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국 현대 퀼트 기법을 응용한 조형적 표현 연구 :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도경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The art of modem fiber which was affected by thoughts of current art and sudden industrial developments has pursued the pure world of formative arts, showing the unlimited diversity in expressive technique. It established new notions of value escaping from the existing ones called plane art by approaching the multiplicity from the plane to the embossed carving and three-dimen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mbossed carving effect of expression and the quality, using various materials in a Quilt work. This study is on the American modern quilt since 1970s. I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origin of modem quilt through major exhibitions in 1970s, 1980s and 1990s. It investigates new expression techniques using the various materials including collage, metal, felt, button and paper for the original works and the new expression means such as sewing machine, computer, silk screen, air brush and photograph transcription. Also this research compared the works of representative quilt artists of contemporary America like Nancy Crow, Michael James, Jean Ray Laury, Susan Shin and James Acord, Yvonne Porcella, Therese May, M. Joan Lintault, Pamela Studstill, Judith Lazelere according to the times and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tist, the world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ir works. The quilt was recognized as a genre of art in 1970s, but it stressed the basic pattern. The quilt in 1980s neglected gradually the outline of the basic pattern and was combined with other genres, but necessarily used fiber materials and sewing technique. In 1990s, there were a lot of changes in making quilt works. That is, the works which don't employ fiber and sewing were recognized as quilt works and cubic and liberal works by division were created in visual sid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search has interest in such materials as metal, synthetic fiber, button, label and copper line. The researcher tries to express the sense of material, relief effect and formative features of quilt works with velvet, lace, polyester, vinyl and polyurethane cloths under the influence of free surface composition shown in the modern quilt of 1990s. Consequently, it obtains a great effect to give a strong impression as well as the relief effect with easy use of metal materials as aluminum. So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settled as indispensable material in the 21 st century by making trial works continuously. Materials like button, label and bead have the cubin effect which gives tedious surface compsotion a rhythm and interest. It accompanies a difficulty in sewing because of using synthetic fiber instead of cotton and wool, but the formative features can be expressed by the texture of each cloth. Future fiber art will be dependent on how a new material is used. Therefore, when the research, growth and experiment of materials are continued, the formative modern quilt will be developed more.

      •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신뢰 및 협력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유아-교사관계와의 관련성

        도경은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신뢰 및 협력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유아-교사관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신뢰 정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유아-교사 관계에 관련성이 있는가? 연구문제2.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협력 정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유아-교사관계에 관련성이 있는가? 연구문제3.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유아-교사 관계 간의 관련성이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8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4세, 만5세 유아 225명과 연구대상인 유아의 어머니 225명, 담임교사 16명이었다. 보육교사와 어머니간의 신뢰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James Elicker(1996)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The Parent-Caregiver Relationship Scale: Rounding Out the Relationship System in Infant Child Care(PCRS)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상황에 맞게 이진화 외 3인(1999)이 개발한 부모-대리양육자 관계 척도(부모용) 중 신뢰관계 14문항을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협력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Owen, Ware, Barfoot(2000)이 제작한 The Caregive - Parent Relationship Scale(부모용)의 척도를 수정?보완한 고혜진(2009)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Jewsuwan, Luster와 Kostelnik(1993)가 개발한 유치원 적응 평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5세 유아의 정서 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연구에서 김지은(2003)이 번안한 것을 만4세, 만5세 유아들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유아-교사와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Pianta(2001)가 유아-교사관계에 대한 평가 척도로 제작한 교사용 교사-유아 관계 평가도구(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STRS)를 단현국(근간)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신뢰 정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유아-교사 관계에 관련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신뢰가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 어린이집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또래 유능감, 자아강도, 어린이집 생활에서의 적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신뢰가 높을수록 유아와 교사와의 친밀감은 높게 나타나고, 갈등정도와 유아가 교사에게 의존하는 경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협력 정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유아-교사관계에 관련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에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유아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며 교사와 어머니가 함께 유아의 발달에 필요한 자원 등을 지원하였을 때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에 협력이 잘 이루어질수록 긍정적인 유아-교사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에 유아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였을 때 유아가 교사에게 의존하는 경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과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와 교사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친사회적 행동, 어린이집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또래 유능감, 자아강도, 어린이집 생활에서의 적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와 교사 간에 갈등이 많을수록 친사회적 행동, 어린이집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또래 유능감, 자아강도, 어린이집 생활에서의 적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와 어머니 간의 신뢰와 협력,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유아-교사관계는 서로 간의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보육교사와 어머니는 유아의 전인적 성장발달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신뢰와 협력을 통한 긍정적인 관계를 맺어나가기 위해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하며 지속적인 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셀러브리티의 팝아트적 표현이 대중들의 모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도경은 조선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1855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Celebrities' Pop Art Expression on Public's Imitating Behavior By : Do, Kyung-Eun Advisor : Prof. Choe, Young-Hoon Department of Art.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ss media including computer and IT technologies presents a great deal of information for today's people. Especially, the impacts of every word and action by a celebrity, the so-called 'star' who is shown in all sorts of visual matters, on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teenagers are powerful. Therefore, the impacts of celebrity's popularity and influence on the public is evaluated to be an important marketing data in fashion industry towards the teenagers who like to imitate the celebr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elebrity's own characteristics and their images on the public's attitudes and behaviors, as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such as a pop-art on the general public is growing bigger. In general, people experience a friendly feeling towards a trendy music, drama, celebrity and their style. Thus, there are followers as fans who have very strong affection for their celebrities.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explore the effect of sympathizers on their positive attitudes and imitating behaviors towards a celebrit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several pictures of celebrities were selected from the five fashion magazines which published in recent two years and were classified as a general or pop-artistic celebrities. Further, the effect of celebrity's own characteristics and their images on the respondents' emotional attachment and preferences for the celebrity were determined. The influence of conformity on the sympathizers' attachment and preferences for a celebrity was also examined. Finally, the effect of attachment and preferences for a celebrity on the imitating behavior of general public was empirically 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elebrity's characteristics and image were divided by two or three properties as an attractiveness, sincerity and professionalism, and as an amusement and kitsch style, respectively. First, in case of general celebrities, only the attractivene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pondent's attachment for the celebrity, while the sincerity and amuseme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the celebrity. However, in case of celebrities in pop-artistic field, the respondent's attachment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incerity and amusement of the celebrity, while the preference for the celebrity is influenced by all the factors except the professionalis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ncerity and amusement of a celebrity in pop-artistic field are important factors for a positive attitude of people to them. Therefore, if celebrities induce their sincerity, wits or amusement and a new image unlike previous image in their general life to the public, they can expect a positive attitude of people to them. It has been proved that many pop-artistic stars promote their popularity what is different from their established impressing image by showing a feeling of intimacy, fidelity, simplicity with other general people on TV programs such as a talk-show or real variety-show which is irrelevant to their own professional fields. Second, by an observation of the effect of sympathizer or follower group on the attachment for a celebrity, friend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attachment for a pop-artistic celebrity. This result suggest that they tend to form a clos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ir peer group including peer friends who like a certain celebrity raised in top as a mass-cultural icon. Especially, teenagers express strong sympathy for a favorite pop-artistic celebrity since the influencing power of their peer group is not negligible as they make a friendship with who feel sympathy for a stress against learning and mental conflict with their parents. Third, by verifying the effect of attachment and preference for a celebrity on the imitating behavior of general public, affection for a conventional celebrity is significant motive of their imitating behavior, while both attachment and preferences for a pop-artistic celebrity have an impact on the imitating behavior. This result suggest that people tend not only to maintain a constant relation with a celebrity in culture and art, but also to make an effort to regard themselves as in the same light as the celebrity if the cultural or artistic valuation of the celebrity i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celebrity. Fourth, people prefer common life style or item among the pop-artistic fashion or items and imitate that easi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pop-artistic celebrity have a strong effect on the imitating behavior of general public, an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imitating behavior is frequently shown by sympathizer or follower group as well as individual. Taken together, this kind of study will be useful for an enhancement of fashion industry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a marketing strategy in the selection of fashion style or item.

      • 가정폭력 피해 경험 다시 읽기 : 20대 피해 자녀들의 의미 만들기를 중심으로

        도경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가정폭력에 대한 기존의 담론이 가정폭력 피해 자녀의 경험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가정폭력에 대한 연구과 논의는 주로 아내폭력과 아동학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며, ‘아내’나 ‘아동’이 아닌 성인기의 가정폭력 피해 자녀들의 경험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가정폭력 피해 자녀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아동학대’의 이름으로 아동·청소년기의 폭력 피해가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만 다루었다. 이 속에서 가정폭력 피해 자녀는 아동 혹은 청소년으로 한정되었고, 폭력의 영향을 받는 대상으로만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성인 자녀들이 과거와 현재의 폭력 피해를 인식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을 사회적 규범과 가정폭력에 대한 낙인과의 관계 속에서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과거에 폭력 피해를 경험했거나 현재에도 경험하고 있는 20대 가정폭력 피해 자녀 16명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그로 인한 자기 낙인은 가정폭력 피해 자녀들이 피해 경험을 가정폭력으로 인식하고 해석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낙인의 영향 속에서도 피해 자녀들은 그러한 낙인에 순응하기보다는 낙인 대응의 주체로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낙인의 속성인 피해 경험과 관련된 정보를 전략적으로 감추거나 관계 단절, 자기 의심 등 다양한 행동 전략을 수행한다. 가정폭력 피해 자녀들은 의미 있는 타인과의 만남을 통해 낙인의 영향에서 벗어나 피해 경험을 사회구조적 문제인 가정폭력으로 인식, 명명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피해 경험에 온전히 공감해주고 당사자로서의 삶을 지지해주는 의미 있는 타인과의 만남은 가정폭력 피해 자녀들이 처음으로 자기를 긍정할 수 있게 하며, 다른 관점으로 피해 경험을 마주하고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의미 있는 타인과의 만남을 통해 가정폭력 피해 자녀들은 피해 경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페미니즘이라는 대항 언어의 자원을 활용한다. 이와 같은 폭력 피해 경험에 대한 재해석 과정은 가정폭력 피해 자녀들이 피해 경험에 대한 자기 의미와 서사를 통해 자기 삶의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이다. 이에 따른 행동 전략으로서 피해 자녀들은 가정폭력과 정상가족에 대한 대안적 규범을 재구성하고 실천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폭력 피해 자녀들의 주체 되기 과정이 끊임없는 충돌과 조율의 과정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자’라는 말로 모두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고 살아가는 가정폭력 피해 자녀들의 경험을 밝힌 사회학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young adults,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have reinterpreted their experience of violence and have thus made their own meaning of it. The existing literature from psychology and social welfare on domestic violence has mainly focused on violence against wives and child abuse. Particularly, studies on child abuse concentrate on the negative effects of violence in childhood and adolescents only at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level and describe those affected by child abuse as ‘victims’ of violence. This study problematizes this interpretation as one-dimensional, neglecting the agency of these ‘victims’ who creatively respond to their experience of violence. It tries to argue for their agency by investigating how these young adults recognize their experience and construct alternative interpretation, different from the social norms of family and stigma of domestic viol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young adults who had experienced or still experience domestic violence. The social stigma of domestic violence results in self-stigma by focusing on victimhood and thereby hinders ‘victims’ from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ir experience. However, young victims strategically carry out various behavioral strategies, such as hiding the damage, cutting off relationship, rather than complying with the stigma. The role of ‘Significant Others’ are important for them to avoid the negative influence of stigma. ‘Significant Others’ are the ones who fully sympathize with their experience and support the life as wounded yet meaningful. Owing to ‘Significant Others’, these young adults recognize their personal damage as ‘social problem’ and reinterpret their experiences with their own languages and stories. In this process of making their own stories of violence and their own meaning of it, they use resources from feminism as tools for the language of resisting to social stigma and are able to control their own life and accept their experience as a part of their lives. This study, moving beyond psychological or social welfare approach, contributes to a new understanding of how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can creatively respond to their experience and stigma and thus affirm their agency.

      • 펀(Fun)패키지디자인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세계 디자인 어워즈 수상작을 중심으로

        도경은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과학기술의 발달로 현대사회는 급속히 성장하였으며 그로 인해 현대인들은 물질적인 풍요와 편리한 삶을 누리게 되었다. 그런가 하면 근래 불안한 경제 상황들로 인해 과도한 경쟁 분위기가 형성되어 현대인들은 일할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그만큼 시간에 쫓겨 정신없이 살아가고 있다. 사회적으로 불안이 가중되면서 현대인들이 느끼는 불안과 스트레스는 계속해서 높아지고, 현실로부터 일탈하고자 하는 심리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단순하고 유쾌한 것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단순한 웃음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복잡한 현실에서 벗어나려는 심리현상으로 펀(fun)을 추구하는 성향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가격, 품질은 물론 재미까지 결합된 상품이 등장하였다. 즉,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요소 중 ‘재미’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고, 필요에 의한 소비에서 즐거움과 재미를 위한 소비 형태로 바뀐 것이다. 새롭게 변화하는 소비시대에 따라 패키지디자인도 변화하고 있다. 물건을 보관하는 기본적인 기능에서 다양한 마케팅 수단으로 까지 활용되고 있다. 재미와 즐거움으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펀 마케팅과 펀 패키지디자인이 그 예이다. 펀 패키지디자인은 재미와 즐거움을 통해 제품에 대한 감각적인 부가가치와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한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펀 디자인에 대해 고찰하고, 아직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펀 패키지디자인의 개념과 표현방법을 재정립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펀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과 정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펀 패키지디자인의 효과적인 표현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분석, 종합한 결과 캐릭터(Character), 키덜트(Kidult), 아이러니(Irony),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놀이(Play) 등 5가지의 표현유형과 변형, 일탈, 착시, 반전, 연상, 과장, 함축 등 7가지의 표현요소를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4년(2008년-2012년) 간 세계 디자인 어워즈에서 수상한 제품 가운데 펀 디자인이 적용된 국내 4개 수상작과 국외 11개 수상작을 선정하여 실증적 으로 분석 하였다. 이 분석에 대한 각 해당사항의 적합성은 디자인 어워즈 수장작 설명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였고, 이를 보다 선명하게 입증하기 위해 동일 표현방법으로 고안된 디자인, 동일한 품목의 패키지디자인 가운데 펀 디자인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적 사례를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펀 패키지디자인의 표현방법은 다음의 다섯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캐릭터’의 표현유형은 우스꽝스러운 표정의 이미지로 과장된 이미지를 연출하거나, 제품의 성질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재미있는 표정의 캐릭터로 반전을 주는 등의 2가지 요소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친숙하고 재미있는 캐릭터로 친근한 이미지를 전달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키덜트’ 표현유형은 소녀풍의 일러스트나 팝아트 이미지를 연출하여 어린 시절을 떠올릴 수 있는 연상을 주거나, 귀여운 캐릭터로 과장된 이미지를 연출하는 등의 2가지 요소로 표현되어지고 있다. 이는 어린 시절의 분위기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아이러니’의 표현유형은 형태의 고정관념에서 일탈하거나,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만남으로 반전을 주거나, 혹은 엉뚱한 표현으로 다른 제품처럼 보이게 하는 착시 등의 3가지 요소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독특한 형태와 기발한 발상으로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스토리텔링’의 표현유형은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이야기하듯 하나로 함축하거나, 예상하지 못한 재미있는 스토리 구성으로 반전을 주는 등의 2가지 요소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제품이나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메시지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설득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놀이’의 표현유형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형태를 변형시키거나, 재미있는 캐릭터로 과장된 이미지를 연출하는 등의 2가지 요소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패키지가 제품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역할만 하고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패키지를 통해 또 다른 재미와 즐거움을 줄 수 있어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브랜드 관여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각각의 표현유형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표현요소들이 활용되고 있지만 대체로 2-3개의 한정된 요소를 통해 표현되고 있다. 이를 통해 어떤 제품에 어떠한 효과를 주고 싶은지, 디자인의 목적에 따라 펀 패키지디자인의 표현유형과 표현요소를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친근한 이미지를 전달하거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과장과 반전의 요소를 통해 ‘캐릭터’ 유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어린 시절 분위기와 감성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연상과 과장의 요소를 통해 ‘키덜트’ 유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독특한 발상으로 제품을 차별화하고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서는 일탈과 반전, 착시의 요소를 통해 ‘아이러니’의 유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메시지의 효과적 전달과 높은 설득력을 위해서는 함축과 반전의 요소를 통해 ‘스토리텔링’ 유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또,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브랜드 관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변형과 과장의 요소를 통해 ‘놀이’ 유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펀 패키지디자인은 표현방법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는 있지만 결과적으로 재미와 즐거움을 준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어떠한 목적으로 제품의 특성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것인가에 따라 적절한 표현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표현방법은 한정된 범위의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한 것이기 때문에 더 많은 사례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집중하기보다는 다양한 분야에서 펀 패키지디자인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Study on ESD Protection Device Design with Improved Snapback Characteristics for Low and High Voltage ICs

        도경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1823

        This study reviews the existing issues pertaining to low-voltage and high-voltag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based on high robustness and proposes an ESD protection circuit with improved snapback characteristics and latch-up immunity. There is a need for continued research to achieve high-performance ESD protection circuits with high ESD robustness in a small chip area, which efficiently prevents the occurrence of ESD. This is because immunity to ESD is continuously decreasing in ICs owing to the miniaturization and high-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resulting from advancements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technology. The ESD design windows is constantly reducing owing to gate oxide downscaling in low-voltage applications, where it is increasingly challenging to apply double-injection-based snapback devices such as semiconductor controlled rectifiers (SCRs) and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IGBTs) with a relatively higher current density. Other issues such as ESD design area inefficiency and latch-up immunity are also experienced in high-voltage applications. This study therefore proposes methods for improving dynamic resistance and snapback characteristics to address low-voltage and high-voltage issues, and to achieve a high level of ESD robustness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required by core ICs. The paper further proposes three types of ESD protection circuits for low-voltage and high-voltage applications. The proposed ESD protection circuit is fabricated through 0.13, 0.18-μm bipolar-CMOS-DMOS (BCD) processes; operation verification and optimized design parameter calculation are carried out using simulations. Furthermor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measuring the transmission line pulse (TLP), and the robustness is evaluated using the human-body model (HBM) and machine model (MM). Electrical characteristics at high temperatures (300 K – 500 K) and ESD robustness are evaluated to verify the thermal reliability of the proposed ESD protection circuits, and a transient latch-up evaluation is performed for high-voltage ESD protection circuits to verify the latch-up immunity and secure a holding voltage that is safer than the safe margi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low-voltage ESD protection circuit has the follow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low-triggering voltage and low on-resistance SCR (LTLRSCR) has a trigger voltage of 9.14 V, a holding voltage of 6.02 V, and an on-resistance of 0.96 Ω. The low-triggering voltage and high-holding voltage SCR (LTHHSCR) has a trigger voltage of 9.33 V, a holding voltage of 6.60 V, and an on-resistance of 0.11 Ω. The low-triggering voltage and low on-resistance dual-directional SCR (LTLRDDSCR) has a trigger voltage of 9.7 V, a holding voltage of 5.91 V, and an on-resistance of 1.15 Ω. In contrast, the high-voltage ESD protection circuits have the follow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high-holding voltage low-triggering voltage dual-directional SCR (HHLTDDSCR) has a trigger voltage of 18.51 V, a holding voltage of 14.07 V, and an on-resistance of 0.11 Ω. The high holding voltage and low on-resistance dual-directional SCR (HHLRDDSCR) has a trigger voltage of 18.7 V, a holding voltage of 13.6 V, and an on-resistance of 2.2 Ω. The high-holding voltage dual-directional NMOSFET (HHDDNMOS) has a trigger voltage of 15.9 V, a holding voltage of 14.4 V, and an on-resistance of 0.11 Ω. The proposed ESD protection circuits achieved a high ESD robustness (unidirectional HBM:> 8 kV, MM:> 800 V, dual-directional HBM:> 7 kV, MM:> 700 V) using the ESD zapping test; this study involved the process of selecting design parameters for each type of device and optimizing the devices for 5 V and 12 V ESD design window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SD devices, the proposed ESD protection circuits are expected to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low-voltage and high-voltage applications based on outstand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ESD robustness, and thermal reliability.

      • 도시개발법을 활용한 민간건설업체의 택지개발 수여방안 연구 : 지자체와 공동시행에 의한 수용방식을 중심으로

        도경 홍익대학교 건축도시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23

        현행 대표적인 택지공급은 택지개발촉진법 제7조(택지개발사업의 시행자 등)에 의해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가 주도적으로 공공 및 민간택지를 공급하고 있으나, 저밀개발 및 각종 기반시설에 대한 사업시행자의 비용부담증가로 택지공급원가도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민간택지공급 역시 재개발 재건축 사업의 규제 강화, 분양가 상한제 등의 규제로 원활한 택지공급의 차질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07년 4월 11일 개정하여 08년 4월 12일부터 시행하는 도시개발법 제21조(토지 등의 수용 또는 사용)의 법령을 적용하여, 민간건설업체의 도시개발사업을 통한 택지개발사업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07년 7월 천안시에서 공모하여 발주한 ‘천안 국제비즈니스파크 조성 PF사업’은 현행 택지개발지구내에서 공모되어 진행되고 있는 공모형 PF사업과 도시개발사업을 접목하여 사업을 진행하는 좋은 예이다. 비록 초기 공모과정에서 지자체의 출자지분을 20% 이하로 제한을 함으로써, 민간건설업체의 주도하에 진행되는 도시개발사업의 성격이 짙으나, 지자체의 출자지분 (증액)변경으로 민간건설업체와 지자체 공동의 도시개발사업으로 진행 될 것이다. 이는 현행 택지개발지구내에서 공모되어 진행되고 있는 공모형 PF사업의 방식을 초기에 도시개발사업에 도입함으로써, 공공기관은 재원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민간건설업체는 사업추진 체계도를 대한주택공사 또는 한국토지공사와 같은 토지 수용방식을 통해 민간주도의 택지개발사업(도시개발사업)을 보다 활성화 시킬 것이다. 정부의 주택종합계획을 목표대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민간부문의 기여가 50%이상 필요하며 민간부문의 주택공급확대는 민간택지공급 활성화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공공기관 합동으로 추진하는 도시개발사업의 활성화는 민간택지공급 활성화와 안정적인 주택공급을 위하여 필요하며, 민간주도 시 재원확보의 문제점을 보완키 위해 민간의 주체는 민간 건설업체가 맡아야 할 것이다. 또한 민간-공공 등 전반적인 도시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는 공공시설 설치비용의 부담주체에 대한 명확한 기준 설정과 재원확보의 마련이 시급하다. 공공시설에 대한 사업시행자의 부담 가중은 비록 민간 도시개발사업 뿐만 아니라 공공주도의 택지개발사업에도 문제가 되어 최종 분양가를 인상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므로, 민간-공공 참여 도시개발사업에서의 공공시설 설치비용에 대한 재원조달에 대해서는 TIF(Tax Increment Financing) 등 근본적인 대안 마련도 필요하겠다. The present representative agents who sell building lots are KNHC(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and KLC(Korea Land Corporation) by article 7 of building land development promotion law, but the cost of building land supply is more going up to increasing cost charge of project operator to low-density development and various infrastructures. Also, according to the upper limit of sale price and restriction reinforcement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he private building land supply without a hitch face up to difficulties. This paper focus on the building land development project by urban development of the private construction enterprise to apply a statute of article 21 of urban development law(expropriation or use of land) amended April 11, 2007 to be enforcing April 12, 2008. Cheon-an International Business Park Project ordering July, 2007 is a fine example to make progress business which integrates public subscription PF project and urban development in the present building land development district. Although it limited by 20%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financing owning is similar to urban development project which the private construction enterprise take a initiative, it is going to urban development project which associate with the private construction enterprise and local autonomous entity. The public institution lay out a scheme of financial economic resources and the private construction enterprise will be revitalization of the building land development project of nongovernmental leading by introducing public subscription PF project in urban development project through model of KNHC(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and KLC(Korea Land Corporation) Contribution of private-sector need to more than 50% and the housing supply expansion is linked directly with the revitalization of the private building land supply for accomplishing an aim of comprehensive plan of government. Therefore, the revitalization of urban development project incorporating private-public needs to the private building land supply and stable housing supply. in addition, the private construction enterprise has to take private project for complementing financial resources. Also, definite basis and financial resources must be settled a burden of the installation costs of public facilities for effectively promoting urban development project of private-public. Increasing burden of project operator bring about raising the last sale costs not only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of nongovernmental, but also governmental leading, so burden of the installation costs of public facilities need to prepare completely measures as TIF(Tax Increment Financ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