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경열

        김경열 한양대학교 1987 국내박사

        RANK : 247663
      • 철도건축사업에서 분야별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평가 개선방안

        김경열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Railway construction is a construction industry to which various sectors are complexly connected. And construction engineers participating in a railway architecture project include an owner, designer, constructor, and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However, the importance of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taking the responsibility for and leading the railway architecture project increases. When bids are invited for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only whether there is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s class,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nd education and training is judged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evaluation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is specified in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but it is as weak as performance cannot be objectively evaluated for owner's related guideline and evaluation method. And the role of working-level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besides chief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in each sector in railway architecture project has gradually increased. However, able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s in each sector are not properly evaluated due to many problems with the evalu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a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With regard to research process, first, cases of law and guideline about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of railway architecture project were analyzed. Second, the status of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evaluation guideline in the railway architecture project was analyzed. Third, problems were identified through survey, interview, and cases of undergoing the evaluation. Fourth, solutions on the aspect of evaluation method for the identified problem and solutions on the aspect of evaluation contents were verified through an interview with expert. This study identified major problems such as relative grading, the disregard of role and responsibility, the lack of evaluation time, fee to evaluator, which occurred in evaluating a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of each sector in the railway architecture project, and suggested solutions on the aspect of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contents. And main points are as follows. First, solutions on the evaluation method were classified into solutions for evaluator and solutions for on-site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ed 3 solutions for evaluator, such as increasing the fee to evaluator, improving the composition of evaluators, and construction supervision officer's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and 3 solutions for on-site evaluation, such as reflecting the item of attitude of persons to be evaluated on undergoing evaluation, adjusting the evaluation time, and improving the entire site evaluation. Second, this study suggested 4 solutions on the aspect of evaluation contents, such as considering role and responsibility, classification into relative grading and absolute grading, opening the evaluation results to the public, and rationalizing the evaluation items. Solutions on the aspect of evaluation method and solutions on the aspect of evaluation contents, which are suggested as solutions in this study, cannot solve all problems with the evalu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in each sector. However, if an improvement is achieved, owing to more objective evaluation than present one, an opportunity of showing their competence will be given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s in each sector, and excellent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s can be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company and owner. In addition,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ntinuous studies on items regarding the evaluation of chief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and technical-support construction management engineer, which have not been mentioned in this study. 철도건설은 여러분야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건설산업으로 철도건축사업에 참여하는 건설기술자는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있지만 철도건축사업을 책임지고 이끌어가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건설사업관리용역 입찰시 수행능력평가에서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등급, 경력, 자격, 교육훈련 여부만 판단하고 건설사업관리용역 이행 중 평가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명시되어 있지만 발주기관의 관련 지침 및 평가방법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없을 만큼 미약하다. 최근들어 책임건설사업관리기술자 뿐만 아니라 철도건축사업에서 실무자인 분야별 건설사업관리기술자의 역할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건설사업관리용역 이행 중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평가의 많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능력있는 분야별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제대로 평가를 받고 있지 않다. 연구과정은 첫째, 철도건축사업의 건설사업관리 및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평가 법령 및 지침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철도건축사업에서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평가지침 현황을 분석하고 셋째, 설문조사, 면담조사와 평가 수검사례를 통하여 평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넷째, 도출된 문제점의 개선방안인 평가방법 측면 개선방안과 평가내용 측면 개선방안을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철도건축사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분야별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평가시 발생하는 평가위원 보수, 평가시간 부족, 업무분장을 미고려, 상대평가 등 주요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평가방법 측면과 평가내용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고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방법 측면 개선방안은 평가위원 개선방안과 현장평가 개선방안으로 분류하였다. 평가위원 개선방안은 평가위원의 보수개선, 평가위원 구성개선, 공사관리관 평가참여의 3가지 개선방안과 현장평가 개선방안은 피 평가자 수검태도 항목반영, 평가시간의 조절, 현장전체 평가 개선의 3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평가내용 측면 개선방안은 업무분장을 고려, 상대평가와 절대평가의 분류, 평가결과 공개, 평가항목 현실화로 4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평가방법 측면 개선방안 및 평가내용 측면 개선방안이 분야별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평가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할 수는 없다. 하지만 개선이 된다면 현재보다는 객관적인 평가로 분야별 건설사업관리기술자 입장에서는 역량발휘의 기회, 건설사업관리 용역업체 및 발주기관의 입장에서는 우수한 건설사업관리기술자를 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책임건설사업관리기술자 및 기술지원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평가에 대한 사항은 향후 연구과제로 보다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대체당을 첨가한 유자차의 품질특성

        김경열 순천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for low-sugar citron tea production by using sugar substitute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s of citron tea samples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content of acidity in Citron tea ranged from 1.42 to 1.56%. The Brix of Citron tea concent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in test samples. Hunter's color value, L, a and b were ranged 64.34 ∼65.8, 1.06∼2.19 and b 26.20∼28.92, respectively. The free sugar in the citron te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The main components of organic acids in Citron tea were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and succinic acid. The citric acid in citron tea showed higher content than the other organic acids. The major components of free amino acids in Citron tea were aspartic acid, prolin, glutamic acid, histidin. The contents of proli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nd histidin were ranged 17.23~18.73 mg%, 16.85~17.86 mg%, 15.82~15.89 mg% and 11.28~12.66 mg%, respectively. The volatile compounds in citron te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the methods of GC-MS and wiley library search. Twenty-one compounds of volatiles were identified in citron tea extract and limonene was a main compound. In the sensory test, a sample of 100% sugar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which values were average 4.3 and 4.2, respectively. The sample of sugar and sorbitol mixture(75:25) showed similar preference, and this sample mixture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for manufacturing low-sugar citron tea.

      • 비지니스 관점에서 본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 한국과 일본계 기업을 중심으로

        김경열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이란 다른 문화에 속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의 엇갈림을 분석하여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을 뜻한다. 최근 세계는 급속히 국제화가 진행되고 있고 그것에 의한 영향은 한국과 일본도 예외는 아니다. 미국의 경우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들어선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며 더욱이 한․일간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재일 한국인이나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에 한정되어 있는 편이다. 본고에서는 아직까지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국 기업과 한국 내 일본계 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언어적인 측면과 비언어적인 측면”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토대로 한․일간의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한다. 우선 “비즈니스 관점에서 본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쓰게 된 이유는 다년간 반도체 회사에서 장비 Engineer로 근무하면서 일본인과의 관계에 있어 가끔씩 문화의 차이로 인한 Communication Miss가 업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을 보고 느꼈다.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한일 양국의 원만한 교류를 위해서는 언어뿐만 아니라 이문화에서 오는 여러 가지 인식의 차이가 어떻게 문제로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지 가능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 본고에서는 설문을 통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을 하게 되었는데 총 15개의 한국계와 일본계 기업 75명을 대상으로 방문 및 사전에 전화통화 후 이메일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그 응답률이 약 70% 정도에 그쳤다. 설문의 내용은 언어적인 측면과 비언어적인 측면의 두 종류로 나뉘어 조사를 하였는데 언어적인 측면의 경우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展開に関する認識」,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内容に関する認識」, 「話し手の感情や表現態度の表示に関する認識」, 「社交的機能に関する認識」, 「その他ー謝罪․留守番電話․相槌」와 같은 항목이 있었는데 같은 한국이지만 기업 문화가 서로 다른 두 부류이 차를 확연히 알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 「社交的機能に関する認識」와 「その他ー謝罪」를 얘기할 수 있다. 「社交的機能に関する認識」에서는 한국계 기업에 종사하는 인원의 50% 이상이 자신이 속한 회사를 소개할 때 「うちの会社」를 선택한 반면, 일본계 기업에 종사하는 인원의 경우 「うちの会社」이외에도 「わが社」, 「当社」, 「弊社」등과 같은 다양하고도 경어적인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その他ー謝罪」의 표현에 있어서도 한국계 기업에 종사하는 인원의 경우 약 50% 이상이 「すみません」을 선택한 반면, 일본계 기업에 종사하는 인원의 경우에는 「どうも申し訳ありません」이나「まことに申し訳ございません」등과 같은 경어적인 표현을 한국계보다는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즈니스 관계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경어등과 같은 관습화 된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언어적 Communication"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것인데 일본어를 사용함에 있어 가장 큰 어려운 점은 적절한 경어의 표현으로 조사가 되었다. 경어처럼 관습화 된 언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할 때 문화적인 충돌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비언어적인 측면에서는 「挨拶に関する認識」, 「計画に関する認識」, 「公私に関する認識」, 「問題の解決に関する認識」, 「その他ー視線の処理․突発的な業務の発生․相槌」와 같은 항목을 조사하였다. 그 중에서도 「挨拶に関する認識」와 「その他ー視線の処理」는 일본과의 비즈니스에 있어 실제 일본 문화와는 다소 상반되는 결과가 나왔다. 「挨拶に関する認識」의 경우 한국과는 달리 일본에는 악수라고 하는 언어 행동이 없기 때문에 외국인과 악수하는 것을 잘 잊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가끔 악수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 때, 상대에게 접촉할 정도로 가까이에 가까워져 악수하는 방법은 일본의 Communication 체계에 위반된다고 말해지고 있다. 이것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상대에게 가까이에 가까워지고 악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행동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その他ー視線の処理」에 관한 표현에 있어서는 한국계와 일본계의 비율이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는 있으나 실제 일본과의 비즈니스에서는 다르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의 뒷면에는 일본의 문화, 일본적인 사고방식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된다. 이상과 같은 의식의 차를 좁히기 위해서는 일본인의 교섭 스타일 및 언어적인 측면의 하나인 적절한 경어의 사용이 있어야지만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아울러 이문화에 대한 이해가 더해질 때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한․일간의 문화 교류도 원활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

      • 친환경 에너지 전력저장을 위한 대용량에너지 저장체계로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의 기술 분석

        김경열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레독스 흐름전지는 15년 이상 수명을 갖는 MW급 이차전지로 안전하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출력과 용량이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대용량화가 용이하며 매우 유력한 에너지저장 시스템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레독스 흐름전지의 특허를 주요 구성요소인 전해질, 전극, 막, 플레이트, 스택, 시스템으로 분류하여 특허동향을 분석하고 각국의 특허출원 현황 및 기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레독스 흐름전지의 특허출원은 2000년 225건에서 2005년 325건으로 45%이상 증가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2010년 724건으로 2000년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유럽은 그렇게 큰 변화폭을 보이지 않고 있다. 특허출원 형태를 보면 미국 3,142건 39%, 일본 3,125건 38%, 한국 1,253건 15%, 유럽 624건 8% 순으로 나타나고 있고, 세부기술 출원비율을 보면 시스템 40%, 전해질 20%, 막 12%, 전극 11%, 스택 9%, 플레이트 8%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의 세부기술 출원율을 보면 시스템 46%, 전해질 17%, 전극 12%, 막 9%, 플레이트 7%, 스택 7%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에서의 세부기술 출원율을 보면 시스템 44%, 전해질 17%, 막 12%, 전극 11%, 스택 9%, 플레이트 7% 순으로 나타났다. 유럽에서의 세부기술 출원율을 보면 시스템 38%, 전해질 24%, 전극 12%, 막 11%, 플레이트 7%, 스택 7%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미국에서의 세부기술 출원율을 보면 시스템 35%, 전해질 22%, 막 13%, 전극 12%, 플레이트 9%, 스택 9% 순으로 나타났다. 각국 상위5개 주요회사가 차지하는 출원비율을 살펴보면 한국에서 42.5%, 일본에서 26.8%, 유럽에서 23.8%, 미국에서 17.2% 로 나타났다. 한국, 일본, 유럽은 대기업 위주의 출원형태를 보이고 있고, 미국 시장에서는 다수의 기업들에 의하여 특허출원이 이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각국 상위5개 주요회사 모두 시스템의 기술을 먼저 선점한 후 그 외의 기술력을 출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용량 저장장치인 레독스 흐름전지의 기술력의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등의 총 특허출원 8,144건 중 1,253건으로 전체출원의 15.4%를 차지하며 아직은 매우 미진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특허출원과 등록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국가와 국내기업 학계 등, 열약한 국내에너지 수급상황을 고려할 때 보다 많은 투자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작물 중 개선된 정제 방법에 의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과 스트로빌루린계 농약의 잔류 분석

        김경열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실험은 파프리카를 대상으로 strobilurin계열 농약 azoxystrobin,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trifloxystrobin 4종과 neonicotinoid계열 농약 thiamethoxam, imidacloprid, thiacloprid, dinotefuran 4종 농약의 잔류 분석 방법 중 효율적인 정제 방법을 알아보았다. Acetone으로 추출한 파프리카 시료를 농축하고 정제 과정에서 여러 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뛰어난 active carbon 0.15g을 기존의 정제 과정에서 사용되는 플로리실, 아미노 컬럼 등의 SPE 컬럼과 조합해 사용하였다. 전처리 과정 후 HPLC의 UV/DAD를 이용하여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strobilurin계 4종 농약의 회수율은 93.3~101.0%로 검출되었고, neonicotinoid계 4종 농약의 회수율은 80.3~105.5%로 검출되었다. Active carbon을 이용한 정제방법으로 얻어진 회수율은 일반적으로 쓰여지는 SPE 컬럼을 이용한 정제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active carbon을 이용한 정제 방법으로 acetone으로 추출한 파프리카 시료의 색이 대부분 제거 되었고, HPLC의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해본 결과 strobilurin, neonicotinoid계 농약의 분석과정에서 아미노 컬럼과 active carbon을 조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방해물질의 peak제거가 가장 뛰어났다. 이러한 컬럼 조합으로 파프리카 시료에 존재하는 당과, 100mg/kg으로 처리한 Phenylalanin, Tryptophane 2종류의 아미노산의 제거율을 HPLC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비교해본 결과 active carbon을 아미노 컬럼과 조합하였을 때 93.1~96.3%의 당 제거율을 보였고, 2종류의 아미노산이 완전히 제거되어 정제 방법 중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파프리카 시료의 추출색과 당, 아미노산의 정제에 효율적인 결과를 보인 active carbon과 아미노 컬럼의 조합이 다른 작물의 잔류분석에서도 적용 가능한지 알아본 결과 오이, 토마토, 가지에서도 시료의 색이 대부분 제거 되었고, 회수율은 strobilurin계 농약 분석 시 83.6~97.6% neonicotinoid계 농약 분석 시 80.1~92.6%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작물에서 strobilurin, neonicotinoid계 농약의 잔류분석 시 active carbon으로 효율적인 정제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지고, 분석 장비의 수명과 정밀한 잔류농약분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improve analytical clean-up method for residue analyses of strobilurin fungicides including azoxystrobin,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trifloxystrobin and neonicotinoid insecticides including imidacloprid, thiacloprid, thiamethoxam and dinotefuran in paprika using high perfo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Both strobilurin and neonicotinoid compounds were extracted with acetone and extracted samples were partitioned by the Hydromatrix. Clean-up method used for extraction of pesticides was validated with recovery studies, which showed more than 80% recoveries for both strobilurin and neonicotinoid. Analytical clean-up method using the solid-phase extraction(SPE) cartridge and active carbon purification were compared by HPLC chromatogram and removal of color pigments. Clean-up method using active carbon and SPE(amino, florisil) methods effectively removed contents and amino acid supplement Phe/Try. Analytical clean-up methods were applicable to other crops including tomato, cucumber, eggplant.

      • 김정은 시대 선군정치에 관한 연구 : 북한군의 기능과 역할을 중심으로

        김경열 한성대학교 국방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정치사에서 유래를 찾아 보기 힘든 3대 세습으로 집권한 김정은은 사상·이념적인 통일과 공포정치, 효과적인 내부통제를 기반으로 ‘경제-핵무력건설 병진노선’을 국가적인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면서 동북아를 비롯한 미국 본토에 대한 위협 등으로 심각한 안보위협을 초래하고 있다. 핵보유국 지위 확보라는 절체절명의 국가전략 목표 달성을 위해 초강대국 미국과 맞짱을 뜨는 대담한 정치플레이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면서 절대 물러서지 않는 지도자상을 과시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김정일의 후계자인 김정은이, 병영국가이면서 철의 장막으로 둘러싸인 북한이란 특수한 체제에서 김정일의 통치이념이었던 ‘선군사상’을 어떤 방식으로 적용하면서 권력을 장악해 왔고 향후 대내외 관계 속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검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집권 초기만 하더라도 김정은은 김정일의 ‘선군사상’을 계승하는 지도자로 부각되었으나 김정일의 ‘선군정치’로 무장한 군부가 부정부패와 비리로 점철되어 비대하고 비정상적인 권력집단으로 변질되었다. 이에 김정은은 군부가 김정은 중심의 유일적 영도체계 확립을 저해할 수 있는 집단으로 인식하면서 이들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공포통치와 함께 피의 숙청이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결국 군부는 더 이상 김정일 시대 모든 권력집단에 우선하는 ‘선군’이 될 수 없었지만 체제보위와 체제건설 그리고 한반도 적화야욕을 위한 무력집단으로서 중요성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김정은이 추구하는 국가전략은 ‘선당’을 통한 내부통제 강화, ‘선핵’을 통한 핵보유국 인정과 한반도 적화야욕 실현, 그리고 ‘선경’을 통한 경제회생과 주민생활 향상이라고 본다. 김정은은 김정일 보다 뛰어난 내부 장악력과 함께 주민생활 향상을 통해 체제안정에도 어느 정도 성공한 것으로 보이며 핵 미사일 개발 성공으로 미국 본토에 대한 위협까지도 서슴지 않는 대담한 모습을 보면 북한 사회에 가장 최적화된 지도자로 보인다. 물론 체제생존은 미국의 행동여하에 달려 있지만 적어도 외견상으로 볼 때 북한 지도층은 김정은을 중심으로 일치단결하여 체제목표 달성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은 과거 김정일과 달리 대외관계에서 별다른 소득이 없지만 ‘선핵’에 올인하면서 더 큰 파이를 확보하기 위해 김정일도 하지 못한 대담한 게임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담보로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핵개발에 성공하면서 사실상 핵보유국 반열에 올라서고 싶어 하는 열망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반도내 핵불용’이라는 대원칙을 견지하고 있는 미국과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미국과 남한을 대상으로 도발과 전쟁위협을 고조시킬 수 있는 ‘선군정치’는 김정은이 언제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박판의 조커와 같은 옵션일 것이다. 김정은이 후계자 시절 내부결속과 자신의 존재를 부각하기 위해 무모하게 자행했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은 김정은의 도발적 성향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김정은이 미국과 관계악화 상황을 전환할 목적으로 남한을 담보로 한 대담한 도발을 감행하고자 한다면 아마도 책상서랍에 보관해 두었던 ‘선군’의 옛 추억을 꺼내어 불을 지피는 카드로 활용할 것이다. 즉 북한 사회에서 ‘선군’은 체제 불안정과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언제든지 체제를 수호하기 위해 활용 가능한 옵션인 ‘용군’으로 변화한 것이다. 그러나 김정일 시대와 달리 ‘선군’이 ‘선당’, ‘선핵’, ‘선경’ 보다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려난 것은 군부의 역할과 위상도 변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독재체제에서 군부가 독재자와 공생하면서 체제수호의 일등 공신 역할을 하지만 독재자로부터 버림받았을 경우 독재자에게 가장 큰 위협이 된다는 것을 역사가 말해주고 있는데 김정은도 예외가 될 수는 없을 것으로 본다. 군부의 사상일탈과 체제반감이 더해진다면 독재자에게는 더없이 심대한 위협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