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동체 의식과 개인적 동기가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명숙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individual motivations on us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KMS). Specifically, we investigates that sense of community as a contingency factor and internal rewards and external rewards as a individual motivation factor have significant impacts on KMS user's system commitment and knowledge sharing. We also attempt to reveal that both user's commitment to KMS and knowledge sharing on KMS influence individual job performance. To start, we reviewed literature on knowledge management and its process and research into the sense of community and individual motivation reflecting on social capital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s among commitment,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w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suggested 9 hypotheses in total.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KMS users from a public institution, collected 341 responses of its employees, and used 24 responses in the final analysis after eliminating 317 responses with insincere data. Before testing the proposed hypotheses, this study perform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using SPSS 12.0. After the completion of such exploratory tests, we tested the proposed model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LISREL 8.52. As a result, we found firstly that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r's commitment to KMS, while it did not influence knowledge sharing of KMS users. However, the sense of commun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rough user's commitment to KMS. Secondly, both external rewards and internal reward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user's commitment to KMS and knowledge sharing,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direct impacts of individual motivations on knowledge sharing, they had an indirec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rough user's commitment to KMS. Especially, the indirect impact of external rewards on knowledge sharing was larger than the direct impact of them on it. Thirdly, user's commitment to KMS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knowledge sharing and job performance. User's commitment to KMS also had an indirect impact on job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sharing, which means that knowledge sharing plays the role of a partial mediation between user's commitment to KMS and job performance. Finally, job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knowledge sharing. From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had sever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as inspiring the sense of community of employees impacts their commitment to KMS, which leads to their knowledge sharing, managers should focus on building organizational culture for improving such the sense of community as employees' membership and emotional connection. Secondly, motivational factors such as external or internal rewards are effective in developing commitment to KMS and knowledge sharing, which means that managers should deploy new incentive systems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ensure fairness of rewards to motivate their employees to share knowledge through KMS Finally, as knowledge sharing through KMS leads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job performance, managers should develop strategy to increase the usage of KMS by their employees. The results, however, have to be carefully interpreted due to some limitations which this study has, and are needed the following researches to resolve them. Firstly, this study has a disadvantage to apply our results to general use of KMS in organizations because we collected the data from one institution, Korea Post in charge of postal services and financial services by post offices. Secondly, the study has not included other important variables such as trust, openness of communication, which may improve the explanatory power on user's commitment to KMS and knowledge sharing. Thirdly, the items to measure the sense of community are not the absolute instruments. This study measured it with limited items focusing on emotional aspects such as membership and emotional connection. However, the above shortcomings may stimulate others to perform further empirical studies in the knowledge management related area.

      • 한국 문인화의 현대적 고찰

        박명숙 동방대학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인화(文人畵)는 동양의 고유한 회화예술이자 시(詩)ㆍ서(書)ㆍ화(畵) 일체(一體)의 종합예술로서 서구의 어느 문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표현 방식과 더불어 정신적 내면세계의 격(格)을 추구하는 고도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인화는 예로부터 문인(文人) 사대부(士大夫) 등 지식계층에 의해 여기(餘技)로서 즐긴 그림이며, 현대에 이르러 전문적인 직업 및 아마추어 화가들에 의해 널리 그려지고 있다. 이처럼 시대나 그리는 주체는 바뀌었어도 일맥상통하는 문인화의 진정한 개념은 각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인품과 학식을 갖춘 작가가 어떠한 화풍이나 소재, 기교에 구애받지 않으며, 외적인 형사(形似) 즉 객관적인 사실묘사를 떠나 작가 내면의 정신성에 더 큰 비중을 두고, 흉중(胸中)의 일기(逸氣)를 사의(寫意)적으로 격조(格調)있게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문인화는 중국으로부터 처음 전래되었으며, 고려시대에 와서 유학자(儒學者)들에게 수용되어 화원(畵員)이나 왕공(王公), 사대부(士大夫), 승려(僧侶)등에 의해서 소극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이르러 문인화가들에 의해 중국의 화풍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발전하게 되었다. 조선 말기에 김정희(金正喜, 1786~1856)와 그를 추종하는 그의 일파(一派)들 즉 조희룡(趙熙龍, 1789~1866), 김수철(金秀哲, ?), 허유(許維, 1809~1892), 유숙(劉淑, 1827~1873) 등에 의해 본격적인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이들의 화풍(畵風)은 당시 화단(畵壇)을 완전히 지배하였고, 사의(寫意)를 존중하는 문인화를 크게 발전시켰다. 그러나 문인화를 발전시키고 주도해 나갈 문인사대부들은 회화에 대한 천기사상(賤技思想)이라는 사회적 고정관념 때문에 의식적으로 그림의 제작과 화론(畵論)을 회피하였고, 이로 인하여 문인화는 회화상의 형식화를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조선후기부터 활발하게 유입되었던 중국제 화보류(畵譜類)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감에 따라 더욱 가증된 듯하다. 특히 중국의 역대화법(歷代畵法)에서 받아 그릴 것을 지나치게 강조했던 김정희의 주장이 화단의 중국화(中國化)를 더욱 조장했으며, 그로인해 문인화의 발전은 한계에 봉착(逢着)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근ㆍ현대의 역사적ㆍ사회적ㆍ문화적 격동기를 거치면서 많은 문인화가들에 의해 한국의 현실에 맞는 자주성을 갖는 예술로서의 문인화를 창출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해 왔으나, 그 소재와 기법면에서 정형화ㆍ양식화되고 있어, 현대의 다양한 미술 영역의 흐름 속에서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표류하는 문인화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에 현대 문인화는 세계화 시대에 걸맞게 서구적 미학과 그 양식을 폭넓게 수용하면서 여기(餘技)로 하는 소극적인 회화관(繪畵觀)을 버리고, 새로운 안목과 시대적 작가 정신을 가지고 독립된 회화로서 양식적인 실험을 보다 대담하게 추진하는 적극적인 의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되어 진다. 이때 비로소 전통 문인화 정신의 현대적 변용을 통해서 현대 문인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그 구체적인 방법적 제시로 첫째, 소재(素材)의 다양성으로 현대인의 의식과 정서를 반영하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살아 숨 쉬는 일상적 소재와 현시대의 이슈 등 소재의 범위를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추상성의 확대이다. 청신(淸新)한 정신성과 조형적인 간결성, 그리고 구체적인 형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문인화의 특징을 서구적인 조형 개념에 대입시키는 작업을 시도하고, 또한 이를 현대적 추상 언어와 접목했을 때 새로운 조형성의 창출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셋째, 묵(墨)ㆍ채(彩)의 현대적 표현방법 및 다양한 실험도구를 통한 실험작업의 연구이다. 묵ㆍ채는 먼저 민족전통예술의 경험과 특징을 바탕으로 현대적 미감에 맞는 색채에 관한 많은 연구와 경험의 결과를 더하고, 실험적 도구 및 재료를 통하여 서구의 경험도 수용하며 더욱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현대적 소재들에 맞는 화제(畵題) 즉 한글 화제의 적극적인 수용이다. 국민 대다수가 한글세대인 것을 감안 할 때, 이는 문인화의 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한글 화제 및 낙관의 조형성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화면의 중요한 조형요소로서 자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방법적 제시는 작가 자신의 깊은 인격적 수양과 더불어 다양한 이론과 문화에 대한 다각적인 시각과 관심, 성찰의 바탕아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현대 문인화가는 과거와 현재를 또한 세계를 조망함으로써 넓고 먼 시야를 가지며 깊은 사색(思索)과 연구, 도덕적 품격(品格)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현대 문인화는 한국의 전통 문인화 정신에 근거를 두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정신성과 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문인화의 현대적 변혁(變革)이 이루어진다면, 현대 미술로서의 가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동양이라는 범주를 벗어나 세계미술 속에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As Oriental proper painting art and general art integrating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with one another, a literary painting can be said to be the high art which pursues spiritual inner world together with a peculiar method of expression that cannot be found in any Western culture. The painting was taken up as a hobby by the educated class such as the gentry of literary men from ancient times, and widely by professional painters in modern times. Despite changed ages or painting subjects like that, it has the consistent true concept that an artist with character and learning based on a high level of ideas should be unlimited to any brushwork, material or technique, attach more importance to the spirituality internal to him or her rather than to external similar forms, and not only depict the external shapes of things objectively and realistically but express in a high-toned way the outstanding spirit in his or her heart. For Korean literary painting, it was introduced from China. In the Goryo Age it was accepted by Confucians and negatively developed by painters, men of high standing, men of noble birth or monks. In the Josun Era, the literary painters who positively accepted Chinese brushwork began to develop it. At the end of the era, it was at the height of its prosperity by Junghee Gim(1786~1856) and his school following him that consisted of Heeryong Jo(1789~1866), Suchul Gim(?), Yu Huh(1809~1892) and Suk Yu(1827~1873). Their painting styles completely dominated the painting circles at that time and greatly developed the literary painting of respecting the expression of an artist's inner world as well as the external shapes of things. However, it resulted in promoting the formalization of painting in the situation that the classical scholars to develop and lead a literary painting quailed. The tendency seems to have increased as people relied more on kinds of Chinese-made picture albums that had actively flowed in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Josun Era on. Also, the social fixed idea that painting was humble talent made the gentry of literary men avoid consciously the production and theory of painting. In particular, Junghee Gim's assertion that an artist should paint imitating Chinese painting techniques in successive generations further promoted the Sinicization of the painting circles, which retarded the development of a literary painting. Through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turbulent tim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many literary painters made repeated studies and experiments on literary painting as art with independence fit for Korean reality. But material and technique standardized and stylized caused the painting to drift about not establishing itself in the flow of various domains of art in modern times. I think, hereupon, that it is time for contemporary literary painting to require the positive conversion of consciousness by broadly accepting Western aesthetics and its styles keeping abreast of the Globalized Age from the negative view of the painting as a hobby to a bolder style experiment on it as independent painting with a new eye and an artist's spirit of the times. I see that a literary painting cannot be transformed and developed modernistically until that time. The concrete methods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express it in a modernistic plastic language with various materials ranging from daily materials breathing naturally in the lives of modern people reflecting their consciousness and sentiment to the issues in the present age. The second is to expand abstraction. I try to substitute for the Western concept of plasticity its features relatively free from fresh spirituality, plastic briefness and concrete forms and can create new plasticity when grafting it into a modernistic abstract language. The third is to study on methods of expressing Chinese ink and colors modernistically such as the changes in shades of proper colors, the contrast of colors and colors, the combination of colors and Chinese ink, the misappropriation of lines in Chinese ink and colored lines and the use of pigment as special effect. Chinese ink and colors will have to be developed further by accepting the results from many studies and experiences on the colors fit for a modern aesthetic sense first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features of ethnic traditional art and, if necessary, even the experiences in the West. The fourth is to positively accept the title of painting suitable to various modern materials, that is, Hangul title. Considering that a majority of Korean people constitute Hangul(korean's Letters) generations,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basis of a literary painting. Besides, one will have to enable Hangul to establish itself as an important plastic element of a picture by researching and developing its plasticity. On the one hand, the above methods will have to be presented based on an artist's own deep character building as well as on his or her multilateral perspectives for, interest in and reflection on various theories and cultures. In other words, a contemporary literary painter should have a broad, distant view by looking out upon the past and the present as well as the world, make a deep study given to speculation and have moral dignity. Also, if it is modernistically transformed on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pirituality and philosophy fit for a new age based on the roots of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contemporary literary painting will be able to acquire the value as contemporary art, and further establish itself in world art getting out of the category of the East.

      • 서울지역 고용주의 정신지체인 현장직업교육과 고용에 대한 인식 연구

        박명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직업을 가짐으로써 성인기의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장애학생들은 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가정이나 시설로 돌아가 의존적이고 고립된 생활을 하고 있다(김진호, 2002). 이것은 장애인의 직업교육이 효율적이지 못함을 반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지구조로 인해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는 정신지체인의 효율적인 직업교육으로 현재 주장되고 있는 지역사회중심의 현장직업교육을 위한 발판을 제공하기 위해 고용주들의 현장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현장직업교육이 고용과 연결되기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기 위하여 고용주의 정신지체인 고용에 대한 인식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작성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고, 제조업, 도/소매업, 숙박/ 음식업, 기타 공공/개인서비스업의 업종에 따라 분류한 서울시의 고용주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의 회수율은 24.6%(197부)이었다. 결과분석은 빈도, %,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사후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용주들은 현장직업교육에서 정신지체 장애학생에게 가르칠 필요성이 가장 큰 사항으로서 작업관련 기술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감독관과의 관계, 작업의 질, 동료와의 관계, 일반적인 작업습관 등에 중요성을 두었다. 숙박/음식업과 기타공공/개인서비스업의 경우 제조업과 도/소매업보다 현장직업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2. 고용주들은 정신지체인 고용에 대한 인식에서 작업기술과 태도 영역에서보다는 비용영역에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변인인 업종에 따라서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숙박/음식업과 기타공공/개인서비업보다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고용주의 사업규모나 장애인 고용관련 지원제도 인지여부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고용주의 개인변인인 학력, 장애인 가족·친지 유무에 따라서는 고용주의 정신지체인 고용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없었으나 장애인 고용 유무에 따라서는 장애인을 고용하고 있는 경우가 오히려 작업기술과 고용주태도 영역에서 더욱 비우호적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고용주들은 정신지체인의 현장직업 교육에서 작업관련기술 교육을 가장 중시하고 있고 이는 고용주들이 정신지체인 고용에서 비용과 생산성을 염려하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장직업 교육을 통하여 장애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 지원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장애인 고용주 지원제도 인지여부가 정신지체인 고용에 대한 고용주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정신지체인의 고용제고를 위해서 현장직업 교육을 통한 생산성 향상 노력과 함께 정신지체인에 대한 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Job provides a base for an independent life. However, without proper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e most of graduates with disabilities return to home or facilities to live a dependent and isolated life.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employers' perception on on-the-job vocational education with an intention to provide a blue print to establish a community-based vocational education. I further investigated employers'perception on employing mentally retarded individuals to find issues in connecting on-the-job vocational education with employment. My study uses a questionnaire based on a former study. Those surveyed in this study are employers whose businesses are located in Seoul. Surveyed employer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industries. Four groups are manufacturing, wholesale/retail sales, hotel/restaurants, and public/private services. The response rate of the questionnaire was twenty five percent. The surveyed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s or one way ANOVA. Scheffe post hoc test was subsequently performed. Results 1. Task related skills are the most important employability skills that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hould be taught. Other important skills to be taught wer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quality of work, relationship with peers, and general work habits. Employers in hotel/restaurants and public/private services industries recognize the necessity of on-the-job training more than those in manufacturing and wholesale/retail sales industries. 2. In hiring the mentally retarded, employers are more concerned about costs rather than skill or attitude. In the area of attitude, employers in manufacturing and wholesale/retail industries are more favorable to employ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than those in hotel/restaurants and public/private service industrie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 or two groups classified by awareness of legal suppor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hiring the disabled between the employers with and without disabled friends or family members. Employers' education level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toward hiring the mentally retarded. In the area of work skill and attitude, employers with disabled employees were less favorable toward hiring the mentally retard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mployers attach great importance to task related skills in vocational education because task related skills are closely related to costs and productivity. Therefore, a governmental support system for on-the-job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guided toward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mentally retarded. Considering the fact that employers' awareness of legal support system did not affect employers' perception in hiring the mentally retarded, public perception toward the mentally retarded should also be changed.

      • 기억을 통한 자아성찰에 관한 연구 : 본인작품 중심으로

        박명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work of the author who tried to recall her past memory of the accumulation of her life and experience and through it to comprehend and thought about her past life. It sought to show in the form of art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of her past that have great effects on her present life. The memory digested into the author’s work are the traces of her life or deposits of her personal past experience. The time carved into the memory does not vanish. Henri Bergson’s view on ‘time as duration’ shows an insight that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coexist among themselves. He argued that the past is not a thing gone by, but a thing that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cessantly influencing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that even though a burden on the present life, it is a force that works on our life in a positive and creative manner. Viewing Bergson’s memory in connection with the work of the author, her memory collecting work can be said to be an effort to live a more active present life and to use the past in the present more wisely by reinvestigating the memory that fetters her present life. John Dewey said that an artist does not avoid the resistance and tension resulting from his/her experience, but rather nurtures them because of his/her desire for an empirical situation where a certain combination is made. He also said that our real world, though an early experience of the past, can become an aesthetic outcome. This description by Dewey allowed the author’s insignificant experiences to become an aesthetic outcome, and it could be recognized that need and desire as an artist enabled her to reveal them in the form of the art even though they were not particular experiences. The author’s work was aimed at collecting and reconstructing in the forms of fragments of pottery the pieces of her life existing as memory and experience. Similarity and difference manifested themselve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with the author’s work the plate paintings by Louise Bourgeois and Julian Schnabel who previously created such work.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act that Bourgeois’ work showed his scar of the past turning into ‘forgiving and reconciliating’ after being expressed as wrath and hatred, while the author’s signified an emotional transformation from ‘understanding and embracing’ to ‘reconciliating.’ Meanwhile, the similarity was identified when it was revealed that efforts were made to heal his scar of the past through the art and that the author’s main object of the healing was the memory of her father. In addition, the similarity was fou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uthor’s work with the work of Schnabel in the way that they both revealed what they intended with the fragments as an instrument, and that they highlighted sharpness of the fragments and overlapped them. Howev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act that Schnabel, by means of the direct fragments, tried to passionately express the emotion in which historic and personal elements were entangled with each other, while the author sought to reveal and embrace her personal experiences with the shapes of the described fragments as an instrument. Through this study, a theoretical clarification was made of the author’s work based on her personal memory and experiences, and her work was found to have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previous works. Based on this study, we seek to perform more in-depth work and research. 본 논문은 연구자의 삶과 경험의 축척인 지나간 기억을 불러내어, 그것을 통해 과거의 삶을 통찰하고 사유하고자 했던 연구자의 작업에 관한 연구로서, 현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과거 기억과의 소통을 예술의 형식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에 소환되어온 기억은 삶의 흔적들이기도 하고, 연구자 개인의 과거 경험의 퇴적물이기도 하다. 그 기억에 각인된 시간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 1859-1841)이 말한 ‘지속으로서의 시간’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서로 공존한다는 통찰을 보여준다. 그는 과거는 단순히 지나가버린 것들이 아니라, 팽창하고 수축하여 현재와 미래에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며, 현재의 삶에 짐이 되는 기억일지라도 그것은 우리의 삶에 긍정적이고 창조적으로 작용하는 힘임을 역설하였다. 베르그손의 기억을 연구자의 작업과 연결지어 볼 때 연구자의 기억 수집 작업은 현재의 삶에 족쇄로 작용되는 기억들을 재탐색하여 보다 적극적인 현재를 살기 위함이고, 과거를 현재에 현명하게 이용함이라고 할 수 있다. 존 듀이(John Dewey,1859-1952)는 예술가는 어떠한 결합이 행해지는 경험적 국면의 갈망 때문에 경험에서 비롯된 저항과 긴장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들을 키운다고 하였다. 또한 우리의 현실세계는 과거의 초기적인 경험일지라도 미적 소산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듀이의 이와 같은 설명을 통해 연구자의 사소한 경험은 미적 산물이 될 수 있는 것이고, 특별한 경험이 아닐지라도 예술가로서의 욕구와 갈망 때문에 그것들을 예술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작업은 기억과 경험으로 존재하는 삶의 조각들을 도자기 파편들의 형태로 수집하여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작업을 선행했던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1911-2010)와 줄리앙 슈나벨(Julian Schnabel, 1951~ )의 플레이트 페인팅(Plate Painting)을 연구자 작업과 비교하고 분석해본 결과 유사점과 차이점이 드러났다. 부르주아의 경우 과거의 상처를 분노와 증오로 표출한 후 용서와 화해의 단계로 접어들었지만 연구자의 작업은 이해하고 수용하는 단계에서 시작되어 화해에 이르렀음이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예술을 통해 상처받은 과거의 경험을 드러내어 치유하고자 했음과, 치유의 주된 대상이 아버지의 기억이었음이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슈나벨의 작품과 비교하여 발견한 유사점은 파편을 도구로 하여 각자가 의도한 바를 드러냈으며 파편의 날카로운 단면들을 부각시키고 파편들을 중첩시켰다는 것이다. 그러나 슈나벨의 경우 직접적인 파편을 수단으로 하여 역사적 요소와 개인적 경험이 얽혀 있는 감정을 격정적으로 표출하고자 하였으나, 연구자 경우 묘사한 파편의 형태들을 도구로 하여 사적인 경험을 드러내어 수용하고자 하였음이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사적인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연구자의 작업에 대해 이론적 규명을 하게 되었으며, 연구자의 작업이 선행작업에 대한 변별성을 갖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앞으로 보다 심도있는 작업과 연구를 하고자 한다.

      • 초등학교 아동의 뜨개질 경험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박명숙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의 뜨개질 경험이 전인발달과 관련이 있음을 밝힘으로서 실과교육 및 뜨개질에 대한 가치인식을 바로 하고, 제 7차 초등실과 교육내용에 포함된 뜨개실 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아동의 뜨개질 경험을 조사하고 뜨개질 경험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2002년 3월~4월에 걸쳐 초등학교 아동의 뜨개질 경험 유무 및 중도포기여부 조사와 다중지능 검사를 대구광역시 소재 2개 초등학교의 5학년 328명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생들의 뜨개질에 대한 경험유무를 조사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조사대상 초등학생의 29.7%가 뜨개질 경험이 있어 비교적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에게 뜨개질 경험이 흥미 있는 활동으로써 제공될만한 근거를 마련해 주는 가치가 있다고 보여진다. 특히 전체 대상의 11.3%가 남학생으로 여학생에 비하여는 낮은 수준이지만 뜨개질에 대한 인식이 남녀의 개념을 벗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뜨개질 경험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성별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뜨개질 경험이 있는 학생들 중 뜨개질을 하다 포기해본 적이 있는 학생이 73.2%로 뜨개질을 하다가 중도에 포기해 본적이 없이 끝까지 완성하는 학생 26.8%에 비하여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경험유무에 따른 다중지능은 모든 하위요인 및 총 지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음악, 신체, 수학, 공간, 언어, 개인 내, 대인간 지능을 포함하는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뜨개질 경험수준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는 음악, 신체, 공간, 언어, 개인 및 총 지능이 중도 포기 여부와 관계없이 경험이 있는 집단이 더 의의 있게 높았다. 또한 수학지능 및 대인지능은 완성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제 7차 초등실과 교육과정 5학년에서 교육되는 뜨개질은 초등학교 5학년 남·여 아동에게 교육되어지는 것이 타당하며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학습경험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clarify the relations of childhood hand-knitting experience to the whole man development and so as to reform the recognition of values of hand-knitting but to provide educational raw materials for hand-knitting which was contained The 7th Elementary School Arts Education, and beside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ultiple intelligence among the children who had the hand-knitting experience or not. To grasp hand-knitting experience whether was done or not, abandoning or accomplishing halfway, total 328 5th-grade children were investigated, who attend at two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during March and April in 2002.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follows. First, the fact that 29.7% of investigated children had hand-knitting experience what was voluntary means the values as interest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rate of male, 11.3%, was even lower than female's but indicated the escape from the sexual concept concerning hand-knitting.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investigating the variation on hand-knitting experience indicates the higher rate. 73.2% abandoning than 26.8% accomplishing, and of the sex distinction show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eviations. Third, the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hand-knitting experience indicates significant statistical deferences in all lower factor and total scores of multiple intelligence, so the experienced group shows higher than unexperienced group in all factors containing the musical, physical, mathematical, spatial, linguistic, interpersonal, interpersonal intelligence. Forth, the deferences of intelligence caused by the experience standards shows the significant higher gaps in between the experienced group and unexperienced group on the musical, physical, spatial, linguistic, personal and total intelligence not concerning in abandoning halfway. And also the accomplished group was shown in significantly higher mathematic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The hand-knitting to be taught in 7th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Education is justly reasonable for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less of sex and worth to accomplish the whole man education of child as a learning experience.

      •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명숙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총점과 비판적 사고력 하위요인 및 세부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의 반응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주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 4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12주간 36회 실시한 후 유아 비판적 사고력 검사에 의거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하였으며 유아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12회 토론활동을 녹화한 후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 사후검사에 대한 두 집단의 차이를 공변량분석(ANCOVA)하였다. 그리고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에서 나타난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 검사의 내용을 정리하여 비교 분석하고, 프로토콜에서 비판적 사고력 세부 하위 요인들의 변화빈도를 χ2(chi-square)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은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켰으며,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요인인 추론, 해석, 평가 모두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비판적 사고력의 세부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검사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은 비판적인 사고의 세부하위요인 모두 추상적이고 단순한 표현에서 이유와 근거를 제시한 구체적인 표현으로 변화되었으며,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은 각 주제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이며, 유아들도 교육을 통하여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혀주는 것이다. 따라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은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활동으로 활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on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of preschool children. we have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ing: First, did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have effect upon critical thinking of preschool children? Second, did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have difference of total score of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Third, did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have difference of detailed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Fourth, di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at the test of critical thinking have qualitative difference? Fifth, did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at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have difference of detailed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on the following session? The subjects were 46 preschool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a nursey school in Jinju. The author measured critical thinking based on critical thinking inspection of preschool children after 36 times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for 12 weeks, and made out protocols after recording 12 times discussion activitie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In this study there were used to examine difference of both groups at pre-inspection and post-inspection, and inspected contents of both inspections to examine qualitative changes at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and conducted χ2 test to examine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at protoco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improved critical thinking of preschool children, and were effective at improving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for instance, reasoning,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etc. The effect upon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e change of contents depending upon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made change from abstract and simple expressions to concrete expressions having reasons and grounds at all of detailed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The response of preschool children of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had significant difference at each subject.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thinking were effective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preschool children could improve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re education at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