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주민의 지역사회참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해담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사회주민의 지역사회참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지역사회참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또한 지역사회참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망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조사는 2018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30일 간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에 앞서 설문조사의 취지와 응답방법, 설문응답결과에 대한 비밀보장 등을 설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중구 지역 내에서 지역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였고 지역 행사장, 활동 장소등을 방문하여 다니며 무선표집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성별, 연령,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와 같은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항목과 지역사회참여유형, 참여기간과 같은 지역사회참여에 대한 항목, 지역사회참여 몰입, 사회적 관계망,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전체 325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설문지는 267부, 이 중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51부를 제외한 총 21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 Scheffe의 다중범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가설 검증은 유의수준 p<.05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참여 몰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참여 몰입은 사회적 관계망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은 지역주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지역사회참여 몰입과 사회적 관계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각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기개발 관계망과 사회참여 관계망 모두 지역사회참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역주민의 지역사회참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사회적 관계망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적 측면에서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참여의 활성화를 위하여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시키고 독려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노력과 정책 및 제도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천적 정책적 노력을 통하여 지역주민들의 지역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고, 주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동체가 세워진다면 지역주민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한부모가족의 자립준비에 대한 문화기술지 : 모자가족복지시설 입소자 자립지원제도를 중심으로

        김미숙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시설보호 한부모가족 여성 가구주들이 일상생활 안에서 ‘자립적립금’을 중심축으로 한 자립지원제도들을 활용하고 조정해나가는 역동적인 과정을 통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다섯 가지 연구 질문들을 탐구하였다: 첫째, 자립지원제도에 대한 시설보호 한부모가족 당사자들의 인식, 둘째, 자립, 저축 및 부채의 의미, 셋째, 소비문화, 넷째, 삶의 조정, 다섯째, 미래의 기획.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2014년 8월부터 7개월 동안 전라북도 00시에 위치한 00모자가족복지시설 입소자와 퇴소자 19명을 주요 정보제공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생활세계에 대한 직접관찰, 개별 심층면접, 자립적립금 기초자료, 문서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주요 정보제공자 외에도 시설 종사자와 여성가족부 담당 공무원을 보조 정보제공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접과 포커스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문화기술지 연구로 접근하였다. 첫째, 자립지원제도에 대해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 여성들은 수급제도를 자녀양육을 위한 고육지책의 선택으로 인식했고, 탈수급 준비가 부족하면 수급으로 회귀한다는 교훈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시설보호를 삶의 전환점의 기회로 여기며, 퇴소 준비는 빚 갚고 저축이 최고라고 인식했다. 시설수급을 받는 모자가족은 매월 근로소득의 일정 금액을 소위 ‘자립적립금’으로 저축해야 하는데, 그들은 이에 대하여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을 둘 다 가지고 있다. 자립적립금은 지난 15년 동안 제도로 정착하면서 전반적으로 저축은 증가했으나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는 ‘절반의 성공’을 이루었다. ‘자립준비금’은 소득 초과자를 위한 ‘추가 옵션제’로서 입소자들이 추가 저축을 통해 시설 퇴소를 유예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자립준비금은 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소수의 소득 초과자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점이 인식되었다. 자립준비금은 도입된 지 2년 된 신규제도로서, 향후 당사자들이 이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용하느냐에 성패가 달려있다. 한편, ‘자립매칭금’은 개인의 저축금에 매칭금을 부여 해주는 시설 내 자체 사업이다. 자립매칭금은 소득이 없는 사람도 소액 저축을 가능케 하는 ‘저축의 첫걸음’으로서 자산형성지원제도의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자립, 저축 및 부채의 의미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에게 자립은 각자 처한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를 포괄한다. 공통적으로, 그들에게 자립은 ‘현재 상황을 극복하고 자녀를 양육하며 사는데 어려움이 없는 상태로 나아감’을 의미한다. 그들에게 자립준비란 ‘자녀를 통한 미래 세대의 준비이며 국가와 개인의 상부상조를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요약된다.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은 저축을 자기주도적인 삶의 시작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들은 기회 있으면 추가 저축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들은 심리적 안정을 위해 저축보다 사보험을 선호하지만, 쉽게 가입하고 쉽게 해약하여 손해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부채에 대하여, 그들은 시설보호를 빚 갚는 기회로 여기고, 조금씩 빚 갚고 돈도 벌어야 한다고 이해했다. 셋째, 소비문화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들은 과거부채에 매인 소비 무능력자, 오늘 행복을 내일로 미루지 않는 현재소비 지향, 미래 불안을 보험으로 해소하는 미래소비 지향으로 분류되었다. 저축에 대한 개인의 시간선호도는 상당수가 현재소비를 지향하지만, 과거부채에 매어있거나 미래를 준비하느라 현재소비를 유예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가족이나 직장 상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선택으로 시간선호도를 이동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간선호도가 한 곳에 집중되면 삶이 고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조정에 대해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은 끊임없이 조정하는 삶을 살아가는데, 그 조정의 내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자존감과 경제적 실리 간의 조정’, ‘국가 지원과 본인 수고의 황금분할’, ‘개인의 시간선호도의 조정’, ‘일과 자녀 돌봄 간의 조정’, ‘경제적 안정과 심리적 안정 간의 조정’, ‘미래 준비를 위한 저축과 교육 간의 조정’, 그리고 ‘제도와 저축 간의 조정’을 하며 살아간다. 개인의 저축을 조정하는 제도적 요인들 중에, 접근성, 정보, 인센티브, 참여의 촉진, 기대감 및 한도는 개인의 저축을 촉진하는 요인이며, 규칙시행의 엄격성 및 사생활 침해는 개인의 저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래의 기획에 대해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은 소득수준에 따라 초과소득 집단, 저소득 집단, 근로능력 취약 집단이 있는데, 이들이 지향하는 미래의 기획은 행동전략에 따라 빚 갚고 저축하는 것을 당면과제로 여기는 근로활동 집단, 당장의 자산축적보다는 인적자원개발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는 집단, 근로능력이 취약하여 수급비로 생활하면서 소액 저축이나 사보험으로 미래 불안을 해소하는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위의 다섯 가지 연구 결과들로부터 도출된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의 삶의 여섯 가지 주제들은 ‘여성가장의 책임감’, ‘국가 지원과 본인 수고의 황금분할’, ‘자녀양육을 통한 다음 세대의 준비’, ‘평범한 가족 추구’, ‘경제적 안정과 심리적 안정감 간의 조정’, ‘미래의 불안’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삶의 여섯 가지 주제들을 아우르는 삶의 대주제는 자유롭게 돈 벌고 떳떳하게 빚 갚고 저축하는 ‘삶의 선순환으로 안정된 미래를 준비함’으로 상정되었다. 본 연구는 시설 거주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을 위한 자립지원제도들인 자립적립금, 자립준비금 및 자립매칭금을 제도적 저축이론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립매칭금이 효과적인 자립지원 방안이라는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향후 시설 거주 한부모가족의 안정된 미래 준비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매칭금을 지원하는 자산형성지원사업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dynamic process of how single mothers living in welfare facility utilize and coordinate self-reliance support programs such as ‘compulsory’ savings plan for self-reliance. To this purpose, I explored five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single mothers perceive self-reliance support programs, second, how they understand the meaning of self-reliance, savings and debts,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nsumption culture in terms of time preference, fourth, how they coordinate everyday life, and fifth, their vision and plan for the future. For seven months from August of 2014, I conducted a field study on the daily life of 19 current and former residents of a welfare facility for single mother families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In this study I adopted an ethnographic approach in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implement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social work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volved, gathering documents on monthly savings plan, etc. A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single mothers perceived welfare benefits as a desperate measure for child-rearing. They learned that if they exit from welfare rolls unprepared, they will have to come back to welfare rolls again. They considered living in the welfare facility as an opportunity to make a break-through in their lives, and they viewed it is best to pay debts and save up money during the stay in the welfare facility. Single mothers had mix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about ‘compulsory’savings plan for self-reliance, according to which single mothers should save a certain amount of money out of their monthly income as a residential requirement. The policy, after being implemented for 15 years, is regarded as ‘partially successful’since it increased savings overall, but raised the concerns of privacy infringement as well. ‘An additional option’ for single mothers with surplus income is ‘voluntary’savings plan, which allows a grace period of stay for saving additional money.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program and the prospect that only a small number will be qualified. It was introduced only two years ago, and the success of the program depends on how proactively people utilize it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 of ‘matching fund’ for voluntary savings plan, which was implemented in the studied facility on their own, incentivizes savings through matching funds. It turns out to be an effective program for asset-building, enabling ‘a first step toward savings’ since even people without income can afford to start and maintain small savings. The findings for second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or single mothers, the concept of self-reliance can embrace a wide range of meanings depending on their situations. They share a common understanding of self-reliance as ‘a process of overcoming current situation and advancing toward a state of not having difficulty with child-rearing.’ And they identify the preparation for self-reliance as ‘that for the next generation through a gradual process of mutual hel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mselves.’ Single mothers perceived savings as a beginning of self-initiated life. They think that they can save up more money if they have the chance to. They preferred private insurance to commercial bank for psychological stability. However, they sometimes incurred losses by acquiring and terminating insurance accounts with too much haste due to financial instability. Regarding debt, they wanted to take advantage of living in the welfare facility to make money and pay debts. To study the third research question on consumption culture, single mother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time preference; past-oriented group who are incompetent consumers due to debts, present-oriented group who consume and ‘seize the day,’ and future-oriented group who resolve anxiety about the future by buying private insurance. A considerable number of people are present-oriented; but there are some who are past-oriented or future-oriented. Understandably, they sometimes switch from one time preference to another, taking into account family or job circumstances. It turns out that people who are fixed in one time preference tended to be more tired out in life than others. In regards to the fourth research question,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how single mothers coordinate their activities in life. They make a living by coordinating ‘between self-esteem and economic benefit,’ ‘between financi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etween work and child care,’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elf-effort,’ ‘time preference,’ ‘between savings and education for future,’ and ‘between institutional savings factors.’ Among the institutional savings factors, access, information, incentives, facilitation of participation, expectations and restrictions may encourage their saving behavior, while strict rules and privacy infringement discourage it. To address the fifth research question on the future vision and plan, single mother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their action strategy. The first group tries to pay debts, work hard and save as much as possible during the stay in the welfare facility. The second group prefers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to asset building for future. The third group consists of incompetent workers who live off welfare benefit, but try to resolve anxiety about the future with small savings or private insuranc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 could extract six common themes in the life of single mothers with experiences living in welfare facility:‘the responsibility as a female breadwinner,’ ‘a reasonable division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elf-effort,’ ‘the balance of financi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e prepar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through child rearing,’ ‘the pursuit of an ordinary family,’ and ‘the anxiety about future.’ The main driving force that encompasses these themes was ‘preparing for a stable future by establishing a virtuous circle of life,’ through making money, paying debts, and saving for the future. In the thesis, I analyzed three self-reliance support programs for single mother families living in welfare facility using institutional theories of saving. The main policy implication is that in order to help single mother families living in welfare facility prepare for a stable future, the asset-building program with matching fund should be adopted on a national level since it was an effective measure for supporting self-reliance.

      •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노인 삶의 질 비교 연구

        이석환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eing In Place)’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노인의 돌봄 욕구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있는지를 공식 돌봄인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를 받는 노인과 가족, 친지 등 비공식 돌봄을 받는 노인의 삶의 질 비교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신사회적 위험으로 인한 돌봄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기요양제도(long-term care)는 대표적인 공식 돌봄으로 자리 잡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돌봄시간, 돌봄비용 등 주로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공식 돌봄에 대한 논의와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돌봄의 사회화 정책은 돌봄수급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점에서, 정책의 성과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돌봄수급자인 노인 삶의 질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공식 돌봄은 비공식 돌봄을 보완․대처함으로서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고 돌봄수급자의 삶의 질을 유지 및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에서 공식 돌봄이 비공식 돌봄만큼 노인의 삶의 질을 유지 및 개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합리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이며, 분석은 전체 공식 돌봄집단과 비공식 돌봄집단을 비교하는 모형Ⅰ과 공식 돌봄 중 장기요양 재가급여를 받는 집단과 비공식 돌봄 집단을 비교하는 모형Ⅱ로 구성되어 이루어졌다. 분석도구는 Stata 14.2였으며,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성향매칭분석(PSM)과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모형Ⅰ 분석결과 노인 삶의 질 하위요소 중 공식 돌봄집단은 비공식 돌봄집단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낮고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정신건강(우울감), 신체건강(주관적 건강상태), 사회관계(사회활동)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공식 돌봄이 비공식 돌봄을 대체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인 삶의 질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만성질환수, ADL, 인지적 건강 등 건강특성은 두 집단 모두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었다. 노인의 건강유지와 개선 노력이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 모두에서 성과의 주요한 요소임이 재확인되었다. 모형Ⅱ 분석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를 받는 노인은 비공식 돌봄을 받는 노인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다. 정신건강(우울증), 신체건강(주관적 건강상태), 사회관계(사회활동), 생활환경(주거환경만족도)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는 정신건강, 신체건강, 사회관계, 생활환경 등에서 비공식 돌봄을 대체하고 있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장기요양 수급 노인의 삶의 질이 비수급 노인보다 낮다라는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제도의 성과를 보여준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장기요양 돌봄집단에서 ‘관계’는 정신건강을 제외하고 모든 삶의 질 하위요소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즉,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의 좋은 관계는 제도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다. 비공식 돌봄집단에서 경제특성이 신체건강을 제외하고 모든 삶의 하위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식 돌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은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서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돌봄수급자의 삶의 질을 측정기준으로 추가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 먼저 재가급여를 제공하는 공식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의 관계 관리를 위한 정책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공식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 신뢰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과 돌봄수급자와 돌봄제공자 각각의 권리가 지켜질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비공식 돌봄제공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비공식 돌봄제공자에게 정책적 지원을 함으로서 돌봄수급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이를 통해 노인 당사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성과 평가에서 수급자 및 수급자 가족의 삶의 질 요소를 확대하고 돌봄수급자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sought to confirm whether long-term care adequately addresses the elderly's desire for achieving 'aging in place' by compar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between formal care and informal care. Long-term care has become a representative formal care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of care due to new social risks. In previous studies, formal care has been discussed and evaluated mainly focusing on easing the burden on families, such as care time and care costs. However, the purpose of the socialization policy of care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so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needs to be more concerned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policy's performance. The purpose of formal care is to alleviate the burden on families and to maintain or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by supplementing or substituting informal care. Therefore, it is reasonable way to evaluate the policy’s performance by ensuring that formal care is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s much as informal car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2017 Survey of the Elder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analysis tool was Stata 14.2, and the main analysis methods were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Model I analysis, the formal care group has lower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informal care group among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in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found in mental health (depression), physical health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relations (social activit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ubstitute for informal care.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health characteristics such as chronic disease numbers, ADL, and cognitive health have been shown to b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both groups. It has been reaffirmed that effort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health of older people are a major factor in performance in both formal and informal care. According to Model II analysis, the elderly who received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received informal ca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depression), physical health (subjective health), social relations (social activities), and living environment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for the elderly substitutes informal care in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social relations and living conditions. These results show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as a result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y's findings that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receiving long-term care is lower than that of non-recipient. Looking at the factors that affect, "relationships" in long-term care groups was an variable that affected all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except mental health. In other words, a good relationship between care providers and care recipients can be a major factor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cheme. Economic characteristics in informal care groups affect all subcomponents of quality of life except physical health. Institutional support for informal care shows that the focus should be on easing the economic burden. Through this work, the researcher derive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esent policy suggestions. First,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 propose the need to add the quality of life in care recipients as a metric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are. As a policy suggestion, firstly I proposed a policy approach to man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care providers and care recipi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prepare conditions for the rights of each caregiver to be protected so that reliable relationships between formal care providers and caregiver can be formed and maintained. Secondly, I propose policy support for informal care givers. By providing policy support to informal care providers, the economic burden on care recipients will be alleviated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ll be improved. Finally,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of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ong-term care and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 so that the opinions of care recipients can be further reflected.

      •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만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소통을 통한 적응과 성장

        이정기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Regarding the activity satisfaction of volunteers within an organization, this research aims to perform an in-depth analysis of the ecosystem dimension made out of human and material components in perspective of volunteers. The activity satisfaction of volunteers is an important factor tightly related to continuation as well as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s activities, considering the manifold levels performed by the volunteers in service delivery system’s various sites. It is thus desired to inductively explore in detail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the activity satisfaction of volunteers. Data has been collected through 14 subjects composed of volunteers associated with Catholic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Seoul that has a uniqu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in terms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urthermore, qualitative exploration is performed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descriptive method. In contrast to previous works of volunteer activity research that considered volunteering as a part of an organizational system, this research asks the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activity satisfaction experienced by volunteers of a Catholic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us allowing the thorough outlook of the volunteering environment through the eyes of volunteers.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phenomena related to activity satisfaction a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meanings and them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experience ten essential themes such as ‘uninterrupted peace’, ‘equal faith’, ‘from a stranger to a participant’, ‘re-discovery of a community’, ‘power of attraction’, ‘communication as confection’, ‘shrinking right hands’, ‘blocked communication’, ‘path to empathy’, ‘diffusion and rooting of altruism’ are chosen. The central idea among these themes is discovered through the volunteers’ experience in communication and its meaning. In detail, the volunteers are aware of their activities being influenced by their personal attitude – adaptability - towards communication, various ecosystem factors occurring in volunteer site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level and content, an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factors: family, friends, etc. In addition, regarding how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Catholic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s experienced during communication process, it is discovered that difference exists depending on whether the volunteers were Catholic or not. Through such adoption and process of satisfaction experience, volunteers explore the volunteer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spot, display the growth of oneself by changing, and give meaning to such process. Through this analysis, the core message is chosen as “adoption and growth through communication”. In conclusion, besides the volunteers’ religious orientation, activity satisfaction factors caused by variou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re analyzed in the ecosystem perspective about the volunteering environment. Moreover,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within the volunteering environment according to Catholic social teaching and evangelization was discussed. Using Catholic territorial principle, it is also shown that the Catholic Church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through systemization of and specialization of volunteering. In modern society in which the value of communication is gradually emphasized, this research has a meaning in re-discover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an effective accomplishment of an objective. It has proposed that an adequate path and conception to communication must be obtained in designing a volunteer program, and that there is a need for reflection on communication on religious discourse for religiously oriente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Lastly, it suggests the introduction and possible use of communication theory and concepts in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 본 연구는 종교 기반 사회복지기관(faith-based organizations)의 자원봉사자들이 조직 내에서 인지하는 봉사활동 만족에 대해, 자원봉사자 중심 관점에서 인적 물적 요소들로 구성된 생태환경적 차원을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만족은 자원봉사의 지속과 깊은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서비스 전달체계의 다양한 현장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직무를 수행하는 자원봉사자의 특성상, 사회복지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만족과 효과적인 기관 활동의 유효성과도 관계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봉사활동 현장의 어떠한 요소가 자원봉사자의 만족감과 관련이 있다고 경험되는지 구체적인 양태를 귀납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사회복지 전달체계상 고유한 단일 조직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서울 소재 가톨릭 사회복지기관에 소속된 자원봉사자 1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기술 방법에 기반을 둔 질적 탐색을 수행하였다. 지금까지의 자원봉사에 대한 연구가 자원봉사를 기관 체계의 일부로 다루어 온 데에 비해, 본 연구는 ‘가톨릭 사회복지기관의 자원봉사자가 경험하는 봉사활동 만족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를 연구 질문으로 삼아 철저하게 자원봉사자의 시선으로 봉사활동의 환경을 돌아보고, 봉사활동의 만족과 관계있는 현상들을 탐색한 결과를 의미와 주제들로 분석하였다. 경험의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 ‘방해받지 않는 평화’, ‘상통하는 신앙’, ‘이방인에서 참여자로’, ‘공동체의 재발견’, ‘이끌림의 동력’, ‘감초 같은 커뮤니케이션’, ‘움츠러드는 오른손들’, ‘가로막힌 커뮤니케이션’, ‘공감으로 가는 길’, ‘이타심의 확산과 뿌리내림’ 등 열 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그 주제들을 관통하는 있는 핵심은 자원봉사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경험과 그 의미에서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자원봉사자들이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태도(적응성)와 봉사활동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태환경적 요인들과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수준 및 내용, 그리고 현장이 아닌 외부 요인(가족, 친구 등)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도 자원봉사자는 자신의 봉사활동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가톨릭 사회복지기관의 종교적 특성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자원봉사자들과 어떤 방식으로 경험되는지 가톨릭 신자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적응과 만족 경험의 과정을 통하여 자원봉사자는 자원봉사의 환경과 소통의 지점을 탐색하고, 스스로 변화하여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며 그러한 과정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핵심 주제는 ‘소통을 통한 적응과 성장’으로 도출하였다. 결론에서는 기관과 봉사자의 종교적 특성 이외에도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유발되는 봉사활동 만족 요소들을 자원봉사 환경에 대한 생태체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더불어 가톨릭 사회원리와 복음화의 개념에 따라 사회복지기관 및 자원봉사 환경의 커뮤니케이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논의하였고, 가톨릭의 속지주의 원리를 이용하여 가톨릭교회가 지역사회 내에서 자원봉사의 조직화와 전문화를 통해 공동선의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소통의 가치가 점차 중요시되는 현대사회에서,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재발견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특히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설계에 있어서 적절한 커뮤니케이션의 통로와 양태가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과, 종교 기반 사회복지기관의 종교 담론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성찰이 필요함을 제언하며, 마지막으로 사회복지학 연구방법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개념의 도입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교차 감각 상호작용 기반의 비디오 의미 구간 탐지

        신정규 과학기술연합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동영상 사용량 및 소비량의 증가로 인해, 동영상 내부의 정보를 다루는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디오 내의 정보는 여러 복합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인지 능력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정보를 기계가 인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딥 러닝을 활용한 동영상 이해 영역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영상 이해 중 하나의 분야인, 주어진 자연어 기반의 질의와 동영상에 대해 질의에 담긴 의미와 일치하는 동영상 내의 구간을 탐지하는 의미 구간 탐지 (temporal moment localization by natural language)에 대해 다룬다. 기존 의미 구간 탐지 방법들은 동영상과 질의의 관계를 1대1 혹은 1대N으로 모델링하였다. 즉 동영상과 질의 전체를 상호작용하거나 동영상 각 시점마다 질의와 상호작용하여 관계를 학습하였다. 우리는 2가지 관점에서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두 개의 신경망 모델들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동영상과 질의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모델을 제안한다. 동영상과 자연어가 다대다 관계를 이룬다는 점이다. 비디오의 한 장면이 다른 두 질의의 내용을 담고 있을 수 있으며, 비디오의 한 장면은 주어진 질의의 의미 중 일부분만을 담고 있을 수 있다. 기존의 접근 방식은 이러한 관계를 모델링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대다 관계를 학습할 수 있는 형태의 신경망을 제안하였다. 기존 방법들이 순환 신경망(RNN)을 기반으로 하여 동영상 및 질의의 맥락 정보를 이해하는 것을 기반으로, 우리는 동영상의 매 시점마다 질의와의 관계를 구하고, 교차 상호작용을 통해 연관된 정보에만 집중하며 선택적으로 특정 맥락만을 학습하는 새로운 순환 신경망 계층인 Cross-modal LSTM을 제시하였으며 이 계층을 활용한 새로운 신경망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ActivityNet-Captions에 대해 R@1, IoU@0.5에서 45.50%, IoU@0.7에서 27.23%의 성능을 보여, 기존 의미구간 탐지 모델들과 비교하여 최고 성능을 획득하였다. 두 번째는 동영상의 의미 구간 탐지를 현실적인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한 신경망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복잡한 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해 동영상의 각 시점마다 질의와의 관계를 구하는 fine-grained 방식들은 동영상과 질의를 한번에 연관시키는 coarse-grained 방식보다 좋은 성과를 보였지만, 계산 복잡도가 높아 느린 속도를 보였다.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이 여러 관점에서 동영상을 이해하는 방식을 모방하여, coarse-grained 방법인 주의 집중 계층을 활용한 다중 관점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다중 관점 기법을 활용하여 coarse-grained 방식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fine-grained 방법들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는 동시에 기존 최고 성능을 보인 방법과 비교하여 최소 8배에서 최대 34배 경량화 된 모델을 제안한다. Recently, increasing video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v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systems that manage information within videos. However, it is not easy for machines to understand as much information as human cognitive abilities can. To address these issues, research on video understanding using deep learning has been actively made. In this work, we address the temporal moment localization by natural language task (TML) to understand and localize the various semantic meanings present in the video, and propose two novel networks to increas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TML tasks. First, we propose a model that exhibits higher accuracy by considering the complex relationship within videos and queries. A Video and query in a natural language form a many-to-many relationship. A single scene in the video may contain the contents of multiple queries while a single query may contain the contents of multiple scenes. While existing approaches fail to model these relationships, we propose a form of neural network capable of learning these many-to-many relationships. We present cross-modal LSTMs, a novel recurrent neural network layer that seeks modal relationship at every point in the video, focuses only on relevant information within both query and video through cross-interaction. In this end, we present a novel network using the cross-modal LSTM. Our network outperforms state-of-the-art TML methods in ActivityNet-Captions dataset with R@1 of 45,50% and 27.23% for IoU@0.5 and IoU@0.7, respectively. Second, we propose a lightweight model to apply TML in realistic scenarios. Fine-grained methods, which seek relationships with queries at each point of the video to understand modal relationships, performed better than coarse-grained methods that correlate video and query at once, but showed slower speed due to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To address this, we propose a multi-perspective method that utilizes coarse-grained attention layers by mimicking the way people understand videos from multiple perspectives. Leveraging this multi-perspective technique, we propose a model that performs comparably to existing fine-grained methods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at least 8 to 34x faster than existing best methods.

      • 노인의 주거환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선호림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and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and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upport. The surve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December 17, 2021 to January 16, 2022,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survey,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were surveyed for those who us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addition,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the residential welfare governors of LH Paju for those who visited for the purpose of renewing contracts. A total of 38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191 copies for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and 191 copies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For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tergroup differenc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and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b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in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social suppor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recognized by the elderly living in general housing and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on life satisfaction, only the residential convenience recognized by the elderly in public rental housing was confirmed. Third, it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safety and s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lderly in general housing. Fourth, the support of others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safety and s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venience and life satisfaction,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ousing safety of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Toilets and bathrooms have very slippery floors, and various safety devices such as safety bars and handrails are required when using bathtubs and toilets. In addition, various systems should be prepared, such as housing for the elderly and supporting housing that combines housing services. Various systems should be prepared, such as support housing combined with services. Second, the convenience of housing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should be improv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access to hospitals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ould be good, and location accessibility and psychological accessibility should be improved.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nd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placing it in consideration of accessibility to hospitals and welfare facilities, and to place hospitals and welfare facilities in the complex together. Third,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should be strengthened. A public social safety net for the elderly has not yet been properly established and organized. Therefore, various public social safety net support for the elderly is needed. Also, it is necessary to enact and improve government support and systems, such as programs and policie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family and friends.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through stable housing, safe housing, and convenient housing for all the elderly as well as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living in public rental housing, regular welfare needs survey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more practical policies such as various elderly housing services that meet their needs. Currentl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separately providing housing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However, customized services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housing and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elderly in terms of housing.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주택거주노인과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이 인식하는 주거환경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노인의 주거환경개선과 사회적 지지를 통한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설문조사는 2021년 12월 17일부터 2022년 1월 16일까지 1개월간 이루어졌으며, 조사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일반주택 거주노인은 종합사회복지관, 노인종합복지관 등을 이용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은 LH파주권 주거복지지사를 재계약 등의 목적으로 방문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주택 거주노인 191부,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 191부 총 382부를 통계분석에 활용 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집단간차이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주택거주노인과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이 인식하는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주거환경요인과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일반주택거주노인과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이 인식하는 주거환경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공임대주택노인이 인식하는 주거편리성만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주택노인이 인식하는 주거안전 및 안정성과 생활만족도간 영향관계에서 가족지지와 친구지지는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이 인식하는 주거안전 및 안정성과 생활만족도간 영향관계에서 타인지지는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편리성과 생활만족도간 영향관계에서는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조절 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의 주거안전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화장실 및 욕실은 바닥이 매우 미끄러운 점, 욕조 및 변기 이용 시 안전 바, 핸드레일 등 다양한 안전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아울러 노인의 특성에 맞는 노인 주택 및 노인의 주거서비스를 결합한 지원주택 등 다양한 제도가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의 주거편리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공공임대 주택거주노인의 특성상 병원 및 노인복지시설 등과의 접근성이 좋아야 하며, 위치적 접근성뿐만 아니라 심리적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향후 공공임대 주택을 건설·공급하는 경우, 병원 및 복지시설과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배치 하는 것과 단지 내 병원 및 복지시설을 함께 배치시키는 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강화되어야 한다. 노인을 위한 공적인 사회안전망이 아직은 적절하게 구축되거나 체계를 갖추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다양한 공적사회안전망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과 가족 및 친구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이나 정책 등 정부의 지원, 제도의 제정 및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뿐만 아니라 모든 노인들에게 안정적 주거, 안전적 주거, 편리한 주거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공공임대주택거주노인들에 대해서는 주기적인 복지욕구조사 등을 실시하여 그 니즈에 맞는 다양한 노인주거서비스 등 보다 실질적인 정책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노인을 위한 주택제공과 노인복지서비스를 별도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에게 주거라는 차원에서 주택과 서비스가 결합한 형태의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와 이용 만족도가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하승용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복지지위론 중 복지수혜자의 복지지위 관점에서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을 대리하는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와 이용 만족도가 복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5차(2010년) 가구용 조사 및 복지인식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회귀모형을 도출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 간 영향력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가 많거나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복지태도 구성요인인 정부사회정책 평가를 지지하고 보편적복지 확대를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와 이용 만족도 중 이용 만족도가 복지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통제변수 중 복지욕구를 대리하나 다수의 선행연구들이 변수로 고려하지 않았던 가구원수는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와 만족도에 반대되는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복합적인 복지욕구에 대응하는 복지서비스를 개발하고, 개발된 복지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공공복지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보편적복지와 복지예산 확대에 대한 지지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number of welfare services and the degree of utilization satisfaction that represent welfare service use experience from welfare status of welfare beneficiaries in welfare status theory affects welfare attitude.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rive the regression model, using the survey data of the 5th (2010) furniture and welfare department of Korea's welfare panel, And the effect of the dependent variable was ascertained, and the position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welfare service is high and the degree of use satisfaction is higher, it is clear that it supports the government's social policy evaluation which is a constitutive factor of welfare attitude, and oppose the universal welfare expansion, and the number of times of welfare service us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use satisfaction greatly affected the welfare attitude. Second, the enemies of households who did not consider welfare desire of control variables as a substitute or many previous studies as variables, showed a correlation that is opposed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satisfaction of welfare services.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developed welfare services to meet the complex needs of welfare, and by continuing to provide the developed welfare services and making efforts to raise the level of satisfac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a supportive attitude toward universal welfare and welfare budget expansion while positively maintaining the evaluation.

      • 사회복지사의 노동조합 참여와 노조몰입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박영민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노동조합 참여가 복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 노동조합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의 노조몰입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향후 복지국가의 질적 단계와 수준을 예측하는 데 있어 사회구성원의 복지태도가 가지는 의의는 크다. 특히 복지제공자 위치에 있는 사회복지사는 복지서비스 제공과 제도 실행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들의 복지태도를 조명하는 작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 집단 중에서 이른바 조직된 노동계급에 해당하는 노동조합원 변수에 주목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165명의 노동조합원과 185명의 비조합원이 참여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확인하고, 각 집단 간의 복지태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복지사의 노동조합 참여와 노조몰입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단계에서 독립변수의 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정치성향, 이데올로기 요인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노동조합 참여는 복지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노조몰입 또한 복지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유에 대해 사회복지사가 노동조합에 가입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익이나 이해관계에 대한 인지 방식이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조합원의 다양한 활동 경험에서 사회복지 노동조합이 주장하는 국가복지 확대나 공공성 강화 등의 의제를 복지 친화적 태도로 내재할 기회를 획득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양적으로 부족한 사회복지사의 복지태도 연구에서 실증 연구를 보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 시도하지 않은 노동조합 참여 및 노조몰입과 복지태도 간의 관계를 연구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와 더불어 사회복지 노조에 대한 인식 및 노동권에 대한 접근 방식의 변화, 복지태도의 이중성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 현장의 과제 등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에 연구의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ocial workers' participation in the labor union affects the welfare attitudes of social workers. Also, the effect of union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labor union on the welfare attitude was analyzed. In predicting the qualitative stage and level of the future welfare state, the welfare attitude of members of society has great significance. In particular, since social workers in the position of welfare providers play a pivotal role in the process of providing welfare services and implementing the system, it is important to illuminate their welfare attitudes.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able of union membership, which corresponds to the so-called organized working class among the social workers grou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written survey was conducted on 350 workers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165 union members and 185 non-union members participated.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descriptive statistic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jor variables,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welfare attitudes between each group.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union membership and union commitment on welfare attitudes. In the regression analysis stage, demographic factors, political orientation, and ideological factors were controlled to verify the main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cial workers' participation in the union and union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elfare attitudes. Because it is possible that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their own benefits or interests may 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joining a un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is because social workers have an opportunity to embed the agendas such as expansion of national welfare or reinforcement of publicity claimed by social welfare unions in a welfare-friendly manner from the experience of various activities of memb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dded empirical study to the welfare attitude study of social workers, which has been lacking in quantity. It is also meaningful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membership and welfare attitudes, union commitment and welfare attitudes, which has not been attempted in Korea. In addition to the research results, social welfare implications such a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social welfare unions, changes in approach to labor rights, and task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o resolve the duality of welfare attitudes were presented. Finally, I describ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고용불안정성이 사회보험에 대한 태도와 가입 욕구에 미치는 영향 : 사설학원 강사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중심으로

        이성철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보험에 대한 태도와 가입 욕구에 미치는 여러 요인 중 고용불안정성 요인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중 사설학원 강사를 중심으로 고용불안정성이 사회보험에 대한 태도와 가입 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경력 1년 이상인 학원 강사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고용불안정성, 사회보험에 대한 태도, 사회보험 가입 욕구 4가지 척도 30문항으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이며, 최종적으로 215부의 자료를 SPSS 2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측정변인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T-test, ANOVA 분석,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Scheffe와 Dunnett T3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사회보험에 대한 태도 및 가입 욕구에 대한 고용불안정성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 강사의 고용불안정성은 사회보험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고, 학원 강사가 인지하는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사회보험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의 안정성이 낮을수록 복지태도가 상대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한 선행연구들과 동일한 결과인데, 그 이유는 저임금・불안정 일자리에 대한 참여가 고임금・안정 일자리로 올라서는 통로가 되지 못하고 만성적인 생계 불안의 요인이 되고 있는 현실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둘째, 학원 강사의 고용불안정성은 사회보험 가입 욕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고, 학원 강사가 인지하는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사회보험에 가입하고자 하는 욕구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비정규직과 같은 근로자로서 종사상 지위가 사회보험 가입 욕구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대부분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인 학원 강사의 근로자 종사상 지위가 사회보험 가입 욕구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근로자로서의 복지와 권리에서 배제되고 있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중 특히 청년들이 많이 진출하는,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유한 특성을 가진 한국의 '학원 강사'의 고용불안정성과 사회보험에 대한 태도 및 가입 욕구의 관계를 탐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와 함께 사회복지적 함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Effect of Special-type Workers’ Employment Instability on Their Attitude Towards and Desire to Join the Social Insurance: Focusing on Private School Instructors’ Employment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This study investigates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s and desire to subscribe to social insurance, focusing on employment in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mployment instability of special-type workers, especially private school instructors, on their attitude towards and desire to join social insurance.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30 questions for four scales,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employment instability, attitude towards the social insurance, and desire to join the social insurance, was performed with private school instructor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nd 215 answer shee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SPSS 27.0.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if the variables diffe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cheffe’s method and Dunnett’s T3 post hoc test to explo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on their attitude towards and desire to subscribe to the social insura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instability of the private school instru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s the social insurance; the higher the employment instability perceived by the instructors, the more positive their attitude towards the social insurance. This result is equivalent to previous studies that concluded that the lower the employment stability,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welfare system. The reason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reality that having a low-income and an unstable job does not lead to a higher-income and stable job, only causing chronic livelihood insecurity. Second, the employment instability of the private school instructo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desire to join the social insurance; the higher the employment instability perceived by the instructors, the higher their desire to subscribe to the social insurance. As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revealed that the employment status of full-time or part-time workers affects the desire to join the social insurance, the employment status of private school instructors, who are mostly special-type workers, affected their desire to join the social insura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instability and the attitude towards and the desire to join the social insurance in special type workers in Korea who are marginalized from workers' benefits and rights, especially private school instructors that are mostly sought after by young people and have unique and rar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s study also discussed its implications on social welfar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along with the study results.

      • 香砂平胃散 藥鍼液의 자유기 소거활성 및 혈관내피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임선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Hyangsapyungwisan (HPS)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cluding of arthralgia, myalgia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owever, the medical actions of HPS have not been clearly investig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ntirad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for herb-acupuncture (HPS-HA) obtained from HPS. HPS-HA exhibited a stronger inhibition rate (55.5%) on lipid peroxidation of rat liver homogenate induced by FeCl2-ascorbic acid. In addition, HPS-HA markedly interfered with hydroxyl radical generation through iron ions chelating action. While pro-oxidant effect of HPS-HA was nearly undetectable at concentrations of 0.5-10㎎/mL. Moerover, HPS-HA revealed a potent antiradical activities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 superoxide anions, nitric oxide and peroxynitrite. Furthermore, HPS-HA inhibited copper- and AAPH-mediated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LDL), and also suppressed the relative electrophoretic mobility of LDL. HPS-HA showed strong protective activity against oxidative damage of HUVECs induced by SIN-1. These results suggest that HPS-HA may be effective in protecting against oxidative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