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기생은 권번이라는 조직 내에 소속되어 다양한 樂歌舞에 대한 교육을 받았고, 예술인으로서의 역할을 맡으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음악과 관련하여 음악회나 라디오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87771
2010
Korean
기생 ; 권번 ; 경성방송국 ; 유성기음반 ; 전통음악 ; gisaeng ; Gwonbeon ;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 phonographic record ; traditional music
679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5-67(23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 기생은 권번이라는 조직 내에 소속되어 다양한 樂歌舞에 대한 교육을 받았고, 예술인으로서의 역할을 맡으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음악과 관련하여 음악회나 라디오의 ...
일제강점기 기생은 권번이라는 조직 내에 소속되어 다양한 樂歌舞에 대한 교육을 받았고, 예술인으로서의 역할을 맡으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음악과 관련하여 음악회나 라디오의 방송출연, 유성기음반 취입, 요리점 내의 공연, 자선 음악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통예술을 보존하고 전승해갈 뿐만 아니라 유행가수로서 새로운 문화형성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생의 경성방송국 출연과 유성기음반취입을 다루었다.
기생의 경성방송국 출연은 경성방송국을 통해 처음 방송이 시작된 1926년 7월부터 시작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소화해냈다. 다만 악기의 이동이나 공간 문제로 인해 성악관련 장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100여 명의 기생이 경성방송국을 통해 방송에 출연하였다.
권번에 소속되어 있었던 기생들은 그 곳에서 다양한 음악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유성기음반을 취입하기에 이미 준비된 인물들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당시의 각 레코드사는 실력 있는 기생을 찾기 위한 경쟁이 일어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수의 기생들이 유성기음반을 취입하며 대중들로부터 인기를 얻었다. 특히 1930년대 대중가요가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전통예술뿐 아니라 대중가수로서도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또한 방송출연과 유성기 음반 취입 등을 통해 인기를 얻은 기생은 전문 연예인의 길을 가거나, 한국보다 더 나은 교육을 받기 위해 유학을 떠나는 등 신여성의 면모를 보이면서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나갔다.
기생들의 경성방송국 출연과 유성기음반 취입은 이들이 행한 음악활동의 일부분에 해당하며, 이 외에도 자선음악활동이나 요릿집에서의 활동 등을 통해 그곳을 찾은 외국인 등에게 우리음악문화를 알리는 홍보역할까지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기생들의 다양한 음악활동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들이 음악계에 끼친 의의와 가치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isaeng who were belonged to Gwonbeon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received various training for music, dances, and songs, and did many activities as artists. In particularly, they played great role not only in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
The gisaeng who were belonged to Gwonbeon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received various training for music, dances, and songs, and did many activities as artists. In particularly, they played great role not only in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arts trough diverse musical activities such as concerts, radio broadcastings, phonographic records, performance in restaurants, charity concerts, but also in formation of new cultures as pop singers. This thesis covers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among the gisaeng's musical activities.
The gisaeng's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was July 1926, and they digested various musical genres. Around one hundreds gisaeng appeared on broadcasting, but It was mostly sings due to limitation of instrument's moving and space.
The gisaeng in Gwonbeon were already prepared to make a phonographic record because they received many musical training in there. Therefore, each records company had competition in order to find the gisaeng who has more ability, and lots of gisaeng became popular while they made a phonographic record. Especially, when popular music was developed in 1930's, it was extended as not only traditional arts but also a pop singers.
The gisaeng who were popular through a broadcasting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formed new cultures showing modern woman's looks such as becoming entertainers, or going to study abroad to receive better training.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were only part of gisaeng's musical activities. They also promoted Korea's traditional culture to foreigners who visit a charity concert or a restaurant. Thus, artistic significance and worth in the musical world need to be examined continuously through study of gisaeng's .various musical activ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방송, "한성기생조합소의 예술 사회사적 조명-대한제국 말기를 중심으로" 일지사(한국학보) 29 (29): 2-54,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유성기음반 총목록" 민속원 1998
3 이범경, "한국방송사" 범우사 1998
4 한국대중예술문화연구원, "한국대중가요사"
5 송방송, "한국근대음악사연구" 민속원 2003
6 송방송, "한국근대 음악인사전" 보고사 2009
7 신현규, "평양기생 왕수복 10대 가수 여왕되다" 경덕출판사 2006
8 이능화, "조선해어화사" 동문관 1992
9 조선박람회 경성협찬회, "조선박람회보고서"
10 조선연구회, "조선미인보감" 민속원 2007
1 송방송, "한성기생조합소의 예술 사회사적 조명-대한제국 말기를 중심으로" 일지사(한국학보) 29 (29): 2-54,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유성기음반 총목록" 민속원 1998
3 이범경, "한국방송사" 범우사 1998
4 한국대중예술문화연구원, "한국대중가요사"
5 송방송, "한국근대음악사연구" 민속원 2003
6 송방송, "한국근대 음악인사전" 보고사 2009
7 신현규, "평양기생 왕수복 10대 가수 여왕되다" 경덕출판사 2006
8 이능화, "조선해어화사" 동문관 1992
9 조선박람회 경성협찬회, "조선박람회보고서"
10 조선연구회, "조선미인보감" 민속원 2007
11 신현규, "일제시대의 대중스타 기생 이야기" 살림 2007
12 김정은, "일제시대 기생과 여배우와의 관계:대표적인 여배우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07
13 이재옥, "일제강점기 기생의 공연예술활동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3) : 179-221, 2001
14 신현규, "일제강점기 기생 인물생활사:꽃을 잡고" 경덕출판사 2005
15 오정임, "세기 초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 공연 양상의 변화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16 요사미 순야(吉見俊哉), "박람회:근대의 시선" 논형 2004
17 김영희, "매일신보 전통공연예술 관련기사 자료집" 보고사 2006
18 송연옥, "대한 제국기의 <기생단속령><창기단속령>"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40 : 215-275,
19 권도희, "기생조직의 해체 이후 여성음악가들의 활동"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5 : 129-166, 2003
20 이경민, "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근대 기생의 탄생과 표상공간)" 아카이브북스 2005
21 안성희, "권번 여기 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곡 목록" 민속원 2000
23 김영희,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민속원 2006
24 손유주, "개화기 기생들의 예술 활동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25 "每日申報, 東亞日報, 朝鮮日報, 三千里"
26 권도희, "20세기 기생의 음악사회사적 연구" 한국국악학회 29 (29): 319-344, 2001
27 장유정, "1930년대 기생의 음악활동 일고찰-대중가요 가수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30 : 463-501, 2004
28 이재옥, "1930年代 妓生의 音樂活動 考察" 한국음악사학회 (30) : 587-631, 2003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즐거운 생활 교과서를 통해 본 학교 국악교육의 문제와 대책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1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3-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8 | 0.51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