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사립유치원 학부모의 기관 선택 이유 및 만족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21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기관 선호도, 기관 선택 이유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에서 2012년 8월 현재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 1,000명(공립 500명, 사립 500명)을 대상으로 웹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권역별․유치원 기관 유형별 원아 수를 고려하여 비례할당으로 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자 녀의 유치원을 선택할 때 학부모는 집과의 근접성을 가장 우선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시설환경 측면과 교육비용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71.3%가 인근에 새로운 자녀 교육기관으로 공립유 치원을 선호하였으며 대부분의 학부모가 전반적으로 자녀의 교육기관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 불비용 대비 만족도의 경우 공립유치원 학부모가 사립유치원 학부모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되었 다. 자녀의 교육기관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 높은 학급당 유아 수, 교사의 전문성 부족이 지목되었 으며, 읍면지역의 경우 다양한 특기교육의 부재가 불만족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이를 토대로 공립유 치원 설치율이 낮은 대도시 지역 의 공립유치원 확충을 통해 접근성을 강화하며, 공사립유치원의 학급 당 유아 수 축소를 위해 NAEYC(2012)의 기준에 근접하게 새로이 규정을 세우고, 교사의 전문성 제고 를 위해 교사의 업무경감 및 대체교사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기관 선호도, 기관 선택 이유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에서 2012...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기관 선호도, 기관 선택 이유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에서 2012년 8월 현재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 1,000명(공립 500명, 사립 500명)을 대상으로 웹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권역별․유치원 기관 유형별 원아 수를 고려하여 비례할당으로 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자 녀의 유치원을 선택할 때 학부모는 집과의 근접성을 가장 우선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시설환경 측면과 교육비용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71.3%가 인근에 새로운 자녀 교육기관으로 공립유 치원을 선호하였으며 대부분의 학부모가 전반적으로 자녀의 교육기관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 불비용 대비 만족도의 경우 공립유치원 학부모가 사립유치원 학부모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되었 다. 자녀의 교육기관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 높은 학급당 유아 수, 교사의 전문성 부족이 지목되었 으며, 읍면지역의 경우 다양한 특기교육의 부재가 불만족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이를 토대로 공립유 치원 설치율이 낮은 대도시 지역 의 공립유치원 확충을 통해 접근성을 강화하며, 공사립유치원의 학급 당 유아 수 축소를 위해 NAEYC(2012)의 기준에 근접하게 새로이 규정을 세우고, 교사의 전문성 제고 를 위해 교사의 업무경감 및 대체교사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directions to improv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outh Korea by examining parents’ choice and satisfaction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was on the online survey of 1,000 parents(500 parent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500 parents in private kindergartens) who lived in 16 different provinces and had at least one child enrolled in kindergarten in 2012. The target population was selected based on a proportional allocation of the number of children and area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ographic proximity, reasonable educational costs, school facilities were shown as important factors when parents choose kindergartens for their children. Second, parents preferred public kindergarten to private kindergartens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In addition, most of the parents were satisfied by kindergartens of their children. Third, the parents in public kindergarten were more satisfied by the educational costs than the parents in private kindergartens. Four, some parents pointed out the high teacher-child ratio and the lack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s reasons for their dissatisfaction. Adequate teacher-child ratio, appropriate capacity of the classroom, diverse after-class programs were selected by parents as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kindergartens.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e need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public kindergartens by expanding public kindergartens in big cities.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e need to reduce teacher-child ratio by considering NAEYC(2012)’ criteria, and to increase teachers’ professionalism by reducing teachers’ workloads and providing substitute teac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directions to improv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outh Korea by examining parents’ choice and satisfaction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was on the online survey of 1,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directions to improv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outh Korea by examining parents’ choice and satisfaction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was on the online survey of 1,000 parents(500 parent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500 parents in private kindergartens) who lived in 16 different provinces and had at least one child enrolled in kindergarten in 2012. The target population was selected based on a proportional allocation of the number of children and area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ographic proximity, reasonable educational costs, school facilities were shown as important factors when parents choose kindergartens for their children. Second, parents preferred public kindergarten to private kindergartens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In addition, most of the parents were satisfied by kindergartens of their children. Third, the parents in public kindergarten were more satisfied by the educational costs than the parents in private kindergartens. Four, some parents pointed out the high teacher-child ratio and the lack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s reasons for their dissatisfaction. Adequate teacher-child ratio, appropriate capacity of the classroom, diverse after-class programs were selected by parents as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kindergartens.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e need to increase accessibility of public kindergartens by expanding public kindergartens in big cities.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e need to reduce teacher-child ratio by considering NAEYC(2012)’ criteria, and to increase teachers’ professionalism by reducing teachers’ workloads and providing substitute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손, "한국국공립유치원의 변천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 조정자,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3 정명숙,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한국아동학회 31 (31): 67-82, 2010

      4 김미진, "육아지원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이 학부모만족 및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기관평가 결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5 김미와,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정은경,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및 사설학원 첫 선택과 재 선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이주아,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어머니의 선택요인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8 e나라지표, "유아교육규모"

      9 조부경, "우리나라 국?공립유치원 관련 문헌 및 인식조사에 기초한 바람직한 유아교육학제 개편"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21-150, 2006

      10 김하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박경희, "부모들의 유치원 선택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12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13 김낙흥, "미국 공립 유아학교(Universal Pre-Kindergarten)에 대한 정책과 평가 조지아 Pre-Kindergarte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319-338, 2008

      14 신광수, "농산어촌 적정규모 공립유치원 육성" 14 : 27-37, 2009

      15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통계 연보" 2012

      16 교육과학기술부, "교육통계 연보" 2011

      17 최은영, "공립유치원 설치․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2

      18 나 정, "공립유치원 모형개발연구" 14 (14): 5-27, 1994

      19 김지혜,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가 경험한 2주기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0 NAEYC, "Guidance on NAEYC Accreditation Criteria"

      21 OECD, "Education at a glance 2011: OECD indicators"

      22 장명림, "2013∼2017 유아교육 중장기 발전 방향" 육아정책연구소 2012

      23 권미경, "2012 유아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2

      24 김은설, "2011-2012 유아교육 연차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경상남도교육청, 육아정책연구소 2012

      25 김은영, "2011 유아교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011

      26 교육과학기술부, "09년 교육기본통계 조사결과" 교육과학기술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