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문화적 내용 분석

        김선아 호남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개정된 7차 교육 과정에 따라 새로 만들어진 교과서가 교육 과정에서 요구하는 여러 가지 학습목표를 충실하게 반영하였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교과서의 바람직한 내용 구성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교과서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 및 관련된 문헌을 살펴보았고, 둘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 내용 중 단원 구성, 의사 소통 기능과 언어소재 및 표현, 어휘, 수업활동(챈트와 노래, 게임), 언어 기능 등을 6차 교육 과정에 기초한 교과서와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생각 및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에 대한 실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6차 교육 과정에 기초하여 사용되었던 교과서와 7차 교육 과정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초등학교 3, 4학년 교과서를 분석하였고, 광주광역시내의 28개 초등학교에서 현재 3, 4학년 영어를 담당하고 있는 담임교사와 영어 전담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 분석은 질문을 여러 항목으로 나눠 각 항목에 대하여 통계프로그램(SPSS)을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단순 빈도 분석으로 하여 통계와 백분율 및 Chi- square 검증을 통해 유의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교과서 분석과 설문 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단원 구성 방식은 듣기와 말하기의 음성 언어 기능을 동시에 중요하게 다루면서 유의미한 반복 학습이 일어나도록 구성되었다. 둘째, 의사 소통 기능의 모든 항목을 고르게 사용하려고 노력하였지만 3학년에서는 지적 태도 표현 범주, 4학년에서는 사실적 정보 교환 범주의 의사 소통 기능이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소재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이야기, 가정 생활, 학교 생활 및 교우관계만 주로 제시되어 다양하고 흥미롭지 못하였다. 넷째, 총 어휘수는 3, 4학년 모두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기준에 부합되었다. 그러나 차시별 신출 어휘는 2~9개로 시간당 배워야 하는 어휘의 수에 차이가 많았다. 다섯째, 수업활동은 게임, 챈트, 노래 및 역할 놀이 등 모든 수업기법이 골고루 사용되었다. 여섯째, 언어 기능은 3학년에서는 음성 언어인 듣기와 말하기만 지도하고 4학년에서 알파벳 수준의 읽기를 도입하고 있다. 즉 듣기와 말하기의 음성 언어 위주로 소개되었다. 일곱째,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실시 여부를 묻는 질문에 81.9%가 “아니오”라고 응답하였다. 실시를 못하는 이유로는 수업 시간 수 부족,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에 적용할 예시의 부족, 학생들을 능력별로 나누는 기준이 애매해서 등이 있었다. 여덟째, 7차 교육 과정에서 가장 변화된 것이 의사 소통 기능→단원 구성→언어 기능→언어 소재→어휘 순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 과정에 따른 3, 4학년 영어 교과서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는 다양한 의사 소통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4학년 교과서에는 3학년에서 다루어졌던 기능 외에 여러 기능이 추가되었으면 한다. 예를 들면 음식 권유, 습관이나 경험 말하기, 확신이나 허락, 의견 표현, 길 안내, 전화하기 및 받기, 감정 표현, 영어로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기능 등의 의사 소통 기능이 첨부되어져야 한다. 둘째, 소재가 더 다양해야 한다. 즉 외국인 친구의 일상생활, 교양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 심미적 심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 우리 고유 문화(명절, 전통놀이), 정서 순화와 합리적 사고력 배양에 도움이 되는 내용 등을 다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분류 기준과 적용할 수 있는 더 많은 활동의 예시가 보충되어야 한다. 넷째, 교과서에 학습자로 하여금 외국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문화에 대한 개인적 시각과 이해의 폭을 넓히고 세계시민으로서의 적응력과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문화’에 대한 예시 및 부연 설명이 더 많이 제시되어야 한다. 후속 연구로는 7차 교육 과정에 따른 교사의 수업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연구 관찰이 병행되어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for the third and forth graders in 2001 in the framework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to suggest a better method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textbooks. The research procedure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previous study about elementary English textbook analysis and theoretical aspects of the textbook analysis were reviewed. Second, the third and fourth grade English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sed in terms of unit construction, communicative functions, topics, language expressions, vocabulary, teaching activities(chant, song and games) and language skills. Third, a survey was conducted to look at teachers' opinions of the textbooks and to look at how they implement the level - based lessons for the students of advanced groups and remedial groups in a classroom by using the newly published textbooks ba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A survey was given to 200 homeroom teachers and English only teachers who teach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in 28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e responses to the survey question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item are shown by a simple frequency and by percentage.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bout th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language skills are focused on oral language skills of listening and speaking and are formatted in a repetitive manner. Second, various communicative functions are not contained. The third grade textbook deals with functions about intellectual attitude and the fourth grade textbook covers functions related to information exchange. Third, topics usually deal with friendly themes: friendship, school life, family, students' favorite stories (folk tale and a foreign tale), animals, fruit, weather, body, food and sports, but they are not various or interesting. Fourth, unit vocabulary follows the guideline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in the curriculum but the number of new vocabulary has big difference for each unit ranging from two to nine. Fifth, activities used in the textbooks are games, chants, songs and role-play. Sixth, language skills are mostly on listening and speaking in the third grade and reading is introduced in the fourth grade. Seventh, 81.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o" to the question where they are implementing level-based lessons. Eighth, the most improved aspects of the seventh curriculum are answered in the order of communicative function, unit construction, topics and vocabular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hanges are suggested for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 English textbooks fo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irst, textbooks should contain more various communicative functions than they have. The fourth grade textbook must include functions which aren't introduced in the third grade one. For example, offering of food, their daily lives, conviction or permission, giving opinions, guides, giving directions, and telephone conversation. Second,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topics. For example, daily life of a foreign friend, how to cultivate oneself, how to raise a esthetic nature, a Korean traditional art(a national holiday, traditional play), how to purify an emotional expression and increase reasonable thinking. Third, teachers' books should be supplied with many examples of teaching activities which are categorized for advanced group and remedial group in a cla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level-based lessons and the use of the textbooks published on the seventh curriculum. Fourth, textbooks should introduce "western culture" to develop a knowledge about a foreign culture. To advance this research I suggest that the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classroom observations about the lessons in which the textbooks are used and the seventh curriculum is implemented.

      • 바로크와 고전주의시대의 푸가 비교 분석: 바흐의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 BWV 903>와 베토벤의 소나타 Op.110 3악장을 중심으로

        김선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필자의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피아노 독주회 연주곡목 중 바흐의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 BWV 903>와 베토벤의 소나타 Op.110 3악장에 등장하는 푸가에 관한 연구이다. 바흐는 과거 선법에서 벗어나 평균율에 의한 조성을 기반으로 푸가를 최고의 예술적 경지로 완성시켰다.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는 바흐가 쾨텐에서 착수하여 라이프치히 시기에 완성된 대작으로, <평균율곡집>에서 보여준 교육적 수준을 넘어 전문연주가로서의 화려한 기량이 발휘되었다. 주제와 응답, 그리고 각 엔트리 사이에 삽입된 장황한 에피소드는 주제부에 대비되는 뚜렷한 독립성을 유지하며, 엄격하고 논리적인 푸가 작법에 환상적이고 기교적인 장식을 덧입혔다. 베토벤의 소나타 Op.110 3악장은 ‘서주 - 아리오소I - 푸가I - 아리오소II - 푸가II’로 이어지는 독특한 형식미로 유명하다. 아리오소와 푸가에 의한 에너지의 선연한 명암 대비가 극적으로 성취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베토벤 말년의 명상적이고 초월적인 예술세계가 반영된 결과물이기도 하다. 같은 주제를 공유한 두 개 푸가는 유기적인 관계에 있으면서도, 동시에 꽤 상이한 양상으로 전개된다. 베토벤이 바로크시대의 푸가를 학습하여 어떻게 자기만의 음악언어로 발전시켰는지, 절실한 창작의 고뇌가 그의 푸가에는 어려 있다. 본 연구는 푸가를 역사 및 이론적으로 간략하게 개론하고, 대표작을 통해 바흐와 베토벤의 푸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을 다시금 비교분석함으로서 바로 크와 고전시대에 있어 푸가가 변모된 미학에 대해 해석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 지역축제가 지역농산물 수요에 미치는 영향분석 : 화천 토마토축제를 중심으로

        김선아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WTO, DDA와 같은 농산물 협상을 통한 시장개방으로 농촌의 경제는 더욱 침체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축제가 농촌지역의 활성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지역축제의 경우 정기적으로 개최되어 방문객에게 지역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로 잠재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축제에 대한 수요층과 성향 등을 파악하고 지역 농산물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후 잠재적 수요를 예측하여 축제를 통한 지역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논문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여행객들이 많은 시점과 강원도 내에 이루어지고 있는 화천 화악산 토마토 축제를 선정하여 임의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였다. 지역축제나 환경만족도와 방문만족도 등 이와 같은 것은 비시장재화로 가치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비시장가치평가법 중 여행비용평가법과 가상가치평가법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총 167개의 설문지를 토대로 추정한 결과 개선사항 항목이 많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화천의 농산물 구입의향액수가 적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숙박을 하지 않을수록, 가족을 동반하지 않을수록, 화천방문 횟수가 많을수록, 화천의 자연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화천방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화천의 농산물 구입의향액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에 따라 수요곡선을 도출한 결과 평균만족도(4.3)와 평균자연환경만족도(4.6)의 수요곡선에 따른 평균 1인당 구입의향액수가 20,900원~21,867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액수는 지역 농업인들이 목표로 삼아야 할 수치이며 동시에 지역에서 농산물 판매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Believed is, generally, local festivals could activate local economy through increase of tourists, and would be an significant event to achieve economic growth in rural areas. This is based on a simple and very naive assumption which all the tourist would spend their money in local festivals and related markets. If this assumption is correct, then the local economy will be grown up. Unfortunately, any scientific test on this, however, has not been done y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ill be to identify 1) whether or not participants of the local festival would influence on the purchas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2) which variables, if so, would be their significant factors, and to derive the target expenditure that tourists would be willing to spend. The selected local festival is the Mt. HwaAk Tomato Festival (HTF) in Hwacheon-Gun. Survey questionnaires were applied by the travel cost method (TCM) mixed with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ourists in HTF were surveyed by person-to-person interviews with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sample size is 167. The study results show that willingness to purchase the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ppears to decrease as their incomes and the number of requirement for correction increase. In contrast, willingness to purchase the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urn out to increase as their ages and the number of their Hwacheon visits increase, the scales of satisfaction with natural environments in Hwacheon and it's visit become higher, and in non-overnight stay and non-family participants. With derived demand curves of satisfaction scale, the willingness to purchase the local agricultural products were calculated to be 20,900won and 21,867won according to 4.3, (5 point scale) average satisfaction scale of Hwacheon and 4.6, average satisfaction of natural environment in Hwacheon. Such amount of willingness to purchase the local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be a target expenditure that local farmers will try to take out of tourists and a preponderous economic indicators for the local agricultural policy-making.

      •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선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음악교수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2)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C도 N시에 소재한 공립단설유치원 만 5세 유아 60명으로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을 무선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들 간의 연령, 거주지역,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대한 사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을 동질집단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처치는 2006년 6월 5일부터 7월 1일까지 4주간 매주 4회씩 총 16회를 각 반 담임교사가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음악교수방법을 통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는 유아의 음악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 가이던스에서 제작한 음악성 검사의 하위영역 ‘강약’, ‘리듬’, ‘고저’, ‘음색’, ‘화음’, ‘감상’ 영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고,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박혜원, 곽금주, 박광태(1996)가 번안하여 한국화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의 언어성 검사 중 하위영역 ‘상식’, ‘이해’, ‘산수’, ‘어휘’, ‘공통성’ 영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사전&#8228;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SPSS 10.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별 차이를 t검증으로 비교&#8228;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교수방법을 통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전체음악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음악능력의 하위영역인 ‘음색’, ‘화음’, ‘감상’영역의 점수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약’, ‘리듬’, ‘고저’영역의 점수에서는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음악교수방법을 통한 노래 부르기 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전체언어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언어능력의 하위영역인 ‘상식’, ‘이해’, ‘산수’, ‘어휘’, ‘공통성’영역의 점수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이 기존의 일반적인 음악교수방법을 통한 노래 부르기 활동보다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선형변환에 관한 연구

        김선아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linear transformation and matrix, and it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Secondly, we consider that a geometrical plane figure in the present mathematics curriculum of the highschool can be changed into matrix, and furthermore we display that linear transformation can be expressed in a graphic chart. Especially, questions which are related to linear transformation are not only being used in various branches of mathematics but also being dealt in the field of computer graphic.

      • 다양한 발성법에 따른 가창영역 지도방안연구 : 2009개정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선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통신과 교통의 발달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살아가고 있다. 학교 음악 수업에도 이러한 시대적 상황이 반영되어 이전에는 순수음악과 국악을 중심으로 지도 하였지만, 2009개정 교육과정의 음악교과는 순수음악과 국악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민요와 대중음악 까지도 지도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따라 가창지도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교과서에는 순수음악에 사용되는 성악가들의 발성법에 관한 학습 자료만 제시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각기 다른 장르에 맞는 발성으로 가창을 지도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다양한 발성법과 지도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목소리가 나오는 원리에 대해 호흡, 성대, 공명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순수음악에서의 발성은 벨칸토창법을 기초로 하며, 호흡조절법과 소리를 공명시키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대중음악에서는 진성·흉성·두성 그리고 가성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연습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지도안에서는 진성·흉성·두성을 곡의 분위기에 따라 잘 배합하여 부르는 가수들의 발성을 분석하고 따라하여 자신에게 맞는 발성법을 찾도록 유도하도록 연구 하였다. 그리고 국악에서는 민요를 중심으로 연구 하였으며, 단전에서부터 끌어 올리는 창법인 통성에 대해 설명하고, 가장 큰 특징인 꺾는 목과 떠는 목 연습방법을 연구하였으며 학생들의 이해하기 쉽도록 신체 동작을 이용한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세계 민요에서는 중국과 몽골의 특유의 발성법을 간단히 소개하고, 스위스 민요인 요들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요들송은 진성과 가성이 교차 되면서 특유의 꺾는 소리가 나오는데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악보에 기호를 그리는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In the present, we are living while experiencing various cultures due to developments of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Since such timely situation is applied in the school's music class, alth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taught in classes before, the music subject of the education course revised in 2009 guides to teach not only the classical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folk music of various other countries and popular music as well. Due to this revision, changes are also required in vocal lessons. Until now, the textbook presents learning materials only on vocal methods for singers used in the classical music. Therefore, since the necessity to teach singing with vocals fit to various individual genres is sensed, various vocal styles and teaching methods are studied. First, the principle to make the vocal sounds is reviewed by classifying with the breathing, the vocal chord and the resonance capacity. Next, for the vocal in the classical music, methods for breath control and vocal resonance are studied based on Bel Canto.- 66 - And, for the popular music, the modal voice, the chest voice, the head voice and the falsetto are explained, and practice methods for each individual voices are presented. In the teaching-lesson plan, the study is conducted to guide students to analyze and follow vocals of singers who mix the modal voice, the chest voice and the head voice well for each song's mood are analyzed so that they can find vocal styles fit to themselve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tudy is focused on folksongs while 'Tong Seong' the singing style pulling sounds from Danjeon or the lower part of abdomen is explained and major practise methods for characteristics, the sharp change and the vibration at the vocal chord, are studied along with the research on the lesson plan using the body movement for students' easy understanding. Finally, for the world folksongs, unique vocal styles in China and Mongolia are briefly introduced, and the study is conducted focusing on yodel songs, folksongs of Switzerland. In yodel songs, the unique voice is produced by exchanging the modal voice and falsetto. And, for such voice, a lesson guide that draws sings on music notes for students' easy understanding is studied.

      • 배우의 인물창조 과정에서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활용 방안 연구 : 연극 <고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선아 한국예술종합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n empirical study to verify how effective the character analysis using the Enneagram is for the actor's character creation process. This study first starts with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 about the difficulties and errors that may appear in the actor's character creation process. This researcher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re-performance works, which had a very short preparation process for the performance. Most of the participants except for this researcher were actors with premiere experience, the practice period was very short, and there were problems with directing and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which caused difficulties in character analysis. This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that it is an essential element in solving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practice process. Later, while contemplating the methodology for effective analysis in the character creation process, I learned about the Enneagram personality analysis method, and used it to think about an effective method for analyzing characters.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is researcher, it is examined that character analysis, which is an essential process that actors must perform in the character creation process, can be carried out more efficiently using Enneagram.Enneagram shows the phenomenon that 'basic fear' formed in infancy creates 'basic desire', and the fears and desires located within humans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Defined as human personality. For this reason, Enneagram can be usefully used to consistently analyze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that changes during the play, and I think it is a personality analysis method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guidelines for actors who are not mastered in character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is researcher, we will look at errors that actors can easily fall out of in the process of analysis, and then, we will examine the concept of Enneagram and how personality analysis using Enneagram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actors' characters. After that, focusing on the case of reporter Han Gyu-jin in the theater <The Pain Place> in which this researcher participated as an actor in 2020, we will verify how the Enneagram was used in the actor's character analysis process. In conclusion, the above process is summarized, and the possibility, effect, and significance of Enneagram's personality analysis method for analysis in the actor's character creation process are discussed. 본 논문은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인물 분석이 배우의 인물창조 과정에 얼마나 유효한지를 검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먼저 배우의 인물창조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어려움과 오류에 관하여 연구자 본인의 경험을 기반으로 출발한다. 연구자는 공연 준비과정이 매우 짧았던 재공연 작품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 본인을 제외한 참여자들 대부분이 초연 경험이 있는 배우였다는 점, 연습 기간이 매우 짧았다는 점, 그리고 외국인 연출과 소통의 문제도 있었던 점 때문에 인물 분석에서 어려움이 발생하였고, 배우에게 있어서 탄탄한 인물 분석이 앞선 연습과정에서 생겨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는 인식을 하게 되면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후 인물창조 과정에서 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을 고민하던 중, 에니어그램 성격 분석법에 관하여 알게 되었고, 이를 활용하여 인물을 분석하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물창조 과정에서 배우가 수행해야 하는 필수적인 과정인 인물 분석을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을 본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에니어그램은 유아기에 형성되는 ‘기본적인 두려움(Basic fear)’이 ‘기본적인 욕망(Basic desire)’을 만들고, 이렇게 인간 내면에 자리 잡은 두려움과 욕망이 주변 환경과 상황에 따라 여러 양태로 발현되는 현상을 인간의 성격이라 정의한다. 이런 이유로 에니어그램은 극 중 변화하는 인물의 성격을 일관되게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인물 분석에 숙달되지 못한 배우에게 적절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는 성격 분석법이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분석의 과정에서 배우가 쉽게 빠질 수 있는 오류에 관하여 본인의 경험을 기반으로 살펴보고, 이후 에니어그램의 개념과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성격 분석이 배우의 인물 분석 과정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이후 본 연구자가 2020년 배우로 참여한 연극 <고역>의 한규진 기자 역 사례를 중심으로 에니어그램이 배우의 인물 분석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는지를 검증한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위의 과정을 정리하고, 배우의 인물창조 과정에서 분석을 위한 에니어그램의 성격 분석법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 의의에 관하여 정리한다.

      • Multiplex PCR을 이용한 가공식품 내의 유전자 재조합 옥수수와 파파야의 검출

        김선아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전자 재조합 작물은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하여 발전해왔다. 최근 전 세계 식품 시장에서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식품이 생산되어 왔다. 유전자 재조합 작물의 표시제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도입된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event-specific 검출 방법의 정립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 내의 유전자 재조합 옥수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4개 국가(한국, 미국, 일본, 중국)로 부터 옥수수 가공식품을 구입하였다. 가공식품의 genomic DNA는 silica spin column kit 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Mutliplex PCR법은 한 번의 반응으로 4개의 유전자 재조합 옥수수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도록 확립하였으며, event-specific primer는 4개의 유전자 재조합 옥수수 (MON88017, MIR162, LY038 and Event 3272)를 각각 구별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PCR을 통해 증폭된 산물은 agarose gel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옥수수의 내재유전자(zSSIIb)는 모든 가공식품 시료에서 확인을 할 수 있었고 몇몇 가공식품에서는 유전자 재조합 옥수수가 혼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 unapproved GMO인 GM papaya event 55-1 에 대한 생과일과 가공식품에서 혼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성 PCR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우선 papaya의 endogeneous gene 인 papain 에 특이적인 primer(papain SS11F/R) 쌍을 제작하여 파파야를 포함한 13개의 작물에 대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파파야에 특이적으로 증폭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M event 55-1 파파야의 genome과 T-DNA flanking region 사이를 증폭시켜 다른 파파야 품종과 구별할 수 있도록 제작한 event-speicific primer(LB 55-1 SS3F/R) 쌍은 다른 GM event 13 종과 event 55-1을 함께 PCR을 수행한 결과 55-1 에만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두 primer 쌍을 이용하여 GM 파파야인 event 55-1의 duplex PCR을 확립하였고, 이를 파파야 생과일과 가공식품인 건파파야와 통조림에 적용하여 미승인 GMO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recombinant DNA technology. In recent years, foods have been produced by genetic engineering technology on the world food market. To execute labeling and traceability requirement of GM organism for trade and regulation,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event-specific detection method for monitoring the presence of transgenes. In this study, to monitor GM maize in processed foods, we purchased various samples from 4 countries (Korea,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such as snack, soup, sweet corn and bread. The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rocessed foods with a silica spin column kit.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was developed to simultaneously detect 4 events of GM maize within a single reaction. The event-specific primers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following 4 events of GM maize (MON88017, MIR162, LY038 and Event 3272). Amplified products could be discriminated by agarose gel based on their different lengths. The results indicate that endogenous gene (zSSIIb) was detected in all samples, and we also detected some GM maizes in several processed foods. A qualitative PCR analysis using duplex PCR was developed to detect genetically modified (GM) papaya event 55-1, an unapprove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in Korea out of fresh papaya and papaya processed foods. The PCR product, using a set of primers specific to papain, an endogenous gene in papaya was obtained only from papaya genomic DNA, indicating the gene is specifically encoded on the genomic DNA of papaya. . The primer pair (papain SS11F/R) with 108 bp amplicon was used for amplification of the papaya endogenous gene, papain and no amplified product was observed from 13 different plants as templates. Moreover, another qualitative PCR using an event-specific primer pair was capable of specifically amplifying the target region of GM event 55-1 among fourteen GM events. For the qualitative PCRs, the event-specific primer pairs(LB 55-1 SS3F/R) were constructed with 150 bp amplicon size. A Duplex PCR using the two primer pairs was developed to detect GM papaya event 55-1, elucidating that five fresh papayas from markets were GM event 55-1. We applied this duplex PCR method for detect fresh fruit and GM papaya in processed fo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no GM papaya in processed foods and the developed duplex PCR method may be applied to monitor and detect unapproved GMO in papaya and its processed foods such as dried or canned papaya.

      • 대학교 온라인 영어 수업 운영 실태와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조사

        김선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 코로나 펜데믹은 전 세계의 사람들의 인생에 많은 부분에 변화를 가져왔다.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못하는 상황이 생기면서 교실 수업을 급히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게 되었다(김혜정, 2020). 그렇기에 교실 수업만 진행하던 교수자들이 온라인 수업 진행에 대비할 시간이 없이 온라인 수업으로 급히 전환되었다(Mardina, 2020). 하지만 기술적인 어려움은 교수자의 태도와 경험에 의해 해결 될 수 있다(Ersin, Atay & Mede, 2020). 이러한 특수한 상황에서 많은 온라인 영어 수업에 관한 연구가 진행 되었지만, 학습자에 초점이 맞춰진 연구가 많았으며, 대학교를 배경으로 한 연구와 특히 교수자, 특히 한국 대학교에서 영어 수업을 진행하는 원어민 교수를 대상에 포함 시켜 진행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게다가 코로나가 우리의 교육 환경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지 1년이 넘어가고 있지만 처음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을 때와 2021년에는 무엇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후속한 연구가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펜데믹 상황에 의해 원래 교실 수업으로 진행하던 대학교 영어 수업을 급하게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여 운영하며 확인된 2020년 1학기 한국 소재 대학교 온라인 영어 수업 운영의 실태와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한국인과 원어민 교수들의 의견을 알아보고, 이와 비교하여 1년이 지난 2021년 1학기에는 수업이 어떻게 달라졌으며 1년간 교수자들의 의견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한국 소재의 대학교에서 2020년 1학기에 영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문법, 어휘를 다루는 온라인 영어 수업을 진행한 한국인과 원어민 교수 24명을 대상으로 2020년 1학기 이후 대학교 온라인 영어 수업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중 19명을 대상으로 2021년 1학기에 다시 한 번 후속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한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에 이루어지던 온라인 언어 수업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온라인 영어 수업이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020년 1학기 이후로 현재 대학에서는 실시간 수업, 동영상 수업 그리고 실시간과 동영상 수업을 함께 활용하는 수업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원거리 언어 학습 (Distance language learning)과 실시간 수업을 비교해보자면, 연구 결과 실시간 수업은 여전히 온라인 수업 교육 지원, 기본적인 수업 자료와 학교의 명확한 방침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수업이 원거리 언어 학습과 아예 다른 온라인 수업의 유형이라고 봐야한다. 반면에 동영상 수업은 그 자체로 이전에 동영상과 교실 수업이 함께 이루어지던 하이브리드 수업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영어 수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수업과 동영상 수업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실시간과 동영상 수업을 함께 활용하는 수업 방식은 동영상 수업으로는 언어적인 지식 및 개념을 전달 할 수는 있지만 언어 활용 기회가 부족하여 이를 위해 실시간 수업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플립 러닝 (Flipped learning)과 비슷하다고 확인 가능하다. 이에 따라, 두 온라인 수업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다수의 연구 대상이 다시 교실 수업을 진행하게 되더라도 플립 러닝과 같은 하이브리드 수업을 활용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하였기에, 실시간과 동영상 수업을 함께 활용한 경험을 갖은 응답자는 이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체감하고 이를 앞으로 발전시켜나가고자 한다는 것을 확인 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 및 학과는 코로나 펜데믹 이후 블랜디드 러닝을 발전시키고 활성화 시킬 방안과 지원을 마련해 놓을 필요성을 확인 가능하였다. 둘째, 온라인 영어 수업의 과제와 시험이, 특히 실시간 수업과 실시간과 동영상을 함께 활용한 수업 전반적으로 단순화 되고 쉬워졌으며, 게다가 오픈북 방식을 많이 활용하였다. 하지만 반면에 동영상 수업의 경우에는 시험을 오히려 어렵게 출제했다는 경우도 많았다. 연구자는 수업 방식에 따른 평가의 난이도 차이가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유무에 원인이 있다고 추측한다. 학습자와 직접 의사소통을 하면 그들의 어려움, 수업 이해 정도, 학습 정도 등이 파악 가능하지만, 동영상 수업의 경우에는 학습자를 직접 마주하지 않기 때문에, 온라인 수업이라는 이유로 평가의 난이도가 올라간 것이라고 예상한다. 더불어 이에 따라 쉬워진 과제와 평가가 학습자의 학습정도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었는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으며, 수업 방식에 따른 시험의 난이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온라인 수업에서 적절한 시험의 방법은 무엇인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교수자의 온라인 언어 교수 능력과 교수법에서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 모두 하위에 머무르고 있다. Hampel과 Stickler(2005)의 모델에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와 의사소통을 이끌어내는 능력인 교육적 능력을 의미하는 4단계 이상의 단계에는 진출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Puentedura(2006)의 SAMR 모델에서 또한 하위의 ‘대체 (Substitution)’ 혹은 ‘확대 (Augmentiation)’단계 까지만 도달한 것을 연구 결과에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자의 준비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지표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더불어 그동안 교수자들에게 적절한 기술적,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렇기에 교수자가 두 모델의 상위 단계의 능력을 활용 할 수 있도록 현재와는 다른 혹은 추가적인 지원을 학교 및 학과에서 제공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의사소통을 이끌어내는 교수법에 관한 훈련의 필요성을 확인 가능하였다. 넷째, 온라인 언어 수업의 장점에서 컴퓨터 혹은 인터넷의 교육적 사용이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참여도가 증가하며,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의사소통이 증가 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많은 연구자가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 온라인 영어 수엽 교수자의 가장 큰 어려움과 고민은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저조한 참여도와 흥미도였다는 것이 확인 가능하였다. 이러한 상충된 연구 결과의 원인을 온라인 수업 학습자의 참여 동기 차이에 의해서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온라인 수업을 선택하여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수업과 선택의 여지없이 강제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게 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수업에서의 참여도와 흥미도 차이가 발생하였다고 추정해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전 온라인 수업의 연구에서 확인 가능하였던 장점이 본 연구에서는 확인이 불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학습자가 의무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해야하는 상황과 스스로 선택하여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상황을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의무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수강해야하는 상황에서 학습자의 참여도와 수업에 대한 흥미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래의 온라인 영어 수업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더 효과 있는 수업으로 운영 되는 데에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기대 한다. The 2020 coronavirus pandemic has changed many aspects of people's lives around the world. As students were unable to attend school, classroom classes were rushed to online classes (Kim, 2020). As a result, teachers who had only conducted classes in classroom setting had to switch to online classes without having time to prepare for them (Mardina, 2020). However, Ersin, Atay, and Mede (2020) stated that technical difficulties can be resolved by the attitude and experience of the instructor.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online English courses under these special circumstance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learners, but the research focusing on professors in university backgrounds, especially native-speaking professors conducting English classes at Korean universities was insufficient. Moreover, as it has been over a year since COVID started to affect our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is a need for a research that tracks what or how things have changed in 2021 since the first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niversity English classes, examine the opinions of Korean and native-speaking professors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0, compare and contrast those viewpoints, and analyze changes mad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through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ata showed that professors conducted classes in real-time, pre-recorded videos, or a combination of real-time sessions and videos. Responses from participants yielded similar opinions for selecting real-time classes, the overlying reason being to engage learners’ give them ample opportunities to practice. Second, in order to conduct real-time classes, most of the instructors used ZOOM, because it was suggested by the school or through word of mouth. As for assignments,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y assigned group presentations and facilitated discussions. Tests were conducted online in most cases, offering simpler questions compared to face-to-face classes and there was a noticeable amount of open-book exams. Thirdl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learn about how professors implemented and utilized pre-recorded videos. Instructors used PowerPoint as suggested by the institution, personal research, or through recommendations made by colleagues. Similar to real-time classes, many professors provided problems/questions through a document file and asked students to upload responses to Cyber Campus. Fourt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find out how classes used a combination of real-time and video classes. Most instructors used ZOOM as a suggestion from the school to conduct real-time classes and PowerPoint. The real-time class method and the video class method were also used as an online test, but the difference was that there were opinions that the questions were more difficult than the classroom class and the number of short answer types was reduced. Fifth,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engagement of online English classes, many respondents said they actively communicated using humor or personal experiences, KakaoTalk group chat, and group e-mail to form close instructor-student relationships with learners. Sixth, The main opinion about the shortcomings of online English classes were low participation levels, technical difficulties in using the online tools, and difficulty monitoring learners during real-time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responses about how online classes allowed for more flexibility and more time, the ability to teach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the reusability of videos in multiple classes. Seventh,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nglish classes, many instructors expressed that real-time class instead of video class is more effective, and there was also an opin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ake video lessons interesting, continuously check learners' understanding, and increase learners' engagement. Respondents felt that they needed technical support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use the platform, better functioning or high-performance computers, proper training for online classes, and opportunities to collaborate with other professors. Eighth, the professor's opinion about online classes were generally negative, as professors expressed difficulty citing consumption of time, lack of interaction with learners as expected. Surprisingly, however, there were a number of responses suggesting that conducting language classes online was more effective than expected. Ninth,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to check how the opinions of professors changed after a year of teaching online and to see if there were changes to their classes for the spring semester of 2021.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ere overcome or resolved, as professors became better accustomed to using the platforms and gaining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more effective online English classes for professors and learners going fo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