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ndogenous rates of fertility and death

        박광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examines a relation between economic variables and an optimal number of children in a continuous time version of the perpetual youth model. We construct a dynamic general equilibrium model where the number of children and a death rate are endogenously determined. This paper assumes that a death rate is influenced by economical abilities, for example, the level of GNP. Specifically, a death rate is determined by income or consumption. Therefore, this paper differs from other earlier studies which assumed that a death rate is constant. A constant death rate causes estimated errors in empirical studies. Rates of fertility and death are optimally determined in the long­run equilibrium. In conclusion, we show that a low death rate results in a low optimal number of children and vice versa. That is, this explain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 마스크 차단 등급에 따른 호흡 기능 변화와 유산소 운동 시 심혈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광현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wearing a mask, which should be worn mandatorily in daily living for modern people due to many types of infectious diseases and fine dust, on human respiratory functions and cardiovascular functions during aerobic exercise. This study consisted of two-stage experiments: in the first stage, it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mask’s filtering level on the subjects’ breathing functions and in the second stage, it aim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cardiovascular functions and oxygen saturation that occurred in subject's body after aerobic exercises while wearing a mask. The study subjects in the first-stage experiment were 40 healthy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20s,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n-mask, Dental, KF 80, and KF 94) according to the mask's filtering level. Each group had 10 randomly selected subjects. To measure a change in breathing functions that occurred in the subject's body when wearing a mask,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EV),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MVV), and peak expiratory flow(PEF)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wearing a mask according to the mask's blocking grade, which can be a variable. In the second-stage experiment, the same subjects in the first-stage experiment participated and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aerobic exercise for 10minute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at three groups except for the Non-mask group had a significant reduction in all values of FVC, FEV1, MVV, and PEF after wearing a mask compared to those before wearing a mask(p<0.05). 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exhibited between the four groups (p<0.05).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groups, a post-hoc comparison for FVC was conducted additionall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Non-mask and KF 80, Non-mask and KF 94, Dental and KF 80, and Dental and KF 94 (p<0.05). The FEV1 was conducted additionall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Non-mask and KF 80, Non-mask and KF 94, and Dental and KF 94(p<0.05). Especially, the MVV and PEF values were more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mask's blocking grade was higher in the following order: KF 94, KF 80, Dental, and Non-mask groups (p<0.05).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diovascular functions was also observed after aerobic exercises in all group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four groups (p<0.05).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 post-hoc comparison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ardiovascular functions between Non-mask and KF 94 groups (p<0.05). For the D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except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with the KF 94 group (p<0.05). In conclusion, wearing a mask makes a change in breathing functions immediately. Furthermore, when aerobic exercises are conducted while wearing a mask, it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human body due to the effect on cardiovascular functions. Thus, care should be taken when patients with lung diseases whose breathing function is degraded, or the elderly and children with decreased lung functions take excessive exercise while wearing a mas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regular rest and adjust labor intensity for those professions who perform high-intensity physical labor while wearing a mask.

      • 인센티브 메커니즘에 기반한 효율적인 Mobile Crowdsourcing 상황에 대한 연구

        박광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바일 에드 혹 네트워크는 편의성, 비용 절감 등의 강점으로 큰 관심을 받고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한 종류로서 네트워크 서비스가 미리 정해진 시설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의 협력에 의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드의 협력이 중요하다. 모바일 크라우드소싱(Mobile Crowdsourcing)은 이러한 노드들의 협력을 기반으로 업무 요청자가 수행해야할 업무를 게시하면 노드들은 자신의 잉여 자원을 업무에 사용하여 보상을 받는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크라우드소싱 문제에 게임이론의 인센티브 메커니즘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노드가 자신의 정보를 솔직하게 드러내도록 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자신의 정보를 속이고 이익만을 극대화하려는 이기적인 노드들이 자신의 정보를 솔직하게 드러낼 때 가장 높은 보상을 주며 더불어 다수의 업무 중 자신이 최대의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보상을 지급하는 연합을 선택하는 연합 형성 게임(Coalition Formation game)을 적용했다. 연합은 수행해야할 업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데 제안된 기법에서는 자신의 성능과 남은 자원에 따라 노드가 다수의 연합에 참여할 수 있는 중복 연합 형성 게임(Overlapping Coalition Formation game)으로 확장하여 노드가 자신의 성능과 자원에 따라 최대의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드들이 자신의 정보를 솔직하게 드러내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마련하여 시스템의 진실성을 보장하고, 중복 연합 형성 게임을 통해 노드가 최선의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제안된 메커니즘 기법에서는 노드와 연합 사이의 거리에 비례해서 보상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가장 높은 보상을 지급하는 연합을 선택한다. 이때 제안된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통해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각 노드는 자신의 정보를 솔직하게 드러냈을 때 가장 높은 인센티브를 받고 시스템의 진실성을 보장할 수 있었다. 또한 중복 연합 형성 게임을 통해 노드가 다수의 업무수행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노드가 자신의 잉여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최대의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성능을 평가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드들은 자신이 최대의 이득을 얻기 위해 자신의 정보를 솔직하게 드러냈고 자신의 성능과 남은 자원에 따라 더 높은 보상을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採用管理에 關한 硏究 : 光州地方 中小企業을 中心으로

        박광현 朝鮮大學校 大學院 197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deals with the general theories of procedure, method and operations in employment management through references, It also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mployees working in the production sector of businesses by means of personal interviews. As a result, it also aims at seizing the problems and offering improved methods for the rationalization of employment management. The improved methods for problems found in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To establish a standard of employment qualification and to improve the organization. 2. To spread the campaign of positive employment, 3. To rationalize the selection technique. 4. To reject nepotism. 5. To plan the placement of the employees. By doing so, we can obtain employment security and give benefits to the employee as well as the business. Furthermore, business can fulfill it's responsibilities.

      • 連續回分法에 의한 下水의 有機物 및 암모니아성 窒素除去

        박광현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bility of sequential batch reactor process for the removal of organic substrate and NH_(4)^(+)-N in wastew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ing: 1. The substrate removal efficiencies at the filling period were 30-80% for both mode A and B, and the total removal efficiencies were around 90% for both mode A and B. For the operation mode A the NH_(4)^(+)-N removal efficiencies were around 90%, and for the operation mode B, they were 70-90% 2. The substrate removal rates of filling periods were 0.42-0.90mg/l/day and 0.11-0.45mg/l/day for mode A and B respectively. For mode A the removal rates at the reaction periods were 0.764-0.865day^(-1). For operation mode B,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removal rate was occurred when the experimental ratio of filling to reaction was 2/4. 3. NH_(4)^(+)-N oxidation rates were 0.045-0.43day^(-1) and 0.005-0.019day^(-1) for operation mode A and B respectively. The nitrification rates were calculated to be 0.0085-0.004day^(-1) for operation mode A. For operation mode B, the maximum nitrification rate was found to be occurred when the ratio of filling to reaction was 2/4. 4. For operation mode A denitrification rates were 0.005-0.04day^(-1) and 0.002-0.27day^(-1) during the filling and anoxic period respectively. For operation mode B denitrification rates were 0.006-0.0011day^(-1) and 0.004-0.006day^(-1) during the filling and anoxic period respectively. 5. Because the wastewater was at anoxic condition, the concentration gradient occurred with respect to time in batch reactor. So the sludge bulking due to excess growth of filamentous organisms was not observed.

      • 죽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장례 설교에 관한 연구 : '틀'로써의 '구두프레젠테이션'(Oral Presentation)과 '단계적 동기화 개요'(Motivated Sequence Form)에 따른 장례 설교 실례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박광현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죽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장례 설교에 관한 연구 - ‘틀’로써의‘구두프레젠테이션’(Oral Presentation Form)과‘단계적 동기화 개요’(Motivated Sequence - Outline)에 따른 장례 설교 실례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 본 논문은 죽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장례 설교에 관한 연구이다. 죽음은 이 땅에 살아가고 있는 인간 누구에게나 필연적으로 찾아오는 사건이며 결코 피할 수 없는 사건이다. 나아가 죽음은 단순히 죽음의 위기에 직면한 당사자인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문제일 뿐 아니라, 넓게는 가정과 사회공동체, 더 나아가서는 국가와 인류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충격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본인은 교회가 슬픔과 비탄에 빠진 사람들을 위로하고 삶을 지탱해주며 새로운 삶으로 이끌어 주기 위한 좋은 방법이 장례 설교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장례 설교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음으로써 슬픔과 비탄에 처한 고통가운데 있는 사람들에 대한 사랑의 돌봄이요, 유가족에게는 복음을 통한 전도의 기회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절박한 상황에서 실의에 잠긴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삶의 의미를 깨닫도록 인도할 뿐 아니라, 슬픔에 빠진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살아가는 생애동안 하나님의 요구하심에 적절히 순응해 나가도록 격려하는 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인은 이 논문의 목적을 장례 설교자의 주된 임무가 죽음의 위기 앞에 모인 청중들로 하여금, 죽음이란 절박한 상황 앞에서도 복음을 깨닫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인이 이 같은 취지에서 논문을 진행한바, 본 논문의 제1장 서론에서는 문제제기 및 연구 방법 등에 관해 고찰하였고, 이어 제2장에서는 한국 기독교 장례 설교에 대한 신학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먼저 한국 기독교 장례 설교의 신학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 제3장에서는 그러한 신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현재의 한국 기독교 장례 설교의 실태와 문제점에 관하여 진단을 해 보았다. 여기서는 주로 장례 설교에 대한 신학적 결여 및 정립에 관한 문제를 집중하여 다루었고, 이어 비성경적 설교를 다루었는데, 여기서는 먼저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장례 설교 중에 몇 편을 선택하여 성경적 사례로 살펴보았고, 반대로 비성경적 장례 설교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장례 설교의 좋은 예와 그렇지 못한 예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렇게 한 이유는 이후 본질적으로 다루려고 했던 효과적인 장례 설교의 구두 프레젠테이션 틀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또 단계적 동기화 개념에 따른 장례 설교의 실례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가늠해 보기 위함이었다. 그런 다음, 비성경적인 용어 사용에 관한 문제와 장례 설교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문제를 둘러보았다. 특히, 여기서 본인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한국 교회 장례 설교에서 행해진 것과 같은 전통적인 방식으로서의 일방적 커뮤니케이션이 아니라, 수용자-의미 중심의 쌍방적 커뮤니케이션, 즉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이 논문의 뒤에서 본인이 다루었던 효과적인 장례 설교의 향상 기술, 즉 청중에 대한 설교자의 반응 등을 다루는데 기본적인 사고로 삼았다. 그리고 계속해서 장례 설교에 사용되는 성경본문의 해석에 관한 문제, 장례 설교의 형식과 예문 사용에 관한 문제, 목적을 잃어버린 장례 설교에 관한 문제 등을 대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효과적인 장례 설교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죽음에 대한 성경 신학적 이해와 검토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구약과 신약의 죽음에 대한 성경신학적 이해에 대하여 좀 더 세밀하게 연구해 보았다. 특별히 본인은 여기서 죽음이란 절박한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대상이 유가족(청중)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청중에게로 관심을 돌려 그들의 심리적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그들의 심리적 특성을 살펴본 이유는 뒤에 본인이 제시한 ‘틀’로써의 구두프레젠테이션과 장례 설교의 실례를 들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전제로 하여 본인은 장례 설교의 특징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달자로서의 장례 설교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혹은 효과적인 장례 설교 방법은 무엇인지? 에 대해서 깊이 있게 고찰해 보았다. 그런 다음 나 자신에게 있어 가장 핵심이며, 중요한 연구 과제인‘틀’로써의 구두프레젠테이션(Oral Presentation Form)과‘단계적 동기화 개요’(motivated sequence outline)에 따른 장례 설교의 실례에 대해 직접 작성하여 제시해 보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인은 이 논문을 통해 장례 의식에 따른 각각의 유형에 따라서 죽음의 위기에 직면한 자들을 향하여 설교자가 어떻게 설교하고, 유가족을 포함한 다양한 청중을 어떻게 위로할 것인가? 에 대해 고민하면서 죽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장례 설교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즉, 이제까지의 장례 설교 대부분이 어떤 ‘틀’에 의하여 행해져 왔다기보다는 설교

      • 한옥 공소에 나타난 민간 기술자의 현장기법

        박광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to identify layout method that belongs to Secondary Stations(Gong-So) construction found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their furniture layout and how craftsmen solve according to the on-site situation with their own skills using established traditional woodwork methods, that is craftsmanship.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Korean-Style Secondary Stations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of which architectural overview and histories are objectively delivered, and Korean-Style Secondary Stations within and outside of Naepo regi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civilian craftsmen's craftsmanship are briefly explained as follows. Firstly, in the layout methods, there are 'layout with inner column (Nae-Ju)', 'dislocated layout', and 'layout without inner column' with criteria of inner column's layout and its existence. Layout with inner column was used in the early layout style in Korean-Style Secondary Stations and dislocated layout style has dislocated centerline of inner column and outer column or different intervals. Layout without inner column shows good example of assembly and tends to use less members. Categorized by the period, Layout with inner column showed from 1890s to 1920s, and dislocated layout was developed and went through transitional period from 1930s to 1960s as Korean-Style Secondary Stations develops. Also, late layout style appeared from 1940s to 1960s and Korean-Style Secondary Stations started to put assembly function above all others.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Secondary Stations is categorized into 3 styles; three corridor type structure with 2 high columns(Go-Ju) 5 beams(Ryang), Secondary Stations with more than 2 furniture styles, and the 5 beams style that focuses on assembly function. Three corridor type style with 2 high columns 5 beams) enables elements in religious Western architecture to be realized in Korean traditional woodwork. Secondary Stations with more than 2 furniture styles also partly accept elements in religious Western architecture with the intention to commonly heighten the upper part of an altar. The 5 beams is most widely shown and constructed to make big inside intervals in consideration of assembly function. In summary, there are 3 styles in layout; 2 high columns 5 beams that accepts elements used in religious Western architecture, Secondary Stations with more than 2 furniture styles that partly accepts those elements, and the 5 beams that focuses on assembly function. Finally, civilian craftsmen's craftsmanship, shown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secondary stations,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on-site situation rather than common methods. This is roughly divided into 'a combination style of angle rafter with irregular layout,' 'a style added with wood roof truss' and 'craftsmanship of design and memb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yles are as follow; 1) 'A combination style of angle rafter with irregular layout' has a great effect on the way of combination because of irregular layout. The methods of combination are used in various styles; a traditional way of combination of head pentrating tie(chang-bang) and coller beam, and angle rafter at 45° that are used in change of location of a purlin, combining angle rafter with purlin at 5 beams in order to apply established traditional woodwork methods, and a style using unusual beam(Chung-Ryang) and a camber beam formed in a different way at the end. 2) 'A style added with wood roof truss' shows many characteristics; linking of long common rafter and short rafter developed from existing rafters structure with the influence from '人' type beam among elements in truss construction, usage of diagonal member solving the demerits of furniture style structure, that is big intervals and lateral load, and M-type rafters that is newly formed from the shape of strut from the elements of truss structure. 3) 'Craftsmanship of design and members' partly reflect some elements in religious Western architecture, adopt various furniture styles resulting from the lack of material and acceptance of function, express distinct natural shape of material in an arched head pentrating tie, and use the irregular members resulting from the lack of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