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잔틴 성화상 논쟁과 이미지의 편재성 :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를 중심으로

        나성권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비잔틴 성화상 논쟁은 보드리야르에 의하면 신적 재현에 관한 문제로서 신의 부재를 감춘 채 원본 없이 편재한 이미지를 유포한 성상옹호자들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생산되는 허상을 직시한 성상파괴자들 사이의 대결이었다.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진 공고한 재현의 시스템 너머에 있는 하느님을 인간의 감각과 인식의 내부에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이 논쟁은 자연스럽게 그리스도론과 성육신 신학의 주제로 확대되었다. 성상파괴론은 전쟁과 전염병 유행의 상황에서 보호를 확신시켜 줄 누멘을 지닌 것으로 간주된 이미지에 대한 대중들의 컬트를 종식시키는 방향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로 더 단순화되고 움직이기 쉬운 상징적인 이미지 컬트와 묵시문학적 이야기 제작에 몰두하였다. 원본으로부터 독립한 이미지의 복제와 보급은 로마 제국의 형성 초기인 아우구스투스의 유토피아적 종교 부흥에서 비롯하였으며, 이미지는 기존의 특정 지역에 연관되어 있던 종교를 지역과 무관한 보편성을 띤 것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이었다. 정통 신학은 불가피한 신적 재현 자체를 거부하는 대신 명료하고 논증적인 재현의 언어를 다의미적 시적 은유적 언어로 대체함으로써 이미지의 절대화 또는 우상화를 극복하고 삼위일체론을 발전시켰다. According to Baudrillard, the Byzantine iconoclastic controversy is a matter of divine representation. It was a fight between the iconoclasts who disseminated omnipresent images without originals while hiding the absence of God and the iconoclasts who faced how far from reality the representations produced through simulation is. The debate about the experience of God within the human senses and perceptions beyond the solid system of representation made up of signifiers and signifieds naturally expanded to themes of Christology and theology of the Incarnation. Instead of clashing the popular cult of images considered to have numina that would assure protection in the context of war and epidemics, but rather, on the contrary, the iconoclasts produced more easy-to-make and more mobile symbolic images of cults and apocalyptic stories. The re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images free from the original started from Augustus's utopian religious revival at the beginning of the formation of the Roman Empire. The theology of Incarnation overcame the absolutization or idolization of the images; instead of rejecting the inevitable divine representation, the orthodox theology of Byzantium replaced unambiguous and discursive language with polysemy, poetic and metaphoric language. keywords: Byzantine iconoclastic controversy, iconoclasm, Imagology, emperor worship, icon, Baudrillard, simulacra, John of Damascus, metaphor.

      • 레슬리 뉴비긴의 교회론과 영국 성공회의 '선교형 교회' :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

        나성권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선교 상황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신학을 탐구하기 위하여 레슬리 뉴비긴의 교회론과 영국 성공회의 교회 개척 보고서 『선교형 교회』를 접맥하려는 데에 있다. 뉴비긴 신학의 중심 질문은 ‘기독교왕국이후’의 선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로 요약할 수 있다. 교회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있지 않게 된 시대에 할 수 있는 방법은 정면 돌파밖에 없다. 기관이나 제도나 힘보다는 회중 하나하나가 사람들에게 복음의 호소력을 지녀야 한다. ‘새로운 표현들fresh expressions’이란 교회로부터 멀리 있는 사람들 속에 심어진 회중들 또는 작은 교회들이다. 새로운 표현들의 다양한 사례들과 신학들과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 경험과 신학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모티브, 즉 선교와 복음 증거와 회중 등을 추적하여 보면, 현재의 새로운 선교적 시도들에 도움이 될 하나의 흐름을 발견하게 된다. 한국 기독교의 선교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 때에 이러한 맥락적 이해, 교회론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한국 교회의 상황을 배경으로, 기독교왕국 해체 후 서구의 선교적 교회에 대한 신학의 자취를 뉴비긴과 ‘선교형 교회’를 연결하여 발견하고자 한다. 뉴비긴 신학의 주제는 크게 선교, 세계, 교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뉴비긴의 선교 이해는 1960년대 초부터 시작된 세속화의 물결 속에서 크게 변화하였다. 이 시기에 선교를 교회의 부가물로 보아서는 안되며 교회는 선교의 대행자가 아니라는 자각이 일어났다. 선교 신학의 출발점이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 자신에게서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뉴비긴의 교회관은 1962년을 전후로 크게 전환을 이루는데, 기존의 배타적이고 교회 중심적 선교관에서 삼위일체 신앙에 기반한 선교학으로 나아간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뉴비긴의 새로운 교회관은 성경을 읽어가면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 첫째는 구약에서 세속적인 사회의 순례자였던 아브라함의 생애에 대한 묵상이었고, 둘째는 신약에서 예수의 제자 파송에 관한 묵상이었다. 그는 기독교인들이 일하고 생활하는 각 사람의 일상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고 드러내는 것이 세속 사회의 선교에서 요구된다고 하였다. 뉴비긴은 세속적인 세상에 순례자로 부름받은 공동체, 세속적인 세상 속으로 나아가도록 보냄받은 공동체로서 회중을 교회의 원형으로 묘사하였다. 그는 외적 원리에 기반을 둔 선교보다는 자립적이고 생명력 있는 회중들을 광범하게 시작하는 내적 원칙을 추구하였다. 2004년의 보고서 선교형 교회는 영국 사회의 변화, 영국 성공회의 교회 개척의 개괄, 국내 선교의 신학과 교회론, 새로운 표현들, 방법론들과 구체적 제안들을 담고 있다. 『선교형 교회』보다 선행한 보고서 『새땅 열기』의 공헌은 온건한 어조로 개척교회들을 정당화해 준 데에 있다. 마을에 건강한 회중 공동체를 세우는 뉴비긴의 실천은, 지역, 이웃, 문화, 네트웍들 가운데 회중을 세우려는 교회 개척과 새로운 표현과 같은 맥락에 있다. 교회 개척이란 목표가 되는 지역, 이웃, 문화, 네트웍 속으로 모체가 될 작은 회중을 이동시켜서, 마치 묘목에서 커다란 나무가 나오듯이, 그 토양에 뿌리 내린 회중을 성장시켜 내는 과정이다. 이것은 보내는 교회를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토양 속에 씨앗이 썩어서 없어지고 새로운 나무가 자라는 것과 같은 복음의 토착화 과정이며, ‘선교형 교회’는 뉴비긴의 선교 과정에 대한 통찰을 인용하고 있다. 새로운 표현은 교회들로부터 멀리 있는 사람들을 향한 보다 적극적인 선교 행위이며, 넘어야 할 장벽이 많이 있기에 더욱 훈련된 개척 팀이 필요하다. 새로운 표현의 선구자들은 신앙과 불신앙의 장벽을 넘어 더 멀리 나아가게 된다. 이것은 ‘우리에게 오라’라는 미온적인 방법으로 접촉할 수 있는 사람들의 수가 협소해진 선교 상황에 절실히 요구되는 선교적 실천이다. 『선교형 교회』는 뉴비긴을 네 번 인용하였는데 그 첫 번째는 하나님 나라가 교단의 교회 전통보다 우선한다는 것, 네트웍 사이에 생긴 구멍들을 메우고 수많은 공동체들이 접근할 수 잇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 가운데 인용하였다. 두 번째 인용은 교회개척의 원칙은 토착화이며, 그것은 목표 지역, 이웃, 문화, 네트웍의 상황을 무시하고 기존 교회들을 복제해 내는 과정이 아니라는 문맥에서였다. 세 번째는 교회론에 관한 것이었는데, 교회는 세속 사회 속에 순례하였던 아브라함과 같이, 세상 사람들이 하나님과 화해하도록 호소하고 마지막에는 모든 것을 모으시는 주님을 뵙기 위하여 나아가는 선교적 종말론적 공동체라는 인용이었다. 네 번째 인용은 교회 개척이 바울 선교의 핵심이었다는 뉴비긴의 주석이었다. 이 인용들을 보았을 때 보고서의 선교와 교회와 교회 개척에 관한 중요한 사상들에 뉴비긴이 공헌한 것을 볼 수 있다. 뉴비긴은 기독교왕국이 끝나고, 기독교가 사회의 주류에서 비주류로 밀려나고, 그간 교회가 누렸던 특권들이 사라진 상황을, 새로운 거듭남의 계기로 이해하였다. 초대 교회의 선교하는 공동체, 복음의 증인된 삶을 사는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회복할 계기로 여겼던 것이다. 뉴비긴은 건강한 작은 공동체로부터 새로운 선교 상황에 대처하는 원동력을 얻으려 하였다. 또한 교회가 내부에만 몰입해 있어서는 안 되며, 진정한 교회의 역할은 그 교회가 일할 자리인 세상을 통하여 계속 재정립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영국 성공회의 교회개척 이론과 실천은 뉴비긴이 제시한 ‘복음을 새롭게 증언하는 회중의 공동체’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다른 것이 있다면, 회중이라는 단어보다 더 유연성의 여지를 둔 ‘새로운 표현’이라는 개념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예전보다 더 많고 다양한 교회 개척과 새로운 표현의 경험들이 축적되고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 선교의 본질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질문에 대답하는 길은 세상 속에 증언하는 작은 공동체이다. 새로운 표현은 레슬리 뉴비긴이 씨름하였던 선교적 교회에 대한 신학과 동일 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복음을 오늘의 맥락에 맞게 표현하는 것이 새로운 표현이라고 한다면, 이 선교적 흐름은 오늘 한국 기독교가 새로워지기 위하여 주력해야할 이론과 실천의 분야이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study the Missional Ecclesiology of Lesslie Newbigin and the Mission-shaped Church. The main theme of Newbigin theology could be summarized as an exploration of ecclesiology in post-Christendom ear. This is time when Christianity is in a society where it has no control. He suggests a missional and eschatological congregation to cross the challenges of post-modern or pluralist society. The ‘Mission-shaped Church’ is a report of the Church of England focusing on church plating or fresh expressions of Church in a network or consumerist society. It also focuses on what is a church? It shows a dynamic of planting a seed into a soil to grow a tree. The planting team looses the identity the sending church and born again in the culture of the target group or network to grow as a new church or an expression. They both emphasize the locality or the indigenous culture. This ecclesiology is dissolution of ideal of Church, which may be mold or cloned to be a same type of churches. Newbigin has served as the bishop of the city of Madras in South India. He has designed the structure of a diocese and defined about the role of bishop, council, and committees. He has been involved in many social projects of WCC to help churches suffering from poverty. His concern has been always on the communities, villages and small congregations. It has been from his conviction that ‘the health of the whole depends on the health of the smallest unit’. The Mission-shaped Church support it with the ‘homogeneous unit theory’ to respect the context in church planting. Conversion without leaving village or culture is more preferred when people become Christians. It is better way to approach the people who are in their context than to ask them to leave their context to join in a Christian culture. The report adopts church planting and fresh expressions as a mission strategy to fill the holes in mobile and layered networks in the post-modern society. The report cites Newbigin four times when it describes theological bases of ecclesiology and church plating: 1) Kingdom of God is the essence of traditions of the Church; 2) enculturation as a principle of church planting; 3) pilgrimage Abraham as a model of Christian congregations and 4) Paul as a church planter. Four articles about Newbigin are examined. Nikolajsen notes Newbigin as a post-Christendom theologian who has described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hristendom and the need to be a missional community for mission today. Weston refers Newbigin as a post-modern theologian who has shown a way to be faithful to the story of salvation while refusing meta-narrative or neutral facts. Darrell of the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 describes the Christendom as the reductionist way of being church and recognize the contribution of Newbigin to the missional theology. Chung Seung-Hyon explores four theologians; Kraemer, Hoekendijk, Bosch, and Newbigin who have seek ways of mission in a context where Christians are surrounded by other competing faiths and religions. They point up the role of Church as a sacred model for the world rather than a safe refuge out of the world. They highly regard the ministry of lay to proclaim gospel in their daily life to manifest God’s love. There were a series of reports and articles in UK which represents denominations to be changed for mission: Breaking New Ground, A Church without Walls, Mission-shaped Church; From Anecdote to Evidence and Mission-shaped Methodism and Fresh Expressions. They share the idea of mis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hurch, and not to be excluded out of border of the Christendom. Christianity in the era of post-Christendom is at a margin. They are no longer at the center of the society. Fresh expressions and church planting is approaching the marginalized across the border of faithful and unfaithful. It is mission out of a margin to the margin. It is both challenge and chance to loose canopy, which protected the Christian communities. The two ideas of Newbigin and the report Mission-shaped Church forms a missional ecclesiology focusing congregations, which are emerging out of the context and witnessing gospel in the society. They are all in a watershed as Rowan has written in the preface of the report. The population of Christians in Korea shows they form one of mainstream in the society. Korean churches have not experienced Christendom yet, but some styles of them are to be close to the ‘come-to-us’ approach. The missional ecclesiology shows the mysterious process of change of the seed and the soil. There is neither matter nor form. They are to be transformed. The theology, worship and practice of churches are to be prepared to be melt down or dissolved and to give more spaces and grounds for healthy churches or expressions to be evolved, expecting strangeness from the new churches and expressions of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