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에 있어서 기업가정신의 영향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강태헌 한남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fluencing factors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o examine how their activities affec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ereafter SMEs) performance. It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firms’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examine further that stronger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will be especially valuable for firms’ performance with a high level of emotional bonds between a CEO and their employees. Basically, firm-level entrepreneurship,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cludes internal venturing and organizational renewal activities within large or established firms, going beyond the behavioral or psychological dimensions such as innovation,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of entrepreneurs. Thus, many previous researchers have had much interest in foster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a large, diversified firm. However, corporate entrepreneurship is also important in small and medium-sized organizations, where aggressiv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are very much required to keep an organization in tune with its competitive setting. However, many studie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Korea are not considered to have measured all aspects of firm-level entrepreneurship. In this study, we will assess firm-level entrepreneurship’s relationship with a firm’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oncept defined by Zahra (1991) covering corporate entrepreneurship, that is, intrapreneuring, and strategic renewal activities conducted at the firm level.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of SMEs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interest in recent years, although they are somewhat limited compared to large companies. Therefore, we rais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in this study: First, what precedents have an effect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of SMEs? Second, can corporate entrepreneurship of SM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ird, how does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find answers to the above three questions. First of all, we turn to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and organizational slack as factors likely to affect corporate entrepreneurship of SMEs. The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of SMEs may cause them to realize the need of innovation and change. Thus, the more serious such uncertainty is, the more likely the company may become committed to entrepreneurship activities. Given the nature of SMEs, however, lack of organizational resources may pose a serious threat when it is necessary to driv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extensively. Entrepreneurial pursuits generally require considerable resources and considerable time, effort, and money must be invested. The higher the assessed level of organizational slack resources, in turn, the greater the economic incentive for the firm to invest in innovation, venturing, and strategic renewal activities. In this respect,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organizational slack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of SMEs. As a result, we set two hypotheses as below: Hypothesis 1. Perceived uncertainty of environment has a positive Hypothesis 2. Organizational slack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Hypothesis 3. The higher people ar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likely it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Hypothesis 4. The younger people start his business, the more likely it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Hypothesis 5. With a high ratio of researcher numbers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Hypothesis 6. With a high ratio of outsiders on a company's board of directors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Many studies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ve reported that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in various ways. For example, corporate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and competitive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were limited to large or established firms, so we are not sure if we will have the same results from a study on SMEs. Accordingly, we hypothesize as follows: Hypothesis 7. Corporate entrepreneurship will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of SM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uncertainty of th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slack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which implies th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mselves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and that organizational slack will directly lead to better firm performance. We assume that corporate entrepreneurship can help the effect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organizational slack on firm performance. Therefore, we hypothesize: Hypothesis 8. Corporate entrepreneurship will mediate the positive impact antecedents variables on firm's performance. How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is not known well. Sometimes varied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may cause worry about their status or resistance against changes among employees in SMEs. Thus, excessiv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sometimes may affect firm performance adversely.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paternalism - manager's affective cares to employee - plays a pivot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firm performance. In particular, manager's affective cares to employees like paternalism can be an important thing within Korean SMEs to reduce resistance among employees and boost their participation. As a result, we set the final hypothesis as follows: Hypothesis 9.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firm performance is moderated by social capital-affective cares to employees.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paternalism will enhance the positive relationships of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To test these hypotheses, we selected 150 SMEs and sent questionnaires to the CEOs. A total of 145 CEO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nd returned them to us. Out of the 145 questionnaires, 5 were rejected because they were not filled out completely, and the remaining 140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addition, to secure reliability, we chose 30 of these firms sent questionnaires to ask other executives in those firms. The age of the companies ranged from less than 10 years old to 30 years or older. When it came to the size, a majority of them had 50 to 100 employees. Finally, as far as the industry they belong to was concerned, general manufacturers ranked first (45.7%) followed by bio-medical, IT, and semiconductor industry in that order. A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revealed that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organization slac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confirming both Hypotheses 1 and 2. Furthermore, the uncertainty of th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slac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Corporate entrepreneurship itself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and the uncertainty of th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slack served as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to the effect on firm performance, also confirming Hypotheses 3, 4, and 5. Finally,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firm performance, social capital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e found that while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as it is,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by interacting with corporate entrepreneurship. The result supports Hypothesis 6. The study showed that among SMEs in Korea,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the uncertainty of th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slack. In addition, the uncertainty of th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slack appeared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irm performance, while being more likely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firm performance via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While corporate entrepreneurship or social capital itself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we found that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d a greater effect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social capital, in relation to its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y that the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f SMEs on firm performance is important. We also suggest that considering that while uncertainty of th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slack had an effect on firm performance, corporate entrepreneurship may play an important role. Furthermore, both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had an import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and worked better sometimes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can make a greater contribution to firm performance by means of participation and coordination of employees. Nevertheless, these findings have a limit to generalize, because the study focused on SMEs in Korea, where a traditional patriarchal culture has been strong, and where affective cares of employers for employees can help reduce conflict and resistance in relation to corporate entrepreneurship activities. Therefore, we are not certain that the same result will be obtained from a study focusing on SMEs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further studies of this kind are considered necessary focusing on SMEs in various countries.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에 대한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가장 급속히 확산된 연구주제 중의 하나이다. 특히, 최근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기업들이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업수준(firm-level)에서 보다 활발한 기업가적인 활동(entrepreneurial activities)이 요구된다고 한다(Dess, Lumpkin, and McGee, 1999; Zahra, Jennings, and Kuratko, 1999; Zahra, Ireland, Gutierrez, and Hitt, 2000). 즉 기업 차원에서의 혁신, 신산업 영역의 개척, 그리고 전략적 갱신(strategic renewal)과 같은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corporate entrepreneurship)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2000년 이후 주요 국제 학술지의 특집호에서 이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만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권업과 신진교, 2007, p.218 재인용). 국내에서는 이춘우(1999)의 연구이후 연구자들에 따라서 정의와 초점을 달리하며 이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용어에 대한 합의도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먼저, 이춘우(1999)는 조직수준에서의 기업가정신을 강조하기 위해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으로 정의하고 있다. 권업과 신진교(2007)는 혁신활동에 초점을 둔 기업혁신으로, 그리고 배종태와 차민석(2009)은 사내 기업가정신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윤종록 등(2003)은 개인차원의 기업가정신과 구분하여 조직 기업가정신으로 사용하고 있다(장수덕과 강태헌, 2010). 그런데 비교적 최근까지 국내외적으로 진행된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보면, 이는 단순히 새로운 사업의 창업에 한정되는 기업가정신(예를 들어, Vesper, 1985)에 비해 보다 광의의 개념이며 기업수준에서 경쟁력 제고나 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해 새로운 산업영역의 정의나 개척, 혁신과 사내 벤처링과 같은 기업가적 활동을 수행하는 개념임을 알 수 있다(Zahra et al., 1999). 그래서 Zahra(1991)는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을 기존 기업내에서 이루어지는 제품이나 공정혁신 그리고 시장개발 등을 통해 신규사업의 창출에 역점을 두고 있는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인 활동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Sharma and Chrisman(1999)은 보다 넓게 기존 기업에 소속된 개인이나 소집단이 기업내에서 새로운 조직이나 사업을 만들거나 조직전체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업가정신으로 정의하고 있다. 한편, Dess et al.(1999)은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을 기업의 전사적 전략(corporate-level strategies)과 마찬가지로 기존 기업이 혁신이나 조인트벤처 등을 통해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거나 사내 창업이나 전략적 갱신을 통해 조직의 변화를 유도하는 활동으로 이해하고 있다. 다만,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의 하청이나 계열사인 경우가 많고 제품이나 사업의 다각화 정도가 매우 낮아 혁신, 벤처링, 그리고 전략적 갱신과 같은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 활동이 얼마나 활발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을 연구하기 위해 많이 사용한 척도인 기업가적 지향성이 아닌 Zahra(1996)가 제시하는 세 가지의 구체적 활동을 중심으로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의 영향요인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국내 중소기업에 있어 어떤 요인들이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을 촉진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에 실제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리고 기업성과와의 관계에 있어 기업수준의 기업가정신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볼트 접합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거더의 합성거동에 대한 연구

        강태헌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세계적으로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의 적용을 위한 세그먼트 부재의 경량화와 부재의 성능 향상, 세그먼트 간의 접합부 연결의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의 거더 및 상판 구조물 등의 적용에 있어서 실용화의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그리고 현재 개발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은 바닥판과 거더의 접합부에 몰타르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몰타르층이 하중작용방향으로 아무런 구속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이고, 전단력이 강거더 바로 위의 전단연결재 용접부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작은 하중에서도 베딩층이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과 몰타르 타설과 강거더에 스터드를 용접하기 때문에 공기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강거더를 볼트 접합을 시키는 완전 건식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존에 연구되었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는 달리 이 연구에서는 바닥판과 거더를 볼트로 조립, 합성하는 방식으로 공기를 더욱 단축할 수 있으며 바닥판의 손상 등 보수나 교체가 타 공법에 비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닥판의 제원이 그리 크지 않아 운반이나 시공에 어려움이 없을 거라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볼트 접합된 강거더의 설계 개념을 제시하고 이 개념에 의한 20개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20m 실대형 시험체를 설계, 제작하여 실험 결과를 이론값, 유한요소 해석값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합성된 강거더 실험을 진행하기 전 준비 단계로 볼트의 체결력과 마찰 접합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후 제작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자체의 균열하중, 항복하중 및 철근의 변형률 등을 측정하였다. 프리캐스트 바닥판 합성 강거더 시험체는 20m 강거더 2개와 가로보, 보강보를 조립하여 제작하였으며, 바닥판 합성 전·후, 보강보 제원, 프리스트레스력 유무의 변수를 갖는 시험체에 하중 재하 실험을 실시하여 처짐, 변형률 관계등을 계측하였다. 실험 결과 시방서 규정을 상회하는 볼트 체결 방법을 알았고 볼트연결에 의한 마찰 접합력이 이론값 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내하력 실험을 통하여 내하력이 40tonf 에 달하여 설계 내하력 보다 큰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합성된 강거더 실험에서 측정된 처짐 값은 이론값과 유한요소 해석값에 각각 평균 60%와 30%의 오차를 보였으며 변형률 값도 오차는 줄어들었지만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바닥판 합성 전ㆍ후 실험에서 합성 후 시험체가 처짐과 변형률 값이 합성 전 시험체 보다 약 20% 줄어든 것으로 관측되어 볼트 접합된 바닥판과 거더의 합성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이론값이나 유한요소 해석값과 차이를 보여 합성구간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론 보다 작은 재하 하중에서 프리캐스트 바닥판 볼트 접합부에 발생하는 균열과 거더와의 이격, 콘크리트 탈락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제작오차와 접합부의 응력 집중현상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이를 보완할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스피드경영을 위한 정보화경영체제(IMS)구축 사례 : 정보통신공사 업체 중심

        강태헌 한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construction means the work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s, as well as the business of which main business is appurtenant work accompanied by the work previously mention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Construction Act"). Major business includes survey, design, construction, supervision, maintenance and technology management related to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construction works. For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work,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and use effectively the technical professionals needed for design and construction. So, it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strong enterprise competitive power to cope with quickly the technical changes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related products - short life cycle, slimness and sophistication of products. Technical expertise of traditional equipments cannot deal with new equipments any more, and construction expenses have increased to raise prime cost rise.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are always changing, therefore,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m, engineers who have mastered the skill for traditional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equipments should master new techniques. In addition, prime cost should also be decreased through the construction in suitable time and rapid decision making and etc. These questions at issu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construction can be solved by implementing spe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formation. Accordingly this study organize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cases for speed management subject to representative enterprises among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s construction businesses.

      • Louis I. Khan의 건축과 노자사상

        강태헌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를 통하여 유태계 미국 건축가인 루이스 칸이 건축적 본질을 찾 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러한 그의 노력이 어떻게 형성되어, 공간적으로는 어떠한 특성으로 표출되었는지,또한 그 배경에는 동양사상인 노자사상과 어떠한 접점을 이루고 있는지 고찰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루이스 칸은 획일화되고 균질화된 모더니즘 건축에서 결여된 건축적 가 치를 건축의 위계와 중심성의 회복을 통하여 모든 것의 근원(beginning) 되는 ‘영점(Zero)'으로 돌아가 공간의 본질적인 질서를 회복하려 하였으며, 그러한 의지는 건축공간의 중심성 회복으로 표현되었다. 칸은 위계를 통한 중심성의 실현으로 빛을 가두어 한정시킨 공간에서 존 재를 드러내어 본질을 깨닫게 하기 위해 노력하였고,빛은 공간의 위계에 의한 중심성을 표현하여 ‘존재의지'를 달성하게 한다. 즉 공간의 중심(void, 無)에 떨어지는 빛을 통해 전체공간의 위계가 이루어지고 평면 내에서 질 서를 부여해주며 이와 대조되는 각각의 실들(room, 有)이 건물의 중심공간 과 서로 보완작용을 하여 최종적으로 자연으로의 합일(合一)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칸의 건축 철학인 침묵과 빛이란 개념으로 종합되었다. 한편,노자도 유가(儒家)의 인간중심주의적인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숭본식말(崇本息末), 을 통하여 근본을 중요시하고,또한 ‘이무위본(以無爲本), 으로 무(無)를 근본으로 하여, 만물의 근본인 자연으로의 회귀를 주장 하였으며 그 자연은 결국 천지인(天地人)의 근원적 질서를 의미하는 것이었 다. 칸도 노자도 인간의 능력에 의한 과학과 물질에 의한 지나친 교만으로 자칫 간과되기 쉬운,근원과 영원성의 자각에 그 근본이념의 중심을 두었던 것이다. 즉 인간보다는 창조주인 신(神)과 만물의 근원인 자연에 대한 성찰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성찰을 통하여 과거와 소통할 수 있게 되며,그 소통은 종국에는 영원한 질서 즉 진리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던 것이다. 칸은 인간이 창조한 어떤 것도 진실로 새로운 것은 없는 것으로 자연을 구성하는 모든 조직물들은 그들 자체의 질서적 법칙이나 고요함으로의 구 조성을 지니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이는 앞서 이야기한 근본(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노자사상의 핵심과 같은 맥락을 가진 것으로 건축을 한다 는 것은 인위적인 것을 배제하고 자연을 받아들임으로서 영원한 구조성의 발견과 재발견을 위한 새로운 해석으로 본질적 구조성의 단순한 변형을 가 져오는 것이며,영원한 관례적 제도의 새로운 표현을 찾으려는 노력에 불과 한 것임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To search for architectural essence or the law of origins which Kahn asserted appears to recover the eternities in architecture. By the w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Kahn stated that Nature brings a means enabling life as a giver for existence and human needs Nature. In this point of view, Kahn's theoretical conclusion can be analyzed as a general unchanged treasure house of the origins, Nature. To recover the eternities is to return to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aoism. Kahn maintaining the viewpoint of pantheism can be understood from the point that he weights the reflection toward the Creature or Nature after awakening himself, like Lao-tzu, toward the origins and the eternities which can be disregarded with excessive arrogance caused by science and material. Searching for the eternities enables communication to the past. The relationship between ‘silence’ and ‘light and darkness’ is to enabl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mental world. Therefore, Kahn's idea searching ‘the origins’ and ‘silence and light’ can be understood identically as Lao-tzu's ideas, ‘the origins’ and ‘to respect the origins by nothingness’.

      •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의 미세 단위 성능 모델링

        강태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large-scale workloads with massive parallelism emerge, the demand for large-scale computer systems such as datacenters and supercomputers is rising sharply. Traditionally, architects have modeled performance to accurately design a large-scale system where a given large-scale workload can reach its target performance. However, modeling a large-scale system for a large-scale workload without the system is a highly challenging problem. Unfortunately, previous approaches suffer from inaccurate modeling of simultaneous hardware events due to their coarse-grained modeling granular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ne-grained performance modeling framework for large scale system performance prediction to resolve the previous limitation. The framework works with a small-scale data to predict how the application runs on a large scale. It accurately models the applications by regarding a function as a minimum modeling granularity. Additionally, it lowers the modeling and profiling overhead by limiting the range of functions to model. We validate the accuracy of the framework with real-world benchmark workloads and systems. 병렬성이 높은 대규모 워크로드가 등장함에 따라 수퍼컴퓨터와 같은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시스템 디자이너들은 주어진 워크로드가 목표 성능에 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구축하기 위해 실제 구축 이전 설계 단계에서 시스템에 대한 성능을 모델링을 통해 평가한다. 하지만, 적은 시간과 적은 하드웨어 리소스만으로 성능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위한 선행 연구들이 발표되었으나, 이전 연구가 제안하는 방법론은 큰 모델링 단위로 인해 다양한 하드웨어 이벤트가 동시에 일어나는 워크로드 및 해당 워크로드를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정확한 모델링을 하는 데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한 저비용 미세 단위 성능 모델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를 해결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주어진 워크로드를 워크로드 내에서 호출되는 함수를 최소 모델링 단위로 하여 기존 연구보다 정밀하게 모델링하는 동시에, 그 모델링 대상이 되는 함수의 범위를 최소한으로 설정하여 추가로 발생하는 모델링 오버헤드를 최소화한다. 원하는 시스템 및 워크로드 규모 대신, 소규모로 실행하여 추출한 함수 호출 트레이스들과 그 실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규모 실행 시 트레이스를 합성하고, 해당 트레이스 내 함수 호출 별 실행 시간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실행에서의 그 작동 방식을 예측한다. HPC 및 AI 학습과 같은 실제 대규모 워크로드들을 벤치마크로 하여 실제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정확도를 검증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