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고등학생의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을 기초로 한 노년기 교육의 필요성

        김다나 고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 노인에 대한 인식과 노년기 교육의 필요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가정교과 및 노인에 대한 인식과 노년기 교육에 대한 요구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가정교과의 중요성에 대해 학년과 성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가정교과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가정교과는 가정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가정교과와 가정생활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중학교 1학년이 가장 높게, 고등학교 2학년이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가정교과는 미래 가정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인식에는 학년과 남녀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가정교과가 가족관계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인식은 중학교 1학년이 가장 높았고, 고등학교 2학년이 가장 낮았으며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노인에 대한 주관적 이해에 관한 질문으로 “당신은 노인 분들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 중립적 또는 다소 부정적인 응답을 하고 있었다. 노인에 대한 주관적인 이해도는 중학교 1학년이 가장 높았고, 고등학교 1학년이 가장 낮았으며, 학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남녀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긍정적이었고, 이는 학년과 남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에 대한 평가 요인(‘더럽다-깨끗하다’ 외 6 요인)과 능력 요인(‘방어적이다-공격적이다’ 외 3 요인)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년과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에 대한 활동 요인(‘둔하다-활발하다’ 외 1 요인)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경향을 보였다. 노인에 대한 활동요인에 대해 남녀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학년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학교 1학년의 인식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고등학교 1학년의 인식이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융통성 요인(‘고지식하다-융통성 있다’ 1 요인)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과 성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중학교 1학년과 중학교 2학년의 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고, 고등학교 2학년의 인식이 가장 부정적이었으며, 남녀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한편 노인으로부터 배울 점에 대해서는 ‘인생의 경험과 지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왔고 그 다음이 ‘전통 윤리와 관습 및 예절’, ‘인생과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 ‘축적된 지식과 기술’의 순이었다. 한편 “가정교과에 노인에 대한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인식이 주를 이루고 있었는데, 학년별로는 고등학교 1학년이 필요성을 가장 높게, 중학교 2학년이 필요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고, 학년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녀별로는 남학생의 필요성 인식이 여학생의 필요성 인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노년기 교육 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는 ‘노인의 심리적 특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노인의 가족관계’, ‘노년기의 취미 및 여가생활’, ‘노인의 신체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가정교과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평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고학년에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에 대한 인식으로 노인에 대한 주관적 이해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역시 고학년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에 대한 평가, 능력, 활동, 융통성과 관련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는데, 앞으로도 이와 같은 긍정적인 인식을 유지·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중·고등학생들이 가정교과에 노인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에 반해 현재 가정교과의 교육과정에 포함된 노년기 교육 내용은 매우 빈약한 형편이다. 앞으로 이와 관련하여 가정과 교과내용의 확대가 요구된다. 다섯째,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년별·연령별로 중·고등학생들이 생각하는 노인으로부터 배울 점에 관한 내용이나, 중·고등학생들이 희망하는 노년기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교육의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s about Home economics and the aged people and to emphasize the need for the desirable education on aging. To achieve this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recognition about home economics and the aged people and to emphasize the need for the desirable education on aging used and data 57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about home economics Regardless of student grade and sex distinction, all of them had a tendency to perceive that Home economics is important. The survey result showed students think that Home economics is closely related with present home life. It has showed a little difference such as on high to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on low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Most students answered that Home economics is also closely related with future home life. The response did not show a special difference depending on student level and sex distinc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the subject Home economics helps students to develop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This survey was just like the same result that the relationship Home economics and Home life was. Second, the recognition about the aged As the question of a subjective understanding on the aged people, “How much do you understand and consider about the aged people?” The response was neutral and a little negative. Subjective understanding on the aged people was on high to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on low to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It was a difference relying on student grade, but sex distinction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the aged people was very positive, and there was no radical difference among different ages and sexes. There was a positive understanding about the evaluating factor of the elder(‘dirty'-’clean' plus six other factor), The ability factor of the elder(‘defensive'-’aggressive' plus three other factor). Even in this result, there is not much of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age groups and sexes. The action factor of the elder(‘slow-fast’ plus one other factor) showed a neutral tendency. For the action factor of the elder, first grades in the middle school replied most positively while their counterparts in the high school replied most negatively.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The flexibility factor of the elder(‘stubborn-flexible’) showed negative responses in general. First and second grades in the middle school answered most positively while second grades in the high school answered most negatively. Also boys replied more negatively than girls. Accordingly, the flexibility factor of the el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ade and gender. On one hand, questions of lessons learned from the elder were answered as below: ‘experience and wisdom in the life’, the most answered, followed by ‘traditional ethic and custom, or etiquette’, ‘view of life and society’, and ‘accumulated knowledge and skills’. On the other hand, a question of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about the elder included in the course of home economics?” obtained mainly recognition of ‘to need’. First grades in the high school recognized the most while second grades in the middle school recognized the least, indicating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Boys recognized the need more significantly than girls. Among the needs of education for the elder, ‘psychological characters of the elde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mily relations in the old age’, ‘hobby and leisure in the old age’, and ‘physical characters of the elder’. On the ground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mostly positive recognition of home economics but higher grades tended to show lower averages, which indicated that it should take an educational action to encourage the recognition of the higher grades. Second, higher grades tended to show lower subjective understanding about the elder, indicating that it should develop an educatio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higher grades. Third, as there showed mostly positive recognition related to evaluation, ability, activity, and flexibility of the elder, it should take an education effort to continuously maintain and reinforce such a positive recognition about the elder. For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to include educational contents about the elder in home economics, while the real home economics don't carry enough contents about the elder. Therefore it needs to extend relevant contents of home economics. Fifth, to promote the educational effects needs to reform the educational contents on the base of not only lessons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grade and by gender thought to be learnt from the elder but also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old age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nted to learn

      • 입자 형태가 제어된 전/자기 유변물질 제조 및 유변물성 분석

        김다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Core-shell structured sea urchin-like polystyrene/polyaniline (PS/PANI) particles, mean diameter of 1.3 μm, were fabricated by seeded swelling polymerization process. For the first time, Aniline monomer was adsorbed into the polystyrene seed through π– π* stacking interaction and surface morphology was polymerized using ferric salt as an oxidant with low redox potential. The structure and characterizations of the sea urchin-like PS/PANI particles was obserb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thermal gravimetry analysis. The products dedoped to a low conductivity were dispersed in silicone oil with a volume fraction of 10% to produce an electrorheological (ER) fluid. Then, their ER characteristics under an applied electric field, such as shear viscosity, shear stress and yield stress, were examined by optical microscopy and rotational rheometer. The suspension showed ER effect which can vary in solid-like state from the liquid-like state by an external electric field. Also, Dielectric spectra measured by using a LCR meter were correlated well with its ER performance. Finally, dispersion stability was compared with smooth surface PS/PANI particles by turbiscan. The cube shaped Fe3O4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hydrothermal method at 200 °C for 26 hours using hydrazine hydrate. Using the hydrazine hydrate has the advantage to obtain the pure iron oxide, because the hydrazine hydrate is finally decomposed into water and nitrogen and doesn’t generate by-products. Furthermore, cubic particles are contacted in face-to- face method whereas spherical particles with point-to-point in forming the chains. The morphology of the particles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ir structure was confirm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ometer. Also, their magnetic properties were measured by vibrating sample magnetometry. The MR properties of the cubic Fe3O4 nanoparticles were examined using a rotational rheometer when dispersed in 50 cSt silicone oil with a 10 volume fraction via a sonicator. The result of an experiment exhibited a Bingham behavior from the flow curves.

      • 콘크리트 합성단면에 도입된 선압축 손실 분석

        김다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콘크리트 합성단면에서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장기변형은 합성단면에 추가변형을 발생시킨다. 특히 긴장된 보강재나 강재거더의 변형에 의해 콘크리트에 선압축이 도입된 합성단면에서 장기변형의 일부구속은 긴장된 보강재의 응력 손실을 초래하여 선압축의 심각한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균등크리프계수 단계별계산법(CC-SSM)에 실제 합성단면 사례를 적용한 장기변형의 해석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때 장기변형의 크리프, 건조수축, 응력이완에 의한 영향이 구분하여 반영될 수 있다. ACI209와 도로교설계기준(2008)의 제안식을 이용해 장기변형이 계산되고, 그에 대한 설계기준에 대한 규정이 검토되었다. 콘크리트에 선압축이 도입된 사례에 대해서는 재령에 따른 콘크리트 선압축과 긴장력 손실률이 계산된다. 구속단면비 , 구속단면이차모멘트비 0 인 PS 콘크리트 단순거더에서 콘크리트 선압축 손실률과 긴장력 손실률은 유사함을 보였다. 도로교설계기준의 간편식에 의한 긴장재의 응력손실률(19%)은 CC-SSM을 이용해 계산한 손실률(22%)보다 작았다. 강합성단면 바닥판의 최종 건조수축변형률은 KCI(2007), ACI209 모두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제안한 보다 크게 계산된다. 따라서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제안된 최종 건조수축변형률을 사용하면 건조수축에 의한 잔류응력이 작게 평가될 수 있다. 여러 합성단면 사례를 통해 구속단면이차모멘트비 가 증가할수록, 콘크리트단면적비 가 감소할수록 선압축 손실률과 추가 탄성변형률은 증가함을 보였다. 구조물의 설계는 긴장재와 같은 보강재의 응력이 아닌 콘크리트의 단면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설계기준에서 장기변형을 고려할 때, 긴장재의 응력의 손실에 대한 평가보다는 콘크리트의 선압축 손실을 정확히 계산하여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 금강에서 횡단구조물의 설치와 운영에 따른 하천 서식처의 경관 특성 변화

        김다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금강에서 횡단구조물의 건설과 운영이 하천 서식처의 경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청댐 하류에서 총 3개 하천구간을 선정해 서식처를 분류하고 경관의 공간 유형을 분석하였다. 금강에서 대청댐 건설 후 나지의 면적은 크게 감소하고 초지와 임지의 면적은 증가하였다. 또한 하천 경관에서 조각의 수는 증가하고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경관형태지수와 서식처 다양성지수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댐 건설 이후에 댐 하류에서 나지 서식처가 식생 서식처로 변하였고 서식처가 파편화되고 다양화되었다. 4대강사업에 따른 보 축조의 영향으로 세종보와 공주보 구간에서 침수수면의 증가로 개방수면이 확대되었으며, 서식처의 형태가 단순화되고 다양성이 감소하였다. 보 개방 후에는 보 건설 후 사라졌던 나지가 다시 나타나고, 육역 서식처와 개방 수면의 경관형태지수와 서식처 다양도지수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보 개방에 의하여 서식처의 경관 특성이 보 건설 이전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 개방의 효과가 보 하류에서는 보 상류보다 지연되었다. 하천에서 횡단구조물의 건설에 의하여 하천 서식처에서 경관 구조의 특성이 변화하였으나, 이들 구조물의 운영에 의하여 서식처 환경을 회복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생태적 운영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알렉산더 맥퀸 패션에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 특성

        김다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Nature has been an influence on human beings to an limitless extent, and the organic design based on nature has been expressed in various fields by different forms from the past art movement to the times. Nature is the source of everything and it can be seen as an infinite form of everything. In the environment created from nature, it appears that humans have created constantly to satisfy their needs in accordance with their lives, and it was expressed as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nature on the basis of their cre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organic forms, expression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through Alexander McQueen's fashion works, and present various materials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organic design forms. As the research method, the criteria of organic design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cedent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bout architecture and product design, and based on this, the organic design characteristics of Alexander McQueen's fashion collection were analyzed. The organic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lexander McQueen fashion, which were based on the criteria for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 could be classified a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natural forms and structures, abstractness through application of organic forms, continuity through formation process of organisms, structural characteristics using natural materials and reg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symbolism through subjective thinking.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McQueen's fash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sing nature's forms and structures are used as objet to represent organic characteristics. Also, it turns out that humans also one of those motifs and seek direct and realistic depictions. Its characteristics can be explained as expressing the structure or shape of an object as the basis or appearance of clothes. Second, abstra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organic forms means an abstract representation of the object being represented. It is explained by partially modifying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human body to show characteristics, or visualizing it with the surface of the natural object. McQueen was able to use abstract silhouettes in his designs by either analogiz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object as creature or using patterns of animals and plants. Third, continu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organisms is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the gradual growth of organisms, which took reinterpretation based on the concept that the internal elements of natural objects affect the external form. It refers to the formation of geometric patterns or forms of elements such as cell division. Just as growth of object differs according to its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ts order have been developed into organic fashion. Fourth, the structure using natural materials and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by design us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materials using natural elements as design elements. It is an expression of nature through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as the design is subordinated to nature. McQueen’s fashion design is characterized by the application of local and cultural properties along with the use of natural elements, and the expression of the design considering the traditional elements as a new motif material. Fifth, the symbolism through subjective thinking is the element of nature that the object to be expressed is the element that appears in nature, and it also includes creative organism along with environmental factors. Th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best demonstrated in fashion designs that express themselves based on creativity. The use of natural elements is the largest part of McQueen’s fashion, and it has been shown as it seeks creative designs such as creating new forms or creating new organisms with partial combinations of animals and plants. As such, Alexander McQueen's fashion clearly shows organic design elements, such as symbolic design expression, through the use of the human body, material utilization of natural elements, and pursuit of creative form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organic design that can be used in fashion in the future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various directions and area. 무한한 창작의 근원지로 볼 수 있는 자연을 통해 인간은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과거에서부터 발생해온 여러 예술행위 및 운동은 자연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의 흐름으로 이어져 왔으며, 이는 시대에 따라 인간의 욕구 및 의도를 통해 지금껏 전해지는 새로운 감성의 디자인 해석으로 이끌어 왔다. 자연에서 이어진 해석으로 조화로움을 강조하는 디자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접목되어 현대 디자인에서 창의적인 결과물로써 존재한다. 유기체에 대한 표현은 자연스럽게 인간을 통하여 보여져왔다. 이와 더불어 현대 산업 발전으로 인한 환경과의 문제 및 비인간화적인 사회의 전개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하는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에 바탕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 작품을 통하여 현대 패션에서 나타난 유기적 표현특성 및 방법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유기적 디자인 형태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건축과 제품 디자인의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 분석을 통하여 유기적 디자인 표현 방법 및 특성의 기준을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전문 패션 정보 사이트인 ‘보그 코리아’와 US ‘Vogue.com'의 자료, 인터넷 사진자료 및 서적을 활용하였다.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이 실제적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던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31개 시즌 컬렉션을 범위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시각적으로 나타난 유기적 디자인의 사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나타난 알렉산더 맥퀸 패션의 유기적 디자인의 표현 특성은 자연의 형태와 구조를 활용한 형태적 특성, 유기체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성, 유기체의 형성과정 표현을 통한 연속성, 자연소재와 지역·문화적 특성을 활용한 구조적 특성, 주관적 사고를 통한 상징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맥퀸의 패션에서 나타난 특성 중 자연의 형태와 구조를 활용한 형태적 특성은 동·식물 및 무형체를 오브제로써 사용하여 유기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속에는 인간 또한 모티브의 대상으로 속하며 직접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체의 구조 혹은 모양새를 의복의 바탕 혹은 외형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유기체 형태 응용을 통한 추상성은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을 추상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체의 구조적인 모습을 부분적으로 변형하여 특징을 나타내거나, 자연물의 표면을 특징으로 삼아 시각화하여 설명한다. 맥퀸은 자연물이 가지는 생물의 특성을 유추하여 표현하거나 동·식물의 패턴을 이용해 추상적인 실루엣을 디자인에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기체의 형성과정 표현을 통한 연속성은 유기체의 점진적 성장에 따른 표현특성으로 자연물의 내부적인 요소가 외부적인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을 바탕으로 디자인이 재해석된 것이다. 세포 분열과 같은 요소들로 기하학적인 무늬 혹은 형태 등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물체가 가지는 성질과 특성에 따라 자라나는 모양새가 다른 것처럼 그 질서 속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유기적 패션으로 전개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연소재와 지역·문화적 특성을 활용한 구조성이 표현 특성은 자연 요소를 활용한 표현 및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한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소재의 활용 측면을 통해 디자인이 자연에 예속되는 것으로 자연성을 표현한 것이다. 맥퀸의 패션디자인에는 자연 요소 활용과 더불어 지역 및 문화적 특성을 적용하여 전통적인 요소를 고려한 디자인으로 새로운 모티브의 소재로 삼아 표현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주관적 사고를 통한 상징성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이 자연에서 나타나는 요소인 것으로 환경적 요소와 더불어 창조적 생명체도 속한다. 창의성을 바탕으로 표현하는 패션 디자인에서 이러한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났다. 자연적 요소의 활용은 맥퀸의 패션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동·식물의 부분 조합으로 새로운 형태를 창조해내거나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등 창의적인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서는 인체의 활용과 자연 요소의 소재적 활용 및 창조적인 형태 추구를 통하여 상징적인 디자인 표현 등 유기적 디자인 요소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패션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기적 디자인이 다양한 방향과 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Observations and Non-LTE Line Synthesis of Chromospheric Oscillations

        김다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From the temperature structure in the Sun, we can reasonably infer that there occur some non-thermal energy transport processes that increase temperature in the chromosphere. Among them are acoustic waves that can heat the chromosphere through shock dissipation. Using the velocity oscillations determined from the strong spectral lines, one can calculate the flux of energy that waves carry to the upper chromosphere, if one knows the formation height of the line where the velocity oscillations actually occur. In this dissertation, we identified the formation height of the chromospheric line, especially h alpha and Ca II 8542 line based on velocity, not on intensity. We applied this result to the observation data to calculate the wave energy flux in a quiet region of the Sun. Utilizing the RH code for the non-LTE radiative transfer, we synthesized a number of line profiles formed in a variety of the atmospheric models of the quiet Sun with velocity oscillation taken into account. As a result, we could find the height where the input velocity in the atmosphere h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output Doppler velocity measured from the synthesized line profiles. These values are 1926 km for h alpha and 1641 km for Ca II 8542 line, which is 2~300 km higher than the traditional formation heights inferred based on intensity data. These result suggests that the velocity contribution in the line 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intensity contribution, being shifted upwards. This is because the amplitude of velocity fluctuation increases with height. Then we analyzed the observation data in the quiet region of the Sun. We detected the propagation of 3 minute oscillation from the Ca II 8542 layer to the h alpha layer. The physical quantities needed for calculating the wave energy flux were obtained from the formation height. From the wave energy flux calculated at each layer, we found that the wave propagates with higher energy in the Ca II 8542 line layer which is lower than h alpha layer. This reduction of wave energy flux is qualitatively compatible with the heating and radiative loss expected in the chromosphere. However, the measured wave energy flux is too small to account for the radiative loss in the quiet Su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More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resolve this issue. 태양의 온도 구조에서 우리는 채층부에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어떠한 비열적인 에너지 전달 과정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고, 그 요인 중 파동이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파동은 그것이 지나온 매질에 대한 성질을 유추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태양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파동이 에너지를 얼마나 상층대기에 전달하는지에 대한 값으로 파동 에너지속(Wave energy flux)를 계산하는데, 그 때 사용되는 선의 생성 높이가 우리가 관측한 진동이 실제로 일어나는 위치와 동일한 지에 대한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복사 세기가 아닌 도플러 속도를 기반으로 태양의 채층선, 그 중에서 h alpha와 Ca II 8542선의 생성 높이를 정의하고자 했으며 실제 관측 결과에 적용하여 태양의 정온 지역에서의 파동 에너지속을 계산하였다. 우리는 각 높이에 따라 진동하는 정온 지역의 환경을 재현하는 용도로 RH 코드를 이용하였다. 코드의 결과로 나온 복사세기에서 잰 도플러 속도와 대기 모형 내에서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속도를 가진 높이를 선의 생성높이로 두었고 그 값은 h alpha의 경우 1926 km, Ca II 8542선의 경우 1641 km로 기존에 사용하던 높이보다는 2~300km 높다. 이 결과는 태양의 채층선이 어느 한 지점이 아니라 여러 높이에 걸쳐 생성되는 것처럼 우리가 관측하는 속도 또한 여러 높이에서의 속도들의 가중합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다음으로는 태양의 정온 지역에서의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Ca II 8542선 층에서 h alpha 층으로 진행하는 3분 진동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앞에서 구한 생성 높이를 사용하여 파동 에너지속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물리량들을 구할 수 있다. 각 층에서 계산한 파동 에너지속 결과로부터 h alpha층보다 더 낮은 지역인 Ca II 8542선 층에서 파동이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전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층 사이에서 잃은 에너지는 복사의 형태로 바뀌어 채층의 온도를 높이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그 값은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정온지역에서의 채층에서의 복사 손실(radiative loss)를 설명하기에는 여전히 낮았다. 따라서 더 많은 관측 결과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적당한 대기모형을 이용한다면 본 연구에서의 연구 방식을 태양의 다른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뇌졸중 후 발생한 실어증 환자에서 경두개 직류전류 자극 치료 후 언어기능의 호전

        김다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ranscranial direct current (DC) brain polarization could modulate cortical excitability in the human brain. It is well known that DC brain polarization can induce a polarity-dependent excitability shift of stimulated brain areas, which has a modulatory effect on behavioral outcomes. In particular, DC polarization with anode is known to increase excitability of underlying local cortex. DC polarization has a shorter research period in terms of its therapeutic application, with incomplete researches on its improvement of the patient’s language functions besides his/her motor functions. Moreover, the foregoing studies on its improvement of the patient’s language functions had a small number of subjects, used only the naming test among all the language tests, and used a method of inhibiting the undamaged part of the legions. To inquire into the improvement of the patient’s language functions due to the therapy, anodal DC polarization was applied in this study to activate the left hemisphere of Broca’s and Wernicke’s areas, a legion side for patients with aphasia following a stroke, and a comprehensive language evaluation and an objective speech evaluation were conducted. Subject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8 chronic-phase patients (11 male, 7 female) diagnosed with aphasia following a stroke, with an average age of 50.7 and 62.1 months mean days of illness from their stroke attack to this treatment. DC was done with the use of a Phoresor PM850 (IOMED??, Salt Lake City, USA) stimulator, and using a 5×5 cm sponge electrode, it was carried out for 40 min with an intensity of 2 mA. The part where the electrode was to be attached was divided in two using 10-20 international EEG systems. For the first part, the anode was attached to Broca’s area, a one-third far-off point between F3 and F7, and the cathod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orehead. For the second part, to stimulate Wernicke’s area, the anode was attached to the point halfway between P3 and T3, and the cathode also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orehead. A crossover study was performed by conducting a real and a sham stimulation of Broca’s and Wernicke’s areas, respectively, in random order, with the real and sham stimulations conducted at an interval of 48 hours, in random order and double-blind. Language and speech evaluations were conducted before and 2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stimula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research, where the total stimulation time was set at 40 min, stimulation was applied consistently for 20 min even after the start of the test. Results This research on the patient’s language and speech functions prior and posterior to the DC polarization of patients with aphasia following a stroke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1) On the naming test after DC polarization by anode of Broca’s area,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significantly increased. (2) After DC polarization by anode of Broca’s area, F1 of vowel /a/, F2 of vowel /i/ in males, and F2 of vowels /a/, /i/, and /o/ in females came significantly close to the mean values. Conclusions Transcranial DC polarization is considered helpful as a new therapeutic method. It helps recover the patient’slanguage and voice functions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lingual center in patients with aphasia following a stroke. We suggest that improvement of language function is considered to be due to enhanced local cortical excitability in Broca and Wernicke areas and primary oromotor cortex by DC polarization. To establish it as a therapeutic instrument, however,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find a method with long-term effects.

      • 『서곡』과 서술적 형상화 : 자연과 프랑스혁명과 자아

        김다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William Wordsworth's autobiographical poem, The Prelude, has received a great number of critical attention for a long time. The poem demonstrates the process of Wordsworth's mental and spiritual growth to be a great poet. In this poem, Nature inspires Wordsworth to tell a story with imagination in which the past harmonizes with the present. After that, the story shows him the future that he dreams of. The depic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particularly, shows these process. In The Prelude, Wordsworth changes his point of view about the Revolution continuously throughout the story and tries to make it related to Nature. This new attempts make two aporias: one related to the temporal complexities, another to the French Revolution. Wordsworth uses narrative structures to promote lyric effects. Narrative theory, especially the theory of Paul Ricoeur, helps us understand wordsworth's unusual causal relations become a reasonable story. For Ricoeur, time becomes human time after being organized with the manner of a narrative. This would show one's life and explain who the person is. Ricoeur explains the process which makes events meaningful with Mimesis developed from Aristotle's. The Prelude's narrative structure could also have a powerful influence over the temporality of the reading process, which creates an ambiguous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readers of the poem. In The Prelude, while describing his experiences with Nature, Wordsworth repeatedly reminds u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xperiences, his mental development, and his final status as a poet. Wordsworth tells us explicitly, and repeatedly, that Nature has fostered and guided the growth of his mind. Especially, Wordsworth tries to mak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the French Revolution reasonable, but it doesn't work at once. Also, he keeps changing his thoughts, thus continuously changing the writing. In these processes, Wordsworth can find his sincere identity and the poem's aporias seem to be solved.

      • 중학교에서의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 프로그램 개발

        김다라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발휘하여 기술적인 체험활동에 터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팀 활동을 통하여 주어진 문제를 장시간 고민하고 해결함으로서 협동심과 도전정신을 기를 수 있는 수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관련 대회 프로그램 탐색을 토대로 하여 중학교에서의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 대회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준비단계 : 기술의 내용구조와 내용구조에 따른 체험활동의 영역 등을 살피고, 창의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외 창의성 관련 경진대회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2. 개발단계 :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의 성격, 목표, 출제 및 평가의 전반적인 총론을 제시하고 대회의 ‘기획-운영-평가’에 걸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적용단계 : 개발된 프로그램을 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중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기술적인 체험활동에 터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경진대회 프로그램이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의 성격과 목표와 출제 및 평가 방향을 제사한 뒤 이를 기초로 하여 개발된 ‘대회 기획 단계, 대회 운영 단계, 대회 평가 단계’의 절차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대회 문제는 기술의 내용구조에 따라 제조기술, 건설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 생물기술의 5개의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각 영역별 문제의 게시자료와 학생용 활동지를 각각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 중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itio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junior high schoolers to solve problems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by deploying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to foster their cooperative and challenging spirits by tackling the given problems in group. Relevant literature and competition programs were analyzed to develop a junior high school competition program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three stages: preparing, developing and applying.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content structure of technology and the fields of corresponding hands-on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nd creativity theories were analyzed. Besides, domestic and foreign creativity-related competition programs were checked. In the development stage, an overview of the nature, object, question making and evaluation of a competition program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was presented, and a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nsisted of three stages: planning, operating and evaluating. In the application stage, every student in a selected junior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i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ntended to offer a chance for every junior high schooler to solve problems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to display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Second,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nclude planning, operating and evaluation stages, after the nature and object of the competition program and in which way question making and evaluation should be fulfilled were determined. Third, the competition program dealt with five areas according to the content structure of technology: manufacturing technology, constr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And questions for each area and student worksheets were developed. Fourth, the program was utilized in a junior high school to give an exa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