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기계과 학생들의 진로와 자격증 인식도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권건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양한 교육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기계과 학생들이 당면한 자격증관련 교과지도와 직업 및 진로 지도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기계과 효율적인 교육방법으로 교과교육 및 자격증 취득에 도움을 주고, 학생들에게 맞는 진로지도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방향 설정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나아가 공업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교과과정과 진로지도 그리고 자격증 검정의 연계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올바른 도입 방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고,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기계과 학생들의 직업 및 진로 인식도와 자격증 인식도에 대한 실태를 조사ㆍ분석함으로써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소재 3개 공업계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ㆍ분석하였다. 조사 도구는 연구자가 작성한 후, 선정된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7개 영역에 5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조사한 결과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은 학생들은 수업이나 진로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전공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전공실습이 필요하다. 2. 학생들이 졸업 후 장래 전망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진로교육이 필요하며, 자격증 우대와 사회진출시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및 대우가 필요하다.. 3.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에 대한 전문성인증이 요구되며, 취업과 진학을 이원화한 교육이 필요하다. 4. 현재보다 이른 시점에서 직업 및 진로에 대한 상담과 지도가 이루어져야하고 단계적인 진학교육이 필요하다. 5. 취업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 모두 전문분야의 능력을 인정받기위해 자격증취득을 희망하므로 교과지도 및 진로지도와 연계한 자격지도가 필요하다. 6. 교과와 연계한 자격검정의 다양한 기회부여와 함께, 국가기술자격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지도가 필요하다. 7. 학생들이 전공분야와 자격증 취득에 대한 관심이 많아 자격제도와 교과교육의 연계방안 및 난이도 개선이 필요하다. 8. 자격증과 직업의 관계가 밀접하므로 학생 개개인의 진로를 고려한 자격지도가 필요하다. 9. 보다 많은 의무검정의 기회를 요구하고 있어 교과과정과 연계한 의무검정(3회검정, 전문계 필기면제 시험제도)의 시기조절 및 제도보완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line with diverse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in conjunction with the guidance on subjects relating to the technical licenses for students in mechatronics department of technical schools and the guidance on their occupation and career paths. This study aims to propose efficient education methods in the mechatronics department of technical high schools in an effort to assist the guidance on subjects and the students in earning technical licenses, to devise measures for providing appropriate guidance on students’ career paths, and to obtain data for establishing a positive direction for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s. Also, the study seeks to indicate the need to link education with the curriculum, guidance on career paths and tests for technical licenses with a view to improving technical education and seeking appropriate methods. To that end, pertinent literature was survey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Students in the mechatronics department of technical high schools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of occupation, career paths, and licenses, therefore providing basic data. 360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s in three technical high schools in Daegu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 was drafted by this researcher, was verified for its validity by selected experts, and was comprised of 53 questions in 7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Microsoft’s Excel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1. Students, who are not equipped with basic knowledge, have difficulty taking classes and choosing their career paths; they thus require the practice of majors which can back up theories of majors. 2.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about their career paths on a gradual basis to allow them to recognize their future prospects after graduating from school. It is also necessary to properly honor the technical licenses, to improve the socia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when students are engaged in actual jobs, and to give proper treatment to them. 3. Professional certification of technical subjects in technical high schools is required, and separate education on job seeking and entry into higher-ranking schools is necessary. 4. Consultancy and guidance on occupation and career paths should be provided earlier than they are currently provided. Also, gradual education on entry into higher-ranking schools is necessary. 5. Students who want to get jobs and to enter higher-ranking schools all wish to earn technical licenses in order to have their competence in technical fields recognized. Thus, it is necessary to guide students on licenses in connection with the guidance on subjects and career paths. 6.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opportunities for qualification tests in conjunction with subjects, and to help them correctly understand the National Qualification Test system. 7. Students have a high interest in majors and earning technical licenses, and thus it is necessary to devise measures for linking the qualification system with education on subjects, and to improve the levels of difficulty of the tests. 8. Since it is closely related between technical licenses and occupation, it is necessary to guide students on their career paths considering individuals’ requirements. 9. Since students require more opportunities for obligatory test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imeline of obligatory tests (three tests, written test exempted in technical fields) in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to complement and improve the system.

      • 韓國 社會敎育政策에 관한 硏究

        권건 단국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15

        21세기의 미래사회는 지금까지의 산업사회와는 달리 情報化社會의 진전에 따라 새로운 情報·知識·技術을 창출할 수 있는 질 높은 전문교육과 인력 양성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교육 패러다임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지식과 정보사회에 신속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만으로는 개인과 사회의 교육적 요구를 모두 수용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학교교육 외에도 계속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사회교육 체제의 구축이 절실히 요청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한국의 교육정책은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기 때문에 '敎育'하면 곧 '學校敎育'이라고 하는 思考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근 50년 동안 사회교육은 학교교육을 補完하는 정도나 周邊敎育으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회교육의 발전이 遲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직도 한국의 교육정책이 '學校敎育'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체계적인 사회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반증해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이 연구는 社會敎育政策이 교육정책의 한 영역으로서 그 位相을 확립하고 학교교육과 대등한 입장에서 相互補完的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敎育體制의 韓換을 위하여 한국 社會敎育政策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노정된 문제점과 그에 따른 발전적 課題를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Ⅴ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이 연구를 하게 된 동기 즉,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社會敎育政策의 槪念을 규정하였으며 敎育部가 주관하는 사회교육의 내용에 따라 社會敎育政策 領域을 文解 및 初等敎育, 國民意識啓發敎育, 職業技術敎育, 學歷補充敎育, 그리고 敎養增進 및 餘暇善用敎育 등 5개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이러한 정책영역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로서 公敎育의 原理, 敎育權의 原理, 數育의 中立性의 原理, 그리고 敎育 條件整備의 原理 등 社會敎育政策의 原理를 제시하였다. 특히 이 연구의 방법을 體系化하고 一貫性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社會敎育政策의 연구의 틀을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해방 이후 현재까지 실천된 社會敎育政策을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그리고 1990년 이후 등 10년 단위로 시대구분을 하여 각 시대별 時代的 背景과 敎育理論을 고찰하였으며 社會敎育政策의 전개과정을 政策 領域別로 분류하여 시대별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교육정책의 원리를 준용하여 개괄적인 政策分析을 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社會敎育政策의 전개 과정을 사회교육정책의 네가지 原理인 ① 公敎育의 原理, ② 敎育權의 原理, ③ 敎育의 中立性의 原理, ④ 敎育 條件整備의 原理를 준거로 하여 社會敎育政策 領域別 課題를 도출하였다. 公敎育的 測面은 社會敎育機會의 擴大와 公敎育費의 保障의 原理를, 敎育權 保障 測面은 '善意의 統制權'으로서의 설치자 및 국가의 '교육할 권리'인 敎育權의 原理를, 敎育의 中立性 保障 測面은 學習權의 保障과 政治的 中立性의 原理를, 敎育 條件整備的 測面은 法體系의 整備, 行政制度의 整備를 준거로 社會敎育政策의 실천 내용들을 分析하였다. Ⅴ장에서는 이상을 要約하고 社會敎育政策의 미래지향적 課題를 전망했다. Unlike the existing industrial society, the future informationiz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not only the high -qualified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works out new information, knowledge, and technique, but also a new form of job education for nurturing new manpower. Owing to the geometrical progressional increase of kno\vledge and information, school education alone cannot meet all the educational demands of individual and society. So in addition to school education, it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social education system which will continue to provide education. But because the Korean educational policies have been exercised focusing on school education, our educational idea has been confined to school education. So though we have put the social education policies into practice for about 50 years since the Liberation, social education has been so far recognized as just a complementary or marginal education for school education, and hinders the real development of social education. This means that school education has been above social education and that systemetic social education policy has not been carried out.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social education policy as a branch of education policy and to turn it into the educational system which supplements school education on equal terms, this study suggests the problem s revealed in the course of exercising the Korean social education policy and the directions for its improvement. This treatise consists of five chapters. Each chapter is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motive of this study. In other words, it raises the problems and explains the purpose and contents, range and method of this treatise. In chapter 2, we give the manipulatory definition of the idea of social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the significance of social education ho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classified the area of social education policy into five sections, which are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development education of national spirit, professional skill education, quasi-school education, and culture-increasing and leisure time-using education. And as a reference for analyzing such policy area we also suggest the principles of social education policy such as public education, educational right, the ensurance of educational neutrality,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Especially, we made the conceptual frame of social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systematize coherently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n chapter 3, social education policies carried out so far since the Liberation are examined respectively taking each ten year as a period unit; 1950's, 1960's, 1970's, 1980's, and 1990's. In this chapter, corresponding to the principles of social education policy, we make a general survey of the policies center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In chapter 4, referring ro the general principles of social education policy, we work out the tasks of social education policy in the aspects of public education, of the ensurance of educational right, educational neutrality, and law & institution, and of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In other words, the public educational aspect takes as its reference the principles of the ensurance of public education fee and the extension of the opportunity of social education; the ensurance of educational right takes the principle of the educational right that the nation should educate its people as the well-intended controller and establisher; the ensurance of educational right takes the principles of the ensurance of learning right and the political neurality; and the aspect of the educational condition improvement takes as its reference the improvements of law and administration system. So the chapter suggests the progressive tasks by raising the problems in each area. Finally,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is study and gives a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