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의 2011년(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의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첫째, ‘자녀교육비용’과 ‘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479677
2015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31-53(23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의 2011년(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의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첫째, ‘자녀교육비용’과 ‘육...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의 2011년(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의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첫째, ‘자녀교육비용’과 ‘육체적인 힘듦’이 추가자녀 출산포기의 가장 중요한 사유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자녀수에 따라 출산포기의 사유가 약간 차이가 있었다. 즉, 현재자녀수 1명인 여성은 ‘직장과 육아의 병행 힘듦’이 보다 중요한 출산포기의 사유로 나타나고, 현재자녀수 2명인 여성은 ‘자녀양육비용’이 보다 중요한 출산포기의 사유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과 ‘도구적 자녀가치’가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넷째,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재자녀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사회 양육 환경인 ‘여가 및 문화시설 환경’은 현재자녀수 1명인 여성의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고, 모의 심리적 요인인 ‘부부갈등’은 현재자녀수 2명인 여성의 출산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married woman’s childbirth abandonment based on the 2011 materials (the 4th year) of 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KICC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analysis show...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married woman’s childbirth abandonment based on the 2011 materials (the 4th year) of 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KICC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analysis showed a few results. First, ‘educational expenses for children’ and ‘physical hardship’ were the factors having a major influence on the abandonment of another childbirth. Second,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reason for the abandonment of another childbirth according to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That is, women with one child gave up another childbirth because of ‘hardship to juggle child-care and work’, while women with two children showed ‘child-care costs’ as a more important reason for the abandonment of childbirth. Third, ‘age’ and ‘instrumental value of children’ also had an influence on the abandonment of childbirth. Fourth,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childbirth abandonment according to the current number of children. The research found that the community child-care environment such as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influenced the women with one child, and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 such as ‘marital conflicts’ influenced the women with two children in their abandonment of another childbirth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광희, "한국의 저출산: 추이와 전망" 13 : 305-323, 2002
2 김미혜, "한국의 사회복지비 지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19 (19): 1-21, 2003
3 조복희, "한국 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 32 (32): 97-108, 1994
4 정혜옥, "한 자녀 가정의 둘째 자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동작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5 조병은, "편모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자원의 영향" 36 (36): 13-21, 1998
6 정혜은,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회 31 (31): 147-164, 2008
7 박영애,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3
8 배광일, "출산의도 및 출산행동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9 정미라, "첫 자녀를 둔 가구의 후속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59-277, 2013
10 박숙자, "저출산현상의 원인과 대책방향" 8 : 121-145, 2003
1 전광희, "한국의 저출산: 추이와 전망" 13 : 305-323, 2002
2 김미혜, "한국의 사회복지비 지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19 (19): 1-21, 2003
3 조복희, "한국 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 32 (32): 97-108, 1994
4 정혜옥, "한 자녀 가정의 둘째 자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동작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5 조병은, "편모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자원의 영향" 36 (36): 13-21, 1998
6 정혜은,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회 31 (31): 147-164, 2008
7 박영애,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3
8 배광일, "출산의도 및 출산행동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9 정미라, "첫 자녀를 둔 가구의 후속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59-277, 2013
10 박숙자, "저출산현상의 원인과 대책방향" 8 : 121-145, 2003
11 손홍숙, "저출산과 가족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10 (10): 43-63, 2005
12 허강무,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조세법제의 과제" 한국세법학회 11 (11): 141-176, 2005
13 유계숙, "저출산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2007년 출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169-189, 2009
14 남기동, "저출산 원인과 보육 및 육아지원 정책의 방향" 21 : 315-337, 2005
15 이재림,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 39 (39): 49-63, 2001
16 엄미선,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지지" 11 : 75-108, 2006
17 배경희, "장애아동 가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가 부모의 양육부담 및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18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0년-2060년"
19 박길진,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양육부담과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20 공선희, "일-가족 양립 현실과 출산 선택" 13 : 65-86, 2008
21 이희연, "인구학: 인구의 지리학적 이해" 법문사 2003
22 김두섭, "인구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23 최경수,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Ⅰ)" 한국개발연구원 2003
24 김명중, "인구감소시대에 진입한 일본의 저출산 현황과 대책" 4 (4): 70-79, 2006
25 이영, "인간발달 생태학" 교육과학사 1992
26 이정원,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 합리적-가치적 선택 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7 이재경, "유럽의 저출산 관련정책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한국여성학회 21 (21): 101-145, 2005
28 전광희, "유럽 선진국의 인구, 가족정책의 전개과정-프랑스와 독일의 경우" 16 : 211-236, 2005
29 손수민,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31-357, 2012
30 김영옥,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취업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개발원 2002
31 김기현,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5 (35): 141-150, 1997
32 이정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0, 2003
33 김정란, "아내학대에 대한 부부체계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34 강경숙,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저출산 요인분석" 10 (10): 127-145, 2005
35 배광일, "생태학적 변인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123-149, 2011
36 김미영, "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기혼여성의 출산행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7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38 김승권,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적정인구" 한국인구학회 29 (29): 241-258, 2006
39 주효진, "사회·경제적 요인과 정책적 요인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24 (24): 211-228, 2010
40 문혁준,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9 (39): 205-219, 2001
41 신윤정, "보육·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28): 103-134, 2008
42 김혜정, "미혼남녀별 결혼 및 자녀출산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43 마미정,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4 천혜정,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25-33, 2005
45 민주노동연구소, "노동자의 저출산 원인 규명과 아내 친화적 노동시장정책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6
46 노승희, "기혼여성의 출산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47 이철선, "글로벌 산업구조 재편과 우리의 대응전략: 희망자녀수와 출산자녀수간의 격차해소가 저출산의 해법!-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24 : 1-22, 2010
48 공선영,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19 : 103-126, 2006
49 정현숙, "결혼전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91-101, 2004
50 이삼식,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행태에 미치는 영향" 26 (26): 95-140, 2006
51 배광일, "가족가치관 및 출산정책이 희망자녀수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239-266, 2012
52 권용은, "가녀가치와 출산율" 13 (13): 211-226, 2004
53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 179-211, 1991
54 Forster, C., "The limits to low fertility: A biosocial approach" 26 (26): 209-234, 2000
55 Hochschild, A., "The Second Shift: Working Parents and the Revolution at Home" Viking 1989
56 Kaiser, A. P., "Teaching parents new skills to support thei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16 : 9-21, 2003
57 Rindfuss, R., "Postwar Fertility Trends and Differentials in the United States(Studies in Population)" Academic Press 1977
58 Engelhardt, H., "On the changing correlation between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over space and time" 20 : 35-62, 2004
59 Kantor, D., "Inside the Family" Harper and Row 1975
60 김두섭, "IMF 경제위기와 한국 출산력의 변화" 집문당 2007
61 Markman, H.,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New and Revised" Jossey-Bass Publishers 2001
62 Paolucci, B., "Family Decision Making: An Ecosystem Approach" John Wiley and Sone 1977
63 TARP(Technical Assistance Research Programs Institute), "Consumer Complaint Handling in America : An Update Study" Consumer Affairs Council of the U. S. Department of Commerce 1986
64 Belsky, J., "Child maltreatment: An ecological integration" 35 : 320-335, 1980
65 Chung, H.,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95 : 1015-1022, 2004
66 Leibenstein, H., "An interpretation of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Promising path or blind alley?" 12 (12): 457-479, 1974
67 Cobb, S., "Aging from Birth to Death: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Westview Press 93-106, 1979
68 통계청, "2013년 11월 인구동향"
69 이삼식,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 참여기간, 자활의지 간 관계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이직률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87 | 2.088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