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日 웨딩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2003년~2011년도를 중심으로

        강정임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SPSS was us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beauty of Korean and Japanese wedding hairstyles from 2003 to 2011. Fri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wedding hairstyles in Korea, the Chignon was observed in up-dos. In terms of open style, long hair, medium wave, un-parted, no-fringe and thick hair were found. In terms of nape point up, complete ear exposure was detected. In terms of openness and headgear, complete ear covering and no headgear were observed. In Japan, on the contrary, the Chignon, medium length, long hair, un-parted, wave fringe, natural bangs, bright and light color, complete ear exposure, complete ear covering, golden point and flower position at the were frequently observed. Second, when wedding hairsty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countries,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hair length (up/open), wave, fringe, color, quality, Complete/semi ear cover or exposure, location of Chignon, wedding headgear and parting (up). In terms of parting (ope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Third, in terms of the image of Korean and Japanese wedding hairstyles, classic image was preferr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χ2=62.271, p<.001). Fourth, in terms of wedding hairstyles by type, the classic Chignon, with its elegant and refined image, was detected in Korea. In Japan, the classic Chignon was also used. In addition, a graceful hairstyle was emphasized without wedding headgear in Korea while extravagant, appealing images were created using flowers in Japa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wedding hairstyl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comparison with advanced Japanese wedding cultur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specialized Japanese wedding industry and wedding hairstyles and promote trend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 전통혼례복을 응용한 뷰티아트 디자인 연구

        이연서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아름답고 가치 있는 ‘한국의 전통 美’는 오랜 시간 역사와 함께 한국인에게 가장 어울리는 생김새, 정서, 비례, 색상과 소재 등을 사용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혼례는 역사적으로 이어져 내려온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자 관습이며, 선조들의 가치관과 생활양식, 감정의식이 잘 반영된 전통혼례복은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전통의 개념에 현대의 시대적 감각을 더해 재창조 될 수 있는 충분한 미적 가치가 있다고 보고, 메이크업 분야에서도 관심도를 높인다면 미적인 창조 활동을 통해 얼마든지 시대에 발 맞는 학문적 분야로 만들어져 나갈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한국 전통혼례복에 대한 이론적 연구로 전통혼례복의 종류와 특징, 전통문양, 전통색채에 대하여 분류, 분석해 보고자하며, 둘째, 아트 메이크업과 고전머리스타일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다른 분야에서 사용된 디자인 사례 및 선행논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전통혼례복을 모티브로 현대적 요소와 웨딩의 이미지를 접목한 아트 메이크업과 신부 헤어스타일에 대한 뷰티아트 디자인의 재해석을 시도하며 넷째, 기존에 주로 다루었던 소재에서 벗어난 예술적 표현으로 새로운 작품유형을 제시하고자 하며 토르소 바디와 모델에게 각각 4 작품씩 총 8 작품에 대한 조형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혼례복의 특징은 우리 조상들의 얼이 담긴 문화유산이자 선조들의 내면과 정신세계의 모습을 외적으로 표현하는 복식으로써 중요한 문화적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탱화나 민화, 전통 문양, 오방색 등의 주제에 비해 전통혼례복에 대한 미용학적 디자인 연구가 없었던 점을 계기로 그 가치와 우리 민족의 삶을 상징하는 미적 가치를 독창적으로 새롭게 시도하였다. 셋째, 전통혼례복을 주제로 동양적 모티브에 서양적 표현과 재료를 가미한 접근방법을 모색함으로 동·서양의 조화, 과거와 현대의 조합으로 뷰티아트의 디자인 개발을 통해 한국적인 미(美)를 표현하였다. 넷째, 아트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의 영역이 기존의 주요 소재, 패턴에서 벗어난 신선한 주제로써 표현방법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의 무한한 표현 가능성과 전통의 미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을 통해 전통혼례복을 응용한 뷰티아트 디자인을 연구해 봄으로써 다시 한 번 우리 전통의 의미와 가치를 되짚어 보고, 전통문화 계승의 대중화에도 도움이 되고자 한다. 아울러 미용예술학적 문화 콘텐츠로 예술성과 창의성을 높이고, 아트분야의 개척에 기여되길 바란다.

      • 모발 장신구 개발을 통한 조선시대 고전머리 현대화에 관한 연구

        김진숙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Hair styles of the Joseon period imply how aesthetic consciousness and women's lives were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y may be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that prompts us to reflect on modern beauty trends that always put Western and latest hair styles first. Recently, however, works of mass media, especially historic dramas and movies, are raising public attention to traditional hair styles. Accordingly,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theoretical researches on traditional hair styles and efforts to moderniz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modernize traditional hair styl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worked on making hair ornaments using hairs as their main material like flower-shaped binyeo and dwikoji. And then, the researcher tried applying those ornaments to unmarried and married hairs whose style is basically traditional but modern. Creating hair ornaments that are still traditional but made of the unique material, that is, hair and applying them to hairs of traditional style that shows the Korean nation's own aesthetic sense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orizon of the beauty culture in creative and practical, but basically traditional way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chapters, except the parts of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n Chapter II, this study examined the traditionality of ornaments based on fake flowers dubbed as gahwa, discussed the concept of hair ornaments and researched literatures of the Joseon period that contained records about hair styles and ornaments of that time. The ancient publications that were referenced include True 『Records of Joseon Dynasty』, 『Akhak Gwyebeom』,『Cheongjanggwan Jeonseo』,『Jeungbo Munheon Bigo』and 『Ojuyeon Mujang Jeonsango』 that contain historical descriptions regarding folk traditions and customs. In Chapter III, this study showed hair ornaments that the researcher newly designed and manufactured with hairs, seeking to expand the coverage of the beauty industry and create a new value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The materials of hair ornaments that this researcher made are aluminium and hairs. Of these, the metal was used for the body of the ornaments. And the other material was used for the decorative part of the ornaments which was traditional flower-shaped and whose material was cut hairs that were easily obtained from hair shops. In Chapter IV, this researcher designed hair styles for marriage and the marriage host that could become unmarried and married wome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researcher used traditional hair styles as the motive. And then, the designs were added with hair ornaments, developed in the previous chapter, to be modern hair styles, but with basic traditionality. In the chapter, the researcher treated unmarried women's hairs in five styles, chignon or chokmeori, hairdo or saeangmeori, braided hairs or ddaeunmeori, tremeori and nangja ssanggye. And the researcher treated married women's hairs in five styles, too, chokmeori, gache meori, eonjeun meori, tremeori and eoyumi. In modernizing traditional hair styles, the combination of those hair styles and the hair ornaments was conducted in several types. In other words, this study showed the examples of hair styles that were ornamented with gache and ornamented with nothing. To make better understood difference between the two hair styles, different models who had long and short hairs, respectively were used.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eating hair ornaments by using hairs as their main material expanded the coverage of the beauty business to open a new area, that is, hair art. Second, the hair ornaments that were developed here have the possibility to be cultural goods because they are not only traditional, but also practical. And third, the study came true a new value creation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that meant redesigning traditional hair styles in modern ways. Traditional hair styles of the Korean nation are a heritage of beauty culture that is highly aesthetic. This study tried modernizing traditional hair styles with no loss of basic traditionality and developing hair ornaments with hairs as their main material. These moves may be seen as a new value creation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Thu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will to create a unique culture on one hand and succeed the tradition of the Korean nation on the other hand.

      • 미용종사자의 이미지 메이킹이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허혜순 영산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이미지 경쟁의 시대이다.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퍼스널 이미지의 역할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고 있다. 외모가 개인을 판단하는 중요한 가치기준 역할을 하면서 아무리 뛰어난 능력을 가졌다 하더라도 그에 맞는 적절한 이미지와 자세가 갖춰지지 않으면 그 사람에 대한 평가 수준은 실제보다 낮아 질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메이킹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직장인이나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써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미용종사자들은 직접 고객을 대면하기 때문에 그들의 이미지는 고객의 반응을 통하여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이미지 메이킹은 미용종사자에게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미용종사자들의 이미지 메이킹은 본인의 역량 뿐 아니라 업무수행능력 즉 팀워크, 직무만족,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며,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메이킹이 미용종사자의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4년 1월 10일부터 한 달 동안 부산, 울산, 경남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결과 불완전하거나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1,320부(미용종사자 673부, 비미용종사자 647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통계 프로그램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 메이킹 인식 조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용종사자가 생각하는 이미지 메이킹은 메이크업 502명(12.6%), 표정 481명(12.1%), 헤어스타일 480명(12.0%),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교육을 태도 474명(13.4%), 에티켓 454명(12.9%), 화법 450명(12.8%)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받고 싶은 교육은 화법 474명(17.1%), 소통 323명(11.6%), 서비스 교육 309명(11.1%) 순으로 나타났다. 비미용종사자들은 이미지 메이킹을 표정 472명(12.8%), 태도(행동) 444명(12.1%), 메이크업 425명(11.5%)로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교육을 태도 445명(13.7%), 에티켓 421명(12.9%), 화법 433명(13.3%) 순으로 나타났으며, 받고 싶은 교육은 화법 436명(17.8%), 소통 303명(12.4%), 메이크업 269명(11.0%)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 메이킹, 업무수행능력 즉 개인역량, 팀워크, 직무만족, 직무몰입, 직무성과의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미지 메이킹은 태도, 외모, 소통, 마인드 요인으로 명명 하였으며, 개인역량은 지식기술, 목표의식 요인으로, 팀워크는 기능성, 관계성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직무몰입은 규범적, 정서적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직무만족은 자기발전, 근무환경, 업무처리, 후생복지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직무성과는 조직, 개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각각 요인들의 신뢰도는 만족할 만하다. 셋째, 이미지 메이킹과 업무수행능력의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후생복지와 마인드, 후생복지와 지식기술, 후생복지와 태도를 제외하고 상관계수는 대부분의 측정변수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p<.001)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이미지 메이킹과 업무수행능력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미지 메이킹과 업무수행능력 간에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메이킹은 개인역량과 팀워크에 직접 효과가 유의하였고, 개인역량은 팀워크와 직무몰입,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팀워크는 직무몰입, 직무만족에 직접 효과가 유의하였고, 직무몰입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직접효과가 유의하였지만 이미지 메이킹은 직무성과에 직접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특히, 이미지 메이킹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보다는 개인역량 및 타 변인들을 통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관련 종사 유무에 따른 집단 간의 인과관계 경로차이를 본 연구가 제시하는 최종모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개인역량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두 집단에서 모두 이미지 메이킹이 직무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미지 메이킹은 업무수행능력 즉 개인역량, 팀워크, 직무만족, 직무몰입,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미지 메이킹은 업무수행능력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변인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탄생석과 탄생화를 모티브로 응용한 웨딩 헤어코사지 디자인 연구

        양혜진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made wedding hair corsages with birth flowers and birthstones using a customer's hair and hair art expression technique. As a real handmade product, it was formed into the one and only wedding hair corsage in the world to commemorate her special day or precious memories of her life in the millennium era when our own personalities are getting stronger, and the unique colors of birth flowers and birth stones were used to express colorful and three-dimensional flowers from January to December, an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se them as a customized product. The creation of monthly wedding hair art corsage works that symbolize birthstones and birth flowers is as follows. January's Garnet Daffodils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symbolizing timeless nobility and mystery by combining the red color of garnet and the yellow color of daffodils. February's Amethyst Mugunghwa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that pursues sincerity and peace with a sincere heart by matching the purple of amethyst with the deep pink of Mugunghwa. March's Aquamarine Daisy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meaning youth and innocence by combining the blue color of aquamarine jewelry and the white color of daisy flowers. April's Diamond Water Lily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in the form of diamond-flowering water lily that symbolizes a declaration of pure and innocent love by combining the sparkling transparency of diamond with the pink and yellow of water lily. May's Emerald Lilac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meaning happy memories of first love by combining the green of emerald and the light purple of lilac. June's Pearl Morning Glory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symbolizing pure solidarity by matching the white of pearl and the purple of morning glory and putting morning glory on top of pearl to cover the side of the hair up style. July's Ruby ​Rose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by combining the red color of ruby ​​with the red color of rose, so that the intense sun-color of ruby ​​can illuminate a single rose. August's Peridot Sunflower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by combining the light green of peridot and the bright yellow of sunflower to express a married couple's love, meaning 'I only love you'. September's Sapphire Saffron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symbolizing youth with healthy vitality, without regrets, by combining the blue color of sapphire and the light pink color of saffron. October's Opal Plum Blossoms were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with hopeful innocence and dignity by combining the mystical color of opal and pale pink of plum blossoms. November's Topaz Bellflower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symbolizing healthy and sincere beauty, in the form of bellflower blooming on topaz in gold brown and purple. December's Turquoise Camellia was formed into a wedding hair corsage, symbolizing noble reason that wishes for success and victory by combining the sky blue of turquoise and the dark blue of camellia. As a result of creating wedding hair corsages using birthstones and birth flowers as a motif, it is hoped that a wedding hair corsage will be created by using a customer's hair and jewelry materials, in order to express the image and symbolism of birthstones and birth flowers for 12 months, thereby increasing the artistry and creativity of wedding hair corsages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 design in the field of wedding hair corsages by providing humanistic storytelling. 밀레니엄 시대는 개인의 개성과 특별함을 다양한 수단으로 표현하는 욕구를 나타내는 시대이다. 그중 탄생석과 탄생화는 개인의 특별함을 가장 잘 드러내고 기념할 수 있는 소재로써 쥬얼리와 장신구 등 웨딩 헤어장신구에도 탄생석가 탄생화가 활용된 예는 많지만 헤어아트를 사용하여 웨딩코사지를 제작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탄생석과 탄생화에 대한 기원 및 헤어코사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탄생석과 탄생화를 모티브로 한 웨딩 헤어코사지 디자인을 제시한다. 또한 탄생석과 탄생화를 모티브로 한 웨딩 헤어코사지 12작품을 제작하고 마지막으로 탄생석과 탄생화를 모티브로 한 웨딩 헤어코사지의 조형성을 분석한다. 탄생석과 탄생화를 월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 뷰티 크리에이터에 대한 대학 교육과정의 중요도, 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도윤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present era, the main medium of information delivery from text and images to videos has changed. As YouTube became a popular medium, a new job called YouTube creator was created. YouTube creators are also called YouTubers and are the main producers of content. Generation Z, which mainly consumes such content, is called Digital Native. For Generation Z, who are familiar with mobile communication and media, YouTube is a more intimate medium and has an environment where anyone can easily become a YouTuber with the convenience of producing their content with just a mobile phone, and many students have hoped for a professional YouTuber based on the success of influencers who succeeded as YouTubers. This change has a lot of influence on the beauty industry, and it is challenging a new job called a beauty YouTuber, which uses beauty as the main content topic, not only students from beauty colleges but also graduates or beauty industry workers and prospective students who want to enter college. Recently,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lso accelerated due to COVID-19 and Pendemic, it is time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times, and further realize the need to prepare for a new leap forward. This study targets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majoring in beauty across the country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for beauty creators and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 for beauty creator education at the current beauty college, and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beauty creator curriculum at beauty universities nationwide, there were 21 four-year and 12 two-year curriculums nationwide, with a total of 33 departments nationwid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 for beauty creator education at beauty colleges, education method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questions were 59.7% "very important" and 35.6%.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s about 'group-style classes' were the lowest at 20.6% of 'very important' and 36.0% of 'important'.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analysis, 28.7% of the questions about "professional program classes" were "very satisfied" and 43.4% were "satisfied."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s about 'connection of special lectures on current business YouTubers' were the lowest with 14.7% of 'very satisfied' and 30.9% of 'satisfi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importance and curriculum satisfaction, a response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beauty creator curriculum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136 people who said they had experience in beauty creator subjects or self-study. As a result, education content, education method,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01. Therefore, the null hypothesis was rejected and the confrontational hypothesis was adopt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importance and curriculum satisfaction, it showed the highest positive (+) correlation among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method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facility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content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 showed the lowest negative (-) correl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facility and environmental importance and educational method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 method was high in the current curriculum, but it was found that it wanted to improve 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Although it showed high satisfaction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 it is necessary to prepare improvements to further increase satisfaction by preparing improvements in the area.

      •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를 응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지승희 영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를 응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지 승 희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지도교수 : 도 주 연 현대의 네일미용 분야는 단순한 손톱 정리에 그치지 않고 체계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는 특수 네일미용 관리 및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빠른 트렌드 변화와 다양한 디자인 개발, 새로운 아트를 갈망하는 욕구증가로 네일미용 분야는 예술성이 높은 창조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인간의 사치심을 지닌 세속적 욕망을 ‘바니타스(Vanitas)’라 하며, 17세기 이후 네덜란드에서 허영과 덧없음을 상징하는 정물화가 유행하였다. 당시의 바니타스(Vanitas) 정물화는 모래시계, 해골, 담배, 꺼진 촛불, 뒤집힌 유리컵, 시든 꽃, 썩어가는 과일 등 인생의 덧없음을 내포한 모티브를 알레고리로 사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인조손톱에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를 응용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Needs) 충족이 가능한 예술미를 갖춘 네일 디자인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의 죽음, 욕망, 허무, 성찰이라는 특성을 응용하여 젊은 세대의 감각에 맞도록 여러 가지 네일 기법을 연구함으로서 네일 디자인의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실용성과 예술성을 내포한 네일아트 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첫째,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이론적 고찰과 문헌을 통하여 바니타스의 특성 분석에 따른 의미를 네일아트 모티브로 디자인 한다. 셋째,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에 따른 네일아트 디자인의 다양한 배경을 디자인 해 보고자 한다. 넷째,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의 특성에 따른 조형성을 분석한다.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를 응용한 네일 디자인의 조형성을 분석해 본 결과 네일 파츠와 불규칙한 스톤의 배치로 변화감을 주었고, 라인테이프, 실, 도형, 한지 등의 오브제를 이용하여 곡선형의 입체감을 표현하였으며, 면의 질감표현이나 컬러의 공간배치를 달리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표현해 주었다. 이를 통해 네일아트가 대중들에게 단순히 케어와 컬러시술에서 벗어나 네일 리스트들의 개성표현 수단으로 예술적 효용가치를 극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아르누보 양식의 특성을 모티브로 한 헤어업스타일 작품 연구

        최현정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유행하던 아르누보 양식은 현대디자인에 있어 디자인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인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많은 공헌을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오늘날 기계문명과 산업사회의 지나친 발달로 인한 삭막한 인간정서에 자연미와 생명감 추구 및 따뜻함이 느껴지는 아르누보 양식은 현대 디자인의 여러 분야에서 새롭게 표현되고 있다. 또한 현대 디자인 트랜드에서는 고전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가 함께 등장하는데 웰빙의 강세와 더불어 여성스럽고 내추럴한 스타일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아르누보시대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아르누보 양식과 헤어업스타일의 선행연구와 자료 등을 통해 다양한 작품들을 고찰해보고자 하며 둘째, 아르누보의 대표적 3가지 특성을 분석하여 총 9작품의 헤어업스타일의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아르누보의 3가지 특성을 모티브로 한 헤어업스타일에 대한 의도, 도안, 제작과정, 작품사진을 정리하고, 디자인을 분석한 후 완성작품의 용도와 활용방안에 대해서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칭의 특성을 모티브로 한 작품(오페라, 페르소나, 탱고)들은 주로 아르누보의 건축물이나 인테리어를 모티브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13레벨의 브라운 모발 또는 15레벨의 금발에 디자인의 구조는 주로 프론트 사이드쪽에 포인트 디자인을 위치하게 하여 비대칭을 이루며 현대적이고 이국적인 느낌의 패션쇼, 헤어쇼 등에서 연출할 수 있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둘째, 유기적 곡선의 특성을 모티브로 한 작품(비너스, 마드모아젤, 하모니)는 주로 화려한 아르누보의 장식품을 모티브로 활용하였으며 디자인의 구조는 대칭을 이루고 있다. 13레벨의 브라운 모발 또는 15레벨의 금발에 디자인의 포인트는 주로 후면과 측면 전체의 곡선과 곡면으로 볼륨감을 주는 조화로운 디자인이며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다. 클래식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디자인으로 웨딩화보 또는 약혼식, 연주회 등에서 활용될 수 있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셋째, 아르누보의 화려한 색채를 모티브로 한 작품(팜므파탈, 카멜리아, 피앙세)는아르누보의 미술작품을 모티브로 제작하였으며 15레벨의 금발에 비대칭 구조와 곡선의 특성을 바탕으로 각 모티브의 컬러를 사용하여 발랄하고 화사한 느낌의 헤어업스타일이 제작되었다. 또한 아르누보의 장식성을 활용하여 화려함을 더욱 부각 시켰다. 포인트 디자인은 주로 백 포인트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상식, 연주회 등에 연출할 수 있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르누보의 예술사조를 접목한 작품창작을 통해 헤어업스타일의 예술적 영역을 확장하는 데에 의의를 두며 앞으로도 헤어업스타일 디자인과 예술 사조와 관련된 후속연구가 계속 진행되어 헤어디자인의 창작성을 높일 수 있는 시도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vious states, the results based on the present research are as observed. Firstly, the art piece (opera, persona, tango) done with the motif of asymmetric property are mostly produced work with the motif of Art Nouveau architecture or interior. The design structure of level 13 brown hair and level 15 gold hair, frequently, the point design is placed on the front side part so that the asymmetry can be created so a design has been manufactured which can be presented in a fashion show which has a modern and exotic sense, hair shows and more. Secondly, the art piece (venus, mademoiselle, harmony) done with the motif of organic curve property are mostly produced with the motif of glamorous Art Nouveau adornment and the design structure is forming a symmetry. The design points of level 13 brown hair and level 15 gold hair, regularly, it shows a balanced design in which the volume is given by the whole curve and curved surface of the back and side section and it has a form similar to the one of a circular shape. A design has been manufactured which can be used in wedding album or engagement ceremony by applying a classic and classy image design and concert and more. Thirdly, the art piece (femme fatales, camelia, fiancé) done with the motif of the colourful tone of Art Nouveau are produced with the motif of the artistic workpiece about Art Nouveau. Based on the asymmetric structure and curve property of level 15 gold hair, a hair up style has been made by using each colour of the motif which shows off a marvelous and vibrant feeling. Additionally, by using the decorative features of Art Nouveau, glamour has been outlined even more. The point design, usually is localized in the part of the back point. A design which can be shown in awards ceremony, concerts and more, has been produced. In the current research, meaning was given in the part of extending the artistic rea of hair up style through creation of workpiece in which art trend is implanted. The hair up style design and following investigations related with the art trend are considered to be proceeded on anda on.

      • 미용복지 법제화에 관한 연구

        박은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Recently, people’s expectations for welfare have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living standards. As a result, the government’s expenditures on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have risen gradually, and social welfare sectors have become more segmented and specialized. Simultaneously,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cosmetolog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human rights,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cultural life, have increased. Cosmetology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social welfare. However, it lags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cosmetology welfare and institutional preparedness. To study cosmetology welfare legisl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ordinary adults over 20 years of age and experts in cosmetology, social welfare, and law fields. For theoretical research, regarding legislation through the enactment and amendments on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cosmetology welfare, cosmetology welfare-related laws, relationships with social welfare and the legislation of cosmetology welfare, current technical books, precedents, academic papers and journals, and research repor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lso, various periodicals and statistical data from Statistics Korea,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are, and others were analyzed. Data was also acquired through press releases and the Internet website indices. From the empirical research, it was found that people’s awareness of cosmetology welfare was low. However, most understood that cosmetology welfare is helpful and essential for welfare recipients and that it should be provided by professionals and be supervised and managed by the government. In a theoretical study, according to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guarantee on the right of human life under constitutional law, it is found that cosmetology welfare is an essential element and is a fundamental right, but cosmetology welfare-related rules are absent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and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Therefore, for the legislation of cosmetology welfare, this study proposes a legislation method based on empirical study results and constitutional grounds as follows: First, the amendment of current laws was not a proper option due to problems presented in the legal system and legislative purposes' limitations. Therefore, an unprecedented unique cosmetology welfare legislation plan was proposed. Second, the right of humanity and human life is guaranteed for those who required cosmetology welfare by stipulating basic matters on cosmetology welfare. The professional aspect of cosmetology welfare was enhanced, promoting fairness, transparency, and appropriateness in executing cosmetology welfare.Third,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basic concepts: i)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Cosmetology Welfare Act, which stipulates the improvement of services and cosmetology welfare by establishing a cosmetology welfare system should be met; ii) anyone who needs such cosmetology welfare should be permitted to apply for free and receive services; iii) the cosmetology welfare provider should guarantee the welfare of the recipient’s human rights; iv) the welfare service provider should guarantee the recipient’s right to use cosmetology welfare services. Fourth, this study proposed other matters in addition to the purposes and concepts of the cosmetology welfare law, such as details, targets, and the implementation entity of the cosmetology welfare law and its qualification system,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pervisory agenc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failed to consider the legal grounds by mentioning constitutional grounds and basic rights concerning the legal grounds for the legislation of cosmetology welfare in theoretical research. This paper is required to broaden subjects eligible to be cosmetology welfare recipients such as the disabled, children, and those from low-income families. Therefore,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on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welfare laws, considering diverse aspects, such as the government's financial conditions and resources. 오늘날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복지에 대한 국민의 기대수준이 높아졌고, 그 결과 국가의 보건ㆍ사회복지 분야의 지출은 점차 확대되어 세분화ㆍ전문화되고 있으며,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및 행복추구ㆍ문화생활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미용에 대하여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복지 분야에서 미용은 현대복지국가의 사회복지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용복지의 인식이나 제도적 준비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미용복지 법제화에 관한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 방법으로, 20세 이상의 일반인 성인남녀와 미용전문가ㆍ사회복지전문가ㆍ법률전문가 등의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론적 연구방법으로, 미용복지의 개념 및 현황, 미용복지 관련 법제 및 사회복지와의 관계, 미용복지 법제화 방안에 대한 법적 근거와 개정 및 제정을 통한 입법방안에 대하여 기존의 전문서적ㆍ판례ㆍ학위논문ㆍ학술지ㆍ연구보고서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통계청ㆍ기획재정부ㆍ보건복지부ㆍ한국사회복지협의회 등의 각종 간행물 및 통계자료를 분석하였고, 언론보도자료 및 인터넷 사이트 색인 등을 참조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미용복지에 대한 인식 자체는 낮은 편이었으나 미용복지가 복지대상자에게 필요한 부분이고, 유용한 서비스라는 점과 미용복지는 전문 인력이 수행해야 하고, 그 교육 및 관리ㆍ감독을 국가가 책임지고 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헌법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 대한 보장을 실질적으로 해석한다면, 오늘날 사회적 기본권이 실질적기본권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미용복지는 필요한 요소라는 것과 사회복지사업법이나 사회보장기본법에 미용복지 관련 규정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미용복지 관련 법제화를 위하여 실증적 연구결과와 헌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입법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미용복지 법제화와 관련하여 기존 법률의 개정을 통한 방법은 법체계적인 문제점과 입법 목적의 한계로 인하여 적합한 방법이 아니었기 때문에 독자적인 미용복지 법제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미용복지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정하여 미용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하고, 미용복지의 전문성을 높이며, 미용복지를 실행함에 있어서의 공정ㆍ투명ㆍ적정을 도모하였다. 셋째, 지역사회복지 중 미용복지체계를 구축하여 서비스의 향상과 미용복지증진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미용복지법’의 입법목적과 미용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의사에 따라 서비스를 신청하고 제공받을 수 있게 해야 하고, 미용복지를 제공하는 자는 필요로 하는 사람의 인권을 보장하여야 하며, 미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미용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의 선택권을 보장하여야 한다는 기본이념을 제시하였다. 넷째, 미용복지법안의 목적과 이념 외에 미용복지법안의 내용, 적용대상, 실행주체 및 자격제도, 교육기관 및 감독기관에 대한 사항도 함께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에서 연구대상을 장애인ㆍ저소득층ㆍ아동 및 요보호자 등 실질적인 미용복지대상자를 포함하여 폭넓게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과 이론적 연구에서 미용복지 법제화 방안에 대한 법적 근거로 헌법적 근거와 기본권적 근거만 제시하고 법률적 근거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이 제한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복지법안의 개정ㆍ제정에 있어서 국가의 재정 상태나 재원 마련 등을 함께 고려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 네일살롱에서 사용되는 페디파일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분석

        이보라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o keep nail care services safe and sanitary, nail salon managers and workers need to pay a close attention. However, nail care tools are exposed to a human contact and humidity so that they are basically vulnerable to bacteria proliferation. A pedicure is a cosmetic treatment of the feet and toenails which have a high possibility of the inhabitation and proliferation of bacteria and fungi. Therefore, it could be the source of potential contamination and infection. Many nail salons have recommended customers get their own pedicure file. Even so, it is hard to tell that these personal pedicure files are safer and more hygienic than common pedicure files. This study investigated if the personal pedicure files are more hygienic than common ones through a bacteria and fungi test and identified the type of bacteria through DNA sequencing when they were foun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7 genera and 23 species were found in bacteria while 11 genera and 16 species were detected in fungi. The bacteria include the genus Bacillus, genus Paenibacillus and genus Micrococcus, and fungi include the genus Penicillium and genus Chaetomium. These microbes are not commonly found in both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s such as soil, air, water, food and surface. If the amount is small, or a person is healthy enough, they would not cause any serious problem. If they proliferate in a large number under favorable conditions, or they penetrate into a person with a weak immune system through his/her respiratory tract or scar on the skin, they can cause diverse infections, poisoning symptoms or allergic responses. Nail salons should take the best hygiene management approach to avoid any hygiene-related disputes and reduce a risk of hygiene-related accidents. In terms of the types and diversity of microb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ommon pedicure files and personal pedicure files. When they were sterilized with ethanol and UV rays according to the related laws, bacteria and fungi were all exterminated. In the hygiene of pedicure files, in other words, it is more important for nail salons to keep the tools clean and sanitary than to have customers use their own pedicure files. However, the sterilization of pedicure files only would not be enough. There should be hygiene management for nail salon environment and workers on a realtime basis. When the pedicure files were sterilized with ethanol and UV rays in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they were sufficiently clean and sanitary. However, it is not easy for many small nail salons to dutifully perform this disinfection regularly. To overcome these obstacles and keep pedicure files clean and sanitary, it would be a good idea to use single-use pedicure files than to adopt personal ones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From a mid/long-term viewpoint, the industry and government authority should make continued efforts to improve the performances of single-use pedicure files and develop and distribute small proven disinfection equipment. 네일미용의 위생관리를 위해 관리자 및 종사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네일미용기구들은 신체 접촉과 습기에 노출되어 기본적으로 미생물 증식에 취약한 조건에 놓여 있다. 페디큐어는 각종 세균 및 진균의 서식과 증식에 취약한 발을 시술 대상으로 하므로 잠재적 오염 및 감염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많은 네일살롱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고객이 개인전용 페디파일을 구매하도록 권유하고 있으나, 실제 개인 페디파일이 충분히 위생적이거나 공용 페디파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생적인지 객관적으로 인정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페디큐어에 사용되는 필수도구인 페디파일이 실제로 공용 페디화일에 비해 위생적인지 세균 및 진균 검출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미생물이 존재할 경우 해당 미생물의 종을 DNA 염기서열을 통해 동정하였다. 동정 결과 세균 7속 23종, 진균 11속 16종이 검출되었으며, 여기에는 보편적 미생물인 Bacillus 속, Paenibacillus 속, Micrococcus 속 등의 세균종, Penicillium 속, Chaetomium 속 등의 진균종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모두 자연환경 및 인조환경의 토양, 공기, 물, 음식물, 표면 등에서 흔히 발견되는 미생물로, 그 양이 많지 않거나 건강한 사람인 경우 접촉하여도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미생물도 적절한 조건이 주어져 대량으로 증식하거나, 일시적으로나 면역계 질환으로 면역력이 약화된 사람의 호흡기나 피부 상처를 통해 이들 미생물이 침입할 경우 각종 감염병 및 중독 증상,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네일살롱은 위생 관련 논란의 소지나 사고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차원에서 최선의 위생관리방안을 적용하여야 한다. 공용 페디파일과 개인 페디파일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집단은 그 종류나 다양성에서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규정에 따라 에탄올 및 자외선 소독을 실시한 후에는 세균이나 진균이 사실상 박멸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페디파일의 위생은 개인전용 페디파일을 사용하느냐의 여부보다는 각 네일살롱이 규정에 따른 소독을 실시함으로서 확보된다고 볼 수 있다. 단 네일살롱의 특성상 페디파일 자체의 소독만으로는 네일살롱에서의 확실한 위생관리를 확보하기 어렵고 네일살롱 환경 전반 및 근무자에 대한 상시적 위생관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페디파일에 대해 현행 공중위생관리법 규정에 따른 에탄올 소독과 자외선 소독을 차례로 실시한 결과 소독 효과는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대개 규모가 작은 네일살롱에서 이를 충실히 수행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고 적절한 위생수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개인 페디파일보다는 일회용 페디파일을 보다 적극 활용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일회용 페디파일의 성능 개선, 검증된 소형 소독장비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산업계 및 관련 감독기관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