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중의 법률관계에 관한 연구

        김일회 湖西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Legal Relations of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Ilhoi, Kim Major in Civil Law Department of law at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Cheon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Jongho Kim Ph.D & SJD) Every society has a family system. The word ‘family’ itself we apply to two different social units which are found in most societies. A clan is a group of people united by actual or perceived kinship and descent. Even if lineage details are unknown, clan members may be organized around a founding member or apical ancestor. The kinship-based bonds may be symbolical, whereby the clan shares a “stipulated” common ancestor that is a symbol of the clan’s unity. When this “ancestor” is non-human, it is referred to as a totem, which is frequently an animal. In this thesis, I argued 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The word clan is derived from clan meaning children or progeny but not family in the Irish language and Scottish Gaelic languages. According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the word was introduced into English around the year 1425 as label for the nature of the Scottish Highlands society. Clans in indigenous societies are likely to be exogamous, meaning that their members cannot marry one another. Clans preceded more centralized forms of community organization and government; they are located in every country. Members may identify with a coat of arms or other symbol to show they are an independent clan. A clan is a group of related families. The clan is more vague in its composition than the initial family. It is, so to speak, a broader halo around the family, still linked to and radiating from the family and sharing the same base. It is an extended circle that surrounds the family, which also finds its roots in the patriarch. In addition to the members of the initial family, it includes those relatives who for different reasons – marriages at different levels, travels to other areas, bad behavior, business necessities, etc – lost strong contact with the family life, but still remain a part of it and rely on it. The clan is in one way an irradiation of that initial family, and in another way, a protection for it. It makes an organic transition between the family life and the life of the population of a rural area or city. Some clans are patrilineal, meaning its members are related through the male line; for example, the clans of Armenia. Others are matrilineal; its members are related through the female line, such as in some Native American clans. Still other clans are bilateral, consisting of all the descendants of the apical ancestor through both the male and female lines; the Irish and Scottish clans are examples. Another example is the Jewish people defined mainly as the clan of descendants of one male ancestor (Jacob) and four female ancestors (Leah, Rachel, Bilhah and Zilpah). Whether a clan is patrilineal, matrilineal, or bilateral depends on the kinship rules and norms of their society. In different cultures and situations, a clan does not usually mean the same thing as other kin-based groups, such as tribes, and bands. Often, the distinguishing factor is that a clan is a smaller part of a larger society such as a chiefdom, or a state. In some societies, clans may have an official leader such as a chieftain or patriarch; in others, leadership positions may have to be achieved, or people may say that ‘elders’ make decisions. Examples include Irish, Schottish, Chinese, Korean, Japanese, Rajput and the Nair (Malayala Kshatriya) clans, which exist as kin groups within their respective nations. Note, however, that tribes and bands can also be components of larger societies. However, the early Norse clans, the aetter, are often translated as house or line. The Biblical ‘tribes’ of Israel were composed of many clans. Arab clans are sub-tribal groups within Arab society Ojibwa bands are smaller parts of the Ojibwa tribe or people in North America, as one example of the many Native American peoples distinguished by language and culture, most having clans and bands as the basic kinship organizations. In some cases more than one tribe recognized each other’s clans; for instance, both the Chickasaw and Choctaw tribes had fox and bear clans whose membership could supersede the tribe. Apart from these different historical traditions of kinship, conceptual confusion arises from colloquial usages of the term. In post-Soviet countries, for, example, it is quite common to speak of ‘clans’ in reference to informal networks within the economic and political sphere and this usage reflects the assumption that their members act towards each other in a particularly close and mutually supportive way approximating the solidarity among kinsmen. Polish clans differ from most others as they are a collection of families who bear the same coat of arms, as oppose to claiming a common descent. There are multiple closely related clans in the Indian sub-continent, especially south India. Nowadays, families should try to develop the custom of living in the same neighborhood, owning their homes rather than being tenants in apartments or having their houses mortgaged for life to banks. The clan should have the independence to do whatever it is capable of, and should only be controlled by the municipality or county when it goes beyond its own limits. What a clan is capable of? I think that even with the modern means of production clans can exist and play a role. They are able to manage their own resources in a way that they could easily be a familial, cultural, and professional unit. As a unit of this social-political reality, the clan lives as a small nation. In such an organic system, the personalities can be maintained: the personality of the clan, the personality of the family, and the personalities of each individual in the family. As the clan was made up of one-roof-house families, so the clans themselves were grouped into larger divisions. Many Korean clans called each of these ‘a group of sisters and brothers.’ Social scientists have adopted the old Greek term ‘phratry’ (meaning ‘a group of related families’) for these groupings of clans. The functions of the phratries were largely ceremonial-in games, in council, in ceremonies, and in funerals.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phratries grew out of the clans which comprised them. Since people were not allowed to marry anyone in their own clan, it was preferred, although not absolutely essential, that people marry outside their own phratry. Therefore, people’s father and mother were always of different clans and usually of different phra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problems related to clans and clan properties can be solved harmoniously in the middle of social evolution and in a way of respecting traditional custom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clan related legislative theories and the future of clans based on the original meaning of clans, related legal properties, foundation and termination, composition, the development of quasi‐clans, the original meaning of quasi‐clans, and the necessity for distinguishing between clans and quasi‐clan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a clan is a corporation without legal status for a juristic person, and limited its scope to the analysis and review of common laws related to clans centering on problems surrounding clans and the formation of legal principles for resolving disputes over clan properties. For this, I performed interpretive analysis and review, and legislative analysis and review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interpretive approach. To smoothly solving current clan related issues, National Congress shall be prepared appropriate statute including over the issues that I have ever discussed in this dissertation.

      • 직무 스트레스와 A형 행동유형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김일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For the past three decades, it has been widely recognised that occupational stress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on of the employees. A growing body of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occupational stress and stress-prone personality (type A behavior pattern) are closely related to increased risk of fatigu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occupational stress and type A behavior pattern to self-perceived fatigue among Korean white collar employees.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Of them, a total of 4,502 white collar employees were recruited. A structured-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s, job-related factors, health-related behaviors, type A personality trait, occupational stress (KOSS-SF), and self-perceived fatigue (MFS).I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occupational stress was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fatigue, and some domains of occupational stress had different effects on fatigue by sex (job demand, job insecurity and lack of reward for men, lack of reward, occupational climate and job demand for women), which means that occupational stress may play a different role in increasing the risk of fatigue by gender. In addition, people with type A behavior pattern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high level of fatigue compared to those with type B behavior pattern.This result suggests that occupational stress and type A behavior pattern might be determinant predictors of self-perceived fatigue. It is strongly required that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and to change type A personality into type B should be established.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표준화 전국 조사연구(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의 수행을 위해 표본추출된 전국의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30,146명(남자: 84%, 여자: 16%) 중 사무직 근로자 4,502명(남자: 68.2%, 여자: 31.8%)을 대상으로 직장 내에서 경험하는 직무내용 및 환경에서 발생되는 직무 스트레스와 인성적 특성 중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어 온 A형 행동유형이 근로자의 피로와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자료수집방법은 사업장을 방문하여 보건 및 안전관리자 등에게 연구의 취지를 알린 후 설문조사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응답자 직접 기입법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적 특성, 건강관련 요인, 7개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A형 행동유형, 그리고 피로 자각 수준에 대해 수집하였다.분석 결과, 특정의 직무 스트레스(직무 요구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등)는 근로자들의 피로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직무 스트레스의 하부 요인 중에서도 피로와 관련성을 보이는 요인이 남녀별로 상이하게 관련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남자의 경우는 직무 스트레스의 하부 영역 중 직무 요구, 직무불안정성, 보상부적절 등이 영향력이 높은 주요 스트레스 요인이었던 반면, 여자는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직무 요구도가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성별로 피로에 관여하는 직무 스트레스 하부 요인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함께 스트레스 상황에서 느긋한 성향을 보이는 B형의 사람들보다 다소 공격적이고 경쟁적이며 스트레스의 상황 하에서 과민하게 반응하는 A형의 행동유형의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에서 고위험 피로군에 속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객관적이고 구조적인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함께 스트레스의 상황 하에서 느긋하고 비경쟁적 성향을 보이는 B형의 사람들보다 경쟁적이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A형 행동유형의 사람들에서 고위험 피로군이 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上水道 漏水量 분석에 기초한 無效水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김일회 동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rapidly growing age so far, the most urgent task was to increase water supply because of the surge for the water demand. Thus we have not been able to cope with maintenance due to the financial problem. the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water resources for its increase of demand has been established. however, now the development of new water resources been restricted, and based on the region, absolute laking in water resources have been expected. Thus in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the leakage volume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wear and tear and breakage of water pipe for water supply facilities in real. However, by applying to the two places of drain-field in SeoSeok-Ri, Bukbang-Myeon within the district of HC group water supply, which is lack of maintenance for water pipe line because its difficulty for assessing the exact leakage spot, it made the leakage decrease through the maintenance of water pipe and examined the reduction volume before and after leakage repair and its cost reduction effect, as figuring out the reason for leakage, measuring compared flux and water pressure and exploring the leakage. In addition, it can be accessible to the leakage problem more easily through the leakage exploration business, which is the basic step for the production cutting to promote an systematic administration for water supply, by saving the budget wasted by a water leakage every year, and intend to provide the basis, which can contribute on the management of water supply to be able to operate and manage the facilities systematically.

      • 저염수의 RO 농축수에 대한 생물학적 처리 특성

        김일회 東國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water shortage became a serious global issue, water is no longer limitless resource and it became crucial resource which needs proper management. As a measure to cope with water shortage, water reuse is getting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ater resource conservation, environment protection and securing water- supply stability. In such context, the application of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in water reuse field is increasing recently. Especially, the reverse osmosis (RO) membrane originated from the seawater desalination process is widely used in recycling wastewater or reusing river water for industrial purpose. In the process of RO, generation of RO retentate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nitrogen is inevitable and it became the biggest issue in wastewater treatment or water reuse field. There are several methods available to treat RO retentate: evaporation by heating, however, requires high operation cost, and returning a certain amount of RO retentate back to previous process is sometimes adopted but does not provide fundamental solution. Therefore, study on the treatment of RO retentate is urgent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 most economic biological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RO retentate produced from the low-salinity water. Treatment efficiency and proces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load variation and temperature change were evaluate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RO retentate were identified and the nitrogen removal performance of biological process were evaluated through lab-scale tests. MLE and SBR processes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and their removal efficiency and dynamic factors were analyzed under the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HRT. Based on the lab-scale tests, SBR process was selec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moval efficiency. Then, a pilot plant was built, based on the dynamic factors and operation conditions drawn from lab-scale experience. Regarding the seasonality of RO retentate characteristic, the influent showed trends of high pollution load, low C/N, TBOD5/TCODCr and TBOD5/TCODMn ratio in dry season. Low C/N (BOD5 base) implies external carbon source is required for denitrification. The removal characteristic of organic matter differed by season: the effluent concentration and removal efficiency in summer were 8.28 mg/L and 48.06% respectively while those in winter were 12.98 mg/L and 40.31%. As for nitrogen, the effluent concentration and removal efficiency in summer were 13.03 mg/L and 62.54% whereas in winter they were 26.70 mg/L and 59.25%. Under certain conditions during the winter,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does not meet the legal standard of nitrogen discharge (20 mg/L or less). It is believed that it is due to the low vitality of microorganism and decreased reaction velocity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t least 10℃ of water temperature should be kept during winter to properly remove the high concentration nitrogen. SSUR, SNR and SDNR were drawn for the design of RO retentate treatment facility. The SSUR value during operation showed the range of 0.102 ~ 0.556 kg BOD5/kg MLVSS·day with the average of 0.269 kg BOD5/kg MLVSS·day. The SNR value varied within the range of 0.001 ~ 0.028 kg NH3-N/kg MLVSS‧day with the average of 0.0085 kg NH3-N/kg MLVSS‧day. The SDNR value showed the variation of 0.012 ~ 0.092 kg NO3--N/kg MLVSS·day while the mean was 0.042kg NO3--N/kg MLVSS·day. The empirical formula for the anoxic tank treatment process design was drawn as SDNR = 0.2514(F/Manoxic) + 0.0221. The SSUR and SNR values for the design of aeration tank turned out to be 3.5495(S0-S)/X + 0.0097 and 1.8103(FN/M) + 0.016, respectively. At present, process design in Korea for the RO retentate treatment process usually does not consider F/Manoxic ratio, and SDNR value is typically quoted from the literature. Now, it is believed that a new design is feasible for highly efficient RO retentate treatment facility, using the empirical formulae drawn from this study. When SBR process was applied to RO retentate, almost all water quality factors including T-N, SS and BOD5 met the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 however, CODMn sometimes exceeded the standard due to COD's low biodegradability. This feature suggests that proper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should be placed in parallel for the stable treatment of RO retentate, depending upon the characteristics of RO retentate.operation showed the variation of 0.102-0.556 kg BOD5/kg MLVSS·day while the average of it was 0.269 kg BOD5/kg MLVSS·day. The SNR value showed the variation of 0.001-0.028 kg NH3-N/kg MLVSS‧day; while the average was 0.0085 kg NH3-N/kg MLVSS‧day. The SDNR value showed the variation of 0.012-0.092 kg NO3--N/kg MLVSS·day while the average was 0.042kg NO3--N/kg MLVSS·day. Examination on the SBR process design in treating RO retentate based on pollutant removal behavior and dynamic factors was done. The empirical formula for the anoxic tank treatment process design was drawn as SDNR = 0.2514(F/Manoxic) + 0.0221. The SSUR value and SNR value for the design of aeration tank was drawn as 3.5495(S0-S)/X + 0.0097 and 1.8103(FN/M) + 0.016. At present, most process design in Korea for the RO retentate treatment process do not consider F/Manoxic ratio. Instead, they determine SDNR value by quoting previous study literatur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a new design method for highly efficient RO retentate treatment facility can be developed based on the drawn empirical formula. When SBR process was applied on RO retentate for the evaluation of site applicability of pilot plant, almost all water quality items including T-N, SS and BOD5 met the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 however, CODMn exceeded some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 because of COD component, which is difficult to biodegrad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proper physicochemical treatment considering the RO retentate characteristics should be done in parallel for the stable treatment of RO retentate.

      • 하느님 나라에 대한 구원선포 : 마르 1, 14-15절에 대한 역사비평적 성서연구

        김일회 수원가톨릭대학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예수의 복음선포가 갈릴래아에서 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전해주는 마르 1,14-15절을 중심으로 하느님 나라에 대한 도래 선포의 의미가 무엇인지 역사비평적 성서 연구 방법을 토대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 목적은 마르 1,14-15절에서 하느님 나라에 대한 도래 선포가 단순히 선교적 차원의 이해라는 측면이라기보다, 종말론적인 구원 은총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서 완전히 성취되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본고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에 들어가기 위한 인간의 응답이 무엇인지 본문 연구를 통해 살피고자 하였다. 예수의 갈릴래아 공적선포인 마르 1.14-15절은 복음저자의 집약문 형태이지만, 단순히 예수의 말씀과 행적을 요약 서술한 집약문이 아니라 예수의 공적선포에 대한 핵심적인 전언(傳言)으로 마르코 복음서의 총괄보도라고 할 수 있다. 즉 마르코 복음저자는 마르 1,14-15절에서 예수가 갈릴래아에서 공적으로 드러내어 자신이 선포의 주체이며 대상으로서 '하느님의 복음"을 선포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복음저자는 예수의 공적 선포를 세례자 요한과 비교함으로써 예수에 의한 구원의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명백히 드러낸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우선 연구본문에 대한 본문 비평을 살펴본 후, 문학 비평적인 접근을 통해 '본문의 세계', 즉 본문한정 근거와 구성 위치 그리고 본문구조에 대해 고찰하였다. 예수의 갈릴래아 공적 선포인 마르 1,14-15절은 예수의 직접적인 등장으로 시간적으로 세례자 요한 이야기와 명백히 구분된다. 또한 공간적으로 보면 요한의 활동 장소인 광야와 요르단 강가로부터, 예수는 본격적으로 활약할 갈릴래아로 돌아와 '하느님의 복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또한 마르 1,14-15절은 제자들의 소명이야기로 시작되는 1,16-20절과 달리 역동적인 선포문 형식의 주제이므로 후행본문과의 단절을 이룬다. 그러므로 1,14-15절은 서막(1,1-13)으로부터 예수의 갈릴래아 활동(1,16-8,21)으로 가는 전환적인 기능을 지니므로 본문한정의 근거가 된다. 그리고 연구분문의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면, 1,14절은 시간적인 단절을 통해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연속적인 구조형태를 지닌다(요한이 넘겨진 후 - 예수께서 갈릴래아로 가심 - 하느님의 복음을 선포함). 15절은 예수가 선포한 "하느님의 복음"이 무엇이라는 것을 다음과 같은 구조로 제시된다. (1) 예언적 공표 : <1> 때가 찼다 <2> 하느님 나라가 다가왔다 (2) 명령적 호소 : <1> 회개(회심)하라 <2> 그리고 복음을 믿어라 이러한 15절의 직접화법의 말은 두 행으로 되어 있으나 서로 분리시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일된 단일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마르코 복음저자는 15절의 직접적인 선포를 예수의 세례받음과 시험, 그리고 갈릴래아 선포 활동 상이에 놓음으로써 예수가 하느님 복음이 무엇인지 분명하고 확고하게 진술하였다. 공관복음 대조를 통해 살펴본 결과 마르 1,14-15절은 마태오나 루가보다 우선성을 지니며 두 복음서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예수의 갈릴래아 공적 선포를 기술하는 마태오와 루가가 현재 우리에게 전해진 마르코 복음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라기 보다 마르코 복음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자료를 토대로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해한 가장 유력한 근거는 마르코 복음서에서 중요한 용어로 쓰이는 ‘이 없다'라는 것이다. 만약 마태오와 루가가 마르코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면 이 단어를 고의적으로 삭제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마태오와 루가는 현재의 마르코 복음서를 자료로 쓴 것이 아니라, 마르코 복음저자에게 직접으로 영향을 준 전승자료를 갖고 서로 다른 형태로 작성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예수의 갈릴래아 공적선포는 구전으로 내려오던 것이 마르코 복음서 이전에 단편적으로 문서화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단편을 마르코 복음저자는 예수의 공적선포를 구전전승과 문서화된 전승자료를 토대로 체계화시켜 정식 문서화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예수의 갈릴래아 공적 선포의 내용인 하느님의 복음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인 마르 1,14-15절은 '예수의 직접적인 말씀'으로 그의 핵심적인 전언이다. 마르코 복음저자는 '하느님 나라(다스림)가 다가왔다'라는 말씀을 통해 예수의 인격 안에서 하느님의 나라(다스림)가 완성되고 성취되었다는 것을 과 결합시켜 전개하였다. 따라서 은 예수의 인격과 행위를 드러내는 구체적인 전언이라는 것이다. 본고는 마르코 복음 저자가 마태오나 루가와 달리 예수의 복음선포에 있어 단락 서두에 지리적 공간을 자주 사용하므로 '공간개념의 유형설정'(1,14절에서 갈릴래아를 언급)이라는 시안적인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즉 마르코 복음저자는 다른 복음 저자와 달리 공간이해를 중요하게 여겼던 이유는 예수의 활동에 대한 역동적 성격을 상세히 드러내기 위함에 있었던 것이다. 예수의 선포말씀인 마르 1,15절은 선포하고 촉구하는 선포자의 선언문 양식(예언자적-종말론적인 언사)이다. 선포자의 선언문 양식의 형태를 지닌 1,15절은 예수가 하느님 나라에 대한 구원의 메세지를 만방에 드러낸다는 것이다. 마르코 복음서에서 예수의 공간적 활동을 살펴보면, 복음저자는 단순히 갈릴래아를 지리적 장소로서 언급한 것이 아니라 복음선포의 활동무대로서 자신의 신학적 의도를 갖고 기술하였다. 즉 예수가 공적으로 드러내어 선포한 장소인 갈릴래아는 종교적으로,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소외된 지역이지만 '하느님의 복음'이 예수를 통해 역사 지평 안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며, 전세계로 복음선포가 전파될 거점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마르코 복음서에서 단락들의 서두에 병행하여 나오는 갈릴래아에 대한 공각적인 틀은 복음저자에 의해 단순히 지리적 배열이나 상징적 의미라기보다 마르 16,7절과 결합된 역사적이고 신학적 의미를 지닌 공간 개념의 유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선포자의 선언문 양식이라는 마르 1,15절은 팔레스티나의 급박한 정치질서(유대전쟁의 상황) 하에서 이해될 수 있으므로, 헬레니즘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삶의 자리로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유대 묵시적 상황에서 이해될 수 있다. 즉 1,15절은 선포를 통해 드러나는 촉구라는 측면에서 묵시론적인 언사의 형태를 지닌 선포자의 선언문 양식인 것이다. 1,15절은 구약 전승과 유대 묵시문학적인 배경 하에서 올바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하느님 나라에 대한 도래'를 선포하는 예수의 언사는 구약의 예언 가운데 나타난 다윗의 영원한 통치(다스림)가 예수의 인격 안에서 성취된 것이다. 예수의 선포는 미리 종말론적인 대망사상을 지닌 유대이즘이나 단순히 국수주의적인 정치적 왕에 대한 도래를 강력히 요청하는 혁명당원들과는 달리 예수 자신이 구약의 약속이 성취되어 도래한 메시야로서 이스라엘 민족만의 구원자가 아니라 전인류를 구원하신 것이다. 즉 예수의 하느님 나라(통치) 선포는 모든 인간들에게 대한 구원의 보증으로서 그의 인격 안에서 성취된 하느님의 통치가 이미 이루어졌지만 미래의 전망에서 완전히 성취될 것이다. 그리고 마르 1,14-15절은 구약에서 직접적인 전승을 찾아볼 수 없지만, 본문구조나 형식면을 볼 때 전승적인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즉 구원의 선포(15b절)와 회개와 믿음에 대한 강력한 촉구(15c절)로써 '하느님 나라에 대한 묵시적인 종말론적 선포자 선언'임을 구약 전승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그러므로 마르 1,14-15절은 헬레니즘적인 영향을 받아 작성된 원시 그리스도교의 선교 용어라기보다는 묵시적인 사상에 깊이 연관된 팔레스틴 전승에서 깊이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것은 에 대한 마르코 복음저자의 사용에서 쉽게 발견된다. 이 용어는 마르코 이전의 문서인 바울로 서간에서 자주 언급된다. 그러나 바울로는 원시 그리스도교의 선교용어로서 '선포의 행위나 내용'으로 구원의 기쁜 소식을 의미하지만, 마르코 복음저자는 예수 자신이 '기쁜소식'이며, 이 '기쁜소식'의 선포자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르코 복음저자에게 은 왕의 등극식이나 출생을 알리는 기쁜 소식이라는 헬레니즘적인 의미라기보다 '종말에 대한 구원의 기쁜 소식'이라는 '하느님 나라(다스림)에 대한 기쁜 소식'인 구약전승(이사40,9: 52,7: 61,1등)을 받아들여 '자기 언어화'(구약에는 이 동사에 대한 명사 사용이 없다)시켜 작성한 것이다. 은 원시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선교와 신앙고백적인 용어이지만 (1데살 2,2.8: 2고린 11,7: 로마 1,1등), 마르코 복음서에서 이 개념은 바울로의 영향에 의해 사용된 것이 아니라 '하느님 나라의 기쁜 소식'이라는 팔레스틴 전승을 마르코 저자의 편집에 의해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더 많다. 그러므로 은 예수 그리스도이라는 것이며, 예수의 복음선포는 이스라엘 민족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종말론적인 사건으로 모든 민족들에게 확장된 것이다(마르 13,10: 마태 24,14). 즉 이스라엘 민족에게 선포된 하느님의 복음은 전세계에 선포되었고, 모든 믿는 이들에게 구원의 기쁜 소식인 것이다(마르 16,15). 공관복음에서 ''는 현재적 표징과 미래적 표징이라는 이중적 구조를 동시에 지닌다. 즉 는 현재와 미래의 양태를 모두 지니지만, 예수의 말씀과 행적 안에서 이미 시작되었으며 미래에 완성된다. 즉 하느님 나라의 미래는 현재에 있어서의 하느님의 부르심이며 현재는 하느님 나라의 미래의 빛 아래 있는 결단의 시간이다. 그러므로 하느님 나라(통치)는 미래에 구체화되지만 이 미래는 우리의 현재를 결정한다. 우리를 하느님과 그의 통치 앞에 놓기 위해서는 '회개'와 '복음에 대한 믿음'이 요청된다. 예수의 갈릴래아에서의 공적선포인 마르 1,14-15절에 대한 저자의 편집적인 의도를 살펴보면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관계가 매우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우선 본문의 전후 문맥을 중심으로 복음저자의 편집의도를 보면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1,1)'으로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뜨거운 열정을 담고 마치 포문을 여는 듯한 인상을 준다. 그리고 우리는 복음저자가 세례자 요한의 활동(1,2-8)이 예수의 활동(1,9-11)으로 차츰 전환시켜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광야에서의 유혹 이야기는 마태오나 루가와 같이 예수의 고난 체험이라기보다 하느님 나라에 대한 종말론적인 장면을 묘사한다. 따라서 복음저자는 마르 1,1-13절에서 예수는 하느님 나라에 대한 선포자임을 드러내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으며, 하느님 나라가 무엇인지를 암시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암시는 마르 1,14-15절에서 하느님 나라에 대한 구원선포가 예수의 인격 안에서 이루어졌고, 인간의 응답이 무엇인지 설명하였던 것이다. 즉 마르코 복음저자는 우리들이 구원의 문에 들어가기 위해 '회개(하느님께로 돌이킴)'와 '복음(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

      • 육상오염원이 강릉시 패류생산해역에 미치는 세균학적 영향

        김일회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oduction, consumption and exportation of Korean fishery products has increased every year since 1990. For this reason, the shellfish growing area is increasing in Korea.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shellfish is very important in the shellfish growing area because the shellfish growing area is often effected by land pollutant sources, domestic water and stream wat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land pollutant sources on the seawater and shellfish in shellfish growing area at north sea area and south sea area of Gangneung-si in East sea, Korea by rainfall. The total 43 samples (15 samples of land pollutant sources, 24 samples of seawater and 4 samples of shellfishes) were collected from north sea area (Jumunjin-eup) to south sea area (Okgye-myeon), Gangneung-si in East Sea, Korea. The coliform group, fecal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were analysed. The range of coliform group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at the day before rainfall were 54~35,000 MPN/100 mL, 6.8~70 MPN/100 mL and 230~390 MPN/100 g respectively.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at the day before rainfall were 22~6,200 MPN/100 mL, <1.8~34 MPN/100 mL and 62~70 MPN/100 g respectively. The range of E. coli in shellfish at the day before rainfall was 35~54 MPN/100 g. The range of coliform group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110~54,000 MPN/100 mL, 20~180 MPN/100 mL and 2,200~5,400 MPN/100 g, respectively. The range of fecal coliform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49~17,000 MPN/100 mL, <1.8~79 MPN/100 mL and 700~1,300 MPN/100 g respectively. The range of E. coli in shellfish at 1st day after rainfall were 160~280 MPN/100 g. The level of coliform group, fecal coliform and E. coli in land pollutant sources, seawater and shellfish were increased sharply at 1st day after rainfall compare to the day before rainfall. And then, slowly decreased at 3rd day after rainfall, and recovered as level before rainfall at 5th day after rainfall. The bacteriological level of seawater and shellfish was affected by level of fecal coliform and radius of half circle in land pollutant sources. Therefore, if the level of fecal coliform and radius of half circle in land pollutant sources increases, the level of fecal coliform of seawater and shellfish increases, too.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bacteriological management of shellfish growing area from land pollutant sources at rainfall time and rainy season.

      • Omeprazole에 의한 위내 산도 감소에 따른 Helicobacter pylori 제균율의 변화

        김일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ton pump inhibitor(PPI)제재는 H. pylori 제균요법에 병합된 항균제의 활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H. pylori 제균효과에 관련되어 이견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건강성인을 대상으로 무작위 전향적 이중 맹검 연구를 시행하여 오메프라졸 투여에 따른 위내 산도변화가 H. pylori 제균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과 동시에 in vitro에서 H. pylori 배지 내 산도변화에 따른 아목시실린의 최소억제농도(MIC)를 측정하여 임상에서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건강성인 30명을 무작위로 OA군(n=14)과 PA군(n=16)으로 구분하여 OA군에는 2주간의 오메프라졸(20mg, b.i.d.)과 아목시실린(750mg, b.i.d.)을 처방하였고 PA군에는 2주간의 위약과 아목시실린(750mg, b.i.d.)을 처방하였다. 투약 전과 투약 1주 후 24시간 위내 산도와 공복 혈청가스트린 농도를 측정하고 이상반응에 대한 설문을 통해 약물의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약물 투여 시작 후 6주째에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를 통해 CLO 검사, 조직검사 및 배양검사가 모두 음전된 H. pylori 제균 및 H. pylori 의 증식 억제를 양적으로 판단할 목적으로 CLO 검사 또는 조직검사 한 가지에서만 음전이 된 경우와 제균된 경우를 합한 억제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피험자로부터 조직을 채취하여 in vitro에서 배지 내 pH의 변화에 따른 아목시실린의 최소 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약물 투여 전후 비교한 위내 산도 검사상 OA군에서는 위내 pH가 증가하였으나(p=0.002) PA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p=0.966). 약물 투여 전 후 3가지 위내 산도 측정 지표의 변화량은 PA군보다 OA군에서 각각 의미있게 증가하였다(p<0.001). 약물 투여 후 H. pylori의 제균율과 억제율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675 및 p=0.122). OA군에서 H. pylori 제균 여부에 따른 위내 산도 측정 지표들의 변화량은 모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OA군에서 H. pylori가 억제된 피험자에서 억제되지 않은 피험자보다 pH 4이상 %시간(pH가 4이상으로 되는 시간의 백분율)의 중앙값이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32) 24시간 위내 pH의 중앙값과 야간 위내 산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 vitro 에서는 배지 내 pH의 증가에 따라 아목시실린의 최소억제농도가 감소하였다(r=-0.98, p=0.01). 이상의 결과로, in vitro에서 배지 내 pH의 증가는 아목시실린의 최소억제농도를 감소시켜 H. pylori 제균에 영향을 미치나, in vivo에서 오메프라졸에 의한 위내 pH 증가는 H. pylori 제균율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The mechanism of proton pump inhibitors(PPIs) on the antibiotic activity has not yet been elucidated.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omeprazole's gastric acid secretion on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H. pylori) using randomized prospective double-blind clinical trial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acid inhibition on the H. pylori eradication in vivo and in vitro. Thirty healthy volunteers with endoscopically proven H. pylori infection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OA group (n=14); 2 weeks omeprazole (20mg, b.i.d.) plus amoxicillin (750mg, b.i.d.) or PA group (n=16); 2 weeks placebo plus the same antibiotic. The H. pylori status was assessed at baseline and at 6-week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Intragastric pH and serum gastrin level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t 1-week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In vitro,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MICs) of amoxicillin were assessed at the different pHs of media. Intragastric pH increased significantly in OA group (p=0.002), however, parameters after 1-week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01). The eradication rate of H. pylori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675 and p=0.122). In OA group, three intragastric pH parameters tended to be higher in the H. pylori eradication group than the non-eradication group, but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3 parameters of intragastric pH, the median % time of pH>4 showed higher in H. pylori suppression group than in non-suppression group (p=0.032). MIC of amoxicillin decreased with pH increment in vitro (r=-0.98, p=0.01). In conclusion, intragastric pH increment using omeprazole might increas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amoxicillin, however, did not change the eradication rate of H. pylo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