까지 부산, 원산, 인천과 같은 개항장들을 중심으로 활동한 중인 출신의 기독교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개항에 따른 서구인의 방문과 조선 풍속화의 성격의 변화에 따라 기산풍속도가 생산되었는데 특징이 일괄되지 않은 면을 볼 수 있었다. 기산풍속도는 1,094점에 달하기 때문에 2인 이상의 공동으로 생산했다고 여겨지는데 이러한 배경으로는 기산풍속도가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둔 수출화라는 점을 들 수 있다. 3장과 4장에서는 기산풍속도의 기록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그 평가기준으로 증거성과 정보성을 삼았다. 전체 수량 1094점 중에서 형벌 관련 그림들은 증거성과, 놀이 그림들은 정보성과 관련하여 기록물로서 지니는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3장에서는 문헌기록이나 풍속화에 잘 나타나지 않는 형벌과 관련된 그림들을 통해 기산풍속도가 과연 사람들의 흔적이 담긴 증거물로서 신뢰할 만한지를 판단할 것이다. 먼저 3장 1절에서는 증거성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한다. 3장 2절에서 형벌들 중 태장형(笞杖刑)과 주리형(周牢刑) 그림들의 수량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3장 3절에서 형벌 그림들과 일제 강점기의 사진엽서들과 비교하였다. 형벌의 경우 외국인들의 기록과 사진엽서에 나타난 모양을 사실적으로 그려졌는데 심지어 집행관의 습관적 행동까지 반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김준근의 그림은 다양한 형벌의 내용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그렸음을 알 수 있다. 놀이의 경우 과거에서부터 전승 되던 놀이 양상을 잘 반영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보성에 초점을 맞추어 볼 것이다. 4장 1절은 3장 1절과 마찬가지로 정보성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후 4장 2절에서는 놀이 그림들 중 연날리기와 그네뛰기 그림의 수량을 파악하고 4장 3절에서는 조선 후기의 『경도잡지(京都雜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해동죽지(海東竹枝)』의 세시기(歲時記) 내용과 놀이 그림들의 내용과 비교하였다. 놀이의 경우 기산 김준근은 세시기에 따라 그림을 그린 것은 아니고 외국인들에게 풍속을 이해시킬 목적으로 일반화된 모습을 담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기록학적인 의의로는 기산풍속도는 시각적인 기록물이자 민속기록물로써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람들의 활동의 흔적이 그림으로 기록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한계점으로는 풍속화가 풍속 단면만을 재현한 것이고 화가의 주관적인 관점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한 면을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풍속을 망라한 기산풍속도는 민속기록물로서 더 연구될 가치가 있다고 보인다.

      • 금융 시스템 리스크의 이해와 그 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박지순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experiential studies that deal with the cause and background of financial crisis, and define finance system risk were surveyed. Furthermore, the importance and way of managing financial system risk was also studied.The study showed that the fluctuation of real busin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financial crisis by the survey of the experiential studies dealing with the cause and background of financial crisis that occurr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Republic of Korea recently. Moreover, the theoretical basis was presented through the Finance Instability Hypothesis asserted by Minsky, i.e., which is told that, due to the uncertainty of investment, the finance is so unstable that its risk management is required. By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luctuation of real business and the evaluation of the financial system risk, this study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at financial system and presented the way to do it. 본 논문에서는 금융 위기의 원인 및 배경과 이와 관련된 개념인 금융시스템 리스크를 다룬 경험 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이러한 시스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과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최근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이 경험한 금융 위기의 원인 및 배경을 다룬 경험 연구들을 통해 실물 경기의 변동과 금융 위기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금융이 투자의 불확실성에 기초하여 근본적으로 불안정하므로 이와 관련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민스키의 금융 불안정 가설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물 경기의 변동과 금융 시스템 리스크의 측정 및 평가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금융 시스템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과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재활심리사의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직무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박지순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재활심리사들이 개인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며 궁극적으로 재활심리사가 자신의 직무에 대해 더 큰 보람과 만족을 느끼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을 증진시켜야 할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재활심리학회에서 발급하는 제 2급 재활심리사 자격증을 획득한 사람들로서, 전국의 장애인 복지관, 전문상담기관, 병원 내 상담실, 장애전담 어린이집, 재활원 등에 근무하고 있는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10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09년 5월 1일 E-mail을 통해 1차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율이 저조하여 5월 8일 2차로 설문지를 재 배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심리사는 다양한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현재 개인의 직무에 대해 개인적으로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연령, 근무기간, 급여가 직무스트레스,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활심리사의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조직몰입과 매우 밀접한 상관을 가지며, 직무만족도와는 ∩형태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 직무만족도 모두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재활심리사의 임파워먼트가 높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지더라도 그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크게 하락하지 않았지만 임파워먼트가 낮을 경우에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짐에 따라서 직무만족도가 크게 하락하는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stress,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habilitation psychologist, and investigate that which factors could be facilitated to improve rehabilitation psychologis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was 239 of Rehabilitation Psychologist(2nd grade) who registered at Korea Association for Rehabilitation Psychology. 1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study conducted at May 1st and May 8th,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arious demographical factors has an effects on rehabilitation psychologist's job stress,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it appeared that age, work period and wage has a strong effects. Second, thes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has a ∩ typ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ird, it showed that there is interaction between job stress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such as if empowerment could be maintained highly, then job satisfaction also could be maintained highly even job stress was reduced.

      • 청소년기에 약물남용을 경험한 약물남용자 사례연구

        박지순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한국의 약물남용 문제의 심각성 속에서 특히 뇌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약물을 접하게 되는 청소년의 약물남용의 폐해는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청소년의 약물남용의 폐해의 심각성에서 한국 사회의 미래인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대한 예방 및 보호의 문제는 한국 사회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약물의 위해성을 중심으로 약물의 종류와 특성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신체적 특성 및 발달 과업상의 사회 심리적 특성을 살펴보고, 청소년기에 약물남용을 하게 되는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과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따른 영향 및 유형적 특성을 살펴보고, 청소년 약물남용의 심리적 욕구로서의 매슬로우의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청소년기에 약물을 경험한 연구대상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약물남용 청소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제적인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시기에 약물남용을 경험한 10명의 연구대상자들에게 CQR(Consensual Quality Research) 질적 연구방법론을 실시하였고, 그 연구 방법에 따라 청소년기에 약물남용을 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약물남용의 문제는 사회에서 1차적 사회화 기능을 담당하는 가정이 위기를 맞이하여 청소년에게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2차적 사회화 담당 기관인 학교가 그러한 가정에서 양육의 부재를 겪은 청소년들에게 일괄적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교육 과정에서 또한 소외를 느낀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이라는 발달 과업상의 대안으로 선택한 것이 약물남용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사회는 그들 청소년에게 약물이 아닌 다른 긍정적이고 건전한 사회화 과정을 선택하고 실현시켜 주어서 건전한 사회 시민으로 성장하게 해 줄 의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청소년 시기에 약물남용을 경험한 연구대상자들의 체험을 토대로 하여, 청소년 시기에 약물남용을 하게 된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사회적 요인을 분석하여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청소년, 약물, 약물남용, 약물남용의 요인, 욕구이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